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937A - 디지털 태코그래프 - Google Patents

디지털 태코그래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937A
KR20130085937A KR1020127017045A KR20127017045A KR20130085937A KR 20130085937 A KR20130085937 A KR 20130085937A KR 1020127017045 A KR1020127017045 A KR 1020127017045A KR 20127017045 A KR20127017045 A KR 20127017045A KR 20130085937 A KR20130085937 A KR 2013008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or
time
remaining
driver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628B1 (ko
Inventor
히로카즈 히시키
사부로 세키
Original Assignee
히시키운소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9527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8593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시키운소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시키운소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10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3/00Combined instruments indicating more than one navigational value, e.g. for aircraft; Combined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of movement, e.g. distance,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07C5/04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로 표시하여, 안전 운전은 물론, 표시장치에서 표시된 내용을 지키는 것에 의해, 운전자가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운전으로 할 수 있는 디지털 태코그래프를 얻는 것이다.
디지털 태코그래프는,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에 부착된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와,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된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이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접속된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에서 산출한 노동상태 데이터로부터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와,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나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되어, 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의해 판정된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 중 적어도 1항목 이상의 판정 결과를 노동기준법에 위반하기 전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태코그래프{DIGITAL TACHOGRAPH}
본 발명은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택시, 버스, 트럭 등의 운송업자의 차량에 부착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태코그래프는 운행 데이터(시간, 거리, 속도의 법정 3 요소)의 전부를 수치로 기록을 얻어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고, 업무 종료후, 운행 데이터를 PC로 판독하고, 운행 관리자가 해석 소프트웨어로 운전의 안전성이나 경제성을 해석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디지털 태코그래프는 운송의 경제성이나 안전성의 관점으로부터 보급, 개량이 진행되고 있지만, 자동차 운전자의 노동시간 그 외의 노동 조건에 대해서는, 그것들이 교통사고의 요인으로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고 방지 대책의 일환으로서, 1989년 2월 「자동차 운전자의 노동시간 등의 개선을 위한 기준(노동성 고시 제 7호)(이하, 노동기준법이라고 칭한다)」가 발령되어, 그 후 1991년·1992년의 개정을 거쳐, 1997년 1월 30일자 노동성 고시 제 4호에 의해 일부 개정이 행해져, 2001년 8월 20일 국토 교통성 대신 고시 제 1365호로서 정해졌다. 본원 출원시에 있어서의 개요를 도 35 및 이하에 나타낸다.
구속시간
구속시간이란, 출고(出庫) 시각부터 귀고(歸庫) 시각까지의 시간이며 휴게시간도 포함하는 것이다. 휴게시간이란, 차속 0㎞/h의 상태가 계속되고 10분 이상인 시간의 합계이다. 구속시간은, 1일 13시간(최대 16시간, 15시간 초과는 주 2회까지), 1개월 293시간(노사협정이 있을 때는, 1년 중 6개월까지는, 1년에 대한 구속시간이 3516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320시간까지 연장가능).
휴식기간
휴식기간이란, 귀고시각부터 다음 출고시각까지의 기간이다. 휴식기간은 계속 8시간 이상이고, 운전자의 주소지에서의 휴식기간이 그 이외의 장소에서의 휴식기간보다 길어지게 되도록 노력한다(1일의 정의는 출고로부터 24시간).
휴일
휴일은 휴식기간 + 24시간이 연속된 시간(어떠한 경우라도 30시간을 밑돌아서는 안 된다)이며, 2주간에 1회는 취득해야만 한다.
운전시간
1일의 운전시간은 9시간(2일간의 평균), 1주간의 운전시간은 44시간(2주간의 평균). 한 번의 연속 운전은 4시간 이내(운전중단에는, 1회 연속 10분 이상, 또한, 합계 30분 이상의 운전 이탈이 필요).
휴일 노동
휴일 노동은 2주간에 1회 이내.
시간 외 노동
시간 외 노동은 1일, 2주간, 1개월 이상 3개월, 1년의 상한을 노사협정으로 체결한다. 한편, 긴급 수송·위험 수송 등의 업무에 대해서는 후생 노동성 노동 기준국장의 규정에 의해 적용 제외.
또, 구속시간·휴식기간의 특례로서 이하의 특례가 존재한다.
휴식기간의 특례
업무의 필요상 어쩔 수 없는 경우에 한정하여, 당분간 1회 4시간 이상의 분할휴식으로 합계 10시간 이상이어도 가능(일정기간에 있어서의 전(前) 근무 횟수의 1/2이 한도).
2인 승무의 특례
2인 승무(베드 포함)의 경우, 최대 구속시간은 1일 20시간까지 연장할 수 있고, 휴식시간은 4시간까지 단축할 수 있다.
격일 근무의 특례
2주간에 3회까지는 24시간이 가능(야간 4시간의 잠이 필요). 단, 2주간에 총 구속시간은 126시간까지. 근무 종료후, 계속 20시간 이상의 휴식기간이 필요.
페리(ferry)에 승선하는 경우의 특례
승선중의 2시간은 구속시간으로서 취급하고, 그 이외는 휴식기간으로서 취급한다. 감산(減算) 후의 휴식기간은, 페리 하선으로부터 근무 종료시까지의 시간의 1/2을 밑돌아서는 안 된다.
특례의 조합에 대해서는, 2인 승무시의 분할휴식과 페리 승선시의 분할휴식은 모두 적용하지 않는다.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자의 노동기준법의 준수 상황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분하지 않고, 그 때문에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서 경고나 차량 정지 처분 또는 사업 정지 처분을 받는 상황에 있다.
특히 2005년도는, JR 서일본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의 예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항공, 해운 사업자에 있어서도 인간의 실수에 의한 중대사고나 트러블이 연발하고, 그 때문에 국토 교통성은 운수(運輸)의 보다 향상된 안전의 확보를 도모하기 위해서 2006년 10월부터 운수 안전 매니지먼트 제도를 개시하고, 또 2009년 3월에 「사업용 자동차 종합 안전 플랜 2009」를 공표하여, 중점 시책의 하나로서 디지털 태코그래프의 활용에 의한 운행 관리의 고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디지털 태코그래프는 운전자의 운전 조작중에 노동기준법의 준수 상황을 감시하고, 노동기준법의 준수를 리얼타임으로 촉진하는 기술적인 구조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자는 노동기준법의 준수에 매우 곤란한 상황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노동기준법은 운전자의 구속시간, 휴식기간,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휴일 노동, 휴일의 취급 등에 대한 조건이나 예외 조건의 시간이나 횟수를 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조건의 시간이나 횟수는 운전자의 나날의 노동에 따라 갱신된다.
그 때문에 운행 관리자가 나날의 운전자의 노동 실적을 확실히 파악하고, 노동기준법을 정확하게 준수하도록 다음날의 운전자의 운행 계획을 입안(立案)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마찬가지로 운전자도 자신의 노동에 대해서 대강은 파악하고 있지만, 나날의 노동의 시간이나 횟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것들에 기초하여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복잡한 계산을 하여, 판단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 5-124454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결점에 감안하여, 운전자에게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로 표시하고, 안전 운전은 물론, 표시장치에서 표시된 내용을 지키는 것에 의해, 운전자가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운전으로 할 수 있는 디지털 태코그래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다른 목적과 신규 특징은 다음의 설명을 첨부 도면과 대조하여 읽으면, 보다 완전하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도면은 오로지 해설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에 부착된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와,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된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이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접속된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에서 산출한 노동상태 데이터로부터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와,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나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되어, 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의해 판정된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 중 적어도 1항목 이상의 판정 결과를 노동기준법에 위반하기 전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디지털 태코그래프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청구항 1에 의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운전 조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출고로부터 교통상태 등으로 순서대로 변화하는 운행 예정을 운전자가 표시장치의 표시로 알 수 있고, 어려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의 계산이 불필요하고, 운전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노동기준법의 준수를 재촉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의해서,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서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해 운행 계획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자에게 운행회사가 계획한 법률에 기초한 운행 계획을 준수하도록 재촉할 수 있다.
