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627A -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627A
KR20130086627A KR20137014548A KR20137014548A KR20130086627A KR 20130086627 A KR20130086627 A KR 20130086627A KR 20137014548 A KR20137014548 A KR 20137014548A KR 20137014548 A KR20137014548 A KR 20137014548A KR 20130086627 A KR20130086627 A KR 20130086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contact
contact preventing
ten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082B1 (ko
Inventor
사치코 야고메
아유무 이시카와
카즈키 자이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맞추어지게 할 때에, 작업자의 제 1 단자 금구로의 접촉 방지를 도모한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유닛(20)은 제 1 단자 금구(3)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4)과, 제 1 단자 금구와 제 1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갖는 제 1 커넥터(1)와, 제 1 하우징에 끼워맞추어지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한다. 접촉 방지 하우징에는, 일단이 당해 접촉 방지 하우징의 외주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이 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하여 접촉 방지 하우징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텐션 스프링(6)이 설치되고, 제 2 하우징에는 텐션 스프링(6)과 제 1 하우징 사이에 진입하여, 텐션 스프링을 밀어서 텐션 스프링의 결합을 해제하여, 접촉 방지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진입부(12)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유닛{CONNECTOR UNIT}
본 발명은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단자 금구와, 상기 제 1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 금구와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단자 금구를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부가 형성된 상기 제 1 단자 금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자유로운 접촉 방지 하우징을 갖는 제 1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체로서의 자동차에는, 당해 모터나, 인버터 등의 다종 다양한 전자기기가 탑재된다. 이들 모터나, 인버터를 서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종래부터 여러 커넥터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도 12는 종래의 커넥터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커넥터 유닛(11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형 단자(103)와, 복수의 수형 단자(103)가 부착된 수형 하우징(104)과, 접촉 방지 하우징(105)을 갖는 제 1 커넥터(101)와, 복수의 수형 단자(103)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암형 단자(109)와, 각 암형 단자(109)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부(112)가 설치되고, 수형 하우징(104)에 끼워맞추는 합성 수지제의 암형 하우징(111)을 갖는 제 2 커넥터(10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중의 화살표(Y) 방향은 수형 단자(103)의 길이 방향, 및 접촉 방지 하우징(105)이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X) 방향은 복수의 수형 단자(103), 및 복수의 수용부(112)가 배열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제 1 커넥터(101)는 작업자가 이들 커넥터(101, 102) 끼리를 끼워맞추어지게 할 때에, 수형 단자(103)에 접촉하여 감전되지 않도록, 접촉 방지 하우징(105)이 수형 단자(103)의 노출된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형 단자(103)의 제 2 커넥터(102)측의 선단부에는 이 수형 단자(103)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결합 받이부(1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105)에는 상기 결합 받이부(131)에 결합하고, 이 접촉 방지 하우징(105)이 수형 하우징(104)에 접근하는 방향(화살표(Y)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 아암(15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 아암(151)은 화살표(Y)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결합 받이부(131)로부터 벗어나는 방향과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 아암부(152)와, 상기 아암부(152)의 선단부로부터 화살표(X)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결합 받이부(131)의 제 2 커넥터(101)측에 설치되어, 이 결합 받이부(131)에 결합하는 결합부(1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형 하우징(111)의 수용부(112)에는, 수형 하우징(104)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결합 아암(151)의 결합 받이부(131)로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돌기(1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돌기(113)는, 결합 아암(151)에 맞닿아진 상태에서, 또한, 암형 하우징(111)(제 2 커넥터(102))을 수형 하우징(104)(제 1 커넥터(101))에 근접시키면, 해제돌기(113)가, 이 결합 아암(151)의 아암부(152)를 결합 받이부(131)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휘게 하여, 결합부(153)의 결합 받이부(131)로의 결합을 해제한다. 또한 결합 아암(151)의 결합 받이부(131)로의 결합이 해제되면, 접촉 방지 하우징(105)은 수형 단자(103)에 대하여 슬라이딩 자유롭게 되고, 접촉 방지 하우징(105)이 수형 하우징(104)측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수형 단자(103)가 암형 단자(109) 내에 삽입되어 제 1 커넥터(101)와 제 2 커넥터(102)가 끼워맞추어지게 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일본 특개 2009-301857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 유닛(110)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커넥터 유닛(110)에서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잘못해서 접촉 방지 하우징(105)을 수형 하우징(104)을 향하여 밀어 버렸을 때는, 결합 아암(151)에, 화살표(Y) 방향을 따른 힘이 걸리게 되고, 따라서, 이 결합 아암(151)(결합부(153))이 부러질 우려가 있었다. 