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510A - 액체 투과 패널 - Google Patents

액체 투과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510A
KR20130087510A KR1020137001764A KR20137001764A KR20130087510A KR 20130087510 A KR20130087510 A KR 20130087510A KR 1020137001764 A KR1020137001764 A KR 1020137001764A KR 20137001764 A KR20137001764 A KR 20137001764A KR 20130087510 A KR20130087510 A KR 2013008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ermeable panel
panel
liquid permeable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975B1 (ko
Inventor
다카유키 마츠오
도모코 히라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화장실의 사용에 있어서, 애완동물 시트의 구겨짐이나 젖혀짐에 의한 소변 누설을 막을 수 있는,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의 액체 투과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의 배설물 흡수부(6)를 덮는 액체 투과 패널(3)로서, 상기 패널은, 이 패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 방향(X)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1 ㎝ 이상의 구겨짐이 생기는 데 필요한 하중인, 측면 1 ㎝ 압축 변형 하중이 5 N 이상 20 N 이하이다. 이 액체 투과 패널(3)은, 이 액체 투과 패널(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가지며, 액체가 상기 복수의 구멍부(31)를 통과하여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투과하는 골판지를 재료로 한 액체 투과 패널(3)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액체 투과 패널{LIQUID-PERMEABLE PANEL}
본 발명은, 예컨대 개 등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 이용되는 일회용 타입의 액체 투과 패널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사육하는 동물의 배설물 처리에 있어서는, 실내에 설치할 수 있는 동물용 화장실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이 동물용 화장실로서 시판되는 화장실용 애완동물 시트를 직접 바닥면에 깔거나, 애완동물 시트를 애완동물 시트의 외주를 누르는 외측 프레임에 의해 고정하는 동물용 화장실(특허문헌 1)이나, 바닥이 낮은 트레이형의 접시에, 판형의 소변 흡수 매트와, 이 소변 흡수 매트의 상면 전체를 밀접하게 피복하는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를 수용한 동물용 화장실(특허문헌 2)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물이 직접 올라서는 부분에,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는 저강성의 시트 부재를 이용하는 상기의 동물용 화장실에서는, 개가 기운차게 화장실에 들어가거나, 배설시의 개의 습성에 의해 배설 전에 화장실 안에서 「냄새 맡기」로 불리는 주회 운동을 행하거나 함으로써, 시트 부재에, 「구겨짐」이나 「젖혀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60985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2599호 공보
「구겨짐」이나 「젖혀짐」은 동물의 발에 의한 하중이 생각 외로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 하중은, 예컨대 동물의 체중을 10 ㎏, 발의 크기를 10 ㎠로 가정하면 다리 하나당 가해지는 하중은 2.5 ㎏ 정도가 된다. 이 정도의 하중이 가해지면, 동물이 직접 올라서는 부분에 배치되는 착탈 가능한 일회용 부재로서, 예컨대 액체 투과성의 구멍부를 갖는 패널을 이용한 경우에도, 상기의 「구겨짐」이나 「젖혀짐」의 발생이 염려된다. 또한, 하중으로 구멍부가 찌부러져 사용중에 액체 투과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새롭게 염려된다.
이와 같이, 동물 화장실에서 동물이 직접 올라서는 부분에 배치되는 부재에 대해서, 개가 기운차게 화장실에 들어가는 경우, 또한 배설 전에 화장실 안에서 주회 운동을 행하는 개의 습성과 그 때의 큰 하중을 감안하여, 그 부재 자체의 강도를 고려한다고 하는 과제는, 저강성의 시트 부재를 이용하는 동물 화장실에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물 화장실용에서 동물이 직접 올라서는 부분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 패널로서, 배설물의 액체 투과성을 가지면서 청소가 용이하고 교환 가능한 일회용 타입이며, 시트 부재와 같이 「구겨짐」이나 「젖혀짐」이나 「구멍 찌부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액체 투과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소정의 액체 투과성을 갖는 액체 투과 패널을 이용한 경우, 구멍부에 평행한 패널 평면 방향으로부터의 하중보다, 구멍부에 수직인 패널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이, 상기한 「구겨짐」이나 「젖혀짐」이나 「구멍 찌부러짐」의 방지에 대하여 유효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동물용 화장실에서 동물이 직접 올라서는 부분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 패널로서, 하기로 정의되는,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의 측면 1 ㎝ 압축 변형 하중이 0.35 N 이상 20 N 이하인 액체 투과 패널.