(3) 상기 (1)에 의해, 기억장치에 노동상태 데이터와,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운행 관리자가 노동기준법을 준수한 다음번의 운행 지시서를 용이하게 작성 및 그 지시를 할 수 있다.
(4) 청구항 2도 상기 (1)∼(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청구항 3도 상기 (1)∼(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시장치에는 운전시간이나 휴게시간, 구속시간, 다음 출고시각 등의 현재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판정 결과도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한눈에 내일 몇 시에 출고할 수 있는지, 앞으로 몇 시간 구속시간이 남아있는지 등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노동기준법을 준수한 운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6)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접속되어, 운전자 상태를 감시하고, 현재의 운전자 상태를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통지하는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의 확장이나 법개정에 의한 수치의 변경 등도,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를 수정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법개정에 의한 구속시간 등의 수치의 변화나, 관리 항목의 변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7) 청구항 4, 5도 상기 (1)∼(6)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청구항 6도 상기 (1)∼(6)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시장치의 모니터와 음성 표시기에 의해서, 눈과 귀로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을 확실히 알 수 있다.
(9) 청구항 7도 상기 (1)∼(6)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에게 개별적으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노동정보 입력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통상 근무의 상태 천이도(遷移圖)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프로그램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휴식 취득 판정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격일 근무의 휴식 취득 판정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2인 승무의 휴식 취득 판정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휴식 취득에 대한 경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휴일 취득 판정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휴일 취득에 대한 경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구속시간 판정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격일 근무의 구속시간 판정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구속시간 산출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구속시간에 대한 경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운전시간 판정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운전시간에 대한 경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의 표시장치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2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2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2의 형태의 노동정보 입력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3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3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4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4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5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5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6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6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7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7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8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8의 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35는, 자동차 운전기사의 노동시간 개선을 위한 기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개선 기준에 관한 감독 지도 실시 상황(도로 화물 운송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자에 대한 감사(監査) 및 처분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서는, 트럭 운전자의 노동 조건을 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에 있어서,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태코그래프이고,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1)는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2)에 시간, 거리, 속도의 운행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부착된, 운전석(3)의 콘솔 패널(4)에 배치된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와,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에 접속된 노동정보 입력장치(6)와,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에 접속된 상기 콘솔 패널(4)에 부착된 표시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시간, 거리, 속도의 법정 3 요소를 기록하는 기록부(17)와, 상기 기록부(17)로부터 운전시간, 거리, 속도의 법정 3 요소를 취득하고, 구속시간이나 운전시간 등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노동상태 산출장치(8)와, 이 노동상태 산출장치(8)와 제휴한 운송업자의 차량(2)의 운전자의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노동 조건이 기록되어,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8)가 산출한 노동상태 데이터에 의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 판정하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와,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8) 및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와 제휴하고, 운전자의 현재 상태를 감시하는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와, 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서 판정한 결과나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8)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디지털 기록하는, 운반 가능한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스틱, SD메모리 카드, 스마트미디어 등을 이용한 기억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운반 가능한 기억장치(10)는 운전자의 정보가 기억된 각 운전자 전용의 것이고, 이 기억장치(10)를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에 장착하면, 운전자의 운행 데이터의 이력 등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출력된다.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8)는 기록부(17)로부터 운전시간, 거리, 속도의 법정 3 요소를 취득하고, 운전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노동정보 입력장치(6)로부터 취득하여, 구속시간이나 운전시간 등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 및 상태를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로 보내는 장치이다. 노동상태 산출부의 포인트는, 기준으로 되는 시간을 무엇으로 하는가이다. 휴식기간과 구속시간의 관계는, 24시간=휴식기간+구속시간이다. 휴식기간은 근무와 다음 근무의 사이의 시간이며, 구속시간은 시업(始業) 시각부터 종업(終業) 시각까지의 시간이다. 함께 원자료(raw data)로서 입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느 쪽이든 기준으로 되는 시간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도 35의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시간의 개요를 근거로 생각하면, 휴게시간이 기준으로 되는 시간이다.
그 이유는, 구속시간의 결정은, 종업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업으로부터 24시간을 가져서 산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월요일에 오전 8시부터 시업하고, 화요일은 오전 6시부터 시업한 경우는, 화요일의 오전 8시까지가 월요일의 구속시간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화요일의 오전 6시부터 오전 8시까지의 2시간의 구속시간은 월요일의 구속시간으로 포함되게 된다.
결과로서, 시업 시각부터 종업 시각까지의 시간이 구속시간이라고 하는 상기의 정의는 이 경우 성립하지 않는다. 즉, 시업 시각부터 종업 시각까지의 시간이 구속시간이라고 하는 정의는 성립하는 경우도 있으면, 성립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으로 되는 시간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에 대해서 휴식기간의 정의는 항상 성립한다. 이 때문에, 도 35의 노동기준법의 준수를 감시제어 하는 경우에 기준으로 되는 시간은 휴식기간이다. 발명의 디지털 태코그래프는 기준으로 되는 시간으로서 휴식기간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것이고, 포인트는 도 35의 노동기준법을 「운전자 상태의 천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 설계로 이용되고 있는 상태 천이도라는 기술로부터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소프트웨어 설계의 모델링 언어인 UML의 상태 천이도를 이용하여 도 35의 노동기준법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는 도 35의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운전자의 노동상태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35의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노동시간을 상태 천이도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 천이도에 의해 운전자의 노동상태의 천이와 상태의 시간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노동상태를 감시제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6으로부터 도 18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동기준법의 준수 상황을 판정하고, 준수를 촉진하는 경고 메세지를 발표할 수 있게 된다.
이 판정은 노동기준법 판정장치(9)가 행하지만, 그 기본으로 되는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운전자 상태를 파악하고, 감시제어하는 것이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이다.
즉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운전자가 현재, 도 5에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의 어느 상태에 놓여져 있는지를 노동상태 산출장치(8)의 노동상태 산출 데이터로부터 판정하고, 그 노동상태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노동기준법 판정장치(9)에 판정시키는 장치이다.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특례 등을 포함한 판정을 할 수 있다.
상기의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5의 노동기준법을 운전자 상태 천이도의 시점으로부터 파악하는 것에 의해, 문장에서 표현된 노동기준법을 플로우차트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이 플로우차트에 의해 준수된 상황을 판정하는 것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이다. 이하, 도 6에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지만, 이들 설명에 앞서, 발명의 중요한 포인트인 상태 천이도와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설명의 포인트는, 플로우차트로 준수 상황을 판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상태 천이도에 의해 노동기준법을 표현한 것인지, 또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에 대해서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의해 준수 상황을 판정함에도 불구하고, 왜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를 마련한 것인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론을 맨 처음에 말하면, 이러한 이유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동기준법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태 천이도와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를 이용하였다.
