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181A - 쉴드 도전체 - Google Patents

쉴드 도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181A
KR20130088181A KR1020137016039A KR20137016039A KR20130088181A KR 20130088181 A KR20130088181 A KR 20130088181A KR 1020137016039 A KR1020137016039 A KR 1020137016039A KR 20137016039 A KR20137016039 A KR 20137016039A KR 20130088181 A KR20130088181 A KR 2013008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hield
flat
shield conduc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아오야마
마사노리 구와하라
후지오 소노다
야스시 이타니
요시노리 스기모토
가츠토시 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3008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0Metal tubes, e.g. lead she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2Metal wires or tapes, e.g. made of st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쉴드 도전체(10)는 금속제 파이프(20)와, 전선(11)을 포함한다. 전선(11)은 파이프(20)를 삽입 관통한다. 파이프(20)는 원형부(24)와 이형부(21)를 포함한다. 원형부(24)는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다. 이형부(21)는 파이프(20)가 연장되는 연장 방향으로 원형부(24)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 이형부(21)는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단경부(22A) 및 장경부(22B)를 갖는다. 원형부(24)는 연장 방향으로 만곡된다.

Description

쉴드 도전체{SHIELD CONDUCTOR}
본 발명은 쉴드 도전체에 관한 것이다.
쉴드 기능을 갖는 쉴드 도전체는, 예컨대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에서 인버터, 모터, 배터리와 같은 기기를 서로 접속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쉴드 도전체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재되어 있다. 쉴드 도전체는 금속제 파이프와 이 파이프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전선을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는 원형의 외주를 갖는다. 상기 파이프는 배선 경로를 따라 굴곡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1952호 공보
차량에 쉴드 도전체를 부착하기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쉴드 도전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의 외주를 갖는 금속제 파이프가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플로어 아래의 공간은 적어도 금속제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높이가 요구된다. 플로어 아래의 공간은 높이의 제약을 가지므로, 금속제 파이프의 레이아웃 설계에 상당한 수준의 노력이 요구된다. 한편, 금속제 파이프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공간은, 상기 금속제 파이프를 수용하는데 요구되는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쉴드 도전체를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는 쉴드 도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 도전체는 금속제 파이프 및 전선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은 파이프를 삽입 관통한다. 상기 파이프는 원형부와 이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부는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다. 상기 이형부는 파이프가 연장되는 연장 방향으로, 원형부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 이형부는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다른 외경을 갖는 단경부(短徑部)와 장경부(長徑部)를 갖는다. 원형부는 연장 방향으로 만곡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단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이 설치 공간의 좁은 방향에 일치되고, 장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이 설치 공간의 넓은 방향에 일치되도록, 쉴드 도전체가 배치된다. 따라서, 단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으로 좁은 공간을 이용하고, 장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으로 넓은 공간을 이용하여, 쉴드 도전체가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쉴드 도전체를 배치할 수 있다.
