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242A -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242A
KR20130084242A KR1020130000591A KR20130000591A KR20130084242A KR 20130084242 A KR20130084242 A KR 20130084242A KR 1020130000591 A KR1020130000591 A KR 1020130000591A KR 20130000591 A KR20130000591 A KR 20130000591A KR 20130084242 A KR20130084242 A KR 20130084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control
reporter
discrimination
control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2316B1 (ko
Inventor
마유미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05D23/190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variable in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고자의 요망 신고 부하를 경감하면서,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는, 요망 판별부(5)와, 신고자로부터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에 따라서 공기 조화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관하여 기억하는 제어 플랜 기억부(4)와, 요망 판별부(5)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부(3)와,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 기기(6)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2)를 구비한다. 요망 판별부(5)는,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APPARATUS FOR DISTINGUISHING DESIRE, SYSTEM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METHOD FOR DISTINGUISHING DESI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신고자로부터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장치 및 요망 판별 방법과, 그 판별 결과를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하는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이 도입되는 건물에서, 거주자가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예컨대 덥다, 춥다, 실온을 XX℃ 올려 주었으면 좋겠다, XX℃ 내려 주었으면 좋겠다는 등)을 신고하는 것은, 통상 거주자가 그곳에 있는 목적(예컨대, 사무실이라면 거주자의 업무)과는 관계가 없고, 일반적으로 번거로운 작업일 경우가 많다. 또한, 거주자가 열적인 불쾌를 강하게 자각하지 않는 상태(쾌적한지, 또는 약간 덥다, 약간 춥다와 같은 상태)에서의 요망(이하, 약요망으로 한다)에 대해서는, 그 감각을 강하게 자각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요망 신고는 행해지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요망 신고는, 「약요망」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강한 요망(이하, 강요망으로 한다)이 중심이 되기 쉽다.
이에 따라, 예컨대 거주자의 「덥다」고 하는 강요망에 공기 조화 제어가 대응한 결과로서 실온 설정값이 과도하게 낮추어진 경우, 도중 경과로서 덥지도 춥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로 실내 환경이 개선되더라도, 「덥지도 춥지도 않은」 부근의 「약요망」은 신고되기 어렵다. 그리고, 적정 상태에 가까운 환경을 나타내는 「약요망」이 거주자로부터 신고되기 어렵기 때문에 실온 설정값이 유지되고, 이윽고 상반되는 「강요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덥다」고 하는 요망 신고에 대응하여 실온 설정값이 과도하게 낮추어졌다고 해도, 「약간 덥다」, 「약간 춥다」고 하는 요망 신고가 없으면, 실온 설정값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 결과, 상반되는 「강요망」인 「춥다」고 하는 요망이 신고될 때까지 실온은 저하하게 된다.
그리고, 「춥다」고 하는 요망이 신고되면, 실온 설정값이 과도하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고, 상반되는 「강요망」인 「덥다」고 하는 요망이 신고될 때까지 실온은 상승하게 된다. 이 상반되는 「강요망」의 반복에 의해, 최악의 경우, 거주자는 「덥다」, 「춥다」와 같은 상반되는 감각을 주기적으로 느끼게 된다. 이러한 반복은 거주자에게 불쾌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어가 안정되지 않는 것으로 인한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거주자 자신이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직접 신고하고, 주기적으로 신고수를 집계하는 신고형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신고가 입력되었을 때로부터 정해진 유효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신고를 소거하는 개별 신고 소거부와, 신고자가 유효 시간의 나머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효 시간의 나머지 시간을 표시하는 나머지 시간 표시부와, 신고가 소거된 것을 신고자에게 알림으로써, 신고자에 대하여 재차의 신고를 재촉하는 통지부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460463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신고형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서는, 「약요망」의 신고가 행해지기 어려운 것에 변함이 없어, 「강요망」을 집계하는 경향이 되기 쉽기 때문에, 제어가 불안정해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효 시간 설정은 신고자의 체감이 시간 경과에 따라서 쾌적한 방향으로 일률적으로 개선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예컨대 「덥다」고 하는 요망 신고에 대응하는 실온 설정값의 내림 폭이 부족한 경우 등, 요망이 해소되지 않고서 지속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에 유효 시간 설정을 채용하면, 요망이 해소되지 않는 신고자는 신고가 소거될 때마다 동일한 요망을 다시 신고하여야 한다. 최악의 경우에는, 번거로운 신고 작업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인지, 불만인 환경 속에서 견딜 것인지의 선택을 강요당하는 것이 되고,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자체에의 거주자의 불만감도 증대하기 쉽다. 따라서, 유효 시간 설정이, 「약요망」의 신고가 행해지기 어려운 것에 따른 제어의 불안정화를 개선하는 것으로는 이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신고자의 요망 신고 부하(횟수나 시간)를 경감하면서, 제어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는, 신고자로부터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요망 판별 수단은,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로부터 미리 작성된 판별룰을 기억하는 판별 룰 기억 수단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발생한 시각과 상기 판별 룰에 기초하여,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요망 판별 수단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을 판별하기 전에,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와 정해진 설정 룰로부터, 상기 판별 룰을 작성하는 판별 룰 작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에 관련되는 스케줄이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가 소속된 사업소의 사업소 