결합 아암(151)이 부러져 버림으로써 접촉 방지 하우징(105)이 수형 하우징(104)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수형 단자(103)가 노출되어 버리고, 그 때문에, 작업자가 수형 단자(103)에 접촉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 아암부(152)를 결합 받이부(131)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결합 아암(151)의 결합 받이부(131)로의 결합을 해제하고 있으므로, 해제돌기(113)에 의해, 아암부(152)를 결합 받이부(131)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하여 큰 힘이 필요해, 작업자에게 육체적인 부담을 강요하고 있었다. 또한 아암부(152)를 휘게 하기 위하여, 큰 힘으로 암형 하우징(111)(제 2 커넥터(102))의 해제돌기(113)를 접촉 방지 하우징(105)을 향하여 밀어붙이므로, 해제돌기(113)가 부러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아암부(152)를 결합 받이부(131)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해서는, 이 아암부(152)의 수지 휨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 되어, 열에 노출된 후에서는 크립 현상이 일어나, 결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맞추어지게 할 때에, 작업자의 제 1 단자 금구에의 접촉 방지를 도모한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단자 금구와, 상기 제 1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 금구와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단자 금구를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부가 형성된 상기 제 1 단자 금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자유로운 접촉 방지 하우징을 갖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제 2 단자 금구와, 상기 제 2 단자 금구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끼워맞추는 제 2 하우징을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에는, 일단이 당해 접촉 방지 하우징의 외주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멀어진 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자유단이 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텐션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에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근접하면 상기 텐션 스프링과 상기 제 1 하우징과의 사이에 진입하고, 상기 테이퍼부를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측을 향하여 밀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의 상기 타단과 상기 제 1 하우징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진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의 외주에 부착된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에는,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먼 쪽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 금구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에는, 상기 경사면에 맞닿도록 이 경사면을 향하여 돌출한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텐션 스프링의 타단이, 제 1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 즉, 접촉 방지 하우징이 접촉 방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접촉 방지 하우징을 손가락으로 밀어 버렸을 때에도, 텐션 스프링에 의해, 접촉 방지 하우징의 슬라이딩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제 1 단자 금구가 노출되게 되어, 제 1 단자 금구로의 접촉 방지를 도모한 커넥터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접촉 방지 하우징을 손가락으로 밀어 버렸을 때에도, 텐션 스프링이 휨으로써 접촉 방지 하우징에 이러한 힘을 되밀므로, 종래와 같이, 결합 아암이 부러질 우려가 없어져,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맞추어지게 할 때에, 접촉 방지 하우징을 접촉 방지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진입부가, 텐션 스프링과 제 1 하우징 사이에 진입하여, 테이퍼부를 접촉 방지 하우징측을 향하여 밀어서, 텐션 스프링과 제 1 하우징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접촉 방지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므로, 텐션 스프링의 제 1 하우징에 결합한 타단이,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텐션 스프링과 제 1 하우징과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고, 따라서, 종래보다도, 작은 힘으로(즉, 용이하게) 텐션 스프링과 제 1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기 텐션 스프링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제 1 단자 금구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열하고, 발열한 제 1 단자 금구에 의해, 이 텐션 스프링이 열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종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결합 아암에 비해, 휨이나 비틀림에 의한 열화가 완화되게 되고, 따라서, 장기에 걸쳐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텐션 스프링의 타단과 제 1 하우징과의 결합이 해제된 후, 접촉 방지 하우징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로부터 이탈시켰을(분리시켰을) 때에도, 복귀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접촉 방지 하우징이 제 2 하우징(제 2 커넥터)을 향하여 되밀려, 이 접촉 방지 하우징이 접촉 방지 위치되게 되고, 따라서, 제 1 단자 금구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더한층 확실하게, 제 1 단자 금구로의 접촉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으로서,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접촉 방지 하우징이 제 2 하우징(제 2 커넥터)을 향하여 되돌려짐으로써 이 접촉 방지 하우징이 접촉 방지 위치에 위치되게 되고, 따라서, 