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350A - 봉합 장치 - Google Patents

봉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350A
KR20130094350A KR1020137019364A KR20137019364A KR20130094350A KR 20130094350 A KR20130094350 A KR 20130094350A KR 1020137019364 A KR1020137019364 A KR 1020137019364A KR 20137019364 A KR20137019364 A KR 20137019364A KR 20130094350 A KR20130094350 A KR 20130094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needle
rear arm
sealing device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444B1 (ko
Inventor
히로히토 모리
타츠로 스기타니
요시히토 모모세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징 카가와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징 카가와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징 카가와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3009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61B17/0625Needle manipulators the needle being specially adapted to interact with the manipulator, e.g. being ridged to snap fit in a hole of the manip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2Multiple-needled, e.g. double-needled,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for tension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42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located close to needle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소화관강 내에 삽입한 내시경에 의해 외과 수술과 같은 정도로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내시경용 봉합 장치를 제공한다.
전측 암(11)과, 후측 암(12)과,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 이간시키는 암 이동 수단(13)과,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상대적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후측 암(12)은, 전측 암(11) 측의 면에, 축방향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침상 부재(14)를 구비하고 있고, 전측 암(11)에는,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이 접근했을 때에, 침상 부재(14)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6)이 마련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16) 내에는, 침상 부재(14)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21)가 각각 수용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16)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계합 부재(21)가 봉합사(2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봉합 장치 {SUTURE DEVICE}
본 발명은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 항문, 질 등의 소화관강 내에 삽입된 연성 내시경에 의해, 소화관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수술이나 복강 내의 수술을 실시하는 경관강적(經管腔的) 내시경 수술에 사용하는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관강적 내시경 수술(이하, NOTES 라고 함)이란, 입, 항문, 질 등의 소화관강 내에 삽입된 연성 내시경에 의해, 소화관강이나 복강 내의 병소를 제거하는 등의 처치를 실시하는 수술이다.
예를 들면, 위벽을 관통하여 구멍이 형성되도록 위벽을 절제하는 수술, 구체적으로는, 위벽에 형성된 점막 하층보다 깊은 종양, 즉, 고유근층에 도달한 종양을 연성 내시경에 의해 절제하는 수술은 NOTES에 해당한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으로부터 연성 내시경(S)을 삽입하여, 이 연성 내시경(S)의 선단에 의해 위벽에 구멍(h)을 형성하고, 이 구멍(h)으로부터 연성 내시경(S)의 선단을 복강 내에 침입시켜, 췌장이나 간장 등에 형성된 종양 등을 연성 내시경(S)에 의해 제거하는 수술도 NOTES에 해당한다.
이러한 NOTES에 의해 위벽이나 췌장 등의 종양을 절제한 경우에는, 절제 후, 그 부위 또는 위벽의 구멍(h)을 봉합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는, 연성 내시경(S)에 의해 종양 등을 절제하는 것까지는 할 수 있어도, 절제한 부위를 소화관강 내로부터 봉합할 수가 없었다.
이 때문에, 현상태에서는, 종양 등의 절제까지는 연성 내시경(S)에 의해 실시하고, 봉합을 라파로스코프 등으로 실시하는 수술을 하고 있지만, 이 경우, 체표면으로부터 복강 내에 라파로스코프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복벽에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체표면에 상처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연성 내시경(S)에 의해 소화관강 내로부터 절제 뿐만 아니라 봉합까지 실시할 수 있으면, 체표면에 상처를 형성하지 않고 수술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현재, 소화관강 내로부터 절제한 부위를 봉합하는 기술의 개발이 진전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런데, 외과 수술에 의한 절개부의 봉합에서는, 생체 조직끼리가 유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 양 입구 가장자리부의 단면끼리를 맞댄 상태로 봉합하는 것이지만,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입구 가장자리부의 외면끼리가 대면하는 상태로 봉합을 실시하고 있다. 즉, 위벽 절개부의 양 입구 가장자리부의 외면끼리를 면접촉시킨 상태로 봉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한 봉합에서는,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생체 조직들의 유착이 진행하기 어렵고, 상처가 깨끗하게 아물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더욱이, 절개부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봉합 부분보다 선단측의 부분이 위 내부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하므로, 봉합 부분이 위 내에 들어간 음식에 대해서 각종의 장애가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각 입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봉합 부분보다 선단측의 부분에는 혈액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생체 조직이 괴사할 가능성도 있다.
이상과 같이, 현재 개발되고 있는 복강 내로부터 절제한 부위를 봉합하는 기술에서는, 외과 수술과 같은 정도로 상처를 봉합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외과 수술과 같은 정도로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 2004-60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화관강 내에 삽입한 내시경에 의해 외과 수술과 같은 정도로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내시경용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봉합)
제1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전측 암과, 이 전측 암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암 이동 수단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양자가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한 요동축 주위에 상대적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암은, 선단을 상기 후측 암으로 향한 상태 및 그 중심축이 이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침상(針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이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했을 때에,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는, 상기 침상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가 각각 수용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계합 부재가 봉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은, 기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상기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서로 계합 이탈 가능하게 마련된 전측 연결 부재와 후측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측 연결 부재 및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의 상대적인 요동을 소정의 자세로 고정하고 또한 이 자세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게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자세는 각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상기 침상 부재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자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계합되고, 이 후측 연결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을 따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에는 한 쌍의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연결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홈은,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이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교차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한 기준 측면과,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 및 상기 기준 측면과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 측면을 구비하고 있고, 이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기준 측면이 일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일방의 위치결정 측면이 타방의 교차면과 접촉하고, 상기 기준 측면이 타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타방의 위치결정 측면이 일방의 교차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용 공간은, 상기 후측 연결 부재를 그 기준 측면이 일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일방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상기 침상 부재의 중심축이 일치하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를 그 기준 측면이 타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타방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상기 침상 부재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전측 암과, 이 전측 암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암은, 선단을 상기 후측 암으로 향한 상태 및 그 중심축이 이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침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이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이 복수의 수용 공간은, 하나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이 하나의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되면, 다른 수용 공간의 중심축이 각각 다른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같은 축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는, 각 침상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가 각각 수용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계합 부재가 봉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측 암은, 기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상기 침상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암은, 기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상기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6 발명 또는 제7 발명에 있어서, 서로 계합 이탈 가능하게 마련된 전측 연결 부재와 후측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측 연결 부재 및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계합하고, 계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이 각각 같은 축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후측 암의 요동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계합되고, 계합된 이 후측 연결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을 따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전측 암과, 이 전측 암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암은, 선단을 상기 후측 암으로 향한 상태 및 그 중심축이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침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이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했을 때에,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봉합사에 의해 연결된 상기 침상 부재와 계합 가능한 한 쌍의 계합 부재를 가지는 봉합 기구가 수용되어 있고, 이 봉합 기구의 계합 부재를, 상기 수용 공간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삽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급 기구는, 상기 전측 암 내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된 상기 봉합 기구를 수용하는 봉합 기구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봉합 기구 유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봉합 기구의 계합 부재를, 이 계합 부재의 관통공의 축방향이 상기 침상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평행이 되게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삽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는, 이 선단부가 상기 계합 부재의 관통공에 삽통되면, 이 선단부로부터 이 계합 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부는, 상기 침상 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팽경부(膨徑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2 발명 또는 제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계합부와, 상기 봉합사과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연결편은, 그 축방향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축방향을 따라 연결편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2 발명, 제13 발명, 제14 발명 또는 제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내면에는, 상기 팽경부와 계합하는 계합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 1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측 암은, 상기 전측 암측의 면에, 축방향이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중공의 중공침을 구비하고 있고, 이 중공침 내에 상기 침상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 17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 및 상기 후측 암의 양쪽 모두가 내시경의 선단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후측 암이 상기 전측 암에 대해서 상기 내시경의 선단면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시경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찰(結紮))
제19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 1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중공의 관상 부재와, 이 관상 부재에 삽통되어 이 관상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한 루프 형상부를 가지는 선상 부재를 구비한 결찰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결찰 부재는, 상기 관상 부재가 상기 선상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루프 형상부에 상기 전측 암 및/또는 상기 후측 암이 삽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 1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측 암에는,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을 따라, 이 후측 암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침상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그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이 관통공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 암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봉합 기구에 있어서의 한 쌍의 계합 부재가 계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보다 전방에서 상기 봉합사를 결찰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결찰 부재는, 상기 봉합사가 통하는 실 수용홈을 가지고, 이 실 수용홈의 폭이 좁아지면, 이 실 수용홈 내에 배치된 상기 봉합사를 유지할 수 있는 협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협지 부재는,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방향을 따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통과할 때에, 상기 실 수용홈의 사이에 상기 침상 부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2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찰 부재는,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방향을 따라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관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관상 부재는, 그 단면이,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통과할 때에, 상기 침상 부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관상 부재 내에는, 상기 실 수용홈의 축방향이 이 관상 부재의 축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협지 부재와, 이 협지 부재와 이 관상 부재의 내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링 형상의 체결 부재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협지 부재는,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해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부재는, 그 내경이, 상기 협지 부재의 선단 외경 이상 및 상기 협지 부재의 기단 외경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2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2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재는, 그 선단부에, 상기 체결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가지고 있고, 이 유지 기구는, 상기 협지 부재가 상기 관상 부재의 선단으로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협지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이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관상 부재의 선단으로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상기 협지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이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면,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관상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3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20 발명, 제21 발명 또는 제2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실 수용홈의 내면에 마련된, 상기 봉합사를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실 수용홈의 내면에 마련된, 상기 파지부보다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절단 날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절단 날은,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봉합사가 파지된 상태로부터 더욱 상기 실 수용홈의 폭이 좁아지면, 상기 봉합사를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합)
제1 발명에 의하면, 침상 부재와 하나의 수용 공간이 대향하도록 전측 암과 후측 암을 배치하여, 암 이동 수단에 의해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하나의 수용 공간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러면, 계합 부재가 하나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계합 부재(하나의 계합 부재)와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계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계합 부재가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 계합된 상태에서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이간시킨 후, 후측 암을 요동시켜, 침상 부재와 다른 수용 공간이 대향하도록 전측 암과 후측 암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에 의해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다른 수용 공간 내에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수용 공간 내의 계합 부재(다른 계합 부재)와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계합시킬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계합 부재가 모두 침상 부재에 계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계합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봉합사를 고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벽 등의 절개부에 있어서,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전측 암과 후측 암에 의해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하여,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일단 접근시키고 나서 이간시키면,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봉합사를 관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전측 암과 후측 암에 의해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하여,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일단 접근시키고 나서 이간시키면,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봉합사를 관통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삽통하여 양단부(계합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가 모두 후측 암 측에 위치한 봉합사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된 봉합사의 양단부를 결찰하면, 통상의 외과 수술에 있어서의 봉합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의 단면(절개면)끼리를 맞댄 상태로 절개부를 봉합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일방의 분기부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침상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켜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일단 접근시키고 나서 이간하고, 타방의 분기부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침상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켜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일단 접근시키고 나서 이간하면,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삽통하여 양단부가 모두 후측 암 측에 위치한 봉합사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연결 기구의 전측 연결 부재와 후측 연결 부재를 계합시키면, 전측 암과 후측 암의 상대적인 요동을 고정할 수 있고, 더욱이,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수용 공간의 중심축을 간단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암 이동 수단에 의해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켰을 때에,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 공간 내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후측 연결 부재를 안내 홈에 계합하는 것일 뿐이므로, 연결 기구의 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후측 연결 부재와 안내 홈이 2면에서 면접촉하므로, 후측 연결 부재의 자세를 확실히 소정의 자세로 할 수 있고, 그 자세인 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 공간 내에 확실하고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침상 부재와 하나의 수용 공간이 대향하도록 전측 암과 후측 암을 배치하여, 암 이동 수단에 의해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키면, 각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각 수용 공간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러면, 각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계합 부재를, 각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 각각 계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이간시키면, 침상 부재간이 봉합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벽 등의 절개부에 있어서, 하나의 침상 부재와 하나의 수용 공간과의 사이에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가 배치되고 또한 다른 침상 부재와 다른 수용 공간과의 사이에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가 배치되도록 하고,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일단 접근시키고 나서 이간시킨다. 그러면,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삽통하여 양단부(계합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가 모두 후측 암 측에 위치한 봉합사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봉합사의 양단부를 결찰하면, 통상의 외과 수술에 있어서의 봉합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의 단면(절개면)끼리를 맞댄 상태로 절개부를 봉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측 암과 후측 암을 1회 접근 이간시키는 것만으로,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삽통하는 봉합사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봉합 작업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침상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켜 전측 암과 후측 암을 1회 접근시키면,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삽통하여 양단부가 모두 후측 암 측에 위치한 봉합사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의하면, 후측 암을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수용 공간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암 이동 수단에 의해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켰을 때에,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 공간 내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의하면, 후측 연결 부재를 안내 홈에 계합하는 것일 뿐이므로, 연결 기구의 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의하면, 침상 부재와 수용 공간이 대향하도록 전측 암과 후측 암을 배치하여, 암 이동 수단에 의해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 공간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러면, 봉합 기구의 하나의 계합 부재가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계합 부재와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계합시킬 수 있다. 또한, 봉합 기구의 하나의 계합 부재가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 계합된 상태에서 전측 암과 후측 암이 이간하면, 공급 기구에 의해, 봉합 기구에 있어서의 다른 계합 부재가 수용 공간 내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암 이동 수단에 의해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키면, 봉합 기구의 다른 계합 부재와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계합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계합 부재가 모두 침상 부재에 계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한 쌍의 계합 부재를 연결하는 봉합사를 고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벽 등의 절개부에 있어서,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전측 암과 후측 암에 의해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하여,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일단 접근시키고 나서 이간시키면,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봉합사를 관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전측 암과 후측 암에 의해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하여,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일단 접근시키고 나서 이간시키면,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봉합사를 관통시킬 수 있다. 그러면, 봉합 기구에 의해,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삽통하여 양단부(한 쌍의 계합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단부)가 모두 후측 암 측에 위치한 봉합사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의 양단부를 결찰하면, 통상의 외과 수술에 있어서의 봉합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의 단면(절개면)끼리를 맞댄 상태로 절개부를 봉합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계합 부재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면, 봉합 기구 유지 공간으로부터 봉합 기구에 있어서의 다른 계합 부재가 수용 공간 내에 공급된다. 수용 공간 내에 계합 부재가 공급되면, 수용 공간 내에서는, 봉합 기구에 있어서의 계합 부재의 관통공의 축방향이 침상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 된다. 이 때문에, 전측 암과 후측 암을 접근시켰을 때에,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확실히 계합 부재의 관통공에 삽통시킬 수 있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탈락 방지부에 의해 침상 부재로부터 계합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계합 부재가 계합된 침상 부재를 위벽 등에 찌르거나, 계합 부재가 계합된 상태로 위벽 등에 찔려 있는 침상 부재를 위벽 등에서 뽑거나 해도, 침상 부재로부터 계합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삽통하여 양단부가 모두 후측 암 측에 위치하는 봉합사의 고리를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침상 부재에 팽경부를 마련한 것일 뿐이므로, 침상 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의하면, 연결편이 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계합 부재가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 연결했을 때에, 연결편을 침상 부재의 측면을 따른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면, 침상 부재가 위벽 등을 통과할 때에 있어서의 연결편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의하면, 계합 부재를 그 연결편이 연결편 수용홈에 배치되도록 수용 공간 내에 배치하면, 계합 부재를 안정된 상태로 수용 공간 내에 유지시킬 수 있다.