[측면 1 ㎝ 압축 변형 하중: 액체 투과 패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 방향으로부터, 선단이 직경 10 ㎜인 원계 플런저로, 500 ㎜/min의 속도로 압축 하중을 가했을 때에, 액체 투과 패널이 1 ㎝ 변형할 때까지의 하중.]
(2)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은, 이 액체 투과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액체가 상기 복수의 구멍부를 통과하여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투과하는 골판지인 (1) 기재의 액체 투과 패널.
(3) 상기 골판지는, 이 골판지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를 적층하여 얻어지는 블록을, 상기 구멍부의 관통 방향과 수직으로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2) 기재의 액체 투과 패널.
(4)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은, 90% 이상의 액체 투과율을 갖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투과 패널.
(5) 배설물 수용부를 갖는 배설 용기와, 상기 배설물 수용부의 상부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투과 패널을 구비하는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의 구겨짐이나 젖혀짐에 의한 소변 누설을 막으면서, 구멍부가 찌부러져 액체 투과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용의 액체 투과 패널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서, 액체 투과 패널을 제거한 상태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의, 도 1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 이용하는 액체 투과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 이용하는 액체 투과 패널의, 도 5의 액체 투과 패널(3)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하기의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 구조>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을 이용하여,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은, 도 1 및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액 시트(6) 등의 흡수성을 갖는 흡액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용부(21)를 가지며 상면이 개구된 배설 용기(2)와, 이 배설 용기(2)의 상부에 배치되어 배설 용기(2)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바닥면을 갖는 상부 용기(4)와, 이 상부 용기(4)의 바닥면부(41)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 패널(3)을 구비한다.
배설 용기(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정방형상의 바닥면부(22)와, 이 바닥면부의 4변 각각으로부터 바닥면부(2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립하여 배치되는 4개의 측벽부(23)를 구비한다. 배설물 수용부(21)는, 바닥면부(22) 및 4개의 측벽부(23)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배설물 수용부(21)에는, 동물이 배설한 소변 등이 수용된다.
상부 용기(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어 구성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정방형상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지지부(41)와 이 지지부(41)의 4변 각각으로부터 지지부(4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립하여 배치되는 4개의 상부 측벽부(42)를 구비한다.
지지부(4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 구멍(441)을 갖는 격자형으로 구성되고, 소변 등의 액체를 투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441)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관통 구멍(441)의 크기는, 적합한 액체 투과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한 변의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60 ㎜이다.
또한, 지지부(41)에서의 격자형 부분의 폭(W1)(도 3에 도시)은, 적합한 액체 투과성을 확보하고, 지지부(41)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 ㎜∼6 ㎜이다.
또한, 지지부(41)의 두께(D1)(도 4에 도시)는, 지지부(41)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10 ㎜이다.
4개의 상부 측벽부(42) 중 3개의 상부 측벽부(42)의 높이는, 대략 균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상부 측벽부(42) 중 하나의 상부 측벽부(42a)에는, 다른 3개의 상부 측벽부(42)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된 출입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을 사용하는 동물은, 이 출입구부(43)로부터 상부 용기(4)에 출입할 수 있다.
