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545A -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545A
KR20130087545A KR1020137014125A KR20137014125A KR20130087545A KR 20130087545 A KR20130087545 A KR 20130087545A KR 1020137014125 A KR1020137014125 A KR 1020137014125A KR 20137014125 A KR20137014125 A KR 20137014125A KR 20130087545 A KR20130087545 A KR 20130087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in
unit
units
min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058B1 (ko
Inventor
요시히로 스다
다카아키 고가
동기 이
미키 고자키
미즈호 안자이
요조 후쿠모토
시게요시 노무라
아키라 츠키
Original Assignee
도꾜 다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꾜 다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도꾜 다이가꾸
Publication of KR2013008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Abstract

이종 열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를 제공한다.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고, N-1개의 각 부위에,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을 할당하고,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한다.

Descriptio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본 발명은 플랫홈의 측연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플랫홈과 궤도를 구획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철도역의 안전 대책 등에의 대응으로서, 플랫홈 도어, 홈 펜스 등이라고 칭해지는 장치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고, 앞으로도 보급은 진행되어 갈 것으로 생각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플랫홈 도어, 홈 펜스 등을 포괄적으로 홈 도어라고 칭한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홈 도어는 열차의 도어 배치에 의존하여 개구부가 고정되어 있어, 차량 도어 피치가 상이한 열차가 운행되는 플랫홈에 대응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기설치 노선에서는 종별·용도나 차량 형식에 따라, 열차 길이, 편성량수, 도어의 수·넓이·위치 등이 상이한 다종 다양한 열차가 달리는 선로 구간도 많다는 실정이 있다.
따라서, 기설치 노선에 홈 도어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열차측의 도어 위치의 통일이나 정위치 정지 장치 도입을 위해서, 열차의 개수·전적·갱신 등의 조정이 필요해져, 엄청난 비용이 들게 된다. 게다가, 열차 종별에 따라 차량을 구분지어 사용하는 것이나 행선지별 정지 위치의 미세 조정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문제는, 홈 도어의 기설치 노선에의 보급의 큰 방해가 되고 있다.
철도 시스템으로서는, 홈 도어에 의해 지금까지 이상의 안전·안심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현재 당연히 실현하고 있는 다양한 열차에 의한 목적에 따른 운행 형태를 계속하고, 또한 장래의 새로운 열차·운행 형태에의 자유도를 확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승강 위치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필요하다. 동시에 이들은 정차 위치의 어긋남 등에도 대응 가능하고, 정위치 정지 장치 도입이 불필요하게 됨과 함께, 오버런에 의한 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도 큰 이점이 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몇개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지만, 그들은 부분적인 동작 기구나 특정한 차량 패턴에만 한정된 대응이며, 또한, 현실에 실시된 예는 없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어 포켓을 가동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동식의 도어 포켓을 구비한 홈 도어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지만, 모두 가동 도어 포켓을 구비한 홈 도어의 부분적인 동작 기구에 대해 언급하는 것에 그친다. 특허문헌 3에는 가동 도어 포켓을 구비한 플랫홈 게이트 시스템을 어떻게 동작시킬지에 관한 개시는 있지만, 이종 열차에 대응 가능한 플랫홈 게이트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시점은 전혀 없다.
종래의 도어 포켓 고정식의 홈 펜스는, 홈 펜스가 설치된 홈에 정차하는 특정한 1종류의 열차에 대응하여, 당해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홈 펜스를 설치하면 되고, 기껏해야 1량마다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홈 펜스의 구성이나 위치를 결정하면 충분하였다.
그러나,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에 정차할 수 있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바, 이종 열차에는, 이종 열차 사이에서, 1량에 있어서의 승강구의 수가 상이한 것, 승강구의 폭 치수가 상이한 것, 1량의 길이가 상이한 것,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것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이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3545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068(특허 제4368749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0659
본 발명은 이종 열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associating)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이종 열차의 전체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차종에 대응 가능한 홈 도어의 전체 구성을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제1 기술 수단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이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홈의 일부와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는,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 중 적어도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
N-1개의 중간 부위 중 적어도 일부의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의 각 중간 부위에,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된 유닛군의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전체 중간 부위의 각각에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하나의 특징은,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고, 각 중간 부위에,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점에 있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를 대응짓는 이러한 생각은 지금까지는 없는 새로운 사상이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
산출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당해 유닛의 최대 개수 및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기억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이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각 유닛군의 길이 치수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일치하고 있고,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도어 몸체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전단 부위, 상기 후단 부위 중 적어도 한쪽에, 1개 이상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단부 유닛군을 할당하는 단부 유닛군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과 상기 단부 유닛군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유닛군과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한다.
각 승강구에 있어서의 구획의 형태에 따라, 단부 유닛군의 구성도 상이해진다.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승강구의 중앙에서 구획하는 경우에는,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유닛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전체에 대응하는 구역을 유닛으로 폐쇄 할지 여부에 따라서도, 단부 유닛군의 구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 부위 또는 후단 부위를 유닛+다른 고정 차폐체로 폐쇄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단부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전단 부위에는, 당해 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상기 후단 부위에는, 당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승무원실 도어에 대하여 고려하는 경우에도, 단부 유닛군의 구성은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단부 유닛군을 포함함)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는,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기억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수단과,
적어도 전단 부위의 길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유닛의 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유닛수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각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할당하는 수단과,
배분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과,
결정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 짧은 열차가 정차한 경우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 및 플랫홈 상의 공백 부분(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에 의해 발생함)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단, 공백 부분의 유닛은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할 필요가 없이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최대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버림).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최대 개수는, 미리 여유δ를 설정해 두고,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에서 다시 δ를 뺀 값을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버림).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최소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를 1유닛의 최대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절상).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각 열차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로 특정된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열차마다 열차 선두를 원점으로 한 좌표로 위치 특정이 행해진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있어서의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는, 플랫홈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로 특정된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플랫홈 선두를 원점으로 한 좌표로 위치 특정이 행해진다.
복수의 이종 열차가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경우에,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상이하다.
각 이종 열차의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 수단은, 최적화의 목적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하나의 예로서, 유닛의 이동 거리를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있어서의 각 열차의 가목표 정지 위치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는, 플랫홈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취득되고 있고,
플랫홈에 정차하는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각 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차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차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가목표 대기 위치를 초기값으로 해서 각 이종 열차의 정지 위치를 최적화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이 채용한 제2 기술 수단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로서, 상기한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에 있어서도 사용된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에는, 유닛수,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위치가 포함되고,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는, 유닛수 결정 수단과,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에 있어서,
유닛수 결정 수단은,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서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를 폐쇄 가능한 유닛수이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이종 열차는, 적어도 1개의 길이가 상이한 열차를 포함하고,
최장 열차와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길이의 차에 기초하여, 당해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최장 열차에 맞추어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보정 후의 최대 총 수 및 최소 총 수를 사용하여 중복 범위가 구해진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길이의 차는,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와 당해 짧은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의 차이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보정 수단은,
보정 대상의 열차와 최장 열차의 길이의 차(전체 중간 부위끼리의 길이의 차이어도 됨)를 구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소폭 치수 및 최대폭 치수를 사용하여, 상기 차에 대응하는 유닛의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구하는 수단과,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상기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각각 가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다른 보정 수단으로서는, 최장 열차와 보정 대상의 열차의 전체 길이의 비를,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곱한 것이어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중복 범위의 유닛 최소 총 수이다.
상기 형태에서는, 전체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구하는 것이지만, 각 열차에 있어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포함시킨 전체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구하고, 그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로부터 유닛 총 수를 구해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유닛수 결정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전단 부위 및/또는 후단 부위에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소정수로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최장 열차에 있어서,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최장 열차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고, 유닛 최대 총 수와 유닛 최소 총 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유닛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닛수는, 상기 전단 부위, 상기 후단 부위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폐쇄 가능한 수이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닛수는,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인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적어도 최장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또한,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플랫홈의 길이에 수용되는, 개수로 결정된다.
하나의 형태는, 상기 장치는,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은,
이종 열차마다, 상기 제1 유닛수의 유닛의 전부 혹은 일부를,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내지 최소 개수의 범위 내의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
할당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각 이종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는, 적어도 1개의 길이가 상이한 열차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 수단은,
짧은 열차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이다.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는,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당해 짧은 열차의 최소 총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의 차를 유닛의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의 평균으로 나누어 빈 부분의 개수를 산출하고, 제1 유닛수에서 상기 빈 부분의 개수를 뺀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비를 제1 유닛수에 곱한 수를 사용하는,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수단은, 상기 소정수의 유닛 중 제1 유닛수의 유닛을 할당하는 것이며,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소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제1 할당 수단과,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여분의 유닛을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배분하는 제2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1 유닛수의 유닛에 있어서 중간 부위에 할당되지 않은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해 여분의 유닛을 상기 전단 부위 및/또는 상기 후단 부위에 할당하는 제3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은, 기설치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새로운 이종 열차의 도입의 가부, 및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한 홈 도어의 목표 대기 위치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에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적용의 가부를 판정하는 장치는,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M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신이종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M-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인 공백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기설치의 홈 도어의 유닛 총 수가,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도입이 가능하다고 결정된 후에는, 대응짓기 장치의 유닛군 할당 수단,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사용하여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 장치는, 이종 열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홈 도어 설치시, 설치 후(신열차 도입시의 체크)의 양쪽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이종 열차의 전체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차종에 대응 가능한 홈 도어의 전체 구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일 실시 형태를 궤도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일 실시 형태를 홈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궤도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홈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 홈 펜스의 다른 실시 형태를 궤도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4는 가동 도어 포켓의 주행 기구 및 구동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볼 나사 구동 방식, (B)는 벨트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B)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기본 유닛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전형적인 형태에서는, 동일한 기본 유닛을 홈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 도어를 구성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구성 배치와 움직임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기본 유닛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플랫홈, 열차, 홈 도어를 규정하는 용어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플랫홈, 열차, 홈 도어의 길이의 차를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1a는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2는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3은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4의 (A)는 최대 개수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 (B)는 최소 개수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의 (A) 내지 (E)는 중간 부위에 있어서의 유닛군의 각 유닛의 위치의 결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16a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의 스텝을 예시하는 도면.
도 17은 승무원 도어와 전단 부위의 관계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유닛 배치의 검토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유닛 배치의 검토예를 도시하는 도면.
