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702A -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702A
KR20170095702A KR1020160017502A KR20160017502A KR20170095702A KR 20170095702 A KR20170095702 A KR 20170095702A KR 1020160017502 A KR1020160017502 A KR 1020160017502A KR 20160017502 A KR20160017502 A KR 20160017502A KR 20170095702 A KR20170095702 A KR 20170095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parts
cosmetic composition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007B1 (ko
Inventor
유정근
박윤배
김경아
구미정
Original Assignee
유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근 filed Critical 유정근
Priority to KR102016001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0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에 고초균, 유산균 및 효모를 접종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배양액제조단계, 상기 배양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 및 상기 원심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나노화되어 피부흡수력이 높고 보습,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이 낮은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NO PARTICLE NATURAL MATERIALS AND COSMETIC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이 나노화되어 피부흡수력이 높고 보습,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이 낮은 효과를 나타내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란 보다 아름다워지고 싶어하는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제품으로서 역사적으로 선사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그 사용빈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산업의 발달로 인간의 생활이 윤택해짐과는 반대로 환경적인 문제가 부작용으로 대두 되었다.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그리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자외선 증가등이 피부에 악영향을 주어 그 많큼 피부관리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단순한 피부미용 뿐만 아니라 웰빙, 로하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일반적인 피부미용 화장품을 뛰어넘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천연 소재의 원료로 제조한 고기능성 뷰티 헬스케어 제품을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사용량은 더욱 더 증가하고 있다.
피부란 인체의 가장 밖에 있는 장기로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1차적인 방어 역활을 수행하여 환경오염물질과 병원균등의 인체에 해로운 외부 환경적인 인자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중에서도 가장 밖에 있는 각질층은 피부의 수분증발이나 흡수에 관여하여 피부발란스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질세포(keratinocite)와 세포간지질(intercelluler lipid)로 이루어져 있으며 라멜라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각질층에서의 수분 함량은 피부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건강한 보통 피부의 경우 약 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수분함량에 따라 피부탄력, 유연성, 윤택성의 주요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인 각질층의 기능으로는 경피흡수, 수분함유, 최외각 각질층의 탈피등이 있으며, 세포간 지질의 역할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인체의 피부는 성장기에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자극에 대해 다양한 방어 시스템으로 쉽게 대응 하지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방어능력이 저하되어 지질의 산화, 단백질 산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의 촉진 및 DNA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결국 피부에는 피부의 처짐, 피부 탄력의 상실, 피부의 거칠어짐, 주름형성, 피부의 두꺼워짐, 기미, 주근깨 및 피부의 건조함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노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 시스템과 피부 진정 미용액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홍삼(Red Ginseng Extract)의 사포닌(Saponin)은 30 종류 이상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삼을 증기로 수차례 쪄서 가공하여 인체에 유용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홍삼을 제조하여 이용되고 있다. 홍삼의 피부 미용과 관련된 연구로는 진세노사이드-F1이 인간 각질 세포에서 자외선 조사로 인한 세포 사멸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촉진되는 세포자기사멸로부터 각질세포를 보고하는 효과가 있으며 [J. Invest. Dermatol., 121, 607-613, 2003] 진세노사이드-Rb2는 피부 세포의 증식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Arch. Pharm. Res., 25, 71- 76, 2002]. 또한 compound K는 인간의 각질세포에서 피부 탄력 성분 중의 하나로 알려진 히아루론산 생합성에 관련되는 hyaluronan synthase2 (HAS2) 유전자 발현을 증진시키며 [Biochem.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16, 348-355, 2004], 최근 홍삼과 대두추출물을 Hairless mouse에 경구투여 하였을 때 주름생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86-996, 2005]. 이러한 진세노사이드는 홍삼 추출물의 주요성분으로 면역력 강화, 항염증 작용, 항알러지 작용, 항암 효과, 발기 부전에 대한 효과, 혈압 강하 작용, 항콜레스테롤 작용, 항혈전작용, 성인병 및 노화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Biol. Pharm. Bull, 32(9), 1552-1558, 2009].
한편, 해삼(Sea Cucumber Extract)은 극피동물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이며 약효가 인삼과 같다고 바다의 삼 또는 바다에서 나는 인삼이란 뜻으로 '해삼(海蔘)'이라고 불리며 혹은 오이와 비슷하다고 해서 서양에서는 '바다 오이'라고도 부른다.