이상의 배설 용기(2) 및 상부 용기(4)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의 여러 가지의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재질 중에서는, 배설물이 재료의 내부에 스며드는 것에 의한 악취 발생의 문제나, 배설물에 의한 부식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ABS 수지, AS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 여러 가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액체 투과 패널(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용기(4)의 지지부(41)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지지부(41) 상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투과 패널(3)은, 지지부(41) 크기의 대략 절반의 크기를 갖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2장의 액체 투과 패널(3)에 의해 지지부(41)의 상면을 덮고 있다. 또한, 액체 투과 패널(3)은, 길이 방향이 상부 용기(4)의 출입구부(43)가 형성된 상부 측벽부(42a)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상의 액체 투과 패널(3)은, 소정의 액체 투과성,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흡수성을 갖는다. 액체 투과 패널(3)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설물 수용부(21)에 흡액 시트(6)를 수용한 상태로, 배설 용기(2)의 상부에 상부 용기(4)를 배치하고, 이 상부 용기(4)의 지지부(41)에 액체 투과 패널(3)을 배치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설물 수용부(21)와 액체 투과 패널(3) 사이에 지지부(41)가 배치되기 때문에, 배설물 수용부(21)와 액체 투과 패널(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5)이 형성된다.
또한, 배설 용기(2) 내부의 배설물 수용부(21)에는, 배설 용기(2)의 바닥부에 수평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 트레이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랍 트레이는 그대로 배설물을 수용하거나, 서랍 트레이의 내부에 흡액 시트(6)를 부설한 상태로 사용된다. 서랍 트레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배설물 수용부(21)의 청소가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서랍 트레이는 배설 용기(2)로부터의 꺼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의 형상은 서랍 트레이를 파지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배설 용기(2) 상부의 개구부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의장성 등을 고려하여, 정방형, 장방형, 사다리꼴, 타원형, 원형, 반원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대형의 흡수성의 패널로부터 액체 투과 패널(3)을 절단하여 가공할 때에 잉여 부재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배설 용기(2) 상부의 개구부 형상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회용 액체 투과 패널>
다음에, 일회용의 액체 투과 패널(3)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체 투과 패널(3)은 전체적으로 평면 패널형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 패널(3)은 배설 용기(2)의 개구부의 대략 전체면을 덮도록 상부 용기(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투과 패널(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 부재[후술의 파판형 시트(32) 및 평판형 시트(33)]가 두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인접하는 시트 부재가 소정 지점에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액체 투과 패널(3)은, 시트 부재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벽부와, 이 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구비하는 개공 패널이다.
액체 투과 패널(3)을 구성하는 패널의 재료는, 배설물을 양호하게 투과하는 것을 이용한다.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종이가 적합하게 이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액체 투과성을 구비하기 위해 두께 방향으로 연속 기포를 갖는 우레탄폼 등이어도 좋다. 또한 우레탄폼이어도 독립 기포를 갖는 것은 액체 투과성이 없어 부적절하다.
액체 투과 패널(3)의 두께는, 패널에 이용하는 재료, 구성하는 패널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지만, 전형적으로는 3 ㎜∼25 ㎜가 바람직하고, 3 ㎜∼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액체 투과 패널(3)이 너무 얇은 경우, 패널의 변형에 의해 배설물의 배설물 수용부(21)로의 투과가 방해되거나, 동물의 중량에 따라서는 패널이 파괴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액체 투과 패널(3)이 너무 두꺼운 경우는, 1회의 배설에 의한 액체 투과 패널(3)의 배설물의 흡수량이 증가하여 교환 사이클이 짧아지거나, 교환용 패널을 보관할 때에 부피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 패널(3)은,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가지며, 복수의 구멍부(31)를 통해 배설물을 액체 투과 패널(3)의 두께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구멍부의 개구부의 형상 및 면적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이러한 복수의 구멍부(31)를 갖는 액체 투과 패널(3)은, 예컨대 스폰지형의 재료와 같이 불규칙한 방향의 구멍부를 갖는 패널과 비교하여, 일회용 액체 투과 패널(3)의 내부에 잔류하는 배설물의 양을 저감하기 쉽고, 동물이 액체 투과 패널(3)을 밟는 것에 의해 동물의 발이 젖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액체 투과 패널(3)이, 액체 투과 패널(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갖는 경우, 복수의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은 10 ㎟/개∼100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개∼60 ㎟/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이 너무 작으면 액체 투과 패널(3)에 부착되는 배설물의 양이 증가하여, 동물의 발이 젖는 것을 억제하기 어렵다.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이 너무 넓으면, 액체 투과 패널(3)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액체 투과 패널(3)을 두껍게 해야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복수의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의 측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개구부의 평균 면적은, 개구부의 사진을 화상 해석하는 방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액체 투과 패널(3)은,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하게 입수 가능하기 때문에, 코루게이트(corrugate) 허니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에 의해, 액체 투과 패널(3)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갖게 된다.