[A]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도어 몸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도어 포켓이, 플랫홈의 바닥면에 당해 플랫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설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각 도어 포켓은, 롤러 등의 주행체,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갖고, 당해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주행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플랫홈의 길이 방향으로 개별로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저면이 넓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도어 몸체도 도어 포켓보다 약간 작을뿐이고 마찬가지의 단면 형상으로 된다. 도어 몸체는 도어 포켓에 지지되어, 도어 포켓의 양측에 각 1매가 출입하거나, 혹은 편측에 1매가 2단으로 출입하는 유닛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도 7 참조). 또한 홈 단부에 매설한 2개의 레일을 따라 유닛이 이동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밑단 확대의 삼각형 단면으로 함으로써, 저면의 폭을 크게 취하여 지지를 효과있게 하면서, 구동 기구를 포켓 공간이 있는 하부에 설치하여 무게 중심을 아래로 함으로써, 전도 모멘트에의 저항력을 보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시에, 도어 포켓·도어 몸체 모두 홈단 한계선까지 확장함으로써, 홈 도어와 차체 사이에 사람이 설 여지를 없애고 있다. 그로 인해 승차하려다 승차할 수 없었던 승객은 반드시 홈 도어의 도어 몸체 사이에 끼이게 되어, 홈 도어의 문 폐쇄 센서만으로 검지 가능하게 되므로, 승차하지 못한 승객 검지용 센서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 삼각형 단면의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랫홈(1)의 바닥면에는, 플랫홈(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가이드레일(2)은 플랫홈(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짧은 가이드 레일을 플랫홈(1)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배치해도 된다. 가이드 레일(2)은 플랫홈(1)의 바닥면 내에 매설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이 매설된 부위의 상면이 플랫홈(1)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되어 있다.
플랫홈(1)의 바닥면에는, 궤도측의 측연부에 근접하여 복수의 가동 도어 포켓(3)이 설치되어 있고,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은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3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31)(궤도측 면)와, 정상부(32)과, 저면(33)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은 사람의 신장보다도 낮은 높이(低背)로 형성되어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1개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동일한 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도어 몸체, 즉,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의 단면 형상은, 가동 도어 포켓(3)의 단면 형상과 상사형으로 되어 있고, 가동 도어 포켓(3),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는 네스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도어 몸체(4)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4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41)(궤도측 면)와, 정상부(42)와, 저면(도 1a, 도 1b에서는 숨겨져 있어 보이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제1 도어 몸체(5)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5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51)(궤도측 면)와, 정상부(52)와, 저면(도 1a, 도 1b에서는 숨겨져 있어 보이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의 내부 공간에는 제1 도어 몸체(4)의 기단부측을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선단측 측면은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도어 몸체(4)의 내부 공간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제1 도어 몸체(4)를, 제1 도어 몸체(4)에 대하여 제2 도어 몸체(5)를 어디까지 끌어 들일 수 있도록 할지는 설계상의 문제이며, 가장 인입된 상태(수납 자세)에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선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및/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선단측이 제1 도어 몸체(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도어 몸체(4)가 가동 도어 포켓(3)의 측면의 개구로부터 돌출되고, 제2 도어 몸체(5)가 도어 몸체(4)의 측면의 개구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제2 도어 몸체(5)의 측면끼리가 접촉된 자세에 있을 때에 가동 홈 펜스는 폐쇄 상태로 되고, 제1 도어 몸체(4)가 가동 도어 포켓(3) 내에 인입되고, 및/또는, 제2 도어 몸체(5)가 제1 도어 몸체(4) 내에 인입됨으로써, 인접하는 제2 도어 몸체(5)의 측면이 이격하여 그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됨으로써 가동 홈 펜스는 개방 상태로 된다. 혹은, 인접하는 가동 도어 포켓(3)의 한쪽 또는 양쪽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접하는 가동 도어 포켓(3)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됨으로써 가동 홈 펜스는 개방 상태로 된다. 후자와 같이, 가동 도어 포켓의 한쪽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 자세에 있는 도어 몸체에 대하여 당해 돌출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가동 도어 포켓을 당해 도어 몸체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도어 포켓의 다른 쪽의 단부면측에 개구를 형성하여 개방 상태로 해도 된다(가동 도어 포켓이 도어 몸체로서 기능함).
도 1a, 도 1b의 형태에서는, 1개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가 돌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가동 도어 포켓(3)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를 각각 돌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1개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양쪽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2개의 도어 몸체, 즉,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의 단면 형상은, 가동 도어 포켓(3)의 단면 형상과 상사형으로 되어 있고, 가동 도어 포켓(3),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는 네스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동 도어 포켓(3)에 수납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에 수납된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제1 도어 몸체(4´)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4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41´)(궤도측 면)와, 정상부(42´)와, 저면(도 2a, 도 2b에서는 숨겨져 있어 보이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제1 도어 몸체(5´)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5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51´)(궤도측 면)와, 정상부(52´)와, 저면(53´)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의 양쪽 측면은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동 도어 포켓(3)의 내부 공간에는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각각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 측면은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도어 몸체(4´)의 내부 공간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의 수납 시에는, 한쪽 측면으로부터 가동 도어 포켓(3)에 인입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에, 다른 쪽 측면으로부터 가동 도어 포켓(3)에 인입된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인입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를 어디까지 끌어 들일 수 있도록 할지는 설계상의 문제이며, 가장 인입된 상태(수납 자세)에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선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의 한쪽 측면에서 돌출되고, 및/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선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의 다른 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동 도어 포켓(3)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가 각각 돌출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인입된 상태(수납 자세)에서 제1 도어 몸체(4´)와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끼리가 서로 인입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가동 도어 포켓에 대하여 도어 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은,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 수납부 내에 설치되고, 도어 몸체의 개폐 이동시에 도어 몸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과, 도어 몸체를 가이드수단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구동 기구의 구동원으로서는 전형적으로 모터가 사용된다.
또한, 일반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포켓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도어 몸체는 미닫이 장치로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도어 몸체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자동미닫이도 또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몸체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있어서, 이들 기술을 적용해도 된다.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패널이 돌출되는 것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11-334579호에 개시되어 있고, 참조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도어 포켓에 대하여 당해 도어 포켓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설치하고, 한쪽의 도어 몸체를 다른 쪽의 도어 몸체를 수납하는 중간 도어 포켓으로서 형성하고, 다른 쪽의 도어 몸체가 한쪽의 도어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한쪽의 도어 몸체가 도어 포켓의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281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0034호에 개시되어 있고, 참조할 수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의 하면(33)에는 주행체로서의 차륜(35)이 설치되어 있고(도 4 내지 도 6 참조),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구름 이동함으로써 가동 도어 포켓(3)은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2)은 플랫홈(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 설치되어 있지만, 각각의 가동 도어 포켓(3)의 이동량에 맞추어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을 단속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가동 도어 포켓(3)은 차륜(35)을 회전시켜서 자주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 기구에 의해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가동 도어 포켓(3)은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가동 도어 포켓(3), 제1 도어 몸체(4, 4´), 제2 도어 몸체(5, 5´)의 서로의 대향면에는, 면끼리의 직접 접촉을 규제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가동 도어 포켓의 주행 기구 및 구동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A)는 볼 나사 구동 방식, (B)는 벨트 구동 방식을 나타낸다. 가동 도어 포켓(3)의 하면(33)에는, 가동 도어 포켓(3)의 폭 방향, 깊이 방향(두께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2개씩, 합계 4개의 차륜(35)이 설치되어 있다. 각 차륜(35)은 수직 형상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브래킷(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랫홈(1)의 바닥면에는, 판상의 브래킷(36)이 삽입 관통 가능한 미세 폭의 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5)의 홈 폭은, 승객의 구두나 다른 신발, 지팡이의 선단, 가방 하단부의 롤러 등이 인입되지 않는 치수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36)에는, 차륜(35) 전후 또한 상방에 위치해서 2개의 스토퍼륜(37)이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륜(37)의 상방에는 커버(20)가, 그 상면이 플랫홈(1)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지주(25)에 지지시켜서 설치되어 있고, 커버(20)의 하면은 스토퍼륜(37)를 안내하는 레일을 형성하고 있다. 차륜(35), 브래킷(36), 스토퍼륜(37)는 새시 롤러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있다. 도어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측 방향의 하중(도어 포켓 전도에 의한 들어올리는 힘)은 스토퍼륜(37)로 지지하고, 하측 방향의 도어 포켓 자중은 플랜지를 구비한 차륜(35)으로 지지하게 되어 있다.
도어 배치가 상이한 이종 열차에 플렉시블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각각 개별로 주행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각각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독립된 구동원(모터) 및 전동 기구가 준비된다. 도시의 형태에 있어서, 4개의 차륜(35) 중, 어느 차륜(35)을 구동륜으로 하고, 어느 차륜(35)을 종동륜으로 할 것인지, 혹은, 모든 차륜(35)을 구동륜으로 할 것인지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있어서는, 편측의 모터 M 및 전동 기구의 인출선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하의 기재는 한쪽에 모터를 설치한 경우, 양쪽에 모터를 설치한 경우의 양쪽에 적용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도어 포켓(3)에는 플랫홈(1)에 설치된 관리 장치로부터 적절히 명령을 수신하여 가동 도어 포켓(3) 및 도어 몸체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홈(1)의 바닥면 내의 가이드 레일(2)이 매설된 공간 내에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볼 나사(16)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볼 나사(16)에는 슬라이더(볼 너트)(17)가 볼 나사(1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장되어 있고, 슬라이드(17)는 차륜(35)을 지지하는 브래킷(36)에 고정되어 있다. 볼 나사(16)의 일단부측에는 종단부 베어링(18)이, 타단부측에는 감속기(19)를 통해 모터 M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으로 모터 M을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17)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서,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 상을 구름 이동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이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이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면 모터 M의 회전이 정지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이 정지한다.
도 4의 (B),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홈(1)의 바닥면 내의 가이드 레일(2)이 매설된 공간 내에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권회 벨트체(21)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에 있어서, 벨트체(21)는 구동 풀리(22)에 권회되어 있고, 타단부측에 있어서 벨트체(21)는 종동 풀리(23)에 권회되어 있고, 벨트체(21)는 상측부(21A)와 하측부(21B)로 이루어진다. 차륜(35)을 지지하는 브래킷(36)은 벨트 클램프(24)를 통하여 벨트(21)의 상측부(21)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풀리(22)는 모터 M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으로 모터 M을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구동 풀리(22)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고, 벨트체(21)의 상측부(21A)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서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 상을 구름 이동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이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이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면 모터 M의 회전이 정지되어 가동 도어 포켓(3)이 정지된다.
