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067B1 -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067B1
KR101533067B1 KR1020130054659A KR20130054659A KR101533067B1 KR 101533067 B1 KR101533067 B1 KR 101533067B1 KR 1020130054659 A KR1020130054659 A KR 1020130054659A KR 20130054659 A KR20130054659 A KR 20130054659A KR 101533067 B1 KR101533067 B1 KR 10153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oybean
fermented
aureobasidium pullulan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572A (ko
Inventor
김선여
이기원
이택환
허병석
김대응
조동운
최동열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샘표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샘표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0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40Fermented products; Products treated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두 발효물은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발현의 억제 활성이 있어, 콜라겐이 쉽게 분해되는 것을 막고, 콜라겐의 합성의 전구체인 타입-1 프로콜라겐 (Procollagen type-1) 생성을 증가시켜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므로, 상기 대두 발효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의 방수성 외부층의 발달 기능을 잘 수행케 하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skin moisturing comprising Soybean fermented by Pichia jadinii and Aureobasidium pullulans bacteria}
본 발명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증상이 주름(wrinkle)이다. 주름은 나이를 나타내는 하나의 현상으로서, 주름이 생기는 대표적인 원인은 피부의 진피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콜라겐의 분해에 기인한다. 피부의 콜라겐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이 저하되기도 하나,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콜라겐 분해 효소(Matrix Metallo Proteinase, MMP-1)의 활성도가 높아지면서 콜라겐이 쉽게 분해되어 주름의 생산이 증가 되는 임상 보고들도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MMP-1 생성의 저해 및 활성을 억제하여 근본적으로 생성되는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콜라겐 분해 효소(Matrix Metallo Proteinase, MMP)는 다형핵성호중구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대식세포 (Macrophage), 섬유아세포 (Fibroblast)등과 같은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칼슘 및 아연 의존성 엔도펩티다제 (Endopeptidase)로 중성 pH에서 작용하며, 기질로서 여러 가지 세포의 기질을 이용한다. 주로 피부에서는 MMP-1, MMP-2, MMP-9 이외에 여러 가지 효소들이 작용을 하는데 콜라겐 분해와 관련되어 가장 근본적으로 작용하는 효소는 MMP-1이다.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종래의 물질로는 레티노이드(RE36068),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베툴린산(JP8-208424) 등이 있으며, 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천연물들이 MMP-1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름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또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하여 피부 표면에 바르는 화장품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직접 피부 표면에 적용되는 외용제 및 화장품은 진피층까지 흡수되지 못하고, 표피에만 작용하므로 피부노화 방지효과가 일시적이고, 그 부작용으로 피부가 손상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경구용으로 체내에 투여할 수 있는 먹는 화장품 및 식품 개발이 최근 들어 시도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식품 중 하나인 대두는 일반적으로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의 급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된장, 간장 등의 발효식품 및 두부, 콩나물, 콩가루 등의 비발효 식품까지 그 용도가 다양하게 사용되어 온 식품 재료로서 최근에 노화 및 피부미백을 비롯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대두의 피부노화 및 피부미백, 보습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며, 대두를 이용한 피부미용 제품 출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04-0106893에는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05-0079478에는 대두를 바실러스균으로 발효하여 얻은 청국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콩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두를 바실러스균으로 발효하여 얻은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등록특허 10-0810006)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바실러스균 만을 사용한 단일 균주 배양으로 콩 발효물을 제조하여 콩 발효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콩 영양소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피부미용에 효과적인 물질의 생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한 대두의 피부노화 및 피부보습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무모생쥐(hairless mouse)를 이용하여 조직면역학적 관찰과 여러 분자생물학적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한 대두가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하며, 타입 1 프로콜라겐의 생성을 증가시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보습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복합균주를 대두에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균으로 18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대두를 발효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두(Glycine max MERR.)"