이하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체 투과 패널(3)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액체 투과 패널(3)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체 투과 패널(3)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를 접합한다. 파판형 시트(32)의 파형은, 코루게이터로 불리는 기계로 재료에 부여한다.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를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한 접합 방법 등의 여러 가지의 접합 방법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내수성이 높은 수지계의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를 접합하여 얻은 부재를 복수매 적층하여 접착한다. 이 경우도 내수성이 높은 수지계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를 접합하여 얻은 부재를 적층하여 얻어진 블록을 구멍부(31)의 관통 방향과 평행하게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구멍부(31)의 관통 방향과 수직으로 적절한 두께로 슬라이스하는 것에 의해,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체 투과 패널(3)이 완성된다. 완성된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체 투과 패널(3)은,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로 둘러싸이는 구멍부(31)를 갖는다.
<액체 투과 패널의 압축 강도>
액체 투과 패널(3)의 측면 1 ㎝ 압축 변형 하중(이하 단순히 압축 강도라고도 함)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의 압축 강도 시험 1 기재의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의 압축 강도가 0.35 N 이상 20 N 이하이며, 5 N 이상 15 N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축 강도를 갖는 일회용 액체 투과 패널(3)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서, 시트의 구겨짐이나 젖혀짐에 의한 소변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시에 구멍부의 찌부러짐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압축 강도는, 액체 투과 패널(3)이 갖는 2쌍의 양측면에서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것은, 액체 투과 패널(3)에 구조 유래의 이방성이 있는 경우이며, 예컨대 도 5에서의 적층 방향(X)과, 비적층 방향(Y)에서는 통상 「X 방향의 압축 강도」>「Y 방향의 압축 강도」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한쪽이 상기한 범위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양방향 모두 상기 범위 내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X 방향의 압축 강도」>「Y 방향의 압축 강도」가 되는 경우에는, X 방향이 동물용 화장실에서의 동물의 침입 방향(Z)과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개 등의 동물이 기운차게 화장실에 들어 갈 때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X 방향 또는 Y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높은 쪽의 압축 강도가 10 N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 투과 패널(3)은, 상기와 같은 높은 액체 투과율과,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압축 강도를 양립시켰다.
<액체 투과 패널의 액체 투과율>
액체 투과 패널(3)의 액체 투과율은 90% 이상이 바람직하고, 9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체 투과율의 일회용 액체 투과 패널(3)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배설 후의 액체 투과 패널(3)에의 소변의 부착을 저감할 수 있어, 내부에서의 소변의 확산이나, 그 위를 밟는 것에 의해 동물의 발이 젖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액체 투과 패널(3)의 액체 투과율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액체 투과율 측정 방법〕
미리 중량(A)을 측정한 접시를, 액체 투과 패널(3) 등의 액체 투과율을 측정하는 시료의 하부에 둔다. 인공 소변 약 30 ml를 준비하여 인공 소변의 중량(B)을 측정한다. 시료 위에 내경 60 ㎜의 원통을 두고, 원통 내측에 인공 소변을 고르게 적하한다. 시료로부터 인공 소변의 액적이 낙하하지 않게 된 시점에서 인공 소변이 들어간 접시의 중량(C)를 측정한다. 액체 투과율의 값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또한 인공 소변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조성의 것을 사용한다.