스케줄이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이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가 소속된 사업소의 사업소 스케줄과 상기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이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요망 판별 수단은, 일정한 기간 동안에 발생한 복수의 요망에 기초하여, 대표적인 요망만을 채용하여 판별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은, 요망 판별 장치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공기 조화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관해서 미리 기억하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에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이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고, 일정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며, 상기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상기 제어 설정값을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부가되어 있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공기 조화 기기 중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를 특정하여 제어 플랜을 결정하고, 상기 기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이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은, 상기 일시적 요망과 상기 지속적 요망이 경합했을 때에, 미리 정해진 방침에 따라서 상기 일시적 요망과 상기 지속적 요망 중 어느 한쪽을 채용하고, 채용된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망 판별 방법은, 신고자로부터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제어 방법은, 상기 각 단계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공기 조화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요망 판별 단계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에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단계와, 이 제어 플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을 그 지속 시간에 착안한 지속 종류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판별 결과를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하면, 신고자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공기 조화 제어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로서, 신고자가 소속된 사업소의 사업소 스케줄이나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을 이용함으로써, 요망과 신고자 행동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어, 대사량 계측이나 판별에 이용하는 새로운 정보 입력을 신고자에게 재촉하는 일없이, 요망의 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업소 스케줄이나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을 이용함으로써, 설비 관리자나 에너지 관리자가 예견·관리하기 쉬운 대사량 고려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기간 동안에 발생한 복수의 요망 중 대표적인 요망만을 채용하여 판별함으로써,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주기적으로 따르는 제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에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를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부가되어 있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기기 중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를 특정하여 제어 플랜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이 복수의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거주자의 대사량과 PMV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사업소 스케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플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고 요망에 대한 제어 설정값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개인 스케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설정 룰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고 요망에 대한 제어 설정값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의 원리]
본 발명은, 건물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거주자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반영하여 제어하는 요망 대응형 공기 조화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대상으로 하고, 거주자가 요망을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신고형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A) 거주자로부터의 요망을 받고, 설비 관리자가 BEMS(Build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등을 이용하여 거주자 요망을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하는 경우, (B) 거주자 자신이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직접 신고하는 경우[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등을 이용해 원격으로 거주자 요망을 수신하고, 제어에 반영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모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거주자, 신고자, 요망 입력자를 이하와 같이 구별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환경에 재적(在籍)해 있는 사람을 거주자라고 부른다. 신고 행동을 일으키는지 여부는 거주자에 의존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기 조화에 대한 변경 요망을 신고(전화 등에 의한 음성 통지를 포함한다)한다고 하는 행동을 일으키는 거주자를 신고자라고 부른다. 거주자가 공기 조화 환경에 불만을 느끼고 있더라도, 신고 행동을 일으키지 않으면 신고자로는 취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고자의 공기 조화에 대한 변경 요망을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할 목적으로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입력하는 사람을 요망 입력자라고 부른다. 거주자가 변경 요망을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신고형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 신고자와 요망 입력자는 동일해진다. 또한, 이외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신고자가 요망 입력자인 설비 관리자에 대하여 변경 요망을 신고(전화나 메일 등으로 통지)하고, 설비 관리자가 이 요망을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이상과 같은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발명자는 일시적(지속성이 다르다) 요망 신고에 대해서는 통상의 요망 신고와는 다른 제어를 적용하는 것에 착안했다.