는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의 열매이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된다. 줄기는 높이가 60cm 내지 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근류(뿌리혹)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콩의 단백질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 있고, 다른 식물성 단백질에서 부족되기 쉬운 라이신(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콩의 지방은 대부분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레산으로 혈중의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대두는 알파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대두는 외피로 둘러싸여져 효소분해 작용을 받기 어려워 외피를 파괴하는 과정을 거쳐야 대두안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미생물의 효소작용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습식과 건식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증기를 사용하는 습식방법은 추후 제조공정상 외부미생물에 불안정한 원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건식방법에 의한 전처리 방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방법에 의한 외피의 파괴 및 열을 이용한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변성은 효소분해 수율을 높이고, 더욱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단백질의 구조를 파괴하여 효소분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두 발효물"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를 대두에 접종하여 발효배양하여 수득한 생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은 2 내지 4 대 6 내지 8의 혼합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의 생육속도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생육속도 보다 2배 이상 빠르므로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을 보다 많이 접종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대두 발효물은 복합 균주 종배양액을 발효액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대두에 접종하여 발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두 발효물은 복합 균주 종배양액을 발효액량 대비 1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대두에 접종하여 발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두 발효물은 접종된 복합 균주로 대두를 발효 배양시킬 때, 발효조에 첨가하는 대두의 함량이 전체 함량 대비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발효조에 첨가하는 대두의 함량은 전체 함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경우 대두의 발효를 촉진시켜 피부에 유익한 대사산물을 다량 생성하고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유익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는 20 ℃ 내지 40 ℃에서 10 시간 내지 30 시간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복합균주를 사용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은 균의 종류마다 그 발효 메커니즘이 상이하여 상호 보완을 통해 풍부한 발효산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의 복합 균주로 대두를 발효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UV-B (ultraviolet-B)는 피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며 주로 표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세포에 영향을 준다. UV-A (ultraviolet-A)는 피부속 진피까지 침투하여 주로 콜라겐 합성 관련 피부 세포에 영향을 준다. 이들 자외선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간접적으로는 활성 산소를 발생시켜 피부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은 UV-B 자극에 의해 증가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발현의 억제 활성을 가져, 콜라겐이 쉽게 분해되는 것을 막고, 콜라겐의 합성의 전구체인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 생성을 증가시켜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피부의 방수성 외부층이 적절히 발달되도록 할 수 있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UV-B에 의해 광노화가 유도된 무모생쥐 모델에서 상기 제조된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식이한 처리군은 외관상의 피부 건강상태가 개선되었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활성 억제 효과를 보였고, 타입-1 프로콜라겐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조직면역염색법에 의한 결과에서 자외선에 의하여 유도되는 피부 각질화 과다생성 및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두 발효물은 자외선 등의 광원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손상"은 피부가 그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며, 피부의 구성물질(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의 손상, 피부 세포의 기능 손상 및 피부 세포의 사멸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피부 세포는 피부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케라티노사이트 및 섬유아세포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보호"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두 발효물의 함량은 총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99.9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필수 성분으로서 대두 발효물 외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대두 발효물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대두 발효물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복합균주를 