해삼은 보기 드물게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슘, 철, 인 및 요오드 등의 무기질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칼슘과 철 의 함량이 매우 높아 성장기의 어린이나 임신부의 조혈 작용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의 양이 칼슘의 흡수를 돕는 이상적인 비율로 들어 있어 칼슘 공급원으로 아주 좋은 식품으로 밝혀져 있으며, 요오드가 많아 신진 대사 촉진 등에도 좋고 피부와 혈관의 노화를 방지해주는 황산콘드로이친이 들어 있으며 저칼로리 식품으로 비만, 성인병 예방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해삼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발효 공정을 통해 유효성분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면서, 천연소재를 안정화 시킬 수 있는 해삼 발효추출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발명은 복합발효공정을 통해 해삼 발효추출물과 여러 가지 기능성 한방성분을 포함한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해삼 발효추출물이 함유하는 피부보습, 피부탄력 강화, 미백, 피부 주름 개선, 항아토피,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18115호(2013.10.08).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009928호(2016.01.27).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이 나노화되어 피부흡수력이 높고 보습,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이 낮은 효과를 나타내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에 고초균, 유산균 및 효모를 접종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배양액제조단계, 상기 배양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 및 상기 원심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심분리단계와 상기 안정화단계 사이에는 상기 원심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배양액 100 중량부에 게르마늄 수용액 0.01 내지 0.5 중량부 및 유황 수용액 0.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양액제조단계는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고초균 0.05 내지 1 중량부, 유산균 0.05 내지 1 중량부 및 효모 0.05 내지 1 중량부를 접종하고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배양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홍삼 나노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해삼 나노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홍삼 나노추출물은 홍삼 100 중량부를 정제수 350 내지 450 중량부에 투입하고,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초음파를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습식 초미세분쇄기를 이용하여 30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해삼 나노추출물은 해삼 100 중량부를 정제수 600 내지 700 중량부에 침지하고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65 내지 75시간 동안 초음파를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습식 초미세분쇄기를 이용하여 30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에는 백미추출물, 감초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이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백미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감초추출물 30 내지 150 중량부, 마치현추출물 30 내지 150 중량부 및 녹차추출물 30 내지 20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토너, 스킨, 에센스, 클렌징 및 삼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나노화되어 피부흡수력이 높고 보습,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이 낮은 효과를 나타내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에 고초균, 유산균 및 효모를 접종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배양액제조단계(S101), 상기 배양액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S103) 및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를 통해 분리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양액제조단계(S101)는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에 고초균, 유산균 및 효모를 접종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고초균 0.05 내지 1 중량부, 유산균 0.05 내지 1 중량부 및 효모 0.05 내지 1 중량부를 접종하고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배양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홍삼 나노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해삼 나노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홍삼 나노추출물은 홍삼 100 중량부를 정제수 350 내지 450 중량부에 투입하고,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초음파를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습식 초미세분쇄기를 이용하여 30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되며, 상기 해삼 나노추출물은 해삼 100 중량부를 정제수 600 내지 700 중량부에 침지하고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65 내지 75시간 동안 초음파를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습식 초미세분쇄기를 이용하여 30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된다.