(액체 투과율 계산식)
액체 투과율(%)=(중량(C)-중량(A))÷중량(B)×100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 이용하는 액체 투과 패널에 따른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설물의 대부분을 액체 투과 패널(3)을 통해 배설물 수용부(21)에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설물에 의해 발이 젖는 것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체 투과 패널(3)은 지지부(4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의 흡수나 대변의 막힘에 의해 오염되어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의 청소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액체 투과 패널(3)과 배설물 수용부(21) 사이에는 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량의 배뇨가 있었던 경우라도, 소변은 액체 투과 패널(3)의 구멍부를 통과하여 이면측의 표면에서 확산되고, 그 후에 배설물 흡수 물품(6)으로 흡수된다. 즉, 공간(5)에 의해 소변이 역류하여 구멍부가 오버 플로우하여 액체 투과 패널(3)의 표면측에 남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로써 동물의 발이 젖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서, 배설 용기(2)의 상부에 원하는 형상의 후드를 설치하여도 좋다. 후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액체 투과 패널(3) 표면에서의 배설물의 비산에 의한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 주위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에서, 액체 투과 패널(3)의 파판형 시트(32)는 곡선형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파판형 시트(32)는 지그재그로 절곡된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구멍부(31)의 개구부 형상은, 이들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육각형이어도 좋고, 원형이어도 좋다. 개구부의 크기가 전술한 소정의 범위이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이면, 임의의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에서, 지지부(4)는 격자형의 다공판 대신에, 원형의 개구부가 규칙적으로 설치된 펀칭 플레이트, 평행하게 슬릿이 다수 형성된 다공판, 메시형의 판 등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1)은 개, 고양이, 토끼 등의 애완동물로서 사육되는 동물용 화장실로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실내에서 사육되는 개용 화장실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비교예 1∼3>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종이제 액체 투과 패널 재료, 우레탄, 부직포에 대해서, 압축 강도 시험으로서, 하기의 시험 1, 2를 행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표 1, 표 2에 기재한다.
종이제 액체 투과 패널(실시예 1): 오지 판지(주)로부터 입수 가능한 ONBS 내수(耐水) 원지(평량 180 g/㎡)를 사용한 A 플루트 편측 골판지를 적층시켜 커트하고, 도 5와 같은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로 가공하였다. 구멍부 개구부의 평균 면적은 16 ㎟/개. 이것을 5 ㎝×12 ㎝로 커트하였다.
우레탄(실시예 2∼4): 각각 두께 3 ㎜, 7 ㎜, 10 ㎜의 우레탄폼을 5 ㎝×12 ㎝로 커트하였다.
부직포(비교예 1∼3): 각각, 35 g/㎡ 단위 중량, 70 g/㎡ 단위 중량, 100 g/㎡ 단위 중량의 부직포를 5 ㎝×12 ㎝로 커트하였다.
〔압축 강도 시험 1〕
(1) 시료를 고정하고, 시료의 횡방향(두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시료의 측면에 대하여, 선단이 직경 10 ㎜인 원계 플런저로, 시료가 1 ㎝ 변형할 때까지, 500 ㎜/min의 속도로 하중을 가했다. 실시예 1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하는 12 ㎝의 측면으로부터의 X 방향(적층 방향)과 5 ㎝의 측면으로부터의 Y 방향(비적층 방향)의 양방향에 하중을 가해 측정하고, 그 외 실시예, 비교예에 대해서는, 시료의 길이 5 ㎝의 측변에 하중을 가했다.
(2) 디지털포스게이지로 피크의 하중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료에 대해서, 각 4회 하중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N)을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압축 강도 시험 2〕
(1) 시료를 화장실 표면에 설치하고, 중량 약 3 ㎏의 작은 개로 실제 사용하였다.