대두에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균으로 18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대두를 발효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균주를 대두에 접종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두는 알파화한 것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복합균주 종배양액을 발효액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대두에 접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효액량 대비 1 중량% 내지 5 중량%로 보리에 접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은 2 내지 4 대 6 내지 8 의 혼합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의 생육속도가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생육속도 보다 2배 이상 빠르므로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을 보다 많이 접종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종된 복합 균주로 대두를 발효 배양시킬 때, 발효조에 첨가하는 대두의 함량이 전체 함량 대비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발효조에 첨가하는 대두의 함량은 전체 함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대두를 발효 배양시키는 단계 이후에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건조 분체로 제조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대두를 분말화하여 알파화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을 접종 후 발효배양하여 살균 후 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두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발현의 억제 활성이 있어, 콜라겐이 쉽게 분해되는 것을 막고, 콜라겐의 합성의 전구체인 타입-1 프로콜라겐 (Procollagen type-1) 생성을 증가시켜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므로, 상기 대두 발효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의 방수성 외부층의 발달 기능을 잘 수행케 하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식이처리에 따른 사료 식이섭취량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식이처리에 따른 무모생쥐의 무게측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식이처리에 따른 광노화유도 무모생쥐의 피부관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식이처리에 따른 광노화유도 무모생쥐의 피부표피층 세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식이처리에 따른 광노화유도 무모생쥐의 피부진피층 세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식이처리에 따른 광노화유도 동물모델 피부에서의 피부주름관련 생체인자 발현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식이처리에 따른 광노화유도 동물모델 피부에서의 피부보습관련 생체인자 발현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모를 이용한 대두 발효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국내산 대두를 사용하여 150℃-180℃에서 10분-20분 동안 볶음솥에서 알파화 시킨 후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말화 시켜 발효배지로 사용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미생물은 피키아 쟈디니 (Pichia jadinii, KFCC 11487P)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를 사용하였다. 피키아 쟈디니 (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Aureobasidium pullulans)은 YM 배지(broth)를 사용하여 30℃, 24hr 배양한 후 발효조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글루코스 (17.1g/L), 질산 암모늄 (1.5g/L), 그리고 알파대두 1%-10%를 발효조 배지로 첨가한 후 수용액 상태,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시킨 후 상기 2가지 미생물의 종배양액을 발효액량의 1%-5% 정도 발효조에 접종하여 30℃, 24hr 배양하였다. 배양완료 후 90℃-100℃에서 30분 이상 살균 후 분무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말화 하였다.
준비예 1. 동물모델에서 광노화 유도 및 대두 발효물이 첨가된 식이 공급
<1-1> 동물모델에서 광노화 유도
총40마리에 해당하는 6주령 무모생쥐를 구입하여 (정상(UV-B-)군=Normal, 대조군(UV-B+)군=Control, 양성대조군(N-acetylglucosamine(NAG))=Positive control. 복합효모발효대두군=DF)으로 나누어 Normal군(10마리)을 제외한 30마리의 무모생쥐에 [표 1]과 같이 UV-B를 조사하였다.
기간 1주차(매일) 2주차-8주차
(주3회 - 화, 금, 일)
9주차
(주1회 - 금)
10주차 - 14 주차 희생
UV-B dose
(mJ/cm2)
200
(2분 21초)
400
(4분 43초)
200
(2분 21초)
-
<1-2> 대두 발효물이 첨가된 식이 공급
상기 실시예 1의 대두 발효물을 5% 함유한 식이를 제작하여 약 9주간 제작된 식이를 공급하였다.
실험예 1.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식이 효율 및 체중 증가 측정
<1-1> 식이 효율 측정
상기 준비예 1-1의 무모생쥐에 실시예 1의 대두 발효물이 첨가된 식이를 약 9주간 공급하는 동안 무모생쥐의 식이섭취량을 매 2주마다 측정하여 결과를 얻었다. 사료의 섭취량은 총 9주간 모든 처리군에 500g씩 사료를 공급해 주었으며, 총3회 식이섭취량을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각각의 처리군 간에 식이섭취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도 1).
<1-2> 체중 증가 측정
상기 준비예 1의 무모생쥐를 각 처리군당 무작위로 5마리씩 선택하여 저울을 이용해 무게를 측정하였다. 14주간 총 7회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군당 측정된 모든 값을 평균 처리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어 결과를 얻었다. 데이터 분석결과 각각의 처리군 간에 체중 증가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도 2).
실험예 2. 대두 발효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
<2-1> 피부변화 관찰
상기 준비예 1의 무모생쥐의 피부를 처리군별로 관찰하여 결과를 얻었다. 관 찰 결과 복합효모발효대두(DF)군의 피부는 대조군(Control)에 비해서 외관상의 피부 건강상태가 정상군(Normal)에 가까운 건강한 피부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복합효모발효대두 조성물이 첨가된 식이를 섭취함으로써 광노화로 인한 피부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도 3).
