KR20130097153A - Mglu5 대항체로서의 신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 Google Patents

Mglu5 대항체로서의 신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153A
KR20130097153A KR1020137003488A KR20137003488A KR20130097153A KR 20130097153 A KR20130097153 A KR 20130097153A KR 1020137003488 A KR1020137003488 A KR 1020137003488A KR 20137003488 A KR20137003488 A KR 20137003488A KR 20130097153 A KR20130097153 A KR 2013009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nyl
oxa
cene
pyridyl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626B1 (ko
Inventor
아메데오 레오나르디
지아니 모타
카를로 리바
루치아노 과르니에리
다비데 그라찌아니
카를로 데 토마
카티아 디미트로바 카람필로바
Original Assignee
레코르다티 아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코르다티 아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코르다티 아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10Spir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8The ring being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o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10Spir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I:
Figure pct00007

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X는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 질소,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CH, CH2, N, 또는 NH 을 나타내고; R2는 원자가 결합 또는 CH 또는 CH2 기를 나타내고; m은 1, 2 또는 3이고; n은 1 또는 2이고; n이 2이거나 m이 2 또는 3일 때, R1을 함유하는 고리는 임의로 치환된 벤젠 고리와 접합될 수 있고-각각은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단 하나의 이중 결합이 R3-C≡C- 에 결합된 탄소 원자로부터 연장되고, 어떤 고리 탄소 원자도 두 개의 이중 결합을 갖지 않고;R3, R4, 및 R5는 다양한 범위의 치환체들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들은 메타보트로픽 mGlu5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이다. 상기 화합물, 그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질소산화물,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조성물들은 하부요로장애, 특히 하부요로의 신경근 기능장애 등의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편두통, 위식도 역류(GERD); 불안 장애; 약물 남용, 약물 의존, 약물금단증후군, 신경병성 통증, 및 취약X 증후군 등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MGLU5 대항체로서의 신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NOVEL SPIROHETEROCYCLIC COMPOUNDS AS MGLU5 ANTAGONISTS}
본 발명은 대사자극성 수용체의 mGlu5 하위 유형에 대한 선택적 친화력을 갖는 신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부요로장애는 정상적인 배뇨를 방해하는 증후군들로 이루어진다. 하부요로장애는 비뇨 생식기의 병리학적 및/또는 노화와 관련된 변화, 또는 그 외 병인, 가령 신경 질환 등이 결합해 발전할 수 있다. 하부요로장애를 겪는 환자들은 수치심, 그리고 자아, 정서적 웰빙, 사회적 기능 및 일반적인 건강 상태의 감퇴 등을 포함한 삶의 질의 저하를 겪는다. 하부요로장애는 또한 봉와직염, 압박 궤양, 요로감염, 골절, 수면 부족, 사회적 위축, 우울증, 성 불감증 등을 포함한 그외 신체적 질병과 결부될 수 있다. 하부요로장애를 겪는 고령 환자들은 가족과 의료진들로부터 더 집중적인 치료를 요하기 때문에 의료 시설을 이용해야 할 수 있다.
미 국가 보건 기구(NIH)에 따르면, 약 3천 5백만명의 미국인들이 하부요로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80세 이하 미국인 중 하부요로장애를 겪는 여성이 남성 보다 (2:1) 많으며, 80세가 넘어서면 하부요로장애를 겪는 남성과 여성이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하부요로장애의 발병률도 높아진다. 65세 이상의 미국인 중 15% 내지 30%가 하부요로장애를 겪고 있으며, 50%는 장기적인 치료 대상이다.
다양한 활성화 모드를 갖는 물질들이 하부요로장애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여기에는 항무스카린과 알파-1 대항제 등 하부요로장애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물질들과, 세로토닌 및/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등 중앙 신경계를 통해 작용하는 물질들이 포함된다. 그러나, NIH에 따르면, 하부요로장애의 진단, 관리, 치료에 있어 어느 정도 진전은 있어 왔으나 여전히 난치병으로 남아 있는 상태다. 따라서, 하부요로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더 개선된 물질, 혼합물 및 치료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자극성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산은 중앙 신경계의 시냅스에 존재하는데, 통로형(이오노트로픽) 및 대사성(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등 적어도 두 종류의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로형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기본적인 기능은 그것이 활성화되면 리간드-개페형(게이티드) 이온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신경 세포의 전기적 신호를 직접적으로 중재하여, 후시냅스 막에서 신속하고 비교적 큰 전도도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mGluR)는 G-단백질을 거쳐 세포내 대사 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직접적으로 조절한다. mGluR를 통해 중재되는 후시냅스 세포에서의 변화는 시간이 지날수록 비교적 속도가 느려지며 신경 막 전도도에서의 빠르고 큰 변화로 연결되지 않는다.
NMDA, AMPA, 및 카에네이트 하위 유형 등 3 가지 통로형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하위 유형이 기술되었다.
대사상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경우, 8 가지 하위 유형이 복제되었다. 이 하위 유형들은 서열 유사성, 그리고 약학적 특성과 생화학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3 가지 군으로 분류된다: (Spooren et al., Trends Pharmacol. Sci. 22: 331-337, 2001), 그룹 I mGlu 수용체(mGlu1 및 mGlu5), 그룹 II mGlu 수용체(mGlu2 및 mGlu3), 그리고 그룹 III mGlu 수용체(mGlu4, mGlu6, mGlu6, mGlu7, mGlu8).
그룹 I 수용체 mGlu5 (인간 또는 쥐)는 적어도 두 개의 하위 유형, "a" 및 "b"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위 유형 "b"가 하위 유형 "a"보다 더 긴데, 그 이유는 도메인 영역 시작 부분에서 50 잔기(residue) 아래의 C-단말 (세포내) 도메인 영역에서의 32-아미노-산 스트레치(선)의 대체 접합(스플리싱) 때문이다. 인간 mGlu5b의 경우 1212 아미노 산 만큼 길며, 이때 "a" 형태에는 877 내지 908 아미노산이 부재한다 (n. 828이 세포내 도메인 영역의 시작임). 쥐 mGlu5b는 1203 아미노 산 만큼 길며, 이때 "a" 형태는 876 내지 907 아미노산이 부재한다 (n. 827이 세포내 도메인 영역의 시작임). (Hermans and Challis, Biochem . J. 359: 465-484, 2001)
GPCR의 3 가족군에 속하는 mGlu 수용체는 작용제 결합을 담당하는 비너스 플라이-트랩 모듈을 포함하는 대형 세포외 N-단부 도메인 영역과 수용체 활성화와 G-단백질 결합에 관여하는 7-TM 플러스 세포내 C-단부 도메인 영역 등 2 개의 위상상의 도메인 영역으로 특징지어진다.
mGlu 그룹 I의 7-TMD는 양성 및 음성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를 위한 결합 포켓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음성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는 높은 스루풋 스크리닝 기술 덕분에 작용제 결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경합적 길항제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분자들의 가장 흥미로운 특성은 높은 효능과 함께, 우수한 하위 유형 선택성이다.
7-TM 결합 영역은 로돕신의 망막 결합 포켓에 해당하는 TM-III, TM-V, TM-VI 및 TM-VII에 의해 포켓 라인되어 위치한다.
mGlu5의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는 특정 mGluR 하위 유형의 활동을 조절하는 새로운 연구 도구와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잠재력을 증명하는데 있어 놀라온 진전을 나타낸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앞서 소개한 mGlu5도 포함되는데, 이들은 실제로 대부분 7-TM 결합 영역에서 작용하는 음성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들이다.
WO 00/63166에서는 요실금을 포함한 여러 질병 치료에 유용한 삼환식 카르밤산 파생물을 기재했다. 이 파생물들은 mGlu1 수용체에 특이성을 갖는 그룹 I mGlu 수용체의 작용제 또는 길항제인 것으로 기재되었다.
WO 01/32632에서는 요실금을 포함한 여러 질병 치료에 유용한 피리미딘 파생물을 기재했다. 이 파생물들은 mGlu 5 수용체보다 mGlu1 수용체에 대해 적어도 10 배의 선택성을 갖는 mGlu1 수용체의 선택적 길항제인 것으로 기재되었다.
WO 01/27070에서는 다른 증상들 중에서도 특히 요실금의 치료에 유용한 신 바이사릴아세타미드(bisarylacetamide)을 기재했다. 이 분자들은 mGlu1 수용체에 대한 작용제 또는 길항제인 것으로 기재되었다.
US 6,369, 222에서는 다른 증상들 중에서도 특히 요실금의 치료에 유용한 헤테로클로로아제피닐 피리미딘 파생물을 기재했다. 이 파생물들은 mGlu1 수용체의 길항제인 것으로 기재되었다.
상기 특허들에서는 요실금 치료에 유용한 mGlu1 수용체 길항제들을 기재하고 있으나, 인간 또는 동물의 하부요로장애 치료를 위한 요실금 치료에 대한 실험적 근거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우리는 하부요로에서의 활동을 검출하기에 유용한 쥐 모델에서 선택적 mGlu1 과 선택적 mGlu5 길항제의 활동을 실험했다. 놀랍게도, mGlu5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인 길항제에서는 양호한 활동을 확인했으나, mGlu1 수용체에 선택적인 2 개의 시판 중인 길항제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II mGluR 수용체에 선택적인 길항제 또한 쥐 모델에서 효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선택적 mGlu5 길항제가 하부요로장애 치료에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하부요로장애 치료 및 관련 증상 경감을 위한 새로운 화합물 및 구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선택적 mGlu5 길항제를 포함한, 선택적 mGlu5 모듈레이터인 새로운 헤테로고리식(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개발을 통해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새로운 활동 메커니즘을 통해 배뇨 반사를 강력하게 억제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화합물 I은 전체 물질을 투여할 수도 있지만, 약학 조성물상의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용제가 투여 경로 및 표준 약학적 실제에 따라 선택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수용체의 혼합물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N-산화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과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용체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수용체"라는 용어는 희석제, 첨가제 및/또는 활성 화합물이 투여되는 매개체를 가리킨다.
화학식 I 화합물은 그 외 다른 치료 및/또는 활성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학식 I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N-산화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 2차 활성제, 및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용체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용체와 함께, 적합한 바인더, 윤활제, 서스펜션화제, 피막제 및/또는 가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 안정제, 염색제, 및 향미제 또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 및 서스펜션화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습식 밀링(wet milling) 등과 같은 이미 알려진 밀링(분쇄) 과정을 통해 태블릿(정제) 및 그외 제재들에 적합한 입자 크기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미분된 (나노미립자) 화합물은 선행 기술에 따른 과정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WO 02/00196 참조).
일반식 I:
Figure pct00001
을 갖는 화합물로서,
X는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 질소,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CH, CH2, N, 또는 NH 성분을 나타내고;
R2는 원자가 결합 또는 CH 또는 CH2 기를 나타내고;
R3은 임의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트리사이클릭 C1-C13 헤테로사이클릭기;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 임의로 치환된 C3-C6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C3-C6 사이클로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바이사이클릭 C1-C9 헤네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아미노, 카르바모일,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또는 화학식 -C(=O)-R6인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6은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또는 바이사이클릭 C1-C9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를 나타내고; 또는
R4 및 R5는 함께 옥소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메틸렌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기를 나타내고; 또는
R4 및 R5는 R1과 함께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0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불포화 4 내지 6원 고리를 나타내고;
R1이 산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는 존재하지 않고;
R1가 질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 중 하나는 존재하지 않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고;
R1이 황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 각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옥소기를 나타내고;
m은 1, 2 또는 3이고;
n은 1 또는 2이고;
n이 2이거나 m이 2 또는 3일 때, R1을 함유하는 고리는 임의로 치환된 벤젠 고리와 접합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은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단 하나의 이중 결합이 R3-C≡C- 에 결합된 탄소 원자로부터 연장되고, 어떤 고리 탄소 원자도 두 개의 이중 결합을 갖지 않고;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질소 산화물 및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상기 임의적 치환체들은 할로겐 원자와 C1-C6 알킬, C1-C6 알콕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니트로, 시아노, 옥소,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알킬설포닐, C1-C6 알킬카르보닐, 설파모일, C1-C6 알킬설파모일, 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콕시카르보닐 및 (C1-C6)알킬카르보닐(C1-C6)알킬기, 및 화학식  -NR*R*,  -C(=O)-NR*R*,  -A,  -O-A,  -C(=O)-A, -(CH2)q-A, -NR**-A, -C(=O)NR**-A, -NR**C(=O)-A 및 -O-C(=O)-A 기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 또는 C1-C6 알킬카르보닐, 페닐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1 내지 6 사이의 정수이고, A는 페닐기 또는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C1-C8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각 기 A는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니트로 및 C1-C6 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기들과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X가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결합을 나타내고, 이중 결합이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되는 것이다. 그러나, X가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장된 이중 결합을 갖는 CH 기 또는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장된 단일 결합을 갖는 CH2 기를 나타내고, R2는 CH2 기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R3는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C3-C5 헤테로모노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며; 또는 R3은 화학식 -C(=O)-R3인 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본 문장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더 바람직하게는, R3은 메틸, 이소프로필, 부틸, 페닐, 3-(t 부틸)-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5-플루오르페닐, 2-시아노페닐, 3-시아노페닐, 3-에톡시페닐, 3-에틸페닐, 2-플루오르페닐, 3-플루오르페닐, 4-플루오르페닐, 3-하이드록시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3-메톡시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3-(3-메틸-[1,2,4]-옥사디아졸-5-일)-페닐, 3-니트로페닐, 3-트리플루오르메톡시페닐, 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 2-피리딜, 4-클로로-2-피리딜, 5-클로로-2-피리딜, 5-플루오르-2-피리딜, 6-플루오르-2-피리딜, 4-메틸-2-피리딜, 6-메톡시-3-피리딜, 6-메틸-2-피리딜, 4-트리플루오르메틸-2-피리딜, 3-피리딜, 6-플루오르-3-피리딜, 2-퓨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라지닐, 2-메틸-1,3-티아졸-4-일 또는 2-퓨로일기를 나타낸다.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사이클릭 C3-C5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아미노, 카르바모일,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또는 화학식이 -C(=O)-R6 인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6은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사이클릭 C3-C5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 원자 또는 2-피리딜 또는 2-피리딜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 원자 또는 시아노, 하이드록시 또는 에톡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또는,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는 함께 바람직하게는 옥소, 메틸렌, 디플루오르메틸렌, 2-피리딜메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에틸렌디옥시, 프로필렌디옥시, 옥시에틸, 옥시프로필, 메틸렌옥시메틸렌, 하이드록시이미노, 메톡시이미노, 1-카르복시-3-하이드록시-프로폭시이미노 또는 2-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이미노기를 나타낸다.
또는,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는 함께 바람직하게는 화학식이 -(Yp)- 인 기를 나타내고, 단 인접한 두 개의 Y 성분은 산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고, p는 3 내지 5 사이의 정수이고 각 Y는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가령, -(Yp)-은 -O-CH2CH2-O-, -O-CH2CH2CH2-O-, -O-CH2CH2-, -O-CH2CH2CH2-, -CH2-O-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F2CH2CH2-일 수 있다.
R1이 질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바람직하게는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C3-C5 헤테로모노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R5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R5는 바람직하게는 알콕시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디아킬카르바모일, N-알콕시-N-알킬카르바모일 또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고, R4는 존재하지 않는다.
R1은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더 바람직하게는 3-시아노-2-피라지닐, 3-니트로-2-피리딜 또는 3-니트로-6-메틸-2-피리딜기를 나타내고; R5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R5는 더 바람직하게는 에톡시카르보닐, 3-클로로벤조일, 2-퓨로일, 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3-메틸설포닐-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N-메톡시-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또는 4-피리딜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고, R4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하부요로장애, 특히 절박뇨, 과활동 방광, 빈뇨, 감소 요순 응도 (감소된 방광 저장 용량), 방광염, 그리고 방광을 비우는 어려움 등을 포함한 하부요로의 신경근장애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마이그레인; 위식도역류 (GERD); 불안장애; 약물 남용, 약물 의존 및 약물 금단 증후군; 신경병성 동통; 및 취약 X 증후군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다.
일반식 I:
Figure pct00002
을 갖는 화합물로서,
X는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 질소,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CH, CH2, N, 또는 NH 성분을 나타내고;
R2는 원자가 결합 또는 CH 또는 CH2 기를 나타내고;
R3은 임의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트리사이클릭 C1-C13 헤테로사이클릭기;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 임의로 치환된 C3-C6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C3-C6 사이클로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바이사이클릭 C1-C9 헤네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아미노, 카르바모일,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또는 화학식 -C(=O)-R6인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6은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또는 바이사이클릭 C1-C9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를 나타내고; 또는
R4 및 R5는 함께 옥소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메틸렌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기를 나타내고; 또는
R4 및 R5는 R1과 함께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0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불포화 4 내지 6원 고리를 나타내고;
R1이 산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는 존재하지 않고;
R1가 질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 중 하나는 존재하지 않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고;
R1이 황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 각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옥소기를 나타내고;
m은 1, 2 또는 3이고;
n은 1 또는 2이고;
n이 2이거나 m이 2 또는 3일 때, R1을 함유하는 고리는 임의로 치환된 벤젠 고리와 접합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은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단 하나의 이중 결합이 R3-C≡C- 에 결합된 탄소 원자로부터 연장되고, 어떤 고리 탄소 원자도 두 개의 이중 결합을 갖지 않고;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질소 산화물 및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상기 임의적 치환체들은 할로겐 원자와 C1-C6 알킬, C1-C6 알콕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니트로, 시아노, 옥소,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알킬설포닐, C1-C6 알킬카르보닐, 설파모일, C1-C6 알킬설파모일, 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콕시카르보닐 및 (C1-C6)알킬카르보닐(C1-C6)알킬기, 및 화학식  -NR*R*,  -C(=O)-NR*R*,  -A,  -O-A,  -C(=O)-A, -(CH2)q-A, -NR**-A, -C(=O)NR**-A, -NR**C(=O)-A 및 -O-C(=O)-A 기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 또는 C1-C6 알킬카르보닐, 페닐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1 내지 6 사이의 정수이고, A는 페닐기 또는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C1-C8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각 기 A는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니트로 및 C1-C6 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기들과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X가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결합을 나타내고, 이중 결합이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되는 것이다. 그러나, X가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장된 이중 결합을 갖는 CH 기 또는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장된 단일 결합을 갖는 CH2 기를 나타내고, R2는 CH2 기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R3는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C3-C5 헤테로모노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며; 또는 R3은 화학식 -C(=O)-R3인 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본 문장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더 바람직하게는, R3은 메틸, 이소프로필, 부틸, 페닐, 3-(t 부틸)-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5-플루오르페닐, 2-시아노페닐, 3-시아노페닐, 3-에톡시페닐, 3-에틸페닐, 2-플루오르페닐, 3-플루오르페닐, 4-플루오르페닐, 3-하이드록시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3-메톡시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3-(3-메틸-[1,2,4]-옥사디아졸-5-일)-페닐, 3-니트로페닐, 3-트리플루오르메톡시페닐, 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 2-피리딜, 4-클로로-2-피리딜, 5-클로로-2-피리딜, 5-플루오르-2-피리딜, 6-플루오르-2-피리딜, 4-메틸-2-피리딜, 6-메톡시-3-피리딜, 6-메틸-2-피리딜, 4-트리플루오르메틸-2-피리딜, 3-피리딜, 6-플루오르-3-피리딜, 2-퓨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라지닐, 2-메틸-1,3-티아졸-4-일 또는 2-퓨로일기를 나타낸다.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사이클릭 C3-C5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아미노, 카르바모일,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또는 화학식이 -C(=O)-R6 인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6은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사이클릭 C3-C5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 원자 또는 2-피리딜 또는 2-피리딜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 원자 또는 시아노, 하이드록시 또는 에톡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또는,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는 함께 바람직하게는 옥소, 메틸렌, 디플루오르메틸렌, 2-피리딜메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에틸렌디옥시, 프로필렌디옥시, 옥시에틸, 옥시프로필, 메틸렌옥시메틸렌, 하이드록시이미노, 메톡시이미노, 1-카르복시-3-하이드록시-프로폭시이미노 또는 2-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이미노기를 나타낸다.
또는,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는 함께 바람직하게는 화학식이 -(Yp)- 인 기를 나타내고, 단 인접한 두 개의 Y 성분은 산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고, p는 3 내지 5 사이의 정수이고 각 Y는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가령, -(Yp)-은 -O-CH2CH2-O-, -O-CH2CH2CH2-O-, -O-CH2CH2-, -O-CH2CH2CH2-, -CH2-O-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F2CH2CH2-일 수 있다.
R1이 질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바람직하게는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C3-C5 헤테로모노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R5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R5는 바람직하게는 알콕시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디아킬카르바모일, N-알콕시-N-알킬카르바모일 또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고, R4는 존재하지 않는다.
R1은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더 바람직하게는 3-시아노-2-피라지닐, 3-니트로-2-피리딜 또는 3-니트로-6-메틸-2-피리딜기를 나타내고; R5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R5는 더 바람직하게는 에톡시카르보닐, 3-클로로벤조일, 2-퓨로일, 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3-메틸설포닐-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N-메톡시-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또는 4-피리딜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고, R4는 존재하지 않는다.
용어 정의
달리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다음의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및 청구항 전반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이 정의들은 해당 용어가 단독으로 쓰이든 다른 용어와 함께 쓰이든 상관없이 적용된다. 가령, "알킬"의 정의는 알킬 뿐만 아니라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카르보닐 등에서 알킬 부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또한, 화학 그룹에 대해 기술된 모든 범위, 가령, "1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및 및 "C1-C6 알킬" 범위에는 그 안의 탄소 원자의 범위와 특정 개수의 조합과 하위 조합을 포함한다.
"알킬"은 사슬 안에 1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선 사슬 또는 분기 사슬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사슬 안에 1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더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사슬 내에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저 알킬"은 직선 또는 분기 사슬 안에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을 의미한다. 적합한 알킬 그룹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세크-부틸, n-부틸, 및 t-부틸 등이 포함된다.
"알케닐"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며 사슬 안에 2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선 또는 분기 사슬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알케닐 그룹은 사슬 안에 2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더 바람직한 알케닐 그룹은 사슬 안에 2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저 알케닐"은 직선 또는 분기식 사슬 안에 2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 그룹을 의미한다. 적합한 알케닐 그룹의 예로는 에테닐,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n-부테닐, 1-헥세닐 및 3-메틸부트-2-에닐 등이 포함된다.
"알키닐"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트리플 결합을 가지며 사슬 안에 2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선 또는 분기 사슬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알키닐 그룹은 사슬 안에 2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더 바람직한 알키닐 그룹은 사슬 안에 2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저 알키닐"은 직선 또는 분기 사슬 안에 2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키닐 그룹을 의미한다. 적합한 알키닐 그룹의 예로는 에티닐, 프로피닐, 및 2-부티닐을 포함한다.
"모노-, 이환식(바이사이클릭)-또는 삼환식(트라이사이클릭) 아릴"은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모노환식(모노사이클릭), 이환식(바이사이클릭) 또는 삼환식(트라이사이클릭)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환식-또는 삼환식 아릴 그룹들은 2 또는 4 개의 지점에서 연결되거나 결합 또는 헤테로원자 연결기 (O,S, NH, 또는 N(C1-C6 알킬)(예., 바이페닐, 1-페닐나프틸)에 의해 한 지점에서 합류한다. 아릴 그룹은 한 개 이상의 치환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개의 치환체와 고리 상에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데, 이때 치환체들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적합한 아릴 그룹의 예로는 페닐과 나프틸을 포함한다.
"모노-, 바이- 또는 트라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은 2 내지 14 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가지며 N, O, 및 S 중에서 선택한 1 내지 5 개의 고리 원자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하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포화 모노 이환 또는 삼환 고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환- 및 삼환 헤테로사이클릭 그룹들은 2 내지 4 개의 지점에서 결합하거나 결합 또는 헤테로원자 연결기 (O, S, NH, 또는 N(C1-C6 알킬)에 의해 하나의 지점에서 합류한다. "모노 바이 또는 트라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은 고리상의 수소를 서로 같거나 다른 하나 이상의 치환체와 치환함으로써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고리 시스템에는 인접한 산소 및/또는 황 원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릭의 질소 또는 황 원자는 해당하는 N-옥사이드, S-옥사이드 또는 S-디옥사이드로 임의로 산화될 수 있다. 적합한 헤테로사이클릭의 예에는 퓨라닐, 이미다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지닐, 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티에닐, 카르바졸릴, 벤지미다졸릴, 벤조티에닐, 벤조퓨라닐, 인돌릴, 퀴놀리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지미다졸릴, 이소퀴놀리닐, 이소인돌릴, 아크리디닐 및 벤조이속사졸릴, 아지리디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모르폴리닐 및 티오모르폴리닐 등이 포함된다.
방향족 특성을 갖는 헤테로사이클릭은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로마틱으로 불릴 수 있다. 적합한 헤테로아로마틱의 예로는 퓨라닐, 이미다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피리딜, 피리미딜, 미리다지닐, 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티에닐, 카르바졸릴, 벤지미다졸릴, 벤조티에닐, 벤조퓨라닐, 인돌릴, 퀴놀리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지미다졸릴, 이소퀴놀리닐, 이소인돌릴, 아크리디닐, 벤조이속사졸릴,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3-페닐피리딘, 3-사이클로헥실피리딘, 3-(피리딘-3-기) 모르폴린, 3-페닐이속사졸 및 2-(피페리딘-1-기) 피리미딘 등이 포함된다.
"모노 또는 바이사이클릭 클로로알킬"은 3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탄소 고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은 고리상의 이용가능한 수소를 서로 같거나 다른 하나 이상의 치환체과 치환함으로써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모노사이클릭 클로로알킬의 예로는 클로로프로필, 클로로펜틸, 클로로헥실, 클로로헵틸 등이 포함된다. 적합한 멀티사이클릭 클로로알킬의 예로는 1-데칼리닐, 노르보닐 및 아마만틸 등이 포함된다.
"클로로알케닐"은 클로로알킬의 의미와 유사하나, 고리 안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다는 점이 다르다 (예: 클로로헥세닐, 클로로헥사디엔).
"할로겐" 또는 "할"은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또는 이오딘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더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 및 클로린을 의미한다.
"아킬"은 단독으로 사용되든 "알킬라미노"와 같이 다른 용어 안에서 사용되든 간에, 유기산에서 하이드록실을 제거한 후의 잔기(residue)에 의해 제공된 라디칼(radical)을 지칭한다. "아킬라미노" 라디칼의 예로는 CH3C(=O)-NH-이 있는데, 여기서 아민은 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입체화학
화학식 I 화합물은 개개의 치환체의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하 이성체를 가질 수 있다. 공간에서의 원자의 배열이 다른 이성체는 "입체 이성질체" 불린다. 서로 간에 거울상이 아닌 입체 이성질체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라고 하며 서로 간에 겹쳐지지 않는 거울상인 입체 이성질체는 "거울상 이성질체"라고 한다. 화합물이 키랄 중심을 가질 경우, 한 쌍의 거울상 이성질체가 가능하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그 비대칭 중심의 절대적 구성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 Cahn과 Prelog의 R-및 S-시퀀싱 법칙 또는 분자가 편광 평면을 회전하는 방식으로 묘사되며 우회전성 및 좌회전성 (즉, 각각 (+) 또는 (-)-이소머(이성질체)로)으로 지정된다. 키랄 화합물은 개별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로 존재한다. 같은 비율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불린다. 서로 다른 비율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R 또는 S 화합물이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 (ee)를 갖는다고 한다. 이러한 혼합물에서 한 거울상 이성질체의 과잉분은 %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 ee)으로 나타내며 아래 공식으로 구한다:
% ee = (R) -(S)/(R) + (S)
거울상 이성질체의 비율은 "광학 순도"로도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은 광학적으로 순수한 R과 S 화합물 대비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의 평면 편광 회전도이다. 광학 순도는 다음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광학 순도 = 거울상 이성질체.최대/(거울상 이성질체.최대 + 거울상 이성질체.최소)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이성질체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청구항에 명시된 특정 화합물에 대한 기재는 개별 거울상 이성질체와 혼합물, 라세미 또는 그외 물질들을 포함할 목적을 갖는다. 입체 화학 결정 및 입체이성질체의 분할 방식은 이미 기존에 알려져 있는 것이다.
입체 선택적 합성을 수행하고 반응 생성물을 적합한 정제 단계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광학 순도를 갖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세미 혼합물을 광학 순도를 갖는 부분들로 정제하기 위한 과정들과 마찬가지로, 광학적으로 순수한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적합한 입체 선택적 합성 과정들은 이미 알려져 있다. 당업자라면 발명 화합물이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결정화될 수 있는 다형성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동질 이상체를 식별하고 분리하는 적합한 방법도 이미 기존에 알려져 있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반응에 있어 달라진다.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은 용해도, 분별 결정화 또는 색층 분석 특성, 즉 박막 색층 분석법, 원주 색층 분석 또는 HPLC를 바탕으로 거울상 이성질체로 분리될 수 있다.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거울상 이성질체로 정제하는데는 일반적으로 두 단계를 거친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이 거울상 이성질체 쌍들도 분해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거울상 이성질체 쌍들이 하나 또는 또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로 농축된 조성물로 더욱더 정제된다.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순 거울상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분해된다.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해하려면 일반적으로 키랄 작용제, 즉 용매나 컬럼 매트릭스 등과 반응 또는 분자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거울상 이성질체의 분해는 가령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즉 라세미 혼합물을 제 2 작용제, 가령 분할제의 순 거울상 이성질체와의 반응을 통해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 변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그 결과 생성된 두 부분입체 이성질체가 분리된다. 이렇게 해서 분리된 부분입체 이성질체들은 초기 화학적 변형 과정의 역행을 통해 다시 순 거울상 이성질체로 변하게 된다.