구성을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을 구성하는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유닛을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촉 방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a)는 도 1 중의 I-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b)는 (a)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도 4 중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에 제 2 커넥터가 근접되어, 텐션 스프링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b)는 (a)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7은 도 6 중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텐션 스프링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 1 커넥터에 제 2 커넥터가 근접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 중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텐션 스프링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 1 커넥터로부터 제 2 커넥터가 떼어 놓아진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의 (a)는 도 10 중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b)는 (a)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12는 종래의 커넥터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커넥터 유닛(2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단자 금구으로서의 복수의 수형 단자(3)와, 복수의 수형 단자(3)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부(40)가 설치된 제 1 하우징으로서의 수형 하우징(4)과, 수형 단자(3)와 수용부(40) 사이에 설치되고, 수형 단자(3)를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부(5a)가 형성되고, 수형 단자(3)의 길이 방향(화살표(Y)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자유로운 복수의 접촉 방지부(5)와, 각 접촉 방지부(5)와 각 수용부(40) 사이에 부착되는 복수의 실드 부재(8)를 갖는 제 1 커넥터(1)와, 각 수형 단자(3)에 접속되는 제 2 단자 금구로서의 복수의 암형 단자(9)와, 복수의 암형 단자(9)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암형 수용부(11)가 설치되고, 수형 하우징(4)에 근접되어 끼워맞추는 제 2 하우징으로서의 암형 하우징(10)(도 6에 도시함)을 갖는 제 2 커넥터(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도 2에서는, 제 2 커넥터(2)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유닛(20)은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자기기로서의 인버터, 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인버터와 모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들 커넥터(1, 2)끼리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이 인버터를 통하여 모터에 공급된다.
또한 도 1 등에 도시된 화살표(Y) 방향은 각 수형 단자(3)의 길이 방향, 및, 제 2 커넥터(2)가 제 1 커넥터(1)에 진입하는(접근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X) 방향은 제 1 커넥터(1)에 설치된 복수의 수용부(40)가 배열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Z) 방향은 화살표(Y) 방향과 화살표(X) 방향과의 쌍방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형 단자(3)는 도전성의 판금에 타발 가공과 굽힘 가공이 시행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각 수형 단자(3) 각각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 형상으로 형성된 탭(30)과, 상기 탭(30)의 단부에, 화살표(X)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탭(30)을, 예를 들면, 상기 전자기기로서의 인버터에 접속된 기기측 버스바(13)에 부착하는 부착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형 하우징(4)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수용부(40)와, 이들 복수의 수용부(40)를 상기 전자기기로서의 인버터의 케이스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부(40)는 화살표(X)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수용부(40)는,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본체부(42)와, 제 1 본체부(42)의 내측에 설치되고, 전술한 각 탭(30)을 내측에 위치시키고, 각 탭(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통 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통부(43)와, 제 1 본체부(42)에 이어지고, 제 1 본체부(42), 및, 제 1 본체부(42)의 내측에 설치된 내측 통부(43)의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에 설치된 제 2 본체부(4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본체부(42)의 화살표(Y) 방향의 길이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통부(43)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본체부(42)(의 단부)는, 내측 통부(43)보다도,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본체부(4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인버터의 케이스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벽부(45)와,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부(45)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46)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측벽부(46)의 내주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함에 따라, 수형 단자(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내측을 향하여 경사짐) 경사면(46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본체부(44)는 한 쌍의 대향 벽부(45) 중 전자기기인 인버터로부터 먼 쪽의 타방의 대향 벽부(45)에 이어지는 최상벽부(47)와, 최상벽부(47)에 이어지는 한 쌍의 제 2 측벽부(48)에 의해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측벽부(48) 각각은 전술한 한 쌍의 제 1 측벽부(46) 각각에 이어져 있다.