제16 발명에 의하면, 계합편이 마련한 것일 뿐이므로, 계합 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침상 부재가 계합 부재의 관통공을 삽통할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양자를 보다 확실히 계합시킬 수 있다.
제17 발명에 의하면, 중공침 내에 침상 부재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침상 부재를 중공침에 의해 보호할 수 있어 침상 부재가 손상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제18 발명에 의하면, 내시경에 장착되어 사용하면, 위 등의 소화관에 형성된 절개부를, 위 등의 소화관강 내부로부터 봉합할 수 있다. 그러면, 체표면에 상처를 형성하는 일 없이, 소화관이나 각종 장기로부터 종양 등을 제거하는 수술이나, 소화관 등을 절개하는 수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찰)
제19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계합 부재가 침상 부재에 계합한 상태에서, 루프 형상부 내에 봉합사를 배치하여, 선상 부재를 이끌거나 또는 관상 부재를 루프 형상부로 향해 이동시키거나 하면, 루프 형상부가 작아져, 선상 부재의 루프 형상부에 의해 봉합사를 묶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더욱 선상 부재를 이끌거나 관상 부재를 루프 형상부로 향해 이동시키면, 선상 부재와 함께 관상 부재 내에 봉합사의 양단부를 물어 들어오게 할 수 있다. 그러면, 봉합사의 양단부가 관상 부재에 의해 서로 밀착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봉합사를 결찰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제20 발명에 의하면, 관통공을 통해 협지 부재를 침상 부재의 전방에 배치하면, 협지 부재의 실 수용홈 내에 봉합사의 양단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협지 부재의 실 수용홈의 폭을 좁히면, 협지 부재에 의해 봉합사의 양단부를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봉합사의 양단부를 연결(결찰)한 경우와 같은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협지 부재와 계합 부재와의 사이에 봉합사를 절단하면, 절개부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를 봉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제21 발명에 의하면, 관상 부재 내에 협지 부재를 수용한 상태에서, 관상 부재를 후측 암의 관통공에 통하게 하면, 협지 부재를 침상 부재의 전방에 배치할 수 있다. 협지 부재는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해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체결 부재의 내경이, 협지 부재의 선단 외경 이상이고 협지 부재의 기단 외경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협지 부재를 체결 부재 내에 압입하면, 체결 부재에 압입됨에 따라, 협지 부재는 실 수용홈의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하여, 실 수용홈의 내면에 의해 봉합사가 사이에 낀 상태가 된다. 즉, 협지 부재에 의해 봉합사의 양단부를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관상 부재 내를 후측 암의 관통공에 통하게 하여, 협지 부재를 체결 부재 내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봉합사의 양단을 연결(결찰)한 경우와 같은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결찰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22 발명에 의하면, 협지 부재와 체결 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응력이 발생할 때까지, 유지 기구에 의해 체결 부재가 관상 부재의 선단으로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그러면, 협지 부재를, 그 실 수용홈의 폭이 봉합사를 사이에 끼울 수 있는 폭이 될 때까지, 확실히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의 양단부를, 협지 부재에 의해 확실히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다.
제23 발명에 의하면, 협지 부재를 체결 부재 내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협지 부재의 파지부에 의한 봉합사의 파지와, 봉합사의 절단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절개부의 봉합을 보다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구비한 내시경(1)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의 (A)는 봉합 장치(10)의 개략 측면도이며, (B)는 (A)의 B-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전측 암(11)의 주요부 개략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한 봉합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한 봉합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구비한 내시경(1)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봉합 장치(10)의 개략 측면도이며, (B)는 (A)의 B-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의 (A)는 후측 암(12)의 개략 단체 평면도이며, (B)는 전측 암(11)의 개략 단체 평면도이다.
도 9의 (A)는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구비한 내시경(1)의 개략 설명도이며, (B)는 (A)의 B-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봉합 기구(20)의 단체 개략 설명도이다.
도 11은 연결편(21b)을 구비한 계합 부재(21)의 개략 설명도로서, (A)는 개략 사시도이며, (B)는 개략 평면도이며, (C)는 연결편 수용홈(16g)을 구비한 전측 암(11)의 수용 공간(16)에 배치된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구비한 내시경(1)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봉합 장치(10)의 개략 측면도이며, (B)는 (A)의 B-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전측 암(11)의 단체(單體)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이며, (B)는 (A)의 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C)는(B)의 B-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해 절개부(SH)를 봉합한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한 봉합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한 봉합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8은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킨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9는 액체 배출구멍을 마련한 전측 암(11)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B)를 구비한 내시경(1)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1의 (A)는 봉합 장치(10B)의 개략 측면도이며, (B)는 (A)의 B-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B)에 의해 절개부(SH)를 봉합한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B)에 의한 봉합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B)에 의한 봉합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5의 (A)는 결찰 부재(50)의 개략 단체 설명도이며, (B)는 내시경(1)의 샤프트(2)에 결찰 부재(50)를 장착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6은 결찰 부재(50)에 의한 결찰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7은 결찰 부재(30)를 구비한 봉합 장치(10C)의 개략 설명도이며, (A)는 개략 측면도이며, (B)는 (A)의 B-B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8은 결찰 부재(30)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9는 협지 부재(32)의 단체 개략 설명도이다.
도 30은 결찰 부재(30)에 의한 결찰 작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30(A)~(C)에 있어서의 XV-XV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2는 NOTES에 의한 수술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복강 내의 장기나 소화관에 형성된 절개부 등을 봉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이며, 연성 내시경을 사용한 경관강적 내시경 수술(이하, NOTES 라고 함)에 있어서, 연성 내시경에 장착하여, 소화관강 내로부터 절개부 등의 봉합을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연성 내시경 뿐만 아니라, 라파로스코프의 선단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봉합 장치를 연성 내시경에 장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NOTES에 있어서, 소화관강 내에 배치된 연성 내시경만으로 종양 등의 절제로부터, 종양 등의 절제를 위해서 형성된 절개부 등의 봉합까지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체표면에 상처를 형성하지 않고 수술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연성 내시경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장치 각부의 구조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 도면에 있어서의 각부의 상대적인 사이즈 등은 반드시 실제의 장치에 있어서의 사이즈와는 대응시키지 않았다.
(내시경(1)의 설명)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가 장착되는 내시경을 나타내고 있다. 이 내시경(1)은, 일반적인 내시경 수술에 사용되는 연성 내시경이다.
또한, 내시경(1)은, 생체의 소화관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것이면, 그 샤프트(2)의 직경이나 길이,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샤프트(2)의 직경은, 일반적인 내시경에서는 10mm 정도이지만, 5~15mm 정도의 것이라도 된다. 또한, 샤프트(2)의 길이는, 일반적인 내시경에서는 1200mm 정도이지만, 1200~3000mm 정도의 것이라도 된다.
특히, 복강 내의 장기의 수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내시경(1)은, 협대역광관찰(NBI) 기능이나 워터제트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의 설명)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는, 전후 한 쌍의 암(11, 12)과, 이 전후 한 쌍의 암(11, 12)을 작동시키는 암 이동 수단(13)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는, 암 이동 수단(13)을 내시경(1)의 샤프트(2)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내시경(1)에 고정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는,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양쪽 모두가 내시경(1)의 샤프트(2)의 선단면(1s)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후측 암(12)이 전측 암(11)에 대해서 내시경(1)의 선단면(1s) 측에 위치하도록, 내시경(1)의 샤프트(2)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는, 후술하는 암 이동 수단(13)의 각 튜브(13a~13c)의 축방향과, 샤프트(2)의 축방향이 대략 평행이 되도록 장착된다.
이 때문에, 내시경(1)의 카메라에 의해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암의 움직임을 확인하면서, 전후 한 쌍의 암(11, 12)을 사용하여, 위 등의 소화관에 형성된 절개부를 봉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튜브(13a~13c)의 축방향과 샤프트(2)의 축방향이 대략 평행이 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면, 암 이동 수단(13)에 의한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작동이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조작자에 의한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2)를 굴곡시켰을 때 등에 암 이동 수단(13)을 샤프트(2)의 굴곡에 확실히 추종시킬 수 있으므로, 암 이동 수단(13)이 샤프트(2)의 굴곡 등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 이동 수단(13)은, 반드시 내시경(1)의 샤프트(2)를 따라 마련할 필요는 없고, 암 이동 수단(13)의 선단부만이 샤프트(2)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샤프트(2)의 선단부에 있어서, 암 이동 수단(13)의 축방향과 샤프트(2)의 선단부의 축방향이 대략 평행이 되어 있으면, 조작자에 의한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의 각부를 설명한다.
우선, 암 이동 수단(13)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이동 수단(13)은,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긴 부재이며, 내시경(1)의 샤프트(2)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 암 이동 수단(13)의 길이는, 내시경(1)의 샤프트(2)의 길이와 같은 정도의 길이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암 이동 수단(13)은, 샤프트(2)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암 이동 수단(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암 이동 수단(13)을 샤프트(2)를 따르도록 고정하거나, 암 이동 수단(13)의 선단부만을 샤프트(2)의 선단부에 고정하거나 한 상태로, 샤프트(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암 이동 수단(13)을 샤프트(2)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샤프트(2)의 굴곡 등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면 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강화 비닐, 강화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을 소재로 하는 벨트 형상 부재나, 폴리에틸렌, 강화 비닐, 금속 등을 소재로 하는 고리 형상 잠금쇠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암 이동 수단(13)은, 샤프트(2)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샤프트(2)의 굴곡에 추종하여 굴곡할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암 이동 수단(13)은, 내시경(1)의 샤프트(2)에 장착하여도, 내시경(1)의 조작의 방해가 되지 않는 강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암 이동 수단(13)은, 샤프트(2)의 굴곡에 추종하여 굴곡할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3개의 튜브(또는 2개의 튜브와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암 이동 수단(13)은, 케이스 튜브(13a)와, 후측 암 이동 튜브(13b)와, 전측 암 이동 튜브(13c)(또는 전측 암 이동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튜브(13a)는, 샤프트(2)에 고정되는 중공튜브 형상의 부재이며, 벨트 형상 부재 등에 의해 샤프트(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케이스 튜브(13a)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강화 비닐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측 암 이동 튜브(13b)는, 케이스 튜브(13a) 내에 삽통된 중공튜브 형상의 부재이며, 케이스 튜브(13a) 내에 있어서, 그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축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에는, 후측 암(12)이 연결되어 있다. 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강화 비닐, 금속성의 와이어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회전시켜 후측 암(12)을 요동시키기 때문에, 후측 암 이동 튜브(13b)는, 손잡이 쪽에서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회전시켰을 때에, 그 회전량과 같게 후측 암(12)을 요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고 동축원상(同軸圓狀)으로 나란히 배설된 복수개의 금속성의 와이어에 의해 튜브 형상 부재를 형성하여 후측 암 이동 튜브(13b)로 하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측 암 이동 튜브(13c)는, 후측 암 이동 튜브(13b) 내에 삽통된 튜브이며, 후측 암 이동 튜브(13b) 내에 있어서, 그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축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에는, 전측 암(11)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선단부 10mm 정도는 강성이 높고, 선단부보다 손잡이 쪽은 부드럽지만 진퇴 방향으로는 수축, 확장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선단 10mm 정도에,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된 강성이 높은 봉상(棒狀)부를 가지고, 이 부분 이외는 와이어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을, 전측 암 이동 튜브(13c)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회전시켜 후측 암(12)을 요동시키기 때문에, 전측 암 이동 튜브(13c)는, 손잡이 쪽에서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회전시켰을 때에, 그 회전량과 같게 후측 암(12)을 요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기단 및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기단은, 내시경(1)의 샤프트(2)를 조작하는 조작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튜브의 기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각 튜브의 선단의 움직임(축방향을 따른 진퇴, 축주위의 회전)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암 이동 수단(13)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측 암 이동 튜브(13c)와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동시에, 또는, 어느 일방을,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전후 한 쌍의 암(11, 12)을 서로 접근 이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그 축주위에 회전시키면, 전측 암(11)을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축주위에 회전시킬 수 있고,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그 축주위에 회전시키면, 후측 암(12)을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축주위에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측 암 이동 튜브(13c)는, 후측 암 이동 튜브(13b)에 대해서 축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되고, 후측 암 이동 튜브(13b)에 대해서 그 축주위에 회전시킬 수가 없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후측 암(12)의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전측 암(11)의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을 항상 일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후측 암 이동 튜브(13b)도, 케이스 튜브(13a)에 대해서 축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되고, 케이스 튜브(13a)에 대해서 그 축주위에 회전시킬 수가 없어도 된다.
