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203A -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9203A KR20130089203A KR1020130011205A KR20130011205A KR20130089203A KR 20130089203 A KR20130089203 A KR 20130089203A KR 1020130011205 A KR1020130011205 A KR 1020130011205A KR 20130011205 A KR20130011205 A KR 20130011205A KR 20130089203 A KR20130089203 A KR 201300892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t
- sheet
- pressurizing
- extraction unit
- taken o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포 동작을 행했을 때에 정제 시트의 알루미늄 박에 끼여버려 제포가 완료되지 않은 정제를 확실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정제를 정제 수용부에 봉입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서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가 1개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정제 취출 유닛에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정제 취출 유닛이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고, 정제 공급 장치가 가압에 의해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가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갖고, 압출 기구가, 취출된 정제가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고, 취출된 정제가 검지된 경우에는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지 않는다.
또한, 정제를 정제 수용부에 봉입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서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가 1개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정제 취출 유닛에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정제 취출 유닛이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고, 정제 공급 장치가 가압에 의해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가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갖고, 압출 기구가, 취출된 정제가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고, 취출된 정제가 검지된 경우에는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제 압출 장치가 장착된 약제 분포기에 있어서, 정제의 압출 동작에서 PTP 시트에 정제가 남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종래, 조제 업무에 있어서, PTP 시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제의 일포화를 행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손으로 PTP 시트로부터 정제를 1정씩 압출해서 분포기에 세트할 필요가 있었다. 이 해결 수단의 하나로서, 선행 문헌 1과 같은 정제 압출 장치 및 그것에 포장 수단을 구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 문헌 2와 같은 제포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정제의 압출 동작의 리트라이에 관한 동작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정제를 취출 위치까지 반송하는 것 및 정제의 취출에 대해서 언급하고는 있지만, 제포기에서 취출 미스가 발생한 경우의 대처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 PTP 시트에 포장되어 있는 정제를 제포하는(취출하는) 경우, 1회의 압출 동작으로는 PTP 시트로부터 정제를 제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주된 요인으로 PTP 시트 상의 정제에 제포 동작을 행했을 때, 찢어진 알루미늄 박에 정제가 끼여버리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제포 동작을 행했을 때에 정제 시트의 알루미늄 박에 끼여버려 제포가 완료되지 않은 정제를 확실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정제를 정제 수용부에 봉입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서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이며, 1개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상기 정제 취출 유닛으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상기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고, 상기 정제 공급 장치가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가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갖고, 상기 압출 기구가 상기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고, 상기 취출된 정제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갖고,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기 전에 상기 적재대 상의 가압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정제 시트를 더욱 반송하고, 상기 압출 기구가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하기 전에 상기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정제 공급 장치가 상기 검출한 정제 수용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기구는 상기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를 검출함과 함께 상기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위치를 또한 검지하고, 상기 정제 공급 장치는 상기 검지된 정제 수용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압되는 위치까지의 반송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반송 거리에 의해 적재대 상의 정제 수용부가 가압되는 위치까지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 또는 후방에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가압하는 속도를 변경시키는 변경 기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압출 기구가 보다 고속으로 변경된 속도로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근을 가압하는 내측 가압체와, 상기 중앙 부근보다도 외측의 부분을 가압하는 외측 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가압체와 상기 외측 가압체가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포 동작을 행했을 때에 정제 시트의 알루미늄 박에 끼여버려 제포가 완료되지 않은 정제를 확실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포장 장치와 정제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제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정제 취출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정제 취출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정제 공급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정제 공급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는 포장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는 정제 취출 기구의 압출 블록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정제 취출 기구의 압출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포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리트라이 동작을(제포 속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리트라이 동작(제포 위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검출 위치와 제포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정제 시트의 휨 보정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정제 취출 유닛이 정제 시트로부터 1포 마다 제포 동작을 행하는 정제 포켓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정제 취출 유닛의 제포 모터 기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정제 취출 유닛이 좌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정제 취출 유닛이 우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정제 취출 유닛이 좌열의 제포 동작(리트라이 시)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제포 처리를 행할 때의 전체의 처리 스텝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제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정제 취출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정제 취출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정제 공급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정제 공급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는 포장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는 정제 취출 기구의 압출 블록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정제 취출 기구의 압출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포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리트라이 동작을(제포 속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리트라이 동작(제포 위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검출 위치와 제포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정제 시트의 휨 보정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정제 취출 유닛이 정제 시트로부터 1포 마다 제포 동작을 행하는 정제 포켓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정제 취출 유닛의 제포 모터 기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정제 취출 유닛이 좌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정제 취출 유닛이 우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정제 취출 유닛이 좌열의 제포 동작(리트라이 시)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제포 처리를 행할 때의 전체의 처리 스텝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설명한다.
도 1은 포장 장치(5)와 정제 공급 장치(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제 공급 장치(10) 및 정제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5)로 구성되어 있는 정제 공급 시스템이다.
참조 부호 1은 정제 취출 유닛이며, 정제 시트로 정제를 취출하는 유닛이다.
정제 공급 장치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이 수납되어 있다. 정제 취출 유닛은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6개가 나열되고, 이 6개의 정제 취출 유닛으로 이루어진 조가 상하 3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정제 취출 유닛은 좌우 6열, 상하 3단으로 배열되어 있다.
정제 공급 장치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만, 정제 취출 유닛의 수는 1이어도 좋다.
참조 부호 5는 포장 장치이며, 정제 공급 장치의 정제 취출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포장하는 장치다.
참조 부호 10은 정제 공급 장치이며, 정제 취출 유닛에 의해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서 공급한다. 정제 공급 장치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정제 공급 장치(10)는 복수의 정제를 각각 정제 수용부에 봉입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서 공급한다.
정제 공급 장치(10)는 1개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정제 취출 유닛으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를 설명한다.
도 2는 정제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제 공급 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참조 부호 203은 정제 시트의 투입구다.
도 3을 설명한다.
도 3은 정제 취출 유닛(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제 취출 유닛을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정제 취출 유닛(10)은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고 있다.
참조 부호 51은 정제 시트다.
정제 시트는 정제를 수용하는 정제 수용부를 갖는 시트 본체의 하면에,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금속박 등을 사용한 밀봉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정제를 정제 수용부에 밀봉한 것이다. 정제 시트는 시트부 상에 볼록 형상의 정제 수용부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로 나열된 형태다.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정제 수용부는 정제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어 있다.
또한, 정제 시트로는 시트부 상에 정제 수용부가 2열로 나열된 형태인 것에 한하지 않고, 정제 수용부가 정제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1열로 나열된 형태나, 정제 수용부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열 이상의 복수 열로 나열된 형태도 가능하다.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정제 취출 유닛의 내부 구조(단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제 시트 투입구에 시트를 세트하고, PTP 시트를 제포 위치(정제의 취출 위치)까지 반송을 행했을 때의 도면이다.