<2-2> 면역조직 염색법을 이용한 피부표피층의 관찰
상기 준비예 1의 무모생쥐의 피부를 처리군별로 채취하여 면역조직 염색법중 하나인 H&E 염색법을 이용하여 피부표피층의 두께를 관찰하여, 도 4의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Control)은 정상군(Normal)에 비해서 피부표피층이 두껍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복합효모발효대두(DF)를 처리한 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서 피부표피층이 얇아져 정상군(Normal)에 가깝게 피부표피층이 얇아짐을 확인 하였다(도 4).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준비예 1의 무모생쥐의 피부를 처리군별로 채취하여 면역조직 염색법중 하나인 Masson's tric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피부진피 층의 변화를 관찰하여 도 5의 결과를 얻었다. 복합효모발효대두(DF)를 처리한 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서 피부 진피층의 조밀도가 더욱 조밀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합효모발효대두(DF)를 처리한 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서 콜라겐 분해(collagen fragmentation)에 있어 많은 개선 효과를 보였다(도 5).
<2-3> 광노화유도 무모생쥐 피부에서의 피부주름관련 생체인자의 발현양 측정
피부주름관련 생체인자인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 MMP-1은 피부의 주름형성 및 완화에 영향을 미친다. 피부에 탄력을 주거나 주름을 완화시키는 콜라겐의 합성은 전구체인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의 합성에 의해서 생성된다. 또한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에 의한 콜라겐의 합성은 MMP-1에 의해서 방해받는다. 따라서 복합효모발효대두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무모생쥐 피부에서의 피부주름 생성 및 완화에 따른 작용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서 웨스턴(Western) 실험기법을 통해서 피부주름관련 생체인자의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준비예 1의 무모생쥐의 피부를 처리군별로 채취하여 세포분해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만을 얻어서 웨스턴실험을 진행하였다. 처리군별로 채취한 피부를 균질화하여 200 μl의 용해 버퍼를 넣고 하루 동안 4℃에서 용해시킨 후 14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층액 만을 모은 후, BSA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한 후 10%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 총 단백질량이 40 μg이 되도록 각각 전개시켰다 (100 V에서 1시간 30분간). TBST로 3회 세척하고, 겔에 전개된 단백질을 멤브레인에 이동 시킨 다음(80 V에서 1시간) 항체(MMP-1, 타입-1 프로콜라겐 , 알파 튜블린)를 넣고 4℃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TBST로 10분씩 3번 세척하여 2차 항체(HRP conjugate)를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10분씩 3번 TBST로 세척한 다음 ECL로 감광하여 형광 화학 이미지 분석 시스템(Chemi documentation system)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은 정상군(Normal)에 비해 대조군(Control)에서 발현양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복합효모발효대두(DF)를 식이한 군에서는 UV-B 조사로 감소한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의 발현양을 정상군(Normal)에 가깝게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활성은 UV-B를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Normal)군에 비해 UV-B를 조사한 대조군(Control)에서 발현양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복합효모발효대두(DF)를 식이한 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 3. 대두 발효물의 피부 보습 개선 효과
자외선이 피부 내 프로테아제(protease), 아교질가수분해효소(collage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등의 가수분해 효소를 분비하게 하여 이들의 작용으로 광노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광노화가 일어나게 되면 피부의 보습능력을 조절하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의 기능을 저하시키게 되어 결국에는 피부의 보습능력을 낮추게 된다. 천연보습인자는 전구체인 필라그린(filaggrin)에 의해서 합성되어진다. 따라서 천연보습인자를 합성하는 전구체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양을 알아보기 위하여 웨스턴실험방법을 통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준비예 1의 무모생쥐의 피부를 처리군별로 채취하여 세포분해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만을 얻어서 웨스턴실험을 진행하였다. 처리군별로 채취한 피부를 균질화하여 200 μl의 용해 버퍼를 넣고 하루 동안 4℃에서 용해시킨 후 14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층액 만을 모은 후, BSA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한 후 10%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 총 단백질량이 40 μg이 되도록 각각 전개시켰다 (100 V에서 1시간 30분간). TBST로 3회 세척하고, 겔에 전개된 단백질을 멤브레인에 이동 시킨 다음(80 V에서 1시간) 항체(MMP-1, 타입-1 프로콜라겐 , 알파 튜블린)를 넣고 4℃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TBST로 10분씩 3번 세척하여 2차 항체(HRP conjugate)를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10분씩 3번 TBST로 세척한 다음 ECL로 감광하여 형광 화학 이미지 분석 시스템(Chemi documentation system)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군(Control)은 정상군(Normal)에 비해서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양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복합효모발효대두(DF)를 식이한 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서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보습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피키아 쟈디니 KFCC 11487P (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KCCM 12017 (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는 알파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키아 쟈디니 KFCC 11487P (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KCCM 12017 (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는 2 내지 4 대 6 내지 8 의 혼합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발효물은 복합 균주 종배양액을 발효액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대두에 접종하여 발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0 ℃ 내지 40 ℃에서 10 시간 내지 30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개선은 콜라게나제-1(MMP-1)의 활성 억제 및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의 생성을 증가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8. 