이형부의 벤딩 공정에서, 파이프의 이형부는 단경 방향으로 비교적 쉽게 굴곡될 수 있다. 그러나, 이형부는 장경 방향으로 쉽게 굴곡되지 않는다. 이것은 쉴드 도전체의 배선의 자유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의 파이프는 원형부에서 연장 방향으로 만곡된다. 따라서, 이형부에서의 벤딩에 비하여, 상기 파이프는 원형부에서 3차원 방향으로 쉽게 굴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쉴드 도전체는 이형부에 의해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원형부에 의해 배선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쉴드 도전체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쉴드 도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쉴드 도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D-D 및 화살표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성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성형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성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쉴드 도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쉴드 도전체를 열수축 튜브에 삽입 관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쉴드 도전체를 편조선(braided wire)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쉴드 도전체에 이용되는 플랫 전선(flat electric wire)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쉴드 도전체(10)는, 전기 자동차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인버터, 모터(도시 생략)를 포함한 동력원의 장치들 사이에 배선되어 있다.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 배치되는 쉴드 도전체(10)는 2개의 전선(11)을 포함한다. 인버터와 모터 사이에 배치되는 쉴드 도전체(10)는 3개의 전선(11)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3개의 전선(11)을 포함하고 차량(W)의 플로어 아래의 인버터와 모터 사이에 배치(또는 배선)되는 쉴드 도전체(10)를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 상하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다. 도 1에서 하측과 상측은, 각각 우측과 좌측으로 정의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쉴드 도전체(10)는 3개의 전선(11)과 파이프(20)를 포함한다. 전선(11)은 파이프(20)를 삽입 관통한다. 파이프(20)는 쉴드 기능을 갖는다. 각각의 전선(11)은, 둥근 형상(단면 원형)을 갖는 피복된 전선이다. 전선(11)은 심선(芯線)(11A)과, 이 심선(11A)을 덮는 절연 피복(11B)을 포함한다. 전선(11)은 쉴드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심선(11A)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심선(11A)은 서로 꼬아지는 복수의 금속선으로 이루어진 연선(撚線)이다. 3개의 전선(11)은 각각의 금속 단자(12)가 접속되는 단부를 가지며, 파이프(2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금속 단자(12)는, 단자 접속부와 전선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대 장치의 단자에 접속된다. 단자 접속부는 볼트의 축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전선 접속부는 단자 접속부에 일체로 연속되고, 전선(11)에 접속된다. 전선 접속부는 와이어 배럴과 절연 배럴을 포함한다. 와이어 배럴은 전선(11)의 심선(11A)의 단부에서 벤딩에 의해 크림핑된다. 심선(11A)의 단부는, 전선(11)의 절연 피복(11B)의 단부를 벗겨냄으로써 노출된다. 절연 배럴은 절연 피복(11B)의 위에서 전선(11)을 유지한다.
파이프(20)는 금속(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파이프(20)는 긴 형상이다. 파이프(20)는 이형부(21) 및 원형부(24)를 포함한다(도 1의 영역 C 참조). 각각의 이형부(21)는 일정하지 않은 외경을 가지며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원형부(24)는 일정한 외경을 가지며, 파이프(20)가 연장되는 파이프(20)의 연장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다.
이형부(21)는 파이프(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이형부(21)는 파이프(22)의 연장 방향으로 원형부(24)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각각의 이형부(21)는, 정형부(22)(도 1의 A1 및 A2 참조)와 변형부(23)(도 1의 B1 및 B2 참조)를 포함한다. 정형부(22)는 다른 위치에서 동일한 단면의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변형부(23)는 정형부(22)로부터 원형부(24)로 연속된다. 변형부(23)는 다른 위치에서 서서히 변화하는 단면의 형상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형부(22)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타원 형상)을 갖는다. 정형부(22)는 단경부(22A)와 장경부(22B)를 갖는다. 단경부(22A)는 파이프(20)의 단면에서 가장 짧은 외경을 갖는다. 장경부(22B)는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으로 단경부(22A)에 직교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장경부(22B)는 파이프(20)의 단면에서 가장 긴 외경을 갖는다[단경부(22A)와 다른 외경을 갖는 부분].
본 실시형태에서, 단경부(22A)의 외경은, 전선(11)의 외경과 단경부(22A)의 두께[단경부(22A)의 상하의 두께]의 합보다 크다. 장경부(22B)의 외경은, 3개의 전선(11)의 외경과 장경부(22B)의 두께[장경부(22B)의 좌우의 두께]의 합보다 약간 크다. 장경부(22B)의 외경은, 옆으로 나란히 정렬된 3개의 전선(11)을 통과시키는데 충분한 크기인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변형부(23)는, 원통형의 파이프를 정형부(22)의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변형부(23)는 정형부(22)로부터 원형부(24)까지 매끄럽게 연속된다.