거울상 이성질체의 분해는 또한 키랄 물질과의 비공유 결합의 차이, 즉 호모키랄 흡착제에 대한 색층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거울상 이성질체와 색층 분석 흡착제간의 비공유 결합은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생성하게 되고, 이는 색층 분석 시스템에서 유동 및 결속 상태에서의 차별적 분할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두 가지 거울상 이성질체는 색층 분석 시스템, 가령 컬럼을 서로 다른 속도로 통과하게 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키랄 분해 컬럼은 기존에 알려진 기술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다(가령, Metachem Technologies Inc., ANSYS Technologies, Inc., Lake Forest, CA). 거울상 이성질체는 가령 HPLC에 대한 키랄 고정상 (CSP)을 이용해 분석 및 정제가 가능하다. 키랄 HPLC 컬럼은 일반적으로 실리카 포장 물질의 표면에 고정된 한 가지 형태의 거울상 이성질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I 종 CSP로는 D-페닐글리신 및 L-루신은 I 종 CSP가 있는데, 이들은 π-π 상호작용, 수소 결합, 쌍극자간 상호작용 그리고 입체 상호작용의 조합을 통해 키랄 인식을 수행한다. I 종 컬럼상에 분해되기 위해, 분해 물질 거울상 이성질체는 CSP와 필수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CSP에 보완적인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샘플은 π-산 또는 π-기제, 수소 결합 공여체 및/또는 수용체, 또는 아미드 쌍극자 중 하나의 기능성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랙티브 사이트(interactive site)가 없는 화합물에는 그것을 첨가하기 위한 유도체화가 종종 이루어진다. 가장 일반적인 유도체로는 아민 및 카르복시산에서 생성하는 아미드가 있다.
II 종 CSP의 예로는 MetaChiral ODMTM가 있다. 용질-CSP 복합물 형성의 주된 메커니즘은 매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포접 화합물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소 결합, π-π 상호작용, 그리고 쌍극자 스태킹(stacking)은 MetaChiral ODMTM의 키랄 분해에 있어 중요하다. 용질 분자가 용질-컬럼 상호작용에 필요한 그룹들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도체화가 필요할 수 있다. 아민과 카르복시산과 같이 극성이 강한 분자들은 입체비특이성 상호작용을 통해 정지상과 강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벤질아미드와 유도체화가 필요할 수 있다.
화학식 I 화합물은 가령 컬럼 색층 분석 또는 실리카 젤 상에서의 TLC에 의한 분리를 통해 부분입체 이성질체 쌍들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부분입체 이성질체 쌍들을 상부 TLC Rf를 갖는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하부 TLC Rf를 갖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로 하기로 한다. 이러한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기존에 알려진 방식을 통해 특정 거울상 이성질체로 더 농축되거나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로 분해될 수 있다.
부분입체 이성질체 쌍들의 상대적 구성은 이론적 모델 또는 법칙 (가령 크램의 법칙, 펠킨-안 모델 등)들을 적용하거나 그보다 더 믿을 수 있는 컴퓨터화학 프로그램에서 도출한 3-차원 모델을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방법들은 어떤 부분입체 이성질체가 화학적 변환에 유리한 것인지 예측하는데 쓰일 수 있다.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 쌍(들)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의 절대적 구성을 발견함으로써 부분입체 이성질체 쌍들의 상대적 구성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기존의 기술 (가령, X-선 회절, 원형 이색성)을 통해 입체 중심의 절대적 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절대적 구성 판단은 또한 이론적 모델의 예측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하며, 유사 메커니즘 (가령, 케톤 퇴화 및 수소화물에 의한 케톤 축소 아미노화)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유사 분자에 이러한 모델의 사용을 확대 적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이중 결합에 대한 R2-R3 치환체들로 인해 Z-E류 입체 이성체 및 그 혼합물도 포함한다. m이 1이 아니고 m과 n이 서로 다를 때 추가적인 Z-E 입체 이성체를 만날 수 있다. 이중으로 결합된 치환체들의 이중 결합의 평면상 위치로 인한 입체 이성체들이 Z인지 E인지 판단하는데 Cahn Ingold-Prelog 우선 법칙이 적용될 수 있다. 최우선순위의 2개 그룹들이 C=C 결합을 통과하는 참조 평면의 같은 측면에 위치한 경우 입체 이성체는 Z (zusammen=함께)로 지정된다. 나머지 입체 이성체는 E (entgegen=반대)로 지정된다.
E-Z류 입체 이성체 혼합물은 이 화합물들의 서로 다른 화학-물리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 정체 방법을 통해 그들의 구성 요소들로 분리 (및/또는 특징지어질) 될 수 있다. 여기에 또한 포함되는 방법으로는 분별 결정, 저, 중 또는 고 압력 기술에 의해 수행되는 색층 분석, 분별 증류 및 그 외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존의 방법들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파생물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화합물의 염, 용매화합물, 수화물, N-산화물, 프로드러그, 및 활성 대사물질들을 포함한다.
"염"이라는 용어는 산 부가염 또는 프리 기제(free base)의 부가염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또는 정체의 목적을 위해,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무독성 염만이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따라서 바람직하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으로는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시산, 페닐-치환된 알칼산, 하이드록실 알칼산, 알칸이산, 방향족산,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 또는 시트르산 등 뿐 만 아니라 하이드록실 알마질산, 인산, 황산, 또는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산, 플루오르화산, 인산 등과 같은 무독성 무기산으로부터 추출된 염이 포함된다. 상기 염에는 나파디실레이트, 베실레이트,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수소포스페이트, 디수소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이오다이드,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카푸릴레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타르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아르기네이트, 글루코네이트, 갈락투로네이트 등과 같은 아미노산 염도 포함된다 (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 Pharma. Sci. 1977;66:1 참조).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포유류(가령 인간)에게 투여했을 때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분자 물질 및 그 외 조성물을 일컫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은 연방 정부 또는 주 정부의 규제 당국이 승인하거나 미국약전 또는 그 외 공인 약전에 기재된 물질임을 의미한다.
화학실 I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은 적합한 산이나 기제를 사용해 제공될 수 있다. 염은 용액에서 침전시키거나 여과를 통해 수집하거나 용액의 증발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가령, 염산과 같은 산의 수용액을 화학식 I 화합물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건조시켜 고체 상태의 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또는, 화학식 I 화합물을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적합한 알코올에 용해한 후, 같은 용액 또는 또 다른 적합한 용액에 산을 첨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산 부가염은 바로 침전시키거나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나 헥산 등의 극성이 덜한 용액을 첨가해 침전시킨 후 여과를 통해 분리가 가능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산 부가염들의 경우, 적합한 산을 충분한 양만큼 첨가하고 프리 기제 형태 (free base form)에 접촉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프리 기제 형태는 기존의 방식으로 기제로 염 형태를 접촉하고 프리 기제를 분리시킴으로써 다시 생성될 수 있다. 프리 기제 형태는 극성 용매에 대한 가용성 등과 같은 특정한 물리적 성질에 있어서는 각각의 염 형태와 다르나, 그것 외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는 각각의 프리 기제와 동일하다.
또한, 화학식 I에 따른, 토탈 염과 부분 염, 즉 산의 몰당 기제의 당량이 1, 2, 또는 3, 바람직하게는 2인 염, 또는 기제의 몰당 산의 당량이 1, 2, 또는 3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당량인 염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기제 부가염은 알칼리 및 알칼린 토류 금속 또는 유기 아민 등과 같은 금속이나 아민과 함께 형성된다. 양이온으로 사용되는 금속으로는 나트륨, 포타슘, 마그네슘, 칼슘, 등이 있다. 아민으로 적합한 것으로는 N, 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타놀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그리고 프로카인 등이 있다.
상기 산 화합물의 기제 부가염은 충분한 양의 적합한 기제와 함께 프리 산 형태를 접촉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으로 염을 생성함으로써 제공된다. 프리 산 형태는 산과 함께 염 형태를 접촉하고 프리 산을 분리함으로써 재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초 중심과 산 중심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쌍성(양성) 이온 또는 내부 염(internal salt)의 형태가 될 수 있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은 적합한 산 또는 기제를 사용해 제공될 수 있다. 염은 용액에서 침전시키거나 여과에 의해 수집되거나 용매의 증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가령, 염산 등 산의 수용액을 화학식 I 화합물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건조시켜(동결 건조) 고체의 산 부가염을 수득할 수 있다. 또는, 화학식 I 화합물을 가령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 등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같은 용매 또는 또 다른 적합한 용매에 산을 첨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산 부가염은 바로 침전시키거나 디이소프로필과 같은 극성이 덜한 용매를 첨가해 침전시킨 후 여과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유기화학의 당업자는 많은 유기 화합물이 그것이 반응한 용매 또는 침전 또는 결정화의바탕이 되었던 용매와 복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복합물은 "용매화물"로 알려져 있다. 가령, 물과의 복합물은 "수화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용매화물(가령 수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상기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용매화물" 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용매화물과 용질(가령 용매화_의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용매화물 생성 기술은 이미 선행 기술로 확립되어 있다 (가령, Brittain. Polymorphism in Pharmaceutical solids. Marcel Decker, New York, 1999. 참조).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N-산화물을 포함한다. "N-산화물"은 비치환된 sp2N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사이클에 있어서, N 원자는 공유 결합된 O 원자, 즉 -N→O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N-산화물 치환된 헤테로사이클에는 피리딜 N-산화물, 피리딜 N-산화물, 피라지닐 N-산화물 및 피라졸릴 N-산화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즉 포유류 대상물에 투여했을 때 체내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활성 모약물(parent drug)을 배출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프로드러그는 약물학적으로 활성을 갖는 작용제나, 더 일반적으로는 비활성 화합물로서 대사 변환에 의해 약물학적으로 활성을 갖는 작용제로 변환되는 비활성 화합물로서 변환되는 비활성 화합물이다. 화학식 I 화합물의 프로드러그는 화학식 I 화합물에 존재하는 기능기들을, 체내에서 모 화합물이 배출되도록 변형함으로써 제공된다. 체내에서, 프로드러그는 생리학 조건(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효소로 인한 약물학적 활성제의 유리가 발생한다. 프로드러그는 체내에서 쪼개져 프리 하이드록실기,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기를 각각 재생성하는 기에 결합된 화학식 I 화합물의 하이드록시,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학식 I 화합물을 포함한다. 프로드러그의 예로는 화학식 I 화합물의 에스테르 (즉, 아세테이트, 포름에이트, 및 벤조에이트 파생물) 또는 그 외 생리학적 pH 또는 효소 작용을 일으켰을 때 활성 모약물로 변환하는 파생물들이 포함된다. 적합한 프로드러그 파생물을 선택 및 제공하기 위한 선행 기술이 존재한다 (가령, Bundgaard. Design of Prodrugs. Elsevier, 1985 참조)
프로드러그는 그것이 변환되는 유효 성분과 같은 방식으로 투여되거나 비축 형태, 즉, (효소 제공 또는 그 외 적합한 시약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드러그가 유효 성분으로 서서히 변하고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경피성 패치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메타볼라이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상의 화합물의 "메타볼라이트"는 화합물이 대사될 때 형성되는 화합물의 파생물이다. "활성 메타볼라이트"라는 용어는 화합물이 대사될 때 형성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파생물을 일컫는다. "대사된" 이라는 용어는 특정 물질이 살아있는 인체에서 변화하는 과정들의 총체를 일컫는다. 간단히 말해, 인체내 모든 화합물은 에너지를 도출 및/또는 제거하기 위해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특정 효소들은 화합물에 대해 특정한 구조적 변환을 일으킨다. 가령, 시토크롬 P450은 다양한 산화 및 환원 반응에 대한 촉매 작용을 하는 반면, 우리딘 2인산 글루쿠론산전이효소는 활성 글루쿠론산 분자의 방향족 알코올, 지방족 알코올, 카르복실산, 아민 및 프리 메르캅토기의 변환의 촉매 작용을 한다. 신진 대사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는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ition, McGraw-Hill (1996), 11-17p에서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대사 물질은 숙주에 화합물을 투여하거나 숙주의 조직 샘플을 분석하거나, 체내에서 햅틱 세포와 화합물을 배양하고 그 결과 수득한 화합물을 분석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하부요로장애 사용
본 명세서에 사용된 하부요로 증후군 및 병리학에 대한 표기는 Abrams et al., Neurol. And Urodyn. 21:167-178 (2002) and Andersson et al., Pharmacol. Rev. 56:581-631 (2004)에 명시된 바와 같다.
배뇨 곤란은 크게 저장 또는 배출에 있어서의 장애로 분류할 수 있다. 저장 증후군은 방광의 저장 단계에 경험하는 것으로, 주간 빈뇨, 야뇨 (배뇨 때문에 밤에 한 두 차례 깨는 것), 절박증 (갑작스럽고 참을 수 없는 배뇨 욕구), 및 요실금 (무의식적인 소변 누출) 등을 포함한다. 요실금은 그 증상에 따라 추가적인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복압성 요실금은 노력 또는 운동 또는 재채기 또는 기침에 의한 무의식적 누출이다. 충동 요실금은 절박성을 동반하는 무의식적 요의 누출이다. 복합성 요실금은 절박성을 동반하며 운동, 노력, 재채기 또는 기침 등에 의한 무의식적 요의 누출이다. 일출형 요실금은 배뇨 실패로 인해 방광이 가득 찼을 때 발생하는 무의식적 요의 누출이다. 유뇨증 또한 무의식적인 요의 누출을 의미한다. 야뇨증은 수면 중 발생하는 요의 누출이다.
배뇨 증후군에는 배뇨 줄기의 슬로우 스트림(slow stream), 스플리팅(splitting), 또는 스프레잉(spraying), 간헐 스트림 (배뇨 시 멈추었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 배뇨 지연 (배뇨 시작에 어려움이 있어 배뇨 시작이 지연되는 것), 복압뇨, 배뇨말기 점적 등이 있다.
하부요로장애는 여러 가지 증상 (즉, 증후) 또는 병인들이 함께 발생할 수 있다. 과민성 방광(OAB) 증후군은 절박뇨, 절박 요실금, 주간 빈뇨 또는 야뇨증 등이 함께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OAB는 배뇨근 불안정으로 불리는 배뇨근의 과도한 활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배뇨근 불안정은 방광 결석, 근이영양증, 요로감염 또는 약물 부작용 등과 같은 비신경학적 이상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특발성을 가질 수도 있다.
신경과민성 방광 (또는 신경성 방광)은 배뇨근의 과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민성 방광의 한 종류로, 신경성 질환의 2차적 질환인 반사이상항진으로 불린다. 뇌졸증, 파킨슨병, 당뇨, 다발성 경화증, 말초 신경증, 또는 척수 병변 등과 같은 신경성 질환을 겪는 환자들은 종종 신경 과민성 방광을 겪는다.
방광염 (간질성 방광염 포함)은 병인을 알 수 없는 하부요로장애로, 주로 젊은 여성과 중년 여성들이 많이 걸리나, 남성과 아이들도 걸릴 수 있다. 간질성 방광염의 증상으로는 배뇨 증상, 주간 배뇨 빈도 증가, 절박뇨, 야뇨, 또는 치골성 통증 또는 골반 통증 등이 포함된다. 많은 간질성 방광염 환자들이 또한 위장 질환 및 피부 질환과 함께 두통을 호소한다. 간질성 방광염 때문에 궤양이나 방광의 상흔 등을 겪는 경우도 있다.
전립선염과 전립선통 또한 하부요로장애의 일종으로, 성인 남성 인구의 약 2-9%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립선염은 전립선에 염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세균성 전립선염 (급성 또는 반성)과 비세균성 전립선염이 있다. 급성 또는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전립선에 염증이 발생하고 전립선에 세균성 감염증이 발생하며, 통증, 주간 빈뇨 및/또는 절박뇨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재발 여부에 따라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과 구별된다.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경우, 병인을 알 수 없는 염증이 전립선에 발생하며, 전립샘 분비물에는 염증 세포의 양이 과도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현재 전립선의 세균성 전립선염에는 동반되지 않는 증상이다.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은 또한 통증, 주간 빈뇨 및/또는 절박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전립선통은 전립선 무형성 염증, 세균성 전립선염 및 전립샘 분비물에서의 염증 세포 증가 등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질병이다. 전립선통은 통증, 주간 빈뇨 및/또는 절박뇨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 (BPH)은 전립선이 비대해지는 것으로 40세 이상의 남성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BPH는 전립선과 기질 요소의 과도한 세포 성장 때문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BPH의 증상으로는 요 줄기의 슬로우 스트림(slow stream), 스플리팅(splitting), 스프레잉(spraying) 간헐뇨, 배뇨 지연, 복압 배뇨, 배뇨 말기 점적 등을 비롯한 빈뇨, 절박뇨, 절박 요실금, 야뇨, 배뇨 증상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하부요로장애, 특히 절박뇨, 과활동 방광, 빈뇨, 감소 요순 응도 (감소된 방광 저장 용량), 방광염, 그리고 방광을 비우는 어려움 등을 포함한 하부요로의 신경근장애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라 함은, 하나 이상의 상기 및/또는 징후의 치료를 의미한다.
하부요로장애의 신경근장애의 치료에 있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약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약물로는 옥시부티닌, 톨테로딘, 다리페나신, 솔리페나신, 트로스피움, 이미다페나신, 페소테로딘 또는 테미베린 등의 항무스카린 약물; 프라조신, 독사조신, 테라조신, 알퓨조신, 실로도신 또는 탐술로신 등의 α1-아드레날린 길항제; 세로토닌 및/또는 둘로세틴, 밀나시프란, 아목사핀, 벤라팍신, 데스벤라팍신, 시부트라민, 테소펜신 또는 데스-메틸시부트라민 등의 노라드레날린 재흡수저해제; 또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플루르프로펜, 페노프로펜, 케토프로펜, 인도프로펜, 피르프로펜, 카르프로펜, 티옥사프로페, 티옥사프로펜, 수프로펜, 티아프로펜산, 플루프로펜, 인도메타신, 술린다크, 톨메틴, 조메피락, 디클로페낙, 펜클로페낙, 이부페낙, 아세틸 살리클리릭산, 피록시캄, 테녹시캄, 나부메톤, 케토로락, 아자프로파존, 메페나믹산, 톨페나믹산, 디플루니살, 아세마타신, 펜티아작, 클리다낙, 메클로페나믹산, 플루페나믹산, 니플루믹산, 플루페니살, 수독시캄, 에토돌락, 살리클리릭산, 메노릴레이트, 이속시캄, 2-플루오르-α-메틸-[1,1'-비페닐]-4-아세트산 4-(니트로옥시)부틸 에스테르, 멜록시캄, 파레콕십 또는 니메술라이드 등의 선택적 또는 비선택적 COX 억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그 외 사용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마이그레인; 위식도역류 (GERD); 불안장애; 약물 남용, 약물 의존 및 약물 금단 증후군; 신경병성 동통; 및 취약 X 증후군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다.
화학식 I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화합물 I은 전체 물질을 투여할 수도 있지만, 약학 조성물상의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용제가 투여 경로 및 표준 약학적 실제에 따라 선택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수용체의 혼합물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N-산화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과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용체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수용체"라는 용어는 희석제, 첨가제 및/또는 활성 화합물이 투여되는 매개체를 가리킨다.
화학식 I 화합물은 그 외 다른 치료 및/또는 활성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학식 I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N-산화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 2차 활성제, 및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용체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용체와 함께, 적합한 바인더, 윤활제, 서스펜션화제, 피막제 및/또는 가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 안정제, 염색제, 및 향미제 또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 및 서스펜션화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습식 밀링(wet milling) 등과 같은 이미 알려진 밀링(분쇄) 과정을 통해 태블릿(정제) 및 그외 제재들에 적합한 입자 크기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미분된 (나노미립자) 화합물은 선행 기술에 따른 과정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WO 02/00196 참조).
투여 경로 및 단위 정량 형태
투여 경로로는 경구 (가령, 태블릿(정체), 캡슐, 또는 섭취 가능 용액 형태), 국소, 점막 (가령, 비강 스프레이 또는 흡입용 에어로졸), 비강내, 비경구내 (가령, 주사 형태), 위장내, 척수내, 복강내, 근육내, 정맥내, 자궁내, 안구내, 피내, 두개내, 기관내, 질내, 뇌실내, 대뇌내, 피하, 검안 (유리체 또는 전방내), 경피, 직장, 구강, 경막 및 설하(혀밑)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경로에 맞게 특별히 조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구강 전달에 적합한 형태로 조성된다.
전달 체계에 따라 조성물/제재의 요건이 달라질 수 있다. 모든 화합물들을 같은 경로로 투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활성 구성요소를 포함할 경우, 서로 다른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점막내, 근육내, 또는 피하 경로를 통한, 미니-펌프 또는 가령 흡입 또는 식용 용액을 위한 비강 스프레이나 에어로졸, 또는 주사 형태로 조성된 비경구적 경로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경로로 전달되도록 조성될 수도 있다.
위장 점막을 통해 물질을 전달하는 경우, 위장관을 통과할 때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하는데, 가령 단백질 가수 분해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야 하며, 안정적인 산 pH가 안정되어 있어야 하며, 담즙의 세게 효과에 저항력이 있어야 한다. 가령, 화학식 I 화합물은 장용성 제피층으로 도포될 수 있다. 장용성 제피층은 수용액 또는 적합한 유기 용제에서 분산 또는 용해될 수 있다. 장용성 제피층 중합체로서 쓰일 수 있는 것으로는, 메타크릴산 혼성중합체 용액 또는 분산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스, 셸락 또는 그 외 적합한 장용성 제피층 중합체 또는 그 조합 등이 포함된다. 환경적 이유로, 수용성 제피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성 프로세스에서는 메타크릴릭산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학 조성물은 좌약 또는 질좌약, 스킨 패치를 사용한 로션, 수용액, 크림, 연고 또는 살포제 등을 함유한 태블렛(정제) 형태, 또는 녹말이나 락토오스 등 첨가제를 함유한 태블렛(정제) 형태, 또는 질좌약 단독으로 된 캡슐 또는 첨가제와 혼합된 질좌약, 또는 영약, 수용액 또는 서스펜션을 함유한 향료나 색소제의 형태로 흡입되거나, 가령 정맥 또는 근육 또는 피하로의 비경구적 방식으로 주사될 수 있다. 구강 또는 설하(혀밑)에 태블렛 또는 마름모꼴 정제의 형태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정맥, 동맥, 복강, 척추, 심실, 요도, 흉골, 두개골, 근육 또는 피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통해 투여하거나 인퓨젼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퓨젼이나 주사 등 비경구적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나 인퓨젼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은 인퓨젼이나 주사에 적합한 살균 수용액 또는 확산 제조를 위한 살균 수용액, 또는 필요한 경우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확산 또는 살균 분말의 형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임의적으로 리포솜 형태로 캡슐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종 생성물은 생성 및 저장 조건 하에서 살균된 안정된 액체 상태여야 한다.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생성물은 또한 미생물의 성장을 막을 수 있는 방부제를 함유해야 한다.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아스코르브산 등 다양한 항균 및 항진균제를 첨가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많은 경우, 특히 혈액 등 체액과 비슷한 삼투압 유지를 위해 설탕, 버퍼, 염화나트륨 등의 이소토닉 물질의 사용이 권장된다.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나 젤라틴과 같은 흡수-지연제를 첨가하여 주사 가능 혼합물의 흡수를 장기화할 수 있다.
분산제는 액체 수용체 또는 글리세린,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오일, 또는 그 혼합물 등의 매개체에서 준비될 수 있다. 액체 수용체나 매개체는 물, 에탄올, 폴리올 (가령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등), 식용유, 무독성 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그것의 적합한 혼합물 등을 함유하는 용제 또는 액체 분산매체 등이 될 수 있다. 적합한 유동성은 리포솜의 발생, 분산제의 경우 적합한 입자 크기의 분산제 투여, 또는 계면 활성제 첨가로 유지될 수 있다.
경구 투여의 경우, 용액을 혈액과 등장성을 갖게 하기 위한 가령 충분한 양의 염이나 글루코스 글루코스 등의 물질을 함유하는 살균 수용액의 형태일 경우 가장 잘 이용될 수 있다. 수용액은 필요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의 pH로) 적합하게 버퍼링되어야 한다. 살균 조건하에서의 적합한 경구 제재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표준 약학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살균 주사가능 용액은 화학식 I 화합물과 적합한 용제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명시한 수용체를 혼합한 후, 살균 여과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살균 주사가능 수용액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살균 분말의 경우, 바람직한 제조 방식에는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 방식이 포함되는데, 이는 살균 수용액 제조를 위한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와 첨가제의 분말 혼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인체 또는 수의과용 생물의약제제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즉 정맥 볼러스 주사나 인퓨젼 또는 근육내, 피하 또는 척추강내 경로를 통해), 방부제가 첨가된 앰플이나 그 외 단위 컨테이너, 또는 다복용 컨테이너의 단위 복용량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주사용 조성물은 기름 또는 물이 함유된 서스펜션, 수용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일 수 있으며, 서스펜션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및/또는 분산제 등의 제재를 함유할 수 있다. 또는, 활성제는 가령 살균된 피로겐-프리 물 등의 적합한 매개체와 혼합될 수 있는 살균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즉각적인-, 지발된-, 수정된-, 지속적인-, 펄스-또는 지효성-릴리즈 응용을 위한 향료 또는 색소제가 함유된 태블렛(정제), 캡슐, 질좌약, 영약, 용액 또는 서스펜션의 형태로 (구강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령 수용액, 젤, 시럽, 마우스 워시 또는 서스펜션, 또는 사용 전에 물 또는 그 외 적합한 매체와 혼합될 수 있는 건조 분말의 형태로 구강 또는 볼에 투여될 수 있는 형태로 인체 또는 수의과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향료 및 색소제는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태블렛(정제), 캡슐, 마름모꼴 정체, 캔디, 알약, 볼러스, 분말, 페이스트, 알갱이, 불렛 또는 프리믹스 등의 고체 조성물도 가능하다. 구강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고체 또는 액체 조성물도 기존의 방식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수용체 및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태블릿(정제)은 미정질 셀룰로오스 락토오스, 구연산나트륨, 탄산칼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및 글리신, 녹말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감자 또는 타피오카 녹말) 등의 정제 분해 물질, 나트륨 녹말 글리콜산염,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및 특정 복합 규산염,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과립 바인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수 (HPC), 수크로오스, 젤라틴, 그리고 아카시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스테아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및 탤컴 등의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즉각 또는 지효성 태블릿(정제), 미세입자, 미니 태블릿(정제), 캡슐, 사세(봉지), 구강용 수용액 또는 서스펜션,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구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활성 물질로서 본 발명의 신 고체 형태의 판토프라졸과 더불어, 구강용 구성물은 바인더, 필러, 버퍼, 윤활제, 활주제, 염색제, 붕괴제, 악취 제거제, 감미료, 계면 활성제, 이형제, 항부착제, 및 코팅제 등과 같은 다양한 표준 약학 수용체 및 첨가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일부 첨가제는 조성물에서 다양한 역할, 즉 바인더 및 붕괴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을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붕괴제로는 녹말, 호화 전분, 나트륨 녹말 글리콜산염,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미정질 셀룰로오스, 알긴산염, 수지, 계면 활성제, 포화제 조성물, 수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교차 결합 폴리비닐피롤리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을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바인더로는 아카시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파생물, 젤라틴,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자이리톨,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딘, 소르비톨, 녹말, 호화 전분, 트래거캔스, 크산탄 수지, 알긴산염, 마그네슘-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벤토나이트 등이 포함된다.
구강용 조성물을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필러로는 락토오스, 안하이드로락토오스, 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수크로오스, 덱스트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녹말, 셀룰로오스 (특히 미정질 셀룰로오스), 디하이드로- 또는 안하이드로-칼슘 인삼염, 탄산칼슘 및 황산칼슘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윤활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탤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 폴리머,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올레산 나트륨, 스테아릴 퓨마레이트 나트륨, 그리고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등이 포함된다.
구강용 조성물을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악취 제거제로는 합성 아로마 및 천연 아로마 오일, 꽃, 과일 (가령 바나나, 사과, 신체리, 복숭아) 및 그 조합의 추출물, 및 유사 아모라 등이 포함된다. 상기 성분의 사용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작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약학적 조성물을 섭취하게 될 사용자들의 관능적 수용 가능성이다.
구강용 조성물을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색제로는 합성 염색제 및 이산화타이타늄, 베타-카로틴 및 그레이프푸르트 껍질 추출물 등이 포함된다.
부드럽게 삼킬 수 있게 하고, 릴리즈 특성을 보완하고, 외관을 개선하고, 및/또는 조성물의 맛을 가리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을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코팅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혼성 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구강용 조성을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감미료로는 아스파탐, 사카린, 사카린 나트륨, 시클라멘산나트륨, 자일리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토오스 및 수크로오스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버퍼로는 시트르산, 시트르나트륨, 이탄산나트륨,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계면 활성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및 폴리소르베이트 등이 포함된다.
유사한 종류의 고체 조성물 또한 젤라틴 캡슐 형태의 필러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로는 락토오스, 녹말, 셀룰로오스, 유당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수용성 서스펜션 및/또는 영약을 위해, 필러 물질은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및 그 조합 등의 희석액을 비롯한 유체화 및/또는 서스펜션화제 등과 함께 다양한 감미료 또는 향료, 색소 또는 염색제 등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가령 기존의 의약 또는 수의과용 좌제 기제가 함유된 좌약 또는 기존의 페서리 기제가 함유된 페서리 등으로 조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의학 및 수의과용 의학 제재를 위한 국부 투여용으로, 연고, 크림, 젤, 하이드로겔, 로션, 수용액, 샴푸, 분말 (스프레이 또는 살포제 포함), 페서리, 탬폰, 스프레이, 딥, 에어로졸, 드롭 (가령 눈, 귀, 코 드롭) 또는 푸어-온(pour-on) 등의 형태로 조성될 수 있다.
피부에 국부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령 미네랄 오일, 유동 바셀린, 화이트 바셀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체화 왁스, 소르비탄 모노스테아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체 파라핀,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코올, 및 물 중에서 하나 이상의 혼합물에 서스펜드 혹은 용해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적합한 연고로 조성될 수 있다.