더욱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 및 전측 암 이동 튜브(13c)는, 모두 독립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후 한 쌍의 암(11, 12)을 서로 접근 이간시킬 수 있다면, 어느 일방만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더욱이, 암 이동 수단(13)의 외경(즉, 케이스 튜브(13a)의 외경)은,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장착한 내시경(1)을 소화관 내(또는 오버 튜브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암 이동 수단(13)의 외경은, 암 이동 수단(13)과 샤프트(2)의 외경을 합친 직경이, 11~13mm 정도가 바람직하고, 11~12mm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설명)
다음에, 전후 한 쌍의 암(11, 12)을 설명한다.
(후측 암(12)에 대하여)
먼저, 후측 암(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 암(12)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전면(12a)과 배면(12b)이 서로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후측 암(12)의 기단부에는,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는, 후측 암(12)과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그 중심축이 후측 암(12)의 전면(12a) 및 배면(12b)과 직교하도록 후측 암(12)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 후측 암 이동 튜브(13b)와 후측 암(12)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중심축을, 간단히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이라고 한다.
또한, 후측 암(12)의 기단부에는, 그 전면(12a)과 배면(12b)의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12h)이 형성되어 있고,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이 관통공(12h)의 중심축과 거의 같은 축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후술한다.
한편, 후측 암(12)의 선단부에는, 침상 부재(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침상 부재(14)는, 축부(14b)와, 이 축부(14b)의 선단에 마련된 외경이 큰 부분(화살촉 형상부(14a))를 가지고 있다. 화살촉 형상부(14a)는, 그 기단의 외경이 축부(14b)의 선단의 외경보다 크고, 축부(14b)와의 연결 부분에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화살촉 형상부(14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침상 부재(14)를 계합 부재(21)로부터 빼낼 때에 저항이 된다. 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팽경부에 상당한다.
또한, 침상 부재(14)는, 그 선단이 전측 암(11)으로 향한 상태가 되고, 그 축방향이 전면(12a)과 직교하도록 후측 암(12)에 장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침상 부재(14)는, 그 중심축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후측 암(12)에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그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키면, 후측 암(12)을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중심축 주위에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어 있다. 따라서,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침상 부재(14)를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 주위에 선회시킬 수 있다.
상기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이,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요동축에 상당한다.
또한, 후측 암(12)은,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그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켰을 때에,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된다. 즉, 반드시 후측 암(12)의 표면(전면(12a) 또는 배면(12b))은 반드시 평탄면이 아니어도 되고, 후측 암(12)의 배면(12b)과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은 반드시 직교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침상 부재(14)를 후측 암(12)에 마련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침상 부재(14)는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반드시 후측 암(12)의 선단에 침상 부재(14)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 침상 부재(14)는, 봉합하는 대상에 찔러 그 대상을 관통시킬 수 있어 더욱이, 대상을 관통한 상태로부터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대상으로부터 빼낼 수 있는 정도의 길이 및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되고, 그 소재나 길이, 축경(軸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해 위벽을 봉합하는 경우이면, 그 길이는 후측 암(12)의 전면으로부터 그 선단까지의 길이가 위벽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이면 되고, 그 소재는 금속제가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침상 부재(14)를 후측 암(1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후측 암(12)의 전면으로부터 그 선단까지의 길이가, 7~20mm 정도가 바람직하고, 7~10mm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침상 부재(14)의 축경은, 그 축부(14b)의 기단부의 축경은 0.5~1mm 정도가 바람직하고, 축부(14b)의 선단부의 축경은 0.5~1mm 정도가 바람직하고, 화살촉 형상부(14a)의 최대직경은 축부(14b)의 선단부의 축경 ± 0.1~1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전측 암(11)에 대하여)
다음에, 전측 암(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암(11)은, 한 쌍의 직사각형의 부분(이하, 분기부(11s)라고 함)을 가지는 부재이며, 한 쌍의 분기부(11s)의 기단끼리가 연결되어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전측 암(11)은, 배면(11b)(즉 후측 암(12) 측의 면)이 서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 암(11)은, 대략 V자형에 한정하지 않고, 한 쌍의 분기부(11s)가 마련되어 있으면, 대략 원호상이나 직사각형상(ㄷ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전측 암(11)에 있어서, 한 쌍의 분기부(11s)가 연결된 개소에는,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전측 암 이동 튜브(13c)는, 전측 암(11)과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그 중심축이 전측 암(11)의 배면(11b)과 직교하도록 전측 암(11)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 전측 암 이동 튜브(13c)와 전측 암(11)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중심축을, 간단히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이라고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암(11)에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분기부(11s)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수용 공간(16, 16)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 공간(16)은, 한 쌍의 분기부(11s)의 전면(11a)와 배면(11b)의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그 중심축이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수용 공간(16)은, 그 배면(11b)측(대경부(16a))의 내경이 전면(11a)측(소경부(16b))의 내경보다 큰 계단식 구멍이며, 소경부(16b)의 내경이 화살촉 형상부(14a)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후술한다.
그리고, 각 수용 공간(16)은, 그 중심축으로부터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까지의 거리가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으로부터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까지의 거리와 같은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이 관통공(12h)의 중심축과 거의 같은 축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으므로,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을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과 같은 축으로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을 요동축과 같은 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그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켰을 때에, 침상 부재(14)를 그 중심축이 각 수용 공간(16)의 중심축과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중심축이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전측 암(11)은, 각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이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즉, 전측 암(11)의 배면(11b)은, 반드시 반드시 평탄면에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후측 암(12)의 배면(12b)과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은 반드시 직교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각 수용 공간(16)은, 그 중심축으로부터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의 것으로 거리가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으로부터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의 것으로 거리와 같은 길이가 되도록 배설되어 있으면 되고, 반드시 전측 암(11)의 선단에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봉합 기구(20)에 대하여)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는, 봉합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봉합 기구(20)는,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된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와,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를 연결하는 봉합사(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봉합 기구(20)의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는, 전측 암(11)의 한 쌍의 수용 공간(16, 16) 내에 각각 배치된다.
이 계합 부재(21)는, 수용 공간(16)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표리를 관통하는 관통공(21h)이 수용 공간(16)의 소경부(16b)를 관통하는 구멍의 상방에 배치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부재(21)는, 그 외경이 수용 공간(16)의 대경부(16a)의 내경보다 작고 또한 소경부(16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수용 공간(16) 내에 배치되면, 계합 부재(21)의 외연(外緣)과 대경부(16a)의 내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관통공(21h)의 반경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 내에 배치되면, 계합 부재(21)의 외연과 대경부(16a)의 내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만 형성되는 것과 같은 크기로, 계합 부재(21)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은,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삽통시킬 수 있지만, 화살촉 형상부(14a)가 완전하게 관통공(21h)을 삽통하면 침상 부재(14)로부터 계합 부재(21)가 빠지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계합 부재(21)는, 그 내경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의 외경보다 작지만 침상 부재(14)의 축부(14b)의 선단(즉, 화살촉 형상부(14a)와의 연결 부분)의 축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의 작동의 개략)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서는,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을 요동시키면, 침상 부재(14)와 일방의 수용 공간(16)이 대향하여, 침상 부재(14)와 일방의 수용 공간(16)이 서로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에 의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일방의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면, 일방의 수용 공간(16) 내에는, 봉합 기구(20)의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일방의 계합 부재(21)에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삽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 전체가 일방의 수용 공간(16)의 소경부(16b)에 삽입될 때까지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를, 그 축부(14b)까지 일방의 계합 부재(21)에 관통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이간시키면, 계합 부재(21)를 침상 부재(14)와 함께 수용 공간(16)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을 요동시켜, 침상 부재(14)와 타방의 수용 공간(16)이 서로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한다.
타방의 수용 공간(16) 내에는, 봉합 기구(20) 타방의 계합 부재(2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 전체가 타방의 수용 공간(16)의 소경부(16b)에 삽입될 때까지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를, 그 축부(14b)까지 타방의 계합 부재(21)에 관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이간시키면,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가 모두 침상 부재(14)에 계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를 연결하는 봉합사(22)를 고리 형상으로 할 수 있다(도 5의 (8) 참조).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하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의 사이에 물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2회 접근 이간시키고, 또한, 1회째와 2회째에서 침상 부재(14)가 물체를 삽통하는 위치를 변화시키면, 봉합사(22)를, 그 양단이 물체의 같은 측에 위치하도록 물체를 관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봉합사(22)의 양단간의 부분이 물체에 걸린 상태가 되도록, 봉합사(22)를 물체에 관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도 5(8) 참조).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한 생체의 봉합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내시경(1)의 샤프트(2)에 장착하면, 위벽 등의 절개부를, 위의 내부로부터 봉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사용한 절개부의 봉합 작업을, 도 4 및 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위벽에 형성된 절개부(SH)를 봉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위 내에,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장착한 내시경(1)의 샤프트(2)를 삽입하여, 봉합해야 할 절개부(SH)의 근방에, 샤프트(2)의 선단면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의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조작하여, 전측 암(11)만을 절개부(SH)에 삽입한다.
그 후,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 및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조작하여, 전측 암(11)의 일방의 분기부(11s)와 후측 암(12)의 배면(12b)에 의해 절개부(SH)의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a)가 사이에 낀 상태가 되도록,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배치한다(도 4의 (1)).
또한,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은, 침상 부재(14)와, 일방의 분기부(11s)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16)(일방의 수용 공간(16))이 서로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4의 (1)의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접근시킨다. 그러면, 침상 부재(14)를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a)에 삽통시킬 수 있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일방의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봉합 기구(20)의 일방의 계합 부재(21)에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상 부재(14)에 일방의 계합 부재(21)를 계합시킬 수 있다(도 4의 (2)).
또한, 도 4에서는, 후측 암(12)과 전측 암(11)을 접근시킬 때에,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접근시키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전측 암(11)을 후측 암(12)에 접근시켜도 되고, 양자를 함께 이동시켜 양자를 접근시켜도 된다. 이 점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이간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측 암(11)에 대해서 후측 암(12)을 이동시키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그 외의 경우(후측 암(12)에 대해서 전측 암(11)을 이동시키는 경우 및 양자를 함께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에 일방의 계합 부재(21)를 계합시키면,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이때, 침상 부재(14)는, 침상 부재(14)를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a)에 삽통시킬 때에 형성된 구멍(이하, 제1 천공이라고 함)을 통하여 위 내로 되돌아간다. 그러면, 침상 부재(14)에 계합되어 있는 일방의 계합 부재(21)도, 침상 부재(14)와 함께 위 내로 이동한다.
한편, 봉합 기구(20)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이동해도 타방의 분기부(11s)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16) 내에 잔류하므로, 양 계합 부재(21)를 연결하는 봉합사(22)는 제1 천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봉합사(22)는, 일방의 계합 부재(21)에 고정되어 있는 일단은 위 내에 위치하고, 타방의 계합 부재(21)에 고정되어 있는 일단은 위 외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도 4의 (3)).
도 4의 (3)의 상태에서, 전측 암(11)의 타방의 분기부(11s)와 후측 암(12)의 배면(12b)에 의해 절개부(SH)의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b)가 사이에 낀 상태가 되도록,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배치한다(도 4의 (4)). 구체적으로는, 전측 암(11)을 이동시켜, 타방의 분기부(11s)가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b)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그 후, 전측 암(11)을 요동시켜, 침상 부재(14)와 타방의 분기부(11s)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16)(타방의 수용 공간(16))이 서로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한다.
도 4의 (4)의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접근시킨다. 그러면, 침상 부재(14)를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b)에 삽통시킬 수 있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타방의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봉합 기구(20)의 타방의 계합 부재(21)에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상 부재(14)에 타방의 계합 부재(21)도 계합시킬 수 있다(도 5의 (5)).
침상 부재(14)에 타방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계합시키는 경우,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으로부터 이간시키면, 침상 부재(14)는, 침상 부재(14)를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b)에 삽통시킬 때에 형성된 구멍(이하, 제2 천공이라고 함)을 통하여 위 내에 되돌아간다. 그러면, 침상 부재(14)에 계합되어 있는 타방의 계합 부재(21)도, 침상 부재(14)와 함께 위 내로 이동하고, 봉합사(22)가 제2 천공을 관통한다(도 5(6)).
그러면, 봉합사(22)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계합 부재(21)가 모두 1개의 침상 부재(14)에 계합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봉합사(22)에 의해, 침상 부재(14)(즉, 위 내)로부터 제1 천공을 관통하여 위 외로 나와, 위 외면으로부터 제2 천공을 관통하여 침상 부재(14)(즉, 위 내)로 되돌아가는 고리가 형성된다(도 5의 (7) 참조).
상기와 같은 봉합사(22)의 고리가 형성되면, 우선,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절개부(SH)를 통하여 위 내에 전측 암(1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전측 암(11)이 위 내에 들어가면, 침상 부재(14)가 절개부(SH)로부터 이간하도록 샤프트(2) 자체, 또는, 후측 암(12)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봉합사(22)의 양단이 절개부(SH)로부터 이간하도록 이동하므로, 봉합사(22)에 있어서 제1 천공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과 제2 천공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위 외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가 이동된다. 즉,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는, 그 단면끼리가 접근하도록 이동되기 때문에, 절개부(SH)는,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가 접촉하도록 봉합되는 것이다(도 5의 (8)).