상기 최상벽부(47)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최상벽부(47)의, 타방의 대향 벽부(45)(제 1 본체부(42))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이 최상벽부(47)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결합 받이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 받이부(49)는 텐션 스프링(6)의 후술하는 결합부(63)에 결합한다.
상기 접촉 방지부(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 방지 하우징(51)과, 텐션 스프링(6)과, 한 쌍의 복귀 스프링(7)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51)은 각 수형 단자(3)를 덮도록 설치되고, 또한, 수형 단자(3)의 탭(30)을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 방지 하우징(51)은 구멍부(5a)의 내측에 수형 단자(3)가 삽입통과되면, 수형 단자(3)의 길이 방향(화살표(Y))을 따라 슬라이딩 자유롭다. 또한 접촉 방지 하우징(51)은 각 수형 단자(3)와 수형 하우징(4)(수용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촉 방지 하우징(51)은,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벽부(47)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천판(天板)부(52)와, 천판부(52)와 대향하는 바닥판부(53)와, 수형 하우징(4)에 설치된 한 쌍의 제 2 측벽부(48)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54)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 방지 하우징(51)은, 도시하지 않은 전방 빠짐 방지 수단에 의해, 수형 하우징(4)에 부착된다.
상기 천판부(52)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천판부(52)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제 1 매설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매설부(55)는 천판부(52)의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매설부(55)에는 텐션 스프링(6)의 일단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판부(54) 각각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오버행부(57)와, 제 2 매설부(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측판부(54)의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결된 절결부(5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오버행부(57)는 이 측판부(54)의 화살표(Z)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이 측판부(54)의 화살표(Y)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또한 각 오버행부(57)는 이 천판부(52)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 2 매설부(58)는 한 쌍의 오버행부(5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매설부(58)는, 절결부(59)보다도,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에, 이 절결부(59)와 줄지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매설부(58)는 각 측판부(54)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 2 매설부(58)에는 복귀 스프링(7)의 일단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 텐션 스프링(6)은 도전성의 판금에 펀칭 가공과 굽힘 가공이 시행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텐션 스프링(6)은,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전술한 제 1 매설부(55)에 매설됨으로써, 이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외주에 고정되고, 접촉 방지 하우징(51)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길이 방향(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접촉 방지 하우징(51)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경사진 테이퍼부(62)와, 상기 테이퍼부(62)의 단부(상기 타단)로부터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이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향하여 구부러진 결합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63)와 접촉 방지 하우징(51) 사이는 간극이 생기도록 설치되어 있고, 텐션 스프링(6)은 화살표(Z) 방향으로 탄성 변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63)는 전술한 수형 하우징(4)의 결합 받이부(49)에 결합하여,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화살표(Y) 방향의 수형 단자(3)의 근원(즉, 부착부(31))측으로의 슬라이딩을 규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부(63)가, 전술한 수형 하우징(4)의 결합 받이부(49)에 결합한 상태, 즉,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슬라이딩이 규제된 상태에서, 이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위치되는 위치를 「접촉 방지 위치」라고 한다.