사무실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공기 조화에 대한 신고 요망은, 신체 활동(출근후, 귀사후, 회의실 이동후 등)이나 식사(점심 등)에 의한 대사량 증가가 원인인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요망은, 실내 환경이 변화하지 않더라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해소의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주위 환경에 의해서 발생하는 요망보다도,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의 불안정 상태를 야기하기 쉽다. 예컨대, 문헌 「타이라 타쿠야 외, "인체 열량계를 이용한 조반, 점심 및 저녁 식사 후의 에너지 소비량 추이의 비교 검토", 영양학 잡지, Vol.68, No.6, 373∼377, 2010년」에 의하면, 식사 유발성 열산생은 30∼40분 정도면 저하하고 안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시적인 요망에 대해서는 그 특징을 반영한 대응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제어가 불안정해질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발명자는 일시적 요망을 판별할 때에,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통상 관리되고 있는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착안했다. 요망의 신고 시각과 스케줄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요망과 신고자 행동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고, 대사량 계측이나 판별에 이용하는 새로운 정보 입력을 신고자에게 재촉하는 일없이, 일시적 요망의 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등록된 스케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설비 관리자나 에너지 관리자가 예견·관리하기 쉬운 「대사량 고려 방식」이 된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사업소 스케줄로부터 미리 작성된 판별 룰과 요망 신고 시각에 기초하여, 요망이 일시적인 요망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의 제어 플랜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 플랜이란, 요망에 따라서 공기 조화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주자 자신이 자기의 요망을 시스템에 대하여 입력하는 거주자 신고형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고자의 공기 조화에 대한 변경 요망을 그 지속 시간에 착안한 종류(이하, 지속 종류라고 기재)로 판별하여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하는 점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본 발명은 공기 조화 방식(예컨대 개별 방식, 중앙식 등) 및 채용하고 있는 공기 조화 기기 종류, 공기 조화 제어 요소(온도, 습도, 방사나 그 복합 제어 등), 요망 입력 단말 종류(BEMS, PC, 휴대 전화, 스마트폰, 전용 입력 단말 등) 등에 상관없이, 당업자의 통상의 기술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해서, 대상으로 삼는 하나의 공기 조화 영역에 거주자 1명이 재석하는 거주자 신고형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예로 설명한다(도 1).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0은 거주자, 101은 변경 요망을 받는 공기 조화 제어 장치(컨트롤러), 102는 공기 조화 영역의 실온을 계측하는 온도 센서, 103은 실내기, 104는 실외기이다. 공기 조화 제어 장치(101)는 온도 센서(102)에 의해서 계측되는 실온이 실온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공기 조화 기기[실내기(103) 및 실외기(104)]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계 냉방시의 예로 설명하지만, 말할 것도 없이, 본 발명은 중간기나 동계 난방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에 거주자의 대사량과, 공기 조화 영역의 쾌적성을 나타내는 온냉감 지표인 PMV(Predicted Mean Vote)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의 예에서는, 거주자의 대사량 이외의 PMV의 영향 요인(온도, 습도, 방사, 풍속, 착의량)은 하절기의 사무실을 상정한 고정값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온, 방사 온도를 27℃, 풍속을 0.1 m/s, 상대 습도를 50%, 착의량을 0.5[clo]로 하고 있다.
공기 조화의 실온 설정값은 에너지 절약이나 절전 대책을 위해서, 일본 환경성의 장려값(여름 28℃, 겨울 20℃)에 기초하여 실내 환경이 악화하는 방향으로 완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쾌적성의 영향 요인은 실온뿐만 아니기 때문에, 그 밖의 영향 요인이 악화하면 PMV 쾌적 범위인 ±0.5의 범위를 일탈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실온이 환경성 장려값보다 1℃ 쾌적측의 설정(27℃)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컨대 섭식에 의해 거주자의 대사량이 표준 대사량 1.0[met]보다 10% 증가하여 1.1[met]가 되면, PMV가 쾌적 범위 상한이 되는 0.5를 넘어 버려, 식후의 요망 신고의 발생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식사(점심 등) 또는 신체 활동(출근후, 귀사후, 회의실 이동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요망은 일시적인 대사량 증가에 의한 것으로, 대사량이 시간 경과와 동시에 감소·안정화하면,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더라도 이윽고 해소 방향으로 향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출장지로부터의 귀사 직후에는 덥다고 느꼈다고 해도, 귀사 직후부터 시간이 경과하면, 온도·습도 등의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덥다고 하는 감각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으로, 사무실에서 집무를 계속하고 있는 거주자는 대사량이 안정되어 있는 상태이며, 요망을 야기시키는 요인은 거주자측의 체내 환경 변화가 아니라, 실내 환경이 요인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거주자로부터의 요망 신고에 대응하여 실내 환경이 적절하게 개선되지 않으면 요망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요망 신고에는, 「덥다」, 「약간 덥다」, 「덥지도 춥지도 않다」, 「약간 춥다」, 「춥다」, 「XX℃ 올려 주었으면 좋겠다」, 「XX℃ 내려 주었으면 좋겠다」등과 같이, 공기 조화 변경의 방향(따뜻하게 한다, 차게 한다) 및 강도와 관련되는 변경 요망 종류(이하, 변경 종류라고 기재)에 더하여, 또한,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더라도 이윽고 해소 방향으로 향하는 요망(이하, 일시적 요망이라고 기재)과,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으면 지속할 가능성이 높은 요망(이하, 지속적 요망이라고 기재)과 같은, 지속성에 착안한 종류(이하, 지속 종류라고 기재)가 있다.