(2) 1일간 사용하여, 구겨짐이나 젖혀짐이 전혀 없었던 것의 결과를 ○, 1회 1 ㎝ 이상의 구겨짐이나 젖혀짐이 있었던 것을 △, 2회 이상 1 ㎝ 이상의 구겨짐이나 젖혀짐이 있었던 것을 ×로 하고,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2
표 1, 2로부터, 압축 강도가 대략 0.35 N 이상, 바람직하게는 1 N 이상인 것이, 3 ㎏의 작은 개가 밟는 것에 의한 횡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바람직한 압축 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종이제 액체 투과 패널은, 적층 방향, 비적층 방향 모두, 충분한 압축 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레탄폼에 대해서는, 10 ㎜ 이상의 두께인 경우에 바람직한 압축 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3의 부직포는 애완동물 시트의 재료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횡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압축 강도를 전혀 갖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 2로부터, 실시예 1의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종이제 액체 투과 패널에서는, 적층 방향에 대해서 보다 강한 압축 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 이 액체 투과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예컨대 상부 용기 측벽부(42)의 일부에 벽이 낮은 개의 입구를 설치하여, 개의 진입 방향을 일정하게 규정하고, 개가 밟는 것에 의해 압축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액체 투과 패널(3)의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적층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압축력에 대하여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 5, 실시예 6, 및 비교예 4에서, 인공 소변은 이하의 조성의 것을 이용하였다.
〔인공 소변 조성〕
요소 400 g
염화나트륨 160 g
황산마그네슘(7 수화물) 16 g
염화칼슘(2 수화물) 6 g
이상을 합계 20 L가 되도록 물로 조정한다.
조정액에, 청색 1호를 2 g 가하여 착색한다.
<실시예5, 실시예 6, 및 비교예 4>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에 따라, 하기의 종이제 액체 투과 패널 재료, 부직포성 액체 투과 패널 재료, 및 플라스틱제 드레인 보드에 대해서, 각각 5회씩, 액체 투과율 시험, 발 젖음성 시험(발이 젖기 쉬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행하였다. 액체 투과율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발 젖음성 시험의 결과를 표 4에 각각 기재한다.
(액체 투과 패널 재료)
종이제 액체 투과 패널(실시예 5): 뉴렌 코트(newren coat)를 원지로서 사용, A 플룻 골판지를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로 가공한 것(평량 130 g/㎡), 구멍부 개구부의 평균 면적 16 ㎟/개.
부직포성 액체 투과 패널(실시예 6):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한 탈취지를 원지로서 사용, A 플룻 골판지를 코루게이트 허니컴 구조로 가공한 것(평량 210 g/㎡), 구멍부 개구부의 평균 면적 10.5 ㎟/개, 파라핀계 발수제 4.8% 첨가.
플라스틱제 드레인 보드(비교예 4): 메시 트레이(폴리프로필렌제, 개구부 형상: 세로 6 ㎜×가로 6 ㎜, 횡방향 살 굵기 3.5 ㎜, 종방향 살 굵기 3.5 ㎜)
〔액체 투과율 시험〕
미리 중량(A)을 측정한 접시를, 액체 투과율을 측정하는 시료의 하부에 둔다. 인공 소변 약 30 ml를 준비하여 인공 소변의 중량(B)을 측정한다. 시료 위에 내경 60 ㎜의 원통을 두고, 원통의 내측에 인공 소변을 고르게 적하한다. 시료로부터 인공 소변의 액적이 낙하하지 않게 된 시점에서 인공 소변이 들어 간 접시의 중량(C)을 측정한다. 액체 투과율의 값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액체 투과율 계산식)
액체 투과율(%)=(중량(C)-중량(A))÷중량(B)×100
〔발 젖음성 시험〕
일회용 액체 투과 패널(3)의 재료 위에 내경 60 ㎜의 원통을 두고, 그 내측에 30 ml의 인공 소변을 고르게 적하한다. 인공 소변의 적하 후, 원통을 제거하고, 30분간 방치한다. 10 ㎝×10 ㎝의 여과지(JIS P3801에 규정되는 2종)의 중량(A)을 측정한다. 30분 후, 액체 투과 패널(3)의 재료의 인공 소변을 적하한 지점 위에 10 ㎝×10 ㎝의 여과지를 얹고, 5초간 정치한다. 5초 후, 여과지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중량(B)을 측정한다. 발 젖음성의 시험 결과를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발젖음성 계산식)