정제 취출 유닛은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정제 시트 반송 기구(반송 기구)와,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18)와,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정제 취출 기구(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 부호 39는 하부 롤러다.
정제 시트 반송 기구는 정제 시트를 진행 방향을 향해 반송하는 것이며, 진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 롤러와, 진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부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기구(39)는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기 전에 적재대 상의 가압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정제 시트를 더욱 반송하고, 압출 기구가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리트라이)한다.(정제 공급 방법)
하부 롤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고, 시트부의 하면에 접촉해서 정제 시트에 진행 방향으로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상부 롤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고, 시트부의 상면에 접촉해서 정제 시트에 진행 방향으로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상부 롤러의 폭 방향의 위치는 2열의 정제 수용부 사이에 상당하는 위치이기 때문에, 상부 롤러는 정제 수용부(52)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하부 롤러와 상부 롤러는 시트부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어서 정제 시트를 진행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롤러와 상부 롤러는 시트부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어서 정제 시트(51)를 진행 방향과는 역 방향으로도 반송할 수 있다.
참조 부호 24는 도입 슈트다.
도입 슈트(24)는 배출구에 떨어뜨려진 정제를 유도하는 것이며, 배출구를 포함하는 크기의 상부 개구를 갖고, 적재대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정제 취출 유닛은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가압하는 속도를 변경시키는 변경 기구를 추가로 갖고 있다.
압출 기구는 보다 고속으로 변경된 속도로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리트라이)한다.
압출 기구는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근을 가압하는 내측 가압체(83)와, 중앙 부근보다도 외측의 부분을 가압하는 외측 가압체(84)를 포함하고 있다.
내측 가압체와 외측 가압체가 독립하여 동작함으로써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한다.
압출 기구는 내측 가압체보다도 먼저 외측 가압체에 의해 정제 수용부를 가압시킨다.
참조 부호 83은 내측 가압체다. 내측 가압체의 선단은 대부분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보다도 면적이 좁으므로, 내측 가압체는 정제를 취출할 경우(하강한 경우)에, 정제 시트에 뚫린 구멍으로부터 선단이 돌출된다.
참조 부호 84는 외측 가압체다. 외측 가압체의 선단은, 대부분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보다도 면적이 넓으므로, 정제를 취출할 경우(하강한 경우)에, 정제 시트에 뚫린 구멍으로부터 선단이 돌출되지 않는다. 즉,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눌러 부수기 위한 것이다.
정제 취출 기구(압출 기구)는 외측 가압체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기구와, 내측 가압체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 기구를 갖는다.
제1 승강 기구는 외측 가압체가 설치된 제1 승강체와, 회전 구동해서 제1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캠과, 제1 승강체를 상승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스프링)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승강체는 전후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기둥 형상체이며, 전단부에 외측 가압체가 설치되어 있다. 캠은 외측 가압체의 승강 동작을 고려해서 설계된 형상의 판상체이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축부에 고정되어 있다. 캠은 제1 승강체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구동하며, 제1 승강체를 가압함으로써 높이 위치를 조정하고, 이에 의해 외측 가압체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승강 기구는 캠의 회전 동작의 타이밍, 캠의 형상, 축부에 대한 캠의 고정 위치 등의 설정에 의해, 외측 가압체의 승강 동작의 타이밍이나 변위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승강 기구는 내측 가압체가 설치된 제2 승강체와, 회전 구동해서 제2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캠과, 제2 승강체를 상승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스프링)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승강체는 전후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기둥 형상체이며, 전단부에 내측 가압체가 설치되어 있다. 캠은 제2 승강체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구동하며, 제2 승강체를 가압해서 높이 위치를 조정하고, 이에 의해 내측 가압체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승강 기구는 캠의 회전 동작의 타이밍, 캠의 형상, 축부에 대한 캠의 고정 위치 등의 설정에 의해, 내측 가압체의 승강 동작의 타이밍이나 변위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캠(94)과 캠(99)은 각각 제1 승강체와 제2 승강체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고, 내측 가압체와 외측 가압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시킬 수 있다.
정제 취출 기구에 있어서의 2개의 캠의 회전 동작의 타이밍 등은, 정제 위치 검출 기구의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된 정제 수용부의 위치에 맞춰서 내측 가압체와 외측 가압체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정제 취출 유닛은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하기 전에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17)를 추가로 갖고 있다.
정제 공급 장치는 검출한 정제 수용부의 길이에 기초해서 소정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추가로 갖고 있다.
검출 기구(17)는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를 검출함과 함께,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위치를 또한 검지한다.
정제 공급 장치는 검지된 정제 수용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압되는 위치까지의 반송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추가로 갖는다.
반송 기구(39)는 반송 거리에 의해 적재대 상의 정제 수용부가 가압되는 위치까지 정제 시트를 반송한다.
반송 기구(39)는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정제 시트를 반송한다.
도 5를 설명한다.
도 5는 정제 공급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제 공급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참조 부호 204는 광학 센서(빔 센서)이며, 낙하물을 검지하는 것이다. 제포된 정제가 배출 호퍼(도입 슈트) 내를 낙하할 때, 제포된 정제가 빔 센서 상을 통과하고, 빔 센서를 차광한다. 이 빔 센서가 차광된 상태를 ON 상태라고 하고, 차광되지 않은 상태를 OFF 상태라고 한다. 이 ON/OFF 상태를 사용해서 낙하물의 판정을 행하고 있다.
정제 낙하 검출 기구는 광학 센서와 낙하 정제 카운터를 갖는다.
정제 공급 장치는 가압에 의해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가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취출된 정제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204)를 갖고 있다.
압출 기구는 취출된 정제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리트라이)하고, 취출된 정제가 검지된 경우에는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리트라이)하지 않는다.
참조 부호 401은 정제 도입로다. 정제 시트로부터 취출되어 낙하한 정제를 도입 슈트(24)로부터 제1 집적 호퍼에 중계한다.
도 6을 설명한다.
도 6은 정제 공급 유닛(4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402는 제1 집적 호퍼다. 정제 시트로부터 취출되어 낙하한 정제를 집적한다.
참조 부호 501은 제2 집적 호퍼다. 제1 집적 호퍼로 집적된 정제를 또한 집적한다.
참조 부호 502는 제1 송출 기구다. 제2 집적 호퍼로 집적된 정제를 제3 집적 호퍼로 이동시킨다.
참조 부호 503은 제3 집적 호퍼다. 송출된 정제를 집적한다.
참조 부호 504는 제2 송출 기구다. 제3 집적 호퍼로 집적된 정제를 메인 호퍼로 이동시킨다.