특히, 섭식 등으로 인한 급격한 대사량 증가로 인해서 발생하는 요망은 일시적이고 또한 강요망이 되기 쉽고, 단시간에 복수회의 강요망의 신고가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요망을 느끼는 방식 자체가 시간과 동시에 해소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지속적 요망과 구별 없이 변경 종류만에 착안하여 동일한 제어를 적용한 경우, 일시적 요망 쪽이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의 불안정 상태를 야기하기 쉽다. 따라서, 제어가 불안정해질 확률을 저감하기 위해서, 일시적 요망을 판별하여, 지속적 요망과는 다른 제어 플랜을 적용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는 기기 제어부(2)와, 제어 플랜 결정부(3)와, 제어 플랜 기억부(4)와, 요망 판별부(5)를 구비한다.
기기 제어부(2)는 제어 플랜 결정부(3)가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 기기(6)를 제어한다.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요망 처리 시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어 플랜과, 제어 플랜 기억부(4)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과, 요망 판별부(5)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을 결정한다.
제어 플랜 기억부(4)에는, 요망 판별부(5)의 판별 결과에 대하여 적용할 제어 플랜이 미리 설정되어 기억된다. 이들 제어 플랜은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다.
요망 판별부(5)에는, 사업소 스케줄을 이용한 일시적 요망 판별 룰이 미리 설정되어 기억된다. 일시적 요망 판별 룰은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에너지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다. 요망 판별부(5)는 판별 룰에 기초하여, 신고된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한다.
도 4는 요망 판별부(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요망 판별부(5)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입력된 요망을 접수하는 요망 입력부(50)와,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부(51)와, 판별 룰을 작성하는 판별 룰 작성부(52)와, 판별 룰을 기억하는 판별 룰 기억부(53)로 구성된다.
요망 입력 단말(7)로서는, PC,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전용 리모콘 단말 등이 있다.
또,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조화 제어 장치(101)의 내부에 설치되지만, 요망 판별부(5)는 공기 조화 제어 장치(10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거주자의 요망 신고를 접수했을 때의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요망 입력 단말(7)은 요망 입력자가 입력한 요망의 변경 종류 DS와 신고 시각 Stime을 요망 판별부(5)에 송신하고, 요망 판별부(5)의 요망 입력부(50)는 수신된 정보를 요망 V(DS, Stime)로서 유지한다(도 5 단계 S1-1).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사용자가 선택하는 변경 종류 DS를「덥다」, 「춥다」의 2종류로 하고, 「덥다」를 값 「1」로 나타내고, 「춥다」를 값 「-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예컨대, 신고 시각 10시 10분에 거주자가 「덥다」고 신고한 요망은 V(1, 10:10)로서 유지되고, 동일한 시각에 「춥다」고 신고한 요망은 V(-1, 10:10)로서 유지된다. 또, 이 예에서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변경 종류 DS 및 신고 시각 Stime을 송신하지만, 신고 시각 Stime을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송신하지 않고서, 요망 신고를 접수한 시각을 신고 시각으로 하여, 요망 입력부(50)가 신고 시각 Stime을 부가하더라도 좋다.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요망 V(DS, Stime)를 접수하면,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1)는 판별 룰 기억부(53)에 미리 설정된 일시적 요망 판별 룰에 기초하여, 신고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한다(도 5 단계 S1-2).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별 룰 기억부(53)에 기억되어 있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이용하여 신고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하는 예로 설명하지만,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 대신에 수식을 이용하더라도 물론 좋으며, 테이블 이용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 등의 판별 룰은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에너지 관리자가 설정하더라도 좋고, 판별 룰 작성부(52)가 작성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에너지 관리자가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판별 룰 작성부(52)에 의한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의 작성 방법의 상세에 관해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다.