발 젖음성(g)=중량(B)-중량(A)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비교예 4로부터, 플라스틱제의 드레인 보드가, 인공 소변을 양호하게 투과하는 것을 표 4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제의 드레인 보드는 발 젖음성 시험에서, 드레인 보드 위에 잔존한 인공 소변이 다량으로 여과지에 부착되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종이나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코루게이트 허니컴 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액체 투과 패널(3)을 이용한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는, 액체 투과 패널(3)이 우수한 액체 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액체 투과 패널(3)을 이용하면, 인공 소변의 대부분이 액체 투과 패널(3)을 투과하고, 액체 투과 패널(3) 위에 약간 잔존하는 인공 소변은 액체 투과 패널(3)에 흡수되기 때문에, 발 젖음성 시험에서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지에는 거의 인공 소변이 부착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 내지 표 4로부터, 코루게이트 허니컴 형상 구조의 종이제 액체 투과 패널은, 액체 투과성이 높고, 압축 강도도 강한 것으로부터,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의 배설물 흡수부를 덮는 액체 투과 패널로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동물용 화장실에서 동물이 직접 올라서는 부분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 패널로서,
    하기에서 정의되는,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의 측면 1 ㎝ 압축 변형 하중이 0.35 N 이상 20 N 이하인 액체 투과 패널.
    [측면 1 ㎝ 압축 변형 하중: 액체 투과 패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 방향으로부터, 선단이 직경 10 ㎜인 원계 플런저로, 500 ㎜/min의 속도로 압축 하중을 가했을 때에, 액체 투과 패널이 1 ㎝ 변형할 때까지의 하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은, 이 액체 투과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액체가 상기 복수의 구멍부를 통과하여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투과하는 골판지인 액체 투과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는, 이 골판지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를 적층하여 얻어지는 블록을, 상기 구멍부의 관통 방향과 수직으로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액체 투과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 패널은 90% 이상의 액체 투과율을 갖는 액체 투과 패널.
  5. 배설물 수용부를 갖는 배설 용기와, 상기 배설물 수용부의 상부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투과 패널을 구비하는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
KR1020137001764A 2010-06-25 2011-06-24 액체 투과 패널 KR101863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5700A JP5752899B2 (ja) 2010-06-25 2010-06-25 液透過パネル
JPJP-P-2010-145700 2010-06-25
PCT/JP2011/064546 WO2011162377A1 (ja) 2010-06-25 2011-06-24 液透過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510A true KR20130087510A (ko) 2013-08-06
KR101863975B1 KR101863975B1 (ko) 2018-07-04

Family

ID=4537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764A KR101863975B1 (ko) 2010-06-25 2011-06-24 액체 투과 패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07381B2 (ko)
EP (1) EP2586295A4 (ko)
JP (1) JP5752899B2 (ko)
KR (1) KR101863975B1 (ko)
CN (1) CN102958353B (ko)
AU (1) AU2011270120A1 (ko)
BR (1) BR112012031788A2 (ko)
MX (1) MX2012015205A (ko)
MY (1) MY161782A (ko)
WO (1) WO2011162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2662A1 (en) * 2008-11-18 2010-05-20 Brandon Kennington Animal toilet
JP5563293B2 (ja) * 2009-12-28 2014-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JP5606810B2 (ja) * 2010-06-25 2014-10-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液透過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
JP6022917B2 (ja) * 2012-12-10 2016-11-09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US9750224B2 (en) * 2013-04-05 2017-09-05 Todd Kupka Pet training apparatus and waste receptacle
JP6173052B2 (ja) 2013-06-06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655132B1 (ja) * 2013-12-27 2015-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部材のカバー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ペット用トイレ