참조 부호 505는 메인 호퍼다. 송출된 정제를 집적하고, 포장 시트(분포지) 중에 집적한 정제를 투입한다.
도 7을 설명한다.
도 7은 포장 유닛(70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702는 포장 시트가 이어지는 롤지를 포장 기구에 송출하는 롤지 송출 기구다.
참조 부호 703은 가열 용착에 의해 포장 시트 중에 투입된 정제를 포장 시트 중에 봉입한다(포장 기구).
참조 부호 704는 가열 용착에 의해 포장 시트 중에 투입된 정제를 포장 시트 중에 봉입한다(포장 기구).
참조 부호 705는 이어지는 롤지를 1포씩의 포장 시트로 분단하기 위한 분단용 절취선을 포장 시트에 형성한다.(분단 기구)
참조 부호 706은 프린터이며, 포장 시트에 날짜, 환자 데이터, 에러 정보를 인자한다(인자 기구).
도 8을 설명한다.
도 8은 통상 제포 시에 있어서, 제포 위치에 도달 후에 블록(외측 가압체)을 동작시켜, PTP 시트의 알루미늄 박을 찢고 있는 도면이다. 블록은 알루미늄 박을 찢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이 시점에서는 정제를 취출할 수는 없다.
정제 시트(51)가 적재대 상에 도달하고, 정제를 취출해야 할 정제 수용부가 배출구에 상당하는 위치에 이르면, 축부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1 승강 기구의 캠이 회동하고, 제1 승강체를 하강시킴으로써 외측 가압체가 하강하고, 하부 테두리부가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근 부분보다 외측의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외측 가압체는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분보다 외측의 부분을 가압하기 때문에, 중앙 부분을 가압할 경우에 비해 정제에는 직접적인 힘은 더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정제는 완전히 취출되는 경우는 없지만, 정제의 일부가 밀봉 시트를 찢고 정제 수용부로부터 나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밀봉 시트의 찢어짐은 약간이기 때문에, 정제는 밀봉 시트에 의해 지탱되어, 일부는 정제 수용부 내에 남아있다. 또한, 밀봉 시트가 크게 찢어져서 파편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도 9를 설명한다.
도 9는 통상 제포 시에 있어서, 압출판을 동작시켜 돌출하도록 하여 정제를 압출한다. 일련의 동작을 행해도 PTP 시트의 알루미늄 박에 정제가 끼여, 정제를 취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계속해서, 축부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2 승강 기구의 캠이 회동하고, 제2 승강체를 하강시킴으로써 내측 가압체가 하강하며, 연장 단부가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내측 가압체는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기 때문에, 정제에는 직접적인 힘이 가해져, 정제는 완전히 취출된다. 이에 의해 밀봉 시트의 찢어짐은 확대되는데, 이 찢어짐은 외측 가압체에 의해 발생한 초기 단계의 소수 지점의 찢어짐이 내측 가압체에 의해 확장된 것이므로, 파단 지점이 적고, 밀봉 시트의 파편 분리는 일어나기 어렵다.
이에 반해, 정제 수용부에 한번에 큰 힘이 가해져서 밀봉 시트가 찢어질 경우에는, 밀봉 시트의 다수 개소에 동시에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파편 분리가 일어나기 쉽다.
이와 같이, 외측 가압체에 의한 제1단계의 가압에 의해 정제가 부분적으로 정제 수용부로부터 취출되고, 계속해서 내측 가압체에 의한 제2단계의 가압에 의해 정제가 완전히 정제 수용부로부터 취출되기 때문에, 각 단계에서 정제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작아진다. 이로 인해, 정제 수용부에 한번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비해, 정제의 파손이 일어나기 어렵다.
도 10을 설명한다.
도 10은 도 9를 확대한 도면이다.
정제 취출 기구는 가압부와, 가압부를 정제 수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를 갖는다.
가압부는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는 내측 가압체(압출판)와,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분보다 외측의 부분을 가압하는 외측 가압체(압출 블록)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가압체는 또한, 전방 벽부와, 전방 벽부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전방 벽부와 평행하게 설치된 후방 벽부와,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의 내측 테두리에 설치된 내벽부를 갖는다.
즉, 외측 가압체는 대향하는 한 쌍의 대면 벽부인 전후 벽부와, 이것들의 한쪽 테두리부 간에 설치된 내벽부를 갖는다.
외측 가압체의 하부 테두리부는 내벽부의 하부 테두리부의 전후 단부로부터 각각 전방 벽부 및 후방 벽부의 하부 테두리부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외측 가압체가 하강하면, 전후 벽부, 내벽부의 하부 테두리부가 정제 수용부를 가압한다.
내측 가압체는 하단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는 연장 단부를 갖는 판상체이며, 외측 가압체의 전방 벽부, 후방 벽부 및 내벽부에 둘러싸인 공간 내에 삽입 관통되어, 이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을 설명한다.
도 11은 리트라이(계속) 제포 시의 진동 동작의 도면을 도시한다. 일련의 동작인 블록으로 알루미늄 박을 찢고, 압출판으로 정제를 압출해도, 정제가 취출되지 않는 경우, 도 15의 제포 동작을 고속으로 변경해서(변경 기구) 반복하고, PTP 시트에 진동을 부여한다.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알루미늄 박에 끼워져 있던 정제에 진동이 전해져, 끼여 있는 상태를 해방시킬 수 있다.
도 12를 설명한다.
도 12는 리트라이 제포 시의 제포 동작과 진동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동작 수순으로, 이하와 같은 처리가 된다.
제포 동작 중, 낙하 센서(204)의 입력을 항상 감시하여, 입력에 변화가 있으면, 낙하 카운터값을 갱신한다. 단, 제포 동작을 개시할 때의 값은 "0"으로 한다.
스텝 S101에서는, 압출 유닛이 PTP 시트까지 하강하도록 제포 모터(2901)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세트한다.
스텝 S102에서는 제포 모터(2901)를 동작시킨다.
스텝 S103에서는 제포 모터(2901)의 동작 상태를 취득한다.
스텝 S104에서는 S103에서 취득한 제포 모터(2901)의 상태로부터, 제포 모터(2901)가 정지하지 않았는지 체크하고, 동작이 정지할 때까지 S103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05에서는 S101 내지 S104의 사이, 정제 호퍼 내의 낙하 센서(204) 입력 횟수가 "1" 이상이면 S106으로, 그 이외이면 S111의 처리로 이동한다.
스텝 S106에서는 압출 유닛이 초기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제포 모터(2901)의 회전 방향을 세트한다.
스텝 S107에서는 압출판(내측 가압체)과 압출 블록(외측 가압체)을 압출하여 유닛의 대기 위치가 되는 초기 위치 센서(280)가 ON이 될 때까지 제포 모터(2901)를 동작시킨다.
