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604A -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604A
KR20130096604A KR1020120018188A KR20120018188A KR20130096604A KR 20130096604 A KR20130096604 A KR 20130096604A KR 1020120018188 A KR1020120018188 A KR 1020120018188A KR 20120018188 A KR20120018188 A KR 20120018188A KR 20130096604 A KR20130096604 A KR 20130096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rmented
germinated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523B1 (ko
Inventor
조규성
Original Assignee
아담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담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담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5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민들이 즐겨먹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곡물을 1차적으로 발아시킨 후 발아 곡물을 다시 발효시켜 수득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하여 피부탄력과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품을 제공하며, 동시에 피부 자극이 없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은,
곡물을 발아하는 곡물발아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발아 곡물을 건조시키는 발아곡물세척및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발아 곡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 내지 3mm 크기로 분쇄한 후, 용기에 분쇄된 발아 곡물과 셀룰라아제를 투입하여 발효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발효전처리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 효소 추출물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큰 입자를 1차 여과한 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를 2차 여과하는 여과단계와;
멸균기를 이용하여 11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15 내지 30 분간 멸균 처리하는 멸균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국민들이 즐겨먹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곡물을 1차적으로 발아시킨 후 발아 곡물을 다시 발효시켜 수득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하여 피부탄력과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품을 제공하며, 동시에 피부 자극이 없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Making Method of Facial moisturizer.}
본 발명은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민들이 즐겨먹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곡물을 1차적으로 발아시킨 후 발아 곡물을 다시 발효시켜 수득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하여 피부탄력과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품을 제공하며, 동시에 피부 자극이 없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기는 노화의 증상은 다양하다.
화장품업계에서는 건조, 탄력저하, 주름생성, 기미와 주근깨 등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이런 노화의 증상들을 지연시키고 개선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왔다.
이런 노화의 증상들의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그 첫 번째 요인은 유전적인 요인으로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에 영향을 받는 것이다.
두 번째는 표정근육의 움직임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인간이 웃거나 찡그리거나 할 때 자연적으로 생기는 것인데 이것은 계속적으로 어떤 힘을 가해주면 어느 정도 개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세 번째 원인은 피부 진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그리고 이것들을 분해하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증가로 주름살이 생기고 피부가 쳐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양이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UV에 의한 것인데 UV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여러 원인들에 의해 주름살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피부 탄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이에 여성들은 주름살과 탄력 개선을 위해 기능성 화장료에 눈을 돌려 왔으며 이미 전 세계적으로 큰 시장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주름과 탄력 개선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최소 3개월 이상 제품을 사용해야 가시적인 효과가 있지만 소비자들은 점점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제품을 원하고 있다.
따라서, 주름 개선 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하기 어려운 각종 추출물들을 연구하고, 해당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하여 상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지만, 추출물 자체가 고가이어서 화장품의 제조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어 소비자들이 쉽게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이 즐겨 먹고 건강한 삶을 누렸던 곡식들을 이용하여 주름 개선 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단기간 내에 제공하는 제조 방법을 개시하게 되었다.
없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민들이 즐겨먹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곡물을 1차적으로 발아시킨 후 발아 곡물을 다시 발효시켜 수득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인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은,
곡물을 발아하는 곡물발아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발아 곡물을 건조시키는 발아곡물세척및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발아 곡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 내지 3mm 크기로 분쇄한 후, 용기에 분쇄된 발아 곡물과 셀룰라아제를 투입하여 발효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발효전처리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 효소 추출물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큰 입자를 1차 여과한 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를 2차 여과하는 여과단계와;
멸균기를 이용하여 11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15 내지 30 분간 멸균 처리하는 멸균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국민들이 즐겨먹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곡물을 1차적으로 발아시킨 후 발아 곡물을 다시 발효시켜 수득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하여 피부탄력과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품을 제공하며, 동시에 피부 자극이 없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을 사용자가 바르게 되면 면역활성 증대, 항산화효과 증대, 타이로시나아제 억제효과(미백효과), 콜라겐 생합 성능 증대효과, 엘라스타아제 억제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은,