원형부(24)는 원형의 외주를 갖는다. 원형부(24)는 비변형부이며, 원통형의 금속제 파이프(단면 원형)의 형상이 남아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형부(22) 내의 3개의 전선(11)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3개의 전선(11)의 배치는 변형부(23)에서 서서히 변화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11)의 중심을 결속한 선이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원형부(24) 내에 전선(11)이 배치된다.
파이프(20)는 편조선의 단부가 파이프(20)의 단부를 덮도록 편조선에 접속된다. 파이프(20)와 편조선은, 용접, 납땜 또는 스웨이지 링에 의한 스웨이징 등 적절한 어느 것으로 접속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성형 장치(30)를 이용하여 냉간 압연 기술에 의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 장치(30)는 한쌍의 롤러(31, 32), 지지 부재(33, 34), 조정 기구(35), 베이스부(39), 구동 부재(도시 생략) 및 입력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3, 34)는 롤러(31, 32)를 각각 지지한다. 조정 기구(35)는 롤러(31, 3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롤러(32)를 이동시킨다. 베이스부(39)는 두께가 두꺼운 판재이다. 베이스부(39)는 지지 부재(33, 34) 및 조정 기구(35)를 유지한다. 구동 부재는 각각의 롤러(31, 32)를 회전시킨다. 입력부는 구동 부재를 구동하도록 명령한다.
롤러(31, 32)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각 롤러(31 또는 32)는 원형의 외주에 있어서 롤러(31 또는 32)의 축방향의 중간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홈을 갖는다. 오목면(31A, 32A)이 둘레에 형성되도록 롤러(31 또는 32)의 둘레를 오목하게 하여 홈이 형성된다. 이형부(21)[변형부(23) 및 정형부(22)]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오목면(31A, 32A)은 적절한 곡률을 갖는다. 따라서, 롤러(31, 32)가 서로 근접해지는 경우, 오목면(31A, 32A)은 원통형의 파이프(20)의 외주를 소성 변형시켜, 이형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부재(33, 34)는 롤러(31, 32)에 각각 마련된다. 지지 부재(33, 34)는 각각의 롤러(31, 32)로부터 돌출하는 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지지 부재(33)의 하단은, 베이스부(39)에 고정된다. [조정 기구(35)에 근접 위치된] 지지 부재(34)는 조정 기구(35)에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기구(35)는 고정부(36), 가동부(37) 및 롤러 위치 조정부(38)를 포함한다. 고정부(36)는 베이스부(39)에 지지된다. 가동부(37)는 롤러(31, 32)가 베이스부(39)에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 위치 조정부(38)는 회전하여 가동부(37)를 이동시킨다. 롤러 위치 조정부(38)는 축과 다각형의 헤드를 포함한다. 축은 헤드에 가까운 부분에 나사홈을 가지는 반면, 그 선단에 가까운 단부에는 나사홈을 가지지 않는다.
고정부(36)는 나사 구멍을 갖는다. 롤러 위치 조정부(38)의 축의 나사홈이 나사 구멍에 끼워진다. 가동부(37)는 그 안에 나사홈을 갖지 않는 원형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롤러 위치 조정부(38)의 축의 단부는 가동부(37)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롤러 위치 조정부(38)는, 축이 회전은 가능하지만, 롤러(31, 3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가동부(37)에 고정된다. 가동부(37)는 지지 부재(33)보다 가동부(37)에 가까이 위치된 지지 부재(34)와 일체로 된다. 이에 의해, 롤러 위치 조정부(38)가 회전되는 경우, 가동부(37)가 이동하고, 롤러(31, 32)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가동부(37)와 연동하여 롤러(32)가 움직인다.
베이스부(39)는 파이프(20)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39A)을 갖는다. 삽입 구멍(39A)은 롤러(31)의 오목면(31A)과 롤러(32)의 오목면(32A) 사이를 삽입 관통하는 파이프(20)를 위한 통로이다.