도 6에 사업소 스케줄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예에서는, 9시부터 17시가 업무 시간대로 되어 있다. 12시부터 13시는 점심 시간, 15시부터 15시 15분은 휴식 시간이다.
도 7은 요망 판별부(5)에서 수신된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판별 룰 기억부(53)에 설정되어 있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3가지의 시간대 T1∼T3가 있고, 시간대 T1은 8시부터 9시 30분까지, 시간대 T2는 12시부터 13시 30분까지, 시간대 T3는 15시부터 15시 30분까지이다. 이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 T1, T2, T3에는, 식별을 위한 시간대 번호 Nh로서, 각각 Nh=1, 2, 3이 할당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은,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 번호 Nh와,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개시 시각 Hst(Nh)과,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종료 시각 Hed(Nh)과, 보충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것이다. 상기한 대로, 이들 내용은 주로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에너지 관리자가 설정한다. 또, 보충 정보는 본 실시형태의 설명을 위한 기재이며, 요망 판별 동작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시간대 번호 Nh=1, 2, 3의 3가지의 시간대 T1∼T3은 도 6에 도시한 사업소 스케줄에 기초해, 도 8의 테이블 예에 보충 정보로서 나타낸 「출근」, 「점심」, 「휴식」과 같은 거주자의 행동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이들 시간대는, 운용 실적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1)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접수한 요망 V(DS, Stime)의 신고 시각 Stime이 시간대 번호 Nh=1, 2, 3의 3가지의 시간대 T1∼T3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면, 그 요망 V(DS, Stime)의 지속 종류를 「일시적」이라 판별한다. 즉, 판별 처리부(51)는 요망 V(DS, Stime)의 신고 시각 Stime이 이하의 식 (1)의 조건을 만족시킬 때, 요망 V(DS, Stime)의 지속 종류를 나타내는 지속 종류 판별 플래그 Ftmp(이하, 판별 플래그)를 Ftmp=1로 하고, 식 (1)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때, 판별 플래그 Ftmp를 Ftmp=0으로 한다.
Hst(x)≤Stime≤Hed(x) … (1)
식 (1)에 있어서, Hst(x)는 시간대 번호 x의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개시 시각, Hed(x)는 동시간대 번호 x의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종료 시각이다. 판별 플래그 Ftmp=1은 요망 V(DS, Stime)가 일시적 요망인 것을 나타내고, 판별 플래그 Ftmp=0은 요망 V(DS, Stime)가 지속적 요망인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고 시각 Stime이,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에 등록된 시간대의 개시 종료 시각으로 규정되는 식 (1)의 조건, 구체적으로는, 8:00≤ Stime≤9:30, 12:00≤Stime≤13:30, 15:00≤Stime≤15:30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판별 플래그 Ftmp=1이 되고, 어느 쪽의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판별 플래그 Ftmp=0이 된다.
판별 처리부(51)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접수한 요망 V(DS, Stime)에 대하여, 요망의 변경 종류 DS와 판별 플래그 Ftmp를 관련시켜서, 이들을 요망 상태 DC(DS, Ftmp)로서 유지한다.
다음에,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처리중인 요망 V(DS, Stime)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결정한다(도 5 단계 S1-3). 제어 플랜 결정부(3)는 현시점에서 공기 조화 기기(6)에 적용되고 있는 제어 플랜(이하, 기제어 플랜이라 기재)과, 제어 플랜 기억부(4)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 플랜과, 요망 판별부(5)로 유지되어 있는 요망 상태 DC(DS, Ftmp)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을 결정한다.