국부 조성물용으로 적합한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중합체로는 아크릴 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ㅇ오스 파생물, 알긴산염, 트래거캔스, 펙틴, 크산탄 및 시토산 등의 천연 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오일로는 미네랄 오일, 실리콘 오일, 지방산, 알코올 및 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유체 수용체로는 임의로 무독성 아나온, 양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무기 또는 유기 버퍼 등이 첨가되고 부정규다형이 용해 또는 분산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그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부제로는 벤조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 p-하이드록시벤조산의 에테르 및 가령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벤질 알코올, 클로로부탄올, 4급 암모늄염, 및 파라벤 (메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 등의 용제 등 다양한 항균성 및 항진균제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안정화제와 항산화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리아세트산 (EDTA), 티오우레아, 토코페롤, 및 부틸 하이드록시아니졸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모이쳐라이저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우레아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연화제로는 미네랄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염 및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령 스킨 패치 등을 사용해 피부 또는 경피에 투여될 수 있다.
안과적 사용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벤질염화염화물 등의 방부제와 함께, 이소토닉, pH 조절된, 살균 염류용액,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토닉, pH 조절된, 살균된 염류용액 등에서의 미분화된 서스펜션의 형태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코로 흡입하는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적합한 추진제, 가령 디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르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1, 1, 1, 2-테트라플루오르에탄 (HFA 134AT) 등의 하이드로플루오르알칸, 이산화탄소 또는 그 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해 가압 컨테이너, 펌프, 스프레이 또는 분무기로부터 건조 분말 흡입기 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여량은 계량된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가압 컨테이너, 펌프, 스프레이, 또는 분무기는 가령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등 윤활제가 첨가되었을 수 있는 용제를 추진제로 한 가령 에탄올 혼합물을 사용해 활성 화합물의 수용액 또는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캡슐 및 카트리지 (가령 젤라틴으로 만든)는 화합물의 분말 믹스 및 락토오스 또는 녹말 등의 적합한 분말 기제를 함유하도록 조성될 수 있다.
흡입에 의한 국부적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분무기를 통해 의학 또는 수의과용 약제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0.01 내지 99% 단위 체적 중량이 활성 물질일 수 있다. 국부적 투여를 위해, 조성물은 가령 0.01-10%, 더 바람직하게는 0.01-1%가 활성 물질일 수 있다.
활성 제재는 또한 소형 단일박막 소낭, 대형 단일박막 소낭, 및 다중층 소낭 등의 리포좀 전달 시스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리포좀은 콜레스테롤, 스테아릴아민 또는 포스파티딜콜린 등의 다양한 인지질의 형태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최적의 활동을 달성하는 한편 특정 환자에 대한 독성 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에 명시된 지침을 바탕으로 한 정기적 테스팅에 의해 정의된 투여 방식 및 투여량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학적 투여 방식의 조정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지침을 바탕으로 일상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활성제의 투여량은 질병의 상태, 개인의 상태, 체중, 성과 연령, 투여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투여량은 당업자에게 기존에 알려진 경험적 방법, 가령 투여량과 빈도의 매트릭스를 확립하고 매트릭스 상의 각 지점에서 실험 단위 또는 대상물 그룹을 비교함으로써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환자에게 투여할 정확한 약물의 양은 질병의 상태와 심각성 및 환자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증상의 측정가능한 개선도 또는 파라미터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되거나 환자가 의사에게 직접 보고할 수 있다. 요로장애의 모든 증상에 있어 임상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주목할 만한 경감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범위안에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적으로 주목할 만한 경감 또는 개선은 환자 및/또는 의사가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을 의미한다.
가령, 여러 가지 배뇨 곤란 증상을 겪는 환자, 가령 절박뇨 또는 빈뇨 혹은 두 가지 증상을 모두 겪고 있는 환자의 증상은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완화될 수 있다. 요실금의 경우, 의도하지 않은 빈도나 양의 배뇨 증상의 완화는 모두 본 치료 방법의 효과로 간주될 수 있다.
투여될 수 있는 약물의 양은 0.01 및 약 25 mg/kg/일, 바람직하게는 약 0.1 및 약 10 mg/kg/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및 약 5 mg/kg/일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하부요로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는 제재를 전량 함유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지해야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여러 번 투여함으로써 상기 효과가 있는 전량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합물 I은 캡슐이나 태블릿의 형태로 구현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mg을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한 환자에게 일일 총 10 내지 300 mg,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mg을 투여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100% 기준으로 본 발명의 활성제를 약 0.01% 내지 약 100%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경피 투여량은 100%의 전체 투여량 대비 약 0.01% 내지 약 100%의 활성제를 함유한다.
약학적 조성물 또는 단위 투여량은 하루 한번 또는 하루에 몇번 나누어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하부요로장애 치료를 위한 다른 화합물과 함께 투여하거나 순차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조합된 유효 성분들이 단일 투여량 단위로 조성되었다.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개별 투여하는 병용 치료의 경우, 화합물들을 동시에 투여할 수도 있고, 간격을 두고 투여할 수도 있다. 가령,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침에 투여하고, 항무스카린 화합물은 저녁에 투여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투여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화합물도 특정 간격을 두고 투여할 수 있다. 투여의 순서는 연령, 체중, 성별 및 환자의 상태, 치료할 증상의 심각성이나 병인, 투여 경로, 환자의 신장 및 햅틱 기능, 환자의 치료 기록, 그리고 환자의 반응 등 다양한 요건에 따라 결정된다. 투여 순서는 조정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 명시된 지침을 바탕으로 이러한 조정은 정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합성
화학식 I 화합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N-산화물 및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은 이하 개략적으로 설명할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을 구성한다.
화합물 I의 제조에 사용되는 매개체의 보호 파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사실을 당업자는 인지할 것이다. 기능기들의 보호와 비보호는 당업자에게 이미 기존에 알려진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가령, Green and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99 참조).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기는 어떤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 보호기로도 보호가 가능하다. 아미노 보호기는 기존의 기술로 제거할 수 있다. 가령, 알카노일, 알콕시카르보닐 등의 아실기와 아로일기는 가용매 분해, 즉 산 또는 기초 조건하에서의 가수 분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아릴메톡시카르보닐기 (가령 벤질록시카르보닐)는 팔라듐-on-목탄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가수소 분해에 의해 클리브(cleave) 될 수 있다.
목표 화합물의 합성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준 기술을 사용해 페눌티메이트 매개체의 존재하에 존재하는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완성된다. 비보호된 최종 생성물은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상의 HPLC 및 유사 방법 및/또는 재결정화 등의 표준 기술을 사용해 정제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래 구조에 따라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3

도 1에서, "AK"는 저 알킬기를 나타내며, 나머지 변수들은 일반 화학식 I 또는 도 1 내에 정의된 바와 같다.
사이클릭 케톤 1은 트리에틸아민 또는 4,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기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온과 선택된 용제의 환류 사이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제 (n-부탄올, DMF, N-메틸피롤리돈 또는 N,N-e디메틸아세타마이드)에서 수행될 수 있는, 활성화된 할로아릴, 할로알킬 또는 할로헤테로아릴 등의 간단한 친핵성 치환에 의해 이전에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을 수 있는 (가령, 1,3-디옥솔레인으로서의 케탈로서) 카르보닐기와 함께 가령 피페리돈 (R1=N)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준 방법에 의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다. 이 반응은 반응 시간을 줄이기 위해 전자파 장치에서 전자파 조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Buchwald-Hartwig에서는 팔라듐 촉매제를 사용한 아미노화 또는 그 외 다른 금속 촉매 아미노화를 사용해 비활성화된 할로아릴 또는 할로헤테로아릴 (또는 트리플레이트)로부터 피페리돈을 조성하는 또 다른 일반적인 방식을 기재했다. R4(R5)1이 알킬인 경우, 더 잘 알려진 환원성 아미노화 과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엑소메틸렌 파생물 2를 얻기 위한, 가령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롬화물에 기제 (가령 THF나 디에틸 에테르 등의 반양성자성 용제상의 LiHMDS 또는 포타슘 테트-뷰톡사이드)를 첨가해 수득한 일리드에 사이클릭 케톤 1이 반응된다. 이어, 메틸렌 파생물 2는 알키닐 파생물 3 (Hao-Wei Shih et. Al., Tetrahedron letters 49 (2008) 1008-1011, WO 20006/122770)에 대한 1,3-디폴라 부가환화 방법을 통해 원형화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트리알킬실릴프로피올아메하이드 옥심은 해당하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옥심 (가령 물이 첨가 혹은 첨가되지 않은 디클로로메탄 또는 DMF 등의 적합한 용제 상의 N-브로모 석신이미드 또는 N-클로로석신이미드 또는 하이포아염소산 또는 하이포브로마이트 또는 t. 부틸하이포클로라이트를 사용해)으로 원 위치에서 (또는 매개체를 분리시킴으로써) 변하게 된다. 이때 클로로 또는 브로모옥심은 반응관 안에서 Na2Co3, 트리에틸아민 또는 에틸마그네슘 브롬화물 등의 마일드 기제에 의해 해당하는 니트릴옥사이드로 분리 또는 직접 변한다. 니트릴옥사이드는 보통 -78℃ 내지 0℃ 또는 r.t., 또는 최고 선택된 용제의 환류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또는 DMF 등의 일반 용제에서 화합물 2와 꽤 용이하게 반응하여, 화합물 3을 생성한다.
실릴 보호기 3은 실내 주위 온도에서 환류 온도의 범위내에서 THF상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불소 처리에 의해 또는 기제 (MeOH 상의 K2CO3 또는 KOH)와의 가수 분해에 의해, 또는 Greene-Wuts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Pter G. M. Wuts, Theodoura W. Greene 1999, Wiley Interscience page 654-659)에 기재되고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법들 중에서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거된다. 그 결과로 생성된 아세틸렌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Sonogashira 과정 (Science of Synthesis, H. Heaney and S. Christie, October 2003, Vol. 3, Page 402 and following)에 이은 R3-LG과의 반응에 의해 화합물 4로 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TEA, DEA, DIPEA, TMA, 부틸라민, 피페리딘 등의 기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Ph3P)2PdCl2, (Ph3P)2Pd(OAc)2, (Ph3P)4Pd (트리페닐포스핀으로부터 원 위치에서 생성될 수도 있는) 및 상기 문헌에 기재된 그 외 모든 팔라듐 복합체들 중에서 선택된 옥화 제 1동 및 팔라듄 복합체를 사용한다. 용제는 THF, DME, DMF, DMA, EtOAc, DMSO, 톨루엔 및 반응의 목적에 적합한 그 외 물질들 중에서 선택되며; 또는 초과하는 동 기제는 작용 용제에로서 사용될 수 있다. DMF나 DME 반응을 수행하게 되면, 커플링 결합 (Sorensen, U.S., Pombo-Villar, E. Tetrahedron 2005, 61, 2697-2703) 전에 테트라부틸암모늄 불소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염화물을 3을 함유하는 반응 매개체에 직접 첨가함으로써, 화합물 4의 분리를 막을 수 있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할로겐화물 (점차 감소의 순으로 요오드화물, 브롬화물, 염화물 순으로 바람직함),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트리플레이트, 할로겐화물, 아실 염화물, 아로일 염화물, 헤테로아로일 염화물 등을 사용해 R3의 치환체가 도입된다. 트리플레이트는 기제 (가령 TEA)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염소 처리된 용제 상의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폰 무수물 또는 톨루엔 또는 염소 처리된 용제 상의 N-페닐트리플리이미드를 사용해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아릴기 (헤테로아릴)로부터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법을 통해 합성된다. 두 가지 과정 모두 전자레인지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전자파의 도움으로 가속될 수 있다. R3-LG를 위한 그 외 적합한 이탈기 LG로는 노나플레이트, 토실레이트, 포타슘 트리플루오보레이트 등이 있다. R3가 Ak 일 때, Sonogashira 커플링 결합에 대한 대체 과정으로는 적합한 용제상에서의 리튬 기제 (가령 부틸 리튬 또는 LHDMS)의 반응인데, 이때 생성되는 리튬 알키닐 파생물은 -20 내지 선택한 용제의 환류까지의 온도 범위에서의 같은 용제 또는 이를 대체하는 반 양성자성 용제 상에서 요오드부틸 또는 유사 성문 등의 적합한 친전자체와 반응한다.
Q가 보호기인 화합물 4가 수득되면, 화합물 I을 수득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보호 및 N-아릴레이션/알킬레이션 또는 그 외 유도 단계가 필요하다.
화합물 4는 R3기가 트리알킬실기를 치환하는 적합하게 유도된 프로피올아데히드 옥심과 직접 반응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구조 2에서, "AK"는 저 알킬기를 나타내며, 나머지 변수들은 일반 화학식 I 또는 상기 구조안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구조 2는 R3이 AK인 화합물 I을 수득하기 위한 대체 과정을 나타낸다. 화합물 3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디브로모포말독심을 반응시킬 때, 화합물 5가 나타난다. 브로모옥살린 5는 실험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Cu/CuI 공동-촉매작용의 도움으로 탄산나트륨 등의 적합한 기제와 알킨을 사용해 더 알키닐화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생성된 화합물 6에서 Q가 보호기라면, 화합물 I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보호 및 N-아릴레이션/알킬레이션 또는 또 다른 종류의 유도화 단계가 필요하다.
화합물 6은 화합물 2와 적합한 알킬프로피올아데히드 옥심을 직접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되고 참조로 실험 부분에 인용된 다음의 방법들을 통해 피로옥사졸린과 다른 그 외 스피로헤테로사이클 매개체들이 합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반 기재에서 명시되지 않은 그 외 화합물은 다음의 본 발명의 실험 부분에서 소개된다.
화학식 I의 프리 기제, 그들의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거울상 이성질체는 기존에 알려진 표준 조건 하에서 해당하는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으로 변할 수 있다. 가령, 프리 기제는 가령 하나의 말레익 또는 옥살릭산 등가물, 하나 또는 두 개의 염산 또는 메탄설포닉산 등가물과 처리된 메탄올 등의 적합한 유기 용제에 용해된 후 진공 상태에서 농축되어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잔여물은 메탄올/디에틸 에테르 등의 적합한 유기 용제 또는 유기 용제 혼합물로부터의 재결정화를 통해 정제될 수 있다.
화학식 I 화합물의 N-산화물은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간단한 산화 과정들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들은 앞서 일반적으로 기재된 화학식 I 화합물의 합성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시약과 출발물질은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기술에 따른 것이다.
예1
3- 페닐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3- 페닐프로 -2-피날 옥심 ( 화합물1 a)
페닐프로파길알데하이드(859 mg, 6.6 mmol)과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59 g, 66 mmol), EtOH(48 ml), 물(12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2O-EtOAc로 추출하였다, 소금물로 헹구고 진공에서 증발건조시켜 갈색 고형물인 0.96 g의 표제 화합물(유사이성질체(syn):반대이성질체(anti)=1:1)을 수득하였다.
MS: [M+H]+ = 146.11
3- 페닐에티닐 -8-(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1 b)
화합물 1a(0.35 g, 2.41 mmol)을 3 ml DMF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여 녹였다. N-클로로숙신이미드(0.386 g, 2.89 mmol)를 첨가하면 용액은 오랜지 빛깔을 띄게 된다. 2시간 교반시키면 용액은 황색이 되고, 2시간을 더 교반시키면 0℃까지 용액의 온도가 떨어진다. 1-(테트라부톡시카보닐)-4-메틸렌-피페리딘(143 mg, 0.73 mmol) 을 0.5 ml의 DMF에 첨가한 용액을 상기의 용액에 첨가했다. TEA 첨가 0.5 ml DMF를 첨가했다. 냉각조에서 꺼내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이틀 동안 교반시켜 혼합했다. 그 후, 이렇게 만들어진 반응혼합물을 찬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진공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내지 7:3)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210 mg 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5.5%.
MS: [M+H]+ = 341.16
3- 페닐에티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1 c)
0℃ 에 화합물1b(200 mg, 0.59 mmol)을 CH2Cl2 (12 ml)에 교반하며 녹였다. 여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틱산(452 μl, 5.87 mmol)을 첨가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응혼합물을 25 ℃에서 24시간, 모든 반응물이 완전히 변한 것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물을 첨가한 후 알칼리성 pH로 만들기 위해 3N aq. NaOH를 첨가했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CH2Cl2로 수분층을 추출했다. 소금물로 세척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유기층 화합물에서 베이지색 표제화합물을 얻어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했다.
MS: [M+H]+ = 241.29
3- 페닐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 데-2-센
화합물1c(50 mg, 0.21 mmol)과 2-클로로-6-메틸-3-니트로피리딘(39.5 mg, 0.23 mmol), 트리에틸아민(31.9 μl, 0.23 mmol)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14 ml)에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며 녹인 후 물에 붓었다. 수분층을 EtOAc로 추출한다. 추출된 화합물을 물에 세척했다. Na2SO4 위에서 건조하고 진공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석유 에테르와 Me2CO가 95:5의 비율로 섞인 혼합물로 분리시키는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로 정제했다. CH2Cl2를 용리제로 사용해서 더 정제하여 47.7 mg 의 황색 고체인 표제 화합물(67.7 %)을 수득하였다.
MS: [M+H]+ = 377.22
1H-NMR: (CDCl3, δ: 1.90-2.11 (m, 4H), 2.50 (s, 3H), 3.00 (s, 2H), 3.50-3.71 (m, 4H), 6.63 (d, J=8Hz, 1H), 7.34-7.46 (m, 3H), 7.51-7.57 (m, 2H), 8.11 (d, 8Hz, 1H).
예2
3- 페닐에티닐 -8-(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2-(4-메틸렌-1- 피페리딜 )-3- 니트로피리딘 ( 화합물2 a)
n-부틸리튬과 헥산 용액(2.5 M, 4.93 ml, 12.3 mmol)을 98% 브롬화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4.65 g, 12.8 mmmol)을 40ml THF에 녹인 현탁액에 10분 이상 떨어뜨리고 -70℃에서 교반시켰다. 0.5시간 후, 1-(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2 g, 8.5 mmol)을16 ml THF에 녹인 용액을 첨가했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열했다. 그대로 하룻밤 묵힌 후, 혼합물을 NH4Cl 포화 수용액으로 냉각시켰다. EtOAc로 추출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한 후 진공 증발건조시켰다. 석유 에테르와EtOAc가 1:0 - 9:1 증감률을 보이는 혼합물로 분리시키는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표제 화합물 1.23 g 을 수득하였다.
MS: [M+H]+ = 220.18
3- 페닐에티닐 -8-(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산물을 기술한 것처럼 화합물1b로 준비하나, 1-(테트라부톡시카보닐)-4-메틸렌-피페리딘 대신 화합물 2a를 사용했다. 통상적인 후 처리 후, 혼합물을 석유 에테르와-EtOAc가 95:5 - 7:3의 증감률을 보이는 혼합물로 분리시키는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로 정제했다. 표제화합물을 25 mg 수득하였다. 수율:
MS: [M+H]+ = 363.54
1H-NMR: (CDCl3, δ: 1.90-2.11 (m, 4H), 3.00 (s, 2H), 3.51-3.70 (m, 4H), 6.76-6.83 (m, 1H), 7.34-7.46 (m, 3H), 7.47-7.51 (m, 2H), 8.14-8.18 (m, 1H), 8.36-8.38 (m, 1H).
예3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6- 메틸 -2-(4-메틸렌-1- 피페리딜 )-3- 니트로피리딘 (화합물 3a)
화합물 2a에서 기재한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합성한다. 하지만 1-(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 대신 1-(6-메틸-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을 사용했다. 수율: 62%.
MS: [M+H]+ = 233.12
N- 하이드록시 -3- 트리메틸실릴 -프로-2- 피니미도닐클로라이드 (화합물 3b)
68 g(11.9 mmol)의 3-트리메틸실릴프로-2-피날옥심[Carreira, Erick M. et al., Organic Letters, Volume 7, Issue 10, 2005, Pages 2011-2014]을 11.9 ml DMF에 실온에서 녹이고 이 용액에 N-클로로숙신이미드(1.99 g , 14.8 mmol)을 첨가했다. 4시간 교반 후, 용액을 물에 붓고 Et2O으로 추출하였다. 통상적인 후 처리 후, 잔사(2.09 g)는 다음 단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었다.
3-( 트리메틸실릴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3c)
TEA(0.554 ml, 3.85 mmol)을 9.4 ml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용액을 화합물 3b (1.67 g, 2.57 mmol)와 화합물 3a(600 mg, 2.57 mmol)을 42 ml에 녹인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떨어뜨리고 0? 상태에서 교반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응혼합물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찬물에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진공에서 증발건조시킨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CH2Cl2-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은 5:5 내지 10:0)로 정제하고 641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
MS: [M+H]+ = 273.43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질소로 세척한 화합물 3c(58 mg, 0.16 mmol)와 소듐 아세테디트트리하이드레이트(42.5 mg, 0.31 mmol), 2-브로모-6-메틸피리딘 (26.8 mg, 0.16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플로라이드(40.8 mg, 0.15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5.8 mg, 0.014 mmol)을 2.05 ml의 DMF에 녹인 현탁액 마이크로웨이브 오븐(Biotage)에서 120?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EtOAc로 희석하고, H2O로 세척하였다. Na2SO4 위에서 건조하고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은 9:1 내지 6:4)를 사용하여 잔여물의 증발ㆍ정제과정을 거쳤다. 17.4 mg (28.5%) 의 황색 기름형태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MS: [M+H]+ = 392.33
1H-NMR: (CDCl3, δ: 1.90-2.07 (m, 4H), 2.48 (s, 3H), 2.66 (s, 3H), 3.04 (s, 2H), 3.50-3.68 (m, 4H), 6.62 (d, J=8Hz, 1H), 7.22-7.26 (m, 1H), 7.42-7.46 (m, 1H), 7.65-7.61 (m,1H), 8.10 (d, J=8Hz, 1H).
예 4
3-(2- 티에닐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브로모티오펜을 사용했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tOAc 증감률은 9:1 내지 6:4)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했다. 수율: 26.7%.
MS: [M+H]+ = 383.52
예 5
3-(2- 피리딜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이오도피리딘을 사용한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은 9:1 - 4:6)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한다. 수율: 49.6%.
MS: [M+H]+ = 378.46
1H-NMR: (CDCl3, δ: 1.90-2.09 (m, 4H), 2.49 (s, 3H), 3.03 (s, 2H), 3.51-3.67 (m, 4H), 6.63 (d, J=8Hz,1H), 7.36-7.41 (m, 1H), 7.59-7.63 (m, 1H), 7.76-7.82 (m, 1H), 8.11 (d, J=8Hz, 1H), 8.66-8.69 (m, 1H).
예 6
3-(2- 플루오로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플루오로이오도벤젠을 사용한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5:5 내지 7:3)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42.6%.
MS: [M+H]+ = 395.27
1H-NMR: (CDCl3, δ: 1.90-2.11 (m, 4H), 2.50 (s, 3H), 3.02 (s, 2H), 3.50-3.70 (m, 4H), 6.63 (d, J=8Hz, 1H), 7.09-7.21 (m, 2H), 7.36-7.45 (m, 1H), 7.49-7.57 (m,1H), 8.11 (d, J=8Hz, 1H).
예 7
3-(3- 플루오로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플루오로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수율: 42.4%
MS: [M+H]+ = 395.41
1H-NMR: (CDCl3, δ: 1.90-2.11 (m, 4H), 2.50 (s, 3H), 2.99 (s, 2H), 3.50-3.70 (m, 4H), 6.63 (d J=8Hz, 1H), 7.09-7.17 (m, 1H), 7.20-7.27 (m, 1H), 7.30-7.39 (m, 2H), 8.11 (d, 8Hz, 1H).
예 8
3-(4- 플루오로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4-플루오로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수율: 37.7%
MS: [M+H]+ = 395.27
1H-NMR: (CDCl3, δ: 1.90-2.10 (m, 4H), 2.50 (s, 3H), 2.99 (s, 2H), 3.50-3.70 (m, 4H), 6.63 (d J=8Hz, 1H), 7.04-7.13 (m, 2H), 7.50-7.57 (m, 2H), 8.11 (d, J=8Hz, 1H).
예 9
3-(2- 퓨릴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브로모퓨란을 사용한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5:5 - 6:4)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12.6%.
MS: [M+H]+ = 367.33
예 10
3-[(2- 메틸 -1,3-티아졸-4-릴)-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디아자스피로[ 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4-브로모-2-메틸티아졸을 사용한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tOAc 증감률 9:1 - 5:5)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17.6%.
MS: [M+H]+ = 398.35
예 11
3-(프로-1- 피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3-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11a)
화합물 3c(360 mg, 0.96 mmol)을 9 ml 의 THF에 녹인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 하이드레이트(269 mg, 0.963 mmol)을 첨가해 만든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하룻밤 묵혀둔 후, 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추출하고, 증발건조시켰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5:5 - 7:3)로 정제하면, 화합물 11a (0.231 g, 80 %)을 수득할 수 있었다.
MS: [M+H]+ = 301.36
3-(프로-1- 피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11a(25 mg, 0.83 mmol)을 THF(1.26 ml)에 -78? 상태에서 교반하여 녹여 보관한 용액에 부틸리튬을 헥산(2.5 M, 0.04 ml, 0.1 mmol)에 녹인 용액을 떨어뜨렸다. 30분 후, 메틸 이오디드(6.22 μl, 0.1 mmol)를 첨가했다. 냉각조에서 꺼내낸 오랜지 색의 용액을 실온이 되도록 놔뒀다. 하룻밤 후 포화 NH4Cl 수용액에 냉각시켰다. EtOAc으로 추출하고, H2O로 세척 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 증발 건조시켰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5:5 - 6:4)로 정제해 6 mg 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2.9 %.
MS: [M+H]+ = 315.32
예 1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클로로이오도벤젠을 사용했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1 - 7:3)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했다. 수율: 55%.
MS: [M+H]+ = 411.16
1H-NMR: (CDCl3, δ: 1.90-2.11 (m, 4H), 2.50 (s, 3H), 2.99 (s, 2H), 3.50-3.70 (m, 4H), 6.64 (d, J=8Hz, 1H), 7.29-7.35 (m, 1H), 7.39-7.45 (m, 2H), 7.53 (m, 1H), 8.11 (d, 8Hz, 1H).
예 13
3-(3- 메틸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이오도톨루엔을 사용했다. 황색 고체 산물. 수율: 59.6%
MS: [M+H]+ = 391.42
1H-NMR: (CDCl3, δ: 1.91-2.11 (m, 4H), 2.37 (s, 3H), 2.51(s, 3H), 2.99 (s, 2H), 3.52-3.70 (m, 4H), 6.64 (d, J=8Hz, 1H), 7.20-7.27 (m, 2H), 7.29-7.38 (m, 2H), 8.12 (d, J=8Hz, 1H).
예 14
3-(3- 메톡시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메톡시이오도벤젠을 사용했다. 황색 고체 산물. 수율: 41%
MS: [M+H]+ = 407.27
1H-NMR: (CDCl3, δ: 1.90-2.09 (m, 4H), 2.49 ( s, 3H), 3.00 (s, 2H), 3.52-3.70 (m, 4H), 3.84 (s, 3H), 6.63 (d, J=8Hz, 1H), 6.95-7.00 (m, 1H), 7.06-7.08 (m, 1H), 7.12-7.16 (m, 1H), 7.26-7.32(m, 1H), 8.11 (d, J=8Hz, 1H).
예 15
3-(3- 시아노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이오도벤조니트릴을 사용했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5:5 - 5:5)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66.5%.
MS: [M+H]+ = 402.23
1H-NMR: (CDCl3, δ: 1.90-2.09 (m, 4H), 2.49 (s, 3H), 3.00(s, 2H), 3.50-3.70 (m, 4H), 6.64 (d, J=8Hz, 1H), 7.49-7.55 (m, 1H), 7.67-7.71 (m, 1H), 7.74-7.78 (m, 1H), 7.81-7.83 (s, 1H), 8.11 (d, J=8Hz, 1H).
예 16
3-(3- 티에닐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브로모티오펜을 사용했다. 자동 플래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7:3 - 3:7)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고체 산물. 수율: 66.5%.
MS: [M+H]+ = 383.22
1H-NMR: (CDCl3, δ: 1.90-2.01 (m, 4H), 2.49 (s, 3H), 2.98 (s, 2H), 3.50-3.70 (m, 4H), 6.62 (d, J=8Hz, 1H), 7.19-7.22 (m, 1H), 7.32-7.35 (m, 1H), 7.62-7.63 (m, 1H), 8.11 (d, J=8Hz, 1H).
예 17
3-(3- 피리딜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이오도피리딘을 사용했다. 통상적인 후 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7:3 - 3:7)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6.7%.
MS: [M+H]+ = 378.27
1H-NMR: (CDCl3, δ: 1.90-2.09 (m, 4H), 2.49 (s, 3H), 3.01(s, 2H), 3.50-3.70 (m, 4H), 6.63 (d, J=8Hz, 1H), 7.33-7.38 (m, 1H), 7.83-7.87 (m, 1H), 8.11 (d, J=8Hz, 1H), 8.63-8.65 (m, 1H), 8.78-7.80 (s, 1H).
예 18
3-{3-(3- 메틸 -[1,2,4] 옥사디아졸 -5- yl )- 페닐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5-(3-브로모-페닐)-3-메틸-[1,2,4]옥사디아졸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 6:4)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3.8%.
MS: [M+H]+ = 459.11
1H-NMR: (CDCl3, δ: 1.92-2.11 (m, 4H), 2.50-2.52 ( m, 6H), 3.01(s, 2H), 3.52-3.70 (m, 4H), 6.64 (d, J=8Hz, 1H), 7.54-7.59 (m, 1H), 7.72-7.76 (m, 1H), 8.10-8.17 (m, 2H), 8.29-8.31 (m, 1H).
예 19
3-(3- 메틸부 -1- 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 - 스피로[4.5]데 -2-센
3- 브로모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19a)
6-메틸-2-(4-메틸렌-1-피페리딜)-3-니트로피리딘 (화합물 3a, 350 mg, 1.5 mmol)과 탄산나트륨(1.26 g, 15 mmol), 디브로모포름알독신(608 mg, 3 mmol)을 25 ml 의 EtOAc에 첨가한 후 현탁액을 실온에서 이틀 동안 교반시킨다. 그 후 만들어진 반응혼합물을 물로 세척했다. 황산소다 위에서 건조하고 진공에서 증발건조했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1 - 6:4)로 정제하여 377 mg 의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0.8%.