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은 유효성분이 나노사이즈로 분쇄되어 피부흡수력이 높고 보습,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데, 상기 홍삼 나노추출물이나 해삼 나노추출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홍삼 나노추출물이나 해삼 나노추출물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고초균은 0.05 내지 1 중량부가 접종되는데, 상기 고초균(Bacillus subtilis)은 LB Broth 배지에서 1010cfu/ml 농도로 배양되어 배양종균으로 사용되며, 상기 유산균은 0.05 내지 1 중량부가 접종되는데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lus) 균주를 MRS배지에서 5 × 109cfu/ml 농도로 배양하여 배양종균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효모는 효모 균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였으며, Potato Dextros Broth 배지에서 5 × 109cfu/ml 농도로 배양하여 발효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의 접종을 통해 상기 혼합물에 상기 고초균, 유산균 및 효모를 혼합한 후에 공기주입을 중단하고 교반속도를 10rpm 내외로 조절하여 혐기성균을 배양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상기 홍삼 나노추출물 및 해삼 나노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생물학적으로 분쇄하여 유효성분의 분자량을 감소시키고, 호기성균에 의해 분쇄되지 않은 유용성분은 혐기적인 조건에서 유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분쇄를 통해 분자량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피부흡수력을 높임과 동시에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이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는 백미추출물, 감초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이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백미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감초추출물 30 내지 150 중량부, 마치현추출물 30 내지 150 중량부 및 녹차추출물 30 내지 200 중량부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백미추출물은 5 내지 15 중량부가 함유되며, 한국특허등록 제10-1047588호 등에 기재된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데,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데, 상기 백미추출물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백미추출물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감초추출물은 30 내지 150 중량부가 함유되며 한국특허등록 제10-1017922호 등에 기재된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데, 글라블리딘(Glablidin)의 함량을 최대 35 중량%까지 높여서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초추출물에 함유된 글라블리딘(Glablidin)은 다른 미백 물질에 비해 피부로의 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에, 탁월한 미백활성을 나타내는데, 상기 감초추출물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감초추출물의 함량이 1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마치현추출물은 30 내지 150 중량부가 함유되며, 한국특허등록 제 10-0969269호에 기재된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데, 특히, 우수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어 황색포도구균, 장티푸스균, 대장균, 이질균 등 병원성 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민감해진 피부를 진정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피부의 각질이 생성되거나 모낭의 막힘을 억제하여 모발의 발모효과를 촉진하고, 탈모를 억제하는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데,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함량이 1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녹차추출물은 30 내지 200 중량부가 함유되며, 한국특허등록 제10-0366949호에 기재된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데, 우수한 항산화작용을 통해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녹차추출물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녹차추출물의 함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는 상기 배양액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로, 상기 배양액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배양액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고, 3000 내지 8000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배양액에 함유된 이물질과 고초균, 유산균 및 효모 등을 제거하는 단계다.
상기 안정화단계(S105)는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를 통해 분리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로,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를 통해 분리된 혼합물을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안정화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안정화단계(S105)를 거치면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를 통해 분리된 혼합물이 안정화되어 고른 물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자체나 또는 첨가제의 형태로 화장수, 크림, 토너, 스킨, 에센스, 클렌징 및 삼푸와 같은 화장료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와 상기 안정화단계(S105) 사이에는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를 통해 분리된 배양액에 게르마늄 수용액 및 유황 수용액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S104)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 원심분리단계(S103)를 통해 분리된 배양액 100 중량부에 게르마늄 수용액 0.01 내지 0.5 중량부 및 유황 수용액 0.5 내지 10 중량부을 혼합하고, 45 내지 55rpm의 속도로 25 내지 35분 동안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게르마늄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유기게르마늄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초음파추출기에 투입하고, 4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되며, 상기 유황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유황분말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초음파추출기에 투입하고 4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되는데, 상기 게르마늄 수용액에 함유된 비스카르복시 에틸 게르마늄 세스퀴 옥사이드 성분은 여드름 완화 및 치료효과, 라디칼 제거능을 보여주는 항산화효과, 자외선 손상 방지효과,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비정상적인 색소침착을 개선하는 효과 및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효과 등이 보고 되고 있다.(JP63183570,JP62111908, US4229468, US4889715, US4623667, KASai Miracle cure, Organic Germanium, Japan Publications Inc ISBN 0-87040-1, 1980).