상기 한 쌍의 복귀 스프링(7)은, 도전성의 판금에 펀칭 가공이나 굽힘 가공이 시행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복귀 스프링(7)은,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전술한 제 2 매설부(58)에 매설됨으로써, 이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외주에 고정되어, 접촉 방지 하우징(51)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길이 방향(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이 타단에는, 상기 경사면(46a)에 맞닿도록 이 경사면(46a)(외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맞닿음부(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7)은 화살표(X) 방향으로 탄성 변형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부(72)의 내측에는, 전술한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절결부(59)가 설치되어 있고, 맞닿음부(72)가 내측으로 휘면, 이 맞닿음부(72)는 절결부(59)의 내측으로 통과시켜진다.
상기 실드 부재(8)는 도전성의 판금으로 이루어져, 외측에 전기적인 노이즈가 누설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실드 부재(8)는 수형 하우징(4)과, 접촉 방지부(5) 사이에 설치되어, 수형 하우징(4)의 제 2 본체부(44)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실드 부재(8)는 수형 단자(3)를 덮도록 홈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80)와, 제 2 본체부(44)(수형 하우징(4))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발톱부(8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형 수용부(11)에는, 이 암형 수용부(11)로부터 제 1 커넥터(1)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접촉 방지 하우징(51)과 수형 하우징(4)(제 1 본체부(42)) 사이에 진입하는 진입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진입부(12)는 텐션 스프링(6)과 수형 하우징(4)(수용부(40)) 사이에 진입하고, 테이퍼부(62)를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향하여 밀어서 텐션 스프링(6)의 결합부(63)와 수형 하우징(4)(수용부(40))의 결합을 해제하여,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커넥터 유닛(20)의 제 1 커넥터(1)의 조립 수순에 대하여, 도 4,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수형 하우징(4)의 부착부(41)에 볼트를 돌려 넣어, 이 수형 하우징(4)을 상기 전자기기로서의 인버터의 케이스부에 부착한다. 또한, 수형 하우징(4)의 내측 통부(43)에 통과시켜진 수형 단자(3)의 부착부(31)와 기기측 버스바(13)를 포갠 후, 볼트를 사용하여, 이 수형 단자(3)를 기기측 버스바(13)에 부착한다. 또한, 접촉 방지부(5)의 천판부(52)와, 수형 하우징(4)의 최상벽부(47)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위치시키고, 수형 단자(3)의 탭(30)을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구멍부(5a) 내에 삽입통과시키고,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전방 빠짐 방지 수단에 의해, 수형 하우징(4)에 부착한다. 그러면, 텐션 스프링(6)의 결합부(63)가 결합 받이부(49)에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텐션 스프링(6)은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으로의 슬라이딩을 규제한다. 이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7)의 맞닿음부(72)는 경사면(46a)에 맞닿아져 있다. 이렇게 하여, 수형 단자(3)가 수형 하우징(4)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커넥터(1)가 조립된다.
계속해서,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2)를 끼워맞출 때의 끼워맞춤 방법에 대하여 도 6,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제 1 커넥터(1)에 제 2 커넥터(2)를 근접시킨다. 그러면, 제 2 커넥터(2)의 진입부(12)가 텐션 스프링(6)과 수형 하우징(4)(수용부(40)) 사이에 진입한다. 더 움직이면, 진입부(12)가 텐션 스프링(6)의 테이퍼부(62)에 맞닿은 후, 이 진입부(12)가 테이퍼부(62)를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향하여 밀게 되고, 진입부(12)에 의해,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밀림으로써, 결합부(63)가 수용부(40)(수형 하우징(4))의 내측으로, 이 결합부(63)가 결합 받이부(49)에 결합되지 않는 위치로 위치가 옮겨진다. 그러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텐션 스프링(6)의 결합부(63)와 수형 하우징(4)의 결합 받이부(49)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접촉 방지 하우징(51)은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2)를 움직이면, 접촉 방지부(5)가, 제 2 커넥터(2)에 의해,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밀리게 되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46a)은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함에 따라, 수형 단자(3)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복귀 스프링(7)의 반력(F)이 이 경사면(46a)에 작용하게 되고, 반력(F)이 경사면(46a)에 작용함으로써 반력(F)과 반대 방향이고 크기가 동일한 수직항력(N)이 발생하게 되고, 수직항력(N)이 발생함으로써 수직항력(N)의 분해성분(P)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게 되고, 분해성분(P)을 향하여 힘이 가해짐으로써 맞닿음부(72)(복귀 스프링7)는 분해성분(P), 즉,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또한, 제 2 커넥터(2)를 움직이면, 접촉 방지부(5)가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슬라이딩됨과 아울러, 접촉 방지부(5)가 슬라이딩됨으로써 수형 단자(3)가 노출된다. 