그리고,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가 접촉하면, 이 상태에서 봉합사(22)를 결찰한다. 구체적으로는, 봉합사(22)에 있어서, 침상 부재(14)(즉, 일방의 계합 부재(21))로부터 제1 천공에 연장되는 부분과, 침상 부재(14)(즉, 타방의 계합 부재(21))로부터 제2 천공에 연장되는 부분을 결찰한다. 이 결찰은, 시판되고 있는 클립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립 등을 내시경(1)의 겸자구로부터 공급하여 봉합사(22)에 장착하면, 결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봉합사(22)에 있어서, 결찰한 부분보다 침상 부재(14)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자르면,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절개부(SH)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예에서는, 봉합 장치(10)의 후측 암(12)에 마련되는 침상 부재(14)가 1개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침상 부재(14)는 복수개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측 암(11)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침상 부재(14)를 간격을 둔 상태로 나란해지도록 마련해 둔다. 그리고, 각 분기부(11s)에는, 복수개의 침상 부재(14)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수용 공간(16)을 형성해 둔다. 즉, 하나의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일방의 분기부(11s)에 마련되어 있는 하나의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을 동축상에 배치하면, 모든 침상 부재(14)와 일방의 분기부(11s)에 마련되어 있는 모든 수용 공간(16)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각 분기부(11s)에 복수의 수용 공간(16)을 형성해 둔다. 이러한 봉합 장치(10)를 이용하여 상술한 순서로 봉합을 실시하면, 한번에 복수 개소에서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를 삽통하는 봉합사(22)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개부(SH)의 봉합을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분기부(11s)가 2개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전측 암(11)에 마련하는 분기부(11s)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연결 기구)
상술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봉합 장치(10)에 있어서, 전측 암(11)의 배면(11b) 및 후측 암(12)의 전면(12a)이 모두 평탄면이며, 전측 암(11)의 배면(11b)과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이 직교하고, 또한, 후측 암(12)의 전면(12b)과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이 직교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전측 암(11)의 배면(11b)과 후측 암(12)의 전면(12a)을 평행으로 한 채로,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 이간시킬 수 있는 경우,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을 동축으로 배치하면, 침상 부재(14)를 수용 공간(16)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왜냐하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으로부터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돌출시키는 길이에 제한은 없지만, 생체(위벽 등)의 봉합시에는, 겨우 10~20mm 정도만 돌출시키면 되고, 이 정도의 돌출량으로는, 전측 암 이동 튜브(13c)에 있어서 돌출된 부분은 거의 굴곡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측 암 이동 튜브(13c)는 후측 암 이동 튜브(13b)에 삽통되어 있어 양자는 동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암(11)의 배면(11b)은,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 이간시켜도, 후측 암(12)의 전면(12a)과 평행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특히,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에 상술한 것과 같은 강성이 큰 봉상부를 마련해 두고, 그 길이가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돌출시키는 돌출량보다 짧으면, 확실히 전측 암(11)의 배면(11b)과 후측 암(12)의 전면(12a)을 평행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와 같은 연결 기구를 마련해 두면, 침상 부재(14)를 수용 공간(16)에 의해 확실히 삽입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40)는, 후측 암(12)에 마련된 후측 연결 부재(42)와, 전측 암(11)에 마련된 전측 연결 부재(41)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 연결 부재(42)는, 후측 암(12)의 기단에 마련되어 있다. 이 후측 연결 부재(42)는, 단면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축 형상부이며, 그 측면이 요동축(환언하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측 연결 부재(42)는,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한 기준 측면(42a)과, 이 기준 측면(42a)과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 측면(42b, 42c)을 가지고 있다. 기준 측면(42a)은, 침상 부재(14)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한 쌍의 위치결정 측면(42 b, 42c)은,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이다. 그리고, 후측 연결 부재(42)는 단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준 측면(42a)과 한 쌍의 위치결정 측면(42 b, 42c)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연결 부재(41)는, 전측 암(11)의 기단에 마련된 축 형상부이다. 이 전측 연결 부재(41)는, 그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 홈(41h)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안내 홈(41h)은, 후측 연결 부재(42)와 계합할 수 있고, 더욱이, 계합한 후측 연결 부재(42)를 그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내 홈(41h)은,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안내면(41a, 41b)을 가지고 있다. 이 한 쌍의 안내면(41a, 41b)은, 요동축(환언하면,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의 축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안내면(41a, 41b)은, 그 교차 각도가, 후측 연결 부재(42)의 기준 측면(42a)과 한 쌍의 위치결정 측면(42b)이 이루는 각도와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안내면(41a, 41b)은 서로 직교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홈(41h)은, 후측 연결 부재(42)의 기준 측면(42a)이 안내면(41a) 또는 안내면(41b)에 면접촉하도록 후측 연결 부재(42)를 계합시키면, 한 쌍의 위치결정 측면(42b, 42c) 중 어느 일방이 안내면(41a) 또는 안내면(41b)과 면접촉하여,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이 어느 수용 공간(16)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 후측 연결 부재(42)의 기준 측면(42a)을 안내면(41b)에 면접촉시키면, 위치결정 측면(42b)은 안내면(41a)에 면접촉한다. 그러면, 후측 연결 부재(42)는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은 일방의 수용 공간(16)(도 7의(B)에서 좌측의 수용 공간(16))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위치결정된다. 반대로, 후측 연결 부재(42)의 기준 측면(42a)을 안내면(41a)에 면접촉시키면, 위치결정 측면(42a)이 안내면(41b)에 면접촉한다. 그러면,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은 타방의 수용 공간(16)(도 7의 (B)에서 우측의 수용 공간(16))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위치결정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연결 기구(40)의 후측 연결 부재(42)를 전측 연결 부재(41)에 있어서의 후측 암(12) 측의 단부로부터 계합시키면, 안내 홈(41h)에 따라 후측 연결 부재(42)를 전측 암(1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후측 연결 부재(42)와 안내 홈(41h)을 2면에서 면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후측 암(12)과 전측 암(11)과의 상대적인 회전을 고정한 상태, 즉, 후측 암(12)과 전측 암(11)을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접근 이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침상 부재(14)의 중심축을 수용 공간(16)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유지한 채로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수용 공간(16) 내에 확실하고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홈(41h)의 한 쌍의 안내면(41a, 41b)에 각각 안내면(41a, 41b)을 따라 신장된 레일상의 돌기(41p)를 형성하고, 후측 연결 부재(42)에 돌기(41p)와 계합할 수 있는 홈(42g)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후측 연결 부재(42)와 전측 연결 부재(41)를 보다 확실히 위치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후측 암(12)과 전측 암(11)을 확실히 위치결정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기준 측면(42a)의 법선 방향이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요동축을 연결하는 선과 평행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술한 것과 같은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기준 측면(42a)의 법선 방향은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요동축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어느 정도 각도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연결 기구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측 암(11)에 대한 후측 암(12)의 요동은 고정하지만 양자가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는 구조이면 된다.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의 설명)
또한, 상기 예에서는, 전측 암(11)에만 분기부(11s)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후측 암(12)에도 한 쌍의 분기부(12s, 12s)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하나의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위치하면 다른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다른 수용 공간(16)의 중심축도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침상 부재(14)를 각 분기부(12s)에 각각 마련한다. 그리고,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를 한 쌍의 수용 공간(16, 16)에 각각 배치하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1회만 접근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를 한 쌍의 분기부(12s, 12s)에 마련되어 있는 침상 부재(14)에 각각 계합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하나의 분기부(12s)에 마련되어 있는 침상 부재(14)와, 다른 분기부(12s)에 마련되어 있는 침상 부재(14)를 연결하도록 봉합사(22)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봉합 장치(10A)에 의해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를 봉합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가 각각 전측 암(11)의 한 쌍의 분기부(11 s, 11s)와 전측 암(12)의 한 쌍의 분기부(12s, 12s)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1회만 접근 이간시키면, 봉합사(22)의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를 관통하고, 더욱이, 봉합사(22)의 양단이 위벽에 대해서 같은 측에 위치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 장치(10A)를 사용하면, 봉합 작업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봉합 시간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봉합 장치(10A)에도 상술한 연결 기구(40)를 마련해도 된다. 즉, 전측 암(11) 및 후측 암(12)에 각각 전측 연결 부재(41) 및 후측 연결 부재(42)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전측 연결 부재(41)와 후측 연결 부재(42)가 계합하면, 한 쌍의 분기부(12s, 12s)의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한 쌍의 분기부(11 s, 11s)에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배치하도록, 전측 연결 부재(41) 및 후측 연결 부재(42)를 형성한다. 그러면, 한 쌍의 침상 부재(14, 14)를 확실히 한 쌍의 수용 공간(16, 16)에 삽입시켜, 한 쌍의 침상 부재(14, 14)에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를 계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봉합 장치(10A)의 후측 암(12)의 각 분기부(12s)에 복수개의 침상 부재(14)를 마련하고, 각 분기부(12s)에 마련되어 있는 침상 부재(14)와 동수의 수용 공간(16)을, 전측 암(11)의 각 분기부(11s)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1회만 접근 이간시켜도, 복수개의 봉합사(22)를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에 삽통할 수 있으므로, 봉합 작업의 공정수를 보다 줄일 수 있고, 봉합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계합 부재(21)에 대하여)
또한, 봉합 기구보(20)의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21h)에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삽통시킬 수 있지만, 화살촉 형상부(14a) 전체가 관통공(21h)을 삽통하면 침상 부재(14)로부터 계합 부재(21)가 빠지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계합 부재(21)로서, 이하와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 부재(21)로서 어느 정도 경도가 높고 탄성력이 있는 탄성 소재(스프링 강 등)에 의해 형성된, 일부에 단속(斷續) 부분(21g)을 가지는 환형의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재의 경우, 계합 부재(21)는, 그 관통공(21h)의 내경이, 침상 부재(14)가 삽입되는 측(도 10의 상측, 이하 삽입측이라고 함)으로부터 침상 부재(14)가 돌출하는 측(도 10의 하측, 이하, 돌출측이라 함)으로 향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더욱이, 계합 부재(21)는, 그 관통공(21h)에 있어서의 돌출측의 내경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의 외경보다 작지만 축부(14b)의 선단부분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한다. 그러면,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에 침상 부재(14)를 삽입하면, 계합 부재(21)의 단속 부분(21g)이 넓어져,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삽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가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을 완전하게 삽통하면, 계합 부재(21)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한다(즉, 계합 부재(21)는, 단속 부분(21g)이 닫힌 상태로 되돌아온다). 한편, 침상 부재(14)를 계합 부재(21)로부터 빼내려고 해도, 돌출측에 있어서의 관통공(21h)의 내경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의 기단부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의 기단부가 계합 부재(21)의 돌출측의 면에 걸려, 계합 부재(21)는 침상 부재(14)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계합 부재(21)는,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의 내경을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보다 크게 한 다음, 관통공(21h)의 내면에,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으로부터 침상 부재(14)가 빠지지 않도록, 침상 부재(14)를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유지부(21f)를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21h)에 있어서의 돌출측의 내면에, 삽입측으로는 구부러지기 어렵지만, 역측으로는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파지편(21s, 21s)을 마련하고, 그 선단 사이의 거리가,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의 외경보다 좁지만 축부(14b)의 선단부분의 외경보다 넓어지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가 완전하게 삽통되면, 한 쌍의 파지편(21s, 21s)은 탄성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한다(즉, 한 쌍의 파지편(21s, 21s)의 선단에 의해 축부(14b)가 사이에 낀 상태가 된다). 한 쌍의 파지편(21s, 21s)이 이동의 저항이 되기 때문에, 침상 부재(14)를 계합 부재(21)로부터 빼내려고 해도, 계합 부재(21)는 침상 부재(14)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더욱이, 계합 부재(21)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 부재(21)는 원환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며, 그 내단(內端)에 3매의 계합편(21f, 21f)을 가지는 것이다. 이 계합 부재(21)는, 내경은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보다 크지만, 3매의 계합편(21f, 21f)의 내단에 형성되는 원의 직경이 화살촉 형상부(14a)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면, 화살촉 형상부(14a)가 관통공(21h)을 삽통하면 화살촉 형상부(14a)와 축부(14b)의 단차에 3매의 계합편(21f, 21f)이 걸리므로, 계합 부재(21)로부터 침상 부재(14)가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침상 부재(14)가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을 삽통할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후측 암(12)과 전측 암(11)을 접근시켰을 때에, 양자를 보다 확실히 계합시킬 수 있다.
또한, 계합 부재(21)에 봉합사(22)를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22)를 계합 부재(21)에 연결하여 고정해도 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 부재(21)에 연결편(21b)을 마련하고, 이 연결편(21b)과 봉합사(22)를 연결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21b)을 구비한 계합 부재(21)는, 관통공(21h)이 형성된 계합부(21a)와, 이 계합부(21a)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편(21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편(21b)은, 계합부(21a)와의 연결 부분에서 절곡되어, 그 축방향이 관통공(21h)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연결편(21b)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파지편(21k)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봉합사(22)의 단부를 연결편(21b)의 축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하여, 복수의 파지편(21k)과 연결편(21b)의 사이에 봉합사(22)를 끼우도록 하면, 봉합사(22)를 계합 부재(21)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편(21b)의 축방향이 관통공(21h)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에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가 삽통되면, 연결편(21b)을 화살촉 형상부(14a)의 측면을 따른 상태 또는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연결편(21b)의 축방향이 평행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면, 연결편(21b)을 마련해도, 침상 부재(14)가 위벽 등을 통과할 때에, 연결편(21b)에 기인하는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연결편(21b)과 계합부(2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자의 연결 부분이 곡면이 되도록 절곡하면, 위벽 등을 통과할 때의 저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편(21b)에 봉합사(22)의 단부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지편(21k)을 가지지 않는 판형 또는 봉상의 부재로서, 봉합사(22)의 단부의 꼬임을 풀고, 꼬임을 푼 실에 의해 연결편(21b)을 감싸 접착제 등에 의해 굳혀 봉합사(22)와 연결편(21b)을 고정해도 된다.
