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904A -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 Google Patents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904A
KR20230142904A KR1020220041524A KR20220041524A KR20230142904A KR 20230142904 A KR20230142904 A KR 20230142904A KR 1020220041524 A KR1020220041524 A KR 1020220041524A KR 20220041524 A KR20220041524 A KR 20220041524A KR 20230142904 A KR20230142904 A KR 20230142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oor
side box
door
movable side
platform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550B1 (ko
Inventor
임창원
임경수
Original Assignee
임창원
임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원, 임경수 filed Critical 임창원
Priority to KR102022004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550B1/ko
Publication of KR2023014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철도의 안전문 구조 분야 신축 플랫폼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식 플랫폼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와 신축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승강장 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다양한 고속철도 차량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Movable platform screen door}
본 발명은 고속철도의 안전문 구조 분야 신축 플랫폼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식 플랫폼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와 신축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승강장 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다양한 고속철도 차량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고속철도 역에서 운행하는 차량은 노선 별로 사양이 상이하여 도어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여러 모델이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 고속철도역에 설치된 승강장 문이 없고 승객에 위험이 노출 된 상태이며, 설치되더라도 단일사양으로 차량 사양 선택의 폭이 제한적으로, 후속 모델의 차량 추가 시 승강장 문의 간격을 맞추기 위한 수정이 매우 어려우며 승강장문 이전의 설계 구조가 복잡하고 모델 추가 후 구조가 크게 변경되어 건설이 어려워 정상적 역사의 운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이동식 플랫폼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와 신축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승강장 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다양한 고속철도 차량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 10-2007-0088472(2007.08.31)호 "철도차량의 단부출입문 제어시스템(END DOOR CONTROL SYSTEM OF TRAI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 10-2011-0016991(2011.02.25)호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장치(DOOR CONTROL APPARATUS FOR RAILWAY CA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식 플랫폼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와 신축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승강장 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다양한 고속철도 차량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은, 승강장 안전문의 폭을 현장 사항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및 신축 장치(104)를 구비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에 있어서, 신축 장치(104)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대해 동일한 슬라이딩 도어가 있는 슬라이딩 장치로 좌측 구성 유닛과 우측 구성 유닛으로 구성되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상으로 중첩하여 수축되거나 확장될 수 있고 가까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이 차종의 역 정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구동 롤러에 의해 승강장 트랙에서 이동하여 차량의 출입문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 및 가이드 롤러(106)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은 신축 장치(104)의 상단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106)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과 가이드 롤러(106)를 통해 신축 장치(104)의 구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장치인 구동 롤러(105)와 연결된 제 1 모터(11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구동부가 구조체에 포함되어 이동식 신축 장치(104)의 한쪽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 트랙을 따라 구동되며 보조 롤러에 의하여 트랙에서 이탈되지 않고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은, 이동식 플랫폼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와 신축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승강장 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다양한 고속철도 차량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은, 승강장 안전문의 폭을 현장 사항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축 장치 및 슬라이딩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신축과 슬라이딩 문을 통하여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 중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후면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 중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하부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 중 신축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 중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후면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 중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하부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 중 신축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은 승강장 안전문의 폭을 현장 사항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및 신축 장치(10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의 구조는 승강장과 선로를 격리 구분하는 장치로 하부 지지대인 접지면 지지대(102)를 포함하여 가동문인 슬라이딩 도어(101), 가이드 레일과 하부 레일을 포함한 신축 장치(104), 그 밖의 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고정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신축 장치(104)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대해 동일한 슬라이딩 도어가 있는 슬라이딩 장치로 좌측 구성 유닛과 우측 구성 유닛으로 구성됨으로써,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상으로 중첩하여 수축되거나 확장될 수 있고 가까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이 차종의 역 정차가 가능하다.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구동 롤러에 의해 승강장에 설치된 트랙에서 이동하여 차량의 출입문 위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슬라이딩 장치는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 및 가이드 롤러(106)를 포함하고,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은 신축 장치(104)의 상단에 배열되며, 가이드 롤러(106)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과 가이드 롤러(106)를 통해 신축 장치(104)의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다.