가동 도어 포켓(3)을 구비한 가동 홈 펜스에 대해서는, 이미 몇 가지의 제안이 있고(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가동 도어 포켓(3)이나 도어 몸체의 형상이나 구성, 가동 도어 포켓(3)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에 대해서도 여기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력만을 받는 진동 멈춤용 빔(도시하지 않음)에 지지시킨 레일(6)을 상부에 설치하고, 각 도어 포켓(3)에 설치한 지지 바(7)를 레일(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홈 도어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동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는 천장 높이까지 연장되는 높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도어 포켓과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단일 유닛의 반복으로 구성된다. 통합된 크기의 1종류의 반복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비용 억제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기본 유닛으로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하나의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가 돌출된 형태, (B) 하나의 도어 포켓의 편측으로부터 2개의 도어 몸체가 돌출된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기본 유닛을 일렬로 배열하고, 각 도어 포켓을 개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도어 위치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어 포켓체를 길이 1.4m 전후, 도어 몸체를 유효 길이 1.0m 정도로 함으로써, 20m 3도어·4도어차의 대부분은 이 유닛만으로 대응 가능하게 된다. 기본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 8의 (1), (2)를 보면, 20m 4도어차와 3도어차에의 대응으로, 열차에 맞추어 각 도어 포켓체가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의 (1), (3)과 같이, 20m과 18m 등 차량 길이가 상이한 열차가 혼재하는 경우에는, 각 열차의 정지 위치 자체도 조금씩 어긋나기 때문에, 편성의 전체적인 검토가 필요해지지만, 8량 편성의 20m 4도어차와 18m 3도어차의 검토에서는 문제없이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정도의 정차 위치 어긋남까지는 홈 도어에서 대응이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거리까지의 오버런에 홈 도어가 추종하는 것이나, 행선지·종별 등에서 정차 위치를 도어 1개소분 어긋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차량의 통일이나 정위치 정지 장치를 장비하는 일 없이 도입이 가능하고, 현재에서는 신설 노선이나, 소규모로 통일된 기존 노선에서밖에 도입이 어려웠던 홈 도어가, 기술적으로는 거의 모든 노선에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B]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동작 제어
열차에 따라 상이한 도어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오는 열차의 도어 위치 정보를 얻을 필요가 있다. 열차의 도어 위치 정보의 취득 방법으로서는, 열차가 홈에 진입해 온 시점에서 열차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취하는 것, 전광 게시판 등에 표시하는 운행 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차측에 열차 정보를 저장한 IC 태그를 설치해 두고, 열차가 홈에 진입했을 때에 홈측에 설치한 수신부에서 열차 정보를 수신하고, 얻어진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제어 장치에 의한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이동 제어가 행해진다. 열차측의 IC 태그에 저장된 열차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도어 위치, 차량수, 열차 길이를 들 수 있다. 혹은, IC 태그에는 열차의 ID만을 기억해 두고, 제어 장치측에 열차 ID와 열차 정보의 대응 테이블을 저장해 두고, 대응 테이블로부터 추출한 열차 정보를 사용하여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이동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홈에는 열차의 정지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해 두고, 실제로 정차한 열차의 위치의 표준 정지 위치로부터의 어긋남을 검출한다. 정지 위치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홈 전단부와 열차 선두의 위치 관계로부터 측정을 행한다(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거함). 열차의 실제의 정차 위치와 열차 정보로부터 홈 상의 열차의 도어 위치를 알 수 있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대응하는 열차의 종류에 대응하여 각 도어 포켓의 위치(도어 포켓의 정지 위치, 즉 개방하기 직전의 도어 포켓 위치)가 결정되어 있고, 당해 열차가 표준 정지 위치에 정지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각 도어 포켓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다. 정지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표준 정지 위치로부터의 어긋남이 검출된 경우에는, 각 도어 포켓이 어긋남을 보상하도록 이동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대응하는 열차의 종류에 대응하여, 차량 도어에 대응하여 승강구로 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각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의 이동량(0 내지 최대 돌출량 사이) 및/또는 도어 포켓 자체의 이동량(0 내지 최대 돌출량 사이)이 결정되고 있고, 각 도어 포켓이 소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도어 몸체 또는/및 도어 포켓이 소정량 이동하여 개구를 형성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다음에 오는 열차의 도어 위치 정보를 사전에 취득하여, 열차가 진입하기 전에 미리 다음에 오는 열차에 맞추어 천천히 부드럽게 도어 위치를 이동해 둔다. 미리 움직이는 것에 의해, 열차 도착시의 도어 위치 조정 시간이 최소한이면 되어, 쓸모 없이 소요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개폐 위치의 조정에는 도어의 개폐와 같은 재빠름은 필요없고, 천천히 이동할 수 있으면 되므로, 도어 포켓체의 구동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홈 도어를 열차 대기 중의 폐쇄 상태에서는 항상 저속(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40 내지 80㎜/s)으로 이동시킨다. 대다수의 사람에게, 만지지 말자, 거리를 두자고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하는 것은 안전상 바람직하다. 홈 도어를 열차 대기 중인 폐쇄 상태에서는 항상 저속으로 이동시킴으로써(예를 들어, 홈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고, 열차의 도래에 맞추어 소정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킴), 부주의하게 접촉하거나 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어, 움직일 때에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서 경고 램프나 경고음을 부가할 필요도 없어진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서는, 홈 도어 전체가 이동하기 때문에, 홈 상의 여객에 대하여 열차로부터 가까운 곳에 이동체가 존재하게 되어, 홈 도어의 동작에 수반하여, 종래 이상의 불쾌감·불안감·위화감·공포감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들 감각은 속도뿐만 아니라, 승객과의 거리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승객이 불쾌감 등을 피하여 홈 도어 등으로부터 떨어지면, 그만큼 홈의 유효폭이 작아져, 공간 효율이나 혼잡율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자들이, 이용자에게 불쾌감 등을 부여하지 않는 홈 도어(높이가 낮은 홈 펜스)의 이동 속도와 승객의 거리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피험자 실험을 행한 바, 40 내지 80㎜/s 사이에 승객의 스트레스가 비교적 적은 적절한 속도가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기존 홈 펜스에서는 800㎜ 정도 떨어져 기다리는 사람이 많고, 실험의 어느 조건에서도 평균값·중앙값은 700㎜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정도의 속도라면 극단적으로 홈의 유효 이용 폭이 좁아지는 일은 없다고 생각된다.
[C]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의 대응짓기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의 대응짓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의 대응짓기를 행하는 장치는, 입력부, 기억부, 연산부,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고,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정보 및/또는 기억부에 기억된 기억 정보를 사용하여 연산부가 소정의 계산을 행하고, 계산 결과를 출력부로부터 출력하게 되어 있다. 대응짓기 장치의 각 수단은,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C-1] 기본 개념의 설명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플랫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기재 및 관련되는 도면에서는 높이가 낮은 유닛을 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유닛(도어 포켓, 도어 몸체)의 높이 치수는 상관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는, 소위 홈 펜스 타입의 것, 풀 스크린 타입의 것이 포함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열차가 플랫홈에 정차하여 승강구가 개방되고 있을 때 이외(열차 진입시, 통과시, 출발시, 대기시)에는, 폐쇄 상태가 유지되어 플랫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한편, 열차에의 여객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객이 안전 또한 원활하게 오르고 내리기 위해서는, 유닛간에 형성되는 개구는, 대응하는 승강구의 폭 치수보다도 크다. 따라서, 승강구를 폐쇄하는 열차측의 2매의 도어 몸체에 대하여 홈 도어측의 2매의 도어 몸체가 대응하는 경우에는, 홈 도어의 유닛의 1매의 도어 몸체의 폭 치수는, 차량 도어의 1매의 도어 몸체의 폭 치수보다도 크다.
예를 들어 M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각 유닛(각 도어 포켓·각 도어 몸체)에는 M개의 도어 포켓 및 각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를 식별하는 ID가 부여되어 있다. 각 유닛, 즉, 각 도어 포켓, 각 도어 몸체는, 기억부에 기억된 각 ID에 의해 특정되어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유닛(도어 포켓)에 ID1, 2, 3, 4, 5, 6··이 부여되고, 유닛(1)의 전방측의 도어 몸체에 ID11, 유닛(1)의 후방측의 도어 몸체에 ID12가 부여되어 있다. 유닛(2) 이후의 도어 몸체도 마찬가지로 ID가 부여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은, 기본이 되는 유닛의 구성, 총 유닛수,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로부터 특정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에 의해, 어떤 시점에 있어서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상태가 특정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플랫홈과 궤도 사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맞추어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승강 위치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는, 각 이종 열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각 열차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x(k)(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열차의 선두를 원점으로 함)로 취득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 상에 설치되므로, 실제의 제어에서는 플랫홈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X(k)(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홈의 전단부를 원점으로 함)로 특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실제로는, 열차마다 목표 정차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또한, 플랫홈 상의 열차의 정차 위치의 검출 장치는 기지이므로, 플랫홈에 대한 열차의 정지 위치를 알면, 열차에 대한 좌표와 플랫홈에 대한 좌표는 변환 가능하다.
도 10a는, 플랫홈 PF의 길이 LPF,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 PFD의 길이 LPFD, 3개의 이종 열차 T1, T2, T3의 길이 L1, L2, L3의 (L1이 최장)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형적으로는, LPF≥LPFD≥L1이다. 최장 열차 L1과 짧은 열차 L2의 길이의 차는, L12F+L12R이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 PFD의 길이 LPFD와 열차 L3의 길이의 차는, LPFD3F+LPFD3R이다. 후술하는 공백 부분의 길이는, L12F+L12R을 가리키는 경우(최장 열차의 전체 길이와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와, LPFD3F+LPFD3R을 가리키는 경우(예를 들어, 기설치의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새롭게 도입 예정인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가 있다. 도 10a에서는 길이의 차를 전후로 분배하여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열차의 정차 위치 등에 따라서 차의 전후의 분배는 상이하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는, 열차의 일부에만 대응하여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설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 상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최장의 길이는 플랫홈 전체 길이이다. 또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설치되는 플랫홈의 전체 길이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의 전체 길이는 당해 플랫홈보다도 짧고, 플랫홈 전체 길이-최장 열차 전체 길이의 빈 부분(전방 및/또는 후방에 발생함)이 플랫홈 상에 발생한다. 이러한 빈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될 필요는 없고, 도어 몸체를 구비한 고정 도어 포켓, 도어 몸체가 없는 고정 펜스나 고정 벽 등의 차폐체에 의해 폐쇄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있어서, 도어 몸체(11)의 전방측에 고정 펜스(점선으로 나타냄)를 설치하고, 도어 몸체(11)의 선단의 좌표를 고정해도 된다(이 경우에도 도어 포켓(1)은 도어 몸체(11)를 인입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음).