제어 플랜 기억부(4)에는, 일시적 요망 및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이 각각 미리 설정되어 있다.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Ftmp=0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으로서는, 종래의 범용적인 제어 플랜(지속 종류를 판별하지 않고서 변경 종류에 따라서 실시되는 종래의 제어 플랜)을 설정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해서,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망 V(DS, Stime)의 처리 시점에서의 제어 설정값 Tset=Tbef를 요망 V(DS, Stime)의 변경 종류 DS에 따라서 변경한다고 하는 제어 플랜을,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으로 한다. 이 제어 플랜에 의한 제어 설정값 Tset의 변경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set = Tbef+Tdp(DS) … (2)
제어 설정값 Tset의 예로서는, 실온 설정값이 있다. 식 (2)의 Tdp(DS)는 설정값 변경폭이다. 이 설정값 변경폭 Tdp(DS)은 이하의 식으로 결정된다.
Tdp(DS) = S(DS)×γdp(DS) … (3)
상기한 대로, 거주자가 「덥다」고 신고했을 때, 변경 종류 DS=1이 되고, 거주자가 「춥다」고 신고했을 때, 변경 종류 DS=-1이 된다. 식 (3)에 있어서의 S(DS)는 변경 종류 DS에 대응하는 제어 설정값 Tset의 증감 방향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변경 종류 DS=1일 때, 계수 S(1)=-1이 되고, 변경 종류 DS=-1일 때, 계수 S(-1)=1이 된다. 즉, 거주자가 「덥다」고 신고했을 때는, 계수 S(DS)를 -1로 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내리고, 거주자가 「춥다」고 신고했을 때는, 계수 S(DS)를 1로 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올린다.
식 (3)에 있어서의 γdp(DS)는 변경 종류 DS에 대응하는 설정값 변경폭이다. 이 설정값 변경폭 γdp(DS)은 변경 종류 DS에 따라서 미리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여기서, 설정값 변경폭 γdp(DS)은 변경 종류 (DS)의 값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0.5℃로 하지만, 변경 종류 DS의 값에 따라서 다른 값으로 해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Ftmp=1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으로서는, 예컨대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과 마찬가지로 제어 설정값 Tset를 변경하지만, 설정값 변경을 유지 시간 tα만큼 유지한 후, 제어 설정값 Tset를 상기 신고 요망에 대응하기 전의 Tset=Tbef에 복귀시킨다고 하는 제어 플랜을 설정하면 좋다[도 9의 (B)]. 제어 설정값 Tset의 변경은 식 (2), 식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유지 시간 tα는 거주자의 대사량의 급격한 변화가 안정으로 향하는 시간이며, 대응하는 거주자 행동에 따라서, 예컨대 20분 등으로 설정하면 좋다. 이 유지 시간 tα는 운용 실태에 따라서 설비 관리자 등이 적절하게 수정하면 좋다. 또 이 예에서, Tset의 Tbef에의 복귀는 미리 정한 복귀 시간에서 서서히 Tbef에 근접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시간대 번호에 대응하여 추정되는 거주자의 행동(도 8의 보충 정보 참조)에 따라서 유지 시간 tα나 복귀 시간을 변경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마지막으로, 기기 제어부(2)는 제어 플랜 결정부(3)가 결정한 새로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 기기(6)를 제어한다(도 5 단계 S1-4). 즉, 기기 제어부(2)는 요망 V(DS, Stime)의 처리 시점에서 공기 조화 기기(6)에 적용되고 있는 현재의 제어 설정값 Tset=Tbef와, 요망 V(DS, Stime)의 변경 종류 DS와, 제어 플랜 설정부(3)가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설정값 Tset를 결정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2)는 공기 조화의 제어량(예컨대, 실온)과 제어 설정값 Tset(예컨대, 실온 설정값)가 일치하도록 공기 조화 기기(6)를 제어한다. 제어 알고리즘으로서는 예컨대 PID가 알려져 있다.
거주자로부터의 새로운 요망 신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요망에 대하여 단계 S1-1∼S1-4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10에, 요망 신고에 대하여 제어 설정값 Tset가 어떻게 변경되는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의 예에서도, 사업소 스케줄 및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 T1∼T3는 도 6, 도 7에 도시한 대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의 h'1, h'3는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 h2는 「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 c1은 「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을 표시하고 있다.
시각 t1에 있어서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h'1)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식 (2), 식 (3)에 따라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2로 내리고, 유지 시간 tα(본 실시형태에서는 30분) 후에 시각 t1 이전의 제어 설정값 Tset=Tbef1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시각 t2에 있어서 「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h2)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식 (2), 식 (3)에 따라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2로 내린다.