전동장치인 구동 롤러(105)와 연결된 제 1 모터(11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구동부가 구조체에 포함되어 이동식 신축 장치(104)의 한쪽 면에 설치된다.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 트랙을 따라 구동되며 보조 롤러에 의하여 트랙에서 이탈되지 않고 역내에 설치된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원활하게 동작한다.
구동 롤러(105)에 연결된 전기적 구동장치는 기술된 바와 같은 제 1 모터(113)를 포함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내 하부 플레이트(107)에 기술된 구동 롤러(105)에 의하여 이동식 사이드박스(103)가 주행 트랙에서 전동함으로써 이동하며 신축되어 전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가 승강장 트랙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장치는 또한 신축 장치 레일 및 제 2 동력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신축 장치 레일은 신축 장치의 측면에 배열되며 제 2 동력 메커니즘은 하부 플레이트(107)에 배열되고 제 2 동력 메커니즘은 제 2 모터(114)를 포함하며 제 2 모터(114)와 연결되고 신축 장치 레일에 위치하는 구동 롤러인 제 2 모터 연결부(115)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축 장치(104)는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에서 작동할 수 있지만 신축 장치 레일에서도 작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 안정성이 추가로 증가하고 신축 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다.
신축 장치(104)는 왼쪽의 제 1 가이드 레일인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과 오른쪽의 제 2 가이드 레일인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1)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제 1 가이드 레일과 제 2 가이드 레일 배치 구조로 신축 장치(104)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신축 확장에 있어서 높은 공간 확보 효율을 갖는다.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과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1)은 동일 높이에 위치하지 않아 신축 장치(104)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내부에 완전히 들어갈 수 있으며 좌, 우의 슬라이딩 안전문이 충돌하지 않고, 슬라이딩 안전문이 흔들리도록 유격이 있는 위치는 유지 보수, 교체, 수리에 편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은 슬라이딩 도어(101) 및 접지면 지지대(102)를 포함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101)는 접지면 지지대(10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 중, 접지면 지지대(102)에는 복수의 이동식 사이드박스(103)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기본적 상태에서 신축 장치(104) 및 슬라이딩 도어(101) 및 적어도 하나가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도어(101) 및 신축 장치(104)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들어가거나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로부터 나오고 슬라이딩 도어(101)가 인접한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사이에 배치되고 신축 장치(104)도 인접한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사이에 배치되지만 신축 장치(104)와 슬라이딩 도어(101)가 연속되어 함께 형성되지는 않는다.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구동 롤러(105)에 의해 접지면 지지대(102) 상에서 이동되고, 신축 장치(104)는 도 5와 같이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 및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1)에 의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밖으로 숨겨지거나 당겨진다.
이 실시 예에서,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은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과 가이드 롤러(106)를 포함하고,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은 신축 장치(104)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롤러(106)는 가동부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및 신축 장치(104)는 가이드 롤러(106)를 통해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을 타고 움직일 수 있다.
플랫폼에서 각 철도차량 안전문의 위치는 철도차량의 서로 다른 모델로 인해 다르다. 이 응용 프로그램은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위치를 조정하고 신축 장치(104)를 측면 상자에 삽입하거나 당겨서 두 개의 슬라이딩 도어(101)의 중심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른 종류의 열차 출입문과 승강장 안전문의 슬라이딩 도어 위치 동조 제어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슬라이딩 도어 설계에서 승강장의 방향에 대해 각 안전문 정위치인 중심을 조정할 수 없는 오류를 제거하고, 승강장 안전문 배치를 구현하기 위한 질적 비약을 이룰 수 있다.
실제 사용 과정에서 접지면 지지대(102) 옆에 이동식 사이드박스 주행 트랙도 있다.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는 격리 및 하부지지대 트랙에 하부 플레이트(107)가 제공되고, 하부 플레이트(107)에 제 1 동력 장치(108)가 제공된다.