스텝 S108에서는 초기 위치 센서(2801)의 상태를 취득한다.
스텝 S109에서는 S108에서 취득한 초기 위치 센서(2801)의 상태를 체크하고, 초기 위치 센서(2801)가 ON이면 S110으로 이동하고, OFF이면 S108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10에서는 제포 모터(2901)를 정지하고, 제포 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S111에서는 진동 횟수를 체크하고, 설정된 진동 횟수 이하이면 S112로 이행한다. 그 이외이면, 압출 유닛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S106로 이행한다.
스텝 S112에서는 압출 유닛이 하강하도록, 제포 모터(2901)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세트한다. 이때의 회전량은 진동 동작 때문에, S101의 회전량과는 상이하다.
스텝 S113에서는 압출 유닛이 설정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제포 모터(2901)를 동작시킨다.
스텝 S114에서는 S103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15에서는 S114에서 취득한 제포 모터(2901)의 상태로부터, 제포 모터가 정지하지 않았는지 체크하고, 동작이 정지할 때까지 S114의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 S116에서는 S105와 마찬가지로 S111 내지 S116의 사이, 낙하 센서(204)의 입력 횟수를 낙하 카운터에 세트하고, "1" 이상이면 S106으로, 그 이외이면 S117의 처리로 이동한다.
스텝 S117에서는 압출 유닛이 상승하도록 제포 모터(2901)의 회전 방향과 처리를 행한다. S115와 마찬가지로, 진동 동작 때문에 S106의 설정값과는 상이하다.
스텝 S118에서는 압출 유닛이 설정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제포 모터(2901)를 동작시킨다.
스텝 S119에서는 S103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20에서는 S119에서 취득한 제포 모터의 상태로부터, 제포 모터(2901)가 정지하지 않았는지 체크하고, 동작이 정지할 때까지 S119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21에서는 S105와 마찬가지로 S105 내지 S116 실행 중 사이에, 낙하 카운터값을 체크하고, "1" 이상이면 S106으로, 그 이외이면 S122의 처리로 이동한다.
스텝 S122에서는 진동 카운터값을 1개 인크리먼트한다.
도 13을 설명한다.
도 13은 리트라이 제포 시의 제포 위치(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위치)에서의 정제 시트의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진동 동작 실시 후에도 여전히 제포되지 않은 경우, 제포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포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정제의 압출되는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알루미늄 박에 끼워져 있어서 취출할 수 없었던 정제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단, 제포가 성공한 경우, 제포 위치를 PTP 시트 포켓의 중앙으로 이동시킨다.
참조 부호 601 내지 603에서는 압출 유닛이 정제를 완전히 밀어낸 상태이기 때문에, 이대로는 압출 유닛이 PTP 시트에 걸려, 정제를 반송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압출 유닛의 압출판과 블록을 초기 위치에 배치하고, PTP 시트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제포 위치의 이동을 행한다.
참조 부호 601은 도 9와 같은 동작 후에 정제가 낙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601은 PTP 시트가 제포 위치에 도달하고, PTP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동작으로 정제를 취출한 경우에는, 이 참조 부호 601의 동작만을 행하고, 다음 정제를 취출하는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 동작에서 취출하지 못하는 경우(알루미늄 박에 끼여버리는 등)에는 참조 부호 602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참조 부호 602는 PTP 시트의 포켓 상단부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참조 부호 601에서 PTP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지 못한 경우, 다시 동일한 곳을 눌러도, 알루미늄 박 등에 끼여 있으면 취출하는 것이 어렵다. 이 경우, 압출하는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알루미늄 박 등의 끼임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PTP 시트(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동작으로도 취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참조 부호603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참조 부호 603은 PTP 시트의 포켓 하단부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참조 부호 602에서도 PTP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할 수 없었을 경우, 다시 압출하는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알루미늄 박 등의 끼임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정제를 압출할 수 있다.
참조 부호 601은 제포 위치 도달 후, 처음으로 제포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602는 홀수회째의 제포 동작의 리트라이(재) 제포를 행하는 제포 위치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603은 짝수회째의 제포 동작의 리트라이(재) 제포를 행하는 제포 위치를 나타낸다.
도 14를 설명한다.
도 14는 리트라이 제포 시의 제포 위치(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위치)에 정제 시트를 이동하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압출 위치의 변경을 행할 때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포 위치의 이동 처리 1회째는 PTP 시트 포켓(정제 수용부)의 중앙으로부터 PTP 시트 포켓의 앞측을 제포하도록 반송 카운터의 값을 세트한다. 2회째 이후는 PTP 시트 포켓의 앞/안측으로 이동하는 값을 반송 카운터에 세트한다.(※여기서 세트하는 값은 제포 위치까지 반송할 때에 PTP 시트의 포켓 사이즈를 계측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고, 계측 결과를 사용함)
PTP 시트 포켓의 앞/안측의 결정은 리트라이 횟수 카운터의 값에 의해 결정하고, 제포가 성공 또는 이동 횟수의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 값을 "0"으로 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리트라이 횟수는 현재 제포 동작을 행하고 있는 정제의 제포 실패 횟수를 나타낸다. 이 이동중에는 압출 유닛이 정제에 접촉해버려, 정제의 반송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 초기 위치에 배치한다.
스텝 S201에서는 리트라이 횟수를 체크하여, 홀수회째라면 정제 시트의 진행 방향 안측 부분(도 13의 참조 부호 602의 상태)을 제포하기 위해서 S202로 이행한다. 짝수회째라면, 정제 시트의 진행 방향 전방측 부분(도 13의 참조 부호 603의 상태)을 제포하기 위해서 S21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202에서는 PTP 시트 상의 정제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리트라이 반송 카운터에 세트한다.
스텝 S203에서는 반송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제 시트가 후퇴하는 방향이 되도록 세트한다.
스텝 S204에서는 반송 모터를 동작시켜, 정제 시트를 후퇴시킨다.(도 13의 참조 부호 602의 상태)
스텝 S205에서는 리트라이 반송 거리를 디크리먼트하고, 나머지 반송 거리를 갱신한다.
스텝 S206에서는 리트라이 반송 거리를 체크하여, 지정 거리 이동이 완료되었으면 S207로, 그렇지 않으면 S204로 처리를 이동한다.
스텝 S207에서는 반송 모터를 정지한다.
스텝 S208에서는 반송 모터의 회전 방향을 통상의 전진 방향이 되도록 세트한다.
스텝 S209에서는 리트라이 횟수를 인크리먼트한다.
스텝 S210에서는 S202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11에서는 반송 모터를 동작시켜, 정제 시트를 전진시킨다.(도 13의 참조 부호 603의 상태)
스텝 S212에서는 S205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13에서는 리트라이 반송 거리를 체크하여, 지정 거리 이동이 완료되었으면 S214로, 그렇지 않으면 S211로 처리를 이동한다.