노동기준법의 복잡성을 구체적으로 말하면, 1. 휴식기간의 특례 2. 2인 승무의 특례 3. 격일 근무의 특례 4. 페리에 승선하는 특례와, 4개의 특례가 있는 것이다. 이 4개의 특례가 복잡성의 원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하는 휴식 취득 판정의 플로우차트와 같이, 휴식기간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식기간=다음 출고시각―귀고시각」이며, 특례가 없는 케이스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식기간은 「계속 8시간 이상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정」뿐으로 단순하다. 그러나 4개의 특례를 고려하면, 도 7에 더하여, 도 8의 격일 근무의 케이스, 도 9의 2인 승무의 케이스, 또, 각각의 케이스 중에 페리 승선의 케이스, 분할휴식의 케이스의 판정을 포함시키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게 된다.
이와 같이 4개의 특례 때문에 플로우차트는 매우 복잡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들의 플로우차트 전부를 직감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곤란함은, 소박하고, 그리고 솔직한 의문과 불안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이들의 플로우차트는 정말로 바른 것인가라는 의문, 불안이다. 이 의문, 불안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발명의 디지털 태코그래프에 있어서 매우 심각한 것이며, 이것에 해결책을 제공해야만 한다.
이 해결책이 상태 천이도이다. 상태 천이도는, 복잡한 동작을 단순하게, 그러나 정확하게 표현하는 기술이며, 상기와 같이 소프트웨어 설계의 모델링 언어인 UML로 이용되고 있다. 다만, 그 중요성은 단순한 동작시에는 인식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례가 없는 케이스에서는, 가정 휴식과 구속의 2개의 상태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이 2개의 상태를 의식하는 것은 아니다. 가정에서의 휴식은 당연하고, 일상생활에서 가정 휴식이라고 하는 상태를 의식할 일은 없다. 또, 근무시에 대해서는 노동과 휴게라고 하는 2개의 상태가 있고, 노동에 대해서는 게다가 그 중에 작업과 대기라고 하는 2개의 상태가 있고, 게다가 작업에는, 운전, 정지, 그리고 정지로부터 로딩, 언로딩, 페리 승선, 나아가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차·정비·급유의 상태가 있지만, 이것은 모두 구속 상태라고 하는 1개의 상태에 있다. 1개의 상태에 있다는 것은, 인간은 보통 그 상태를 의식하지 않는다. 즉, 운전자 상태는, 운전이나 로딩이나 언로딩, 또 대기나 휴식이라고 하는 상태를 생각할 수는 있어도, 그것들은 모두 구속 상태에 있다고는 의식하지 않는다. 즉 특례가 없는 단순한 케이스에서는, 상태와 그 천이, 즉 상태 천이도라는 것을 생각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특례가 있는 케이스는, 그렇지 않다. 특례의 특징을 가장 단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상태로부터 4시간 이상의 분할휴식 상태, 페리 승선 상태로부터 페리 휴식 상태라는 것과 같이 함께, 구속 상태로부터 휴식 상태로 천이하는 것이다. 이것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상태 천이도이다. 상태 천이도에는, 게다가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점이 있다. 그것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의 휴식, 휴일, 구속, 그리고 구속은 노동과 휴게, 게다가 노동은 작업과 대기라는 것과 같이, 운전자의 모든 상태를 망라하는 것이다. 말할 나위도 없지만, 노동기준법은 운전자의 모든 상태를 망라하고, 그 상태의 시간을 결정하고 있다. 이 노동기준법의 운전자의 모든 상태와 그 시간을 망라하는 것과 상태 천이도의 망라성은 확실히 일치하는 것이다. 이 일치에 착안하여, 상태 천이도에 의해 노동기준법을 표현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5이다. 도 5와 같이 상태 천이도에 의해 표현할 수 있는 동작은, 컴퓨터 사이언스나 소프트웨어 공학, 또 현실에 UML의 모델링 언어가 알려주는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상기의 플로우차트이다. 즉, 도 5의 상태 천이도로부터 플로우차트를 작성하는 것에 의해, 이 플로우차트에 타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플로우차트에 대한 의문, 불안을 해결할 수 있다. 이것이 노동기준법을 상태 천이도에 의해 표현하는 이점이다.
다음에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의 필요성을, 그것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 분할휴식을 예로 설명한다. 예로서 운전자가 도 4에 도시하는 노동정보 입력장치(6)의 분할휴식 개시버튼을 누르고, 분할휴식으로 들어가 충분히 피로도 잡고, 또 4시간이나 지났다고 생각해 분할휴식 종료버튼을 눌러 운전을 시작했다고 한다. 이때에, 노동상태 산출장치(8)는 분할휴식 개시버튼이 눌려진 시각과 분할휴식 종료버튼이 눌려진 시각부터 휴식기간을 산출하고, 그것을 노동기준법 판정장치(9)에 보내서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휴식기간이 3시간 59분이기 때문에 분할휴식으로는 되지 않고, 또 합계의 분할휴식기간도 9시간 59분이기 때문에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고 한다. 이 경우, 불과 1분 부족하지만,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무엇을 위해서 3시간 59분의 휴식을 취했는지 운전자로서도 불만이 남을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이다. 즉, 분할휴식 상태를 감시하여 그 시간을 계측하고, 휴식기간이 노동기준법을 만족하도록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1분 부족하기 때문에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감독기관에 지적되는 것은 현실에 있는 케이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디지털 태코그래프(1)가 운전자의 노동상태를 인식하고, 그 상태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도록 통지하여, 솔직하게 말하면, 운전자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정확하게 노동기준법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5의 상태 천이도에 기초하는 것이다.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도 5의 상태 천이도에 기초한다. 그 때문에 상기의 분할휴식의 특례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응하여 1분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의 필요성의 2번째의 이유는, 도 4의 준수상황 확인버튼을 눌렀을 때에 필요한 것이다. 운전자는 잔여의 구속시간이나 연속 운전시간, 또 상기의 취득해야만 하는 잔여의 분할휴식기간이나 다음 출고 가능 시각을 이후의 일의 예정을 생각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특히 잔여의 분할휴식기간이나 다음 출고 가능 시각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일의 절차나 다음날은 몇 시에 출근하지 않으면 안되는지를 알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다음 출고시각에 대해서는 특례가 없는 케이스에서는 8시간의 가정 휴식이기 때문에 산출은 간단하지만, 특례의 경우는, 예를 들면 페리 승선의 경우는, 8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이고, 또 감산 후의 휴식기간은 페리 하선으로부터 근무 종료시까지의 1/2을 밑돌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이들 계산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페리 승선이라고 하는 상태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필요하다. 다음에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의 판정의 플로우차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전체의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출고시에 판단하는 것이다. 이 이유는 상기의 노동상태 산출장치(8)에서 설명한 것처럼, 노동기준법의 판단은 종업시에 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업시에 행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출고시에 기준으로 되는 휴식기간을 산출하고, 준수 상황을 판정하고, 다음에 휴일시간의 산출과 판정, 다음에 구속시간의 산출과 판정으로 진행되고, 운전중은 운전시간이나 구속시간, 또 정지중의 로딩이나 언로딩 시간의 산출과 판정이라고 하는 플로우로 되어 있다.