또한, 계합 부재(21)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편(21b)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측 암(11)의 수용 공간(16)에 계합 부재(21)와 유지시켰을 때에, 연결편(21b)을 유지할 수 있는 기구를 전측 암(11)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측 암(11)의 측면에, 수용 공간(16)의 축방향을 따라 연결편 수용홈(16g)을 마련한다. 그리고, 전측 암(11)의 배면(16b)에, 연결편 수용홈(16g)과 수용 공간(16)을 연통하는 연통홈(16m)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공간(16)의 대경부(16a)와 연결편 수용홈(16g)이 연통하도록 연통홈(16m)을 마련한다. 그리고, 연통홈(16m)의 폭을, 봉합사(22)의 단부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연결편(21b)의 폭보다 조금 넓게 한다.
그러면, 계합 부재(21)를 수용 공간(16) 내에 배치할 때에, 계합부(21a)를 수용 공간(16)의 대경부(16a)에 배치하여 연통홈(16m)에 연결편(21b)을 배치한다. 그러면, 연결편(21b)은 그 축방향이 연결편 수용홈(16g)의 축방향과 평행이 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계합부(21a)의 관통공(21h)의 중심축과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편(21b)이 연결편 수용홈(16g)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계합부(21a)는 수용 공간(16) 내에서 기울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계합 부재(21)를 안정된 상태로 수용 공간(16) 내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계합 부재(21)(연결편(21b)을 마련하는 경우에서는 계합부(21a))의 형상 및 관통공(21h)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계합 부재(21) 및 관통공(21h)의 형상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 부재(21)의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해도 되고, 삼각형상이나 오각형상 등으로 해도 되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공(21h)의 형상도, 사각형상으로 해도 되고, 삼각형상이나 오각형상 등으로 해도 되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계합 부재(21)의 외경을 사각형상 등으로 하는 경우에는, 계합 부재(21)에 의해 위벽 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모퉁이를 모따기 하는 것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합 부재(21)는, 코일 스프링과 같이 선상의 부재를 나선상으로 감은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도 외경이 수용 공간(16)의 소경부(16b)보다 크고, 그 내경이 축부(14b)의 선단 외경보다 크지만 화살촉 형상부(14a)보다 작아지도록 형성하면 된다. 특히, 계합 부재(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해 그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면, 화살촉 형상부(14a)를 계합 부재(21)에 삽통시키기 쉽지만 계합 부재(21)로부터 화살촉 형상부(14a)가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계합 부재(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해 그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계합 부재(21)를 대략 원추형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의 설명)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C)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C)는,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구조 이외는 상술한 봉합 장치(10)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등한 구조를 가지는 암 이동 수단(13)이나 봉합 기구(20) 등에 관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설명)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의 전후 한 쌍의 암(11, 12)을 설명한다.
우선, 전후 한 쌍의 암(11, 12)에 공통되는 형상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암(11, 12)은, 그 기단이, 각각 암 이동 수단(13)의 전측 암 이동 튜브(13c) 및 후측 암 이동 튜브(13b)에 장착되어 있다.
각 암(11, 12)은, 각 암(11, 12)과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각 이동 튜브(13a, 13b)의 축방향(이하, 간단히 각 이동 튜브(13a, 13b) 선단의 축방향이라고 함)으로부터 볼 때(도 13의 (B) 참조, 이하, 평면시라고 함),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양 암(11, 12)은, 평면시의 형상이 대략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암(11, 12)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시경(1)의 선단부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CCD 카메라의 시야의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조명의 장애가 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후측 암(12)은, 그 중심축(a)의 곡률 반경이 내시경의 샤프트(2)의 직경과 같은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암(11, 12)의 형상은 반드시 원호상일 필요는 없고, 봉상이어도 되고,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상이어도 된다. 각 암(11, 12)이 봉상이나 직사각형상인 경우에는, 각 암(11, 12)의 축방향의 길이는 내시경(1)의 샤프트(2)의 외경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암(11, 12)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봉합시에 변형하지 않는 정도의 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금속이나 강화 플라스틱 등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전후 한 쌍의 암(11, 12)에 대해,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후측 암(12)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 암(12)은, 상술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그 기단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후측 암(12)에 있어서, 전측 암(11) 측의 면(이하 전면(12a)이라고 함)은,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후측 암(12)의 전면(12a)에 있어서의 선단부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침상 부재(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침상 부재(14)는, 그 축방향이 전면(12a)과 직교하도록(환언하면, 그 축방향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그 기단이 전면(12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측 암(12)은, 판상이 아니어도 되고, 그 표면(전면(12a) 또는 배면)은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축방향과 직교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후측 암(12)의 표면은, 반드시 평탄면이 아니어도 된다.
더욱이, 후측 암(12)에 침상 부재(14)를 마련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후측 암(12)의 선단이 아니어도 된다.
다음에, 전측 암(11)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암(11)은,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에 그 기단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전측 암(11)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측 암(11)은, 그 내부에 후술하는 봉합 기구(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 즉, 봉합 기구(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암(11)에 있어서, 상기 후측 암(12) 측의 면(도 13(A)에서는 상측의 면, 이하 배면(11b)이라고 함)은,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측 암(11)의 배면(11b)은, 후측 암(12)의 전면(12a)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측 암(11)의 배면(11b)은, 후측 암(12)의 전면(12a)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평탄면이 아니어도 된다. 그리고, 전측 암(11)의 배면(11b)과 후측 암(12)의 전면(12a)은, 반드시 평행이 아니어도 된다. 그러나, 후측 암(12)의 전면(12a) 및 후측 암(12)의 전면(12a)이 모두 평탄하고 서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봉합을 안전하고 확실히 실시할 수 있는 점으로써 바람직하다.
(수용 공간(16)의 설명)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암(11)에는, 수용 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16)은, 배면(11b)으로부터 움푹 패인 구멍이며, 전측 암(11)을 관통하지 않게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16)은, 그 중심축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 공간(16)은, 후측 암(12)에 마련되어 있는 침상 부재(1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공간(16)은, 그 중심축으로부터 전측 암 이동 튜브(13c)의 선단의 중심축까지의 거리가,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중심축으로부터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까지의 거리와 같은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전측 암(11) 및 후측 암(12)을 그 기단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시키면,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수용 공간(16)의 중심축이 같은 축이 되는 위치가 존재하도록, 수용 공간(16)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측 암 이동 튜브(13c)와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축주위의 상대적인 회전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 공간(16)은, 그 중심축이 침상 부재(14)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용 공간(16)은, 그 내경이 침상 부재(14)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수용 공간(16)은 계단식 구멍이며, 상방에는 내경의 큰 부분(계합 부재 수용부(16a))을 가지고, 하방에 내경의 작은 부분(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 부재 수용부(16a)와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의 연결면(16c)은, 수용 공간(16)의 중심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후술한다.
그리고, 전측 암(11)에는, 수용 공간(16)과 연통된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은, 그 저면(17a)이 수용 공간(16)의 연결면(16c)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후술한다.
(봉합 기구(20)에 대하여)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 내에는, 봉합 기구(20)가 수용되어 있다. 이 봉합 기구(20)는, 원환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와, 이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를 연결하는 봉합사(22)로 구성되어 있다.
계합 부재(21)는, 수용 공간(16)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 내에 낙하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부재(21)는, 그 외경이 계합 부재 수용부(16a)의 내경보다 작고 또한 수용 공간(16)의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의 작동의 개략)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서는,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침상 부재(14)와 수용 공간(16)이 대향하도록 배치해서(침상 부재(14)와 수용 공간(16)이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해서), 암 이동 수단(13)에 의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봉합 기구(20)의 일방의 계합 부재(21)를 수용 공간(16) 내에 배치하면, 일방의 계합 부재(21)는 연결면(16c) 상에 배치되고,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이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러면, 봉합 기구(20)의 일방의 계합 부재(21)를 수용 공간(16)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시키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 전체가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에 삽입될 때까지,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를, 그 축부(14b)까지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에 삽통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이간시키면, 계합 부재(21)를 침상 부재(14)와 함께 수용 공간(16)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으로부터 이탈하면, 이 일방의 계합 부재(21)와 봉합사(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봉합사(22)에 이끌려,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으로부터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한다.
타방의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하면,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연결면(16c) 상에 배치되고,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이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타방의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가 모두 침상 부재(14)에 계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한 쌍의 계합 부재(21, 21)를 연결하는 봉합사(22)를 고리 형상으로 할 수 있다(도 15 참조).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하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의 사이에 물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2회 접근 이간시키고, 또한, 1회째와 2회째에서 침상 부재(14)가 물체를 삽통하는 위치를 변화시키면, 봉합사(22)를, 그 양단이 물체의 같은 측에 위치하도록 물체를 관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봉합사(22)의 양단 사이의 부분이 물체에 걸린 상태가 되도록, 봉합사(22)를 물체에 관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도 15 참조).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 의한 생체의 봉합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내시경(1)의 샤프트(2)에 장착하면, 위벽 등의 절개부를, 위의 내부로부터 봉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사용한 절개부의 봉합 작업을, 도 16 및 도 1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위벽에 형성된 절개부(SH)를 봉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위 내에,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장착한 내시경(1)의 샤프트(2)를 삽입하고, 봉합해야 할 절개부(SH) 근방에, 샤프트(2)의 선단면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의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조작하여, 전측 암(11)만을 절개부(SH)에 삽입한다.
그 후,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 및 전측 암 이동 튜브(13c)를 조작하여, 전측 암(11)의 전면(11a)와 후측 암(12)의 배면(12b)에 의해 절개부(SH)의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a)가 사이에 낀 상태가 되도록,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배치한다(도 16의 (1)).
또한,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은, 침상 부재(14)와 수용 공간(16)이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6의 (1)의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접근시킨다. 그러면, 침상 부재(14)를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a)에 삽통시킬 수 있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봉합 기구(20)의 일방의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에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상 부재(14)에 일방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계합시킬 수 있다((도 16의 (2)).
또한, 도 16에서는, 후측 암(12)과 전측 암(11)을 접근시킬 때에,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접근시키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전측 암(11)을 후측 암(12)에 접근시켜도 되고, 양자를 함께 이동시켜 양자를 접근시켜도 된다. 이 점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이간시키는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측 암(11)에 대해서 후측 암(12)을 이동시키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그 외의 경우(후측 암(12)에 대해서 전측 암(11)을 이동시키는 경우 및 양자를 함께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침상 부재(14)에 일방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계합시키면,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이때, 침상 부재(14)는, 침상 부재(14)를 일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a)에 삽통시킬 때에 형성된 구멍(이하, 제1 천공이라고 함)을 통하여 위 내로 되돌아간다. 그러면, 침상 부재(14)에 계합되어 있는 일방의 계합 부재(21)도, 침상 부재(14)와 함께 위 내로 이동한다.
한편, 봉합 기구(20)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이동해도 전측 암(11)의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 내에 잔류하므로, 양 계합 부재(21)를 연결하는 봉합사(22)는 제1 천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일방의 계합 부재(21)에 고정되어 있는 일단은 위 내에 위치하고, 타방의 계합 부재(21)에 고정되어 있는 일단은 위 외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도 16의 (3)).
도 16의 (3)의 상태로부터, 후측 암(12) 및 전측 암(11)의 방향 및 위치를 바꾸어, 전측 암(11)의 전면(11a)와 후측 암(12)의 배면(12b)에 의해 절개부(SH)의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b)가 사이에 낀 상태가 되도록 배치한다(도 16의 (4)).
또한, 후측 암(12) 및 전측 암(11)의 방향을 바꿀 때에, 봉합사(22)가 어느 정도 이끌리므로,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 내로부터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의 저면(17a)과 수용 공간(16)의 연결면(16c)이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원활하게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한다. 그리고,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한 계합 부재(21)는, 후측 암(12)과 전측 암(11)이 접근했을 때에, 침상 부재(14)와 계합할 수 있는 위치(즉,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관통공(21h)에 관통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도,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은, 침상 부재(14)와 수용 공간(16)이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6의 (4)의 상태에서,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에 접근시키면, 침상 부재(14)를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b)에 삽통시킬 수 있어, 침상 부재(14)에 타방의 계합 부재(21)를 계합시킬 수 있다(도 17의 (5)).
침상 부재(14)에 타방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계합시키는 경우, 암 이동 수단(13)의 후측 암 이동 튜브(13b)를 조작하여, 후측 암(12)을 전측 암(11)으로부터 이간시키면, 침상 부재(14)는, 침상 부재(14)를 타방의 입구 가장자리부(Sb)에 삽통시킬 때에 형성된 구멍(이하, 제2 천공이라고 함)을 통하여 위 내로 되돌아간다. 그러면, 침상 부재(14)에 계합되어 있는 타방의 계합 부재(21)도, 침상 부재(14)와 함께 위 내로 이동하여, 봉합사(22)가 제2 천공을 관통한다(도 17의 (6)).
그러면, 봉합사(22)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계합 부재(21)가 모두 한 개의 침상 부재(14)에 계합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봉합사(22)에 의해, 침상 부재(14)(즉, 위 내)로부터 제1 천공을 관통하여 위 외로 나와, 위 외면으로부터 제2 천공을 관통하여 침상 부재(14)(즉, 위 내)로 되돌아오는 고리가 형성되는(도 17의 (7), 도 15 참조).