더 움직이면, 노출된 수형 단자(3)가 제 2 커넥터(2)의 암형 단자(9)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이들 단자(9, 3)끼리 접속되고, 이들 커넥터(1, 2)끼리 끼워맞추어진다(도 8, 도 9에 도시함). 이때, 복귀 스프링(7)은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또한 이들 커넥터(1, 2)끼리가 끼워맞추어지기 전에, 또한,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즉, 반끼워맞춤 상태)에서,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를 제 1 커넥터(1)로부터 이탈시켰을 때에도, 복귀 스프링(7)은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으므로, 이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을 향하여 되밀리게 되어,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화살표(Y) 방향의 제 2 커넥터(2)측을 향하여 되밀림으로써 텐션 스프링(6)의 결합부(63)가 수형 하우징(4)의 결합 받이부(49)에 결합되게 되고, 접촉 방지 하우징(51)은 접촉 방지 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단자 금구로서의 수형 단자(3)와, 상기 수형 단자(3)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제 1 하우징으로서의 수형 하우징(4)과, 상기 수형 단자(3)와 상기 수형 하우징(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형 단자(3)를 통과시키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수형 단자(3)의 길이 방향(화살표(Y)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자유로운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갖는 제 1 커넥터(1)와, 상기 수형 단자(3)에 접속되는 제 2 단자 금구로서의 암형 단자(9)와, 상기 암형 단자(9)를 수용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4)에 끼워맞추는 암형 하우징(10)을 갖는 제 2 커넥터(2)를 구비한 커넥터 유닛(20)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51)에는, 일단이 당해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외주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길이 방향(화살표(Y) 방향)의 상기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수형 하우징(4)에 결합하여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텐션 스프링(6)이 설치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6)에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접촉 방지 하우징(5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부(62)가 설치되고, 상기 암형 하우징(10)에는, 상기 수형 하우징(4)에 근접하면 상기 텐션 스프링(6)과 상기 수형 하우징(4)의 사이로 진입하고, 상기 테이퍼부(62)를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51)측을 향하여 밀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6)의 상기 타단과 상기 수형 하우징(4)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진입부(1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 스프링(6)의 타단이 수형 하우징(4)에 결합한 상태, 즉,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접촉 방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손가락으로 밀어 버렸을 때에도, 텐션 스프링(6)에 의해,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슬라이딩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수형 단자(3)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수형 단자(3)에의 접촉 방지를 도모한 커넥터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손가락으로 밀어버렸을 때에도, 텐션 스프링(6)이 휨으로써 접촉 방지 하우징(51)에 이러한 힘을 되돌리므로, 종래와 같이, 결합 아암(151)이 부러질 우려가 없게 되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2)를 끼워맞출 때에,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접촉 방지 위치로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진입부(12)가 텐션 스프링(6)과 수형 하우징(4) 사이로 진입하고, 테이퍼부(62)를 접촉 방지 하우징(51)측을 향하여 되밀어서 텐션 스프링(6)과 수형 하우징(4)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접촉 방지 하우징(5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므로, 텐션 스프링(6)의 수형 하우징(4)에 결합한 타단이 수형 하우징(4)의 내측으로 위치가 옮겨짐으로써 텐션 스프링(6)과 수형 하우징(4)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고, 따라서, 종래보다도 작은 힘으로(즉, 용이하게), 텐션 스프링(6)과 수형 하우징(4)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 스프링(6)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수형 단자(3)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열하고, 발열한 수형 단자(3)에 의해, 이 텐션 스프링(6)이 열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종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결합 아암(151)에 비해, 휨이나 비틀림에 의한 열화가 완화되게 되고, 따라서, 장기에 걸쳐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51)의 외주에 부착된 복귀 스프링(7)을 구비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4)의 내주에는, 상기 제 2 커넥터(2)로부터 먼 쪽을 향함에 따라, 상기 수형 단자(3)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6a)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7)에는 상기 경사면(46a)에 맞닿도록 이 경사면(46a)을 향하여 돌출한 맞닿음부(7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텐션 스프링(6)의 타단과 수형 하우징(4)의 결합이 해제된 