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894A -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894A
KR20130085894A KR1020120007627A KR20120007627A KR20130085894A KR 20130085894 A KR20130085894 A KR 20130085894A KR 1020120007627 A KR1020120007627 A KR 1020120007627A KR 20120007627 A KR20120007627 A KR 20120007627A KR 20130085894 A KR20130085894 A KR 2013008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adhesive
resin
composition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부
박근식
최문규
허준석
Original Assignee
최명부
박근식
최문규
허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부, 박근식, 최문규, 허준석 filed Critical 최명부
Priority to KR102012000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894A/ko
Publication of KR2013008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공정>
옻진액을 산화시켜 옻 독성을 제거 하고 건조가 잘 되게 하는 공정
<제 2공정>
옻진액을 수지 접착제로 제조 하는 방법
<제 3공정>
제 2공정의 접착제를 이용한 코팅 방법
상기나 같이 제조된 옻진액을 이용한 새로운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에 코팅하였을 때 기존 코팅제에서 찾아볼 수 없는 차별화된 새로운 코팅제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색인어>
옻진액. 옻수지접착제

Description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The method manufacture sap of the lacquer tree resin in uses resin adhesive & in uses new coting a dose}
본 발명은 옻진액인 수액을 이용하여 접착력이 우수하고 실이나 밸트 등에 코팅했을 때 질기고 마찰력이 우수한 새로운 코팅제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옻수액을 이용하여 새로운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에 코팅하거나 밸트 제조 시 사용할 경우 질기고 마찰력이 우수한 기능성 실 또는 밸트 및 로프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옻은 우리조상들이 수천년전부터 생활에 지혜롭게 사용하여 왔다 옻은 약성과 독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독특한 식물이다
근래에 와서는 옻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옻은 향균성 소취성 항균성 방충성 방부성 항암성이 우수한 것이 입증되고 있다 옻나무 수피에서 채취되는 수액인 칠액은 식물의 생리상 일종의 분비물로써 금방 채취한 칠액 생옻은 회백색의 유상의 액으로 단맛과 떫은 맛이 나며 공기와 접촉하면 갈색으로 변한다
칠액의 주성분은 옻산 즉 우루시올은 공기중의 산소와 접촉되면 효소반응에 의해 견고하게 굳어지면서 다른 도료와는 특이하게 3차원 구조의 고분자의 훌륭한 도막을 형성하여 옛날 붙칠로 이용하여 왔다
옻의 주성분은 폴리페놀 유도체인 우루시올이며 처음에는 무색투명하거나 공기에 접촉하면 산화요소의 작용으로 검게 변하면서 도막을 이루는 물질로 화학식 C21H34O2이며 점성이 있는 무색액체이고 끓는점은 210∼222℃(0.4∼0.6mm Hg)이다 공기중에서는 검게변하며 진득하게 되어 응고한다
1종류의 화합물이 아니라 2가페놀 혼합물이며 주요성분인 우루시올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우루시올의 구조식에서곁사슬 R은 (CH2)14CH3(CH2)7CH(CH2)6CH2.(CH2)CH=CHCH2CHCH=CH(CH2)CH3.(CH2)7CH=CHCH2CH=CHCH2CH=CH2 로 표시되는 4종류의 혼합물로 알려져 있다.