상기와 같은 봉합사(22)의 고리가 형성되면, 우선, 암 이동 수단(13)을 조작하여, 전측 암(11)을 절개부(SH)를 통하여 위 내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전측 암(11)이 위 내에 들어가면, 침상 부재(14)가 절개부(SH)로부터 이간하도록 샤프트(2) 자체, 또는, 후측 암(12)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봉합사(22)의 양단이 절개부(SH)로부터 이간하도록 이동하므로, 봉합사(22)에 있어서 제1 천공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과 제2 천공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가 이동된다. 즉,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는, 그 단면끼리가 접근하도록 이동되기 때문에, 절개부(SH)는,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가 접촉하도록 봉합되는 것이다(도 17의 (8)).
그리고,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가 접촉하면, 그 상태로 봉합사(22)를 결찰한다. 구체적으로는, 봉합사(22)에 있어서, 침상 부재(14)(즉, 일방의 계합 부재(21))로부터 제1 천공에 연장하는 부분과 침상 부재(14)(즉, 타방의 계합 부재(21))로부터 제2 천공에 연장하는 부분을 결찰한다. 이 결찰은, 시판되고 있는 클립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립 등을 내시경(1)의 겸자구로부터 공급하여 봉합사(22)에 장착, 결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봉합사(22)에 있어서, 결찰한 부분보다 침상 부재(14)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자르면,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절개부(SH)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를 장착한 샤프트(2)를 위 내에 삽입할 때는,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켜, 침상 부재(14)가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봉합 장치(10)를 장착한 샤프트(2)를 오버 튜브 등에 통하기 쉬워지고, 침상 부재(14)에 의해 위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측 암(11)의 배면(11b)과 후측 암(12)의 전면(12a)이 접촉할 수 있는 정도로, 침상 부재(14)의 길이나 수용 공간(16)의 깊이를 조정해 두면, 봉합 장치(10)를 장착한 샤프트(2)를 오버 튜브 등에 통할 때에 있어서의 봉합 장치(10)의 저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후측 암(12)을, 그 배면이 샤프트(2)의 선단면(1s)과 접촉할 정도까지 접근시켜 두면, 봉합 장치(10)의 저항을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6)의 개구부 내면에, 침상 부재(14)를 수용 공간(16) 내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의 내단과 침상 부재(14)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복수의 시트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핀(11f)을 마련해도 된다. 그러면, 봉합 장치(1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때까지의 사이에, 개구부의 내단과 침상 부재(14)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수용 공간(16) 내에 생체의 조직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측 암(11)의 구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봉합 기구(20)의 타방의 계합 부재(21)가, 전후 한 쌍의 암(11, 12)의 움직임에 의해,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 내로부터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즉, 후측 암(12), 침상 부재(14), 전측 암(11)의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공급 기구가 되는 경우를 설명했다.
전측 암(11)이,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 내로부터 수용 공간(16) 내에 계합 부재(21)를 압출하는 기구를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 내에,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마련하고, 이 이동 부재를 수용 공간(16)으로 향해 부세하는 부세 부재(예를 들면, 스프링 등)를 마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저항이 되고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 내에 유지된다. 그리고, 침상 부재(14)와 함께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으로부터 이탈하면,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이동 가능해지므로, 이동 부재에 밀려 타방의 계합 부재(21)를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공급 기구를 마련한 경우에는, 수용 공간(16)의 일방의 계합 부재(21)는,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타방의 계합 부재(21)와 수용 공간(16) 내면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내시경(1)을 위 내에 삽입할 때 등에, 수용 공간(16)으로부터 일방의 계합 부재(21)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타방의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했을 때에, 타방의 계합 부재(21)는,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이동 부재와 수용 공간(16) 내면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측 암(11)의 방향을 바꿀 때(도 16의 (4) 참조)나, 봉합사(22)에 의해 타방의 계합 부재(21)가 이끌렸을 때에도, 수용 공간(16)으로부터 타방의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급 기구를 마련한 경우에 있어서, 봉합 기구 유지 공간(17)에 복수의 봉합 기구(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면, 복수회의 봉합을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봉합 기구(20)에 의해, 2개소의 봉합을 실시한 뒤에(도 15 참조), 2개소를 동시에 결찰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봉합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낙하 방지막)
또한, 수용 공간(16)의 개구부에는, 침상 부재(14) 등의 선단에 의해 관통할 수 있는 막, 예를 들면, 수지제의 막 등을 마련해도 된다. 그러면, 전측 암(11)을 절개부(SH)에 배치하여, 봉합을 개시할 때까지, 봉합 기구(20)가 수용 공간(16)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시경(1)의 샤프트(2)의 선단면(1s)을 위로 향한 경우에서도, 봉합 기구(2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 공간(16)의 개구부에 마련하는 막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제의 막 등이면, 침상 부재(14)를 수용 공간(16)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침상 부재(14)의 선단을 막에 관통시킬 수 있다. 그러면, 봉합을 실시하기 전에 막을 떼어내는 등의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봉합 기구(20)를 이용한 봉합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막이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 침상 부재(14)의 선단이 관통한 다음에도, 침상 부재(14)에 의해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의 막으로서, 수용 공간(16)의 개구부의 어느 정도의 면적을 폐색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면,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의 막을, 봉합 기구(20)의 계합 부재(21)가 수용 공간(16)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 방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액체 배출구멍)
더욱이, 상기 예에서는, 수용 공간(16)은, 전측 암(11)을 관통하지 않게 마련되어 있지만, 그 경우, 위 내의 혈액 등의 액체가 수용 공간(16) 내에 모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수용 공간(16)에 들어간 액체 등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구멍을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6)의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의 내저면과 전측 암(11)의 전면과의 사이를 관통하는,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보다 세경(細徑)의 관통공(16f)을 마련한다. 그러면, 침상 부재(14)의 선단이 전측 암(11)의 전면보다 돌출하는 것을 방지면서, 수용 공간(16)에 들어간 액체를 관통공(16f)을 통하여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6)의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 자체를 전측 암(11)의 전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하여,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 내에, 침상 부재(14)의 선단이 전측 암(11)의 전면보다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를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9의 (b)와 같이,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 내에 격자모양의 플레이트(16p)를 마련하면, 침상 부재(14)의 선단이 전측 암(11)의 전면보다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용 공간(16)에 들어간 액체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 내에 그물 등을 마련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6)의 연결면(16c)과 전측 암(11)의 전면과의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16f)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 내에 들어간 액체는 완전하게는 외부에 배출할 수 없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액체는 관통공(16f)을 통하여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
상기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에서는, 침상 부재(14)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전측 암(11)에, 침상 부재(14)를 둘러싸도록 침상 부재(14)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마련해도 된다. 그러면, 위벽 등의 대상에 침상 부재(14)를 찔렀을 때에, 침상 부재(14)에 가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침상 부재(14)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를 마련한 봉합 장치(10B)는, 보호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구성 이외는, 실질적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봉합 작업 시에도 동일하게 조작되고 동일하게 작동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보호 부재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 장치(10B)에서는, 후측 암(12)의 전면(12a)에, 중공의 중공침(14p)이 마련되어 있다. 이 중공침(14p)은, 그 축방향이 전면(12a)과 직교하도록(그 축방향이 후측 암 이동 튜브(13b)의 선단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그 기단이 전면(12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공침(14p)의 내부에는, 중공침(14p)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상기 침상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위벽 등의 봉합 대상에 침상 부재(14)를 찔렀을 때에, 침상 부재(14)에 대해서 그 반경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침상 부재(14)가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봉합 장치(10B)에서도, 중공침(14p)을 마련한 점 이외는 도 12 내지 도 19의 봉합 장치(10)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봉합 장치(10)와 동일하게 조작하면, 절개부(SH)를 봉합할 수 있다. 즉,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 장치(10B)를 조작하면, 봉합 장치(10B)에 있어서의 봉합 기구(20)의 봉합사(22)에 의해 절개부(SH)를 봉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공의 중공침(14p)을 마련한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암(11)의 수용 공간(16)에, 중공침(14p)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홈(16g)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환형 홈(16g)은, 그 직경이 중공침(14p)과 동일 직경이 되도록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의 주위에 형성한다. 그리고, 환형 홈(16g)의 깊이를,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 전체를 침상 부재 선단 수용부(16b)에 삽입했을 때에, 중공침(14p)의 선단이 환형 홈(16g)의 내저면과 접하지 않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한다. 그러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을 접근시켰을 때에, 중공침(14p)이, 침상 부재(14)의 화살촉 형상부(14a)를 계합 부재(21)의 관통공(21h)에 삽통시키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결찰)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봉합 장치(10, 10B)를 이용하면, 위 내로부터에서도 절개부(SH)를 봉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봉합사(22)의 결찰도, 내시경(1)의 겸자구를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봉합 장치(10)가,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결찰 부재(50)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봉합사(22)의 결찰을 보다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찰 부재(50)는, 중공의 관상 부재(51)와, 이 관상 부재에 삽통된 선상 부재(52)와, 관상 부재(51) 또는 선상 부재(51)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선상 부재(52)는, 그 일단(52a)과 타단(52b)이 모두 관상 부재(51)에 삽통되어 관상 부재(51)의 타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상 부재(512)의 일단(52a)과 타단(52b)의 사이의 부분이 관상 부재(51)의 일단 측에 돌출하여, 관상 부재(51)의 일단측에서 고리 형상의 루프부(52r)를 형성하고 있다.
관상 부재(51)는, 선상 부재(52)가 2개 삽통되어도, 선상 부재(52)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선상 부재(52)의 소선경(素線徑)이 0.3~1.0mm 정도이면, 관상 부재(51)는, 그 내경이 약 15~25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상 부재(52)의 기단에는, 관상 부재(51)와 선상 부재(52)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53)가 연결되어 있다. 이 이동부(53)는, 튜브형상 부재(53a)의 내부에 와이어(53b)가 수용된 것이고, 와이어(53b)가 튜브형상 부재(53a)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53b)의 선단에는, 선상 부재(52)의 기단을 연결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연결 기구(53c)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이므로, 이동부(53)의 연결 기구(53c)에 의해 선상 부재(52)의 기단을 유지하고, 와이어(53b)를 관상 부재(5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끌면, 관상 부재(5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루프부(52r)가 관상 부재(51)로 끌려든다. 왜냐하면, 관상 부재(51)는 튜브형상 부재(53a)에 의해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선상 부재(52)만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루프부(52r)를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튜브형상 부재(53a)를 선상 부재(52)의 루프부(52r)로 향해 눌렀을 경우에는, 관상 부재(51)만이 이동한다. 관상 부재(5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루프부(52r)를 관상 부재(51) 내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루프부(52r)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찰 부재(50)는, 그 선상 부재(52)의 루프부(52r)가 봉합 장치(10)를 둘러싸도록 배설되어 있다. 환언하면, 봉합 장치(10)의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의 양쪽 모두가 삽통된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도 26과 같이 하면, 봉합사(22)를 결찰할 수 있다.
우선, 결찰 부재(50)를 구비한 봉합 장치(10)를 내시경(1)의 샤프트(2)에 장착한다. 이때, 봉합 장치(10)의 후측 암(12)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까지가 루프부(52r) 내에 삽통한 상태가 되도록, 결찰 부재(50)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봉합 장치(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를 봉합한다. 즉, 봉합 기구(20)의 봉합사(22)의 양단이, 절개부(SH)에 대해서 같은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봉합 기구(20)에 의해 봉합사(22)의 양단을 이끌면,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가 접촉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가 되면, 결찰 부재(50)의 선상 부재(52)의 루프부(52r)를 이동시켜, 봉합사(22)의 양단(즉, 침상 부재(14)의 선단)과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루프부(52r)를 결찰에 적절한 위치로 배치하면, 와이어(53b)를 관상 부재(5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끈다. 그러면, 루프부(52r)가 작아져, 루프부(52r)에 의해 봉합사(22)의 양단부를 묶을 수 있었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루프부(52r)에 의해 봉합사(22)의 양단부를 묶을 수 있었던 상태로부터 더욱 와이어(53b)를 이끌면, 루프부(52r)와 함께 봉합사(22)도 관상 부재(51) 내로 끌려든다. 그러면, 관상 부재(51)의 내경은 선상 부재(52)가 2개 삽통할 수 있는 정도이기 때문에, 관상 부재(51) 내에 선상 부재(52)와 봉합사(22)와 밀착하여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다. 즉, 선상 부재(52)와 봉합사(22)가 관상 부재(51) 내에 억지 끼워맞춤된 상태로 수용되게 되므로, 봉합사(22) 및 선상 부재(52)는, 관상 부재(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봉합사(22)의 양단부가 결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결찰 부재(50)를 사용하면, 봉합사(22)의 양단부를 둘러싸도록 선상 부재(52)의 루프부(52r)를 배치하여, 선상 부재(52)를 이끄는 것만으로, 루프부(52r)에 의해 봉합사(22)를 묶어 결찰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봉합사(22)의 결찰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결찰 부재(30))
또한, 이하와 같은 결찰 부재(30)에 의해 봉합사(22)의 결찰을 실시해도 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찰 부재(30)는, 중공의 관인 관상 부재(31)와, 이 관상 부재(31) 내에 배치된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구비하고 있어 협지 부재(32)에 의해 봉합사(22)의 결찰할 수 있는 것이다.