후,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2)를 제 1 커넥터(1)로부터 이탈시켰을(분리했을) 때에도, 복귀 스프링(7)의 반력에 의해,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암형 하우징(10)(제 2 커넥터(2))을 향하여 되밀려서, 이 접촉 방지 하우징(51)이 접촉 방지 위치에 위치되게 되고, 따라서, 수형 단자(3)가 노출되게 되어, 더한층 확실하게, 수형 단자(3)로의 접촉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7)으로서,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접촉 방지 하우징이 제 2 하우징(제 2 커넥터)을 향하여 되밀림으로써, 이 접촉 방지 하우징이 접촉 방지 위치로 위치되게 되고, 따라서, 구성을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텐션 스프링(6)의 결합부(63)는 수형 하우징(4)의 결합 받이부(49)에 결합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 받이부(49)로서 결합부(63)에 결합 가능한 수형 하우징(4)의 끝면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텐션 스프링(6)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귀 스프링(7)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데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 커넥터 유닛 1 제 1 커넥터
2 제 2 커넥터 3 수형 단자(제 1 단자 금구)
4 수형 하우징(제 1 하우징) 5a 구멍부
6 텐션 스프링 7 복귀 스프링
9 암형 단자(제 2 단자 금구) 10 암형 하우징(제 2 하우징)
12 진입부 49 결합 받이부
51 접촉 방지 하우징 62 테이퍼부
63 결합부(타단) 72 맞닿음부

Claims (3)

  1.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단자 금구와, 상기 제 1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 금구와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단자 금구를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부가 형성된 상기 제 1 단자 금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자유로운 접촉 방지 하우징을 갖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제 2 단자 금구와, 상기 제 2 단자 금구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끼워맞추는 제 2 하우징을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에는 일단이 당해 접촉 방지 하우징의 외주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자유단이 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텐션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에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근접하면 상기 텐션 스프링과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로 진입하고, 상기 테이퍼부를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측을 향하여 밀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의 상기 타단과 상기 제 1 하우징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진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하우징의 외주에 부착된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에는,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먼 쪽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 금구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에는, 상기 경사면에 맞닿도록 이 경사면을 향하여 돌출한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KR1020137014548A 2010-11-17 2011-11-14 커넥터 유닛 KR101389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7033 2010-11-17
JP2010257033A JP5713642B2 (ja) 2010-11-17 2010-11-17 コネクタユニット
PCT/JP2011/076172 WO2012067066A1 (ja) 2010-11-17 2011-11-14 コネクタ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627A true KR20130086627A (ko) 2013-08-02
KR101389082B1 KR101389082B1 (ko) 2014-04-25

Family

ID=4608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548A KR101389082B1 (ko) 2010-11-17 2011-11-14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0995B2 (ko)
EP (1) EP2642606B1 (ko)
JP (1) JP5713642B2 (ko)
KR (1) KR101389082B1 (ko)
CN (1) CN103210547B (ko)
WO (1) WO2012067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3906B2 (ja) * 2010-04-13 2014-06-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端子の接続構造
JP6138560B2 (ja) * 2013-04-15 2017-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DE102013209690B4 (de) 2013-05-24 2023-08-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V-Fingerschutz
US9728915B2 (en) * 2015-05-19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pered-fang electronic connector
JP2017084486A (ja) 2015-10-23 2017-05-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JP6567988B2 (ja) * 2016-02-24 2019-08-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US10116090B2 (en) * 2017-03-17 2018-10-30 Hosiden Corporatio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DE102017106990A1 (de) * 2017-03-31 2018-10-04 HARTING Electronics GmbH Schutzvorrichtung für Steckverbinder