도 15를 설명한다.
도 15는 통상 제포 시에 있어서의 제포 동작의 상태를 흐름도로 한 것이다.
스텝 S501에서는 정제가 제포 위치에 도달하고 있는지 체크한다.
스텝 S502에서는 압출 블록(84)을 동작시킨다.
스텝 S503에서는 압출 블록을 동작시켜 정제를 압출하는 힘을 이용해 알루미늄 박을 찢는다. 압출 블록은 정제를 압출하는 기능은 없고, 어디까지나 알루미늄 박을 찢기 위해서 존재하고 있다. 정제를 압출하기 전에 알루미늄 박을 찢어 두지 않으면, 알루미늄 박의 박리나 정제의 깨짐·절결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PTP 시트로부터 한번의 동작으로 정제를 압출하려고 하면, PTP 시트 이면의 알루미늄 박이 저항이 되고, 또한 알루미늄 박을 찢는 동작과 정제를 압출하는 동작을 동시에 행해야만 해서 필요 이상의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스텝 S504에서는 압출판(83)을 동작시킨다.
스텝 S505에서는 압출판을 동작시켜 정제를 취출한다. S503에서 알루미늄 박을 찢었기 때문에, 정제에 대한 저항이 경감된다. 이에 의해, 정제의 깨짐·절결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506에서는 정제 시트를 제포 위치까지 반송한다.
도 16은 PTP 시트를 정제 수용부를 검지하는 위치 및 제포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 부호 103이 통과하는 측면에 참조 부호 112를 배치하고, 시트 포켓의 요철을 검출한다. 이 요철을 검출함으로써, 포켓의 폭 치수를 산출해 낼 수 있다. 이 산출해 낸 값을 바탕으로 참조 부호 114에 시트 포켓의 중심 위치가 이르도록 이동시킨다.
참조 부호 51은 PTP 시트다.
참조 부호 17은 광학 센서를 나타내고, 정제 수용부의 길이의 계측에 사용한다.
참조 부호 301은 광학 센서(17)에 의한 정제(정제 수용부)의 검지 위치를 나타내고, 정제 수용부가 통과(차단)함으로써 정제 수용부의 길이의 계측을 행한다.
참조 부호 300은 제포 위치(정제의 취출 위치)를 나타내고, 정제를 취출하는 제포 동작을 행하는 위치다.
도 17을 설명한다.
도 17은 광학 센서(17)를 사용해서 정제 수용부의 길이를 측정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통상 제포 시의 정제 시트의 반송(이동) 거리 및 스텝 S202, 스텝 S210의 리트라이 제포 시의 정제 시트의 반송(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스텝 S301에서는 정제 시트를 전방으로 반송하기 위해서 반송 모터를 전진시킨다.
스텝 S302에서는 광학 센서(17)의 상태를 취득한다.
스텝 S303에서는 취득한 광학 센서의 상태로부터, ON(정제 수용부가 차단하고 있음)인가를 판단한다. ON이면 스텝 S304로 이행하고, ON이 아니면 스텝 S301로 이행한다.
스텝 S304에서는 정제 수용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정제 수용부의 길이의 측정을 개시한다.
스텝 S305에서는 정제 시트를 전방으로 반송하기 위해서 반송 모터를 전진시킨다.
스텝 S306에서는 광학 센서(17)의 상태를 취득한다.
스텝 S307에서는 취득한 광학 센서의 상태로부터 OFF(정제 수용부가 차단하지 않고 있음)인가를 판단한다. OFF이면, 스텝 S308로 이행한다. OFF가 아니면, 스텝 S304로 이행한다.
스텝 S308에서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의 측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측정한 정제 수용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검지 위치로부터 제포 위치까지의 정제 시트의 반송(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여기에서 측정한 정제 수용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리트라이 시(계속 시)의 정제 시트의 반송 거리(소정의 거리)도 산출한다.
리트라이 시의 정제 시트의 반송 거리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 방향 안측과 앞측 각각의 선단이 제포 위치가 되도록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리트라이 반송 거리는 계측한 정제 시트의 반경과 압출판 선단부의 반경의 차분으로 한다.
정제 수용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산출한 리트라이 시의 정제 시트의 반송(이동)거리만큼 전방과 후방에 정제 시트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도 18을 설명한다.
PTP 시트는 간격 센서 감지부(17)를 통과함으로써, 센서(17)에 의해 시트 포켓의 치수를 측정하고, 정제 취출 위치까지 반송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간격 센서 감지부(17)의 PTP 시트 통과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TP 시트의 통과 경로에 미세한 홈부(1002)(0.6㎜ 정도)를 설치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부터 눌러져 통과 시에 휨이 방지된다. 또한, 미세한 홈부를 간격 센서 감지부에 설치함으로써, PTP 시트의 휨이 방지된 상태에서 시트 포켓의 치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9를 설명한다.
도 19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정제 시트(51)로부터 1포 마다 제포 동작을 행하는 정제 포켓(52)의 순서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2701은 제포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화살표다. 예를 들어 소정수가 합계 3정의 정제의 취출 요구가 있는 경우, 시트 진행 방향의 안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취출 동작을 행한다. 좌열측의 제포 동작(1정째)→우열측의 제포 동작(2정째)→다음 열로 정제 시트의 반송→좌열측으로 제포 동작(3정째)의 순서로 정제의 취출 동작을 행한다.
만일, 도중에 취출 동작에 실패한 경우, 좌측으로 취출 동작→우측으로 취출 동작→다음 열로 반송→좌측으로 취출 동작→우측으로 취출 동작→다음 열로 반송→…을 반복하고, 소정수인 3정의 정제의 취출에 성공, 즉 정제 센서(204)가 합계 3개의 정제를 검지할 때까지 이 동작을 반복한다.
도 20을 설명한다.
도 20은 정제 취출 유닛(1)의 제포 모터 기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 부호 1111은 샤프트다. 샤프트에는 2개의 캠(94), 2개의 캠(99), 차폐판(2802)이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어 있다.
제포 모터에 의한 구동으로 회전축이 회동하면,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캠(94), 2개의 캠(99), 차폐판(2802)도 연동해서 회동한다.