곡물을 발아하는 곡물발아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발아 곡물을 건조시키는 발아곡물세척및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발아 곡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 내지 3mm 크기로 분쇄한 후, 용기에 분쇄된 발아 곡물과 셀룰라아제를 투입하여 발효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발효전처리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 효소 추출물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큰 입자를 1차 여과한 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를 2차 여과하는 여과단계와;
멸균기를 이용하여 11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15 내지 30 분간 멸균 처리하는 멸균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에 화장료를 혼합하여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는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곡물발아단계에서,
발아시키기 위한 곡물은 현미 20 중량부, 녹두 15 중량부, 검정깨 5 중량부, 수수 10 중량부, 율무 10 중량부, 서리태 20 중량부, 약콩(서목태)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곡물발아단계에서,
발아되는 곡물의 길이가 5mm일 경우에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3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DL-판테놀 0.3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0.04 중량부, 에탄올 4 중량부,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85.94 중량부에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2 중량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1.5 중량부, 스테아릴 알콜 1.5 중량부, 카보머 0.12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60 1.3 중량부,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경화식물유 1 중량부,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부, 스쿠알란 3 중량부, 사이클로메치콘 2 중량부, 디메치콘 0.8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5 중량부, 쉐어버터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3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 중량부, 트리 에탄올아민 0.12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66.46 중량부에 혼합하여 영양에센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3 중량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2 중량부, 세테아릴알콜 2.2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밀납 1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부,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중량부, 경화식물유 1 중량부, 스쿠알란 4 중량부,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부, 쉐어버터 2 중량부, 디메치콘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베타인 3 중량부, 트리 에탄올아민 1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62 중량부에 혼합하여 영양크림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발효 화장품은,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1 내지 3 중량%와 잔량으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의 발효 화장품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은,
곡물을 발아하는 곡물발아단계(S100)와;
상기 발아 곡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발아 곡물을 건조시키는 발아곡물세척및건조단계(S200)와;
상기 건조된 발아 곡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 내지 3mm 크기로 분쇄한 후, 용기에 분쇄된 발아 곡물과 셀룰라아제를 투입하여 발효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발효전처리단계(S300)와;
상기 발아 곡물 효소 추출물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400)와;
상기 발효된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큰 입자를 1차 여과한 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를 2차 여과하는 여과단계(S500)와;
멸균기를 이용하여 11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15 내지 30 분간 멸균 처리하는 멸균처리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곡물발아단계(S100)에서 발아시키기 위한 곡물은 현미, 녹두, 검정깨, 수수, 율무, 서리태, 약콩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배합 비율은 발아시키기 위한 곡물은 현미 20 중량부, 녹두 15 중량부, 검정깨 5 중량부, 수수 10 중량부, 율무 10 중량부, 서리태 20 중량부, 약콩(서목태)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은깨의 경우에는 레시틴이 풍부하여 추출물의 탁도가 좋지 않고 산화 및 산폐로 인한 안정성에 문제가 될 수 있어 조성비를 상기와 같이 조정하여 탁도를 개선하고 안정성을 높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채택한 곡물은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면서 저렴한 우리 조상들이 즐겨먹고 건강한 삶을 누렸던 상기와 같은 현미, 녹두, 검정깨, 수수, 율무, 서리태, 약콩을 선별하였다.
이는 장기간 실험을 통해 선정한 것으로서, 가장 최적의 배합 비율을 개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곡물발아단계에서 발아되는 곡물의 길이가 5mm일 경우에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싹의 길이가 1cm 이상일 경우에는 씨앗의 성장을 위해 에너지들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유효 성분의 역가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길이 정도에서 수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발아 곡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발아 곡물을 건조시키는 발아곡물세척및건조단계(S200)를 거치게 된다.
발아 곡물 선택시, 현미는 처음 벼를 발아시켜 사용했는데 그에 따른 문제점으로 왕겨(벼의 껍질)에는 곰팡이와 세균들이 세척 후에도 그대로 존재하였다.
멸균을 하지만 곰팡균 등은 열에 대한 저항이 강해 100% 사멸시키기 어렵고, 균들의 분열이 빠르게 진행되어 제품의 안정성에 문제 소지가 크다.
또한, 수수, 율무, 녹두의 껍질 부분도 문제 소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껍질을 벗겨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약 5mm 정도 새순이 자란 곡물들은 발아과정을 중단하고 물로 5회 정도 깨끗이 세척 후 그늘진 곳에서 건조시킨다.
이때, 곡물이 썩지 않도록 자주 뒤집어 주고, 선풍기 등을 사용하여 자연바람을 활용하는게 좋다.
건조를 위해 온풍기, 열풍기를 사용할 경우 열과 강한 바람에 약한 유효성분들이 파괴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건조된 발아 곡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 내지 3mm 크기로 분쇄한 후, 용기에 분쇄된 발아 곡물과 셀룰라아제를 투입하여 발효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발효전처리단계(S3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발효전처리단계를 통해 발효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며, 곡물이 부풀려지고 효소에 의해 섬유질이 1차 분해되어지기 때문에 발효가 저온에서 일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분쇄된 발아 곡물 30 중량부에 효소(셀룰라아제) 1 중량부, 정제수 69 중량부를 혼합하여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발아 곡물 효소 추출물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400)를 거치게 된다.