MS: [M+H]+ = 356.41
3-(3- 메틸부 -1- 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 - 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19a(50 mg, 0.141 mmol)와 3-메틸-1-부틴(48 mg, 0.705 mmol), 탄산나트륨(74.6 mg, 0.704 mmol), 구리(44.8 mg, 0.705 mmol)의 혼합물을 밀폐된 용기에서 120℃로 32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8시간 마다 동일한 양의 3-메틸-1-부틴과 탄산나트륨, Cu을 첨가했다. 그 후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거기에 CH2Cl2을 첨가하고, 그 후 셀라이트로 여과했다. 진공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 75:25, 등용매 석유 에테르- EtOAc의 증감률은 9:1- )로 잔여물을 정제하여 16 mg의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3.1%.
MS: [M+H]+ = 343.20
1H-NMR: (CDCl3,δ: 1.26 (d, 6H, J=8Hz), 1.86-2.05 (m, 4H), 2.49 (s, 3H), 2.73-2.81 (m, 1H), 2.86 (s, 2H), 3.48-3.65 (m, 4H), 6.62 (d, J=8Hz, 1H), 8.10 (d, J=8Hz, 1H).
예 20
3-(헥-1- 시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에 명시된 예 19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산물을 합성하지만, 3-메틸-1-부틴 대신 헥-1-신을 사용하였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 85:15)로 잔여물을 정제하여 7.8 mg 의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7.9 %.
MS: [M+H]+ = 357.27
1H-NMR: (CDCl3, δ: 0.95-0.99 (m, 3H), 1.26-1.65 (m, 4H), 1.86-2.03 (m, 4H), 2.38-2.45 (m, 2H), 2.48 (s, 3H), 2.86 (s, 2H), 3.48-3.65 (m, 4H), 6.61 (d, J=8Hz, 1H), 8.10 (d, 8Hz, 1H).
예 21
3-(2- 시아노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브로모벤조니트릴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1 - 4:6)로 정제하여 황색 기름인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4.8 %.
MS: [M+H]+ = 402.08
1H-NMR: (CDCl3, δ: 1.90-2.11 (m, 4H), 2.49 (s, 3H), 3.06 (s, 2H), 3.50-3.70 (m, 4H), 6.63 (d, J=8Hz, 1H), 7.48-7.54 (m, 1H), 7.60-7.74 (m, 3H), 8.11 (d, J=8Hz, 1H).
예 2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3- 시아노 -2- 피라지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8-(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화합물 22a)
화합물 3c을 얻는 법을 사용하여 표제화합물을 합성하나, 화합물 3a 대신 1-(테트라부톡시카보닐)-4-메틸렌피페리딘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 6:4)로 정제하면 흰색 고체인 표제산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수율: 43.3%.
MS: [M+H]+ = 337.1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22b)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3-이오도벤젠을,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22a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 5 - 6:4)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인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수율: 76.9%.
MS: [M+H]+ = 375.1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22c)
화합물 1c을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되,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22c을 사용하였다. 잔여물을 추가적으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90.4 %.
MS: [M+H]+ = 275.1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3- 시아노 -2- 피라지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예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되,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22d을, 2-클로로-6-메틸-3-니트로피리딘 대신 2-클로로-3-시아노피라진을 사용하였다. 산물은 갈색의 뻑뻑한 기름. 수율: 83.3%.
MS: [M+H]+ = 378.14
1H-NMR: (CDCl3, δ: 1.90-2.00 (m, 2H), 2.10-2.15 (m, 2H), 2.99 (s, 2H), 3.65-3.78 (m, 2H), 4.20-4.27 (m, 2H), 7.29-7.35 (m, 1H), 7.39-7.45 (m, 2H), 7.54 (s, 1H), 8.05 (s, 1H), 8.28 (s, 1H ).
예 23
3-(2- 메틸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브로모톨루엔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 8: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9.6%.
MS: [M+H]+ = 391.09
1H-NMR: (CDCl3, δ: 1.90-2.11 (m, 4H), 2.46-2.50 (2s, 6H), 3.01 (s, 2H), 3.50-3.70 (m, 4H), 6.63 (d J=8Hz, 1H), 7.18-7.34 (m, 3H), 7.48-7.52 (m, 1H), 8.11 (d, J=8Hz, 1H).
예 24
3-(2- 클로로페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산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2-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 7:3)로 정제하여 황색 액체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7.2%.
MS: [M+H]+ = 410.97
1H-NMR: (CDCl3, δ: 1.90-2.11 (m, 4H), 2.49 (s, 3H), 3.03 (s, 2H), 3.50-3.70 (m, 4H), 6.63 (d J=8Hz, 1H), 7.26-7.38 (m, 2H), 7.44-7.48 (m, 1H), 7.56-7.60 (m,1H), 8.11 (d, J=8Hz, 1H).
예 25
3-(2- 피라지닐 - 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이오도피라진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8:2 - 3:7)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8.1 %.
MS: [M+H]+ = 379. 22
1H-NMR: (CDCl3, δ: 1.93-2.11 (m, 4H), 2.51 (s, 3H), 3.03 (s, 2H), 3.51-3.71 (m, 4H), 6.64 (d J=8Hz, 1H), 8.12 (d, J=8Hz, 1H), 8.60 (dd, J=16Hz, 4Hz, 2H), 8.80 (s, 1H).
예 26
3- 페닐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8- 아자스피로[4.5]데 -3-센
3- 하이드록시 -3- 페닐에티닐 -8- 에톡시카보닐 -1-옥사-8- 아자스피로[4.5]데 -3-센(화합물 26a)
82 mg(0.362 mmol)의 에틸 3-옥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카르복실레이트[Edwin S. C. Wu et al., J. Med. Chem., 1995, 38 (9), pp 1558-1570]를 THF(4 ml)에 녹인 용액을 페닐에티닐마그네슘 브롬화물을 THF(0.724 ml, 0.724 mmol)에 녹인 1M 농도 용액에 무수질소 대기상태에서 실온에서 한 방울씩 넣으며 교반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시키고, 60℃에서 6시간 교반시켰다. 암모늄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추출했다. 유기층 화합물을 소금물로 씻어주고, 황산소다 위에서 건조시켰다. 진공 증발건조시켰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75:25 - 4:6)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인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7.2 %.
MS: [M+H]+ = 330.33
3- 페닐에티닐 -8- 에톡시카르보닐 -1-옥사-8- 아자스피로[4.5]데 -3-센 (화합물 26b) 화합물 26a(93 mg, 0.282 mmol)을 피리딘(4 ml)에 넣고 0℃에서 교반하여 만든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0.103 ml, 1.141 mmol)를 첨가했다. 이 반응혼합물을 0℃에서 실온이 될 때까지 2시간 가량 교반하였다. 용액을 물에 붓고 1M HCl로 산성화시킨 후 클로로포름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이 화합되었다. 소금물로 씻어주고, 황산소다 위에서 건조시켰다. 증발건조하여 얻은 원료를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2:8 - 75:25)로 정제하여 18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H]+ = 312.34
3- 페닐에티닐 -1-옥사-8- 아자스피로[4.5]데 -3-센 (화합물 26c)
화합물 26b(25 mg, 0.803 mmol)와 KOH(80 mg, 1.43 mmol), 물(2 ml), MeOH(4 ml)의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환류ㆍ교반시킨 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고, 황산소다위에서 건조시켰다. 진공상태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잔여물(19.2 mg)은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M+H]+ = 240.10
3- 페닐에티닐 -8-(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8- 아자스피로[4.5]데 -3-
위의 예1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26c을 사용한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은 98:2 - 9:1)로 정제해 8 mg 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1%
MS: [M+H]+ = 376.14
1H-NMR: (CDCl3, δ: 1.75-1.87 (m, 2 H), 1.87-1.98 (m, 2 H), 2.48 (s, 3 H), 3.49 (ddd, J=13.39, 10.70, 3.06 Hz, 2 H), 3.68 (dt, J=13.45, 4.16 Hz, 2 H), 4.76 (d, J=2.20 Hz, 2 H), 6.13 (t, J=2.20 Hz, 1 H), 6.58 (d, J=8.31 Hz, 1 H), 7.32-7.40 (m, 3 H), 7.43-7.50 (m, 2 H), 8.08 (d, J=8.07 Hz, 1 H).
예 27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1-( 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 )-3-메틸렌- 피롤리딘 (화합물 27a)
화합물 2a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지만, 1-(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 대신 1-(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3-피롤리디논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석유 에테르-EtOAc가 95:5 - 7:3의 증감률을 보이는 혼합물로 분리시키는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로 정제하여 갈색 기름인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5.8 %.
MS: [M+H]+ = 184.53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화합물 27b)
앞서 말한 화합물 3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지만,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27a를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석유 에테르-EtOAc가 95:5 - 75:25의 증감률을 보이는 혼합물로 분리시키는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2.9 %.
MS: [M+H]+ = 323.45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화합물 27c)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3-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 95:5 - 6:4)로 정제하여 황색 기름인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4 %.
MS: [M+H]+ = 361.1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화합물 27d)
앞서 말한 화합물 1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지만,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27c를 사용하였다. 잔여물은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
MS: [M+H]+ = 261.11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위의 예1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27d를 사용하였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아세톤 증감률 95:5 - 9:1)로 정제하여 뻑뻑한 황색 기름인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8.5%.
1H-NMR: (CDCl3, δ: 2.13-2.25 (m, 1 H), 2.46 (dd, J=12.84, 6.48 Hz, 1 H), 2.52 (s, 3 H), 3.17-3.34 (m, 2 H), 3.42 (d, J=12.47 Hz, 1 H), 3.69 (t, J=9.78 Hz, 1 H,) 3.82 (d, J=12.47 Hz, 1 H), 3.98 (td, J=10.94, 6.97 Hz, 1 H), 6.61 (d, J=8.07 Hz, 1 H), 7.30-7.36 (m, 1 H,) 7.37-7.45 (m, 2 H), 7.53 (s, 1 H), 8.07 (d, J=8.31 Hz, 1 H).
예 28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1-( 테트라부톡시카보닐 )-3-메틸렌- 아제티딘 (화합물 28a)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롬화물(1.56 g, 4.37 mmol)를 30 ml의 Et2O에 넣고 0?에서 교반시킨 현탁액에 포타슘 테트라-부틸레이트(0.459 g, 4.09 mmol)를 첨가하였다. 0.5시간 후 냉각조에서 꺼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얼음물 냉각조에서 냉각시키고 1-(테트라부톡시카보닐)-3-아제티디논(500 mg, 2.92 mmol)을 첨가했다. 냉각조에서 꺼냈다. 하룻밤 묵힌 후 이 반응혼합물을 NH4Cl 포화 수용액으로 냉각시켰다. Et2O로 추출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진공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용해제.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아세톤 증감률은 10:0 - 7:3)로 정제하여 뻑뻑한 무색 기름인 표제화합물(426 mg)을 수득하였다. 수율: 86.2%.
MS: [M+H]+ = 170.45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화합물 28b)
앞서 말한 화합물 3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지만,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28a를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석유 에테르-EtOAc가 95:5 - 6:4의 증감률을 보이는 혼합물로 분리시키는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2%.
MS: [M+H]+ = 309.16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3]옥-2-텐 (화합물 28c)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3-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은 8:2 - 65:35)로 정제하여 황색 기름인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4.3 %.
MS: [M+H]+ = 347.09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화합물 28d)
앞서 말한 화합물 1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지만,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28c를 사용하였다. 잔여물은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M+H]+ = 247.1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위의 예1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28d를 사용하였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디클로로메탄 1:9)로 정제하여 뻑뻑한 황색 기름인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8.5%
MS: [M+H]+ = 383.08
1H-NMR: (CDCl3, δ: 2.51 (s, 3 H), 3.49 (s, 2 H), 4.38 (d, J=10.76 Hz, 2 H), 4.49 (d, J=11.00 Hz, 2 H), 6.65 (d, J=8.31 Hz, 1 H), 7.33 (t, J=8.10 Hz, 1 H), 7.42 (t, J=8.07 Hz, 2 H),7.54 (s, 1 H), 8.17 (d, J=8.31 Hz, 1 H).
예 29, 30
4- 페닐에티닐 -9-(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9- 아자스피로[5.5]운데 -4-센,
4- 페닐에티닐 -9-(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9- 아자스피로[5.5]운데 -3-센,
4-메틸렌-9-(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9- 아자스피로[5.5]운데칸 (화합물 29a)
1-보크-피페리돈(2.39 g, 12 mmol)과 에톡시트리메틸시레인(3.75 ml, 24 mmol)을 80 ml의 CCl4에 넣고 0?에서 교반하여 녹인 후,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네이트(217 μl, 1.2 mmol)과 트리메틸-(2-메틸렌-4-트리메틸실릴oxybutyl)-시레인(E. I. Marko et al.,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92, 57, 2211-2213)을 23 ml의 CCl4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였다. 0-5℃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0℃에서 하룻밤 묵혀두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응혼합물을 물로 씻고 Na2SO4 위에서 건조하였다. 여과하고, 진공상태에서 증발건조시켰다. 6.5 g의 무색 기름이 남는데 이것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은 99:1 - 85:15)로 정제해서 3.2 g의 무색 기름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0%.
MS: [M+H]+ = 268.62
4-옥소-9-(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9-아자스피로[5.5] 운데칸 (화합물 29b)
디옥산-물 혼합물(32.9 ml and 11 ml respectively)에 화합물 29a(1.6 g, 5.99 mmo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켜 녹인 후 4% 사산화오스뮴 수용액(0.762 μl, 0.125 mmol)을 첨가하였다. 두 시간 후, 가공한 소듐 메타페리오데이트(2.56 g, 12 mmol)을 적정량 첨가하여 현탁액이 갈색에서 맑은 회색이 되도록 하였다. 4시간 동안 H2O를 첨가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H2O로 세척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한다. 용액을 증발건조시켰다. 황갈색의 반고체인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7:3)로 정제하여 0.96 g의 회색 고체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9.5 %
MS: [M+H]+ = 270.33
4- 하이드록시 -4- 페닐에티닐 -9-(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9-아자스피로[5.5] 운데칸 (화합물 29c)
앞서 말한 화합물 26a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에틸 3-옥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카르복실레이트 대신 화합물 29b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기름기 있는 잔여물이 생성되었다. 이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은 9:1 - 6:4)로 정제하여 0.96 g의 회색 고체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7.3 %
MS: [M+H]+ = 372.14
4- 페닐에티닐 -1-옥사-9- 아자스피로[5.5]운데 -3-센,
4- 페닐에티닐 -1-옥사-9- 아자스피로[5.5]운데 -4-센 (화합물s 29d)
앞서 말한 화합물 26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26b 대신 화합물 29c를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기름기 있는 잔여물이 생성되었다. 이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1 - 8:2)로 정제하여 0.49 g (33.6%)의 갈색 기름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이 표제화합물은 분리과정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되었다.
MS: [M+H]+ = 254.17
4- 페닐에티닐 -9-(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9- 아자스피로[5.5]운데 -4-센 .
4- 페닐에티닐 -9-(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9- 아자스피로[5.5]운데 -3-센
위의 예1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29d를 사용하였다.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M-Biotage; 석유 에테르-CH2Cl2 증감률은 4: 6 - 3:7)로 정화하여 예29의 화합물 5 mg과 예 30의 화합물 1 mg을 수득하였다.
예 29
MS: [M+H]+ = 390.29
1H-NMR: (CDCl3, δ: 1.73-1.90 (m, 4 H), 2.32-2.39 (m, 2 H), 2.47 (s, 3 H), 3.38-3.50 (m, 2 H), 3.60-3.72 (m, 2 H), 3.87 (t, J=5.38 Hz, 2 H), 6.07 (s, 1 H), 6.57 (d, J=8.31 Hz, 1 H), 7.30-7.37 (m, 3 H), 7.42-7.50 (m, 2 H), 8.08 (d, J=8.07 Hz, 1 H).
예 30
MS: [M+H]+ = 390.16
1H-NMR: (CDCl3, δ: 1.69-1.79 (m, 2 H), 1.95 (d, J=13.20 Hz, 2 H), 2.26 (d, J=1.96 Hz, 2 H), 2.48 (s, 3 H), 3.36-3.50 (m, 2 H), 3.58 - 3.70 (m, 2 H), 4.30 (d, J=2.69 Hz, 2 H), 6.20 (br. s., 1 H), 6.58 (d, J=8.31 Hz, 1 H), 7.31-7.41 (m, 3 H), 7.45 (dd, J=6.60, 2.93 Hz, 2 H), 8.08 (d, J=8.31 Hz, 1 H).
예 31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8-메틸렌-1,4-디옥사스피로[4.5]데칸(화합물 31a)
앞서 말한 화합물 2a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부틸 리튬 대신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을 사용하고, -20℃에서 반응을 일으켰다. 출발물질로 1-(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 대신 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온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작업 후,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95:5)로 정제하여 무색 유체 기름인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9.3 %.
MS: [M+H]+ = 155.13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화합물 31b)
앞서 말한 화합물 3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지만,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31a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작업 후,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 98:2 - 9: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3-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85:15)로 정제하여 회색 고체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1%.
대체 절차:
1- 클로로 -3-(3,3- 디에톡시프로프 -1- 이닐 )-벤젠 (화합물 31c)
1-클로로-3-이오도벤젠(4 g, 16.8 mmol)과 프로파질알데하이드 디에틸 아세탈(2.66 ml, 18.5 mmol),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디클로라이드 (295 mg, 0.42 mmol), 쿠프러스 아이어다이드(160 mg, 0.84 mmol), 트리에틸아민(6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시켰다. 4시간 후, 이 반응혼합물을 H2O로 냉각시키고 EtOAc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진공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97:3)로 정제하여 4g의 황색 기름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0%.
MS: [M+H]+ = 239.32
3-(3- 클로로페닐 )-프로-2-피날(화합물 31d)
물 38.8 ml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7.7 ml를 화합물 31c (4g, 16.7 mmol)를 CH2Cl2에 녹인 용액에 첨가한다.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전에 첨가한 양의 4배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전환은 완료되고 두 층은 분리되었다. 유기층을 물로 씻고, Na2SO4 위에서 건조한 후, 진공 증발건조하여 황갈색 기름인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은 표제화합물은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되었다.
MS: [M+H]+ = 165.35
3-(3- 클로로페닐 )-프로-2- 피날옥심 (화합물 31e)
앞서 말한 화합물 1a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나, 페닐프로파질알데하이드 대신 화합물 31d를 사용하였다. 담갈색 잔여물은 더 이상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되었다. 수율: 96.4%.
MS: [M+H]+ = 180.16
3-(3- 클로로페닐 )-N- 하이드록시 -프로-2- 피니미도닐클로라이드 (화합물 31f)
앞서 말한 화합물 3b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나, 3-트리메틸실릴프로-2-피날옥심 대신 화합물 31e를 사용하였다. 담갈색 잔여물은 더 이상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된다. 수율: 96.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앞서 말한 화합물 3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31a를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M-Biotage; 석유 에테르-아세톤 증감률은 95:5 - 9:1)로 정제하여 회색 고체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4.8 %
MS: [M+H]+ = 332.14
1H-NMR: (CDCl3, δ: 1.63-1.74 (m, 2 H), 1.88 (dd, J=13.94, 2.45 Hz, 2 H),1.96-2.10 (m, 4 H), 2.92 (s, 2 H), 3.92-4.05 (m, 4 H), 7.32 (d, J=7.58 Hz, 1 H), 7.35-7.44 (m, 2 H), 7.52 (s, 1 H).
예 3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옥소-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of 예 31(0.76 g, 2.3 mmol)의 화합물을 5 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녹인 용액을 물로 희석하고(0.21 ml) 0-4℃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3N NaOH로 알칼리화 시키고, EtOAc로 추출한 후, 물로 세척했다. Na2SO4 위에서 건조하고, 진공에서 증발건조하여 황갈색 기름인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은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8:2)로 정제해 회색 고체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3.8 %
MS: [M+H]+ = 288.14
1H-NMR: (CDCl3, δ: 1.99-2.10 (m, 2 H), 2.28-2.44 (m, 4 H), 2.78-2.90 (m, 2 H), 3.03 (s, 2 H), 7.33 (t, J=7.60 Hz, 1 H), 7.38-7.46 (m, 2 H), 7.53 (s, 1 H).
예 3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메틸렌-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위의 화합물 31 a 얻는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합성하나, 1,4-di옥사스피로[4.5]데칸-8-온 대신 예 32의 화합물을 사용했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여물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아세톤 EtOAc 증감률은 95:5 - 9:1)로 정제하여 회색 고체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3 %
MS: [M+H]+ = 286.14
1H-NMR: (CDCl3, δ: 1.64-1.78 (m, 2 H) 1.93-2.06 (m, 2 H), 2.16-2.25 (m, 2 H), 2.50 (ddd, J=13.75, 9.60, 4.52 Hz, 2 H), 2.93 (s, 2 H), 4.74 (s, 2 H), 7.29-7.34 (m, 1 H), 7.35-7.43 (m, 2 H), 7.47-7.57 (m, 1 H).
예 3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메톡시이미노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예 31의 화합물(80 mg, 0.28 mmol)과 O-메틸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2 g, 0.361 mmol), MeOH(12 ml), 트리에틸아민(58 μl, 0.42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소금물로 세척하고, 황산소다 위에서 건조시켰다. 진공 증발건조시켰다. 잔여물은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Horizon®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은 9:1 - 8:2)로 정제하여 황색 기름인 표제화합물을 56 mg 수득하였다. 수율: 63.6%
MS: [M+H]+ = 317.18
1H-NMR: (CDCl3, δ: 1.70-1.89 (m, 2 H), 2.04-2.20 (m, 2 H), 2.34 (dt, J=14.37, 4.68 Hz, 1 H), 2.48 (ddd, J=14.92, 11.25, 5.38 Hz, 1 H), 2.61 (ddd, J=14.49, 11.31, 5.01 Hz, 1H), 2.88-2.94 (m, 1 H), 2.95 (s, 2 H), 3.86 (s, 3 H), 7.29-7.35 (m, 1 H), 7.36-7.44 (m, 2 H), 7.51- 7.54 (m, 1 H).
예 35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화합물 35a)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27b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작업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 EtOAc 증감률은 75:25 - 40:60)로 정제하여 무색 기름인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6.2 %.
MS: [M+H]+ = 342.51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화합물 35b)
위의 화합물 1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나,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35a를 사용하고, 클로로포름 하에 반응을 시켰다. 갈색 기름은 잔여물은 더 이상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었다. 수율: 94.5 %.
MS: [M+H]+ = 242.33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예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35b를 사용하였다. 자동 RP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MeCN-H2O 증감률은 4:6 - 7:3)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인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1.5 %.
MS: [M+H]+ = 378.62
1H-NMR: (CDCl3, δ: 2.17 (d, 1H), 2.43 (dd, 1 H), 2.49 (s, 3 H), 2.63 (s, 3 H), 3.21-3.35 (m, 2 H), 3.42 (d, 1H), 3.63 (t, 1 H), 3.79 (d, 1H), 3.97 (m, 1H), 6.59 (d, 1H), 7.22 (d, 1H), 7.41 (d, 1H), 7.65 (t, 1H), 8.05 (d, 1H).
예 36
3- 페닐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3- 페닐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화합물 36a)
위의 예3의 화합물을 얻는 절차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27b를,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은 95:5 - 60:40)로 정제하여 무색 기름인 표제산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0.9%.
MS: [M+H]+ = 327.35
3- 페닐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화합물 36b)
위의 화합물 1c를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합성하지만,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36a를 사용하고 콜로로포름 하에 반응시켰다. 갈색 기름인 잔여물은 더 이상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 단계에 사용되었다. 수율: 91.3 %.
MS: [M+H]+ = 227.33
3- 페닐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위의 예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준비하나,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36b를 사용하였다. 자동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석유 에테르-EtOAc 증감률은 95:5 -70:3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6.3%.
MS: [M+H]+ = 363.44
1H-NMR: (CDCl3, δ: 2.12-2.23 (m, 1 H), 2.39-2.53 (m, 1 H), 2.49 (s, 3 H), 3.18-3.32 (m, 2 H), 3.40 (d, 1H), 3.65 (dd, 1 H), 3.78 (d, 1 H), 3.96 (m, 1 H), 6.59 (d, 1 H), 7.34-7.46 (m, 3 H), 7.54 (dd, 2 H), 8.05 (d, 1 H).
예 37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화합물 37a)
표제 화합물은 예 3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지만, 화합물 27b 대신 화합물 3c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플루오르-3-이도벤젠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작업 후, 조 생성물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95 : 5 내지 75 : 25)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6.9%
MS: [M+H]+ = 345.40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화합물 37b)
표제 생성물은 화합물 1c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지만,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37a을 사용하고, 클로로포름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조 갈색 오일 잔여물은 다음 반응 단계에서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수율: 91.8&
MS: [M+H]+ = 245.36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표제 화합물은 예 1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37b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SP1®TM-Biotage; 구배 MeCN-암모늄 카보네이트 버퍼 4:6 내지 7:3)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4.9%
MS: [M+H]+ = 381.54
1H-NMR: (CDCl3, δ: 2.13-2.25 (m, 1 H), 2.45 (dd, 1 H), 2.52 (s, 3 H), 3.18-3.33 (m, 2 H), 3.41 (d, 1 H), 3.64-3.73 (m, 1 H), 3.81 (d, 1H), 3.98 (t, 1H), 6.61 (d, 1H), 7.10-7.17 (m, 1H) 7.21-7.27 (m, 1 H), 7.30-7.40 (m, 2 H), 8.07 (d, 1H).
예 38
3- 페닐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3- 페닐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화합물 38a)
표제 화합물은 예 3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28b을,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보통의 작업 후,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8:2 내지65:35)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8.7%
MS: [M+H]+ = 313.36
3- 페닐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화합물 38b)
표제 생성물은 화합물 1c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지만,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38a를 사용하고, 클로로포름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조 갈색 오일 잔여물은 다음 반응 단계에서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수율: 100%
MS: [M+H]+ = 213.25
3- 페닐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표제 화합물은 예 1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37b를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1:0 내지 7:3)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0.9%
MS: [M+H]+ = 349.36
1H-NMR: (CDCl3, δ: 2.50 (s, 3 H), 3.49 (s, 2 H), 4.38 (d, J=10.76 Hz, 2 H), 4.49 (d, J=11.00 Hz, 2 H), 6.64 (d, J=8.31 Hz, 1 H), 7.34 - 7.48 (m, 3 H), 7.55 (d, J=6.60 Hz, 2 H), 8.17 (d, J=8.31 Hz, 1 H).
예 39
3-(3- 하이드록시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3-(3- 하이드록시페닐 - 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화합물 39a)
표제 화합물은 예 3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27b 대신 화합물 3c 을,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이오도페놀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 : 5 0-60 : 40)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1.4%.
MS: [M+H]+ = 343.51
3-(3- 하이드록시페닐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 화합물39 b)
표제 생성물은 화합물 1c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지만,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39a를 사용하고, 클로로포름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조 갈색 오일 잔여물은 다음 반응 단계에서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수율: 84.8 %.
MS: [M+H]+ = 243.28
3-(3- 하이드록시페닐 - 에티닐 )-7-(6- 메틸 l- 3니트로 -2- 피리딜 l)-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표제 화합물은 예 1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39b를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MeCN-암모늄 카르보네이트 버퍼 4 : 6 - 7 : 3) 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2.6 %.
MS: [M+H]+ = 379.40
1H-NMR: (CDCl3, δ: 2.18 (dd, 1 H), 2.45 (dd, 1H), 2.51 (s, 3H), 3.17-3.33 (m, 2 H), 3.40 (d, 1H), 3.67 (t, 1H), 3.80 (d, 1H), 3.98 (t, 1H), 6.60 (d, 1H), 6.87-6.95 (m, 1H), 6.97-7.03 (m, 1 H), 7.12 (d, 1H), 7.21-7.31 (m, 1 H), 8.06 (d, 1H).
예 40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7-( 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화합물 40a)
표제 화합물은 예 3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28b 을,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플루오르-3-이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작업 후,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1 : 0 내지 60 : 40)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5.5%.
MS: [M+H]+ = 331.35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화합물 40b)
표제 생성물은 화합물 1c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지만, 화합물 1b 대신 화합물 40a 를 사용하고, 클로로포름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조 갈색 오일 잔여물은 다음 반응 단계에서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수율: 33.4%.
MS: [M+H]+ = 231.24
3-(3- 플루오르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표제 화합물은 예 1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1c 대신 화합물 40b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9 : 1 내지 5 : 5)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6.9 %.
MS: [M+H]+ = 367.35
1H-NMR: (CDCl3, δ: 2.54 (s, 3 H) 3.50 (s, 2 H) 4.40 - 4.57 (m, 5 H) 6.66 (d, J=8.31 Hz, 1 H) 7.11 - 7.18 (m, 1 H) 7.25 (d, J=9.54 Hz, 1 H) 7.31 - 7.42 (m, 2 H) 8.19 (d, J=8.31 Hz, 1 H).
예 41 내지 4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2- 피리딜메틸렌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및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하이드록시 -8-(2- 피리딜메틸 )-1-옥사-2- 아자스피 로[4.5] 데-2-센 ( 이소머 1 및 2)
무수의 질소 대기에서 - 20℃ 에서 교반된 트리페닐(2-피리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1.1 mg, 0.19 mmol)의 서스펜션에, 2.5ml의 리튬-비스-트리메틸실아미드 (1M sol. in THF, 0.415 ml, 0.415 mmol)가 첨가했다. 30분 후, 무수 THF 0.92ml 상의 예 32 (50 mg, 0.173 mmol) 화합물 수용액이 첨가되고 반응 혼합물은 -20℃에서 교반하고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반응은 2 시간 동안 65?에서 가열되고 실온에서 식혀진 후 NH4Cl 포화 수용액으로 냉각하고, EtOAc을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7:3 내지 3:7)에 의해 정제하여 예 41 (24.5%) 화합물의 24.5mg(24.5%) 및 예 42 화합물의 6.1 mg, 및 예 43 화합물의 3.3mg을 수득하였다.