(후측 암(12)의 구조의 설명)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찰 부재(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봉합 장치(10, 10B)의 후측 암(12)이, 결찰 부재(30)를 침상 부재(14)의 선단에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어, 우선, 후측 암(12)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 암(12)에는,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을 따라, 그 표리(도 27에서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12h)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2h)은, 그 내경이 침상 부재(14)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12h) 내에는, 관통공(12h)의 내면으로부터 관통공(12h)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침(針) 지지 돌기(12p)가 마련되어 있고, 이 침 지지 돌기(12p)에 있어서의 전측 암(11)의 면에 침상 부재(14)의 기단이 장착되어 있다. 물론, 침상 부재(14)는, 그 축방향이 전측 암(11)과 후측 암(12)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설된다.
그리고, 후측 암(12)의 배면(12b)에는, 도입관(12t)의 선단이 장착되어 있다. 이 도입관(12t)은, 그 길이가 내시경(1)의 샤프트(2)의 길이와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긴 부재이다. 이 도입관(12t)은, 샤프트(2)의 굴곡에 추종하여 굴곡할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튜브(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강화 비닐, 강화 플라스틱제의 튜브 등)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2)에 따르도록 배설된 상태로 샤프트(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입관(12t)은, 그 내경이 관통공(12h)의 내경과 동일 또는 관통공(12h)의 내경보다 약간 크고, 관통공(12h)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그 내부에 관통공(12h)이 위치하도록(도 27(B) 참조), 그 선단이 후측 암(12)의 배면(12b)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입관(12t)의 타단으로부터, 도입관(12t)의 내부에 물체(예를 들면, 결찰 부재(30))를 삽통하면, 도입관(12t)의 일단 및 관통공(12h)을 통하여, 물체를 후측 암(12)의 전면(12a)보다 전방에 공급할 수 있다. 환언하면, 물체를 침상 부재(14)의 전방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입관(12t)을 샤프트(2)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샤프트(2)의 굴곡 등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면 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강화 비닐, 강화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을 소재로 하는 벨트 형상 부재나, 폴리에틸렌, 강화 비닐, 금속 등을 소재로 하는 고리 형상 잠금쇠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결찰 부재(30)의 설명)
다음에, 결찰 부재(3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찰 부재(30)는, 중공의 관인 관상 부재(31)와, 이 관상 부재(31) 내에 배치된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도 28).
(관상 부재(31)의 설명)
우선, 관상 부재(31)는, 그 길이가 내시경(1)의 샤프트(2)의 길이와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긴 부재이다. 이 관상 부재(31)는, 그 외경이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의 내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상 부재(31)는, 그 측면에 슬릿(31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1s)은, 관상 부재(31)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1s)은, 그 폭이 전술한 침 지지 돌기(12p)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상 부재(31)는, 유연성을 가지는 튜브(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강화 비닐, 강화 플라스틱제의 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상 부재(31)의 선단 개구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돌기부(31p)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부(31p)는, 후술하는 체결 부재(33)가 놓이는 것이다. 이 돌기부(31p)는, 후술하는 체결 부재(33)가 관상 부재(31)의 선단으로부터 나오지 않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관상 부재(31)의 축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변형하여 체결 부재(33)를 관상 부재(31)의 선단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강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후술한다.
(체결 부재(33)의 설명)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상 부재(31)의 내부에는, 체결 부재(33)가 수용되어 있다. 이 체결 부재(33)는, 관상 부재(31)의 선단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부(31p)에 실린 상태가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체결 부재(33)는, 그 외경이 관상 부재(31)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된, 절결(33h)을 가지는 환형(링 형상)의 부재이다. 즉, 체결 부재(33)는, 대략 C자 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이 체결 부재(33)의 절결(33h)은, 그 폭이 전술한 침 지지 돌기(12p)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32)의 설명)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상 부재(31)의 내부에는, 협지 부재(32)가 수용되어 있다. 이 협지 부재(32)는, 그 선단부가 체결 부재(33)에 삽입된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 부재(32)는, 기단부(도 28 및 도 29에서는 상부)로부터 선단부(도 28 및 도 29에서는 하부)로 향해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협지 부재(32)는, 그 기단의 외경이 체결 부재(33)의 내경 이상 및 관상 부재(31)의 내경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협지 부재(32)는, 그 선단의 외경이 체결 부재(33)의 내경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협지 부재(32)는,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속하는 실 수용홈(32h)을 가지고 있고, 그 외면에 있어서의 실 수용홈(32h)을 끼우는 위치에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에 힘이 가해지면, 실 수용홈(32h)의 내면끼리가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금이나 주석(Sn), 인듐(In) 또는 이들을 포함한 합금과 같이 변형하기 쉽고, 일단 변형되면,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에 의해,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협지 부재(32)를 형성하면, 상기와 같은 힘이 가해지면, 협지 부재(32)가 변형되어, 실 수용홈(32h)의 내면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협지 부재(32)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재료이면 된다.
그리고, 협지 부재(32)의 실 수용홈(32h)은,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로 향해 그 홈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실 수용홈(32h)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상단에는, 절단 날(32c)이 마련되어 있다. 즉, 실 수용홈(32h)의 내면끼리가 접근하도록 협지 부재(32)가 변형하면, 실 수용홈(32h)의 선단끼리가 접촉한 후에 실 수용홈(32h)의 기단끼리(절단 날(32c)끼리)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관상 부재(31)는, 도입관(12t) 내에 삽입할 수 있어, 도입관(12t)이 구부러져 있어도 그 굴곡을 따라 변화하면서, 도입관(12t)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관상 부재(31)의 내부에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수용하면, 관상 부재(31)와 함께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도입관(12t)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관상 부재(31)의 슬릿(31s)의 위치와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에 형성되어 있는 침 지지 돌기(12p)의 위치를 맞추면(도 27(B) 참조), 침상 부재(14)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관통공(12h)에 관상 부재(31)를 통하게 할 수 있다. 즉, 침 지지 돌기(12p)를 슬릿(31s)에 넣은 상태에서, 관상 부재(31)를 관통공(12h)에 통하게 하면, 관상 부재(31)의 선단을, 후측 암(12)의 전면(12a)이나 침상 부재(14)보다 전방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관상 부재(31) 내에 있어서, 협지 부재(32)의 실 수용홈(32h) 및 체결 부재(33)의 절결(33h)의 위치와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에 형성되어 있는 침 지지 돌기(12p)의 위치를 맞추면(도 27(B) 참조), 침상 부재(14)가 실 수용홈(32h) 내를 통과하도록, 관통공(12h)에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통하게 할 수 있다. 즉, 침 지지 돌기(12p)를 슬릿(31s)에 넣은 상태에서, 관상 부재(31)를 관통공(12h)에 통하게 하면,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도, 후측 암(12)의 전면(12a)이나 침상 부재(14)보다 전방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결찰 작업)
이상과 같은 결찰 부재(30)를 사용한 결찰 작업에 대하여, 도 30 및 도 3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절개부(SH)의 한 쌍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가 접촉한 상태가 되면, 도입관(12t)의 타단으로부터, 결찰 부재(30)의 관상 부재(31)를 삽입한다. 이때, 관상 부재(31)의 슬릿(31s)의 위치와, 협지 부재(32)의 실 수용홈(32h)의 개구의 위치, 체결 부재(33)의 절결(33h)의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관상 부재(31)의 선단이 후측 암(12)의 위치까지 닿으면, 관상 부재(31)를 축주위에 회전시켜,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슬릿(31s)의 위치와 침 지지 돌기(12p)의 위치를 맞춘다. 그러면, 관상 부재(31)의 선단부,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에 통과시킬 수 있어, 관상 부재(31)의 선단부,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침상 부재(14)보다 전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침상 부재(14)는 협지 부재(32)의 실 수용홈(32h) 내를 통과하므로, 침상 부재(14)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봉합사(22)는, 실 수용홈(32h) 내에 배치된다.(도 30(A) 참조).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을 통과한 관상 부재(31)의 선단부 등을 더욱 전진시켜, 관상 부재(31)의 선단부, 즉, 협지 부재(32)의 선단부를, 봉합사(22)에 결찰을 형성하는 위치(이하, 결찰 위치라고 함)에 배치한다. 또한, 결찰 위치란, 봉합사(22)의 길이, 즉, 협지 부재(32)의 선단부보다 절개부(SH)측에 위치하는 봉합사(22)의 길이를, 절개부(SH)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의 단면끼리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할 수 있는 위치이다.
협지 부재(32)의 선단부가 결찰 위치에 배치되면, 관상 부재(31) 내에 관상의 지지 부재(35)를 삽입한다. 이 지지 부재(35)는, 그 단면이 관상 부재(31)의 단면과 대략 유사하게 형성된 관상의 부재이며, 후측 암(12)의 관통공(12h)을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35)를, 그 선단 단면이 협지 부재(32)의 기단 끝면과 면접촉하도록 배치한다. 그 후, 지지 부재(35)를, 관상 부재(31)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은 가능하지만, 결찰 위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한다.
또한, 이와 같이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지지 부재(35)의 기단을 내시경(1)의 샤프트(2)에 고정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결찰 위치에 대해서 약간의 이동이 허용된다면, 수술을 행하는 의사가 지지 부재(35)를 유지해도 된다.
또한, 지지 부재(35)는, 관상 부재(31) 내에 처음부터 배치해도 된다.
지지 부재(35)의 이동이 고정되면, 관상 부재(31)가 기단으로 향해 이동된다(도 30(B)). 즉, 관상 부재(31)는 후측 암(12)으로 향해 이동된다. 이때, 체결 부재(33)는 관상 부재(31)의 돌기부(31p)에 실린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체결 부재(33)는 관상 부재(31)와 함께 후측 암(12)으로 향해 이동된다.
그러면, 체결 부재(33)에 삽입되어 있는 협지 부재(32)에는, 체결 부재(33)로부터 후측 암(12)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지지 부재(35)가 결찰 위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협지 부재(32)는, 지지 부재(35)와 마찬가지로 결찰 위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협지 부재(32)와 체결 부재(33)의 사이에는, 관상 부재(31)의 이동 방향의 응력뿐만이 아니라, 관상 부재(31)의 반경 방향의 응력(환언하면, 실 수용홈(32h)을 끼우는 위치에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발생한다. 관상 부재(31)의 반경 방향을 따른 응력이 가해지면, 협지 부재(32)는, 실 수용홈(32h)의 내면끼리가 접근하도록 변형한다. 그러면, 협지 부재(32)의 외경이 작아져, 협지 부재(32)의 선단부가 체결 부재(33)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도 30(B)).
그리고, 협지 부재(32)의 외경이 어느 정도 작아지면, 실 수용홈(32h)의 선단의 내면끼리가 접촉하므로, 봉합사(22)는 이 선단 내면 사이에 끼워져 그 이동이 고정된다. 즉, 협지 부재(32)의 선단에 의해, 봉합사(22)는, 결찰된 경우와 같은 정도로 그 이동이 고정된다.(도 30(B), 도 31(B)). 이 협지 부재(32)의 선단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파지부에 상당한다.
더욱이, 관상 부재(31)를 기단으로 향해 이동하면, 협지 부재(32)는 더욱 변형하여 그 외경이 작아져, 실 수용홈(32h)의 기단의 내면끼리가 접촉한다. 즉, 실 수용홈(32h)의 기단에 마련되어 있는 절단 날(32c)끼리가 접촉한다(도 30(C), 도 31(C)). 그러면, 절단 날(32c)에 의해 봉합사(22)가 절단된다. 즉, 봉합사(22)에 있어서, 절개부(SH)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를 봉합하고 있는 부분이, 침상 부재(14)에 계합하고 있는 계합 부재(21)로부터 떼어내지는 것이다.
그러나, 봉합사(22)는, 협지 부재(32)의 선단에 의해 절단 날(32c)에 의해 절단된 부분보다 절개부(SH)의 입구 가장자리부(Sa, Sb)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봉합사(22)가 절개부(SH)를 봉합한 상태는 유지된다.
더욱이, 실 수용홈(32h)의 기단의 내면끼리가 접촉하고 나서도 관상 부재(31)를 기단으로 향해 이동하면, 협지 부재(32)는 그 외경이 작아지도록 변형할 수 없기 때문에, 협지 부재(32)와 체결 부재(33)의 사이에 발생하는 관상 부재(31)의 이동 방향의 응력이 급격하게 커진다. 그러면, 관상 부재(31)의 돌기부(31p)는 체결 부재(33)를 유지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돌기부(31p) 또는 관상 부재(31) 자체가 변형하고, 체결 부재(33)는 관상 부재(31)의 선단으로부터 이탈한다(도 30(D)). 이 때문에, 절개부(SH)를 봉합한 봉합사(22)가 협지 부재(32)에 의해 결찰된 상태로, 봉합 장치(10)로부터 떼어내진다. 즉, 절개부(SH)를 봉합사(22)에 의해 봉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결찰 부재(30)를 사용하면, 관상 부재(31)의 선단부 내에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를 수용하여, 관상 부재(31)를 빼내는 것만으로 봉합사(22)의 결찰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면, NOTES에 있어서, 소화관강 내에 배치된 연성 내시경만으로 종양 등의 절제로부터 봉합까지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체표면에 상처를 형성하는 일 없이 수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협지 부재(32)의 형상은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분리한 부재를 금속플레이트 등으로 연결하여, 한 쌍의 부재간에 실 수용홈을 가지는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상기와 같은 힘이 가해지면, 금속플레이트 등이 변형하여, 한 쌍의 부재에 있어서의 실 수용홈의 내면끼리를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31p)의 구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체결 부재(33)가 관상 부재(31)의 선단으로부터 나오지 않게 유지할 수 있고, 더욱이, 관상 부재(31)의 축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변형하여 체결 부재(33)를 관상 부재(31)의 선단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강도 구조이면 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관상 부재(31),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 또한,또한,측 암(12)의 관통공(12h)의 단면이, 대략 원형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형상은 반드시 대략 원형일 필요는 없다. 협지 부재(32) 및 체결 부재(33)는, 협지 부재(32)를 체결 부재(33)에 압입했을 때에, 상기와 같이 기능하여, 협지 부재(32)의 실 수용홈(32h) 사이에 봉합사(22)를 끼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대략 직사각형상 등이어도 된다.