다음에, 파이프(20)의 이형부(21)의 성형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이며,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형인 금속제 파이프(도시 생략)를 준비한다. 다음에, 성형 장치(30)의 롤러 위치 조정부(38)가 롤러(31, 32) 사이의 거리[서로 대향하는 오목면(31A, 32A)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롤러(31, 32) 사이의 거리는, 금속제 파이프가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증가된다. 그 후, 변형되지 않고 원형부(24)로서 마련된 파이프의 비변형부와, 변형부(23)로서 마련된 부분 사이의 경계가 오목면(31A, 32A)에 도달할 때까지, 오목면(31A, 32A) 사이에 금속제 파이프가 삽입된다. 그 후, 오목면(31A, 32A)이 금속제 파이프에 접촉하도록 롤러 위치 조정부(38)가 작동된다.
성형 장치(30)의 입력 부재가 신호를 보내 구동 부재를 구동시킨다. 구동 부재는 롤러(31, 32)가 금속제 파이프를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롤러(31, 32)를 회전시킨다. 롤러(31, 32)의 회전에 의해 오목면(31A, 32A)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감소하면, 금속제 파이프는 변형부(23)로 변형된다. 변형부(23)와 정형부(22)로서 마련된 부분 사이의 경계까지 금속제 파이프의 변형이 진행되면, 롤러 위치 조정부(38)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 후, 금속제 파이프의 일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롤러(31, 32)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한쪽의 정형부(22)가 형성된다.
다른 쪽의 금속제 파이프의 단부에 동일 공정을 실행하여, 이형부(21)[변형부(23) 및 다른 쪽의 정형부(22)]의 단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비변형부가 원형부(24)로서 마련된다. 다른 성형 장치를 성형 장치(30)의 하단에 배치하여, 이형부(21)를 단계적으로 소성 변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형부(24)의 벤딩 공정을 설명한다. 한쪽의 아암(도시 생략)은 원형부(24)에 가까운 한쪽의 이형부(21)의 일단부를 잡는다. 다른 쪽의 아암(도시 생략)은 원형부(24)에 가까운 다른 쪽의 이형부(21)의 일단부를 잡는다. 원형부(24)의 곡률(또는 경사 각도)에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한쪽의 아암을 이동시킨다. 원형부(24)가 소성적으로 만곡되면, 파이프(20)의 성형이 완료된다. 연장 방향으로의 원형부(24)의 벤딩은, 상기한 공정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된 다른 공정이 원형부(24)를 벤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후, 3개의 전선(11)이 상기한 방법으로 형성된 파이프(20)에 삽입되어, 쉴드 도전체(10)가 준비된다. 전선(11)은 파이프(20)의 형성 이전 또는 이후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쉴드 도전체(10)는 차량(W)의 플로어 아래[하측 방향으로 노출(노면에 대향)되는 플로어 언더 판넬의 바닥면]에 배치(배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쉴드 도전체(10)는 단경부(22A)의 방향(단경부의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쉴드 도전체(10)는 장경부(22B)의 방향(두께 방향) 및 원형부(24)의 벤딩 방향이 좌우 방향(수평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전선(11)의 각각의 금속 단자(12)는, 차량(W)의 상방 내부측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외부 전선의 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쉴드 도전체(10)는 금속제 파이프(20)와 전선(11)을 포함한다. 전선(11)은 파이프를 삽입 관통한다. 파이프(20)는 원형부(24)와 이형부(21)를 포함한다. 원형부(24)는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다. 이형부(21)는 파이프(20)가 연장되는 연장 방향으로 원형부(24)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 이형부(21)는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으로 다른 외경을 갖는 단경부 및 장경부를 갖는다. 원형부(24)는 연장 방향으로 만곡된다. 다시 말하면, 원형부(24)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은 만곡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쉴드 도전체(10)는 단경부(22A)의 방향(두께 방향)이 설치 공간의 좁은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장경부(22B)의 방향(두께 방향)이 설치 공간의 넓은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단경부(22A)의 방향(두께 방향)으로 좁은 공간을 이용하고, 장경부(22B)의 방향(두께 방향)으로 넓은 공간을 이용하여, 쉴드 도전체(10)를 공간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도전체(10)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형부(21)의 벤딩 공정에서, 파이프(20)의 이형부(21)는 단경부(22A)의 방향으로 비교적 쉽게 굴곡될 수 있다. 