옻나무로부터 채취한 생칠의 지질성분인 우루시올은 우선 옻나무 수액중의 탄수소효소인 라카아제에 의해서 효소산화가 진행 된다 다음에 우루시올중의 불포화촉쇄는 습한 공기중에서 퀴논화합물로 전환되면서 과산화물이 생성하여 산화물이 자동산화가 일어나 복잡한 망목구조를 형성한다
우루시올은 상기의 구조식에서와 같이 2개의 수산기(-OH)들 가진 항상화성을 나타낸다 옻나무는 효소중합을 하면 수산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항산화성도 감소한다 따라서 옻나무가 중합하는것에 따라 2단계로 일어나는자동산화가 촉진하게 되며 이는 항산화성과 수산기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할수 있다
Urushiol(Phenolic Compounds)+O2(공기)--Laccase(Oxidase)-->Quinone compound+H2O2.......(1)
Qunone commpound+Protein, Amino acid, 기타 유기산 등---> 망목구조+H2O2....(2)
옻이 피부를 헐게 하는 것은 옻의 성분인 우루시올과 라카아제가 피부에 묻으면 우루시올이 공기중에서 라카아제의 산화촉매 작용에 의해서 산화되면서 피부 단백질과 반응하여 생기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야기되여 피부가 약한 사람은 옻 오름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현재까지 보고에 의하면 칠액은 건조 조건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열로 건조하거나 인위적으로 건조가 잘되지 않고 적당한 수분과 온도 조건에서만 건조가 되는 것이 특징이다
옛날 우리조상들은 옻진액인 칠액을 칠기둥에 옻칠을 할 때 옻진액에 송화유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옻진액을 용해한 다음 습기가 많은 여름철 장마철에 토담집 습기가 찬곳에서 옻칠을 하여 왔다
오늘날 와서는 옻진액(칠액)을 칠기둥에 옻칠하기 위하여 옻칠액을 테레핀유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습도 70%∼75%를 유지시켜 놓고 온도 20℃에서 25℃가 되도록 하여 옻칠을 건조시키고 있다
현재까지 옻을 수지화산 선기술을 살펴보면 옻을 이용한 옻닭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예를 들면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10070600(20010727) 폴리올레핀 고분자 물질을 고분자 응용온도 (130℃-200℃)까지 상승시켜 고분자 응융체를 형성하고 옻 수액을 고분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이내의 양으로 혼합한후 교반하여 고분자와 옻의 혼합 용융체를 생성한후 이를 압출 성형하여 제조도니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방부성 방충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옻(Lacquer)성분을 혼합한 폴리올레핀 복합수지 및 그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선행기술은 고분자 구조상 폴리올레핀수지와 폴리에치렌 수지가 혼합되지 않았으므로 폴리에치렌과 폴리프로피렌을 옻조성분 함유 폴리올레핀 복합 수지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동공보 공개번호 제 1020020090040(20021130)호에는 폴리슬폰 폴리카르보네이트(PC)등의 엔지니어링 합성 수지를 1-50%중량의 농도를 유기 용매에 녹인 후 정제된 옻수액을 고분자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의 이내로 혼합시켜 주고 상기 고분자와 옻수액의 혼합용액을 주형한 후 건조하여 제조된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방부성 방충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옻(Lacquer) 성분을 혼합한 엔지니어링 복합수지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3342930000(20020413)호에는 <1>합성수지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을 10%중량의 농도로 유기용매에 녹인후 정재된 옻수액을 고분자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이내로 혼합시켜주고 상기 고분자 옻수액의 혼합용액을 주형한후 건조함으로써 수록되거나 <2>합성수지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을 고분자 용융온도까지 상성한후 이를 슬릿다이를 통해 용용 압출한 후 로을러에서 급격히 냉각 시켜 고혀오하함으로써 수독된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방부성 방충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옻(Lacquer)성분을 상용화 되어 있는 기준의 합성수지 특히 폴리에틸레에 혼합한(blending)기능성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동공보 등록번호제 1008420320000(20080623)호에는 우루시올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혼합반응 후 생선 된 고채혼합물을 분쇄하여 제조된 우루시올이 함유된 옻분말 또는 옻액을 실리론 실란트 또는 아크릴 실란트 와 혼합한 후 