더욱이, 협지 부재(32)는 반드시 절단 날(32c)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협지 부재(32)에 의해 결찰된 후, 가위 겸자 등에 의해 봉합사(22)를 절단하면 된다.
본 발명의 영역 확보용 기구는, 입, 항문, 질 등의 소화관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에 의해, 소화관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수술이나 복강 내의 수술을 실시하는 경관강적 내시경 수술에 적절하다.
1 내시경
2 샤프트
10 봉합 장치
11 전측 암
11s 분기부
12 후측 암
12s 분기부
13 암 이동 수단
14 침상 부재
16 수용 공간
20 봉합 기구
21 계합 부재
22 봉합사
30 결찰 부재
31 관상 부재
32 협지 부재
32h 실 수용홈
32c 절단 날
33 체결 부재
40 연결 기구
41 전측 연결 부재
41h 안내 홈
41a 안내면
42a 기준 측면
42b 위치결정 측면
50 결찰 부재
51 관상 부재
52 선상 부재
52r 루프부
ST 위벽

Claims (23)

  1. 전측 암과,
    이 전측 암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암 이동 수단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양자가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한 요동축 주위에 상대적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암은,
    선단을 상기 후측 암으로 향한 상태 및 그 중심축이 이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침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이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했을 때에,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는, 상기 침상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가 각각 수용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계합 부재가 봉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은,
    기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상기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계합 이탈 가능하게 마련된 전측 연결 부재와 후측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측 연결 부재 및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의 상대적인 요동을 소정의 자세로 고정하고 또한 이 자세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게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자세는 각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상기 침상 부재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자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계합되고, 이 후측 연결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을 따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에는 한 쌍의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연결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홈은,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이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교차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한 기준 측면과,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과 평행 및 상기 기준 측면과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 측면을 구비하고 있고,
    이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기준 측면이 일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일방의 위치결정 측면이 타방의 교차면과 접촉하고, 상기 기준 측면이 타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타방의 위치결정 측면이 일방의 교차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용 공간은,
    상기 후측 연결 부재를 그 기준 측면이 일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일방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상기 침상 부재의 중심축이 일치하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를 그 기준 측면이 타방의 교차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계합하면 타방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과 상기 침상 부재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6. 전측 암과,
    이 전측 암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암은,
    선단을 상기 후측 암으로 향한 상태 및 그 중심축이 이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침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이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이 복수의 수용 공간은,
    하나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이 하나의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같은 축이 되도록 배치되면, 다른 수용 공간의 중심축이 각각 다른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같은 축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는, 각 침상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가 각각 수용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계합 부재가 봉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암은,
    기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상기 침상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암은,
    기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한 쌍의 분기부에 각각 상기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서로 계합 이탈 가능하게 마련된 전측 연결 부재와 후측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연결 부재는 상기 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전측 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측 연결 부재 및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계합하고, 계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침상 부재의 중심축과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의 중심축이 각각 같은 축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후측 암의 요동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후측 연결 부재가 계합되고, 계합된 이 후측 연결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방향을 따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0. 전측 암과,
    이 전측 암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후측 암과,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측 암은,
    선단을 상기 후측 암으로 향한 상태 및 그 중심축이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침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이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했을 때에,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측 암에는,
    봉합사에 의해 연결된 상기 침상 부재와 계합 가능한 한 쌍의 계합 부재를 가지는 봉합 기구가 수용되어 있고,
    이 봉합 기구의 계합 부재를, 상기 수용 공간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삽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급 기구는,
    상기 전측 암 내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된 상기 봉합 기구를 수용하는 봉합 기구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봉합 기구 유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봉합 기구의 계합 부재를, 이 계합 부재의 관통공의 축방향이 상기 침상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평행이 되게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를 삽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는,
    이 선단부가 상기 계합 부재의 관통공에 삽통되면, 이 선단부로부터 이 계합 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부는,
    상기 침상 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팽경부(膨徑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계합부와,
    상기 봉합사과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연결편은,
    그 축방향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축방향을 따라 연결편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6. 제12항,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내면에는, 상기 팽경부와 계합하는 계합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암은,
    상기 전측 암측의 면에, 축방향이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마련된, 중공의 중공침을 구비하고 있고,
    이 중공침 내에 상기 침상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암 및 상기 후측 암의 양쪽 모두가 내시경의 선단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후측 암이 상기 전측 암에 대해서 상기 내시경의 선단면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시경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의 관상 부재와, 이 관상 부재에 삽통되어 이 관상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한 루프 형상부를 가지는 선상 부재를 구비한 결찰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결찰 부재는,
    상기 관상 부재가 상기 선상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루프 형상부에 상기 전측 암 및/또는 상기 후측 암이 삽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암에는,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이 접근 이간하는 방향을 따라, 이 후측 암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침상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그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이 관통공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 암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봉합 기구에 있어서의 한 쌍의 계합 부재가 계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침상 부재의 선단부보다 전방에서 상기 봉합사를 결찰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결찰 부재는,
    상기 봉합사가 통하는 실 수용홈을 가지고, 이 실 수용홈의 폭이 좁아지면, 이 실 수용홈 내에 배치된 상기 봉합사를 유지할 수 있는 협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협지 부재는,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방향을 따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통과할 때에, 상기 실 수용홈의 사이에 상기 침상 부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찰 부재는,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상기 전측 암과 상기 후측 암을 접근 이간시키는 방향을 따라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관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관상 부재는,
    그 단면이, 상기 후측 암의 관통공을 통과할 때에, 상기 침상 부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관상 부재 내에는,
    상기 실 수용홈의 축방향이 이 관상 부재의 축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협지 부재와,
    이 협지 부재와 이 관상 부재의 내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링 형상의 체결 부재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협지 부재는,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해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부재는,
    그 내경이, 상기 협지 부재의 선단 외경 이상 및 상기 협지 부재의 기단 외경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재는,
    그 선단부에, 상기 체결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가지고 있고,
    이 유지 기구는,
    상기 협지 부재가 상기 관상 부재의 선단으로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협지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이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관상 부재의 선단으로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상기 협지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이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면,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관상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23. 제20항,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실 수용홈의 내면에 마련된, 상기 봉합사를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실 수용홈의 내면에 마련된, 상기 파지부보다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절단 날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절단 날은,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봉합사가 파지된 상태로부터 더욱 상기 실 수용홈의 폭이 좁아지면, 상기 봉합사를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장치.
KR1020137019364A 2011-01-25 2012-01-23 봉합 장치 KR101562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3025 2011-01-25
JP2011013025 2011-01-25
PCT/JP2012/000371 WO2012101999A1 (ja) 2011-01-25 2012-01-23 縫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50A true KR20130094350A (ko) 2013-08-23
KR101562444B1 KR101562444B1 (ko) 2015-10-21

Family

ID=4658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364A KR101562444B1 (ko) 2011-01-25 2012-01-23 봉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79096B2 (ko)
EP (1) EP2668909B1 (ko)
JP (1) JP5294181B2 (ko)
KR (1) KR101562444B1 (ko)
CN (1) CN103402442B (ko)
RU (1) RU2573056C2 (ko)
SG (1) SG192154A1 (ko)
WO (1) WO2012101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2048B2 (en) * 2013-07-11 2017-03-1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Knotless suture fastener installation system
CN103494623B (zh) * 2013-08-30 2016-02-24 北京中法派尔特医疗设备有限公司 荷包钳及其缝合装置
US20160324517A1 (en) * 2013-12-31 2016-11-10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Stitching apparatus and methods
EP3146907A4 (en) * 2014-05-21 2018-02-07 Olympus Corporation Thread affixation system
JP6661188B2 (ja) * 2014-08-14 2020-03-11 学校法人金沢工業大学 縫合装置
EP3395260A4 (en) * 2015-12-24 2019-08-28 Zeon Corporation Endoscopic sewing tool
JP6933204B2 (ja) * 2016-02-29 2021-09-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縫合装置
WO2017164359A1 (ja) * 2016-03-24 2017-09-28 国立大学法人香川大学 縫合装置
JP6755498B2 (ja) * 2016-03-24 2020-09-16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縫合装置
JP6353867B2 (ja) * 2016-06-03 2018-07-04 Kyb株式会社 転倒防止装置
JP6829832B2 (ja) * 2016-12-16 2021-02-1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縫合装置
EP3578113B1 (en) * 2017-01-31 2023-09-27 Zeon Corporation Suture device
JP6860699B2 (ja) 2017-02-22 2021-04-21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縫合による閉塞装置
JP6926593B2 (ja) * 2017-03-30 2021-08-2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縫合装置
JP6950244B2 (ja) * 2017-03-31 2021-10-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縫合糸
CN110719756B (zh) 2017-06-23 2023-02-17 日本瑞翁株式会社 缝合装置
CN108209983A (zh) * 2018-01-08 2018-06-29 王振宁 经肛手术切除系统
JP7188435B2 (ja) * 2018-03-09 2022-12-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縫合装置
WO2019246277A1 (en) 2018-06-19 2019-12-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suturing control handle
CN112638284A (zh) * 2018-06-27 2021-04-09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与基于缝合线的闭合装置一起使用的内窥镜附接机构
WO2020051348A1 (en) 2018-09-06 2020-03-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suturing needle and suture assembly attachment methods
US11918202B2 (en) 2019-05-16 2024-03-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uture based closure device for use with endoscope
KR20220144380A (ko) 2020-02-18 2022-10-26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내시경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봉합 기반 폐쇄 디바이스
CN115135259A (zh) 2020-02-19 2022-09-30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具有多个安全限制的高功率斑块切除系统
KR20220162764A (ko) 2020-03-31 2022-12-08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봉합사 기반 봉합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225540A2 (ru) * 1984-07-20 1986-04-23 Владивосток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ш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дл наложени анастомозов на трубчатые органы
SU1475610A1 (ru) * 1987-09-17 1989-04-30 М.А. Мороз Иглодержатель М.А.Мороза
US5507755A (en) * 1993-08-03 1996-04-16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ing puncture wounds
US5632752A (en) * 1993-10-12 1997-05-27 Urohealth Systems, Inc. Surgical suturing device
GB9405790D0 (en) * 1994-03-23 1994-05-11 Univ London Sewing device
US6117144A (en) * 1995-08-24 2000-09-12 Sutura, Inc. Suturing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an opening in a blood vessel or other biological structure
US6562052B2 (en) * 1995-08-24 2003-05-13 Sutura, Inc. Suturing device and method
US5766183A (en) * 1996-10-21 1998-06-16 Lasersurge, Inc. Vascular hole closure
IL135832A0 (en) * 1999-06-04 2001-05-20 Influence Med Tech Ltd Bone suturing device
AU6059200A (en) * 1999-07-02 2001-01-22 Quickpass, Inc. Suturing device
AU2001249185A1 (en) * 2000-03-13 2001-09-24 Sutura, Inc. Suturing device and method
US7029481B1 (en) * 2000-11-06 2006-04-18 Abbott Laboratorie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uturing patient tissue
US8105342B2 (en) 2002-05-08 2012-01-31 Apollo Endosurgery, Inc. Apparatus for ligating/suturing living tissues and system for resecting/suturing living tissues
US7160309B2 (en) * 2002-12-31 2007-01-09 Laveille Kao Voss Systems for anchoring a medical device in a body lumen
JP4565218B2 (ja) * 2003-05-16 2010-10-20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ク 単一挿管複数回縫合内視鏡型縫合システム
EP2134266A4 (en) * 2007-03-29 2015-06-03 Nobles Medical Technologies Inc SEWING DEVICES AND METHOD FOR THE CLOSURE OF AN OPEN FORM OVAL
JP5441396B2 (ja) * 2008-12-09 2014-03-12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内視鏡用器具および内視鏡用縫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94181B2 (ja) 2013-09-18
SG192154A1 (en) 2013-08-30
KR101562444B1 (ko) 2015-10-21
JPWO2012101999A1 (ja) 2014-06-30
US20140121457A1 (en) 2014-05-01
WO2012101999A1 (ja) 2012-08-02
RU2573056C2 (ru) 2016-01-20
RU2013139054A (ru) 2015-03-10
CN103402442B (zh) 2015-11-25
US9579096B2 (en) 2017-02-28
EP2668909A1 (en) 2013-12-04
EP2668909A4 (en) 2015-09-09
CN103402442A (zh) 2013-11-20
EP2668909B1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4350A (ko) 봉합 장치
US8403942B2 (en) Anvil delivery device accessory
JP4790549B2 (ja) 縫合具
US20050216036A1 (en) Endoscopic fastening system with multiple fasteners
JP2007307382A (ja) 結紮要素および縫合糸アンカーの組み合わせアプリケータ
JP6888556B2 (ja) 内視鏡用縫合糸結紮具
US8734470B2 (en) Surgical apparatus
JP5441396B2 (ja) 内視鏡用器具および内視鏡用縫合装置
JP2010136733A5 (ko)
JP5226905B1 (ja) 縫合糸押し込み装置、および縫合糸押し込みシステム
JP4445736B2 (ja) 大腸全層切除の処置用挿入補助具とその医療器具システム
JP2008237645A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留置具
JP2012024607A (ja) 縫合器
CN108882931B (zh) 缝合装置
JP6755498B2 (ja) 縫合装置
JP3649459B2 (ja) 体内臓器吊上げ用具
CN110099611B (zh) 缝合装置
JPWO2019189400A1 (ja) 内視鏡用外付けチューブ部材
CN110719756A (zh) 缝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