제 1 동력 장치(108)는 제 1 모터(113) 및 구동 롤러(105)를 포함하고, 제 1 모터(113)는 구동 롤러(105)와 연결되어 구동 롤러(105)를 동작시킨다. 구동 롤러(105)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주행 궤적에 배치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주행 궤적에서 전동함으로써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전체가 트랙에서 떨어지지 않고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은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1) 및 제 2 동력 장치(109)를 포함하며, 제 2 동력 장치(109)는 하부 플레이트(107)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동력 장치(109)는 제 2 모터(114)와, 제 2 롤러로 형성되는 제 2 모터 연결부(115)는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의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1)이 상부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신축 장치(104)는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에서 뿐만 아니라 제 2 신축 장치 레일(111)에서도 작동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안정성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신축 장치(10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제 2 모터(114)의 설정을 통해 신축 장치(104)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전체 신축 장치(104)를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수납할 수 있으며 신축 장치(104)의 일부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수납될 수 있고 이는 인접한 슬라이딩 도어(10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데 편리하다.
한편, 동일한 구조의 제 2 동력 장치(109)가 신축 장치(104)의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111)은 중심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도어와 같은 형태로 양분되는 신축 장치(104)의 좌측 구성 유닛과 우측 구성 유닛에 각각 한세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좌, 우측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신축 장치(104)는 안정된 좌,우측 이동과 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와의 정합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과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1)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신축 장치(104)는 양측의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내부에 완전히 인입, 인출이 가능하고 동작 시 슬라이딩 도어(101)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설치, 유지보수 및 교체에 편리하다.
상황에 따라 신축 장치(104)의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0)과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111)은 한쪽 면에만 설치하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와 같이 추가 동력 장치 또한 하부 플레이트(107)에 설치하여 슬라이딩 도어(101)의 동작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계된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구조의 유지보수 및 교체의 용이성은 승강장의 승강장 안전문 요구 사항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있다. 차량의 증차 또는 추가 운행 시 필요한 특정 위치의 부품만 교체 및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이 설치되는 승강장의 신축 장치(104)를 슬라이딩 도어(101)로 설계 변경 시 차량문 제어장치(DCU : Door Control Unit) 및 모터와 같은 전기적 부품을 추가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추가 개방을 확보할 수 있다.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은 슬라이딩 안전문에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와 신축 장치(104)를 설치하여 슬라이딩 안전문을 다양한 모델의 도어 개방 위치와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축 장치(104)는 동작 시 정해진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인입, 인출할 수 있으며 좌, 우측의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간 간격을 조정하여 다양한 차종에 대응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의 다각도의 예시와 설명을 명시함으로써 정해진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계 요구 조건 및 환경 조건에 따라 변경이 용이하다. 허용된 범위 내에서 관련 분야의 기술을 통해 변경한다. 관계자에 의한 임의적 수정 또는 변경은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의 적용 목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하며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규격서에 첨부된 보호 범위 내에 들어가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 네트워크(200), 그리고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로부터 안전문 식별ID를 수신한 뒤, 각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으로 진입하는 철도의 도어 간격 정보, 그리고 각 철도의 각 객차에 형성된 GPS 위치 정보 및 형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각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의 차량문 제어장치(DCU)는 수신되는 각 객차의 위치 정보 및 형상 정보에 따라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위치를 객차의 위치 정보 상에서 형상 정보에 포함된 도어가 형성되지 않는 위치로 구동 롤러(105)에 연결된 전기적 구동장치인 제 1 모터(113)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내 하부 플레이트(107)에 기술된 구동 롤러(105)에 의하여 이동식 사이드박스(103)가 주행 트랙에서 전동함으로써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의 차량문 제어장치(DCU)는 현재의 이동식 사이드 박스(103)와 객차의 위치 정보 상에서 형상 정보를 맵핑하여 형상 정보에 포함된 도어의 폭 만큼 각 신축 장치(104)의 폭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101 : 슬라이딩 도어
102 : 접지면 지지대
103 : 이동식 사이드박스