JP6418979B2 (ja) * 2015-03-02 2018-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USD957065S1 (en) * 2017-03-31 2022-07-05 Dry Dog LLC Dog kennel mat
BR202016028791U2 (pt) * 2016-12-08 2018-06-26 Gaspar De Carvalho Fábio Disposição aplicada em banheiro para cachorro com descarga ligado ao esgoto
US11116176B1 (en) 2019-02-06 2021-09-14 Louis La Torre Waste collection pad for collecting bodily waste of a pe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6485A (en) * 1967-09-21 1969-12-30 Stephen Kahanick Cat clawing pad
US3827401A (en) * 1972-10-16 1974-08-06 G Franzl Sanitary receptacle for pets
US5353743A (en) * 1991-11-18 1994-10-11 Walton Robert W Urine collection device for pet animals
JP2593792B2 (ja) * 1993-12-16 1997-03-26 王子建材工業株式会社 競争馬用敷物
JP3609855B2 (ja) * 1994-08-29 2005-01-1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US5465686A (en) * 1994-09-14 1995-11-14 Monetti; Steven A. Collapsible house for pets
US5699754A (en) * 1996-01-31 1997-12-23 Cahajla; Janice Litter box
US5799610A (en) * 1996-03-04 1998-09-01 Poulos; Louis Self-filtering litter box for pets
JP3052759U (ja) * 1998-03-23 1998-10-09 日本ウエイン株式会社 愛玩動物の汚物排泄用シートの滑り止め用ネットと汚物排泄トレー
ES2246936T3 (es) 2000-01-14 2006-03-01 Kao Corporation Estera absorbente para el tratamiento de excrementos.
JP3574066B2 (ja) 2000-11-15 2004-10-06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JP2003164234A (ja) * 2001-11-29 2003-06-10 Kyushu Kooken:Kk 猫用爪研ぎ器
JP2003235389A (ja) * 2002-02-15 2003-08-26 Nagayoshi Sato トイレマットを使用するペット用トイレ
JP2006000044A (ja) * 2004-06-17 2006-01-05 Kazuhiko Sawa ペット用トイレ
NZ542641A (en) * 2005-09-27 2008-06-30 Fmfs Holdings Ltd Toileting device for a domestic animal
AU2007201254B2 (en) * 2006-03-29 2012-04-19 Pup Pee Solutions Pty Ltd Portable Toilet
JP3127391U (ja) * 2006-09-20 2006-11-30 勝 赤木 犬猫ペット用トイレ
JP4467602B2 (ja) * 2007-05-17 2010-05-26 株式会社ヤマヒサ ペット用トイレ
CN201029359Y (zh) * 2007-05-31 2008-03-05 蔡彬 宠物厕所
JP5265890B2 (ja) * 2007-06-29 2013-08-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4829204B2 (ja) 2007-11-15 2011-12-07 花王株式会社 ペットの排泄物処理具
JP5563293B2 (ja) * 2009-12-28 2014-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US20120006275A1 (en) * 2010-07-08 2012-01-12 Karen Brenner KindCat Tidy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62377A1 (ja) 2011-12-29
JP5752899B2 (ja) 2015-07-22
EP2586295A1 (en) 2013-05-01
US9107381B2 (en) 2015-08-18
EP2586295A4 (en) 2017-01-04
MX2012015205A (es) 2013-02-11
CN102958353A (zh) 2013-03-06
JP2012005442A (ja) 2012-01-12
MY161782A (en) 2017-05-15
BR112012031788A2 (pt) 2016-10-04
AU2011270120A1 (en) 2013-01-31
CN102958353B (zh) 2014-12-10
KR101863975B1 (ko) 2018-07-04
US20130098301A1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7510A (ko) 액체 투과 패널
JP5563293B2 (ja)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JP5606810B2 (ja) 液透過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
JP6008537B2 (ja) 犬用システムトイレ
EP2586300A1 (en) System toilet for dogs
US20110139082A1 (en) unique pet mat
JP5752900B2 (ja) 液透過パネル
JP5838064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20110003970U (ko) 배변유도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