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유닛에 있어서, 도어 포켓의 위치를 항상 고정해 둠으로써, 도어 몸체를 구비한 고정 도어 포켓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랫홈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설치하고, 전방측, 후방측의 1개 이상의 유닛을 고정하여 차폐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 상에 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고정 도어 포켓(고정 펜스이어도 됨)을 설치하고,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전후의 고정 도어 포켓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고정 도어 포켓간의 거리를 폐쇄 가능함과 함께, 고정 도어 포켓간에서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위치를 정하여 도어 몸체를 개방함으로써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의 기술 사상은, 유닛의 이동 범위와는 독립하여 성립되는 것이지만,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각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범위는, 도어 포켓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어 포켓이 레일측에 설치한 구동 수단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만 왕복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그 가동 범위를 초과하여 도어 포켓이 이동할 수 없다. 한편, 각 도어 포켓이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접한 도어 포켓에 겹치거나, 앞지르거나 할 수 없다는 제한을 제외하고, 각 도어 포켓의 이동의 자유도가 크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각 유닛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가 있는 경우에는, 계산상 얻어지는 각 유닛에 필요한 이동 범위를 각 유닛의 가동 범위와 비교하는 공정을 마련하면 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또는, 기계적인 가동 범위가 기지인 경우에, 계산을 행할 때의 조건으로서 가동 범위를 사용하여 계산을 행해도 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한정된 가동 범위를 구비한 유닛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2) 기본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
1개의 도어 포켓과 1개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은, 모든 도어 몸체가 도어 포켓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된 제1 자세와, 모든 도어 몸체가 가능한 한 도어 포켓 내에 수납된 제2 자세를 취한다. 제1 자세에 있는 유닛의 폭 치수를 최대폭 치수, 제2 자세에 있는 유닛의 폭 치수를 최소폭 치수라고 한다.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
유닛의 구성 형태로서는,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가 돌출된 타입, 도어 포켓의 편측으로부터만 도어 몸체가 돌출된 타입이 예시된다.
전자의 형태, 즉, 기본 유닛이, 하나의 도어 포켓과, 당해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2매의 도어 몸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포켓의 폭 치수를 「a」라고 하고, 각 도어 몸체의 유효 치수(최대 돌출시의 치수)를 모두 「b」라고 하면, 기본 유닛의 최대폭 치수는 「a+2b」로 된다. 각 도어 몸체는 완전히 도어 포켓 내에 퇴피 가능한 것으로 하면, 기본 유닛의 최소폭 치수는 「a」가 된다.
기본 유닛의 최대폭 치수 및 최소폭 치수는, 기본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3) 목표 대기 위치
목표 대기 위치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플랫홈에 정차한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를 형성하기 직전의 위치를 말한다. 플랫홈에 대한 각 이종 열차의 승강구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가 설정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서는, 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양쪽이 가동이기 때문에,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실제의 제어 형태예에서는, 이종 열차마다, 모든 도어 포켓·도어 몸체에 대하여 ID와 관련지어 목표 대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각 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현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대상으로 되는 이종 열차가 정차할 때까지, 각 도어 포켓·도어 몸체가 목표 대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 모터에 명령을 내린다.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목표 대기 위치간의 각 유닛의 이동 거리는, 당해 유닛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 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C-2]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으로 되는 열차의 어느 승강구에 대응하여 어느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될지를 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각 유닛을 이종 열차마다 대응지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어떤 열차가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이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한다. 각 중간 부위의 전후 양단은 구획선에 의해 구획되게 된다. N-1개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는 이들을 식별하기 위한 ID가 붙여진다. 예를 들어, 열차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연번으로 ID를 붙인다. 도 11 내지 도 13의 예(본원의 각 도면에 있어서, 좌측이 진행 방향, 즉 전방이며, 우측이 후방임)에서는, 9개의 승강구 D1 내지 D9를 구비한 열차를, 전단 부위 F, 8개의 중간 부위 I1 내지 I8, 후단 부위 R로 분할한다.
N-1개의 각 중간 부위 I1 내지 I8, 전단 부위 F, 후단 부위 R의 길이 치수 l0 내지 l9가, 각 부위의 ID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전단 부위 F의 길이 치수가 l0이며, 각 중간 부위 I1 내지 I8의 길이 치수가 각각 l1 내지 l8로 되어 있고, 후단 부위 R의 길이 치수가 l9이다.
각 구획은, 예를 들어 열차의 선두를 원점으로 한 좌표로 특정되어 있고, 각 부위의 길이는 좌표값의 차로서 취득된다.
각 승강구에도 ID가 부여되어 있고, 각 승강구의 폭 치수가, ID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된다.
N-1개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가, 각 부위의 ID와 각 승강구의 ID를 관련지어서 기억된다.
전형적으로는, 승강구 ID는 차량 도어 ID이며, 차량 도어가 복수매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예를 들어 양쪽 개방 도어) 경우에는, 각 도어 몸체에도 ID가 붙여진다. 또한, 차량 도어가 1매의 한쪽 개방 도어인 경우에는, 차량 도어 ID=승강구 ID로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는, 차량 도어는 분리 접촉 가능한 2매의 도어 몸체를 구비한 양쪽 개방 도어이며, 각 도어 몸체는 승강구의 폭 방향의 절반부를 각각 폐쇄하게 되어 있고, 당해 2매의 도어 몸체의 도어 선단부끼리가 접촉된 상태로 폐쇄 자세로 되어 차량 승강구를 폐쇄하고, 2매의 도어 몸체가 이격됨으로써 승강구를 개방한다. 예를 들어, 각 도어 몸체에 ID를 붙임으로써, 2개의 도어 ID에 의해, 각 승강구의 특정 및 승강구의 어느쪽의 절반부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9개의 승강구 D1 내지 D9에 있어서, 승강구 D1을 형성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D11, D12로 한다. D11+D12로 승강구 D1을 특정할 수 있고, D11로 승강구 D1의 전방측 절반부, D12로 승강구 D1의 후방측 단부를 특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2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21, D22, D3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31, D32, D4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41, D42, D5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51, D52, D6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61, D62, D7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71, D72, D8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81, D82, D9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91, D92로 한다.
여기서, 승강구란, 당해 열차가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했을 때에 여객의 승강을 목적으로 하여 실제로 개방되는 승강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량에 4개의 승강구(차량 도어)를 구비한 열차의 어느 차량에 있어서, 어떤 플랫홈에 정차했을 때에 4개 중 3개의 승강구밖에 개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제로 개방되는 3개의 승강구가 구획 대상으로 된다.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한다」라는 것은, 승강구의 폭 내의 부위 혹은 폭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이며, 이하의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승강구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구획한다(도 11 참조).
이 경우,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중앙으로부터 인접한 승강구의 중앙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각 중간 부위의 전방 단부, 후방 단부에는 승강구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전단 부위는, 열차 선두로부터 최전방의 차량 승강구 D1의 전방측 절반부 D11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 후단 부위는, 최후방의 차량 승강구 D9의 후방측 절반부 D92로부터 열차 최후미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으로 된다.
승강구의 후방(진행 방향과 반대) 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 구획한다(도 12 참조).
이 경우,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인접한 승강구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각 중간 부위의 후단부에는 승강구가 포함되어 있다.
전단 부위는, 열차 선두로부터 최전방의 차량 승강구 D1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 후단 부위는, 최후방의 차량 승강구 D9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열차 최후미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으로 된다.
승강구의 전방(진행 방향) 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 구획한다(도 13 참조).
이 경우,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인접한 승강구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각 중간 부위의 전방 단부에는 승강구가 포함되어 있다.
전단 부위는, 열차 선두로부터 최전방의 차량 승강구 D1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 후단 부위는, 최후방의 차량 승강구 D9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열차 최후미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으로 된다.
승강구를 개폐하는 차량 도어(양쪽 개방 도어)의 폐쇄시의 도어 선단측 부위(2매의 도어 몸체의 도어 선단측끼리의 접촉 부위)에 있어서 구획해도 된다. 이 경우, 폐쇄 자세에 있는 2매의 도어 몸체의 돌출 폭 치수가 동일하면, 폐쇄 자세에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선단부는, 상기 차량 승강구의 개구폭 중앙과 일치하고 있고, 승강구의 중앙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과 동일해진다.
승강구의 상기 이외의 위치(폭 내에서 중앙이 아닌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중간 부위를 구획해도 된다. 이 경우, 승강구의 폭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분할되었는지를 기억함과 함께, 전방측 부분, 후방측 부분 각각의 폭 치수를 기억해 둔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차를 전단 부위, 중간 부위, 후단 부위로 구획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구획 방법으로 통일적으로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에 의해, 각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된다.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형태로서는 이하의 경우가 예시된다.
중간 부위의 양단에 각각 승강구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2개의 승강구 부분의 폭의 합계 치수이다(도 11 참조). 도 11의 중간 부위 I1에 있어서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도어 몸체 D12의 폭 치수와 도어 몸체 D21의 폭 치수의 합계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일단부측의 승강구의 일부 및 타단부측의 승강구의 일부가 모두 승강구(동일 폭)의 절반의 폭 치수이면, 결과적으로,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1개의 승강구의 폭 치수(1/2+1/2)로 된다. 또는, 양단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의 합계(예를 들어, 2/5+3/5)가 1개의 승강구의 폭 치수로 되도록 구획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각 승강구의 폭 치수를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각 승강구의 폭 치수는 반드시 일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차가 이종 차량의 혼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승강구의 폭 치수가 상이한 경우도 있다. 승강구의 폭 치수가 상이한 예로서는, 폭이 좁은 승강구를 1매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a에 있어서, 연속되는 중간 부위 In(길이 ln), In+1(길이 ln+1)에 있어서, In은 승강구 Dn의 중앙 부위로부터 승강구 Dn+1의 중앙 부위, In+1은 승강구 Dn+1의 중앙 부위로부터 승강구 Dn+2의 중앙 부위까지를 구획하고 있지만, 승강구 Dn의 폭 치수와 승강구 Dn+1, Dn+2의 폭 치수는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중간 부위의 일단부에 승강구(Dn)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고, 타단부에 승강구(Dn+1)의 전부가 위치하고 있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중간 부위의 전후 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만 승강구의 전부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그 승강구의 폭 치수이다(도 12, 도 13 참조). 도 12의 중간 부위 I1에 있어서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승강구 D2의 폭 치수이다. 도 13의 중간 부위 I1에 있어서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승강구 D1의 폭 치수이다.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일부 또는 전부(예를 들어, 도어 몸체 ID로 특정됨)에 대해서, 위치(중간 부위의 양단,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폭 치수가 당해 중간 부위의 ID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부에 기억된다.
전단 부위 F, 후단 부위 R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형태로서는, 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13), 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1), 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2), 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12), 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1), 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3)가 있다.