104 : 신축 장치
105 : 구동 롤러
106 : 가이드 롤러
107 : 하부 플레이트
108 : 제 1 동력장치
109 : 제 2 동력장치
110 : 제 1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
111 : 제 2 신축 장치 가이드 레일
112 :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113 : 제 1 모터
114 : 제 2 모터
115 : 제 2 모터 연결부

Claims (5)

  1. 승강장 안전문의 폭을 현장 사항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및 신축 장치(104)를 구비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100)에 있어서,
    신축 장치(104)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에 대해 동일한 슬라이딩 도어가 있는 슬라이딩 장치로 좌측 구성 유닛과 우측 구성 유닛으로 구성되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상으로 중첩하여 수축되거나 확장될 수 있고 가까운 이동식 사이드박스(10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이 차종의 역 정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식 사이드박스(103)는,
    구동 롤러에 의해 승강장 트랙에서 이동하여 차량의 출입문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 및 가이드 롤러(106)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은 신축 장치(104)의 상단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5. 제4항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106)는,
    이동식 사이드박스(103)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2)과 가이드 롤러(106)를 통해 신축 장치(104)의 구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KR1020220041524A 2022-04-04 2022-04-04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KR10258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524A KR102589550B1 (ko) 2022-04-04 2022-04-04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524A KR102589550B1 (ko) 2022-04-04 2022-04-04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904A true KR20230142904A (ko) 2023-10-11
KR102589550B1 KR102589550B1 (ko) 2023-10-13

Family

ID=8828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524A KR102589550B1 (ko) 2022-04-04 2022-04-04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5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470U (ko) * 2008-07-31 2010-02-10 손병옥 난간형 스크린도어
KR20130087545A (ko) * 2010-12-03 2013-08-06 도꾜 다이가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JP2013226996A (ja) * 2012-04-27 2013-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ームドア装置
KR101548132B1 (ko) * 2015-01-15 2015-08-28 (주)에이.티.아이 자중분산식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JP2018158668A (ja) * 2017-03-23 2018-10-11 株式会社京三製作所 開口位置可変型ホーム柵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6864941B1 (ja) * 2020-10-19 2021-04-28 株式会社音楽館 扉システム、扉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470U (ko) * 2008-07-31 2010-02-10 손병옥 난간형 스크린도어
KR20130087545A (ko) * 2010-12-03 2013-08-06 도꾜 다이가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JP2013226996A (ja) * 2012-04-27 2013-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ームドア装置
KR101548132B1 (ko) * 2015-01-15 2015-08-28 (주)에이.티.아이 자중분산식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JP2018158668A (ja) * 2017-03-23 2018-10-11 株式会社京三製作所 開口位置可変型ホーム柵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6864941B1 (ja) * 2020-10-19 2021-04-28 株式会社音楽館 扉システム、扉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 10-2007-0088472(2007.08.31)호 "철도차량의 단부출입문 제어시스템(END DOOR CONTROL SYSTEM OF TRAI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 10-2011-0016991(2011.02.25)호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장치(DOOR CONTROL APPARATUS FOR RAILWAY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550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6783B1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CN210598671U (zh) 一种直线电机铁路站台安全门活动门组
US4881469A (en) Operating system for high speed tunnel trains
US4027596A (en) Rapid transit system
CN111980541A (zh) 一种基于错位式结构的高铁站台门及其控制方法
CN109795512A (zh) 一种轨道车辆车顶自动巡检设备及巡检方法
JP2019216512A (ja) 鉄道車両の定位置停止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上装置
KR100342345B1 (ko) 기차안전시스템
CN213083134U (zh) 一种基于错位式结构的高铁站台门
US5156092A (en) Dual track permanent way
CN111547071B (zh) 一种开门位置可调的高铁站台门
EP2474458A1 (en) Automatic platform gates
GB2418221A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KR102589550B1 (ko) 이동식 승강장 안전문
DE2232296A1 (de) Fahrzeugsteuerungsvorrichtung
CN113619613A (zh) 高铁安全门精确复位以兼容多车型的控制方法
CN112172839A (zh) 一种高铁屏蔽门系统
KR200464709Y1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JP2014004962A (ja) ホーム扉装置
CN116537663A (zh) 一种站台屏蔽门的控制系统及方法
TW202012228A (zh) 轉運站中的可變間距月台門或滑動門系統
CN214396723U (zh) 一种高铁站台安全防护系统及用于该系统的伸缩装置
CN113602293A (zh) 一种多开屏蔽门
JPH02124358A (ja) 都市鉄道型の乗客集団輸送装置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