다음에, 시각 t3에 있어서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h'3)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3로 내리고, 유지 시간 tα 후에 시각 t3 이전의 제어 설정값 Tset=Tbef2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시각 t4에 있어서 「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c1)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1로 올린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하고, 지속 종류의 판별 결과에 기초한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적용하는 것으로, 거주자의 신고 횟수나 신고 작업의 수고를 경감하면서, 제어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업소 스케줄이 확정된 시점에서 어떤 시간대가 어떤 지속 종류에 대응하는지가 확정되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스케줄의 운전일과 실적을 비교함으로써 설비 관리자나 에너지 관리자가 미리 운전 상황이나 에너지 소비량 등을 예견·관리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의 변경 종류를 「덥다」, 「춥다」의 2종류로 했지만, 변경 종류를 「덥다」, 「약간 덥다」, 「덥지도 춥지도 않다」, 「약간 춥다」, 「춥다」의 5종류 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덥다」는 DS=1, 「약간 덥다」는 DS=2, 「덥지도 춥지도 않다」는 DS=3, 「약간 춥다」는 DS=4, 「춥다」는 DS=5로 한다. 변경 종류 DS=1, 2, 3, 4, 5에 대응하는 계수 S(DS)를 각각 -1, -1, 0, 1, 1로 한다. 또한, 변경 종류 DS=1, 2, 3, 4, 5에 대응하는 설정값 변경폭 γdp(DS)을 각각 1.0[℃], 0.5[℃], 0[℃], 0.3[℃], 0.6[℃]로 한다. 이와 같이 변경 종류 DS에 따라서 설정값 변경폭 γdp(DS)을 상이하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해서, 전형적인 하루의 사업소 스케줄에 기초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의 예를 나타냈지만, 연간 이벤트나 요일에 따른 스케줄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경우, 년월일이나 요일 정보를 적절하게 추가한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작성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요망 V(DS, Stime)의 신고 시각 Stime에도 연월일 정보나 요일 정보를 부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 신고 발생 시에 개개의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의 예로 나타냈지만, 예컨대 15분 주기 등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요망 판별부(5)는 거주자로부터의 요망 V(DS, Stime)를 일단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고, 그 주기의 최신 요망만을 대표적인 요망으로서 채용하는 후우선 처리, 15분의 기간 동안에 발생한 복수의 요망 중 가장 많은 요망만을 대표적인 요망으로서 채용하는 다수결 처리, 15분의 기간 동안에 발생한 전체 요망수에 대한 요망수의 비율에 기초하여 대표적인 요망을 추정하는 요망 비율 처리(일본 특허 공개 2006-214624호 공보 참조) 등의 범용 처리를 제어 주기마다 실행하여, 그 제어 주기의 대표적인 요망(이하, 대표 요망이라 기재)을 결정하며, 이 대표 요망의 변경 종류 DS를 결정하는데, 예컨대 변경 종류 DS를 결정한 시각 등을 대표 요망의 신고 시각 Stime으로 한다. 그리고, 요망 판별부(5)는 이 대표 요망에 대하여 도 5의 단계 S1-2∼S1-4의 처리를 실행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에 하나의 공기 조화 영역 및 1명의 거주자가 대응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복수의 거주자가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복수의 거주자가 있는 경우에 전술한 주기적 제어 실행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대표 요망 결정의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요망 신고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요망 신고자의 ID(Identification)나 요망 신고자의 위치 정보 등]도 요망 V(DS, Stime)에 부가하면 좋다.
또한, 하나의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가 복수의 공기 조화 기기(6)를 제어하고 있는 경우, 요망 입력 단말(7)은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6)를 특정할 수 있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공기 조화 기기의 ID, 공기 조화 영역의 ID, 요망 신고자의 ID, 요망 신고자의 위치 정보 등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6)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망 V에 부가하여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에 송신한다.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의 제어 플랜 결정부(3)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에 따라서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6)의 제어 플랜을 결정하고, 또한 기기 제어부(2)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6)를 특정하여 제어하면 좋다. 또, 이 경우, 제어 플랜은 공기 조화 기기(6)마다 제어 플랜 기억부(4)에 미리 설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 사업소의 공기 조화를 일괄로 관리하는, 예컨대 중앙 방식에 의한 임대 빌딩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경우, 대상으로 삼는 복수의 사업소 스케줄을 이용하여 사업소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와 각 사업소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도 BEMS에 유지하여, 설비 관리자가 상기 사업소 특정 정보와 함께 변경 요망(「덥다」, 「춥다」, 「XX℃ 올려 주었으면 좋겠다」, 「XX℃ 내려 주었으면 좋겠다」등)을 입력하면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로부터 미리 작성된 판별 룰과 요망 신고 시각에 기초하여, 요망이 일시적인 요망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의 제어 플랜을 결정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한다.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a)는 기기 제어부(2)와, 제어 플랜 결정부(3)와, 제어 플랜 기억부(4)와, 요망 판별부(5a)를 구비한다.