이상이 전체의 플로우이다. 다음에 휴식기간, 휴일 취득, 구속시간, 운전시간이라고 하는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4개의 중요한 항목에 관해서 플로우차트에 의한 노동기준법 준수 촉진의 플로우를 설명한다.
휴식기간의 판정 플로우
운전자가 노동정보 입력장치(6)에 의해 출고 정보를 입력하면, 노동상태 산출장치(8)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의 내부 시계(18)로부터 출고시각을 추출한다. 또, 노동상태 산출장치(8)는 기억장치(10)에 전회의 귀고시각을 요구하고, 전회의 귀고시각 및 출고시각으로부터 휴식기간을 산출하여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보내고, 판정시킨다.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 처음에 격일 근무인지, 1인 승무인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격일 근무, 1인 승무가 아닌 경우의 플로우는 후술한다. 다음에, 운전자가 페리에 승선했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페리에 승선하고 있지 않은 경우, 분할휴식을 취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분할휴식을 취득하고 있지 않는 경우, 산출된 휴식기간이 8시간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이 결과, 휴식기간이 8시간 이상이면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휴식기간이 8시간 미만인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휴식기간의 경고 1」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분할휴식을 취득한 경우, 1회 4시간 이상의 분할휴식으로 합계 10시간 이상의 휴식기간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결과, 1회 4시간 이상의 분할휴식으로 합계 10시간 이상의 휴식기간이 있는 경우는,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1회 4시간 이상의 분할휴식으로 합계 10시간 이상의 휴식기간이 없는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휴식기간의 경고 2」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운전자가 페리에 승선한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휴식기간이 계속해서 8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이상 있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계속해서 8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이상인 경우,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계속해서 8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미만인 경우, 「휴식기간의 경고 3」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휴식기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경고의 내용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8시간 이상이 아니기 때문에,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습니다. 귀고 후 이 일을 운행 관리자에게 보고해 주세요. 」 등으로 표시된다.
격일 근무시의 휴식기간의 판정 플로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맨 처음에 페리에 승선했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페리에 승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휴식기간이 계속 20시간 이상인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휴식기간이 계속 20시간 이상인 경우,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휴식기간이 계속 20시간 미만인 경우, 「휴식기간의 경고 5」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휴식기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운전자가 페리에 승선한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운전자의 휴식기간이 20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휴식기간이 20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미만인 경우, 「휴식기간의 경고 6」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 휴식기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휴식기간이 20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이상인 경우, 20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이 페리 하선 후부터 귀고시각까지의 시간의 1/2을 밑돌고 있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20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이 페리 하선 후부터 귀고시각까지의 시간의 1/2을 밑돌고 있는 경우, 「휴식기간의 경고 7」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 20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이 페리 하선 후부터 귀고시각까지의 시간의 1/2을 밑돌지 않은 경우,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휴식기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2인 승차시의 휴식기간의 판정 플로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 처음에 페리에 승선했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페리에 승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휴식기간이 계속 4시간 이상인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휴식기간이 계속 4시간 이상인 경우,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휴식기간이 계속 4시간 미만인 경우, 「휴식기간의 경고 8」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 휴식기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운전자가 페리에 승선한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운전자의 휴식기간이 4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휴식기간이 4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미만인 경우, 「휴식기간의 경고 9」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휴식기간이 20시간부터 페리 휴식기간을 줄인 시간 이상인 경우, 휴식기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휴식기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휴일 취득의 판정 플로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일시간이 30시간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산출된 시간이 30시간 이상인 경우, 휴일 취득으로 판정한다. 산출된 시간이 30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 휴일을 취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다음에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운전자가 2주간에 1회 휴일을 취득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운전자가 2주간에 1회 휴일을 취득하고 있는 경우, 휴일 취득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2주간에 1회 휴일을 취득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휴일 취득의 경고 3」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휴일 취득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한편, 판정일이 전회의 휴일부터 6일째인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휴일 취득의 경고 1」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휴일을 취득하도록 재촉한다. 또, 판정일이 전회의 휴일부터 11일째의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휴일 취득의 경고 2」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휴일을 취득하도록 재촉한다.
경고의 내용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2주간에 1회 휴일을 취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습니다. 귀고 후 이 일을 운행 관리자에게 보고해 주세요. 」 등으로 표시된다.
구속시간의 판정 플로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어제의 구속시간 및 오늘의 구속시간에 대해서 판정한다. 어제의 구속시간이란, 어제의 출고시각부터 24시간의 구속시간이며, 오늘의 구속시간이란, 오늘 출고버튼(24)이 눌려진 시각부터의 구속시간이다. 다만, 이들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동상태에 의해 바뀐다. 그 때문에,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이 산출을 시켜서, 그 산출 데이터를 받고, 그것들을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보내어, 판정시킨다.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맨 처음에 운전자가 격일 근무인지, 1인 승무인지에 대한 판정을 행한다. 한편, 격일 근무의 경우의 구속시간의 판정은 후술한다. 다음에, 1일의 구속시간에 대해서 판정한다. 1인 승무인 경우, 1일의 구속시간이 13시간 미만인 경우, 경고는 표시되지 않고 월(月)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한다. 1일의 구속시간이 13시간 이상인 경우, 「구속시간의 경고 1」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다음에 운전자의 1일의 구속시간이 15시간 미만인지 판정한다. 이 결과, 운전자의 1일의 구속시간이 15시간 미만이면 경고는 표시되지 않고 월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하여, 운전자의 1일의 구속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면, 「구속시간의 경고 2」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15시간 이상의 구속시간이 1주간 중에 며칠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결과, 구속시간이 15시간 이상인 날이 주 2회를 넘고 있으면, 「구속시간의 경고 3」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구속시간이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구속시간이 15시간 이상인 날이 주 2회 이내이면, 구속시간이 16시간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구속시간이 16시간 미만이면 월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하고, 구속시간이 16시간 이상이면, 「구속시간의 경고 4」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구속시간이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1인 승무가 아닌 경우, 1일의 구속시간이 20시간 미만인 경우, 경고는 표시되지 않고 월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한다. 1일의 구속시간이 20시간 이상인 경우, 「구속시간의 경고 9」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구속시간이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다음에 월 단위의 구속시간에 대해서 판정한다. 1개월의 구속시간이 293시간 미만인 경우, 연(年)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한다. 1개월의 구속시간이 293시간 이상인 경우, 「구속시간의 경고 5」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1개월의 구속시간이 320시간 미만인지를 판정한다. 이 결과, 1개월의 구속시간이 320시간 이상이면, 「구속시간의 경고 6」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구속시간이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1개월의 구속시간이 320시간 미만인 경우, 1개월의 구속시간이 293시간 이상 320시간 미만인 달이 연 6회 미만인지를 판정한다. 이 결과, 1개월의 구속시간이 293시간 이상 320시간 미만인 달이 연 6회 미만인 경우,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1개월의 구속시간이 293시간 이상 320시간 미만인 달이 연 6회 이상인 경우, 「구속시간의 경고 7」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연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한다.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다음에 연 단위의 구속시간에 대해서 판정한다. 1년간의 구속시간이 3516시간 미만인 경우,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1년간의 구속시간이 3516시간 이상인 경우는, 「구속시간의 경고 8」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 구속시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경고의 내용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1일당 13시간 미만을 넘었습니다. 향후 구속시간을 2시간 이내로 억제하도록 유의해 주세요」 등으로 표시된다.