즉, 발효조에 효소 처리된 곡물과 유산균 종균 배양액을 투입해 저온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게 되며, 예를 들어 50L 발효조에 효소 처리된 곡물과 유산균 종균 배양액 500mL를 투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효단계(S400)를 수행하기 위한 유산균 배양은 발효시키기 전에 미리 진행하게 된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늄을 종균 배양한 후 효소전처리 단계에서 생성된 발아 곡물의 효소물 배지에 접종하게 된다.
상기 발효단계에서는 생물적 전환 과정(바이오컨버전 : bioconversion)에 의한 새로운 기능성분이 생성되게 된다.
즉, 생물적 전환은 생물군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식물을 재료로 하여 발효시켜 메탄, 알코올, 수소 등을 추출하여 이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발효시 유산균이 가지고 있는 효소들에 의해 발아된 곡물들을 미세한 입자로 분해하여 영양 성분을 증대시키고, 새로운 성분들이 생성되어 지는 과정을 상기한 바이오컨버전이라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발효를 통해 단백질 성분들이 분해되어 펩타이드, 아미노산 등을 생성하고, 유산균이 가지고 있는 항균, 항염 성분들이 생성되게 된다.
이후, 상기 발효된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큰 입자를 1차 여과한 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를 2차 여과하는 여과단계(S500)를 거치게 된다.
1차 여과시 사용되는 메쉬 여과망은 바람직하게는 200메쉬(74㎛) 여과망을 이용하게 되며, 2차 여과시 사용되는 메쉬 여과망은 3메쉬(1㎛) 여과망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및 2차 여과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작업의 효율성과 여과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1차 여과로 큰 입자들을 여과하여 2차 여과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가압 여과 과정에서 필터보다 입자가 큰 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인 것이다.
이후, 멸균기를 이용하여 11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20분 간 멸균 처리하는 멸균처리단계(S6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멸균처리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멸균기(오토클레이브)를 통해 수행하게 되며, 화장품에 사용되는 곡물 추출물의 경우에는 1~6 개월 이상 장시간 보관하고 피부의 안전성을 위해 병원성 세균, 곰팡이균등을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단계가 마무리되면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이 형성되는데, 상기 발효 추출물에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면 해당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즉,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에 화장료를 혼합하여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는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에서 유연화장수를 획득하기 위하여,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3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DL-판테놀 0.3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0.04 중량부, 에탄올 4 중량부,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85.94 중량부에 혼합하게 된다.
또한,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에서 영양에센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2 중량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1.5 중량부, 스테아릴 알콜 1.5 중량부, 카보머 0.12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60 1.3 중량부,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경화식물유 1 중량부,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부, 스쿠알란 3 중량부, 사이클로메치콘 2 중량부, 디메치콘 0.8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5 중량부, 쉐어버터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3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 중량부, 트리 에탄올아민 0.12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66.46 중량부에 혼합하게 된다.
또한,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에서 영양크림을 획득하기 위하여,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3 중량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2 중량부, 세테아릴알콜 2.2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밀납 1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부,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중량부, 경화식물유 1 중량부, 스쿠알란 4 중량부,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부, 쉐어버터 2 중량부, 디메치콘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베타인 3 중량부, 트리 에탄올아민 1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62 중량부에 혼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1 내지 3 중량%와 잔량으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게 된다.
실험예 1
상기 발아 곡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크림과 발아 곡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간의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함량 비율
성분 함량(%)
발아곡물발효추출물 3.0 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2.0 2.0
세테아릴알콜 2.2 2.2
스테아린산 1.5 1.5
밀납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경화식물유 1.0 1.0
스쿠알란 4.0 4.0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쉐어버터 2.0 2.0
디메치콘 1.0 1.0
글리세린 5.0 5.0
베타인 3.0 3.0
트리에타올아민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메칠파라벤 0.1 0.1
향신료 0.1 0.1
증류수 62 65
합 계 100 100
본 발명의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발아 곡물의 발효추출물을 각각 3%(v/v)를 함유하고 있는 표 1에서 발아 곡물의 발효추출물을 증류수로 대체한 영양크림을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2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에는 실험군을 다른쪽 면에는 비교예를 사용하여 6주 후의 피부탄력과 주름 개선 효과를 Skin visiometer(C+K, 독일)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평가하여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로 한 피부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 결과는 하기의 표 2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화장품 피부탄력 유효율(%)
우수 약간 없음
발아곡물발효추출물이 함유된 크림 15 3 2 90.0
발아곡물발효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크림 2 4 14 30.0
화장품 주름개선 유효율(%)
우수 약간 없음
발아곡물발효추출물이 함유된 크림 12 4 4 80.0
발아곡물발효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크림 2 4 14 30.0
실험 결과에 의하면 발아 곡물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발아 곡물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피부탄력과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대부분의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곡물을 발아하는 곡물발아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발아 곡물을 건조시키는 발아곡물세척및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발아 곡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 내지 3mm 크기로 분쇄한 후, 용기에 분쇄된 발아 곡물과 셀룰라아제를 투입하여 발효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발효전처리단계와;
    상기 발아 곡물 효소 추출물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큰 입자를 1차 여과한 후, 메쉬 여과망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를 2차 여과하는 여과단계와;
    멸균기를 이용하여 11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15 내지 30 분간 멸균 처리하는 멸균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에 화장료를 혼합하여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는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발아단계에서,