경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이 함유된 실란트 및 그 제조 방법이 공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옻진액은 물에는 녹지 않을 뿐아니라 열을 가하여도 건조가 되지 않고 공기중에 방치하면 굳어져 버리는 건조상의 문제점과 다른 물질과 사용하기 까다로워 사용범위의 제한과 독성이 매우 강한 문제점에 의해 산업용으로 개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와 같은 옻 수액을 이용하여 새로운 접착제를 제조 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에 코팅 하거나, 밸트 제조시 사용할 경우 질기고, 마찰력이 우수한 기능성 실 또는 밸트 및 로프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옻진액인 수액을 이용하여 새로운 옻 수지 접착제를 제조하여 실 또는 밸트 등에 코팅하여 찔기고 마찰력이 우수한 새로운 옻수지 접착제 즉 코팅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옻진액은 독성이 매우 강하고 건조가 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물질과 친화성이 없고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것이 단점이고 옻진액은 페놀 및 거대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옻진액을 이용하여 접착력과 침투력이 우수하고 유연성 있는 새로운 접착제를 제조 하여 실이나 밸트 가죽 금속 등에 코팅했을 때 지금까지 화학 고분자 접착제에서 찾아볼 수 없는 차별화된 기능성 접착제를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옻진액인 수액으로 새로운 접착제를 제조 하여 실이나 섬유포 또는 금속 가죽 등에 코팅했을 때 기존 화학 고분자 수지에서 찾아볼수 없는 내열성이 강하고 찔기고 마찰력이 우누하고 향균 탈취 살충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옻 수지 접착제를 제조하는 것이 발명의 효과이다
본 발명의 기술핵심은 옻진액(수액)을 이용하여 새로운 옻수지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을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 1공정
반응조에 열을 80℃로 유지시켜 놓고 옻진액(수액)1000g비율로 유화제 (TW 또는 NX)50g을 넣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포름 알데히트 300g을 투입시켜 혼합이 잘되도록 교반한다음 촉매제로 가성소오다용액(PH13)100g을 투입시켜 교반시키면 10분 내로 반응이 일어나면서 접착력이 우수한 열경화성 형태의 옻수지 접착제를 제조하는 공정
제 2공정
반응조에 열을 80℃로 유지시켜 놓고 옻진액을 1000g비율로 피마자유(아마인유)300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서서히 교반하면서 염화벤조일 30g을 반응조에 넣고 반응조의 열을 100℃정도로 높여 끓이면 반응이 일어난다.
반응 후 반응조의 열은 냉각수로 냉각시켜 반응온도를 30℃정도가 되도록 하여 옻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제 3공정
반응조에 옻진액 1000g비율에 매칠매타 아크릴산 100g을 넣고 고르게 교반한 다음 80℃ 열을 유지시키면서 과산화벤조인 20g을 촉매로 넣고 서서히 교반하면 반응조에서 반응하여 옻조성물 새로운 수지를 제조 하는 공정
제 4공정
제 2공정에서 제조된 옻진액 수지 조성물을 비커에 넣고 200℃∼300℃고열로 끓여서 새로운 옻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제 1공정
제 1공정에서 제조된 옻조성물 수지를 통상 사코팅기 또는 직믈코팅기기를 이용하여 옻조성물 수지 접착제를 섬유사나 직물에 코팅하는 과정
제 2공정
제 1공정 제 2공정 제 3공정 제 4공정 옻조성물 수지 접착제를 높은 고열 300℃∼400℃정도의 열로 실리카겔섬유사 또는 섬유에 코팅제로 사용하고 건축자재 금속등에 고열 접착제로 사용하는 공정
제 3공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옻수지 접착제 1000g비율로 우레탄수지 500g과 혼합하여 옻수지 조성물 접착제를 제조하고 또한 옻수지 접착제 1000g비율로 엑폭시수지 300g을 혼합하여 옻수지 조성물 접착제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와 같이 제조된 옻조성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을 로프등을 제조하여 실외 강도 등의 실험을 공인기관에 의뢰하여 차후 보증하겠음

Claims (2)

  1. 옻수액을 이용한 새로운 접착제 제조 방법에서
    제 1공정
    반응조에 열을 80℃로 유지시켜 놓고 옻진액(수액)1000g비율로 유화제 (TW 또는 NX)50g을 넣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포름 알데히트 300g을 투입시켜 혼합이 잘되도록 교반한다음 촉매제로 가성소오다용액(PH13)100g을 투입시켜 교반시키면 10분 내로 반응이 일어나면서 접착력이 우수한 열경화성 형태의 옻수지 접착제를 제조하는 공정
    제 2공정
    반응조에 열을 80℃로 유지시켜 놓고 옻진액을 1000g비율로 피마자유(아마인유)300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서서히 교반하면서 염화벤조일 30g을 반응조에 넣고 반응조의 열을 100℃정도로 높여 끓이면 반응이 일어난다.