이와 같이, 차량 도어마다나 차량마다가 아니고, 열차를, 승강구로부터 승강구의 부위(중간 부위)로 나누어 생각한다. 중간 부위는 차량과는 완전히 독립해서 설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도 있고, 동일한 열차에 있어서도 중간 부위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각 중간 부위에 대하여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유닛군)을 할당한다. 즉, 플랫홈에 정차한 열차의 인접하는 승강구간의 구역에, 유닛군을 대응시킨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는, 주로, 도 11의 구획 형태에 도 7의 (A)의 유닛을 대응시키는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열차의 구획 형태와 유닛의 구성 형태의 조합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의 (B)의 유닛을 도 12, 도 13의 구획 형태에 대응시켜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중간 부위에 유닛군을 대응시키는데 있어서,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는, 유닛의 구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고, 미리 기억부에 기억된다. 예를 들어, 도어 포켓a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가 돌출되는 것에 있어서,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가 b이고, 도어 몸체가 완전히 도어 포켓 내에 인입되어 수납되는 경우에는, 유닛의 최대폭 치수는, a+2b, 최소폭 치수는 b가 된다(도 9 참조). 예를 들어, a=1400㎜, b=1100㎜이면, 최대폭 치수는 3600㎜, 최소폭 치수는 1400㎜로 된다.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의 할당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취득함으로써 행한다. 취득된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각각 기억부에 기억해 둔다. 최대 개수=최소 개수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취득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한다. 취득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어떻게 선택할지에 대해서서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사항이며,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지시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단계에서는 모든 조합을 선택하여 기억부에 기억해 두고, 후속 공정에서 조건을 부과하여 좁혀도 된다. 또는, 초기값으로서, 최소 개수 또는 최대 개수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은, 대응하는 중간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구역을 폐쇄할 수 있음과 함께, 대응하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최대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버림). 여기서는,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 중에 가능한 한 많은 유닛을 넣는 것을 생각한다.
k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k×최소폭 치수+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이다. a=1400㎜, b=1100㎜,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1300㎜의 예로 말하면, 1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1400+1300=2700㎜이며, 2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2800+1300=4100㎜이고, 3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4200+1300=5500㎜이다.
도 14의 (A)에서 설명하면, 중간 부위 In의 치수가 ln이며, 중간 부위 In의 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가 d/2이고, 중간 부위 In의 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가 d/2이며, 1유닛의 최소폭 치수가 a이다. 최대 개수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 ln´=ln-d/2-d/2이며, 최대 개수는, (ln-d)/a(소수점 버림)로 된다.
도 14의 (A)의 예에서는, 중간 부위 In에는 3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이 대응지어지게 된다. 3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은, 도 14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적어도 양단의 2개의 유닛이 도어 몸체를 돌출시킴으로써, 당해 유닛군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당해 유닛군이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는 부위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유닛군은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미리 여유δ를 설정해 두고,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에서 다시 δ를 뺀 값을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해도 된다(소수점 버림). 여유δ의 값은,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최소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를 1유닛의 최대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절상). 여기서는,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유닛으로 적어도 중간 부위의 치수에 대응시키는 것을 생각한다.
k개의 유닛을 대응할 수 있는 최대 치수는, 「k×최대폭 치수」이다. a=1400㎜, b=1100㎜의 예로 말하면, 1개의 유닛이 대응 가능한 최대 치수는, 1400+2200=3600㎜이며, 2개의 유닛이 대응 가능한 최대 치수는, 7200㎜이고, 3개의 유닛이 대응 가능한 최대 치수는, 10800㎜이다.
도 14의 (B)의 예에서는, 중간 부위 In에는 2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이 대응지어지게 된다. 2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은, 도 14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적어도 양단의 2개의 유닛이 도어 몸체를 도어 포켓측에 인입함으로써, 당해 유닛군은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유닛군은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는 부위를 폐쇄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미리 여유δ를 설정해 두고, 각 중간 부위의 치수에 δ를 첨가한 값을 1유닛의 최대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해도 된다(소수점 절상). 여유δ의 값은,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요약하면,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의 할당을 위한 장치는,
열차에 있어서의 제1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1 구획선과 제1 승강구의 이웃에 위치하는 제2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2 구획선 사이에 규정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상기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상기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이다.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단 부위에의 유닛군(단부 유닛군)의 할당, 후단 부위에의 유닛군(단부 유닛군)의 할당에 대해서도, 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부 유닛군의 할당에 대해서는,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에 비해서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승강구의 중앙에서 구획하는 경우에는,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유닛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도 11 참조).
또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전체에 대응하는 구역을 유닛으로 폐쇄할지 여부에 따라서도, 단부 유닛군의 구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 부위 또는 후단 부위를 1개 이상 유닛+다른 고정 차폐체로 폐쇄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당해 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 당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각각 할당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랫홈에 대한 열차의 정지 위치와의 관계로, 플랫홈 상에 전방측, 후방측에 여유가 있으면, 상기 전단 부위의 길이, 상기 후단 부위의 길이를 초과하여 복수의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각 유닛을 대응짓는다.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열차에는 ID가 부여되어 있고, 또한,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각 승강구(차량 도어)의 ID가 설정되고, 또한, 이들 치수가 각 열차의 각 ID에 관련지어져서 기억되어 있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각 유닛(각 도어 포켓·각 도어 몸체)에는 각 도어 포켓 및 각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를 식별하는 ID가 부여되어 있다. 각 유닛, 즉, 각 도어 포켓, 각 도어 몸체는, 기억부에 기억된 ID에 의해 특정되어 있고, 이 ID를 사용하여 각 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응지어진다.
[C-3] 유닛수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고정 도어 포켓을 구비한 기존의 홈 도어의 경우에는, 홈 도어와 열차의 승강구가 1대 1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플랫홈에 정차하는 1종류의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도어를 설치하고, 각 도어간을 고정 도어 포켓 또는 고정 벽체로 폐쇄하면 된다. 이에 비해,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경우에는, 플랫홈에 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당해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것이 전제로 되기 때문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최초에 플랫홈에 설치할 때에, 유닛수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결정할지가 중요하다.
유닛수의 결정에 있어서도, 상기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열차의 길이 부분만과 궤도 사이를 폐쇄하는 경우도 포함하지만(어떠한 이유로 일부라도 좋은 경우, 혹은, 고정 펜스 등과 조합하는 경우 등),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열차의 적어도 전체 길이와 궤도 사이를 폐쇄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와,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취득하고,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총 유닛수로 한다. 제1 유닛수는,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더함으로써 얻어진다.
제1 유닛수는,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의 이종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를 폐쇄할 수 있는 유닛의 수이다.
제2 유닛수는,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를 폐쇄할 수 있는 유닛의 수이지만, 고정 펜스이나 고정 벽체 등과 조합하여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를 폐쇄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각각 1개의 유닛을 할당하고, 1유닛+고정 차폐체(고정 펜스 등)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를 폐쇄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유닛수의 결정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에 적어도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총 유닛수로 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스텝은 컴퓨터로 구성되는 각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제1 유닛수, 제2 유닛수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한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의 평균 치수를 사용하여 개수를 산출해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스텝과,
이종 열차마다,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취득하는 스텝과,
이종 열차마다,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스텝과,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스텝은 컴퓨터로 구성되는 각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최대 개수, 최소 개수의 취득은, 상기 대응짓기에 있어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간의 길이가 상이한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기 전에,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최장 열차에 맞추어 보정해 둔다.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보정 방법으로서는 몇 가지의 방식을 예시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보정 대상의 열차와 최장 열차의 길이의 차를 구하는 스텝과,
1유닛의 최소폭 치수 및 최대폭 치수를 사용하여, 상기 차에 대응하는 유닛의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구하는 스텝과,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상기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각각 가산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보정 대상의 열차와 최장 열차의 길이의 차는, 보정 대상의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와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의 차이다.
각 열차의 전체 길이, 각 열차의 각 부위의 치수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고,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길이의 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미리 길이의 차를 계산해 두고, 길이의 차를 미리 기억해 두어도 된다.
다른 보정 방법으로서는, 최장 열차와 보정 대상의 열차의 전체 길이의 비를,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곱해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중복 범위의 유닛 최소 총 수이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보다 적은 개수의 유닛으로 구성하는 것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제조 비용, 관리 비용을 억제함과 함께, 구성을 보다 심플하게 함으로써 각 유닛의 제어를 보다 심플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고 있지만, 우선,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제1 유닛수, 제2 유닛수의 전체수의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구하여 기억해 두고,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전체의 유닛 총 수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유닛수의 산출에 있어서는, 전단 부위의 길이 치수,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 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한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사용하여 제1 유닛수와 마찬가지로 산출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각 열차간의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기 전에, 열차의 길이 차이에 기초한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최장 열차에만 기초하여 제1 유닛수를 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유닛수를,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
최장 열차에 있어서,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고,
최장 열차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고, 유닛 최대 총 수와 유닛 최소 총 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유닛수를 제1 유닛수로 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닛수는,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인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적어도 최장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또한,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플랫홈의 길이에 수용되는, 개수로 결정된다.
[C-4] 유닛 배치 결정에 대해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총 유닛수가 결정되면, 이어서, 유닛의 배치를 결정한다. 유닛의 배치는, (1) 각 유닛의 할당 스텝과, (2) 할당된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C-4-1] 각 열차의 각 부위에 대한 각 유닛의 할당
각 유닛을 각 열차의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할당한다. 이 작업에 의해,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각각에 유닛군, 단부 유닛군이 할당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ID와 각 유닛(도어 포켓, 도어 몸체) ID를 대응시켜서 기억부에 기억한다.
우선, 이종 열차마다, 제1 유닛수의 유닛을, 각 차량 도어의 각 중간 부위에 배분한다. 할당할 때에는, 유닛수를 결정할 때에 기억한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그 중간 부위에 할당할 수 있는 유닛의 상한, 하한으로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스텝은, 총 유닛수 중 제1 유닛수의 유닛을 할당함으로써 행해진다.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소 개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스텝과,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여분의 유닛을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배분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스텝은, 컴퓨터로 구성되는 각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이때,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최대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1 유닛수의 유닛에 있어서 중간 부위에 할당되지 않은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해 여분의 유닛을 상기 전단 부위 및/또는 상기 후단 부위에 할당하도록 한다.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간의 길이가 상이한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형태에서는, 짧은 열차에 있어서, 상기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할 때에는,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도록 한다.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는 할당 전에 결정해 두어도 되고, 그 경우의 수는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당해 짧은 열차의 최소 총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의 차를 유닛의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의 평균으로 나누어 빈 부분의 개수를 산출하고, 제1 유닛수로부터 상기 빈 부분의 개수를 뺀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비를 제1 유닛수에 곱한 수를 사용하는,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는,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대 개수 내지 최소 개수의 범위 내의 개수의 유닛을 할당한 결과로서 얻어진 합계가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이어도 된다. 이 경우, 짧은 열차에 있어서, 제1 유닛수의 유닛에 있어서 중간 부위에 할당되지 않은 여분의 유닛은, 최장 열차와의 차(공백 부분), 전단 부위 및/또는 후단 부위에 할당되게 된다.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 짧은 열차가 플랫홈에 정차한 경우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 및 플랫홈 상의 공백 부분(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에 의해 발생함)을 폐쇄할 필요가 있고, 공백 부분에 유닛을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전형적으로는, 홈 도어는,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각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각각에는,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고, 최장 열차 이외의 열차에 있어서는, 최장 열차와의 길이의 차인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고, 각 열차의 전단 부위에는, 당해 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고, 각 열차의 후단 부위에는, 당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다.