그러나, 이형부(21)는 장경부(22B)의 방향으로 쉽게 굴곡되지 않는다. 이것은 쉴드 도전체(10)의 배선의 자유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의 파이프(20)는 원형부(24)에서 연장 방향으로 만곡된다. 따라서, 파이프(20)가 이형부(21)에서 굴곡되는 경우에 비하여, 파이프(20)는 원형부(24)에서 3차원 방향으로 쉽게 굴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쉴드 도전체(10)는 이형부(21)에 의해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원형부(24)에 의해 배선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형부(21)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형부(21)는 복수의 전선을 쉽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에 비하여, 이형부(21)는 공간에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형부(21)는 원통형의 파이프(20)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이형부(21)의 다른 형상에 대하여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이형부(21)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형부(21)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는 열수축 튜브(40)가 쉴드 도전체(10)의 외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쉴드 도전체(10)를 열수축 튜브(40) 내에 삽입하고 나서, 열수축 튜브(40)를 가열하여 수축시킨다. 이에 의해, 열수축 튜브(40)는 파이프(20)의 외면에 밀착된다.
열수축 튜브(40)가 파이프(20)의 외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파이프(20)의 외면은 열수축 튜브(40)에 의해 보호된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른 파이프(20)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형태에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50)는 층을 이루어 내면측에 제1 부재(51)와 외면측에 제2 부재(52)를 포함하는 클래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부재(5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제2 부재(52)는 철 또는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편조선(53)은 주석 도금된 구리 합금선을 포함한다. 편조선(53)은 제2 부재(52)의 외주의 단부, 즉 파이프(50)의 단부를 덮는다. 용접, 땜납, 스웨이지 링에 의한 스웨이징과 같은 접속 수단에 의해, 파이프(50)의 단부와 편조선(53)이 서로 [제2 부재(52)의 단부에서] 접속된다.
이종 금속을 서로 접촉시키면, 일반적으로 전식(電食)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주석 도금된 구리 합금선이 편조선(53)에 이용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50)의 단부가 편조선(53)에 접속되는 경우, 전식이 보다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편조선(53)은 파이프(50)의 제2 부재(52)에 접속된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비하여, 제2 부재(52)는 주석 도금 재질에 대하여 전식이 발생하기 어려운 철 또는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편조선(53)이 제1 부재(51)(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접속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부재(52)에 접속하는 편조선(53)에 전식이 발생하기 어렵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파이프(20, 50)에 각각 삽입되는 원형 전선을 포함한다. 제4 실시형태는 파이프에 삽입되는 플랫 전선(60)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 전선(60)은 플랫 도체와 절연 피복(62)을 포함한다. 플랫 도체는 상호 접촉하고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심선(61)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랫 도체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절연 피복(62)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플랫 도체의 주위를 덮는다. 플랫 전선(60)은 쉴드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각각의 심선(61)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금속선을 포함한다. 금속선은 나선형으로 서로 꼬아진다.