또한, 상기 유황 수용액은 미생물생성억제 및 각질제거 등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게르마늄 수용액과 유황 수용액이 함유되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효과 및 각질 제거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혼합물(정제수 100 중량부, 홍삼나노 추출물 3 중량부 및 해삼 나노추출물 3 중량부) 100 중량부에 백미추출물 10 중량부, 감초추출물 90 중량부, 마치현추출물 90 중량부 및 녹차추출물 120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초균 0.5 중량부, 유산균 0.5 중량부 및 효모 0.5 중량부를 접종한 후에 2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고,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고,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하여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원심분리된 배양액 100 중량부에 게르마늄 수용액 0.25 중량부 및 유황 수용액 5 중량부를 투입하여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안정성은 제형안정성에 대한 가속시험을 4℃, 30℃, 45℃에서 4주 동안실시하여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온도변화에 대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5중량% 및 10중량% 함유된 화장수를 제조하여 그 성분을 아래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피부유연성, 피부발림성, 보습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80℃로 가온한 11번에 8번을 패들믹서로 분산시킨후 2, 3, 4,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5번을 60℃까지 가열하여 녹인후 9, 10번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에 11번에 투입하고, 40℃에서 1, 6, 7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키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피부유연성, 피부발림성, 보습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는 상기 화장수를 20~30대 여성 50명에게 하루 2회 일주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에 1;very poor, 2;poor, 3;acceptable, 4;good, 5;very good의 5점 척도법으로 계산하여 평균값으로 표기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3>
Figure pat00003
위에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수는 피부유연성, 피부발림성, 보습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에센스 제조(O/W Type)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5중량% 함유된 에센스를 제조하여 그 성분을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단, 80℃로 가온한 17번에 2번과 3번을 패들믹서로 분산시킨 후 4, 5, 6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별도용기에 6, 7, 8, 9, 10, 11, 12, 13번을 70℃로 가열하여 녹인 후에 투입하여 교반한다.(paddle 15rpm, Homo 2,000rpm, 10min) 10분 동안 유화 후 냉각하며 45℃에서 1, 14, 15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에 40℃에서 16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숙성시킨다.
미첨가 :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하되, 유화 후 첨가물파트에서 14, 15번만 투입하여 혼합한다.)
<표 4>
Figure pat00004

<제조예 3> 크림 제조(O/W Type)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5중량% 함유된 크림을 제조하여 그 성분을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단, 80℃로 가온한 21번에 2, 3, 4번을 패들믹서로 용해하여 분산시킨 후에 5, 6, 7,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별도 용기에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번을 70℃로 가열하여 녹인 후에 투입하고 교반한다.(paddle 15rpm, Homo 2,000rpm, 10min) 10분 동안 유화 후 냉각하며 45℃에서 1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에 40℃에서 20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숙성시킨다.
미첨가 :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하되, 유화 후 20번 향료파트를 투입한다.)
<표 5>
Figure pat00005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화장수, 에센스 및 크림의 피부보습력 을 측정하여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단, 피부보습력은 설문조사로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20대 내지 50대의 성인여성 22명을 피시험자로 선정하고, 상기 화장수, 에센스 및 크림을 순서대로 1일 2회에 걸쳐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1개월간 사용하게 하였다.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온도 15 내지 22℃, 상대습도 40 내지 45%)에서 수분보유측정기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2주 및 4주 경과 후에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보습의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되지 않은 화장품을 선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서 보습원료의 혼합물(글리세린1%, 가수분해콜라겐1%, 용매:정제수)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화장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10 중량% 함유된 것을 사용하였다.}
<표 6>
Figure pat00006
위에 표 6에 나타낸 것처럼, 4주간의 보습력 시험 과정 중 피부의 상태 및 특이한 피부자극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수, 에센스 및 크림을 사용했을 때, 피부 전도도가 우수하여 보습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4> 클렌징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5중량% 함유된 클렌징크림을 제조하여 그 성분을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단, 80℃로 가온한 17번에 2,3,4번을 패들믹서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에 별도의 용기에 5, 8, 9, 10, 11, 12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에 6, 7번을 소량씩 투입하여 교반하며, 비누화 시킨 후에 냉각하고 50℃에서1, 14, 15번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에 40℃에서 16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숙성시킨다.}
<표 7>
Figure pat00007
위에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클렌징크림은 부드럽고 잔거품이 풍부하게 발생하며, 화장이 잘 지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5> 샴푸 제조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10중량% 함유된 샴푸를 제조하여 그 성분을 아래 표 8에 나타내고, 제조된 샴푸의 보습 효과, 유연 효과, 모발갈라짐 방지 효과 및 비듬제거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9에 나타내었다.