예 41
MS: [M+H]+ = 363.27
1H-NMR: (CDCl3, δ: 1.72-1.91 (m, 2 H), 1.98-2.08 (m, 1 H),. 2.08-2.18 (m, 1 H), 2.31-2.43 (m, 1 H), 2.71 (t, J=9.78 Hz, 1 H), 2.81-3.06 (m, 4 H), 6.42 (br. s., 1 H), 7.14 (br. s., 1 H), 7.21 (d, J=7.58 Hz, 1 H), 7.32 (d, J=7.58 Hz, 1 H), 7.35-7.45 (m, 2 H), 7.53 (br. s., 1 H), 7.68 (br.s., 1 H), 8.61 (br. s., 1 H).
예 42
MS: [M+H]+ = 381.18
1H-NMR: (CDCl3, δ: 1.56 (d, J=12.72 Hz, 2 H), 1.76-1.90 (m, 4 H), 1.95-2.11 (m, 2 H), 2.90 (s, 2 H), 2.96 (s, 2 H), 7.16 (d, J=7.82 Hz, 1 H), 7.18-7.25 (m, 1 H), 7.31 (d, J=7.58
Hz, 1 H), 7.35-7.44 (m, 2 H), 7.51 (s, 1 H), 7.62-7.74 (m, 1 H), 8.52 (d, J=4.65 Hz, 1 H)
예 43
MS: [M+H]+ = 381.18
1H-NMR: (CDCl3, δ: 1.37-1.49 (m, 2 H), 1.62-1.72 (m, 2 H), 1.82 (d, J=13.45 Hz, 2 H), 2.23 (td, J=12.35, 3.67 Hz, 2 H), 2.93 (s, 2 H), 2.96 (s, 2 H), 7.16 (d, J=7.82 Hz, 1 H), 7.20-7.26 (m, 1 H), 7.32 (d, J=7.82 Hz, 1 H), 7.35-7.43 (m, 2 H), 7.51 (s, 1 H), 7.69 (t, J=7.58 Hz, 1 H)., 8.54 (d, J=4.65 Hz, 1 H).
예 44
3- 페닐에티닐1 ,9,12- 트리옥사2 - 아자다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은 화합물 1b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1-(t.부톡시카르보닐)-4-메틸렌-피페리딘 대신 화합물 31a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표제 생성물은 자동화된 RP 크로마토그래피(Isolera®TM-Biotage; 구배 버퍼 NH4HCO3 - MeCN 40-60, 20-80)로 정제되었다. 수율: 44.9 %
MS: [M+H]+ = 298.2
1H-NMR: (CDCl3, δ: 1.64-1.73 (m, 2 H), 1.82-1.90 (m, 2 H), 1.96-2.10 (m, 4 H), 2.94 (s, 2 H), 3.92-4.04 (m, 4 H), 7.33-7.43 (m, 3 H), 7.53 (d, J=7.8, 2H).
예 45
3- 페닐에티닐 -8-옥소-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2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되었지만, 예 31 화합물 대신 예 44 화합물에서 시작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8 : 2)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
MS: [M+H]+ = 254.2
1H-NMR: (CDCl3, δ: 2.00-2.10 (m, 2 H), 2.29-2.44 (m, 4 H), 2.78-2.90 (m, 2 H), 3.05 (s, 2 H), 7.35-7.47 (m, 3 H), 7.55 (d, J=6.36 Hz, 2 H).
예 46
3- 페닐에티닐 -8- 하이드록시이미노 -1-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은 화합물 1a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지만, 페닐프로파길알데히드 대신 예 45의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6 : 4)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
MS: [M+H]+ = 269.2
1H-NMR: (CDCl3, δ: 1.71-1.89 (m, 2 H), 2.05-2.22 (m, 2 H), 2.31-2.41 (m, 1 H), 2.44-2.58 (m, 1 H), 2.58-2.69 (m, 1 H), 2.97 (s, 2 H), 2.97-3.05 (m,1 H), 7.34-7.46 (m, 3 H), 7.54 (d, J=7.09 Hz, 2 H).
예47
3- 페닐에티닐 -8-(2-옥소-3-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록시 - 이미노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THF (5ml) 중 예 46 (50mb, 0.186 mmol) 화합물의 수용액에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7.81mg, 0.195mmol)을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되었다. 이후, 2-브로모-감마-부티롤락톤 (17.2μl, 0.186 mmol)첨가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물을 붓고 밤새 교반되었고, EtOAc로 추출되었다. 결합 유기층은 소금물로 세척되었고, 건조증발되었다. 조 생성물은 RP 크로마토그래피 (Isolera®TM-Biotage; 구배 버퍼 NH4HCO3 - MeCN 40-60, 30-70)로 정제되었다. 수율: 32%
MS: [M+H]+ = 353.2
1H-NMR: (CDCl3, δ: 1.73-1.88 (m, 2 H), 2.05-2.22 (m, 2 H), 2.30-2.41 (m, 1 H), 2.41-2.70 (m, 4 H), 2.95-3.05 (m, 3 H), 4.27-4.37 (m,1 H), 4.43-4.53 (m, 1 H), 4.80-4.94 (m, 1 H), 7.34-7.45 (m, 3 H), 7.50-7.60 (m, 2 H).
예 48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8- 시아노 -8-(2- 피리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4-메틸렌-1- 시아노 -1-( 2피리딜 )- 사이클로헥산 (화합물 48a)
표제 화합물은 화합물 2a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1-(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 대신 4-옥소-1-시아노-1-(2-피리딜)-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 85 : 15)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오일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2.8 %
MS: [M+H]+ = 199.25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8- 시아노 -8-(2- 피리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48b)
표제 화합물은 화합물 1b 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1-(테트라부톡시카르보닐)-4-메틸렌-피페리딘 대신 화합물 48a를, 화합물 1a 대신 화합물 3b를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 85 : 15)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오일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3.7 %.
MS: [M+H]+ = 338.34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8- 시아노 -8-(2- 피리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48b가 사용되었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65 : 35 - 4 : 6)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오일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3.4 %.
MS: [M+H]+ = 357.17
1H-NMR: (CDCl3, δ: 2.06-2.25 (m, 6 H), 2.47-2.58 (m, 2 H), 2.61 (s, 3 H), 3.03 (s, 2 H), 7.20 (d, J=7.82 Hz, 1 H), 7.25-7.32 (m, 1 H), 7.40 (d, J=7.58 Hz, 1 H), 7.57 (d, J=8.07 Hz, 1 H), 7.62 (t, J=7.70 Hz, 1 H), 7.72-7.81 (m, 1 H), 8.66 (d, J=4.65 Hz, 1 H).
예 49
3-[(5-플루오르-2- 피리딜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를,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브로모-5-플루오르피리딘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65 : 35 - 4 : 6)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0.2 %.
MS: [M+H]+ = 317.13
1H-NMR: (CDCl3, δ: 1.58-1.78 (m, 2 H), 1.88 (dd, J=13.82, 2.32 Hz, 2 H), 1.95-2.09 (m, 4 H), 2.95 (s, 2 H), 3.92-4.04 (m, 4 H), 7.45 (td, J=8.19, 2.93 Hz, 1 H), 7.58 (dd, J=8.68,
4.52 Hz, 1 H), 8.51 (d, J=2.93 Hz, 1 H).
예 50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를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65 : 35 - 4 : 6)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7.1 %.
MS: [M+H]+ = 313.08
1H-NMR: (CDCl3, δ: 1.63-1.72 (m, 2 H), 1.80-1.91 (m, 2 H), 1.95-2.09 (m, 4 H), 2.61 (s, 3 H), 2.95 (s, 2 H), 3.92-4.04 (m, 4 H), 7.19 (d, J=7.82 Hz, 1 H), 7.39 (d, J=7.58 Hz, 1 H), 7.62 (t, J=7.70 Hz, 1 H).
예 51
3-[(6-플루오르-2- 피리딜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를,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브로모-6-플루오르피리딘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65 : 35 - 4 : 6)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1.1 %.
MS: [M+H]+ = 317.00
1H-NMR: (CDCl3, δ : 1.62-1.75 (m, 2 H), 1.88 (dd, J=13.69, 2.45 Hz, 2 H), 1.95-2.13 (m, 4 H), 2.94 (s, 2 H), 3.88-4.06 (m, 4 H), 6.99 (dd, J=8.31, 2.69 Hz, 1 H), 7.45 (dd, J=7.46, 2.08 Hz, 1 H), 7.82 (q, J=7.91 Hz, 1 H).
예 52
3-[(6-플루오르-3- 피리딜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를,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5-브로모-2-플루오르피리딘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8 : 2 - 5 : 5)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7.2%.
MS: [M+H]+ = 317.00
1H-NMR: (CDCl3, δ: 1.64-1.77 (m, 2 H), 1.89 (dd, J=13.94, 2.45 Hz, 2 H), 1.96-2.12 (m, 4 H), 2.94 (s, 2 H), 3.87-4.08 (m, 4 H), 6.98 (dd, J=8.44, 3.06 Hz, 1 H), 7.83-8.00 (m, 1 H), 8.41 (d, J=1.96 Hz, 1 H).
예 53
3-(3- 니트로페닐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를,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브로모-니트로벤젠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8 : 2 to 5 : 5)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
MS: [M+H]+ = 343.08
1H-NMR: ( CDCl 3 , δ: 1.67-1.76 (m, 2 H), 1.82-1.93 (m, 2 H), 1.96-2.11 (m, 4 H), 2.95 (s, 2 H), 3.93-4.05 (m, 4 H), 7.58 (t, J=8.07 Hz, 1 H), 7.83 (d, J=7.58 Hz, 1 H), 8.26 (dd, J=8.31, 1.22 Hz, 1 H), 8.38 (s, 1 H).
예 54
3-[(2- 메틸 -1,3-티아졸-4-일)-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은 예 3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를, 그리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4-브로모-2-메틸-1,3-티아졸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M 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6 : 4 - 5 : 5)에 의해 정제되어 황색 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0.6%.
MS: [M+H]+ = 319.23
1H-NMR: (CDCl3, δ: 1.63-1.77 (m, 2 H), 1.86 (dd, J=13.57, 2.32 Hz, 2 H), 1.92-2.11 (m, 4 H), 2.75 (s, 3 H), 2.92 (s, 2 H), 3.91-4.06 (m, 4 H), 7.48 (s, 1 H).
예 55 내지 69
예 3 화합물에 대해 설명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를 사용하고, 적합한 염 유도체를 사용하여, 예 55 내지 69가 합성되었다. 정제는 자동화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P1®TM-Biotage)에 의해 수행되었다. 아래 표 1은 예 55 내지 69 화합물들의 구조 및 분석 특성들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5
예 70
3-(2- 퓨로일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3-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화합물 70a)
표제 생성물을 화합물 11a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31b로부터 출발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되었다.
MS: [M+H]+ = 222.37
3-(2- 퓨로일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무수 THF 4㎖ 중 화합물 70a (60㎎, 0.27 밀리몰), 2-퓨로일 클로라이드 (40.2㎕, 0.41 밀리몰), 트리에틸아민 (75.5㎕, 0.54 밀리몰),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디클로라이드 (11.4㎎, 0.016 밀리몰) 및 CuI (11.4㎎, 0.16 밀리몰)의 혼합물을 질소하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붓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매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7 : 3 - 5 : 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5.5㎎ (23.4%)을 수득하였다.
MS: [M+H]+ = 316.64
1H-NMR: (CDCl3, δ: 1.67-1.75 (m, 2 H), 1.82-1.93 (m, 2 H), 1.93-2.11 (m, 4 H), 2.95 (s, 2 H), 3.92-4.05 (m, 4 H), 6.64 (d, J=2.93 Hz, 1 H), 7.47 (d, J=3.42 Hz, 1 H), 7.73 (s, 1H).
예 71
3- 페닐에티닐 -8-(1- 카르복시 -3- 하이드록시 - 프로폭시이미노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디옥산 1.75㎖ 중 예 47의 화합물(14㎎, 0.4 밀리몰)의 용액에 1M 수산화나트륨 (40㎕, 0.4 밀리몰)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증발 건조시킨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RP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SP1®TM-Biotage; 구배 20mM 탄산암모늄 수용액 - MeCN 1:0 - 6:4)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10㎎을 수득하였다.
MS: [M+H]+ = 371.06
1H-NMR: (DMSO-d6, δ: 1.69-1.97 (m, 6 H), 2.17-2.28 (m, 1 H), 2.28-2.39 (m, 1 H), 2.45-2.58 (m, 1 H), 2.58-2.72 (m, 1 H), 3.11 (d, J=5.14 Hz, 2 H), 3.43-3.57 (m, 2 H) 4.38 (t, J=5.26 Hz, 1 H), 7.41-7.54 (m, 3 H), 7.54-7.61 (m, 2 H).
예 7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8- 디옥사 -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1b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제조하지만, 화합물 1a 대신 화합물 31e를 사용하고 1-(t.부톡시카르보닐)-4-메틸렌-피페리딘 대신 4-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피란 (Tetrahedron, 46(7), 2411-2424, 1990)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 : 1- 8 : 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3.7%.
MS: [M+H]+ = 276.7
1H-NMR: (CDCl3, δ: 1.79-1.89 (m, 2 H), 1.89-1.99 (m, 2 H), 2.95 (s, 2 H), 3.69 - 3.80 (m, 2 H), 3.92 (ddd, 2 H), 7.29-7.36 (m, 1 H), 7.41 (t, 2H), 7.52 (s, 1 H).
예 73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1,8- 디옥사 -2- 아자스피로[4.5]데 -2-센
3-(3- 트리메틸실릴부트 -1- 이닐 )-1,8- 디옥사 -2- 아자스피로[4.5]데 -2-센(화합물 73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a 대신 4-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피란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75 : 25까지)로 정제하여 갈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0.2%
MS: [M+H]+ = 238.21.
1H-NMR: (CDCl3, δ: 0.24-0.27 (m, 9 H), 1.79 (ddd, J=13.45, 9.05, 4.16 Hz, 2 H), 1.90 (dt, J=13.40, 4.40 Hz, 2 H), 2.86 (s, 2 H), 3.71 (dt, J=11.74, 4.65 Hz, 2 H), 3.89 (ddd, J=11.80, 8.86, 3.30 Hz, 2 H).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1,8- 디옥사 -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c를 화합물 73a로 교체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8 : 2- 4 : 6)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1.7%
MS: [M+H]+ = 257.19.
1H-NMR: (CDCl3, δ: 1.78-1.89 (m, 2 H), 1.89-2.00 (m, 2 H), 2.61 (s, 3 H), 2.97 (s, 2 H), 3.68-3.80 (m, 2 H), 3.85-3.98 (m, 2 H), 7.20 (d, J=7.82 Hz, 1 H), 7.39 (d, J=7.58 Hz, 1 H), 7.62 (t, J=7.70 Hz, 1 H).
예 74
3-[(4- 클로로 -2- 피리딜 )- 에티닐 ]-1,8- 디옥사 -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c를 화합물 73a로 교체하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2-브로모-4-클로로피리딘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 : 2-35 : 6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
MS: [M+H]+ = 277.12.
1H-NMR: (CDCl3, δ: 1.82-1.90 (m, 2 H), 1.90-1.99 (m, 2 H), 2.97 (s, 2 H), 3.75 (dt, J=11.68, 4.68 Hz, 2 H), 3.91 (ddd, J=11.86, 8.93, 3.18 Hz, 2 H), 7.35 (dd, J=5.38, 1.96 Hz, 1 H), 7.58 (d, J=1.71 Hz, 1 H), 8.55 (d, J=5.38 Hz, 1 H).
예 75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8- 티아 -2- 아자스피로[4.5]데 -2-센 8,8- 디옥사이드
4-메틸렌-1,1- 디옥소 - 티안 (화합물 75a)
표제 생성물을 화합물 2a에 대해 보고된 공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1-(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 대신 1,1,4-트리옥소-티안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85 : 15 - 6 : 4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9%
MS: [M+H]+ = 147.21.
1H-NMR: (CDCl3, δ: 2.58 (t, J=6.30 Hz, 4 H), 3.11 (t, J=6.30, 4 H), 4.92 (s, 2 H).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1-옥사-8- 티아 -2- 아자스피로[4.5]데 -2-센 8,8- 디옥사이드 (화합물 75b)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a를 화합물 75a로 대체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7 : 3)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갈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0.1%
MS: [M+H]+ = 286.25.
1H-NMR: (CDCl3, δ: 0.26 (s, 9 H), 2.25-2.37 (m, 2 H), 2.43 (td, J=14.00, 2.90 Hz, 2 H), 2.93 (s, 2 H), 2.95-3.04 (m, 2 H), 3.47 (td, J=13.57, 3.91 Hz, 2 H).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8- 티아 -2- 아자스피로[4.5]데 -2-센
8,8- 디옥사이드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c를 화합물 75b로 치환하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3-요오도벤젠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85 : 15 - 65 : 3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4%
MS: [M+H]+ = 323.87.
1H-NMR: (CDCl3, δ: 2.32-2.42 (m, 2 H), 2.42 - 2.56 (m, 2 H), 2.93-3.09 (m, 2 H), 3.03 (s, 2 H), 3.44-3.57 (m, 2 H), 7.31-7.36 (m, 1 H), 7.42 (dt, J=6.85, 1.59 Hz, 2 H), 7.53 (t, J=1.59 Hz, 1 H).
예 76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7- 디옥사 -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서,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와 화합물 3a 대신 3-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피란(Kirmse, W.; Rode, K. Chemische Berichte,120, 1987, 847 - 848)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여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Horizon®TM-Biotage;구배 석유 에테르- EtOAc 1 : 0- 8 : 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4%
MS: [M+H]+ = 276.25
1H-NMR: (CDCl3, δ: 1.62-1.74 (m, 1 H), 1.86-2.09 (m, 3 H), 2.90 (d,1 H), 3.11 (d, 1 H), 3.52-3.67(m, 3 H), 3.73-3.82 (m, 1 H), 7.29-7.35 (m, 1 H),,7.37-7.44 (m, 2 H), 7.52 (t, 1 H).
예 77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이소머 A
8-메틸렌-1- 옥사스피로[4.5]데칸 (화합물 77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2a에 대해 보고된 공법에 따라서 제조하지만, 1-(3-니트로-2-피리딜)-4-옥소-피페리딘 대신 1-옥사스피로[4,5]데칸-8-온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0: 5 - 75 : 2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9%.
1H-NMR: (CDCl3, δ: 1.50-1.60 (m, 2 H); 1.67-1.75 (m, 4 H); 1.88-2.00 (m, 2 H); 2.08-2.18 (m, 2 H); 2.31-2.43 (m, 2 H); 3.86 (t, J=6.7 Hz, 2 H); 4.65 (s, 2 H).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화합물77 b - 이소머 A 및 B)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a대신 화합물 77a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 75 : 25)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차 용출된 이소머 A 17.6% 및 이소머 B 11.6%
MS: [M+H]+ = 292.48
1H-NMR: 이소머 A, (CDCl3, δ: ppm 0.25 (s, 9 H); 1.58-1.70 (m, 4 H); 1.70-1.77 (m, 2 H); 1.79-1.91 (m, 4 H); 1.90-2.00 (m, 2 H); 2.80 (s, 2 H); 3.78 - 3.93 (m, 2 H).
1H-NMR: 이소머 B, (CDCl3, δ: ppm 0.25 (s, 9 H); 1.46 (ddd, J=13.6, 9.8, 4.0 Hz, 2 H); 1.58-1.67 (m, 2 H); 1.67-1.75 (m, 2 H); 1.82-2.00 (m, 4 H); 2.07 (ddd, J=13.7, 10.0, 4.2 Hz, 2 H); 2.83 (s, 2 H); 3.77-3.93 (m, 2 H).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 2센 - 이소머 A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77b - 이소머 A을 사용하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3-요오도벤젠을 사용했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 8 : 2)로 정제하여 아이보리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9%.
MS: [M+H]+ = 330.03
1H-NMR: (CDCl3, δ: 1.49 (ddd, J=13.51, 9.72, 3.91 Hz, 2 H); 1.62-1.70 (m, 2 H); 1.70-1.77 (m, 2 H); 1.87-2.00 (m, 4 H); 2.12 (ddd, J=13.33, 9.66, 4.16 Hz, 2 H); 2.92 (s, 2 H); 3.86 (t, J=6.72 Hz, 2 H); 7.29-7.34 (m, 1 H); 7.36-7.43 (m, 2 H); 7.51 (s, 1 H).
예 78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이소머 B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c를 화합물 77b - 이소머 B로 대신하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1-클로로-3-요오도벤젠으로 대신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8 : 2)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3.5%.
MS: [M+H]+ = 330.18
1H-NMR: (CDCl3, δ: 1.61-1.68 (m, 2 H); 1.71-1.78 (m, 2 H); 1.80-2.01 (m, 8 H); 2.89 (s, 2 H); 3.85 (t, J=6.75 Hz, 2 H); 7.27-7.33 (m, 1 H); 7.35-7.43 (m, 2 H); 7.52 (t, J=1.66 Hz, 1 H).
예 79
3-(3- 메틸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c를 화합물 77b - 이소머 B로 대신하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3-요오도톨루엔으로 대신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5 : 5 - 8 : 2)로 정제하여 아이보리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6%.
MS: [M+H]+ = 310.24
1H-NMR: (CDCl3, δ: 1.49 (ddd, J=13.39, 9.84, 3.91 Hz, 2 H); 1.67 (dd, J=12.47, 4.65 Hz, 2 H); 1.70-1.77 (m, 2 H); 1.85-2.00 (m, 4 H); 2.12 (ddd, J=13.14, 9.60, 3.91 Hz, 2 H); 2.37 (s, 3 H); 2.92 (s, 2 H); 3.86 (t, J=6.72 Hz, 2 H); 7.17-7.30 (m, 2 H); 7.34 (d, J=11.98 Hz, 2 H).
예 80
3-(3- 하이드록시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3- 에티닐 -7-(t. 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화합물 80a)
THF 10㎖ 중 화합물 28b(557 mg, 1.81 밀리몰)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수화물(759 mg, 2.72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EtOAc - 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S: [M+H]+ = 238.4
3-(3-하이드록시페닐-에티닐)-7-(t.부톡시카르보닐)-1-옥사-2,7-디아자스피로[4.3]옥-2-텐 (화합물 80b)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80a로, 2-브로모-6-메틸피리딘을 3-요오도페놀로 대신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 : 2 - 65 : 35)로 정제하여 황색의 유리상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8.8%.
MS: [M+H]+ = 329.4
1H-NMR: (CDCl3, δ: 1.48 (s, 9 H), 3.40 (s, 2 H), 4.07 (d, J=10.3 Hz, 2 H), 4.31 (d, J=10.0 Hz, 2 H), 4.99 (s, 1 H), 6.91 (ddd, 1 H), 6.98 - 7.02 (m, 1 H), 7.12 (d, J=7.8 Hz, 1 H), 7.28 (t, J=8.1 Hz, 1 H).
3-(3- 하이드록시페닐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화합물 80c)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1c에 대해 보고된 방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화합물 1b를 화합물 80b로 대신하였다. 조 잔여물은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90.4%
MS: [M+H]+ = 229.3
3-(3- 하이드록시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표제 화합물을 예 1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지만, 화합물 1c를 화합물 80c로 대신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표제 생성물을 자동화된 RP 크로마토그라피(SP1®TM-Biotage; 구배 버퍼 NH4HCO3 - MeCN 20:80-40:60)로 정제하였다. 수율: 26%
MS: [M+H]+ = 365.05
1H-NMR: (CDCl3, δ: 2.51 (s, 3 H), 3.49 (s, 2 H), 4.38 (d, 2 H), 4.49 (d, 2 H), 4.83 (br. s., 1 H), 6.65 (d, 1 H), 6.92 (d, 1 H), 7.01 (s, 1 H), 7.14 (d, 1 H), 7.23-7.32 (m, 5 H), 8.18 (d, 1H).
예 81
3-(3- 시아노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3-(3- 시아노페닐 - 에티닐 )-7-(t. 부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화합물 81a )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80a로, 2-브로모-6-메틸피리딘을 3-요오도벤조니트릴으로 대신했다. 조 생성물은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 : 1 - 6 : 4 -)로 정제하여 황색의 유리상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4.5%.
MS: [M+H]+ = 338.4
1H-NMR: (CDCl3, δ: 1.47 (s, 9 H), 3.39 (s, 2 H), 4.06 (dd, J=9.8, 1.2 Hz, 2 H), 4.32 (dd, J=9.8, 1.2 Hz, 2 H), 7.48-7.55 (m, 1 H), 7.69 (ddd, J=7.9, 1.4 Hz, 1 H), 7.74 (ddd, J=7.9, 1.4 Hz, 1 H), 7.78 - 7.83 (m, 1 H).
3-(3- 시아노페닐 - 에티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화합물 81b)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1c에 대해 보고된 방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화합물 1b를 화합물 81a로 대신하였다. 조 잔여물은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90.4%
MS: [M+H]+ = 238.3
3-(3- 시아노페닐 - 에티닐 )-7-(6- 메틸 -3-니트로-2- 피리딜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3]옥 -2-텐
표제 화합물을 예 1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지만, 화합물 1c를 화합물 81b로 대신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표제 생성물을 자동화된 RP 크로마토그라피(SP1®TM-Biotage; 구배 버퍼 NH4HCO3 - MeCN 20-80 - 40-60까지)로 정제하였다. 수율: 72.5%. 황색을 띠는 고체.
MS: [M+H]+ = 374.11
1H-NMR: (CDCl3, δ: 2.52 (s, 3 H), 3.50 (s, 2 H), 4.38 - 4.44 (m, 1 H), 4.49-4.54 (m, 1 H), 6.66 (d, J=8.31 Hz, 1 H), 7.53 (dd,J=7.90 Hz, 1 H), 7.71 (ddd, J=7.80, 1.50 Hz, 1 H), 7.76 (ddd, J=7.80, 1.30 Hz, 1 H), 7.83 (dd, J=1.30 Hz, 1 H), 8.18 (d, J=8.31 Hz, 1 H).
예 8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 하이드록시 -4'H-스피로[ 인덴 -1,5'- 이속사졸 ]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서,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와 화합물 3a 대신 3-메틸렌-인단-1-올(Angew Chem, Int Ed, 48(33), 2009, 6148-6151)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Horizon®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EtOAc 9 : 1- 1 : 1) 정제하여 갈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4%. 상기 표제 화합물은 1H-NMR 스펙트럼에 의해 83:17 디아스테레오이소머 혼합물로 특징화되었다.
MS: [M+H]+ = 324.01
1H-NMR: (CDCl3, δ: 2.25 (dd, J=13.94, 4.89 Hz, 1 H), 2.57 (dd, J=14.30, 3.79 Hz, 0.21 H), 2.74 (dd, J=14.31, 6.48 Hz, 0.21 H), 3.02 (dd, J=13.94, 6.60 Hz, 1 H), 3.39 (dd, 0.42) 3.50 (dd, 2 H) 5.12-5.25 (m, 0.21 H), 5.50 (t, J=5.62 Hz, 1 H), 7.30-7.38 (m, 1 H), 7.38 - 7.52 (m, 6 H), 7.56 (s, 1 H).
예 8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옥소-4'H-스피로[ 인덴 -1,5'- 이속사졸 ]
무수 CH2Cl2 5㎖ 중 옥살릴 클로라이드(64.6㎕, 0.74 밀리몰)의 용액을 -60℃로 냉각시켰다; DMSO(105㎕, 1.48 밀리몰)를 적가하여 반응을 동일한 온도에서 유지시켰다. 15분 후, 무수 CH2Cl2 1㎖에 용해시킨 예 82의 화합물(174㎎, 0.49 밀리몰)을 가하고 30분 후 TEA(0.413㎖, 2.96㎖)를 적가하였다. 냉각을 끄고 실온으로 가열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H2O로 급냉시켜, CH2Cl2로 추출하여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증발로부터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 - 1:1)로 정제하여 갈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0%.
MS: [M+H]+ = 322.2
1H-NMR: (CDCl3, δ: 3.01 (d, J=18.83 Hz, 1 H), 3.30 (d, J=18.83 Hz, 1 H),l 3.48 (d, J=17.36 Hz, 1 H), 3.63 (d, J=17.36 Hz, 1 H), 7.31-7.38 (m, 1 H), 7.40-7.49 (m, 2 H), 7.55-7.57 (m, 1H), 7.60 (td, J=7.40, 1.10 Hz, 1 H), 7.69-7.73 (m, 1 H), 7.75-7.83 (m, 2 H).
예 8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 메톡시이미노 -4'H-스피로[ 인덴 -1,5'- 이속사졸 ]
피리딘 1.5㎖ 중 예 83의 화합물(0.14g, 0.44 밀리몰)의 용액에 메톡실아민(0.04 g, 0.48 밀리몰)을 가하였다.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 후, 상기 반응을 TLC로 체크하였더니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로 희석시키고, 1N HCl로 산성화시켜 EtOAc로 추출하였다.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킨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 - 1:1)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5.4%.
MS: [M+H]+ = 351.44
1H-NMR: (CDCl3, δ: 3.19 (d, 1 H), 3.34-3.41 (m, 1 H), 3.43 (d, 1 H), 3.51-3.57 (m, 1 H), 4.02 (s, 3 H), 7.30-7.37 (m, 1 H), 7.39-7.51 (m, 5 H), 7.56 (t, 1H), 7.71-7.77 (m, 1 H)
예 85-86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3.2]트리데 -2-센 ( 이소머 1) 및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3.2]트리데 -2-센 (이 소머 2)
7-메틸렌-1- 옥사스피로[3.5]노난 (화합물 85a)
N-(p.톨루엔설포닐)-디메틸설폭시민(1.49g, 6.01 밀리몰) 및 무수 DMSO(5㎖)를 화염처리한 3목 플라스크중의, 무수 불활성 대기하 교반하에서 유지되는 NaH 60% 오일 분산액(0.22g, 5.46 밀리몰)에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녹색으로 된 다음, 황색으로 바뀌었다. 35℃에서 10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DMSO 5㎖ 중 4-메틸렌사이클로헥사논 (0.2g, 1.82 밀리몰)의 용액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NaCl 포화 용액으로 희석시키고 Et2O로 추출하였다 (3회).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킨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이소크래틱 석유 에테르 - EtOAc 9:1)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0.252g을 수득하였다. 수율: 27.8%.