플랫 전선(60)은 데드 스페이스가 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플랫 전선(60)은 큰 표면적을 가져, 높은 방열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플랫 전선(60)의 통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플랫 전선(60)은 단경측과 장경측을 갖는다. 플랫 전선(60)의 단경측이 이형부의 단경부에 일치하고, 플랫 전선(60)의 장경측이 이형부의 장경부에 일치하도록, 플랫 전선(60)이 파이프(도시 생략)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파이프(도시 생략)는 단면에서 보아, 플랫 전선(60)의 수와 형상에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장경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파이프는 보다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도전체는, 큰 표면적과 높은 방열성을 갖는 플랫 전선(60)을 구비할 수 있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되면서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전선(11)이 파이프(20)에 삽입된다. 그러나, 기술적 범위가 3개의 전선(11)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선(11)의 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2) 쉴드 도전체(10)는 차량(W)의 언더 플로어 공간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쉴드 도전체(10)는 차량(W)의 언더 플로어 공간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적 범위가 차량(W)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W) 이외의 쉴드 도전체가 요구되는 어느 곳일 수 있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형부(21) 및 원형부(24)의 수, 연장 방향의 길이, 그리고 파이프(20, 50)의 전체 길이에서의 위치는, 차량(W)의 플로어 아래의 전선(11)의 배선 경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쉴드 도전체(10)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이형부(21) 및 원형부(24)의 수, 연장 방향의 길이, 그리고 전체 길이에서의 위치는, 배선 경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4) 파이프(20)는 성형 장치(30)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금속제 파이프를 변형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이것에 본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20)는 이하의 공정, 즉 판재를 준비하는 단계; 금형을 이용하여 판재에 이형부를 성형하는 단계; 판재를 환형으로 만곡시키는 단계; 판재의 단부를 용접하여 서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5)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 이형부(21)를 포함한다. 그러나, 적어도 단경부와 장경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라면, 편평하지 않은 타원 형상 또는 부분적으로 오목부를 갖는 형상이 이형부(21)에 이용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원형부(24)는 만곡된다. 그러나, 이것에 본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부(24)의 축이 예리하게 굴곡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차량 내의 쉴드 도전체의 부착을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쉴드 도전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의 외주를 갖는 금속제 파이프가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플로어 아래의 공간은 적어도 금속제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높이가 요구된다. 플로어 아래의 공간은 높이의 제약을 가지므로, 금속제 파이프의 레이아웃 설계에 상당한 수준의 노력이 요구된다. 한편, 금속제 파이프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공간은, 상기 금속제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쉴드 도전체를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는 쉴드 도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금속제 파이프와 전선을 포함하는 쉴드 도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은 파이프를 삽입 관통한다. 상기 파이프는 원형부와 이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부는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다. 상기 이형부는 파이프가 연장되는 연장 방향으로, 원형부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 이형부는,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다른 외경을 갖는 단경부와 장경부를 갖는다. 원형부는 연장 방향으로 만곡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단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이 설치 공간의 좁은 방향에 일치되고, 장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이 설치 공간의 넓은 방향에 일치되도록, 쉴드 도전체가 배치된다. 따라서, 단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으로 좁은 공간을 이용하고, 장경부의 방향(두께 방향)으로 넓은 공간을 이용하여, 도전체를 공간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도전체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형부의 벤딩 공정에서, 파이프의 이형부는 단경 방향으로 비교적 쉽게 굴곡될 수 있다. 그러나, 이형부는 장경 방향으로 쉽게 굴곡되지 않는다. 이것은 쉴드 도전체의 배선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의 파이프는 원형부에서 연장 방향으로 만곡된다. 따라서, 파이프가 이형부에서 굴곡되는 경우에 비하여, 파이프는 원형부에서 3차원 방향으로 쉽게 굴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쉴드 도전체는 이형부에 의해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원형부에 의해 배선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이형부(21)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이형부(21)는 복수의 전선을 쉽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에 비하여, 이형부(21)는 공간에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형부는 원통형의 파이프를 변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이형부의 다른 형상에 대하여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이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형부(21)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파이프와 밀착된 열수축 튜브는, 파이프의 외면을 보호할 수 있다.
파이프의 각 단부는, 파이프로부터 연속되는 쉴드 부재에 접속된다. 파이프는 서로 층을 이루어 내면측에 제1 부재와 외면측에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클래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부재의 재질에 비하여, 제2 부재는 쉴드 부재에 대하여 전식이 발생하기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쉴드 부재는 제2 부재의 외주의 단부를 덮는다. 이종 금속이 서로 접촉하면, 전식이 발생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따른 쉴드 부재는, 제1 부재보다 쉴드 부재에 대하여 전식을 일으키기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진 제2 부재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1 부재에 접속되는 쉴드 부재의 경우에 비하여, 전식이 발생하기 어렵다.