귀고시, 운전자는 노동정보 입력장치(6)에 의해 귀고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내부 시계(18)에 의해 귀고시각이 기록된다.
격일 근무시의 구속시간의 판정 플로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 처음에 운전자의 구속시간은 21시간/2역일(曆日) 이내인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구속시간이 21시간/2역일 이내인 경우에는,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2주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한다. 구속시간이 21시간/2역일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표시장치(7)에 「구속시간의 경고 10」을 표시하여, 야간에 잠을 4시간 이상 취득했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야간에 잠을 4시간 이상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 「구속시간의 경고 11」을 표시하여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야간에 잠을 4시간 이상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속시간은 24시간/2역일 이내인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구속시간은 24시간/2역일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구속시간의 경고 12」를 표시하여, 2주간에 3회 이내인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구속시간은 24시간/2역일 이내인 경우는, 「구속시간의 경고 12」를 표시하지 않고, 2주간에 3회 이내인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2주간에 3회 이내인 경우,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주(周) 단위의 판정으로 이행하고, 2주간에 3회 이내가 아닌 경우, 「구속시간의 경고 13」을 표시하여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다음에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2주 단위의 구속시간에 대해서 판정한다. 운전자의 구속시간이 2주간에 126시간 이내인 경우,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구속시간이 2주간에 126시간 이내가 아닌 경우, 「구속시간의 경고 14」를 표시하고 구속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 격일 근무의 구속시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운전시간 및 휴게시간의 판정 플로우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차속(車速) 0㎞/h 이상 및 차속 0㎞/h 상태가 10분 미만인 시간을 연속 운전시간으로 판정하여 기록한다. 연속 운전시간이 3시간 이상으로 되었을 때,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운전시간의 경고 1」을 표시장치(7)에 표시한다. 「운전시간의 경고 1」을 표시한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연속 운전시간이 4시간 미만인지 판정한다. 연속 운전시간이 4시간 이상이었던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운전시간의 경고 2」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운전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연속 운전시간이 4시간 미만인 경우, 2일간의 평균 운전시간이 9시간 미만인지 판정한다. 2일간의 평균 운전시간이 9시간 미만인 경우, 운전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2일간의 평균 운전시간이 9시간 이상인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운전시간의 경고 3」을 표시장치(7)에 표시하고, 1주간의 누계 운전시간이 44시간 미만인지 판정한다. 1주간의 누계 운전시간이 44시간 미만인 경우, 운전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1주간의 누계 운전시간이 44시간 이상인 경우, 「운전시간의 경고 4」를 표시장치(7)에 표시하여 운전시간은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운전시간 및 휴게시간의 판정을 종료한다. 이들의 판정은 순서대로 행해진다.
차의 속도가 계속해서 10분 이상 0㎞/h로 된 경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는 휴게시간으로 판정하고, 0㎞/h의 시간을 기억장치(10)에 기록한다. 1회의 휴게시간이 계속되어 10분 이상이고, 또한, 누계 30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노동정보 입력장치(6)에 의해 휴식의 개시/종료를 입력한 경우, 또는 운전자가 노동정보 입력장치(6)에 의해 페리 승선의 개시/종료를 입력한 경우 등에는 연속 운전시간이 리셋트되어 0시간으로 된다. 다만, 휴식의 개시/종료를 입력한 경우라도 내부 시계(18)의 휴식의 계속 시간이 10분 이상이고, 또한, 누계 30분 이상이 아닌 경우는, 연속 운전시간은 리셋트되지 않는다.
경고의 내용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 운전시간은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4시간 미만을 넘어,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습니다. 귀고 후 이 일을 운행 관리자에게 보고해 주세요」 등으로 표시된다.
상기 노동정보 입력장치(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통상 근무버튼(20), 격일 근무버튼(21), 1인 승무버튼(22), 2인 승무버튼(23), 출고버튼(24), 귀고버튼(25), 분할휴식 개시버튼(26), 분할휴식 종료버튼(27), 휴식 개시버튼(28), 휴식 종료버튼(29), 잠 개시버튼(30), 잠 종료버튼(31), 페리 승선 개시버튼(32), 페리 승선 종료버튼(33), 대기 개시버튼(34), 대기 종료버튼(35), 로딩 개시버튼(36), 로딩 종료버튼(37), 언로딩 개시버튼(38), 언로딩 종료버튼(39), 세차·정비·급유 개시버튼(40), 세차·정비·급유 종료버튼(41), 시간 외 노동버튼(42), 휴일 노동버튼(43), 준수상황 확인버튼(45)이 구비되어 있다.
도 35의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운전자의 노동상태를 운전자가 입력하는 것이 노동정보 입력장치(6)이다. 입력 항목은 상기와 같이 29항목이고, 이것은 도 35의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운수자의 노동상태를 모두 커버하고 있다.
이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의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도 35가 정하는 휴식, 휴일, 구속, 운전 등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검지할 수 있고, 또한, 노동상태 산출장치(8)로부터 산출된 시간 데이터로부터, 휴식기간, 휴일시간, 구속시간, 운전시간을 입수할 수 있고, 그것들이 노동기준법이 정하는 시간·기간을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한 판정을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실행시킬 수 있다.
노동정보 입력장치(6)에 의해 이들의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시계(18)에 의해 그 시각이 출력되어 기억장치(10)에 기록된다. 내부 시계(18)는 GPS 위성 시계로 수시 시각의 보정이 행해진다.
또, 이들의 버튼이 눌려서 상태 천이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 상태는 변화하고,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에 의해서 현재 상태가 노동상태 산출장치(8)에 통지되고, 그 상태에 있어서의 노동상태 데이터가 노동상태 산출장치(8)에 의해서 산출된다. 예를 들면, 페리 승선 개시버튼(32)이 눌러진 경우, 운전자 상태는 「페리 승선」으로 천이하고, 노동상태 산출장치(8)는 페리 승선 개시버튼(32)이 눌려진 시각부터 2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시간을 구속시간으로서 산출한다. 2시간이 경과하면, 「페리 휴식」 상태로 천이하고, 노동상태 산출장치(8)는 페리 승선 종료버튼(33)이 눌려질 때까지의 시간을 분할휴식기간으로서 산출한다. 그 후 페리 승선 종료버튼(33)이 눌려지면, 「구속」 상태로 천이한다.
운전자가 노동정보 입력장치(6)의 조작을 해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 상태는 천이하지 않는다. 이것을 감시제어하는 것이 상태 감시제어 장치(44)이다. 예를 들면, 분할휴식 개시/종료버튼(26, 27) 및 잠 개시/종료버튼(30, 31)이 눌려진 때에, 우선 「휴게」로 상태가 천이하고 휴게시간으로서 산출되어, 휴게시간이 4시간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분할휴식」으로 상태가 천이하고, 분할휴식기간으로서 산출된다.