[C-4-2] 할당된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
이종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하여 유닛군(1 이상의 유닛으로 이루어짐)이 할당되면,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결정한다.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경우에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는,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도 15의 (E)에, 열차의 승강구가 완전 개방 상태로 됨과 함께, 승강구에 대응하여 인접하는 유닛 k, k-1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었을 때의, 홈 도어측의 개구 폭 d´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개구 폭 d의 관계를 나타낸다. 홈 도어측의 개구 폭 d´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개구 폭 d의 차(rk-1, αk)를 개구부 여유라고 한다. 이들에 요구되는 조건은, d´≥d, rk-1≥0, αk≥0이다. 여기서, rk-1은 k-1번째의 유닛과 k번째의 유닛간에 형성되는 개구의 전방측 단부(도시하는 예에서는, k-1번째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이다. αk는 k-1번째의 유닛과 k번째의 유닛간에 형성되는 개구의 후방측 단부(도시하는 예에서는, k번째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전방측 단부)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후방측 단부의 거리이다.
즉,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기」 위해서는, 형성되는 개구부의 전후단부와 승강구의 전후단부(폭 방향 단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일치하는 경우(후자의 경우에는, 개구부의 폭 d´와 승강구의 폭 d가 동일)도 포함한다.
개구 폭 d´를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개구부 여유를 크게 할 수 있다. 대응하는 승강구가 개방되기 전에 개구 폭 d´의 공간이 폐쇄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개구부 형성 시에 도어 포켓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면, 개구 폭 d´의 크기는, 도어 몸체의 돌출 치수로 제한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개구부 여유는 승강구의 좌우에 있어서 균등하게 설치되는, 즉, rn-1n인데, rn-1=0 또는 αn=0이어도 된다.
어떤 1개의 중간 부위에 대하여 말하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가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폐쇄 자세에 있어서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가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포함되는 승강구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를 개방함으로써, 대응하는 승강구와의 사이에 개구부 여유를 형성하도록 결정한다.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도어 몸체의 돌출 치수(하나의 형태에서는, 최대 돌출 치수 b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와, 대응하는(즉, 당해 도어 몸체에 의해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의 부위(부분 또는 전부)의 폭을 비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도어 몸체의 돌출 치수가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 부분의 폭보다도 크면, 개구부 여유를 형성 가능하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각 유닛군의 길이 치수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일치하고 있고,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도어 몸체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은, 각 부위에 있어서, 차량 승강구에 대한 유닛의 개구부의 여유가 최대가 되도록 각 부위에 분배된 유닛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15에 있어서, 어떤 중간 부위에 2개의 유닛이 할당된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최소폭 치수(도어 포켓의 폭 치수)가 a, 중간 부위의 치수가 l(n), 중간 부위의 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치수가 d/2, 중간 부위의 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치수가 d/2인 것으로 한다.
또한, 중간 부위의 전방측의 승강구의 후방측 단부와 전방측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α, 전방측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와 후방측 유닛의 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β, 중간 부위의 후방측의 승강구의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γ로 한다.
α+β+γ는 도어 포켓으로부터 돌출된 도어 몸체로 커버되는 길이이며, α+β+γ=l(n)-d-2a로 된다.
개구 여유를 크게 하는 것은, α과 γ의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포켓으로부터 돌출된 도어 몸체의 길이가 충분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α의 상한은,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 b-당해 도어 몸체에 의해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 d/2이다.
즉, 0≤α≤b-d/2이다.
γ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가령, 중간 부위의 전후의 개구 여유를 균등하게 하는 것을 생각하면, α+β+γ의 절반이 b-d/2보다 작은 경우에는, β=0이 된다(도 15의 (C)).
α+β+γ의 절반이 b-d/2보다 큰 경우에는, 이들의 차가 β가 된다(도 15의 (D)). 거리β분만큼 도어 몸체를 돌출시키게 되지만, 인접하는 유닛의 어떤 유닛의 도어 몸체를 어느만큼 돌출시킬지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사항이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도어 몸체에 β/2만큼 균등하게 돌출시킨다.
도 15의 (C), 도 15의 (D)의 형태는, 개구부 여유를 최대로 하는 것이며,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문제로 되지 않는 개구부 여유의 범위에서, 각 유닛(도어 포켓, 도어 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 조정 시에 필요로 되는 정보는, 이종 열차마다의 각 유닛에 있어서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의 도어 몸체의 돌출 가능 거리 및 수납 가능 거리이다. 이들은 각 유닛에 있어서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각 유닛에 있어서의 도어 포켓과 도어 몸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유닛의 폭 치수를 취득하고,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 여유를 가능한 한 균등화하고 싶은 경우에는, 모든 승강구에 대한 개구부 여유를 비교하여, 개구부 여유가 가능한 한 균등해지도록 위치 조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개구부 여유의 설정은, 열차의 구획 형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예는, 도 11에 도시하는 구획 형태에 기초하는 것이지만, 동일한 유닛으로 생각하면, 예를 들어 도 13의 구획 형태에서는, 0≤γ≤b의 범위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즉, 유닛군의 후단부의 도어 몸체에 대응하는 승강구가 없는(도어 몸체에 의해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가 0) 경우에 γ=b를 취할 수 있고, γ=0의 경우에는, 승강구의 전방측 단부와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가 일치하여 개구부 여유가 0이 된다.
또한, 도 12이나 도 13의 구획 형태에 대하여, 도 7의 (B)의 유닛을 대응시킬 수 있다(2단의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승강구의 폭 치수). 이 경우에, 목표 대기 위치의 유닛군이 커버하는 범위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와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도 12의 경우에는 전방측, 도 13의 경우에는 후방측에 개구부 여유가 형성되지 않는다. 후자의 경우, 각 구획된 중간 부위에 유닛군을 대응시킨 후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최적화 스텝에서, 승강구의 전후의 양쪽에 개구부 여유가 형성되도록, 목표 대기 위치의 유닛군이 커버하는 범위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전방 혹은 후방으로 개구부 여유만큼 이동시켜도 된다(혹은, 열차 정지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어긋나게 해도 됨).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 짧은 열차가 정차한 경우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 및 플랫홈 상의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유닛은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할 필요가 없고 폐쇄 상태가 유지 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 또한, 폐쇄 상태를 유지하면서 움직이고 있어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열차마다 열차를 기준으로 한 좌표로 취득된다. 전형적으로는, 열차의 선단을 원점으로 하지만, 반드시 선단이 원점일 필요는 없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있어서의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는, 플랫홈을 기준으로 하여 좌표로 취득된다.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의 전단부를 원점으로 하지만, 반드시 전단부가 원점일 필요는 없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각 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차(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고, 도어 포켓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각 이동 거리와 가동 범위를 비교한다. 즉, 얻어진 목표 대기 위치간의 이동 거리가 가동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필요로 되는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가 도어 포켓의 가동 범위 내이면, 홈 도어는, 각 이종 열차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가동 범위와 필요로 되는 이동 거리의 차는, 홈 도어의 오버런 가능 거리로 된다.
필요로 되는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가 도어 포켓의 가동 범위 밖의 경우에는, 구성 결정 스텝의 전부 혹은 일부를 반복해서 행한다. 또는, 후술하는 최적화 수단을 사용하여 대응한다.
미리 가동 범위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구성 결정 스텝의 계산 단계에서 가동 범위를 제한 조건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복수의 이종 열차가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경우에,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상이하다. 즉, 플랫홈에 정차하는 열차에 따라서 유닛의 전부 혹은 일부가 이동할 필요가 있다.
각 이종 열차의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최적화란, 목적에 맞춘 목표 대기 위치의 조정이다.
예를 들어, 목적이 이동 시간의 단축이면, 유닛의 이동 시간이 짧아지도록 목표 대기 위치를 조정한다. 즉, 목표 대기 위치의 차(최장 이동 거리)가 가장 큰 유닛(도어 포켓), 내지, 이동 거리가 큰 유닛을 큰 순서대로 복수 특정하고, 이동 거리가 큰 1개 혹은 복수의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가 작아지도록 목표 대기 위치를 조정한다.
목적이 총 이동량의 단축(에너지 절약)이면, 소정 기간(예를 들어, 1일)의 대상 플랫홈에 있어서의 이종 열차간의 각 유닛(도어 포켓)의 총 이동량을 각 유닛의 이종 열차마다의 목표 대기 위치의 함수로서 설정하고, 총 이동량이 최소로 되도록 이종 열차마다의 목표 대기 위치를 최적화한다.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생각하는 경우에는, 각 열차의 정차 빈도, 정차의 순서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목표 대기 위치의 최적화를 행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변수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가) 이종 열차마다의 각 유닛(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차(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
각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는, 이종 열차마다의 플랫홈을 기준으로 한 각 유닛(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좌표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나) 최장 이동 거리 및 유닛(도어 포켓)
(가)로부터 가장 이동 거리가 큰 유닛(도어 포켓)을 특정할 수 있다.
(다) 이동 거리의 평균값 또는 총합
(가)로부터 계산으로 구할 수 있다.
(라) 이종 열차마다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전방 개구부 여유, 후방 개구부 여유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마) 이종 열차마다의 각 유닛에 있어서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의 도어 몸체의 돌출 가능 거리 및 수납 가능 거리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도어 포켓의 위치와 도어 몸체의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목표 대기 위치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 및 이들 조합을 생각할 수 있다.
(가) 이동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필요로 되는 개구부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최장 이동 거리를 갖는 유닛과, 당해 유닛의 인접한 유닛(전후의 유닛의 양쪽 혹은 한쪽)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의 도어 몸체의 돌출 가능 거리 및 수납 가능 거리, 최장 이동 거리를 갖는 유닛 및 당해 유닛의 인접한 유닛에 관련되는 개구부 여유를 사용하여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목표 대기 위치를 변경한다.
(나) 이동량이 과도하게 큰 부위에 유닛을 추가한다.
이동량이 큰 유닛을 포함하는 유닛군에 유닛을 추가한다. 모든 열차에 있어서, 유닛의 배분,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을 다시 한다.
(다) 열차의 정지 위치를 어긋나게 한다.
유닛의 이동 거리가 크게 되어 있는 이유가, 어떤 열차의 정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유효하다.
어떤 열차의 정지 위치를 변위시켰을 때의 각 유닛의 이동 거리는 계산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 유닛의 이동 거리의 총합이 작아지도록 열차의 정차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C-5] 신이종 열차에의 대응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은, 기설치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새로운 이종 열차의 도입의 가부 및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한 홈 도어의 목표 대기 위치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기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는, 당해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 당해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가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의해 폐쇄 가능한 최대 길이를 말한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이 최대 길이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할 수는 없다. 또한, 각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범위에 기계적인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각 유닛의 가동 범위(기계적)도 결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어떤 플랫홈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플랫홈에 장래적으로 정차할 수 있는 열차를 포함시켜 최장 열차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새로운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 보다도 짧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적용의 가부를 판정하는 장치는,
M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신이종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M-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도 10a의 LPFD에 상당하는 유닛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인 공백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여기서의 공백 부분의 길이 치수는 도 10a의 LPFD3F+LPFD3R에 상당함),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기설치의 홈 도어의 유닛 총 수가,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도입이 가능하다고 결정된 후에는 대응짓기 장치의 유닛군 할당 수단,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사용하여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입이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에는, 당업자가 대응 수단을 적절히 취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유닛을 추가하고, 신이종 열차를 포함하는 전체 열차에 대하여 대응짓기를 다시 해도 된다.