또한, 좌열 제포 시와 우열 제포 시에 있어서 초기 위치를 공유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캠(94)이 회전축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의 중간점에 제포 동작의 초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포 동작의 초기 위치가 되는 제포 모터의 기준 각도(예를 들어 0°)로부터 동등한 각도(예를 들어 45°)이며, 또한 제포 모터(2901)가 회전하는 방향이 정반대인 위치에 좌열용 캠(94)과 우열용 캠(94)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포 모터의 기준 각도(예를 들어 0°)로부터 동등한 각도(예를 들어 135°)이며, 또한 제포 모터가 회전하는 방향이 정반대의 위치에 좌열용 캠(99)과 우열용 캠(99)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참조 부호 2801은 초기 위치 센서다. 이 센서는 광학 센서이며, 물체가 광을 차단하고 있는지 여부로 ON/OFF를 검지한다. 초기 위치 센서의 입력이 ON인 경우, 캠이 초기 위치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초기 위치 센서는 정제 취출 유닛(1)에 대하여 좌열 제포 시의 초기 위치(350)와 우열 제포 시의 초기 위치(380)를 공통으로 하기 때문에 1개만 배치되어 있다. 좌열 제포 시와 우열 제포 시에 있어서, 제포 모터가 기준으로 하는 각도를 공통으로 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초기 위치 센서(2801)를 공통으로 할 수 있으므로, 이 기준 각도를 기점으로 하여, 좌열 제포 시와 우열 제포 시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을 개시하기만 하면, 정제를 1개씩 좌우에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초기 위치를 좌열 제포용과 우열 제포용으로 개별로 관리할 필요가 없이, 제포 동작의 제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1개의 초기 위치 센서(2801)를 공통으로 함으로써 고액의 제포 모터(2901)의 기구도 공유할 수 있으므로, 정제 취출 유닛(1)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참조 부호 2802는 초기 위치 센서를 ON/OFF 시키기 위한 차광판이며, 샤프트(1111)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 차광판이 초기 위치 센서의 광을 차단하고 있을 시에 ON 상태(샤프트의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에 있음)가 된다.
참조 부호 2901은 제포 모터다. 제포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1111)가 연동해서 회전하고, 샤프트(1111)에 고정되어 있는 블록용 캠 및 압출판용 캠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참조 부호 2902는 제포 모터용 풀리다.
참조 부호 2903은 샤프트용 풀리이며, 제포 모터용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용 풀리와 캠의 회전축(샤프트)도 연결되어 있어, 제포 모터용 풀리의 회전, 샤프트용 풀리의 회전, 캠의 회전 모두를 제포 모터(2901)의 회전으로 제어하고 있다.
도 21을 설명한다.
좌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 부호 350→360→370→360→350의 순서로 제포 동작한다.
참조 부호 350은 좌열의 제포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캠(94)의 초기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360은 좌열의 블록(84)의 최하점이며, 참조 부호 350의 상태로부터 샤프트(1111)가 후방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94)이 제1 승강체(93)를 가압함으로써 블록(84)이 하강하여, 블록(84)이 최하점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포 모터(2901)가 회전함으로써, 캠(94)이 회전하고, 블록(84)이 압출판(83)보다 먼저 하강한다. 블록(84)이 하강을 개시하고, 블록(84)의 최하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 블록(84)이 포켓의 알루미늄 박을 찢는다.
참조 부호 370은 좌열의 압출판(83)의 최하점이며, 참조 부호 360의 상태로부터 샤프트(1111)가 후방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99)이 제2 승강체(98)를 가압함으로써, 압출판(83)이 하강하여 압출판(83)이 최하점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압출판(83)이 포켓(52)을 누름으로써 정제를 취출한다.
참조 부호 360은 블록(84)의 최하점이며, 참조 부호 370의 상태로부터 샤프트(1111)가 전방의 방향으로 반전하고, 캠(94)이 제1 승강체(93)를 가압함으로써, 블록(84)이 하강하여 블록(84)이 최하점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350은 좌열의 제포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캠(94)의 종료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초기 위치 센서(2801)가 ON이 됨으로써, 참조 부호 350의 상태(초기 위치)로 복귀되었다고 판단하여 제포 모터(2901)의 회전을 정지함으로써, 압출판용 캠(99)과 블록용 캠(94)의 회전이 정지한다.
도 22를 설명한다.
우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참조 부호 380→390→400→390→380의 순서로 제포 동작한다.
참조 부호 380은 우열의 제포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캠(94)의 초기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390은 우열의 블록(84)의 최하점이며, 참조 부호 380의 상태로부터 샤프트(1111)가 전방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94)이 제1 승강체(93)를 가압함으로써 블록(84)이 하강하여, 블록(84)이 최하점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400은 우열의 압출판(83)의 최하점이며, 참조 부호 390의 상태로부터 샤프트(1111)가 전방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99)이 제2 승강체(98)를 가압함으로써 압출판(83)이 하강하여, 압출판(83)이 최하점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390은 블록(84)의 최하점이며, 참조 부호 400의 상태로부터 샤프트(1111)가 후방의 방향으로 반전하고, 캠(94)이 제1 승강체(93)를 가압함으로써, 블록(84)이 하강하여, 블록(84)이 최하점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380은 우열의 제포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캠(94)의 종료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초기 위치 센서(2801)가 ON이 됨으로써, 참조 부호 380의 상태(초기 위치)로 복귀되었다고 판단하여 제포 모터(2901)의 회전을 정지함으로써, 압출판용 캠(99)과 블록용 캠(94)의 회전이 정지한다.
도 23을 설명한다.
좌열의 제포 동작(리트라이 시)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3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참조 부호 350→360→370→360→370→360→370→360→370→360→350의 순서대로 동작하고, 블록과 압출판에서의 진동을 설정 횟수 반복한다.
마찬가지로, 우열의 제포 동작(리트라이 시)을 행하는 경우에는 진동 3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참조 부호 380→390→400→390→400→390→400→390→400→390→380의 순서대로 동작하고, 블록과 압출판에서의 진동을 설정 횟수 반복한다.
이렇게 좌열의 리트라이 시의 제포 동작의 도중에는 참조 부호 360→370이 설정 횟수(예를 들어 3회) 반복되지만, 캠을 통상 시의 제포 동작보다도 짧은 각도로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때 블록과 압출판이 고속으로 교대로 가압 동작하고 있으므로, PTP 시트(51)에 진동이 가해져, 알루미늄 박에 걸려 있는 정제의 낙하를 촉진할 수 있다. 이 동작을 진동 동작이라 한다.
도 24를 설명한다.
도 24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제포 처리를 행할 때의 전체의 처리 스텝이다.
S601에서는 광학 센서(204)가 정제 취출 유닛(1)마다 검지한 총합계 정제수의 카운트 갱신 데이터를 기억부에 데이터 관리함으로써, 정제 공급 장치(10) 또는 약제 포장 장치(5)는 소정수(정제 취출 유닛(1)에 지정된 정제수)의 제포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S602로 진행한다.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포 처리를 종료하고, PTP 시트를 배출 유닛에 배출한다.