MS: [M+H]+ = 138.21
1H-NMR: (CDCl3, δ: 1.80 - 1.99 (m, 4 H) 2.05 - 2.15 (m, 2 H) 2.27 - 2.37 (m, 2 H) 2.41 (t, J=7.7 Hz, 2 H) 4.55 (t, J=7.8 Hz, 2 H) 4.66 (s, 2 H).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3.2]트리데 -2-센 ( 이소머 1) 및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3.2]트리 데-2-센 ( 이소머 2)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85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 - 6:4)로 정제하여 극성이 약한 디아스테레오이소머 (예 86; 43.9%)를 제공하는 제1 그룹의 분획을 수득한 다음 극성이 더한 디아스테레오이소머 (예 85; 25.4%)를 함유하는 제3 그룹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예 85
MS: [M+H]+ = 315.80
1H-NMR: (CDCl3, δ: 1.63 (ddd, J=13.4, 9.4, 4.2 Hz, 2 H) 1.78 - 1.90 (m, 2 H) 2.00 - 2.10 (m, 2 H) 2.16 (ddd, J=13.2, 9.3, 4.2 Hz, 2 H) 2.42 (t, J=7.8 Hz, 2 H) 2.89 (s, 2 H) 4.55 (t, J=7.8 Hz, 2 H) 7.31 (dd, J=7.9 Hz, 1 H) 7.36 - 7.43 (m, 2 H) 7.51 (t, J=1.8 Hz, 1 H)
예 86
MS: [M+H]+ = 315.80
1H-NMR: (CDCl3, δ: 1.79 - 1.88 (m, 4 H) 1.97 - 2.06 (m, 4 H) 2.43 (t, J=7.8 Hz, 2 H) 2.89 (s, 2 H) 4.54 (t, J=7.8 Hz, 2 H) 7.27 -.34 (m, 1 H) 7.36 - 7.43 (m, 2 H) 7.49 - 7.53 (m, 1 H)
예 87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9,13-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5.2]펜타데 -2-센
벤젠 30㎖ 중 예 32의 화합물(0.41g, 1.42 밀리몰), 1,3-프로판디올(0.15g, 1.95 밀리몰) 및 p-톨루엔설폰산.H2O (7.5㎎, 0.04 밀리몰)의 용액을 Dean-Stark 장치로 물을 제거하면서, 환류하에서 10.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로 희석시키고, 5%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Na2SO4 상에서 유기층을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진한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이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 7:3)로 추가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75.3%.
MS: [M+H]+ = 346.27
1H-NMR: (CDCl3, δ: 1.77 (d, J=5.4 Hz, 4 H); 2.00 (d, J=7.6 Hz, 6 H); 2.91 (s, 2 H); 3.92 (s, 2 H); 3.96 (s, 2 H); 7.31 (s, 1 H); 7.36 -7.44 (m, 2 H); 7.52 (s, 1 H).
예 88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 하이드록시 -4'H-스피로[ 인덴 -1,5'-이속사졸]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 하이드록시 -4'H-스피로[ 인덴 -1,5'- 이속사졸 ] (화합물 88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a 대신 3-메틸렌인단-1-올 (Angew. Chem., Int. Ed., 48(33), 2009, 6148-6151)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1:1)로 정제하여 갈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9.9%.
MS: [M+H]+ = 286.38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 하이드록시 -4'H-스피로[ 인덴 -1,5'-이속사졸]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88a로 치환하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을 3-요오도페놀로 치환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 4:6)로 정제하여 갈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6%.
MS: [M+H]+ = 305.31
1H-NMR: (CDCl3, δ: 2.64 (s, 3H), 3.02 (d, 1H) 3.35 (d, 1H), 3.55 (d, 1H), 3.65 (d, 1H), 5,41-5.45(m, 1H), 7.23 (d, 1H), 7.44 (d, 1H), 7.55-7.62 (m, 1H), 7.63-7.72 (m, 2H), 7.76 (d, 1H), 7.80 (d, 1H).
예 89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데 -2-센
8- 메틸렌스피로[4.5]데칸 (화합물 89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1a에 대해 보고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로서 스피로[4.5]데칸-8-온을 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온으로 대체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CH2Cl2)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8.5%.
1H-NMR: (CDCl3, δ: 1.37 - 1.49 (m, 8 H); 1.63 (dt, J=7.2, 3.6 Hz, 4 H); 2.16 (t, J=6.4 Hz, 4 H); 4.61 (s, 2 H).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로,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89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7 : 3 -9 : 1 )로 정제하여 백색-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8.5%.
MS: [M+H]+ = 328.29
1H-NMR: (CDCl3, δ: 1.31 - 1.41 (m, 2 H); 1.46 (dt, J=19.7, 6.9 Hz, 4 H); 1.59 - 1.76 (m, 8 H); 1.84 - 1.94 (m, 2 H); 2.89 (s, 2 H); 7.26 - 7.34 (m, 1 H); 7.35 - 7.45 (m, 2 H); 7.51 (s, 1 H).
예 90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8- 디플루오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1,1- 디플루오로 -4- 메틸렌사이클로헥산 (화합물 90a)
메틸 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나트륨 아미드 혼합물 (MTP 인스턴트 일라이드, 0.49g, 1.24 밀리몰)을 무수 Et2O (3㎖)에 현탁시키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Et2O 3㎖ 중 4,4-디플루오로사이클로헥사논(0.145g, 1.08 밀리몰)의 용액을 상기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의 교반을 16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은 다음 단계에서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8- 디플루오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31f로,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90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9 : 1 - 95 : 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1.9%.
MS: [M+H]+ = 310.35
1H-NMR: (CDCl3, δ: 1.82 - 1.92 (m, 2 H), 1.97 - 2.14 (m, 4 H), 2.14 - 2.34 (m, 2 H), 2.95 (s, 2 H), 7.33 (d, J=7.6 Hz, 1 H), 7.41 (t, J=7.1 Hz, 2H), 7.52 (s, 1 H).
예 91
3-(3- 메틸페닐 - 에티닐 )-1-옥사-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1-(3,3- 디에톡시프로프 -1-인-1-일)-3-메틸벤젠(화합물 91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1c에 대해 보고된 공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3-클로로요오도벤젠 대신 3-요오도톨루엔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M - 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0 : 3 -100 : 7)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4%.
1H-NMR: (CDCl3, δ: 1.30 (t, J=6.8 Hz, 6 H); 2.34 (s, 3 H); 3.69 (quin, J=7.8 Hz, 2 H); 3.85 (quin, J=7.7 Hz, 2 H); 5.51 (s, 1 H); 7.16 (d, J=7.6 Hz, 1 H); 7.22 (t, J=7.6 Hz, 1 H); 7.27 - 7.36 (m, 2 H).
3-(3- 메틸페닐 )프로-2-피날 (화합물 91b)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1d에 대해 보고된 공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화합물 31c 대신 화합물 91a로부터 출발하였다. 조 표제 화합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M+H]+ = 145.12
1H-NMR: (CDCl3, δ: 2.39 (s, 3 H); 7.30 - 7.35 (m, 2 H); 7.40 - 7.49 (m, 2 H); 9.44 (s, 1 H).
N- 하이드록시 -3-(3- 메틸페닐 )프로-2-핀-1-이민 (화합물 91c)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1e에 대해 보고된 공정에 따라서 합성하지만, 화합물 31d 대신 화합물 91b로부터 출발하였다. 조 표제 화합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M+H]+ = 160.19
1H-NMR: (CDCl3, δ: mix E/Z 1/2: 2.37 (s, 1.5 H); 2.37 (s, 3 H); 7.04 (s, 1 H); 7.18 - 7.31 (m, 3 H); 7.31 - 7.42 (m, 3 H); 7.62 (s, 0.5 H).
N- 하이드록시 -3-(m- 톨릴 )-프로-2- 핀이미도일 클로라이드(화합물 91d)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b에 대해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3-트리메틸실릴프로프-2-이날 옥심 대신 화합물 91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잔사는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수율: 96.4%
3-(3- 메틸페닐 - 에티닐 )-1-옥사-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91d를 사용하고,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89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7 : 3 - 9 : 7)로 정제하여 백색-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8.5%.
MS: [M+H]+ = 308.28
1H-NMR: (CDCl3, δ: 1.31 - 1.52 (m, 6 H); 1.53 - 1.76 (m, 9 H); 1.87 (dd, J=12.0, 3.2 Hz, 2 H); 2.37 (s, 3 H); 2.90 (s, 2 H); 7.17 -7.23 (m, 1 H); 7.26 (dd, J=7.6 Hz, 1 H); 7.31 - 7.38 (m, 2 H).
예 92
3-[(6- 메톡시 -3- 피리딜 )- 에티닐 ]-1,9,12-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 -2-센
표제 생성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공정에 따르지만, 화합물 3c 대신 화합물 70a로부터 출발하고, 2-브로모-6-메틸피리딘 대신 5-요오도-2-메톡시피리딘으로 대체하여 수득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 4:6)로 정제하여 갈색 오일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5%.
MS: [M+H]+ = 329.23
1H-NMR: (CDCl3, δ: 1.63-1.74 (m, 2 H), 1.77-1.92 (m, 2 H), 1.98-2.11 (m, 4 H), 2.93 (s, 2H), 3.92-4.05 (m, 4 H), 4.00 (s, 3H), 6.77 (d, 1 H), 7.70 (d, 1 H), 8.36 (s, 1 H).
예 93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옥소-4'H-스피로[ 인덴 -1,5'-이속사졸]
표제 생성물을 예 83에 기재된 바와 같은 Swern의 산화법에 의해, 예 82의 화합물 대신 예 88의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수득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 -1:1)로 정제하여 갈색 오일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0.3%.
MS: [M+H]+ = 303.21
1H-NMR: (CDCl3, δ: 2.63 (s, 3H), 2.99 (d, 1H) 3.29 (d, 1H), 3.51 (d, 1H), 3.65 (d, 1H), 7.23 (d, 1H), 7.44 (d, 1H), 7.55-7.62 (m, 1H), 7.63-7.72 (m, 2H), 7.76 (d, 1H), 7.80 (d, 1H).
예 94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2,3- 디하이드로 -3- 메톡시이미노 -4'H-스피로[인덴-1,5'- 이속사졸 ]
표제 생성물을 예 84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예 83의 화합물 대신 예 93의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수득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 -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2%.
MS: [M+H]+ = 332.15
1H-NMR: (CDCl3, δ: 2.59 (s, 3H), 3.15 (d, 1H), 3.34-3.45 (m, 2H), 3.49-3.58 (m, 1H), 4.00 (s, 3H), 7.19 (d, 1H), 7.37-7.49 (m, 4H), 7.61 (t, 1H), 7.69-7.74 (m, 1 H).
예 95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 디메틸카르바모일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디클로로메탄 10㎖ 중 화합물 27d(0.12g, 0.46 밀리몰)의 용액에 TEA(0.02㎖, 1.38 밀리몰), 이어서 N,N-디메틸클로로포름아미드(0.051㎖, 0.59 밀리몰)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증발건조시키고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3:7 - 0:1)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8.8%.
MS: [M+H]+ = 332.3
1H-NMR: (DMSO-d6, δ: ppm 1.95 - 2.18 (m, 2 H) 2.75 (s, 6 H) 3.22 - 3.41 (m, 3 H) 3.41 - 3.46 (m, 1 H) 3.51 (td, J=10.2, 7.0 Hz, 1 H) 3.58 (d, J=11.7 Hz, 1 H) 7.46 - 7.53 (m, 1 H) 7.54 - 7.61 (m, 2 H) 7.68 (t, J=1.7 Hz, 1 H).
예 96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 카르바모일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메탄올 10㎖ 중 화합물 27d(0.125g, 0.48 밀리몰)의 용액에 트리메틸실릴이소시아네이트(0.097㎖, 0.72 밀리몰)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증발건조시키고 자동화된 RP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MeCN - 탄산암모늄 완충액 38:62)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5%.
MS: [M+H]+ = 304.3
1H-NMR: (CDCl3, δ: ppm 2.13 (dt, J=13.1, 9.2 Hz, 1 H) 2.33 - 2.45 (m, 1 H) 3.12 - 3.20 (m, 1 H) 3.20 - 3.28 (m, 1 H) 3.55 (d, J=11.5 Hz, 1 H) 3.58 - 3.68 (m, 2 H) 3.84 (d, J=11.5 Hz, 1 H) 4.44 (br. s., 2 H) 7.32 (t, J=7.8 Hz, 1 H) 7.38 - 7.45 (m, 2 H) 7.53 (t, J=1.6 Hz, 1 H)
예 97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 아자 - 디스피로[4.1.3.1]운데 -2-센
6-메틸렌- 스피로[3.3]헵탄 (화합물 97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28a에 대해 기재된 방법론에 따라서, 1-(t.부톡시카르보닐)-3-아제티디논을 스피로[3.3]헵탄-6-온으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 조 생성물은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S: [M+H]+ = 108.18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 아자 - 디스피로[4.1.3.1]운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e를 사용하고,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97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석유 에테르 - EtOAc 97 : 3; 이어서 DCM 100%)로 정제하여 백색-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0.7%.
MS: [M+H]+ = 285.77
1H-NMR: (CDCl3, δ: 1.82 - 1.94 (m, 2 H), 2.02 - 2.11 (m, 4 H), 2.23 - 2.32 (m, 2 H), 2.49 - 2.57 (m, 2 H), 3.15 (s, 2 H), 7.31 (t, J=7.8 Hz, 1 H), 7.34 - 7.43 (m, 2 H), 7.50 - 7.54 (m, 1 H).
예 98
3-(3- 메틸페닐 - 에티닐 )-1,9,13-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5.2]펜타데 -2-센
9-메틸렌-1,5- 디옥사스피로[5.5]운데칸 (화합물 98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28a에 대해 기재된 방법론에 따르지만, 1-(t.부톡시카르보닐)-3-아제티디논을 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9-온으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Et2O)로 정제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6.3%.
1H-NMR: (CDCl3, δ: 1.76 (quin, J=5.4 Hz, 2 H); 1.89 (t, J=6.4 Hz, 4 H); 2.23 (t, J=6.2 Hz, 4 H); 3.95 (t, J=5.5 Hz, 4 H); 4.67 (s, 2 H).
3-(3- 메틸페닐 - 에티닐 )-1,9,13- 트리옥사 -2- 아자디스피로[4.2.5.2]펜타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91d를 사용하고,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97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 7:3)로 정제하여 페이스트상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0.7%.
MS: [M+H]+ = 325.97
1H-NMR: (CDCl3, δ: 1.71 - 1.82 (m, 4 H); 1.89 - 2.08 (m, 6 H); 2.37 (s, 3 H); 2.91 (s, 2 H); 3.94 (dt, J=18.5, 5.5 Hz, 4 H); 7.17 -7.30 (m, 2 H); 7.30 - 7.39 (m, 2 H).
예 99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2- 아자스피로[4.3]옥 -2-텐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사용하고, 화합물 3a 대신 메틸렌사이클로부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M - 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 - 9:1)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4%.
MS: [M+H]+ = 245.71
1H-NMR: (CDCl3, δ: 1.58 - 1.71 (m, 1 H), 1.89 (dtt, J=11.3, 9.9, 9.9, 3.5, 3.5 Hz, 1 H), 2.18 - 2.28 (m, 2 H), 2.52 - 2.64 (m, 2 H), 3.22 (s, 2 H), 7.32 (t, J=7.6 Hz, 1 H), 7.36 - 7.44 (m, 2 H), 7.52 (t, J=1.6 Hz, 1 H).
예 100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10-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3.2]트리데 -2-센
디에틸 4- 메틸렌사이클로헥산 -1,1- 디카르복실레이트 ( 화합물100 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1a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온 대신 디에틸 4-옥소사이클로헥산-1,1-디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8:2)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8.1%.
MS: [M+H]+ = 240.30
1H-NMR: (CDCl3, δ: 1.28 (t, J=7.2 Hz, 6 H) 2.05 - 2.15 (m, 4 H) 2.19 - 2.27 (m, 4 H) 4.22 (q, J=7.1 Hz, 4 H) 4.68 (s, 2 H).
1,1- 비스 ( 하이드록시메틸 )-4-메틸렌- 사이클로헥산 (화합물 100b)
0℃에서 교반시킨 무수 Et2O (10㎖) 중 LiAlH4 (0.166g, 4.4 밀리몰)의 현탁액에 Et2O (10㎖) 중 화합물 100a (100㎎, 2.08 밀리몰)의 용액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추가로 0.5 당량의 LiAlH4를 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THF/H2O (2㎖:1.3㎖), 이후 2N HCl (30㎖)를 가하여 급냉시켰다. EtOAc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증발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μ®TM-Biotage; 구배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구배 1:0 -95:5)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2.1%.
MS: [M+H]+ = 156.22
1H-NMR: (CDCl3, δ: 1.51 (t, J=6.6 Hz, 4 H) 2.02 (br. s, 2 H) 2.19 (t, J=6.1 Hz, 4 H) 3.70 (s, 4 H) 4.67 (s, 2 H).
[1-( 하이드록시메틸 )-4- 메틸리덴사이클로헥실 ] 메틸 4- 메틸벤젠설포네이트 (화합물 100c)
디클로로메탄 중 화합물 100b (0.25g, 1.6 밀리몰) 및 피리딘 (0.40㎖)의 현탁액에 0℃에서 디클로로메탄 1㎖ 중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0.336g, 1.76 밀리몰)의 용액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다음, 이어서 실온에서 3.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1M NaHSO4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여, Na2SO4 상에서 건조시켜, 증발시킨 후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1:0 -95: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H]+ = 310.41
1H-NMR: (CDCl3, δ: 1.39 - 1.53 (m, 4 H) 1.98 - 2.24 (m, 4 H) 2.48 (s, 3 H) 3.57 (s, 2 H) 4.01 (s, 2 H) 4.65 (s, 2 H) 7.38 (m, J=8.1 Hz, 2 H) 7.83 (d, J=8.3 Hz, 2 H).
7- 메틸리덴 -2- 옥사스피로[3.5]노난 (화합물 100d)
0℃에서 교반시킨 THF (2㎖) 중 화합물 100c (0.320g, 1.03 밀리몰)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0.082g, 2.06 밀리몰)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6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로 희석시킨 후, Et2O로 추출하고 증발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수율: 77.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10- 디옥사 -2- 아자디스피로[4.2.3.2]트리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사용하여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100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 - 1:1)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6%.
MS: [M+H]+ = 315.80
1H-NMR: (CDCl3, δ: 1.52 - 1.69 (m, 2 H) 1.82 - 1.95 (m, 4 H) 2.01 - 2.14 (m, 2 H), 2.87 (s, 2 H) 4.45 (d, J=3.4 Hz, 4 H) 7.29 - 7.35 (m, 1 H), 7.36 - 7.44 (m, 2 H), 7.51 (t, J=1.6 Hz, 1 H).
예 101
3-[(4- 클로로 -2- 피리딜 )- 에티닐 ]-8,8- 디플루오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3-[(4- 클로로 -2- 피리딜 )- 에티닐 ]-8-옥소-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101a)
표제 화합물을 예 32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예 31의 화합물 대신 예 65의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합성하였다.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S: [M+H]+ = 289.7
1H-NMR: (CDCl3, δ: ppm 1.97 - 2.10 (m, 2 H) 2.24 - 2.45 (m, 4 H) 2.74 - 2.90 (m, 2 H) 3.05 (s, 2 H) 7.36 (dd, J=5.4, 2.0 Hz, 1 H) 7.59 (d, J=1.5 Hz, 1 H) 8.55 (d, J=5.4 Hz, 1 H).
3-[(4- 클로로 -2- 피리딜 )- 에티닐 ]-8,8- 디플루오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질소 스트림하에 실온에서 교반시킨 디클로로메탄 5㎖ 중 화합물 101a (0.085g, 0.29 밀리몰)의 용액에 디에틸아미노설퍼트리플루오라이드 (0.163㎖, 1.23 밀리몰)을 적가하였다. 밤새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후, NaHCO3 포화 수용액 (5㎖)를 가하고, DCM (3x5㎖)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건조시켰다.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6:4)로 정제하여 주요 불순물을 함유하는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다시 RP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수성 NH4HCO3/AcCN 55:45)로 정제하여 황색-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4.2%.
MS: [M+H]+ = 311.4
1H-NMR: (CDCl3, δ: ppm 1.82 - 1.96 (m, 2 H) 2.02 - 2.14 (m, 4 H) 2.14 - 2.35 (m, 2 H) 2.98(s, 2 H) 7.37 (dd, J=5.4, 2.0 Hz, 1 H) 7.59 (d, J=1.5 Hz, 1 H) 8.55 (d, J=5.4 Hz, 1 H).
예 102
3-[(4- 클로로 -2- 피리딜 )- 에티닐 ]-8- 에톡시카르보닐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에틸 4- 메틸리덴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02 a)
본 중간체는 화합물 31a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로서 에틸 4-옥소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로 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온을 대체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 - 4:6)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8.7%.
MS: [M+H]+ = 169.50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8- 에톡시카르보닐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102b)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화합물 3a를 화합물 102a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8:2 - 40:60)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9.3%.
MS: [M+H]+ = 308.55
3-[(4- 클로로 -2- 피리딜 )- 에티닐 ]-8- 에톡시카르보닐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3c를 화합물 102b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 잔사를 자동화된 RP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수성 NH4HCO3/AcCN 55:4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9%.
MS: [M+H]+ = 327.16
1H-NMR: (CDCl3, δ: 1.29 (t, 3H), 1.60-1.72 (m, 2H) 1.74-1.84 (m, 2H), 1.84-1.92 (m, 2H), 2.09 (dt, 2H), 2.42-2.51 (m, 1H), 2.62 (s, 3H), 2.96 (s, 2H), 4.17 (q, 2H), 7.20 (d, 1H), 7.39 (d, 1H), 7.63 (t, 1H).
예 10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H,4'H-스피로[ 이소크로만 -4,5'- 이속사졸 ]
4- 메틸렌이소크로만 (화합물 103a)
본 중간체는 화합물 31a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로서 이소크로만-4-온으로 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온을 대체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 - 0:1)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9.8%.
MS: [M+H]+ = 146.19
1H-NMR: (CDCl3, δ: 4.48 (s, 2 H) 4.84 (s, 2 H) 5.04 (s, 1 H) 5.63 (s, 1 H) 7.02 - 7.09 (m, 1 H) 7.22 - 7.28 (m, 2 H) 7.67 - 7.75 (m, 1 H)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H,4'H-스피로[ 이소크로만 -4,5'- 이속사졸 ]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사용하고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103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석유 에테르 - EtOAc 97:3부터), 이어서 RP 크로마토그라피 (SP01®TM-Biotage; 구배 수성 NH4HCO3/AcCN 40:60- 20:8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5.8%.
MS: [M+H]+ = 323.78
1H-NMR: (DMSO-d6, δ: 3.36 - 3.43 (m, 1 H) 3.46 - 3.54 (m, 1 H) 3.86 (d, J=12.0 Hz, 1 H) 3.96 (d, J=12.0 Hz, 1 H) 4.69 - 4.77 (m, 1 H) 4.77 - 4.85 (m, 1 H) 7.11 - 7.18 (m, 1 H) 7.31 - 7.38 (m, 2 H) 7.43 - 7.54 (m, 2 H) 7.56 - 7.62 (m, 2 H) 7.71 (t, J=1.7 Hz, 1 H).
예 10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4- 메틸 -1- 피페라지닐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디클로로메탄 (10㎖) 중 화합물 27d (150㎎, 0.58 밀리몰)의 용액에 TEA (0.248㎖, 1.73 밀리몰), 이어서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 (122㎎, 0.748 밀리몰)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에 20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증발시킨 후, 잔사를 자동화된 이소크래틱 RP 크로마토그라피 (SP01®TM-Biotage; NH4HCO3/AcCN 55:45)로 정제하여 고무상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9%.
MS: [M+H]+ = 357.44
1H-NMR: (DMSO-d6, δ: ppm 1.98 - 2.15 (m, 2 H) 2.18 (s, 3 H) 2.22 - 2.37 (m, 4 H) 3.08 - 3.17 (m, 2 H) 3.17 - 3.23 (m, 2 H) 3.23 - 3.41 (m, 3 H) 3.45 (d, J=11.7 Hz, 1 H) 3.53 (td, J=10.2, 7.0 Hz, 1 H) 3.60 (d, J=12.0 Hz, 1 H) 7.46 - 7.53 (m, 1 H) 7.54 - 7.61 (m, 2 H) 7.66 - 7.71 (m, 1 H).
예 105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2-옥소-1- 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4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2-옥소-1-이미다졸리딘카르보닐 클로라이드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증발시킨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EtOAc - MeOH 95:5 - 8: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51.3%.
MS: [M+H]+ = 373.3
1H-NMR: (DMSO-d6, δ: ppm 2.04 - 2.23 (m, 2 H) 3.21 - 3.42 (m, 4 H) 3.49 - 3.79 (m, 6 H) 7.22 (s, 1 H) 7.46 - 7.53 (m, 1 H) 7.54 - 7.61 (m, 2 H) 7.66 - 7.71 (m, 1 H)
예 106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1- 피롤리디닐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4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클로라이드(97%)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CHCl3-MeOH/NH3 100:5, 이어서 100:0.3)로 정제하여 아이보리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72.8%.
MS: [M+H]+ = 358.35
1H-NMR: (CDCl3, δ: 1.77 - 1.96 (m, 4 H); 2.01 (dt, J=13.0, 9.2 Hz, 1 H); 2.32 (ddd, J=12.9, 6.7, 3.2 Hz, 1 H); 3.13 (d, J=17.1 Hz,1 H); 3.23 (d, J=17.4 Hz, 1 H); 3.34 - 3.49 (m, 4 H); 3.58 - 3.65 (m, 1 H); 3.71 (s, 2 H); 3.66 - 3.76 (m, 1 H); 7.32 (t, J=8.1 Hz, 1 H); 7.37 - 7.45 (m, 2 H); 7.53 (t, J=1.7 Hz, 1 H).
예 107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 피페리디노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4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클로라이드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7:3 - 3:7)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율: 37.4%.
MS: [M+H]+ = 372.3
1H-NMR: (CDCl3, δ: ppm 1.50 - 1.69 (m, 6 H) 1.99 (dt, J=13.0, 9.0 Hz, 1 H) 2.24 - 2.34 (m,1 H) 3.07 - 3.17 (m, 1 H) 3.17 - 3.33 (m, 5 H) 3.56 (ddd, J=10.6, 8.2, 2.9 Hz, 1 H) 3.60 - 3.65 (m, 1 H) 3.65 - 3.72 (m, 1 H) 3.72 - 3.77 (m, 1 H) 7.32 (t, J=7.8 Hz, 1 H) 7.38 - 7.44 (m, 2 H) 7.53 (t, J=1.7 Hz,1 H)
예 108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3- 메틸설포닐 -2-옥소-1- 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4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3-메탄설포닐-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클로라이드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M - 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1 - 1:9)로 정제하여 회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67.3%.
MS: [M+H]+ = 451.3
1H-NMR: (CDCl3, δ: ppm 2.08 - 2.23 (m, 1 H) 2.40 (dd, J=13.0, 6.8 Hz, 1 H) 3.12 - 3.27 (m,2 H) 3.34 (s, 3 H) 3.62 - 4.10 (m, 8 H) 7.33 (t, J=8.3 Hz, 1 H) 7.42 (t, J=6.6 Hz, 2 H) 7.53 (s, 1 H).
예 109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N-에틸-N-이소프로필- 카르바모일 )-1-옥사-2,7-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CH2Cl2 4㎖ 중 화합물 27d (100㎎, 0.38 밀리몰) 및 DIPEA (0.074㎖, 0.07 밀리몰)의 용액을 45분에 걸쳐 실온에서 CH2Cl2 (1㎖) 중 트리포스겐 (39.9㎎, 0.13 밀리몰) 용액중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10분간 교반시킨 다음 CH2Cl2 (1㎖) 중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070㎖, 0.576 밀리몰) 및 DIPEA (0.074㎖, 0.07 밀리몰)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밤새 휴지시킨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1 - 4:6)로 정제하여 황색의 진한 오일로서 25㎎을 수득하였다. 수율: 17.4%.
MS: [M+H]+ = 373.88
1H-NMR: (CDCl3, δ: 1.15 (t, J=7.1 Hz, 3 H) 1.19 (d, J=6.6 Hz, 3 H) 1.24 (d, J=6.6 Hz, 3 H) 2.02 (dt, J=13.1, 9.1 Hz, 1 H) 2.26 - 2.36 (m, 1 H) 3.06 (dq, J=14.2, 7.1 Hz, 1 H) 3.11 - 3.34 (m, 3 H) 3.54 - 3.62 (m, 1 H) 3.62 - 3.78 (m, 3 H) 3.96 (quin, J=6.7 Hz, 1 H) 7.29 - 7.36 (m, 1 H) 7.41 (t, J=7.6 Hz, 2 H) 7.50 - 7.55 (m, 1 H).
예 110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N- 메톡시 -N- 메틸 - 카르바모일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4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N-메톡시-N-메틸카르바모일 클로라이드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증발시킨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 - 4:6)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54.1%.
MS: [M+H]+ = 348.3
1H-NMR: (CDCl3, δ: ppm 1.98 - 2.09 (m, 1 H) 2.34 (dddd, J=12.9, 6.6, 3.2, 1.5 Hz, 1 H) 3.06 (s, 3 H) 3.15 (d, J=17.4 Hz, 1 H) 3.23 (d, J=16.9 Hz, 1 H) 3.63 (s, 3 H) 3.67 (d, J=12.2 Hz, 1 H) 3.69 - 3.82 (m, 2 H) 3.85 (dd, J=12.2, 1.5 Hz, 1 H) 7.30 - 7.35 (m, 1 H) 7.38 - 7.45 (m, 2 H) 7.53 (t, J=1.7 Hz, 1 H).