가령,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 보다도 긴 경우에는, 신이종 열차의 일부의 승강구에 대응시켜서 기설치의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긴 신이종 열차에 맞추어 유닛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신이종 열차의 최소 총 수와 기설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유닛 총 수의 차를 취함으로써, 추가 설치해야 할 유닛수를 최소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닛의 추가 설치를 미리 예상할 수 있는 경우에는, 플랫홈의 바닥면 내에 추가 설치 시에 사용하는 가이드 레일 등을 미리 설비해 둠으로써, 단시간 또한 용이하게 유닛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C-6] 실시예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1량의 차 길이가 상이한 열차에도 대응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열차 길이 전체를 고려하여 배치·동작을 검토하고 있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유닛의 수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자동화·일반화가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a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의 결정의 전체의 흐름을 예시한다(본 발명은 도 16a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K: 유닛수
l(n): 차량의 도어의 중앙으로부터 인접한 도어 중앙까지의 길이(중간 부위의 길이)
d(n): n번째의 차량 도어(승강구)의 폭
n: 차량 도어(승강구) 번호(n=1, 2, 3…)
a: 도어 포켓의 폭 치수
b: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
i: 열차 번호(i=1, 2, 3…)
t: 차량 부분
s: 빈 부분(=홈 전체 길이-t=전방 빈 부분f+후방 빈 부분r)
Kt: 차량 부분의 유닛수
Ks: 빈 부분의 유닛수(=전방 빈 부분의 유닛수 Kf+후방 빈 부분의 유닛수 Kr)
x(k): 유닛 위치(각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
X(k): 유닛 위치(플랫홈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
스텝1: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의 치수 l(n), 차량 도어(승강구)의 폭 치수 d(n), 유닛을 구성하는 도어 포켓의 폭 치수 a,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 b를 입력으로 해서,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 최대 개수 Kmax(i), 최소 개수 Kmin(i)을 산출한다.
스텝2: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 최대 개수 Kmax(i), 최소 개수 Kmin(i)을 열차마다 더한 유닛 총 수의 중복 범위 Kmax, Kmin을 취득한다. 짧은 열차가 있는 경우에는, 최장 열차의 길이와의 차를 폐쇄 가능한 가상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고, 유닛 최대 개수 Kmax(i), 최소 개수 Kmin(i)에 가산한다. 최대 개수, 최소 개수의 산출에는 예를 들어,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텝3: 각 열차의 유닛 총 수의 중복 범위로부터 최소 개수 Kmin을 선택하고,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에 유닛을 배분한다. 모든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 K(i, n)가 얻어진다.
스텝4: 각 중간 부위에 있어서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열차의 승강구에 대한 홈 도어의 개구의 개구부 여유가 승강구의 좌우(전방측, 후방측)에서 균등해지도록 한다. 또한, 좌우의 개구부 여유가 최대(b-0.5dn)로 되도록 한다. 개구부 여유가 (b-0.5dn) 이상인 경우에는,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어 몸체가 돌출됨으로써 치수(ln-Ka-2b)를 확보한다. 예를 들어, 어떤 중간 부위에 2개의 유닛이 대응하는 경우에, 각 유닛의 도어 몸체가 균등하게 돌출되는 경우에는, 각 도어 몸체의 도어 돌출 치수는 (ln-Ka-2b)/2이다. 스텝(4)에 있어서, 열차마다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 x(k)가 결정된다.
스텝5: 여기서는, 홈 도어가 오버런 대응하는 것을 고려해서(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 가능), 빈 부분에의 유닛의 배분을 행한다. 또한, 빈 부분에 있어서의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스텝6: 반드시 스텝5 후에 오는 것은 아니고, 스텝4 다음에 스텝6을 실행할 수 있다. 각 열차 플랫홈에 대한 목표 정지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플랫홈을 기준으로 하는 홈 도어의 각 유닛의 위치 X(k)가 결정된다.
[C-6-1] 유닛의 수·배치의 결정 방법의 개요
방법의 전체는 3개의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 신설시의 검토에 대해서, 결정의 수순을 설명한다. 이미 도입된 상태의 홈에 있어서 새로운 열차에 대응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이 수순을 응용함으로써 확인이 가능하다.
(1) 스텝1: 유닛수의 결정
각 열차 모두, 선두에 가장 가까운 도어의 선두측인 「전단 부위」, 도어와 도어 사이에 끼워진 복수의 「중간 부위」, 최후방 도어의 바로 뒤의 「후단 부위」의 3개로 나누어 검토한다.
우선 각 중간 부위에 배치 가능한 유닛의 최소수·최대수(최대 개수·최소 개수)를 구한다. 최소수는, 유닛이 도어를 완전히 돌출시킨 상태에서 중간 부위의 전후에 위치하는 열차의 도어의 중심 사이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수, 최대수는 유닛이 도어를 수납한 상황에서 중간 부위의 전후에 위치하는 열차의 도어에 걸리지 않고 배치할 수 있는 최대수로부터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pct00001
i: 열차 번호, j: 열차 도어 번호
a: 유닛 도어 포켓체 폭, b: 유닛 도어 몸체 폭, δ: 여유
li(j): j번째와 j+1번째의 열차 도어의 중심간 거리
di(j): j번째의 열차 도어의 개구폭
ki(j): j번째와 j+1번째의 도어간의 중간 부위에 들어가는 유닛수(정수)
계속해서, 전단 부위·후단 부위에 대해서도, 필요한 유닛의 최소수·최대수를 구한다. 일반적으로는, 최전방부·최후방부 도어의 절반부를 커버하기 위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닛이 필요하다. 전단 부위·후단 부위에 사용하는 승무원실 도어가 있는 경우에는, 도어 포켓체를 승무원실 도어의 앞에서부터 움직이게 하여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도 17). 이것에 대해서는, 실제의 운용시의 제어에서도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최전방의 유닛이 커버하는 범위를 편의상 「보정 전단 부위」라고 하고, 「전단 부위」와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열차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는, 최장 열차는 멈추지만 짧은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 부위(이하 「공백 부위」)가 있다. 그 부분도 유닛을 배열하여 폐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그 때문에 필요한 유닛의 최소수·최대수도 마찬가지로 산출한다.
Figure pct00002
i: 열차 번호, δ: 여유
a: 유닛 도어 포켓체 폭, b: 유닛 도어 몸체 폭
lis: 최장 열차에 대한 열차 i의 공백 부위의 길이
Kis: 공백 부위에 들어가는 유닛수(정수)
이들 열차마다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후단 부위, 공백 부위의 최소수·최대수를 각각 합계한 것이, 그 열차가 필요한 유닛수의 최소수·최대수가 된다. 그리고 모든 열차의 최소수·최대수 사이에 있는 수가, 이 홈에 필요한 유닛수이다. 산출된 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그 중 최소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2) 스텝2: 유닛 배치의 결정
홈 상에 배치하는 유닛수가 결정되면, 다음은 각 열차의 각 부위에 몇개의 유닛을 배치해 갈지를 결정한다. 열차간에서의 유닛의 이동 거리를 불필요하게 연장시키지 않기 위해서, 평균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우선, 공백 부위와 그 이외를 길이로 비례 배분한다. 단, 비례 배분에서는 밸런스가 나쁜 경우에는, ±2개 정도를 공백 부위와 주고받는 것도 생각된다. 전단 부위·후단 부위·각 중간 부위는, 각 최소수를 배치한 후에, 나머지 치수가 큰 부위의 순서대로 유닛을 추가해 간다.
각 부위의 배치 개수가 정해지면, 각 유닛의 대기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는 각 열차의 선두로부터의 거리 좌표로 표현한다. 열차의 도어 앞을 가능한 한 크게 개구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고 방식이다. 이것은, 스텝3에서 홈 형상 등에 의한 미세 수정의 폭을 확보하기 위함과, 실용시에 열차의 정지 위치의 오차를 흡수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지금까지는, 열차 도어의 중심에 좌우 유닛의 도어 몸체의 마중대(meeting stile) 부분이 오는 것을 원칙으로 해 왔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치수적인 여유를 균등하게 하기 위해서, 여밈대 위치를 도어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하는 것을 검토하는 경우도 있다.
(3) 스텝3: 홈 상의 위치의 결정
마지막으로, 각 열차의 홈 상의 목표 정지 위치에 따라서, 각 유닛의 대기 위치를 홈 상에 설정한다. 동시에 선로의 곡률이나 캔트의 상황에 따라서 대기 좌표를 수정하고, 대기 위치의 분포나 동작 범위 등으로부터 물리적·기계적으로 성립되는 배치인지 확인한다.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는, 개찰이나 계단 등의 위치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되고, 임시로 정한 복수의 위치에 대해서 검토하여 가장 적당한 것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시간 최소(유닛 이동량의 최대값의 최소화), 이동 에너지 최소(전체 이동량 최소화) 등의 선택지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최장 열차의 전후에 있는 홈 전후단 부위의 폐쇄 방법에 대해서도 결정한다. 정위치 정지 장치가 장비되어 있으면 간단한 고정 펜스이면 된다. 오버런이나 직전 정차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본 유닛을 추가하여 배열해도, 예를 들어 주름 상자 형상으로 신축하는 상시 폐쇄의 가동 펜스를 설치해도 되지만, 오버런 등에의 대응 한계 거리를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만약 적당한 결과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2에서 정한 배분의 개수나 대기 위치에 대하여 다른 안을 선택하여, 상기 확인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C-6-2] 검토예
예로서, 이하의 조건에서 얻어진 유닛 배치의 검토 결과를 나타낸다.
·열차: [열차1] 20m 4도어차×4량
[열차2] 20m 3도어차×3량
[열차3] 18m 3도어차×3량의 3종류
·유닛의 치수: a=1400㎜
b=1100㎜
·홈: 길이 90m의 직선 형상
·기타: 운전사·차장 모두 승강 가능성 있음
오버런·직전 정차에의 대응은 하지 않음
기타는 도 18 참조
(1) 스텝1: 유닛수의 결정
[열차1]은, 전체 중간 부위에서 최소·최대수 모두 2개로 되고, 전단 부위·후단 부위 모두 1개, 공백 부위는 최장 열차이므로 0개로 된다. 따라서, 필요 유닛수는 32개의 1가지이다.
[열차2]는, 각 부위 모두 수에 여유가 있고, 합계하면 25개 내지 44개로 된다.
[열차3]도 마찬가지로, 26개 내지 44개로 된다. 따라서, 3열차에 공통되는 것은 32개의 1가지뿐이며, 유닛수는 32개라고 결정되게 된다(도 18).
(2) 스텝2: 유닛 배치의 결정
[열차1]에서는 1가지밖에 없기 때문에, 배치는 자동으로 결정한다.