한편, 상기 노동정보 입력장치(6)는 시뮬레이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시뮬레이션 기능을 ON로 한 상태로, 분할휴식 개시버튼(26)을 누르면, 가령 지금 현재 분할휴식을 취득했을 경우의 향후의 운행 계획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노동상태 산출장치(8),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의해 산출 판정을 행하여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이다. 시뮬레이션 기능의 대상으로서는, 분할휴식만이 아니고, 귀고한 경우, 휴식기간을 취득한 경우, 휴식을 취득한 경우, 분할휴식을 취득할 예정인 운전을 속행하는 경우, 다음 출고시각을 변경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는 노동기준법에 기초한 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운행 계획의 상세를 운전자가 운행 상황에 따라서 변경했다고 해도, 노동기준법을 준수하면서 운행 계획을 무리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디지털 태코그래프(1)는 운전자가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에 기억장치(10)를 장착하면, 노동상태 산출장치(8)는 운전자의 운행 이력을 취득하고, 구속시간 등을 산출하여,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로 출력한다. 운행시에는, 노동상태 산출장치(8)가 작동하고 운행 기록의 데이터를 얻고, 기억장치(10)에 디지털 기록시키는 동시에, 노동상태 산출장치(8)의 작동 및 기억장치(10)의 데이터에 의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가 작동하여 노동 조건의 판정을 행한다. 이들의 판정의 결과는 기록 장치(10)에 기록되고,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으로 정하는 노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가 표시장치(7)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장치(7)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서 산출된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 휴일 노동, 휴일 노동 잔여 등의 판정 결과 중 적어도 1항목이 노동기준법에 위반하기 전에 경고로서 자동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든 항목이 표시되는 모니터(11)와, 전자음이나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 표시기(12)로 구성되어 있다. 노동기준법에 위반하기 전에 경고하는 내용으로서는, 「구속시간 경고 1」이나 「운전시간 경고 1」과 같은 임의로 설정한 시간을 경과했을 때에 경고하는 것이어도 좋고, 일정시간마다 이들의 항목을 표시해도 좋다. 또, 상기 표시장치(7)의 모니터 및 음성 표시기는, 운전자의 노동상태 입력장치(6)의 준수상황 확인버튼(45)의 조작에 의해 리얼타임으로 현재의 준수 상황, 즉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 휴일 노동, 휴일 노동 잔여 등의 판정 결과의 적어도 1항목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자신이 현재 몇 시간 연속으로 운전하고 있고, 앞으로 몇 시간 연속으로 운전할 수 있는 것인지, 휴식기간은 앞으로 몇 시간 취득해야만 하는 것인지, 구속시간은 몇 시간 남아 있는 것인지 등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여기서, 구속시간 잔여로서 표시되는 것은, 1일의 구속시간인 13시간까지 앞으로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15시간까지 앞으로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16시간까지 앞으로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등이다. 휴식기간 잔여로서는, 앞으로 몇 시간 휴식기간을 취득해야만 하는지 등이다. 한편, 분할휴식의 경우로서, 분할휴식 취득 후, 휴게시간 잔여 4시간 미만으로 운전을 재개한 경우, 분할휴식은 계속해서 4시간 이상 취득해야만 하기 때문에(휴식기간의 특례), 휴식기간 잔여는 4시간으로 표시된다. 운전시간 잔여 1일의 운전시간의 상한인 2일 평균으로 9시간으로 앞으로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2주간 평균으로 44시간으로 앞으로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등이다. 연속 운전시간 잔여로서 표시되는 것은, 연속 운전시간의 상한인 4시간까지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등이다. 휴게시간 잔여로서 표시되는 것은, 앞으로 몇 분 휴게를 취득하면 1회의 휴게 취득으로서 산출되는 10분이 되는지 등이다.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로서 표시되는 것은, 연속 운전시간이 리셋트되는 30분의 휴게시간을 취득하려면 앞으로 몇 분 필요한가 등이다.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로서 표시되는 것은, 1일의 시간 외 노동시간의 상한인 2시간까지 앞으로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1개월 혹은 1년의 시간 외 노동시간의 상한까지 앞으로 몇 시간에 도달하는지 등이다. 휴일 노동 잔여로서 표시되는 것은, 앞으로 몇 회 휴일 노동을 할 수 있는가 등이다. 이들의 항목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서 운전자는 용이하게 자기의 노동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노동기준법 준수를 촉진할 수 있다.
구속시간, 휴식기간,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휴게시간, 누적 휴게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및 이들의 잔여시간은 현재의 정보가 리얼타임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표시 방법으로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시간, 휴식기간,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휴게시간, 누적 휴게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에 관해서는 카운트업 방식으로 표시하고, 잔여시간에 관해서는 규정의 시간부터 카운트다운 방식으로 잔여를 표시하는 방법이나, 잔여시간을 도 19의 다음 출고 가능 시각과 같이 구체적인 시각으로 표시하거나 「○시 ○분까지 귀고해 주세요」, 「○시 ○분까지 휴식기간을 취득해 주세요」, 「구속시간의 한도는 ○시 ○분까지입니다」, 「○시 ○분까지 휴식을 ○분 이상 취득하고, 운전을 중단해 주세요」, 「○시 ○분까지 연속 운전 가능합니다」 등의 표시를 하는 것도 좋다. 또, 이들 시각의 설명, 예를 들면, 구속시간의 한도에 도달하는 시각인 것, 연속 운전시간의 한도에 도달하는 시각인 것, 연속 운전시간이 리셋트되는 시각인 것 등의 설명을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연속 운전시간이 3시간을 초과했습니다. 58분 이내(10시 18분까지)에 계속해서 휴식을 10분 이상 취득하고, 운전을 중단해 주세요. 10시 18분에 연속 운전시간의 상한인 4시간에 도달합니다. 연속 운전시간은 1회 연속 10분 이상, 또한, 합계 30분 이상의 휴게시간을 취득하는 것으로 리셋트됩니다.」 등이다. 이 경우, 그 경고 내용이 해소될 때까지 계속해서 표시하고, 잔여시간의 표시(상술의 예에서는 58분)는 리얼타임으로 감소하는 것이어도, 그 경고 내용이 해소될 때까지 소정 시간 마다(예를 들면 30분 마다)로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표시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고, 노동기준법에 규정된 기준에 위반하지 않는 것 같은 경고나 표시이면 좋다. 한편, 이와 같이 노동시간, 잔여시간, 시각, 시각의 설명 등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운전자가 노동기준법의 지식을 가지지 않은 경우라도, 노동기준법을 준수할 수 있다.
휴식 개시버튼(28) 등의 운전자 상태가 천이하는 버튼을 누른 경우, 혹은 휴식 개시버튼(28)을 누르지 않아도 10분 이상 0㎞/h의 상태가 계속된 경우에는 상태가 천이하여 휴게시간이나 휴식기간이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확실히 휴게나 휴식을 취득할 수 있다. 또, 다음 출고시각도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현재 귀고한 경우에는, 몇 시부터 시업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준수상황 확인버튼(45)을 누르면, 다음 출고시각 등의 현재의 운전자 상태, 운전자 정보가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 표시하는 정보를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기억장치(10)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의 기억장치 접속부(15)에 접속되고, 이들의 판정 결과 및 법정 3 요소(시간, 속도, 거리)를 순서대로 기록한다.
귀고후 기억장치(10)를 제거하고, 사무소에 있어서 운행 관리자는 운송업자의 차량(2)의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운행 관리자는 노동기준법을 준수한 다음번의 운행 지시서를 작성하고, 그 지시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태코그래프(1)는 운전자가 기억장치(10)를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에 부착하여 운전하는 것에 의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구속시간, 휴식기간의 확보, 운전시간의 한도 등이 표시장치(7)에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이 때문에, 출고후의 교통 정체 등으로 순서대로 변화하는 운행 예정을 운전자가 표시장치(7)에 의해 알 수 있고,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의 계산이 불필요하고, 운전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노동기준법을 지킨 운전을 시킬 수 있다.