JP6876255B2 (ja) * 2017-11-24 2021-05-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端子、及びコネクタ対
JP6649937B2 (ja) * 2017-12-20 2020-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電線
JP6831862B2 (ja) * 2019-02-08 2021-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140924A (ja) * 2020-03-04 2021-09-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528849B2 (ja) 2020-11-30 2024-08-06 住友電装株式会社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DE102021005717A1 (de) * 2020-11-30 2022-06-0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rster Verbinder, zweiter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7379554B2 (ja) * 2021-02-15 2023-11-14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インディア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カバー構造体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ならびに相手側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533317B2 (ja) 2021-03-31 2024-08-14 住友電装株式会社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26Y2 (ko) * 1985-03-28 1990-01-17
JP2564468Y2 (ja) * 1989-08-24 1998-03-09 日本エー・エム・ピー 株式会社 コネクタ
US5030119A (en) * 1989-09-27 1991-07-09 Safe Care Products, Inc. Safety plug
JP2746012B2 (ja) * 1992-10-21 1998-04-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575583B2 (ja) * 1997-03-25 2004-10-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AUPP845699A0 (en) * 1999-02-03 1999-02-25 Modular Connections Australia Pty Ltd Electrical coupler
JP2001143807A (ja) * 1999-11-17 2001-05-25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用端子金具
US6231358B1 (en) * 2000-01-06 2001-05-15 Angelo Fan Brace Licensing, L.L.C.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having safety features
JP2004047171A (ja) * 2002-07-09 2004-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6786747B1 (en) * 2002-09-11 2004-09-07 Yazaki North America, Inc. Axial adjustable connector shorting assembly
JP2006331971A (ja) * 2005-05-30 2006-12-07 Tyco Electronics Amp Kk 雌端子および雌端子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9301857A (ja) 2008-06-12 2009-12-24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
JP5401972B2 (ja) 2008-12-18 2014-01-29 ソニー株式会社 プラグ、プラグ受け、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082B1 (ko) 2014-04-25
WO2012067066A1 (ja) 2012-05-24
JP2012109118A (ja) 2012-06-07
JP5713642B2 (ja) 2015-05-07
EP2642606A1 (en) 2013-09-25
EP2642606A4 (en) 2014-08-06
EP2642606B1 (en) 2017-01-04
CN103210547A (zh) 2013-07-17
US20130237074A1 (en) 2013-09-12
US9070995B2 (en) 2015-06-30
CN103210547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082B1 (ko) 커넥터 유닛
US8870131B2 (en) Wiring harness fixture
JP5678091B2 (ja) 差し込み接続のための電気コンタクト
US6929489B2 (en) Electric junction box
EP2833484B1 (en)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EP3687004A1 (en) Connector device equipped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JP5754380B2 (ja) コネクタの電線保護部材
JP200715757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1160459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100993105B1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CN110792981B (zh) 电子连接组件、机动车照明装置和用于制造机动车照明装置的方法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WO2010058529A1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396025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5805313B2 (ja) 保護されたダイレクトコンタクトを備えたダイレクトプラグエレメント
WO2015121847A1 (en)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CN105164864A (zh) 连接器
JP2019033001A (ja) 電子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6216433A (ja) コネクタ
KR102475089B1 (ko) 이중 이차 잠금부를 가지는 연결부 조립체
US10270200B2 (en) Load connector for transmitting electrical current, particularly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4764175B2 (ja) 電気接続箱
WO2017026245A1 (ja)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JP3276313B2 (ja) コネクタの嵌脱構造
JP2010177205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両の配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