예 111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4- 피리딜카르바모일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9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에틸이소프로필아민 대신 4-아미노피리딘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및 증발시킨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EtOAc-MeOH/NH3 98:2 - 85:15)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16.4%.
MS: [M+H]+ = 381.3
1H-NMR: (CDCl3, δ: ppm 2.20 (dt, J=13.1, 9.4 Hz, 1 H) 2.43 - 2.54 (m, 1 H) 3.16 - 3.25 (m, 1 H) 3.25 - 3.34 (m, 1 H) 3.70 (d, J=11.7 Hz, 1 H)3.77 - 3.86 (m, 2 H) 4.02 (d, J=10.5 Hz, 1 H) 7.30 - 7.37 (m, 1 H) 7.39 - 7.46 (m, 2 H) 7.50 - 7.57 (m, 1 H) 7.66 (d, J=5.6 Hz, 2 H) 8.40 (d, J=5.9 Hz, 2 H).
예 11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7- 에톡시카르보닐 -1-옥사-2,7-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4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 증발시킨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 1:1)로 정제하여 담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3%.
MS: [M+H]+ = 332.79
1H-NMR: (DMSO-d6, δ: 1.19 (t, J=6.7 Hz, 3 H) 2.15 (br. s., 2 H) 3.17 - 3.28 (m, 1 H) 3.32 - 3.44 (m, 2 H) 3.44 - 3.63 (m, 3 H) 4.05 (q, J=6.6 Hz, 2 H) 7.46 - 7.53 (m, 1 H) 7.54 - 7.60 (m, 2 H) 7.68 (s, 1 H).
예 113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8,8- 디플루오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3- 트리메틸실릴에티닐 -8,8- 디플루오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화합물 113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상기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90a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99:1 내지 95:1의 석유 에테르 - EtOAc 구배로 용출시키는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Horizon®TM-Biotage)로 정제하였다. 수율: 34.1%.
3-[(6- 메틸 -2- 피리딜 )- 에티닐 ]-8,8- 디플루오로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예 3의 화합물에 대해 보고된 공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3c를 화합물 113a로 치환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내지 7:3)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6.5%.
MS: [M+H]+ = 291.39
1H-NMR: (CDCl3, δ: 1.78 - 1.94 (m, 2 H), 2.01 - 2.12 (m, 4 H), 2.12 - 2.35 (m, 2 H), 2.62 (s, 3 H), 2.98 (s, 2 H), 7.21 (d, J=7.8 Hz,1 H), 7.40 (d, J=7.6 Hz, 1 H), 7.64 (t, J=7.8 Hz, 1 H).
예 11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7- 디옥사 -2- 아자스피로[4.3]옥 -2-텐
3- 메틸렌옥세탄 (화합물 114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28a에 대해 기재된 방법론에 따르지만 1-(t.부톡시카르보닐)-3-아제티디논을 3-옥세타논으로 대체시켜 제조하였다. 반응 조 생성물은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7- 디옥사 -2- 아자스피로 [4.3] 옥-2-텐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사용하고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114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0:10 - 75:25)로, 이어서 자동화된 RP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용출제 (NH4)2CO3 1.6g/l수용액 - AcCN 1:1)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옥세타논으로부터 3.7%.
MS: [M+H]+ = 248.38
1H-NMR: (CDCl3, δ: 3.49 (s, 2 H), 4.73 (d, J=7.8 Hz, 2 H), 5.05 (d, J=8.1 Hz, 2 H), 7.32 (t, J=7.8 Hz, 1 H), 7.38 - 7.44 (m, 2 H),7.50 - 7.55 (m, 1 H).
예 115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1-옥사-3- 아자스피로[4.5]데 -2-센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사용하여 화합물 3a 대신 1-메틸렌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 - 9:1)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1:0 내지 9:1의 구배 석유 에테르 - Et2O로 수행하는 다른 정제를 필요로 하였다. 수율: 90.5%.
MS: [M+H]+ = 273.76
1H-NMR: (DMSO-d6, δ: 1.33 - 1.54 (m, 4 H) 1.54 - 1.73 (m, 6 H) 2.98 (s, 2 H) 7.48 (t, J=7.8 Hz, 1 H) 7.51 - 7.59 (m, 2 H) 7.66 (t, J=1.6 Hz, 1 H).
예 116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디플루오로메틸렌 -1-옥사-2- 아자스피로[4.5]데 -2-센
무수 THF 2.6㎖ 중 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핀의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서 무수 THF 3.9㎖ 중 디브로모디플루오로메탄의 용액에 0℃에서 15분에 걸쳐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다음 예 32(0.275g, 0.956 밀리몰)의 용액을 상기에 적가하였다. 밤새 휴지시킨 후,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사를 EtOAc에 흡수시켰다. 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 (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 - 8: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2㎎을 수득하였다. 수율: 13.7%.
MS: [M+H]+ = 322.20
1H-NMR: (DMSO-d6, δ: 1.65 - 1.86 (m, 4 H), 2.11 - 2.30 (m, 4 H), 3.05 (s, 2 H), 7.49 (t, J=7.8 Hz, 1 H), 7.52 - 7.60 (m, 2 H), 7.65 - 7.69 (m, 1H).
예 117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카르바모일 -1-옥사-2- 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96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d를 화합물 22c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1:0 - 93:7)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6.9%.
MS: [M+H]+ = 318.25
1H-NMR: (DMSO-d6, δ: 1.64 - 1.72 (m, 4 H) 3.06 (s, 2 H) 3.31 - 3.46 (m, 4 H) 5.98 (s, 2 H) 7.49 (t, J=8.1 Hz, 1 H) 7.53 - 7.59 (m, 2 H) 7.65-7.74 (m, 1 H).
예 118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2- 퓨로일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96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d를 화합물 22c로 대체하고 메틸이소시아네이트 대신 2-퓨로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5:5 - 8: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5㎎을 수득하였다. 수율: 60.2%.
MS: [M+H]+ = 369.30
1H-NMR: (DMSO-d6, δ: 1.84 (t, J=5.6 Hz, 4 H), 3.12 (s, 2 H), 3.66 (br. s., 2 H), 3.75 - 3.90 (m, 2 H), 6.63 (dd, J=3.4, 1.7 Hz, 1 H), 7.00 (d, J=3.4 Hz, 1 H), 7.49 (t, J=8.3 Hz, 1 H), 7.53 - 7.62 (m, 2 H), 7.68 (t, J=1.6 Hz, 1 H), 7.84 (d, J=1.0 Hz, 1 H).
예 119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N- 메톡시 -N- 메틸 - 카르바모일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110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화합물 27d 대신 화합물 22c로 교체하여 합성하였다. 증발시킨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 - 5:5)로 정제하여 담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율: 74%.
MS: [M+H]+ = 362.30
1H-NMR: (DMSO-d6, δ: 1.76 (t, J=5.6 Hz, 4 H), 2.84 (s, 3 H), 3.08 (s, 2 H), 3.36 - 3.49 (m, 4 H), 3.54 (s, 3 H), 7.49 (t, J=7.8 Hz, 1 H), 7.53 - 7.59 (m, 2 H), 7.67 (t, J=1.7 Hz, 1 H).
예 120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디에틸카르바모일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96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d를 화합물 22c로 대체하고 메틸이소시아네이트 대신 N,N-디에틸클로로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 - 6:4)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7.1%.
MS: [M+H]+ = 374.34
1H-NMR: (DMSO-d6, δ: 1.05 (t, J=7.0 Hz, 6 H), 1.75 (t, J=5.6 Hz, 4 H), 3.06 (s, 2 H), 3.08 - 3.17 (m, 6 H), 3.17 - 3.25 (m, 2 H), 7.49 (t, J=7.8 Hz, 1 H), 7.52 - 7.60 (m, 2 H), 7.65 - 7.69 (m, 1 H).
예 121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3- 클로로벤조일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96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d를 화합물 22c로 대체하고 메틸이소시아네이트 대신 3-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 - 6:4)로 정제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52㎎을 수득하였다. 수율: 67.5%.
MS: [M+H]+ = 413.25
1H-NMR: (DMSO-d6, δ: 1.82 (br. s., 4 H), 3.10 (br. s., 2 H), 3.33 - 3.66 (m, 3 H), 3.83 (br. s., 1 H), 7.36 - 7.41 (m, 1 H), 7.45 - 7.61 (m, 6 H), 7.67 (t, J=1.6 Hz, 1 H).
예 12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에톡시카르보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112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d를 화합물 22c로 교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 8:2)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2%.
MS: [M+H]+ = 347.27
1H-NMR: (DMSO-d6, δ: 1.19 (t, J=7.1 Hz, 3 H), 1.73 (t, J=5.7 Hz, 4 H), 3.07 (s, 2 H), 3.37 - 3.55 (m, 4 H), 4.05 (q, J=7.1 Hz, 2 H), 7.49 (t, J=8.6 Hz, 1 H), 7.53 - 7.61 (m, 2 H), 7.67 (t, J=1.7 Hz, 1 H).
예 123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1- 피롤리디닐카르보닐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106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c를 화합물 22d로 교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7:3 - 3:7)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52㎎을 수득하였다. 수율: 72.6%.
MS: [M+H]+ = 372.42
1H-NMR: (DMSO-d6, δ: 1.67 - 1.83 (m, 8 H), 3.07 (s, 2 H), 3.15 - 3.29 (m, 8 H), 7.49 (t, J=7.8 Hz, 1 H), 7.52 - 7.61 (m, 2 H), 7.67 (t, J=1.7 Hz,1 H).
예 12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디메틸카르바모일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5] 데-2-센
표제 화합물을 예 95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c를 화합물 22d로 교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3:7 - 0:1 까지)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6.2%.
MS: [M+H]+ = 346.29
1H-NMR: (DMSO-d6, δ: 1.75 (t, J=5.5 Hz, 4 H), 2.75 (s, 6 H), 3.07 (s, 2 H), 3.10 - 3.27 (m, 4 H), 7.49 (t, J=7.6 Hz, 1 H), 7.53 - 7.60 (m, 2 H), 7.67 (t, J=1.6 Hz, 1 H).
예 125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t. 부톡시카르보닐 )-6- 메톡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1-(t. 부톡시카르보닐 )-3- 메톡시 -4-메틸렌- 피롤리딘 (화합물 125a)
실온의 질소 대기하에서 교반시킨, THF 8㎖ 중, 문헌: L Alcaraz et. al., Organic Letters, 2001, vol. 3, no. 25, p. 4051 - 405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1-(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4-메틸렌-피롤리딘 (0.257g, 1.29 밀리몰)의 용액에 NaH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메틸 요오다이드 (0.057g, 1.42 밀리몰)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밤새 휴지시킨 후, 반응을 물로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여,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증발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9:1 - 7: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5㎎을 수득하였다. 수율: 60%.
MS: [M+H]+ = 391.42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t. 부톡시카르보닐 )-6- 메톡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4.4]노 -2-넨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c에 대해 기재된 공정에 따라, 화합물 3b 대신 화합물 31f를 사용하고 화합물 3a 대신 화합물 125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잔사를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Isolera®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 - 1:1)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6%.
MS: [M+H]+ = 391.42
1H-NMR: (DMSO-d6, δ: 1.42 (s, 9 H), 3.22 - 3.28 (m, 1 H), 3.33 (s, 3 H), 3.35 - 3.57 (m, 5 H), 3.75 (br. s., 1 H), 7.50 (t, J=7.6 Hz, 1 H), 7.54 - 7.61 (m, 2 H), 7.70 (t, J=1.6 Hz, 1 H).
예 126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에톡시카르보닐 -6- 메톡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6- 메톡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화합물 126a)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1c에 대해 보고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1b를 예 125의 화합물로 대체하고 용매로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조 잔사는 다음 반응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S: [M+H]+ = 291.24
3-(3- 클로로페닐 - 에티닐 )-8- 에톡시카르보닐 -6- 메톡시 -1-옥사-2,8- 디아자스피로 [4.4] 노-2-넨
표제 화합물을 예 104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방법에 따르지만 화합물 27d를 화합물 126a로 대체하고 4-메틸-1-피페라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로 대체하여 합성하였다. 통상적인 후처리 후, 조 생성물을 자동화된 플래쉬 크로마토그라피(SP01®TM-Biotage; 구배 석유 에테르 - EtOAc 8:2 - 1:1 까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2.6%.
MS: [M+H]+ = 363.43
1H-NMR: (CDCl3, δ: 1.29 (q, J=6.6 Hz, 3 H), 3.00 (dd, J=17.9, 12.5 Hz, 1 H), 3.42 (s, 3 H), 3.50 - 3.84 (m, 6 H), 4.12 - 4.23 (m, 2H), 7.33 (t, J=7.6 Hz, 1 H), 7.38 - 7.45 (m, 2 H), 7.54 (t, J=1.5 Hz, 1 H).
예 127
mGlu5 수용체 서브타입에 대해 선택된 길항제의 친화성
래트의 뇌내 대사형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5에서의 방사성리간드 결합 검정
방법
a) 멤브레인 제조: 수컷 Sprague Dawley 래트 (200-300g, Charles River, Italy)를 경추탈골에 의해 죽여 전뇌(피질, 선조체 및 해마)를 Politron 균질화기 (Kinematica)를 사용하여, 50 vols의 냉 50mM Tris 완충액, pH 7.4에서 균질화시켰다 (2x20초). 균질물을 48000xg에서 15분간 원심분리시키고 50 vols의 상기와 동일한 완충액에 다시 현탁시켜, 37℃에서 15분간 배양시킨 다음 원심분리시키고 2회 이상 다시 현탁시켰다. 최종 펠릿을 동결시키고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b) 결합 검정: 래트의 전뇌로부터의 펠릿을 100 vols의 20mM Tris HEPES, 2mM MgCl2, 2mM CaCl2, pH 7.4에 다시 현탁시켰다. 상기 멤브레인을 1㎖의 최종 용적으로 60분간 25℃에서 경쟁 약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4nM [3H]MPET와 함께 배양시켰다. 비-특이적 결합은 10 μM MPEP의 존재하에서 측정되었다 (Spooren W. et al., Trends Pharmacol Sci. 22, 331-337, 2001). 냉 Tris 완충액 pH 7.4를 첨가함으로써 배양을 중단시키고 0.5% 폴리에틸렌이민 선처리된 Filtermat 1204-401 (Wallac) 필터를 통하여 신속하게 여과하였다. 이후 상기 필터를 냉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필터상에 남아있는 방사능을 액체 섬광 분광분석법으로 계수하였다.
c) 데이타 분석: 시험된 화합물에 의한 방사성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의 억제를 분석하여, 비-선형 곡선-핏팅 소프트웨어 Prism 4.0 (Graphpad, San Diego, CA)을 사용함으로써 억제 농도 50% (IC50) 값을 산정하였다. 상기 IC50 값은 Cheng & Prusoff (Cheng, Y.C.& Prusoff, W.H. Biochem. Pharmacol. 22, 3099-3108, 1973)의 등식을 사용하여 친화성 상수(Ki)로 전환시켰다.
결과
mGlu5 수용체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친화성 (Ki)는 0.1과 1000nM 사이이다. 예를 들어, 예 12의 화합물의 Ki는 3.88 nM이며 예 110의 화합물의 Ki는 1.49 nM이다.
예 128
mGlu1 수용체 서브타입에 대해 선택된 길항제의 친화성
래트의 뇌내 대사형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1에서의 방사성리간드 결합 검정
방법
a) 멤브레인 제조: 수컷 Sprague Dawley 래트 (200-300g, Charles River, Italy)를 경추탈골에 의해 죽여 소뇌를 Politron 균질화기 (Kinematica)를 사용하여, 50 vols의 냉 50mM Tris 완충액, pH 7.4에서 균질화시켰다 (2x20초). 균질물을 48000xg에서 15분간 원심분리시키고 50 vols의 상기와 동일한 완충액에 다시 현탁시켜, 37℃에서 15분간 배양시킨 다음 원심분리시키고 2회 이상 다시 현탁시켰다. 최종 펠릿을 동결시키고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b) 결합 검정: 래트의 소뇌로부터의 펠릿을 100 vols의 50mM Tris, 1.2mM MgCl2, 2mM CaCl2, pH 7.4에 다시 현탁시켰다; 상기 멤브레인을 1㎖의 최종 용적으로 30분간 0℃에서 경쟁 약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1.5nM [3H]R214127과 함께 배양시켰다. 비-특이적 결합은 1 μM R214127 (Lavreysen H et al Mol. Pharmacol. 63:1082-1093, 2003)의 존재하에서 측정되었다. 냉 Tris 완충액 pH 7.4를 첨가함으로써 배양을 중단시키고 0.5% 폴리에틸렌이민 선처리된 Filtermat 1204-401 (Wallac) 필터를 통하여 신속하게 여과하였다. 이후 상기 필터를 냉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필터상에 남아있는 방사능을 액체 섬광 분광분석법으로 계수하였다.
c) 데이타 분석: 시험된 화합물에 의한 방사성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의 억제를 분석하여, 비-선형 곡선-핏팅 소프트웨어 Prism 4.0 (Graphpad, San Diego, CA)을 사용함으로써 억제 농도 50% (IC50) 값을 산정하였다. 상기 IC50 값은 Cheng & Prusoff (Cheng, Y.C.& Prusoff, W.H. Biochem. Pharmacol. 22, 3099-3108, 1973)의 등식을 사용하여 친화성 상수(Ki)로 전환시켰다.
결과
mGlu1 수용체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친화성은 mGlu5 수용체에 대한 이들의 친화성 보다 적어도 10배이다.
예 129
그룹 II (mGlu2+mGlu3) 수용체 서브타입에 대해 선택된 길항제의 친화성
래트의 뇌내 그룹 II 대사형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에서의 방사성리간드 결합 검정
방법
a) 멤브레인 제조: 수컷 Sprague Dawley 래트 (200-300g, Charles River, Italy)를 경추탈골에 의해 죽여 전뇌(피질, 선조체 및 해마)를 Politron 균질화기 (Kinematica)를 사용하여, 50 vols의 냉 50mM Tris 완충액, pH 7.4에서 균질화시켰다 (2x20초). 균질물을 48000xg에서 15분간 원심분리시키고 50 vols의 상기와 동일한 완충액에 다시 현탁시켜, 37℃에서 15분간 배양시킨 다음 원심분리시키고 2회 이상 다시 현탁시켰다. 최종 펠릿을 동결시키고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b) 결합 검정: 래트의 전뇌로부터의 펠릿을 빙냉 검정용 완충액 (10mM 인산칼륨 + 100nM 브롬화칼륨, pH 7.6)으로 3회 세척하였다. 최종 펠릿을 200 vols의 상기 검정용 완충액에 다시 현탁시키고 멤브레인을 1㎖의 최종 용적으로 30분간 0℃에서 1nM [3H]LY341495와 함께 경쟁 약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배양시켰다. 비-특이적 결합은 1 mM 1-글루타메이트 (Wright R.A. et al. J. Pharmacol. Exp. Ther. 298:453-460, 2001; Mutel V et al. J.Neurochem. 75, 2590-2601, 2000)의 존재하에서 측정되었다. 냉 Tris 완충액 pH 7.4를 첨가함으로써 배양을 중단시키고 0.5% 폴리에틸렌이민 선처리된 Filtermat 1204-401 (Wallac) 필터를 통하여 신속하게 여과하였다. 이후 상기 필터를 냉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필터상에 남아있는 방사능을 액체 섬광 분광분석법으로 계수하였다.
c) 데이타 분석: 시험된 화합물에 의한 방사성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의 억제를 분석하여, 비-선형 곡선-핏팅 소프트웨어 Prism 4.0 (Graphpad, San Diego, CA)을 사용함으로써 억제 농도 50% (IC50) 값을 산정하였다. 상기 IC50 값은 Cheng & Prusoff (Cheng, Y.C.& Prusoff, W.H. Biochem. Pharmacol. 22, 3099-3108, 1973)의 등식을 사용하여 친화성 상수(Ki)로 전환시켰다.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00 nM까지 그룹 II (mGlu2+mGlu3) 대사형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에 결합하는 [3H]LY341495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예 130
이노시톨 포스페이트의 축적량으로서 mGlu5 수용체에서의 기능적 활성의 결정
mGlu5 수용체에서 시험 화합물의 작동 방식 (작용제, 길항제 또는 역작용제)을 결정하기 위하여, 작용제 (글루타메이트 또는 퀴스퀄산)에 대한 반응으로 mGlu5 수용체를 발현시키는 세포에서 측정된, 이노시톨 포스페이트 생산의 자극의 농도 의존성을 상이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자체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비교하였다.
세포를 글루타메이트-분해 효소 (1U/㎖ 글루타메이트 피루베이트 트랜스아미나제) 및 세포로부터 방출된 글루타메이트의 가능한 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2mM 피루베이트와 함께 미리 배양시킨다. 이어서 10mM LiCl, 및 상이한 농도의 작용제 (글루타메이트 또는 퀴스퀄산) 또는 작용적 활성에 대해 시험할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극을 수행하였다.
길항제 활성을 연구할 경우, 작용제를 첨가하기 20분전에 시험 화합물을 세포 배양물에 가하여 작용제의 존재하에서 추가로 배양시켰다.
빙냉 과염소산을 첨가하여 배양을 중단시키고 이어서 샘플을 중화시킨 다음,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Amersham Biosciences로부터의 The Biotrak D-myo-이노시톨 1,4,5-트리포스페이트 검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노시놀 포스페이트 (IP) 축적량의 측정에 이용하였다. D-myo-이노시톨 1,4,5-트리포스페이트 (IP3)는 튜브 당 0.19 내지 25 pmol (0.08 내지 10.5 ng)의 범위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검정법에서, 표지시키지 않은 IP3는 고정된 양의 [3H]-표지된 IP3와 제한된 수의 소의 부신 IP3 결합 단백질에 대해 경쟁한다. 이후 결합된 IP3를 원심분리에 의해 자유 IP3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원심분리는 결합 단백질이 튜브의 바닥으로 가도록 한다. 이어서, 상등액 중의 자유 IP3는 단순한 경사에 의해, 튜브에 접착하는 결합된 분획을 남겨둠으로써 폐기시킬 수 있다. 튜브중 방사성의 측정은 표준 곡선으로부터 보간법에 의해 샘플중의 비표지된 IP3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EC50/IC50은 소프트웨어 Prism 4.0 (Graphpad, San Die해, CA)을 사용하는 비선형 회귀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길항적 활성을 나타냈다.
예 131
의식있는 래트에서의 방광내압측정에 대한 효과
방법:
Charles River Italia에서 공급되는, 체중이 300-400g인 수컷 Sprague-Dawley 래트[Crl: CD®SD) IGS BR]를 사용하였다. 동물을 사료와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하며 가두어놓고 강제로 12시간-명/12시간-암 사이클로 22 내지 24℃의 온도에서 실험 기간을 제외하고, 유지시켰다. 의식있는 래트에서 요역학(urodynamic) 인자를 정량하기 위하여, 문헌(Guarneri et al., Pharmacol. Res. 24: 175, 1991)에 이미 보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방광내압측정그래프 연구를 수행하였다.
간략하게, 3㎖/㎏의 Equithensin 용액 (펜토바르비탈 30㎖/㎏ 및 클로랄 수화물 125㎎/㎏)을 복강내 주사하여 래트를 마취시키고 앙아위(supine position)로 놓았다. 면도하여 깨끗하게 만든 복부 벽에 대략 10㎜ 길이로 중앙선을 절개하였다. 결합 조직으로부터 방광을 부드럽게 유리시켜, 비우고 이어서 폴리에틸렌 캐뉼라 (0.58㎜ 내경, 0.96㎜ 외경)를 사용하여 방광 바디내 절개를 통해 삽관하는데, 캐뉼라는 실크사를 사용하여 영구적으로 봉합하였다. 상기 캐뉼라는 동물에 의해 제거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견갑골 뒤 영역의 피하 터널을 통하여 몸밖으로 내보냈다. 약물 시험을 위하여, 이식한 지 1일 후 래트를 이용하였다.
실험날, 래트를 개량된 Bollman 케이지, 즉, 정상적으로 쭈그린 자세를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크기만, 주위를 도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좁은 제한 케이지에 넣었다. 약 20분의 안정기 후, 0.1㎖/분의 일정한 속도로, 따뜻한(37℃) 염수 용액을 방광에 연속적으로 주입하기 위하여, 방광 캐뉼라의 유리 팁을 T자형 튜브를 통하여 압력 변환기 (Statham P23XL) 및 연동펌프 (Gilson Minipuls 2)에 연결하였다. 방광으로 염수를 주입하는 동안 관광내 압력 시그날 (방광내압측정도)을 폴리그래프 (Biomedica Mangoni로부터의 BM614/2 증폭기가 장착되어 있는 Rectigraph-8K San-ei) 상에 연속해서 기록하거나 데이타 수집 시스템 (PowerLab, Chart 4 software, AD Instruments)에 의해 PC에 저장하였다. 방광내압측정도로부터, 방광 용적 용량(BVC)을 평가하였다. BVC(㎖로)는 배뇨근 수축에 이어 배뇨를 유발시키는데 필수적인 방광으로 주입된 염수의 용적으로 정의된다. 기본적인 BVC 값은 초기 30 내지 60분간 기록된 방광내압측정도에서 관찰된 수치의 평균으로 평가하였다. 이 검정법에서는 이때, 주입을 중단하고 시험 화합물을 위관에 의해 경구적으로 투여하였다. 방광 주입을 다시 시작하고 BVC에서의 변화를 처리후 1, 2, 및 3시간동안 관찰된 방광내압측정도에서 수득한 평균값으로부터 평가하였다. 본 화합물은 2㎖/㎏의 용적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의 동물에게는 수(water) 중 0.5% 메토셀 용액에 상응하는 동일한 양의 비히클을 공급하였다.
제시된 시험 조건하에서, BVC의 측정량은 배뇨간 시간 간격의 측정량과 등가이다.
통계학적 분석
각각의 실험군은 4 내지 11마리의 동물로 구성하였다. 모든 데이타는 평균± 표준오차로 표시하였다. BVC 대 기본적인 값의 변화 퍼센트, 뿐만 아니라 BVC의 △값 (차, ㎖로)("x"시간에서의 BVC - 기본적인 값)을 또한 각 래트/시간에 대해 평가하였다. 도면에는, 데이타가 %변화 대 기본적인 값으로 보고되어 있다.
BVC 값, 뿐만 아니라 △값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은 S.A.S./STAT 소프트웨어, version 6.12로 수행하였다. 비히클과 활성 처리 효과간의 차는 BVC의 △값에 대해 평가되는 반면, 상이한 시점에서의 값 대 기본적인 값간의 차는 원래의 BVC 데이타에 대해 평가되었다.
결과
0.1 내지 10 ㎎/㎏ p.o.으로 투여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은 방광 용적 용량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 ㎎/㎏의 투여량으로 경구적으로 투여된, 참고 화합물 MTEP는 방광 용적 용량의 약간의 증가만을 나타낸 반면, 3 ㎎/㎏의 투여량은 상기 인자의 한결같은 증가를 유발시켰는데, 이는 처리한 지 3시간 후 비히클 군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참고 표준물질의 활성은 MED (즉, 방광 용적 용량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유발하는 최소 유효 투여량)으로 표시하였다. MTEP는 3의 MED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의 경우 MED가 등가이거나 더 좋았다. 예를 들어, 예 78의 화합물은 3의 MED를 나타냈다.
예 132
3차 신경절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래트의 경막에서의 혈장 일혈(extravasation)
3차 신경절의 전기적 자극으로 경막에 염증이 유발되고 이는 혈장 일혈을 일으킨다. 이 동물 모델은 편두통에 유용한 약물을 시험하기 위하여 널리 채택된다.
체중이 175 내지 190g인 수컷 Wistar 래트에게 펜토바르비탈 50 ㎎/㎏ i.p.로 마취시키고 약물의 주사를 위하여 경정맥에 삽관한다. 동물을 입체정위 프레임에 놓는다. 브레그마(bregma)로부터 측면에서 3.0㎜, 뒤쪽에서 3.2㎜ 대칭적 보어홀(borehole)을 뚫고 전극을 경막으로부터 9.5㎜ 아래에 놓는다. 시험 화합물 또는 대조-비히클 용액을 우측 3차 신경절을 전기 자극 (5분; 2.0mA, 5 Hz, 5분간 지속)하기 10분전에 정맥내 투여하고 Evans 블루(30 ㎎/㎏ i.v.)를 혈장 단백질 일혈의 마커로서 전기 자극 5분전에 제공한다. 자극기 종결한지 15분 후, 동물에게 좌심실을 통하여 50 ㎖ 염수로 관류시켜 혈관내 Evans 블루를 제거한다. 경막을 제거하여, 건조 블로팅시키고 칭량한다. 조직 Evans 블루는 50℃에서 0.3 ㎖ 포름아미드중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다. 염료 농도는 620㎚ 파장에서 분광광도계로 측정하고, 표준 곡선상에서 보간하여 조직 중량 ㎎ 당 Evans 블루 함량 ng으로 표시한다.
일혈(extravasation)은 자극면의 Evans 블루 함량을 비자극면의 Evans 블루 함량으로 나누어 계산된 몫으로 표시한다.
예 133
개에서의 GERD 모델
Beagle 개에게 만성 식도류성형술을 수행하여 식도와 위를 따라 마노메터 카테테르(manometric catheter)와 pH 프로브가 통과하도록 한다. 하부식도괄약근과 위의 기본적인 압력을 기록한 다음, 평가하의 화합물과 대조용 비히클을 정맥내 경로로 투여한다.
일시적인 하부식도괄약근 이완 (TLESRs) 및 위산역류는 산성화된 사료를 주입한 다음, 문헌: Stakeberg J. and Lehmann A., (Neurogastroenterol. Mot. (1999) 11: 125-132)에 따라서, 40㎖/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연동펌프를 사용하여 위를 확대시켜 유발시킨다. 활성 화합물은 투여량-의존적으로 TLESRs 및 위산역류와 상관된 TLESRs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활성은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두 인자의 억제%로 측정한다.