[열차2]는, 공백 부위 22.80m는 전체 길이로부터의 비율로는 유닛 8.9개에 해당하지만, 20m차 1량 8개의 원칙에 따라 소수 이하 절사해서 8개가 배분되고, 나머지 24개로 3량을 커버한다. 최소수인 18개를 뺀 나머지 6개를 균등하게 배분한다. 우선, 나머지 치수가 큰 연결부의 3·6번의 중간 부위(=2900㎜=7100-650×2-100-1400×2)에 1개씩 추가한다. 다음으로 나머지 치수가 큰 중간 부위 1·2·4·5·7·8번(=2250㎜=6450-650×2-100-1400×2) 중 4곳에 유닛을 추가하는데, 길이당 유닛수가 평균화되도록 고려하여 1·4·5·8번에 추가한다(도 18).
[열차3]은, 공백 부위는 26.17m로 약간 길어지고, 10개의 배분을 받는다. 나머지 22개 중, 최소수 합계 18개를 뺀 4개를 배분한다. 우선, 나머지 치수가 큰 연결부의 중간 부위 3·6번(=1940㎜=6140-650×2-100-1400×2)에 1개씩 추가한다. 나머지를 동일 치수의 중간 부위 1·2·4·5·7·8번 중에서, 배치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1·8번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유닛의 배분에 따라서, 각 유닛의 대기 위치를 산출해 낸다. [열차1]은 도어간의 거리가 좁고, 도어 앞의 도어 몸체를 전부 다 내놓는 것(=여유 편측 450㎜를 취하는 것)은 양단부·연결부 이외는 할 수 없지만, 2m 개구에 상당하는 여유 편측 350㎜는 거의 확보되어 있다. [열차2]에서는, 모든 도어에서 ±450㎜의 여유가 취해져 있다. [열차3]에서는, 일부 여유 치수 215㎜로 적은 것이 있지만 실용상은 문제 없다.
또한, [열차1] [열차3]에서는, 승무원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 포켓체가 열차 단부보다 외측으로 850·765㎜ 밀려나온다(도 4). 반대로 [열차2]에서는, 열차 단부로부터 550㎜ 들어간 곳까지 본 유닛이 있으면 된다.
(3) 스텝3: 홈 상의 위치 결정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에 대해서는, 최장인 [열차1]은 홈 전단부로부터 5m의 위치에 설정하고, [열차2]·[열차3]은 그곳에서 10m 뒤로 내려간 위치로 하였다(도 5). 이 조건에 따라서 공백 부위를 열차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2개로 나누고, 치수에 따라서 유닛의 개수를 배분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본 예에서는, 가장 이동 범위가 큰 유닛에서 2480㎜이었다. 또한, 전체의 이동 총량은, [열차1]←→[열차2]에서 26660㎜, [열차1]←→[열차3]에서 20250㎜, [열차2]←→[열차3]에서 28520㎜로 되었다. 이들은 결정된 목표 정지 위치에 대한 값이며, 상기 수치를 최적화하는 목표 정지 위치는 별도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치수는, 도 17에 있어서의 보정 전단 부위, 보정 후단 부위의 치수가 기입되어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공백 부위의 치수도 보정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플랫홈에 설치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이나 기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신규 열차에 대응 가능한지의 판정에 사용할 수 있다.
1 : 플랫홈
2 : 가이드 레일
3 : 가동 도어 포켓
4, 4´ : 제1 도어 몸체
5, 5´ : 제2 도어 몸체

Claims (13)

  1.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이며,
    상기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홈의 일부와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 중 적어도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
    N-1개의 중간 부위 중 적어도 일부의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의 각 중간 부위에,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된 유닛군의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
    산출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당해 유닛의 최대 개수 및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기억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부위, 상기 후단 부위 중 적어도 한쪽에, 1개 이상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단부 유닛군을 할당하는 단부 유닛군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과 상기 단부 유닛군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유닛군과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4.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이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유닛수를 결정하는 유닛수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유닛수 결정 수단은,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서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를 폐쇄 가능한 유닛수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열차는, 적어도 1개의 길이가 상이한 열차를 포함하고,
    최장 열차와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길이의 차에 기초하여, 당해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최장 열차에 맞추어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보정 후의 최대 총 수 및 최소 총 수를 사용하여 중복 범위가 구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6.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이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대상 홈에 정차하는 전체 이종 열차에 대응 가능한 유닛수를 결정하는 유닛수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수 결정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전단 부위 및/또는 후단 부위에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소정수로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최장 열차에 있어서,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최장 열차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고, 유닛 최대 총 수와 유닛 최소 총 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유닛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은,
    이종 열차마다, 상기 제1 유닛수의 유닛의 전부 혹은 일부를,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내지 최소 개수의 범위 내의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
    할당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각 이종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10.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적용의 가부를 판정하는 장치이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M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신이종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M-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인 공백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기설치의 홈 도어의 유닛 총 수가,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을 구비한, 장치.
  11.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이며,
    상기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열차에 있어서의 제1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1 구획선과 제1 승강구의 이웃에 위치하는 제2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2 구획선 사이에 규정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
    을 구비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상기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상기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는,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된 유닛군의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상기 중간 부위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가 상기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폐쇄 자세에 있어서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가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포함되는 승강구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를 개방함으로써, 대응하는 승강구와의 사이에 개구부 여유를 형성하도록 결정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KR1020137014125A 2010-12-03 2011-11-08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KR101427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0944A JP5311313B2 (ja) 2010-12-03 2010-12-03 乗降位置可変型ホームドアの列車への対応付け装置及び乗降位置可変型ホームドアの構成決定装置
JPJP-P-2010-270944 2010-12-03
PCT/JP2011/075680 WO2012073658A1 (ja) 2010-12-03 2011-11-08 乗降位置可変型ホームドアの列車への対応付け装置及び乗降位置可変型ホームドアの構成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545A true KR20130087545A (ko) 2013-08-06
KR101427058B1 KR101427058B1 (ko) 2014-08-13

Family

ID=4617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125A KR101427058B1 (ko) 2010-12-03 2011-11-08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11313B2 (ko)
KR (1) KR101427058B1 (ko)
CN (1) CN103237708B (ko)
WO (1) WO20120736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04A (ko) * 2022-04-04 2023-10-11 임창원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0959B2 (ja) * 2012-11-07 2016-06-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可動柵システム
JP5993718B2 (ja) * 2012-11-07 2016-09-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可動柵システム
JP6162202B2 (ja) * 2015-11-30 2017-07-12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6165228B2 (ja) * 2015-12-21 2017-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EP3455116A4 (en) 2016-05-09 2020-01-08 Tal Leizer SAFETY SYSTEM ON THE TRAIN STATION
JP6934799B2 (ja) * 2017-10-19 2021-09-15 株式会社京三製作所 戸袋移動型ホーム柵システム
JP6934798B2 (ja) * 2017-10-19 2021-09-15 株式会社京三製作所 車両扉位置検知装置
WO2019245453A1 (en) * 2018-06-20 2019-12-26 St Engineering Electronics Ltd Variable pitch platform screens or sliding doors in transit stations
CN111547071B (zh) * 2020-05-25 2021-07-06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开门位置可调的高铁站台门
CN111547070B (zh) * 2020-05-25 2021-02-26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套叠式活动单元的高铁站台门
CN111852249B (zh) * 2020-07-30 2021-08-27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前后错层式高铁站台门控制方法
CN112441024B (zh) * 2021-01-29 2021-04-09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基于车型投影分布的站台门设计方法及高铁站台门
CN113222298B (zh) * 2021-06-10 2023-04-14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基于确定车型的站台门配置方法及站台门
EP4286235A1 (en) 2022-06-03 2023-12-06 Masats, S.A. Platform door, system comprising the platform door and method of actuating the platform do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589A (en) * 1991-07-31 1993-10-19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Folding door apparatus for a railway platform
DE19803991C2 (de) * 1998-02-02 2002-01-31 Juergen Rauch Flexibles Bahnsteigtürensystem
JP4353683B2 (ja) * 2002-07-31 2009-10-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ットホームドア制御装置
JP2004291742A (ja) * 2003-03-26 2004-10-21 Hitachi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制御装置
JP2004352034A (ja) * 2003-05-28 2004-12-16 Kawasaki Heavy Ind Ltd 連接ホームドア駆動装置
JP4397219B2 (ja) * 2003-11-19 2010-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異種車両対応フレキシブル可動柵
JP4599140B2 (ja) * 2004-02-17 2010-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動柵と可動柵の開閉方法
GB2413133A (en) * 2004-04-16 2005-10-19 Westinghouse Brakes Barrier and barrier door for a railway platform
JP4659548B2 (ja) * 2005-07-26 2011-03-30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システム
WO2007140501A1 (de) * 2006-06-08 2007-12-13 Alexander Lechner Station für kabinenbahn und verfahren zum betrieb
JP5236987B2 (ja) * 2008-04-22 2013-07-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EP2500225A1 (en) * 2009-11-12 2012-09-19 The University of Tokyo Automatic platform g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04A (ko) * 2022-04-04 2023-10-11 임창원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11313B2 (ja) 2013-10-09
JP2012116449A (ja) 2012-06-21
CN103237708B (zh) 2015-07-22
KR101427058B1 (ko) 2014-08-13
CN103237708A (zh) 2013-08-07
WO2012073658A1 (ja)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058B1 (ko)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AU2015326986B2 (en) Lift system having individually driven cars and a closed track
RU2577445C2 (ru) Система с несколькими кабинами в шахте лифта
US6955245B2 (en) Elevator installation comprising a number of individually propelled cars in at least three adjacent hoistways
JP4882659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US20060016640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individually movable elevator car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EP2266912B1 (en) Conveyor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goods
CN104229575A (zh) 电梯的乘客引导装置以及电梯的乘客引导方法
CN101568482A (zh) 在单个井道中具有多个车厢的电梯系统
TWI568659B (zh) 具有在電梯井之不同部份中獨立移動之複數個電梯廂及配重塊之系統
US20170355564A1 (en) Elevator system
US6896105B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control panel within hoistway
US11541942B2 (en) Vehicle bottom structure
RU2481262C2 (ru)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и противовес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лифтовой системе
CN111954634B (zh) 用于运行电梯设备的方法及电梯设备
CN105293249B (zh) 电梯装置
JP2012122211A (ja) 地上式と地下式の混合型駐車装置とその入出庫方法
JP6579448B2 (ja) エレベータ
RU2378180C2 (ru) Лифт
JP2016223085A (ja) 駐車装置
EP3281872B1 (en) Aeroplane lavatory
AU2015201264C1 (en)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JPH03297783A (ja) 主索なしエレベーターの運行路
KR20220098993A (ko) 하이퍼 루프 열차용 빌딩식 역 터미널
CN102883984A (zh) 具有配重和配重引导装置的电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