S602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좌열 우열 동시에 전진 이동하기 위해서 제포 위치(300)까지, 도 17의 S308에서 산출한 정제 포켓 간격의 1열분만큼 PTP 시트 반송을 행할 때의 처리 스텝이다.
S603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좌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할 때의 처리 스텝이다. 이 동작은 PTP 시트로부터 1정 마다의 정제를 취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행하는 것이다. 도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포 동작을 실행하는 점에서 통상 제포라고 정의한다. 당해 처리 스텝에 있어서의 상세한 각 하드웨어의 제어는 도 15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도 15의 흐름도에 따라서 제포 동작한 후에 S604로 진행한다.
S604에서 정제 공급 장치(10) 또는 약제 포장 장치(5)는 S603의 결과에 의해, 1개의 정제를 광학 센서(204)가 검지(취출 성공)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정제 포켓(52)으로부터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정제 취출 유닛(1)에 있어서 취출된 정제수의 합계를 관리하는 카운트 갱신 데이터를 1개분 인크리먼트하고, S608로 진행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취출이 성공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S605로 진행한다.
S605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좌열의 제포 동작(리트라이 시)을 행할 때의 처리 스텝이다. 이 동작은 도 21에서 설명한 통상 시의 제포 동작을 행해도 여전히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하지 않았을 경우에 행하는 것이다. 제포 위치에 있어서 도 23에서 설명한 리트라이 시의 제포 동작을 다시 실행하는 점에서 리트라이 제포라고 정의한다. 당해 처리 스텝에 있어서의 상세한 각 하드웨어의 제어는 도 15의 흐름도의 S111 내지 S122에서 설명한다. 도 15의 흐름도의 S111 내지 S122를 따라서 리트라이 제포한 후에 S606으로 진행한다.
S606에서 정제 공급 장치(10) 또는 약제 포장 장치(5)는 S605의 결과에 의해, 1개의 정제를 광학 센서(204)가 검지(취출 성공)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정제 포켓(52)으로부터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정제 취출 유닛(1)에 있어서 취출된 정제수의 합계를 관리하는 카운트 갱신 데이터를 1개분 인크리먼트하고, S608로 진행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취출이 성공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S607로 진행한다.
S607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압출 위치의 변경을 행할 때의 처리 스텝이다. 이 동작은 도 23에서 설명한 리트라이 시의 진동 동작을 지정 횟수 행해도 여전히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하지 않았을 경우에 행하는 것이다. 상이한 제포 위치에 PTP 시트(51)를 이동한 후에 도 23에서 설명한 리트라이 시의 제포 동작을 다시 실행하는 점에서 리트라이 반송이라고 정의한다. 당해 처리 스텝에 있어서의 상세한 각 하드웨어의 제어는 도 14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도 14의 흐름도에 따라서 PTP 시트(51)를 상이한 제포 위치(전진 또는 후퇴)로 반송 이동한 후에 S605로 진행한다.
S608에서는 광학 센서(204)가 정제 취출 유닛(1)마다 검지한 총합계 정제수의 카운트 갱신 데이터를 기억부에서 관리함으로써, 정제 공급 장치(10) 또는 약제 포장 장치(5)는 소정수(정제 취출 유닛(1)에 지정된 정제수)와 비교해서 제포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S609로 진행한다.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포 처리를 종료하고, PTP 시트를 배출 유닛에 배출한다.
S609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우열의 제포 동작(통상 시)을 행할 때의 처리 스텝이다. 이 동작은 PTP 시트로부터 1정 마다 정제를 취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행하는 것이다. 도 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포 동작을 실행하는 점에서 통상 제포라고 정의한다. 당해 처리 스텝에 있어서의 상세한 각 하드웨어의 제어는 도 15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도 15의 흐름도에 따라서 제포 동작한 후에 S610으로 진행한다.
S610에서 정제 공급 장치(10) 또는 약제 포장 장치(5)는 S609의 결과에 의해, 1개의 정제를 광학 센서(204)가 검지(취출 성공)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정제 포켓(52)으로부터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정제 취출 유닛(1)에 있어서 취출된 정제수의 합계를 관리하는 카운트 갱신 데이터를 1개분 인크리먼트하고, S601로 진행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취출이 성공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S611로 진행한다.
S611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우열의 제포 동작(리트라이 시)을 행할 때의 처리 스텝이다. 이 동작은 통상 시의 제포 동작을 행해도 여전히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 행하는 것이다. 제포 위치에 있어서 리트라이 시의 제포 동작을 다시 실행하는 점에서 리트라이 제포라고 정의한다. 당해 처리 스텝에 있어서의 상세한 각 하드웨어의 제어는 도 15의 흐름도의 S111 내지 S122에서 설명한다. 도 15의 흐름도의 S111 내지 S122를 따라서 리트라이 제포한 후에 S612로 진행한다.
S612에서 정제 공급 장치(10) 또는 약제 포장 장치(5)는 S611의 결과에 의해, 1개의 정제를 광학 센서(204)가 검지(취출 성공)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정제 포켓(52)으로부터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정제 취출 유닛(1)에 있어서 취출된 정제수의 합계를 관리하는 카운트 갱신 데이터를 1개분 인크리먼트하고, S601로 진행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취출이 성공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S613으로 진행한다.
S613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이 압출 위치의 변경을 행할 때의 처리 스텝이다. 이 동작은 도 23에서 설명한 리트라이 시의 진동 동작을 지정 횟수 행해도 여전히 정제(50)의 취출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 행하는 것이다. 상이한 제포 위치에 PTP 시트(51)를 이동한 후에 도 23에서 설명한 리트라이 시의 제포 동작을 다시 실행하는 점에서 리트라이 반송이라고 정의한다. 당해 처리 스텝에 있어서의 상세한 각 하드웨어의 제어는 도 14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도 14의 흐름도에 따라서 PTP 시트(51)를 상이한 제포 위치(전진 또는 후퇴)로 반송 이동한 후에 S611로 진행한다.