한편,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는 운전자 상태를 감시하고, 운전자 상태를 노동상태 산출장치(8)나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보낼 뿐만 아니라,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 스스로가 분할휴식기간이나 페리 휴식기간 등의 노동 특례 데이터를 작성하여,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그 특례 데이터를 보내도 좋다. 이와 같이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가 특례 등의 수치 데이터를 통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법개정 등에 의해 관리 항목의 증감이나 관리값의 변경 등이 있던 경우라도,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를 수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형태]
다음에, 도 20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들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2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노동정보 입력장치(6A)에 표시장치(7A)의 모니터(11)를 마련하는 동시에,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 및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를 내장한 노동상태 산출장치(8A)를 이용한 디지털 태코그래프(5A)로 한 점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디지털 태코그래프(1A)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3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노동상태 산출장치(8)에 타이머(19)를 제휴시켜, 노동상태 데이터를 5분∼15분 정도의 소정 시간마다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소정 시간마다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점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디지털 태코그래프(1B)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타이머(19)를 내부 시계(18)와 별개로 마련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내부 시계(18)에 타이머(19)의 기능을 탑재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4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기존의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5B)에, 소프트 접속부(16)를 마련하고 노동상태 산출장치(8) 및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를 외부 부착 접속한 점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디지털 태코그래프(1C)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태코그래프에 부착하여 운전자에게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운전을 시킬 수 있는 디지털 태코그래프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5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운행 관리자가 운전자마다 노동기준법에 정해진 범위내에서 노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A)로 한 점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디지털 태코그래프(1D)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사고가 많은 운전자에 대해서는, 연속 운전시간의 상한을 2시간으로 설정하는 등 개별의 운행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6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무선통신 네트워크(13)를 통하여 기억장치(10A)로서의 네트워크 서버(14)를 마련한 점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디지털 태코그래프(1E)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노동정보 입력장치(6)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보를 기억장치(10A)에 송신하면, 운전자의 운행 이력이 기억장치(10A)로부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로 송신된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운전자의 정보는 노동정보 입력장치(6)로부터 입력하는 방법으로 설명했지만, 운전자 정보만이 기록된 ID카드의 사용, 비밀번호, 지문 인증, 그 외 생체 인증 등으로 운전자를 식별해도 좋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7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노동상태 산출장치(8)로부터 운전자 상태를 직접 표시장치(7)에 보내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점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디지털 태코그래프(1F)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나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를 통하지 않고 운전자 상태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 운전시간 등의 표시를 타임 래그(time lag)없이 행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8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를 이용하지 않고 노동상태의 산출 및 판정을 행하는 점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디지털 태코그래프(1G)로 해도 누적 시간 등의 단순한 산출 데이터로부터 운전자의 노동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노동상태 산출장치(8)나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9)에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44) 상태 감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태코그래프로 하면,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의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7)로서 모니터(11) 및 음성 표시기(12)를 이용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니터(11)와 음성 표시기(12) 중 어느 한쪽만을 이용한 표시장치(7)로 해도 좋다. 또,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의 모든 항목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도 좋고, 1개의 항목만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자동으로 표시되는 항목은 구속시간 잔여, 운전자가 준수상황 확인버튼(45)을 눌렀을 때에는 연속 운전시간 잔여를 표시하는 등, 다른 항목을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노동정보 입력장치(6)의 준수상황 확인버튼(45)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들의 항목을 표시했지만, 노동정보 입력장치(6)와는 별도로 이들의 항목을 표시하는 리모콘이나 조작 패널 등을 이용해도 좋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본원 출원시의 자동차 운전자의 노동시간 등의 개선을 위한 기준에 기초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원 발명은 이 기준이 개정된 경우에는 새로운 기준에 기초하여 노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고, 트럭뿐만이 아니고, 버스, 택시 등의 차량에 이용할 수도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버스나 트럭, 택시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의 제조 산업에서 이용된다.
1, 1A, 1B, 1C, 1D, 1E, 1F, 1G : 디지털 태코그래프
2 :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
3 : 운전석            4 : 콘솔 패널
5, 5A, 5B :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
6, 6A : 노동정보 입력장치     7, 7A : 표시장치
8, 8A : 노동상태 산출장치   9, 9A :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
10, 10A : 기억장치       11 : 모니터
12 : 음성 표시기         13 : 무선통신 네트워크
14 : 네트워크 서버     15 : 기억장치 접속부
16 : 소프트 접속부        17 : 기록부
18 : 내부 시계          19 : 타이머
20 : 통상 근무버튼       21 : 격일 근무버튼
22 : 1인 승무버튼        23 : 2인 승무버튼
24 : 출고버튼           25 : 귀고버튼
26 : 분할휴식 개시버튼      27 : 분할휴식 종료버튼
28 : 휴식 개시버튼         29 : 휴식 종료버튼
30 : 잠 개시버튼         31 : 잠 종료버튼
32 : 페리 승선 개시버튼     33 : 페리 승선 종료버튼
34 : 대기 개시버튼         35 : 대기 종료버튼
36 : 로딩 개시버튼     37 : 로딩 종료버튼
38 : 언로딩 개시버튼         39 : 언로딩 종료버튼
40 : 세차·정비·급유 개시버튼 41 : 세차·정비·급유 종료버튼
42 : 시간 외 노동버튼        43 : 휴일 노동버튼
44 :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      45 : 준수상황 확인버튼

Claims (8)

  1.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에 부착된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와,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된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이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접속된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에서 산출한 노동상태 데이터로부터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와,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나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되어, 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의해 판정된 구속시간 잔여를 포함하는 판정 결과를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2.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에 부착된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와,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된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이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접속된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에서 산출한 노동상태 데이터로부터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와,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나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되어, 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의해 판정된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 휴일 취득, 휴일 취득의 기한 중 적어도 1항목 이상의 판정 결과를 노동기준법에 위반하기 전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3.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에 부착된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와,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된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이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접속된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에서 산출한 노동상태 데이터로부터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와,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접속되어, 운전자 상태를 감시하고, 현재의 운전자 상태를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통지하는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와,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나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되어, 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의해 판정된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 휴일 취득, 휴일 취득의 기한 중 적어도 1항목 이상의 판정 결과를 노동기준법에 위반하기 전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4. 태코그래프의 설치가 의무화된 운송업자의 차량에 부착된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와, 이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된 노동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이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접속된 운전자의 노동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노동정보 입력장치와,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에 접속된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에서 산출한 노동상태 데이터로부터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 조건이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와,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와 접속되어, 운전자 상태를 감시하고, 현재의 운전자 상태를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통지하는 노동상태 감시제어장치와,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나 상기 노동상태 산출장치의 노동상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디지털 태코그래프 본체에 접속되어, 이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에 의해 판정된 구속시간, 구속시간 잔여, 휴식기간, 휴식기간 잔여, 운전시간, 운전시간 잔여, 연속 운전시간, 연속 운전시간 잔여, 휴게시간, 휴게시간 잔여, 누적 휴게시간, 운전중단에 필요한 휴게시간 잔여, 시간 외 노동시간, 시간 외 노동시간 잔여 중 적어도 1항목 이상의 판정 결과를 노동기준법에 위반하기 전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의 산출은 순서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의 노동기준법에서 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의 산출은 소정 시간마다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화면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와, 전자음이나 음성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음성 표시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동기준법 준수 판정장치는, 운송업자의 차량 운전자마다 노동기준법에서 정해진 범위내에서 노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태코그래프.