(단, 80℃로 가온한 15번에 2, 3번을 패들믹서로 교반하여 용해 및 분산시키고 4, 5번을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에 패들믹서를 12rpm으로 조정하여 6, 7, 8, 9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10, 11, 12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에 40℃에서 13, 15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에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제조하며, 제조된 샴푸의 보습 효과, 유연 효과, 모발갈라짐 방지 효과 및 비듬제거 효과는 설문조사로 비듬과 과잉피지가 생성되는 20 내지 50세의 남성 10명 및 여성12명을 제 1그룹의 모델로 선발하고, 모발이 갈라지고 뻣뻣함이 있는 남성 12명 및 여성14명을 제 2모델로 선정하여(중복선정) 상기 제조예 5를 통해 제조된 샴푸를 1일 2회에 걸쳐 1개월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에 모발상태를 1;very poor, 2;poor, 3;acceptable, 4;good, 5;very good와 같은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pat00008

<표 9>
Figure pat00009
위에 표 9에 나타낸 것처럼, 제조예 5를 통해 제조된 샴푸는 임상실험 과정중 두피의 상태 및 특이한 피부자극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유연 및 갈라짐 방지 효과 및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헤어드라이어 사용 및 펌 등으로 손상된 모발의 회복 효과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유연 및 갈라짐 방지 효과 실험에 있어서,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은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용농도를 10중량%하고 장기간 사용 하더라도 피부발작 등의 부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피부자극성이 낮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나노화되어 피부흡수력이 높고 보습,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이 낮은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화장수, 크림, 토너, 스킨, 에센스, 클렌징 및 삼푸 등과 같은 제형에 적용될 수 있다.
S101 ; 배양액제조단계
S103 ; 원심분리단계
S104 ; 첨가제혼합단계
S105 ; 안정화단계

Claims (10)

  1.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에 고초균, 유산균 및 효모를 접종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배양액제조단계;
    상기 배양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 및
    상기 원심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단계와 상기 안정화단계 사이에는 상기 원심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배양액 100 중량부에 게르마늄 수용액 0.01 내지 0.5 중량부 및 유황 수용액 0.5 내지 10 중량부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제조단계는 홍삼 나노추출물과 해삼 나노추출물이 함유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고초균 0.05 내지 1 중량부, 유산균 0.05 내지 1 중량부 및 효모 0.05 내지 1 중량부를 접종하고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배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홍삼 나노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해삼 나노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나노추출물은 홍삼 100 중량부를 정제수 350 내지 450 중량부에 투입하고,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초음파를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습식 초미세분쇄기를 이용하여 30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삼 나노추출물은 해삼 100 중량부를 정제수 600 내지 700 중량부에 침지하고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65 내지 75시간 동안 초음파를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습식 초미세분쇄기를 이용하여 30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백미추출물, 감초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이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백미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감초추출물 30 내지 150 중량부, 마치현추출물 30 내지 150 중량부 및 녹차추출물 30 내지 20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내지 8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토너, 스킨, 에센스, 클렌징 및 삼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17502A 2016-02-15 2016-02-15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02A KR101806007B1 (ko) 2016-02-15 2016-02-15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02A KR101806007B1 (ko) 2016-02-15 2016-02-15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702A true KR20170095702A (ko) 2017-08-23
KR101806007B1 KR101806007B1 (ko) 2017-12-07

Family

ID=5975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502A KR101806007B1 (ko) 2016-02-15 2016-02-15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8935A (zh) * 2018-02-09 2018-06-15 金可好 一种用于纳米离子熏蒸的养生美白液
KR101896597B1 (ko) * 2018-03-09 2018-10-18 유정근 한약재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8935A (zh) * 2018-02-09 2018-06-15 金可好 一种用于纳米离子熏蒸的养生美白液
KR101896597B1 (ko) * 2018-03-09 2018-10-18 유정근 한약재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007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6007B1 (ko)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04909B (zh) 一种含有玫瑰发酵液的去屑头皮精华及其制备方法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2516018B (zh) 一种具有美白、抗衰、保湿、排毒功效的富硒绿豆发酵液及其面膜组合物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173412B1 (ko) 유기농 에버라스팅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19524B1 (ko)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6597B1 (ko) 한약재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시트
KR102032116B1 (ko) 차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469817B (zh) 细致毛孔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168067B (zh) 一种活力祛斑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190064306A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1892A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303255B (zh) 具有抗炎、抗过敏和特应性皮肤改善作用的高粱发酵产物,其制备方法及其化妆料组合物
KR20150136290A (ko)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4457A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