쉴드 부재는 편조 부재이다. 제1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제2 부재는 철 또는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편조선은 일반적으로 주석 도금된 구리 합금선으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단부가 편조선에 접속되는 경우, 전식을 일으키기 보다 쉽다. 그러나, 본 구성에 따르면, 편조선은 철 또는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외면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접속되는 편조선의 경우에 비하여, 전식이 발생되기 어렵다.
전선은 플랫 도체와 절연 피복을 포함하는 플랫 전선이다. 플랫 도체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절연 피복은 플랫 도체를 피복한다. 플랫 전선의 단경측이 이형부의 단경부에 일치하고, 플랫 전선의 장경측이 이형부의 장경부에 일치하도록, 플랫 전선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도전체는 큰 표면적과 높은 방열성을 갖는 플랫 전선을 구비할 수 있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되면서,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쉴드 도전체는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배치된다.
(본원에 개시된 기술의 효과)
본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쉴드 도전체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10 : 쉴드 도전체 11 : 전선
20, 50 : 파이프 21 : 이형부
22 : 정형부 22A : 단경부
22B : 장경부 23 : 변형부
24 : 원형부 30 : 성형 장치
31, 32 : 롤러 31A, 32A : 오목면
33, 34 : 지지 부재 35 : 조정 기구
36 : 고정부 37 : 가동부
38 : 롤러 위치 조정부 39 : 베이스부
40 : 열수축 튜브 51 : 제1 부재
52 : 제2 부재 53 : 편조선
60 : 플랫 전선 W : 차량

Claims (8)

  1. 금속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삽입 관통하는 전선
    을 포함하는 쉴드 도전체로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형부와,
    상기 파이프가 연장되는 연장 방향으로 상기 원형부와 다른 위치에 있고, 상기 파이프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 다른 외경을 갖는 단경부(短徑部)와 장경부(長徑部)를 갖는 이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부는 상기 연장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부는 편평한 형상인 것인 쉴드 도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부는 원통형상을 갖는 파이프를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되는 열수축 튜브가 마련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층을 이루어 내면측에 제1 부재와 외면측에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클래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재의 재질에 비하여,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쉴드 부재에 대하여 전식(電食)을 일으키기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쉴드 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외주를 덮는 것인 쉴드 도전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는 편조선이고,
    상기 제1 부재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제2 부재의 재질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인 쉴드 도전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플랫 도체와 절연 코팅을 포함하는 플랫 전선이고, 상기 플랫 도체는 편평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연 코팅으로 피복되고,
    상기 플랫 전선은 단경측과 장경측을 포함하며, 상기 플랫 전선의 상기 단경측이 상기 이형부의 상기 단경부에 일치하고, 상기 플랫 전선의 상기 장경측이 상기 이형부의 상기 장경부에 일치하도록, 상기 플랫 전선이 배치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도전체는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배치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KR1020137016039A 2010-12-24 2011-12-21 쉴드 도전체 KR20130088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8003A JP2012138179A (ja) 2010-12-24 2010-12-24 シールド導電体
JPJP-P-2010-288003 2010-12-24
PCT/JP2011/079638 WO2012086686A1 (ja) 2010-12-24 2011-12-21 シールド導電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181A true KR20130088181A (ko) 2013-08-07

Family

ID=4631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039A KR20130088181A (ko) 2010-12-24 2011-12-21 쉴드 도전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48038A1 (ko)
EP (1) EP2657946A4 (ko)
JP (1) JP2012138179A (ko)
KR (1) KR20130088181A (ko)
CN (1) CN103282974A (ko)
RU (1) RU2013128372A (ko)
WO (1) WO2012086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6157B2 (ja) * 2010-03-16 2014-08-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この製造方法
JP6274765B2 (ja) 2012-12-25 2018-02-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159193B2 (ja) * 2013-08-20 2017-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外装部材及び外装部材の製造方法