KR1020127017045A 2010-06-02 2010-12-14 디지털 태코그래프 KR101839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6448A JP4652477B1 (ja) 2010-06-02 2010-06-02 デジタルタコグラフ
JPJP-P-2010-126448 2010-06-02
PCT/JP2010/007261 WO2011151870A1 (ja) 2010-06-02 2010-12-14 デジタルタコグラ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937A true KR20130085937A (ko) 2013-07-30
KR101839628B1 KR101839628B1 (ko) 2018-03-16

Family

ID=4395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045A KR101839628B1 (ko) 2010-06-02 2010-12-14 디지털 태코그래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233081A1 (ko)
EP (1) EP2579219A4 (ko)
JP (1) JP4652477B1 (ko)
KR (1) KR101839628B1 (ko)
CN (1) CN102652324A (ko)
AU (1) AU2010354662A1 (ko)
CA (1) CA2782195A1 (ko)
SG (1) SG181846A1 (ko)
WO (1) WO2011151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1710A1 (de) * 2008-12-12 2010-06-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ensorvorrichtung und Sensorvorrichtung
DE102011015264A1 (de) * 2010-12-20 2012-06-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ordinformationssystem für Fahrzeuge
JP5892503B2 (ja) * 2011-04-14 2016-03-23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アルコール測定催告装置
SE535765C2 (sv) * 2011-04-20 2012-12-11 Scania Cv Ab Fordon med ett säkerhetssystem med prediktion av förartrötthet
US20140380494A1 (en) * 2011-10-18 2014-12-25 Xlerate Technologies Limited Driver related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JP6049249B2 (ja) * 2011-11-17 2016-12-21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休憩時間記録装置及びタクシーメータ
SE536657C2 (sv) * 2012-09-20 2014-05-06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effektuering av byte av föraraktivitet i färdskrivare hos fordon
JP2014089555A (ja) * 2012-10-30 2014-05-15 Micware Co Ltd 車載装置、危険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41389A1 (ko) * 2013-09-23 2015-03-26 배문준 위험물 관리를 위한 차량 관제 시스템
WO2015079776A1 (ja) * 2013-11-28 2015-06-04 菱木運送株式会社 労働状態管理装置及び労働状態管理システム
JP5675010B1 (ja) * 2013-11-28 2015-02-25 菱木運送株式会社 労働状態管理装置及び労働状態管理システム
JP6415125B2 (ja) * 2014-06-18 2018-10-31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運行管理システム、車載器及び運行管理装置
JP6946003B2 (ja) * 2017-01-04 2021-10-06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車載機
US9931980B1 (en) * 2017-06-19 2018-04-03 Christopher John Albert Voice message warning device for a driver of a motor vehicle
EP3534340A1 (en) * 2018-03-02 2019-09-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ff-duty times of a driver
JP7428236B2 (ja) * 2020-03-05 2024-02-06 日本電気株式会社 時間管理システム、時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9968A (ja) * 1988-10-20 1990-04-23 Kirin Brewery Co Ltd 固定層型バイオリアクタの培地供給方法
DE4315833A1 (de) * 1993-05-12 1994-11-17 Mannesmann Kienzle Gmbh Fahrtschreiber für Kraftfahrzeuge
DE19610161C2 (de) * 1996-03-15 1998-01-22 Mannesmann Vdo Ag Datenübertragungs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bestehend aus einem Impulsgeber und einem Kontrollgerät, sowie Impulsgeber für das Kontrollgerät
US6317668B1 (en) * 1999-06-10 2001-11-13 Qualcomm Incorporated Paperless log system and method
JP2001344628A (ja) * 2000-06-01 2001-12-14 Np System Kaihatsu:Kk 自動車運転者の労働時間解析集計管理システム。
GB2372585B (en) * 2001-02-22 2004-03-24 Michael William Rosier Commercial vehicle driving hours and break time
GB2416421B (en) * 2004-07-20 2008-09-10 Francis John Steele The universal satellite key (USK)
US7117075B1 (en) * 2005-08-15 2006-10-03 Report On Board Llc Driver activity and vehicle operation logging and reporting
CN100493453C (zh) * 2007-01-23 2009-06-03 武汉理工大学 基于驾驶模拟器的驾驶员疲劳状态分析实验系统
CN201111172Y (zh) * 2007-11-06 2008-09-03 南京安瑞通科技有限公司 汽车驾驶安全限时装置
CN101224113B (zh) * 2008-02-04 2012-02-29 电子科技大学 机动车驾驶员状态监控方法及系统
JP4307513B1 (ja) * 2008-09-05 2009-08-05 裕二 米沢 ドライバ作業記録作成方法、運行管理方法、運行管理装置、および、運行管理プログラム
JP4546577B1 (ja) * 2009-12-25 2010-09-15 菱木運送株式会社 デジタルタコグラ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2324A (zh) 2012-08-29
WO2011151870A1 (ja) 2011-12-08
AU2010354662A1 (en) 2012-07-12
SG181846A1 (en) 2012-07-30
EP2579219A4 (en) 2015-04-15
KR101839628B1 (ko) 2018-03-16
CA2782195A1 (en) 2011-12-08
JP4652477B1 (ja) 2011-03-16
EP2579219A1 (en) 2013-04-10
JP2011253336A (ja) 2011-12-15
US20120233081A1 (en)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5937A (ko) 디지털 태코그래프
JP4546577B1 (ja) デジタルタコグラフ
Li et al. A hybrid human and organisational analysis method for railway accidents based on STAMP-HFACS and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Ouyang et al. STAMP-based analysis on the railway accident and accident spreading: Taking the China–Jiaoji railway accident for example
US6807481B1 (en) Computerized log and compliance system for truck drivers
JP6710356B2 (ja) 労働状態管理装置、労働状態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2345607C (en) Paperless log system and method
US6526341B1 (en) Paperless log system and method
JP4685964B1 (ja) 運行管理装置
Fourie et al.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P4708500B1 (ja) 運行管理方法
Sam et al. Public bus passenger safety evaluations in Ghana: A phenomenological constructivist exploration
Burgess-Limerick Human-systems integration for the safe implementation of automation
JP4642923B1 (ja) デジタルタコグラフ
Carter Mine Safety: Working within the system
Evans-Davis Pilot Fatigue: Unresponsive Federal Aviation Regulations and Increasing Cockpit Technology Threaten to Rock the Nation's Pilots to Sleep and Compromise Consumer Safety
Anderson An Examination of Commercial Motor Vehicle Hours of Service Safety Regulation
Hernandez et al. Confounding Factors of Commercial Motor Vehicles in Safety Critical Events
Sherry et al. Hours of Service Regulations in the US Railroad Industry: Time for a Change
Stottok Challenges for team play in railway telematics: a human-computer interaction study
VAN FLEETS MANAGING THE ROAD RISK OF VAN FLEETS
Reinach et al.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et of Human Factors Functional Design Guidelines for Remote Control Locomotive Systems
Richardson FESTA. D2. 5. Planning and running a field operational test: FOT implementation plan
TRANSPORTATION et al. OVERSIGHT OF MOTOR CARRIER SAFETY EFF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