피키아 쟈디니 KFCC 11487P (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KCCM 12017 (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는 알파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0 ℃ 내지 40 ℃에서 10 시간 내지 30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개선은 콜라게나제-1(MMP-1)의 활성 억제 및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의 생성을 증가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3. 피키아 쟈디니 KFCC 11487P (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KCCM 12017 (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복합균주를 대두에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균으로 18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대두를 발효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 발효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는 알파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대두의 제조방법.
  15. 피키아 쟈디니 KFCC 11487P (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KCCM 12017 (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대두 발효물.
KR1020130054659A 2013-05-14 2013-05-14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53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659A KR101533067B1 (ko) 2013-05-14 2013-05-14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659A KR101533067B1 (ko) 2013-05-14 2013-05-14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72A KR20140134572A (ko) 2014-11-24
KR101533067B1 true KR101533067B1 (ko) 2015-07-01

Family

ID=5245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659A KR101533067B1 (ko) 2013-05-14 2013-05-14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55A1 (ko) * 2018-01-18 2019-07-25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31A (ko) 2019-04-30 2020-11-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국균으로 제조된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14504000B (zh) * 2022-02-17 2023-06-27 浙江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环保酵素及其快速制备方法和应用
CN115844024A (zh) * 2022-10-12 2023-03-28 浙江诸暨聚源生物技术有限公司 重组人源化胶原蛋白在制备可食用抗衰补水美白产品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334A (ja) * 2004-01-15 2005-07-28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老化又は皮膚疾患の予防又は改善方法
KR20090035180A (ko) * 2007-10-05 2009-04-09 (주)다미화학 엽산이 혼입된 대두 발효 고분자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334A (ja) * 2004-01-15 2005-07-28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老化又は皮膚疾患の予防又は改善方法
KR20090035180A (ko) * 2007-10-05 2009-04-09 (주)다미화학 엽산이 혼입된 대두 발효 고분자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55A1 (ko) * 2018-01-18 2019-07-25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72A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2423B2 (ja) 皮膚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mmp−1活性阻害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uv−bダメージからの回復作用剤
KR101533067B1 (ko)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9282B1 (ko) 복합효모발효 보리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119524B1 (ko)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40086747A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10358A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0749A (ko) 동충하초로 발효된 인삼과 그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2337346B1 (ko)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984781B1 (ko) 효소분해 및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감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139156B1 (ko) 효소처리된 홍삼 및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077991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4153B1 (ko) 홍해삼 유래 펩타이드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1055A (ko)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5721A (ko) 발효대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90291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