    반응 후 반응조의 열은 냉각수로 냉각시켜 반응온도를 30℃정도가 되도록 하여 옻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제 3공정
    반응조에 옻진액 100g비율에 메칠메타아크릴산 100g을 넣고 고르게 교반한 다음 80℃열을 유지시키면서 과산화벤조인 20g을 촉매로 넣고 서서히 교반하면 반응이 일어나면서 옻진액과 아크릴조성물 접착제 제조 공정
    제 4공정
    제 2공정에서 제조된 옻진액 수지 조성물을 비커에 넣고 200℃∼300℃고열로 끓여서 새로운 옻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2. 옻수액을 이용한 새로운 접착제 사용방법에 있어서
    제 1공정
    제 1공정에서 제조된 옻조성물 수지를 통상 사코팅기 또는 직불코팅기기를 이용하여 옻조성물 수지 접착제를 섬유사나 직물에 코팅하는 공정
    제 2공정
    제 1공정 제 2공정 제 3공정 제 4공정 옻조성물 수지 접착제를 높은 고열 300℃∼400℃정도의 열로 실리카겔섬유사 또는 섬유에 코팅제로 사용하고 건축자재 금속등에 고열 접착제로 사용하는 공정
    제 3공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옻수지 접착제 1000g비율로 우레탄수지 500g과 혼합하여 옻수지 조성물 접착제를 제조하고 또한 옻수지 접착제 1000g비율로 엑폭시 수지 300g을 혼합하여 옻수지 조성물 접착제를 제조하는 공정
KR1020120007627A 2012-01-20 2012-01-20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 KR20130085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27A KR20130085894A (ko) 2012-01-20 2012-01-20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27A KR20130085894A (ko) 2012-01-20 2012-01-20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94A true KR20130085894A (ko) 2013-07-30

Family

ID=4899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627A KR20130085894A (ko) 2012-01-20 2012-01-20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58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69B1 (ko) * 2020-10-08 2021-04-21 주식회사 공감생활 친환경 오일 침투 목재 제조 공법
KR102270930B1 (ko) * 2021-03-19 2021-06-29 소병명 가구용 기능성 목재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4572B1 (ko) * 2021-03-11 2021-07-12 주식회사 비알케이 주방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69B1 (ko) * 2020-10-08 2021-04-21 주식회사 공감생활 친환경 오일 침투 목재 제조 공법
KR102274572B1 (ko) * 2021-03-11 2021-07-12 주식회사 비알케이 주방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0930B1 (ko) * 2021-03-19 2021-06-29 소병명 가구용 기능성 목재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943195C (de) Verfahren zum Haerten von Kunstharzen aus AEthylenoxydderivaten
DE889345C (de) UEberzugsmasse, insbesondere fuer Klebezwecke
CN106928813A (zh) 一种抑菌溶胶交联水性环氧涂料的制备方法
KR20130085894A (ko) 옻수액을 이용한 수지 접착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코팅제 제조방법
KR100878858B1 (ko) 우루시올 함유 우레탄 도료의 제조방법
CN110144761A (zh) 一种硅油离型纸的生产制备方法
DE2942362A1 (de) Peroxidgemische und ihre verwendung
KR20120002642A (ko) 폴리우루시올 나노 수성액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폴리우루시올 분말 및 그의 용도
KR20130085893A (ko) 옻진액 및 옻축출물을 이용한 살균제 제조방법
KR101292134B1 (ko) 옻진액을 이용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1000374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radikalisch nachvernetzter Polymere
CN105461872B (zh) 一种腰果酚浅色树脂及其制备方法
KR20130081884A (ko) 옻칠액을 이용하여 수지용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404020B1 (ko) 알러지 저감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킨 옻 제조방법
DE818696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rzartigen Polyestern
DE1000393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radikalisch nachvernetzter Polymere unter Einsatz von Diallylphthalaten
DE1645548A1 (de) UEberzugsgemisch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20130112967A (ko) 중합용 수지 원료에 합성된 옻조성물 제조 및 용도
DE1769228A1 (de) Stabilisierung von Polyestern
KR20140036917A (ko) 생선 및 육가공 가공시 사용되는 세척수에 첨가하는 천연방부제 제조 및 그 사용방법
DE1000393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radikalisch nachvernetzter Polymere unter Einsatz von reaktiven Anhydriden
DE2910896A1 (de) Rostschutzmitt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angeetha Biodegradation of Polyurethane Composites
AT165036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härtbarer Kunstharze
CN104877472A (zh) 一种医用防虫涂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