예 134
래트에서의 동물 갈등 시험(Vogel Conflict Test)
불안완화 활성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음 문헌에 기재된 바에 따른다: Vogel et al. as "Anxiolytics increase punished drinking"(Vogel J.R., Beer B., Clody D.E. A simple and reliable conflict procedure for testing anti-anxiety agents Psychopharmacologia, 21, 1-7, 1971).
대략 48시간 동안 래트에게 물을 공급하지 않고, 1 ㎝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막대로 이루어진 바닥이 있는 투명한 Plexiglas 우리 (15 x 32 x 34 ㎝)에 개별적으로 넣었다. 상기 우리의 뒷벽은 불투명한 Plexglas로 만들어 실험 동물로부터 관찰자를 은폐시켰다. 바닥으로부터 위로 5 ㎝에 있는 반대편 벽의 중앙에는 금속 물기둥을 케이지로 돌출시켜 쇼크 발생기의 막대 하나에 연결하였다. 쇼크 발생기의 다른 막대는 금속 그리드 바닥에 연결하였다.
래트는 물기둥을 발견할 때 까지 답사하도록 내버려 두었다. 이어서, 물을 마실때 마다, 래핑(lapping)을 시작한지 2초후 약한 전기 쇼크(1.7mA, 1초)를 받도록 하였다. 벌을 받게 되는 음수(drinks)의 횟수를 3분간의 시험중 계수하였다. 시험은 블라인드 수행하였다.
시험 화합물은 시험 60분전에 p.o. 투여하였고,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예 135
조작적인 알코올 자가-투여 훈련
약물남용 모델을 평가하고 이런 행동을 방지하는데 있어 본 발명 화합물의 활성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Samson(1986)에 의해 이미 기재된 훈련 프로토콜의 개량법을 사용하여 경구적으로 에탄올을 자가-투여하도록 래트를 훈련시켰다. 간략하면, 3일 연속 훈련하기전 12시간 동안 래트에게 물을 박탈하고 고정비 1 (FR1) 강화 스케쥴하에 2개의 레버상에서 0.1-㎖ 방울의 0.2% (w/v) 사카린 용액에 대해 반응하도록 래트를 훈련시켰다. 초기 트레이닝 후, 물 박탈을 종결하고, 후속되는 훈련 및 시험을 통하여 이들의 홈 케이지에서 음식과 물에 동물들이 자유롭게 접근하였다. 박탈하지 않은 래트에게는 2개의 추가적인 사카린 기간을 제공하여 에탄올 자가 투여 훈련이 시작되기 전에 이들이 사카린에 반응하도록 습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다음 3일간의 기간 동안, 오른쪽 레버에서의 반응으로 5% (w/v) 에탄올 + 0.2% 사카린 용액 0.1㎖가 전달되었다. 왼쪽 레버에서의 반응은 기록되지만 프로그램된 결과는 없었다. 그후, 에탄올의 농도를 처음에는 8%까지, 이후 10% w/v로 증가시키고 사카린의 농도는 사카린이 음용수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감소시켰다.
10% w/v 에탄올 농도에 대한 최종 강화 스케쥴은 자극 광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훈련 스케쥴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30-분의 기간중, 활성 레버상에서의 반응으로 에탄올 0.1㎖가 전달되며, 또한, 2초간의 자극 광이 비춰졌다. 왼쪽 레버는 불활성인 상태로 남아 있었다. 래트가 이들 조건하에서 안정한 에탄올 자가-투여에 도달하였을 때, 에탄올 자가 투여에 대해 i.p. 투여 후 시험된 화합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작용제는 자가-투여 기간 시작 30분전에 투여하였다.
예 136
래트에서의 신경병증 통증 시험(Bennett)
신경병증 통증이 있는 래트에서 진통 활성을 검출하는 시험은 하기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다: Bennett and Xie (Bennett G.J., Xie Y.K., A peripheral mononeuropathy in rat that produces disorders of pain sensation like those seen in man, Pain, 33, 87 - 107, 1988).
래트에서 통상의 좌골신경의 만성 협착 손상은 통각과민, 이질통증 및 자발통과 관련있으며, 따라서 인간에서의 말초 신경병증 통증에 대한 모델을 구성한다. 통각과민치료제는 통증 과민반응의 이러한 만성적인 사인(signs)을 감소시킨다.
래트 (150 내지 200g)를 마취시키고 (나트륨 펜토바르비탈 40 ㎎/㎏ i.p.) 대퇴 중간 수준에서 절개를 수행하여 통상의 왼쪽 좌골신경을 노출시켰다. 1 ㎜ 이격되어 있는 4개의 결찰사를 좌골신경 주변에 느슨하게 묶었다. 이후 손상된 부위를 봉합하였다. 래트를 회복시켰다. 수술 후 1주일 경과 후, 만성 통증 상태가 완전히 성립되었을 때, 래트에게 두 발바닥 모두에 촉각 및 열 자극을 연속적으로 주었다.
촉각 자극의 경우, 동물을 인버티드 아크릴계 플라스틱 박스 (17x11x14 ㎝)하에서 그리드 바닥에 놓았다. 이어서 전자 Von Frey 프로브의 팁을 흥분되지 않은 발바닥과 흥분된 발바닥에 힘을 증가시키면서 인가하고 유발 족부 빼기를 유발하는 힘을 자동적으로 기록하였다. 이 공정을 3회 수행하고 족부 당 평균 힘을 계산하였다.
열적 자극의 경우, 장치는 거상된 유리 바닥위에 놓여 있는 각각의 아크릴계 플라스틱 박스 (17x11x14 ㎝)로 구성되어 있다. 래트를 상기 박스에 넣고 습관이 되도록 10분간 자유롭게 방치시켰다. 이후, 이동식 적외선 방사원 (96 ± 10 mW/㎠)을 먼저 비-병소 발바닥, 이어서 병소화된 발바닥 아래에 촛점을 맞추고 족부 빼기 잠재기 (paw-withdrawal latency)를 자동적으로 기록하였다.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공급원은 45초 후 자동적으로 소등되었다.
약물 치료를 하기 전에 모든 동물에게 발바닥에 촉각적 자극을 주었으며 병소화된 발바닥의 통증 반응의 기준에 매칭되는 치료군으로 배당하였다.
그룹 당 8마리의 래트를 연구하였다. 시험은 블라인드로 수행되었다.
시험 화합물은 시험 60분 전에 p.o.투여되었으며, 비히클 대조군 (증류수중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과 비교하였다.
예 137
마우스 모델에서의 대뇌변연계 간질발생
FMRP (fragile X mental retardation protein)은 대뇌변연계 간질발생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FXS 환자의 간질에 대해 향상된 감수성은 과도한 신경 자극에 대한 취약성을 완화시키는 중요한 항상성 인자를 소실한 직접적인 결과이다.
12주령의 성인 마우스에 대해 사이클의 명기(light phase) 중에 FMR1 돌연변이 마우스 (mGluR5의 발현이 감소된 녹아웃(knockout) 마우스)에서 발화 실험(kindling experiments)을 수행하였다.
꼬인 양극성 전극을 펜토바르비탈 (60 ㎎/㎏) 마취하에서 동물의 오른쪽 편도선 (좌표계: 브레그마 측면 2.9 ㎜ 및 뒤쪽 1.2 ㎜, 경막 아래 4.6 ㎜)에 이식하였다. 이후 동물을 10일간 회복시킨다. 각 마우스에 대한 전위기록 발작 역치(EST)를 50 1A에서 시작하는 60 Hz에서의 1-ms 이중상 사각형 펄스의 1-s 트레인을 인가함으로써 측정하였다. 10 1A씩 증가하는 추가적인 자극은 전위기록 발작이 적어도 5초간 지속될 때까지 2분 간격으로 투여하였다. EST 강도에서의 자극을 계속해서 하루에 한번 인가하였다. EEGs 및 행위적 발작이 관찰되었으며 기록하였다. 발작의 행위적 징후의 심화도는 Racine(1972)의 기준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완전 발화된 것은 클래스 4 이상의 연속적인 발작이 3회 일어난 것으로 정의된다. 모든 외과수술과 발화 공정은 유전자형에 대해 블라인드로 수행하였다.
편도선에 전극을 외과적으로 이식한 각각의 유전자형의 자극되지 않은 대조군 동물은 동일하게 취급하지만 자극하지 않았다. 전극 배치는 메틸 그린 피로닌-Y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전극이 정확하게 놓여있는 동물로부터 유래한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시험된 약물은 클래스 5의 발작-유발 자극 30분전에 복강내 주사로 투여되었다.
예 138
6-하이드록시도파민-병소화된 래트
이 모델은 뇌에서의 파킨슨씨 병소를 재현하고 약물의 보호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고 탄탄한 모델이다.
흑색선조계의 병소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암컷 Sprague-Dawley 래트(180 내지 220 g)에게 정위 외과술을 행하였다. 각 실험군내에서, 동물의 절반에게는 염수중 0.01% 아스코르브산과 함께 6-하이드록시도파민 (6-OHDA)을 선조체내 주사한 반면(병소화된 동물), 나머지 동물에게는 염수중 0.01% 아스코르브산을 선조체내 주사하였다 (대조군 동물). 6-OHDA의 일방적인 선조체내 주사를 위한 외과 방식: 래트를 나트륨 펜토바르비톤 (60 ㎎/㎏, i.p.)으로 마취시키고 Kopf 정위 장치에 놓는데, 여기서 머리를 뒤로 젖힌 두개골 위치로 (-3.0 ㎜) 제한시켰다. 두피의 중앙선을 절개하고 두개골을 통하여 적절한 좌표에 천두공(burr hole)을 뚫었다. 이를 통하여, 30 게이지의 블런트-팁을 갖는 캐뉼라를 사용하여 왼쪽 선조체중으로 뇌속 주사를 운반하였다. 주사에 대한 정위 좌표는 다음과 같다: Paxinos & Watson의 지도에 따르면, 브레그마로부터 안쪽으로 0.3 ㎜ 및 측면으로 3.0 ㎜, 및 피질 표면으로부터 복부쪽으로 5.2 ㎜. 병소화된 래트에게는 2.5 ㎍/㎕ 6-OHDA/0.01% (w/v) 아스코르브산 4 ㎕를 투여한 반면, 대조군 래트에게는 염수/0.01% (w/v) 아스코르브산 4 ㎕를 투여하였다. 주사는 0.6 ㎕/분의 속도로 운반하였으며 바늘은 주사 후 천천히 빼기 전에 10분간 그 위치에 그대로 두었다. 두개골을 밀봉한 후, 절개면을 밀폐시키고 동물을 회복시켰다.
시험된 화합물은 유도된 병소 14일 전에 투여하였다. 선조체 도파민작동성 신경 말단의 소실로부터 시험된 화합물의 보호는 [3H]-마진돌 자기방사법으로 평가하였다.
정위 외과술 후 7일 경과 후, 래트를 가볍게 마취시키고 (CO2/O2: 80/20) 참수시켰다. 뇌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액체 질소상에서 동결시킨 다음, 섹션화하기전에 -40℃에 보관하였다.
Reichert Jung 저온유지장치(cryostat)를 사용하여 Paxinos & Watson의 지도에 따라 Bregma로부터 +0.30 ㎜ 수준에서 선조체의 연속적인 관상면 14 ㎛ 섹션을 절단하였다. 섹션들은 폴리-L-리신 코팅된 슬라이드상에 장착된 상태로 해동시킨 다음 사용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3H]-마진돌 자기방사법을 사용하여 래트의 뇌로부터 취한 선조체의 섹션내 도파민작동성 신경 말단을 가시화시켰다. 모든 자기방사술 단계는 비-특이적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4℃에서 수행하였다.
선조체의 슬라이드 장착된 섹션은 120mM NaCl 및 5mM KCl을 함유하는 50mM Tris-HCl 용액 (pH 7.9)중에서 15분간 미리 배양시켰다. 이후 섹션을 60분간 4nM [3H]-마진돌과 함께 300mM NaCl과 5mM KCl을 함유하는 50mM Tris-HCl 용액 (pH 7.9)에서 배양시켰다. 데시프라민 (DMI; 300nM)을 모든 배양 용액에 포함시켜 노르아드레날린작동성 흡수 부위에서의 비-선택적인 [3H]-마진돌 결합을 방지하였다. 도파민 흡수 부위의 선택적인 억제제인, 노미펜신 (100 μM)을 사용하여 비-특이적 결합을 측정하였다. 섹션을 빙냉 배양 완충액중에서 2회 (2x3분) 세척하여 과량의 [3H]-마진돌을 제거하고 냉각, 건조 공기의 스트림하에서 건조시켰다.
일단 건조하고, 방사성표기된 섹션을 Hyperfilm-3H에 덧붙여 21일간 노출시킴으로써 선조체 도파민작동성 신경 말단 밀도의 화상이 필름상에 현상되도록 하였다. 노출시간 이후, 필름을 Phenisol X-선 현상기에서 5분간 현상하고, stopbath의 약한 용액에서 간단하게 세정한 다음, Hypam X-선 정착액에서 10분간 정착시켰다.
컴퓨터-보조되는 농도계를 사용하여 필름 화상의 광학 밀도를 정량하였다. 상기 시스템은 [3H]-표준을 사용하여 눈금을 매겨, nCi mm-2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특이적 결합은 전체 결합으로부터 비-특이적 결합 화상을 빼줌으로써 결정하고, 전체 선조체에서 측정하였다.
데이타 분석
평균 광학 밀도 및 상기 평균의 표준오차를 각 동물에 대해 적어도 3개의 연속적인 선조체의 관상면 섹션에서 취한 독립적인 측정치로부터 결정하였다.

Claims (16)

  1. 일반식 I:
    Figure pct00006

    을 갖는 화합물로서,
    X는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 질소,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CH, CH2, N, 또는 NH 성분을 나타내고;
    R2는 원자가 결합 또는 CH 또는 CH2 기를 나타내고;
    R3은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트리사이클릭 C1-C13 헤테로사이클릭기;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 임의로 치환된 C3-C6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C3-C6 사이클로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1이 탄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바이사이클릭 C1-C9 헤네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아미노, 카르바모일,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또는 화학식 -C(=O)-R6인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6은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또는 바이사이클릭 C1-C9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 바이-, 또는 트리사이클릭 C6-C14 아릴기를 나타내고; 또는
    R4 및 R5는 함께 옥소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메틸렌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기를 나타내고; 또는
    R4 및 R5는 R1과 함께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0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불포화 4 내지 6원 고리를 나타내고;
    R1이 산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는 존재하지 않고;
    R1가 질소 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 중 하나는 존재하지 않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고;
    R1이 황원자를 나타낼 때;
    R4 및 R5 각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옥소기를 나타내고;
    m은 1, 2 또는 3이고;
    n은 1 또는 2이고;
    n이 2이거나 m이 2 또는 3일 때, R1을 함유하는 고리는 임의로 치환된 벤젠 고리와 접합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은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단 하나의 이중 결합이 R3-C≡C- 에 결합된 탄소 원자로부터 연장되고, 어떤 고리 탄소 원자도 두 개의 이중 결합을 갖지 않고;
    상기 선택적 치환체들은 할로겐 원자와 C1-C6 알킬, C1-C6 알콕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니트로, 시아노, 옥소,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알킬설포닐, C1-C6 알킬카르보닐, 설파모일, C1-C6 알킬설파모일, 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콕시카르보닐 및 (C1-C6)알킬카르보닐(C1-C6)알킬기, 및 화학식  -NR*R*,  -C(=O)-NR*R*,  -A,  -O-A,  -C(=O)-A, -(CH2)q-A, -NR**-A, -C(=O)NR**-A, -NR**C(=O)-A 및 -O-C(=O)-A 기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 또는 C1-C6 알킬카르보닐, 페닐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1 내지 6 사이의 정수이고, A는 페닐기 또는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C1-C8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각 기 A는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니트로 및 C1-C6 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기들과 임의로 치환되고;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질소 산화물 및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 제 1항에 있어서,
    X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결합을 나타내고, 이중 결합이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X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1a는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장된 이중 결합을 갖는 CH 기 또는 R1a에서 R3-C≡C-이 결합된 탄소 원자로 연장된 단일 결합을 갖는 CH2 기를 나타내고, R2는 CH2 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C3-C5 헤테로모노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며; 또는 R3은 화학식 -C(=O)-R3인 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본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은 메틸, 이소프로필, 부틸, 페닐, 3-(t 부틸)-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5-플루오르페닐, 2-시아노페닐, 3-시아노페닐, 3-에톡시페닐, 3-에틸페닐, 2-플루오르페닐, 3-플루오르페닐, 4-플루오르페닐, 3-하이드록시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3-메톡시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3-(3-메틸-[1,2,4]-옥사디아졸-5-일)-페닐, 3-니트로페닐, 3-트리플루오르메톡시페닐, 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 2-피리딜, 4-클로로-2-피리딜, 5-클로로-2-피리딜, 5-플루오르-2-피리딜, 6-플루오르-2-피리딜, 4-메틸-2-피리딜, 6-메톡시-3-피리딜, 6-메틸-2-피리딜, 4-트리플루오르메틸-2-피리딜, 3-피리딜, 6-플루오르-3-피리딜, 2-퓨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라지닐, 2-메틸-1,3-티아졸-4-일 또는 2-퓨로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탄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사이클릭 C3-C5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록시, 메르캅토, 아미노, 카르바모일,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기, 또는 화학식이 -C(=O)-R6 인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6은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기,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모노사이클릭 C3-C5 헤테로사이클릭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탄소 원자, R4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 원자 또는 2-피리딜 또는 2-피리딜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플루오린 원자 또는 시아노, 하이드록시 또는 에톡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탄소 원자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함께 옥소, 메틸렌, 디플루오르메틸렌, 2-피리딜메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에틸렌디옥시, 프로필렌디옥시, 옥시에틸, 옥시프로필, 메틸렌옥시메틸렌, 하이드록시이미노, 메톡시이미노, 1-카르복시-3-하이드록시-프로폭시이미노 또는 2-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이미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탄소 원자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함께 화학식이 -(Yp)- 인 기를 나타내고, 단 인접한 두 개의 Y 성분은 산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고, p는 3 내지 5 사이의 정수이고 각 Y는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메틸렌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제 9항에 있어서,
    R4 및 R5는 함께 화학식이 -O-CH2CH2-O-, -O-CH2CH2CH2-O-, -O-CH2CH2-, -O-CH2CH2CH2-, -CH2-O-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F2CH2CH2-인 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C3-C5 헤테로모노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R5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3-시아노-2-피라지닐, 3-니트로-2-피리딜 또는 3-니트로-6-메틸-2-피리딜기를 나타내고; R5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존재하지 않고; R5는 알콕시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디아킬카르바모일, N-알콕시-N-알킬카르바모일 또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4.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존재하지 않고; R5는 에톡시카르보닐, 3-클로로벤조일, 2-퓨로일, 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3-메틸설포닐-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 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N-메톡시-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또는 4-피리딜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5. 제 1항에 있어서,
    3-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페닐에티닐-8-(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6-메틸-2-피리딜)-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티에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피리딜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플루오르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플루오르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4-플루오르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퓨릴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메틸-1,3-티아졸-4-일)-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프로-1-피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메틸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메톡시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시아노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티에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피리딜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3-메틸-[1,2,4]옥사디아졸-5-일)-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메틸부-1-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헥-1-시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시아노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3-시아노-2-피라지닐)-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메틸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클로로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2-피라지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페닐에티닐-8-(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8-아자스피로[4.5]데-3-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3]옥-2-텐,
    4-페닐에티닐-9-(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4-센,
    4-페닐에티닐-9-(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9-아자스피로[5.5]운크-3-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옥소-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메틸렌-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메톡시이미노-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6-메틸-2-피리딜)-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플루오르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3]옥-2-텐,
    3-(3-하이드록시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플루오르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3]옥-2-텐,
    3-(3-클로로페닐-에티닐)-8-(2-피리딜메틸렌)-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하이드록시-8-(2-피리딜메틸)-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페닐에티닐-8-옥소-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페닐에티닐-8-하이드록시이미노-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페닐에티닐-8-(2-옥소-3-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록시-이미노)-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6-메틸-2-피리딜)-에티닐]-8-시아노-8-(2-피리딜)-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5-플루오르-2-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6-메틸-2-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6-플루오르-2-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6-플루오르-2-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니트로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2-메틸-1,3-티아졸-4-일)-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메톡시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클로로-5-플루오르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메틸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에톡시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트리플루오르메톡시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t. 부틸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시아노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플루오르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에틸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이소프로필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4-클로로-2-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4-메틸-2-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4-트리플루오르메틸-2-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5-클로로-3-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2-퓨로일-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페닐에티닐-8-(1-카르복시-3-하이드록시-프로폭시이미노)-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8-디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6-메틸-2-피리딜)-에티닐]-1,8-디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4-클로로-2-피리딜)-에티닐]-1,8-디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옥사-8-티아-2-아자스피로[4.5]데-2-센 8,8-디옥사이드,
    3-(3-클로로페닐-에티닐)-1,7-디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9-디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메틸페닐-에티닐)-1,9-디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하이드록시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3]옥-2-텐,
    3-(3-시아노페닐-에티닐)-7-(6-메틸-3-니트로-2-피리딜)-1-옥사-2,7-디아자스피로[4.3]옥-2-텐,
    3'-(3-클로로페닐-에티닐)-2,3-디하이드로-3-하이드록시-4'H-스피로[인덴-1,5'-이속사졸],
    3'-(3-클로로페닐-에티닐)-2,3-디하이드로-3-옥소-4'H-스피로[인덴-1,5'-이속사졸],
    3'-(3-클로로페닐-에티닐)-2,3-디하이드로-3-메톡시이미노-4'H-스피로[인덴-1,5'-이속사졸],
    3-(3-클로로페닐-에티닐)-1,9-디옥사-2-아자디스피로[4.2.3.2]트리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9,13-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5.2]펜타데-2-센,
    3'-[(6-메틸-2-피리딜)-에티닐]-2,3-디하이드로-3-하이드록시-4'H-스피로[인덴-1,5'-이속사졸],
    3-(3-클로로페닐-에티닐)-1-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8-디플루오르-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메틸페닐-에티닐)-1-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6-메톡시-3-피리딜)-에티닐]-1,9,12-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2-센,
    3'-[(6-메틸-2-피리딜)-에티닐]-2,3-디하이드로-3-옥소-4'H-스피로[인덴-1.5'-이속사졸],
    3'-[(6-메틸-2-피리딜)-에티닐]-2,3-디하이드로-3-메톡시이미노-4'H-스피로[인덴-1,5'-이속사졸],
    3-(3-클로로페닐-에티닐)-7-디메틸카르바모일-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카르바모일-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1-옥사-2-아자-디스피로[4.1.3.1]운데-2-센,
    3-(3-메틸페닐-에티닐)-1,9,13-트리옥사-2-아자디스피로-[4.2.5.2]펜타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옥사-2-아자스피로[4.3]옥-2-텐,
    3-(3-클로로페닐-에티닐)-1,10-디옥사-2-아자디스피로[4.2.3.2]트리데-2-센,
    3-[(4-클로로-2-피리딜)-에티닐]-8,8-디플루오르-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4-클로로-2-피리딜)-에티닐]-8-에톡시카르보닐-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H,4'H-스피로[이소크로만-4,5'-이속사졸],
    3-(3-클로로페닐-에티닐)-7-(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1-피롤리디닐카르보닐)-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피페리디노카르보닐-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3-메틸설포닐-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카르보닐)-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N-에틸-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N-메톡시-N-메틸-카르바모일)-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4-피리딜카르바모일)-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3-클로로페닐-에티닐)-7-에톡시카르보닐-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노-2-넨,
    3-[(6-메틸-2-피리딜)-에티닐]-8,8-디플루오르-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1,7-디옥사-2-아자스피로[4.3]옥-2-텐,
    3-(3-클로로페닐-에티닐)-1-옥사-3-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디플루오르메틸렌-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카르바모일-1-옥사-2-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2-퓨로일)-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N-메톡시-N-메틸-카르바모일)-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디에틸카르바모일-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3-클로로벤조일)-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에톡시카르보닐-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1-피롤리디닐카르보닐)-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디메틸카르바모일-1-옥사-2,8-디아자스피로[4.5]데-2-센,
    3-(3-클로로페닐-에티닐)-8-(t.부톡시카르보닐)-6-메톡시-1-옥사-2,8-디아자스피로[4.4]노-2-넨, 또는
    3-(3-클로로페닐-에티닐)-8-에톡시카르보닐-6-메톡시-1-옥사-2,8-디아자스피로[4.4]노-2-넨,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16.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담체와 혼합된 용매화물, 수화물,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질소산화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
KR1020137003488A 2010-07-09 2011-07-08 Mglu5 대항체로서의 신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KR101862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294410P 2010-07-09 2010-07-09
US61/362,944 2010-07-09
PCT/EP2011/061690 WO2012004400A1 (en) 2010-07-09 2011-07-08 Novel spiroheterocyclic compounds as mglu5 antagonis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153A true KR20130097153A (ko) 2013-09-02
KR101862626B1 KR101862626B1 (ko) 2018-05-31

Family

ID=4450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488A KR101862626B1 (ko) 2010-07-09 2011-07-08 Mglu5 대항체로서의 신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580962B2 (ko)
EP (1) EP2590985B1 (ko)
JP (1) JP2013529673A (ko)
KR (1) KR101862626B1 (ko)
CN (1) CN103097391B (ko)
AU (1) AU2011275696B2 (ko)
BR (1) BR112013000529B1 (ko)
CA (1) CA2800930C (ko)
EA (1) EA023020B1 (ko)
ES (1) ES2492694T3 (ko)
HK (1) HK1179248A1 (ko)
IL (1) IL223330A (ko)
MX (1) MX2013000300A (ko)
NZ (1) NZ603868A (ko)
SG (1) SG186107A1 (ko)
UA (1) UA110343C2 (ko)
WO (1) WO2012004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113223C2 (xx) * 2012-08-13 2016-12-26 Арилетинілпіримідини
US9593127B2 (en) * 2014-12-29 2017-03-14 Recordati Ireland Ltd. Heterocyclylalky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mGluR5 receptors
KR102035048B1 (ko) 2015-06-03 2019-10-22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에틴일 유도체
CN107903265A (zh) * 2017-11-21 2018-04-13 毛琳琳 一种新型螺环类杀虫剂的制备方法及应用
CN116351472A (zh) * 2023-02-22 2023-06-30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精馏生产异氰酸酯的制备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3241B (en) 1999-04-20 2004-06-21 Hoffmann La Roche Carbamic acid derivatives
US6548522B1 (en) * 1999-10-12 2003-04-15 Hoffmann-La Roche Inc. Method for treating conditions related to the glutamate receptor using carboxylic acid amide derivatives
SV2002000205A (es) 1999-11-01 2002-06-07 Lilly Co Eli Compuestos farmaceuticos ref. x-01095
PT1294358E (pt) 2000-06-28 2004-12-31 Smithkline Beecham Plc Processo de moagem por via humida
US6369222B1 (en) 2000-07-18 2002-04-09 Hoffmann-La Roche Inc. mGluR antagonists and a method for their synthesis
GB0322612D0 (en) * 2003-09-26 2003-10-29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GB0508318D0 (en) * 2005-04-25 2005-06-01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DE102005044813A1 (de) 2005-05-19 2007-10-04 Grünenthal GmbH Substituierte Spiro-Verbindungen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WO2008032191A2 (en) * 2006-09-13 2008-03-20 Astrazeneca Ab Spiro-oxazolidino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potenti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29673A (ja) 2013-07-22
EA201270799A1 (ru) 2013-05-30
MX2013000300A (es) 2013-02-27
SG186107A1 (en) 2013-01-30
CN103097391B (zh) 2015-04-08
NZ603868A (en) 2014-08-29
EA023020B1 (ru) 2016-04-29
CA2800930C (en) 2018-08-21
US8580962B2 (en) 2013-11-12
IL223330A (en) 2015-09-24
AU2011275696B2 (en) 2016-02-11
CA2800930A1 (en) 2012-01-12
UA110343C2 (en) 2015-12-25
US20120059015A1 (en) 2012-03-08
BR112013000529A2 (pt) 2016-05-24
ES2492694T3 (es) 2014-09-10
CN103097391A (zh) 2013-05-08
WO2012004400A1 (en) 2012-01-12
KR101862626B1 (ko) 2018-05-31
EP2590985A1 (en) 2013-05-15
BR112013000529B1 (pt) 2019-11-19
HK1179248A1 (en) 2013-09-27
EP2590985B1 (en) 2014-05-14
IL223330A0 (en) 2013-02-03
AU2011275696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2870C2 (ru) Трициклические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соединения и ингибиторы jak
AU2023202086A1 (en) Antagonists of the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4
US9139594B2 (en) Fused aminodihydropyrimidone derivatives
CN109923116B (zh) 作为pde2抑制剂的[1,2,4]三唑并[1,5-a]嘧啶衍生物
EP2404922B1 (en) Quinoxaline compounds
KR20100098714A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물질로서의 벤조푸로피리미디논
KR20110031355A (ko) 1,2―이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TW200800908A (en) Novel azacyclyl-substituted aryldihydroisoquinolinon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CN113557235A (zh) 用于药物治疗的杂环化合物
TW201625625A (zh) 做為pde2抑制劑之經取代的[1,2,4]三唑并[1,5-a]嘧啶-7-基化合物
TW201144323A (en) Amino-oxazines and amino-dihydrothiazine compounds as Beta-secretase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EP2178858B1 (en) Novel heterocyclic compounds as mglu5 antagonists
CN112654608B (zh) 具有脲结构的稠环化合物
KR101862626B1 (ko) Mglu5 대항체로서의 신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EP3828174A1 (en) Pyridazinone derivative
CN111094293A (zh) 作为pde7抑制剂的取代的苯并噁唑和苯并呋喃化合物
US20100317630A1 (en) Novel heterocyclic compounds as mglu5 antagonists
EP1325909A1 (en) Tricyclic indole compounds having affinity for serotonin receptor
EP2516446B1 (en) Substituted hexahydrochromeno[3,4-b]pyrroles with affinity for the serotonin receptor (5-ht) family
Guzi DNA topoisomerase II inhibitors: elucidation of the structural requirements for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