    발아시키기 위한 곡물은 현미 20 중량부, 녹두 15 중량부, 검정깨 5 중량부, 수수 10 중량부, 율무 10 중량부, 서리태 20 중량부, 약콩(서목태)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발아단계에서,
    발아되는 곡물의 길이가 5mm일 경우에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3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DL-판테놀 0.3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0.04 중량부, 에탄올 4 중량부,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85.94 중량부에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2 중량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1.5 중량부, 스테아릴 알콜 1.5 중량부, 카보머 0.12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60 1.3 중량부,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경화식물유 1 중량부,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부, 스쿠알란 3 중량부, 사이클로메치콘 2 중량부, 디메치콘 0.8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5 중량부, 쉐어버터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3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 중량부, 트리 에탄올아민 0.12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66.46 중량부에 혼합하여 영양에센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화장료조성물형성단계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3 중량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2 중량부, 세테아릴알콜 2.2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밀납 1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부,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중량부, 경화식물유 1 중량부, 스쿠알란 4 중량부,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부, 쉐어버터 2 중량부, 디메치콘 1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베타인 3 중량부, 트리 에탄올아민 1 중량부,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향신료 0.1 중량부를 증류수 62 중량부에 혼합하여 영양크림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 1 내지 3 중량%와 잔량으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11.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발아 곡물의 발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의 발효 화장품.


KR1020120018188A 2012-02-22 2012-02-22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40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88A KR101403523B1 (ko) 2012-02-22 2012-02-22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88A KR101403523B1 (ko) 2012-02-22 2012-02-22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04A true KR20130096604A (ko) 2013-08-30
KR101403523B1 KR101403523B1 (ko) 2014-06-11

Family

ID=4921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188A KR101403523B1 (ko) 2012-02-22 2012-02-22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52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372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59446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317700A (zh) * 2020-04-02 2020-06-23 安赛搏(重庆)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以水稻幼芽原料发酵制作化妆品基础水的方法
KR102171334B1 (ko) * 2020-03-12 2020-10-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74660B1 (ko) 2020-08-20 2020-11-05 (주)브이에스신비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2020-08-20 2020-11-10 (주)브이에스신비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2021-04-06 2021-09-24 (주)브이에스신비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05854B1 (ko) 2021-08-09 2022-06-08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바람꽃 유래 락토바실러스 쿤키 Hankook-001 균주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3319B1 (ko) 2021-08-09 2022-10-1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락토바실러스 쿤키 Hankook-001 균주를 이용한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그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987B1 (ko) 2016-12-02 2018-11-21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20210034320A (ko)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필메카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2227539B1 (ko) 2020-07-30 2021-03-15 (주)디마인화장품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KR102608452B1 (ko) 2020-12-16 2023-11-29 한성호 발효화장품 제조방법
KR20230086336A (ko) 2021-12-08 2023-06-15 한성호 발효화장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4093B2 (ja) * 2005-11-10 2011-07-27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372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59446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1334B1 (ko) * 2020-03-12 2020-10-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1317700A (zh) * 2020-04-02 2020-06-23 安赛搏(重庆)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以水稻幼芽原料发酵制作化妆品基础水的方法
KR102174660B1 (ko) 2020-08-20 2020-11-05 (주)브이에스신비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2020-08-20 2020-11-10 (주)브이에스신비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2021-04-06 2021-09-24 (주)브이에스신비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05854B1 (ko) 2021-08-09 2022-06-08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바람꽃 유래 락토바실러스 쿤키 Hankook-001 균주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3319B1 (ko) 2021-08-09 2022-10-1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락토바실러스 쿤키 Hankook-001 균주를 이용한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그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523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523B1 (ko)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4260B1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활성, 항산화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촉진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6393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4825A (ko) 소리쟁이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16B1 (ko) 피부보습,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성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3589B1 (ko)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3067B1 (ko)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170357B2 (ja) 育毛・発毛用外用剤
KR101326102B1 (ko) 홍국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7170A (ko) 닥나무 또는 그 추출물의 발효방법, 그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5702A (ko)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8538B1 (ko) 인삼 열매 귀부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1423B1 (ko) 기능성 화장품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