JP6212790B2 (ja) * 2013-12-24 2017-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導電路挿通方法
US20180313376A1 (en) * 2017-04-26 2018-1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at shrink clamping system for joining two or more fluid conduits in a vehicle
JP6772999B2 (ja) * 2017-10-06 2020-10-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接続構造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09038416B (zh) * 2018-08-16 2021-02-09 安徽奥丰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护套
JP7160791B2 (ja) * 2019-12-27 2022-10-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
WO2023235331A1 (en) * 2022-05-31 2023-12-07 Universal City Studios Llc A lightweight and durabl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65B2 (ja) * 1985-11-20 1994-02-02 日立電線株式会社 長尺複合管状体の製造方法
JPH10257634A (ja) * 1997-03-14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外装用コルゲートチューブ
DE10109666B4 (de) * 2001-02-28 2014-05-08 Volkswagen Ag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mit einem biegesteifen Kabe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seinheit mit einem biegesteifen Kabel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Verbindungsanordnung
JP3909763B2 (ja) * 2002-11-20 2007-04-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機能を備えた車両用導電路
JP2005197130A (ja) * 2004-01-08 2005-07-21 Yazaki Corp 同軸ケーブル
JP4720168B2 (ja) * 2004-12-06 2011-07-13 日立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
JP4691973B2 (ja) * 2004-12-06 2011-06-01 日立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118273A1 (ja) * 2005-04-28 2006-11-0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配電体
DE112006001534T5 (de) * 2005-07-05 2008-05-1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Yokkaichi Abgeschirmter Leiter
JP2007066825A (ja) * 2005-09-02 2007-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導電体
JP4601527B2 (ja) * 2005-09-14 2010-12-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導電路
JP2009129780A (ja) * 2007-11-26 2009-06-11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シールド導電体
EP2579406A3 (en) * 2008-06-25 2013-04-24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installation structure and wire harness-flattening band
JP5311921B2 (ja) * 2008-08-19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5576157B2 (ja) * 2010-03-16 2014-08-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28372A (ru) 2015-01-27
EP2657946A1 (en) 2013-10-30
EP2657946A4 (en) 2014-05-28
JP2012138179A (ja) 2012-07-19
CN103282974A (zh) 2013-09-04
WO2012086686A1 (ja) 2012-06-28
US20130248038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8181A (ko) 쉴드 도전체
CN203747537U (zh) 马达用连接部件以及马达装置
CN203761166U (zh) 马达用连接部件以及马达装置
US20090249616A1 (en) Method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nents to one another
JP6812921B2 (ja) 導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3828143A (zh) 单芯电线与绞合电线的连接方法
WO2013137230A1 (ja) 同軸電線、及び同軸電線の製造方法
JP2009027838A (ja) 電動機のステータに用いられる接続線、その接続線を備えたステータおよびその接続線の曲げ方法
JP2018111478A (ja) ワイヤハーネス
US10118573B2 (en) Conductive member to be routed in a vehicle
WO2018135415A1 (ja) 電磁シールド部品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8121044A (ja) 電磁シールド部品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2657945B1 (en) Shield conductor
CN103715804B (zh) 集合导体及用于生产集合导体的方法
JP4823561B2 (ja) シールド導電路
JP200913218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1476079B1 (ko) 쉴드 도전체
JP6248989B2 (ja) 電線の端子取付方法および端子取付構造
CN108886205B (zh) 导体的连接结构以及线束
WO2018173784A1 (ja) 導電線
WO2019004214A1 (ja) 導電路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7175701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6757498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5402599B2 (ja) 端子金具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圧着金型
JP2006094619A (ja) シールド導電路及びシールド導電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