1: 정제 취출 유닛
5: 약제 포장 장치
10: 정제 공급 장치
17: 정제 수용부 검출 기구(광학 센서)
18: 적재대
50: 정제
51: 정제 시트(PTP 시트)
52: 정제 수용부(시트 포켓)
55: 밀봉 시트(알루미늄 박)
83: 내측 가압체(압출판)
84: 외측 가압체(블록)
98: 제2 승강체(압출판용)
93: 제1 승강체(블록용)
99: 캠(압출판용)
94: 캠(블록용)
39: 정제 시트 반송 기구(하부 롤러)
24: 도입 슈트(호퍼)
203: 정제 시트 투입구
204: 정제 검지 기구(광학 센서)
300: 제포 위치
301: 검출 위치
400: 정제 공급 유닛
701: 포장 유닛
1111: 샤프트
2801: 초기 위치 센서
2901: 제포 모터
5: 약제 포장 장치
10: 정제 공급 장치
17: 정제 수용부 검출 기구(광학 센서)
18: 적재대
50: 정제
51: 정제 시트(PTP 시트)
52: 정제 수용부(시트 포켓)
55: 밀봉 시트(알루미늄 박)
83: 내측 가압체(압출판)
84: 외측 가압체(블록)
98: 제2 승강체(압출판용)
93: 제1 승강체(블록용)
99: 캠(압출판용)
94: 캠(블록용)
39: 정제 시트 반송 기구(하부 롤러)
24: 도입 슈트(호퍼)
203: 정제 시트 투입구
204: 정제 검지 기구(광학 센서)
300: 제포 위치
301: 검출 위치
400: 정제 공급 유닛
701: 포장 유닛
1111: 샤프트
2801: 초기 위치 센서
2901: 제포 모터
Claims (11)
- 정제를 정제 수용부에 봉입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서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이며,
1개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상기 정제 취출 유닛으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상기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고,
상기 정제 공급 장치가,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가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갖고,
상기 압출 기구가, 취출된 정제가 상기 취출된 정제가 상기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고, 상기 취출된 정제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갖고,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기 전에 상기 적재대 상의 가압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정제 시트를 더욱 반송하고,
상기 압출 기구가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하기 전에 상기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정제 공급 장치가,
상기 검출한 정제 수용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기구는, 상기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길이를 검출함과 함께 상기 가압되는 정제 수용부의 위치를 또한 검지하고,
상기 정제 공급 장치는,
상기 검지된 정제 수용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압되는 위치까지의 반송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반송 거리에 의해 적재대 상의 정제 수용부가 가압되는 위치까지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 또는 후방에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가압하는 속도를 변경시키는 변경 기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압출 기구가 보다 고속으로 변경된 속도로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근을 가압하는 내측 가압체와, 상기 중앙 부근보다도 외측의 부분을 가압하는 외측 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가압체와 상기 외측 가압체가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기구가, 상기 내측 가압체보다도 먼저 상기 외측 가압체에 의해 상기 정제 수용부를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공급 장치 및 상기 정제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시스템.
- 정제를 정제 수용부에 봉입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정제 취출 유닛이며,
상기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와,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가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갖고,
상기 압출 기구가, 취출된 정제가 상기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고, 상기 취출된 정제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유닛. - 정제를 각각 정제 수용부에 봉입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서 공급하고, 1개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상기 정제 취출 유닛으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상기 정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 상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가압해서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고,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가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갖는 정제 공급 장치에 의한 정제 공급 방법이며,
상기 압출 기구가, 상기 취출된 정제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고, 상기 취출된 정제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가압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20031 | 2012-02-01 | ||
JPJP-P-2012-020031 | 2012-02-01 | ||
JP2012249752A JP5413498B2 (ja) | 2012-02-01 | 2012-11-13 | 錠剤供給装置、錠剤取出しユニット、錠剤供給方法、錠剤供給システム。 |
JPJP-P-2012-249752 | 2012-11-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9203A true KR20130089203A (ko) | 2013-08-09 |
KR101369623B1 KR101369623B1 (ko) | 2014-03-05 |
Family
ID=4892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1205A KR101369623B1 (ko) | 2012-02-01 | 2013-01-31 |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9623B1 (ko) |
CN (1) | CN10324142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8517A (zh) * | 2018-08-24 | 2019-01-11 | 云南白药集团股份有限公司 | 多规格泡罩药板自动剥粒机及其应用 |
CN110451241B (zh) * | 2019-09-05 | 2021-07-23 | 冯威华 | 自动分药机 |
CN111529399A (zh) * | 2020-05-25 | 2020-08-14 | 陈潞谦 | 一种智能服药管理系统及其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420648B (en) * | 1998-03-26 | 2001-02-01 | Sanyo Electric Co | Tablet dispenser device |
US6471090B1 (en) * | 1998-09-29 | 2002-10-29 | Sanyo Electric Co., Ltd. | Medicine supply apparatus |
JP2000103404A (ja) | 1998-09-29 | 2000-04-11 | Sanyo Electric Co Ltd | 薬剤供給装置 |
DE10027008B4 (de) * | 2000-05-31 | 2016-12-29 | Robert Bosch Gmbh | Dosiervorrichtung |
JP4638793B2 (ja) | 2005-09-20 | 2011-02-23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錠剤供給装置及び錠剤供給方法 |
KR100927487B1 (ko) * | 2008-02-29 | 2009-11-19 | (주)크레템 | 약제포장장치의 정제카세트 |
KR101800029B1 (ko) * | 2009-04-17 | 2017-11-21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
-
2013
- 2013-01-31 KR KR1020130011205A patent/KR101369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2-01 CN CN201310041048.2A patent/CN10324142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9623B1 (ko) | 2014-03-05 |
CN103241421A (zh) | 2013-08-14 |
CN103241421B (zh) | 2015-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13642B2 (ja) | 錠剤取り出し装置、錠剤取り出し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369679B1 (ko) |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 | |
KR20120075338A (ko) |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 | |
KR101369623B1 (ko) |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 | |
JP5839079B2 (ja) |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装置に着脱可能な着脱部材、及び錠剤供給システム | |
JP5534079B2 (ja) | 錠剤取出し装置、分包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JP2015123995A (ja) | 錠剤分包装置、錠剤分包装置の制御方法、及び錠剤分包装置のプログラム | |
JP6476416B2 (ja) | 錠剤取出装置 | |
JP2014213150A (ja) | 錠剤取出し装置、錠剤取出し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JP6613559B2 (ja) | 錠剤取出装置 | |
JP6070801B2 (ja) | 錠剤取出装置 | |
JP5954088B2 (ja) | 部品 | |
KR101453199B1 (ko) | 정제 공급 장치 | |
JP5799878B2 (ja) | 装置 | |
JP6048536B2 (ja) | 錠剤シート搬送ユニ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 |
JP6133388B2 (ja) | 錠剤供給装置 | |
JP6056910B2 (ja) | 錠剤取出装置及び錠剤取出方法 | |
KR20150028204A (ko) | 정제 공급 장치, 정제 공급 방법, 정제 취출 유닛 | |
JP2017081597A (ja) | 錠剤取出装置 | |
JP5949866B2 (ja) | 錠剤取出し装置、分包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JP6569219B2 (ja) | 錠剤取出装置及び錠剤取出装置の制御方法 | |
JP5761213B2 (ja) | 錠剤シート搬送ユニ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 |
JP2014058325A (ja) | 錠剤取出し装置、分包装置 | |
JP2015116209A (ja) | 錠剤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2015067282A (ja) | 錠剤取出装置及び錠剤取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