요망 판별부(5a)의 구성은 사업소 스케줄 대신에 개인 스케줄을 사용하는 점 외에는 제1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부(5)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4의 부호를 이용하여 요망 판별부(5a)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a)의 처리의 흐름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5를 이용하여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a)의 동작을 설명한다.
개인 스케줄을 이용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 입력 단말(7a)은 요망 신고자가 입력한 요망의 변경 종류 DS와 신고 시각 Stime과 요망 신고자의 ID(이하, UID라고 기재)를 요망 판별부(5a)에 송신한다. 요망 판별부(5a)의 요망 입력부(50)는 수신된 정보를 요망 V'(DS, Stime, UID)로서 유지한다(도 5 단계 S1-1).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로, 신고 시각 Stime에 대해서는 요망 입력 단말(7a)에서 송신하지 않고, 요망 신고를 접수한 시각을 신고 시각으로 하여, 요망 입력부(50)가 신고 시각 Stime을 부가하더라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사업소에 거주하고, 공기 조화 영역을 공유하고 있는 거주자 A, B의 어느 하루의 스케줄 예를 도 12의 (A), 도 12의 (B)에 도시한다. 도 12의 (A)는 거주자 A의 개인 스케줄, 도 12의 (B)는 거주자 B의 개인 스케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의 예에서는, 거주자 A는 9시부터 11시 사이는 외출하고, 12시부터 13시는 점심 시간, 14시부터 16시는 회의, 17시에 업무 종료로 되어 있다. 도 12의 (B)의 예에서는, 9시부터 17시가 업무 시간대로 되어 있다. 12시부터 13시는 점심 시간, 15시부터 15시 15분은 휴식 시간이다. 종업원의 스케줄 관리에 스케줄러 시스템을 도입하는 사무실이 많기 때문에, 이 스케줄러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개개인의 스케줄을 요망의 지속 종류의 판별에 이용하면, 새로운 정보 입력을 신고자에게 재촉하는 일없이, 지속 종류 판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요망 판별부(5a)의 판별 룰 작성부(52)에는, 업무 개시, 점심 시간, 휴식, 회의, 외출과 같은 스케줄 항목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설정 룰이 미리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에너지 관리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다. 도 13에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설정 룰 예를 도시한다.
도 13에 의하면, 업무 개시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개시 시각 Hst(Nh)은 업무 개시 시각으로부터 1시간 전의 시각이 되고, 종료 시각 Hed(Nh)은 업무 개시 시각으로부터 30분 후의 시각이 된다. 점심 시간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개시 시각 Hst(Nh)은 점심 시간 개시 시각이며, 종료 시각 Hed(Nh)은 점심 시간 개시 시각으로부터 30분 후의 시각이 된다. 휴식 시간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개시 시각 Hst(Nh)은 휴식 개시 시각이며, 종료 시각 Hed(Nh)은 휴식 종료 시각으로부터 15분 후의 시각이 된다. 회의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개시 시각 Hst(Nh)은 회의 개시 시각이며, 종료 시각 Hed(Nh)은 회의 종료 시각으로부터 20분 후의 시각이 된다. 외출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의 개시 시각 Hst(Nh)은 외출 개시 시각이며, 종료 시각 Hed(Nh)은 귀사 시각으로부터 45분 후의 시각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 판별부(5a)의 판별 룰 작성부(52)는 매일 아침 조조에 각 거주자의 개인 스케줄을 조회하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 룰에 기초하여 각 거주자의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작성하고, 작성된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거주자의 ID와 관련시켜서 판별 룰 기억부(53)에 등록한다. 요망 신고 접수시에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을 조회하고, 도 13에 도시한 설정 룰을 사용하여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하더라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거주자 ID는 거주자와 스케쥴러 정보를 관련시키는 정보이며, 예컨대 사원 번호나 개인의 내선 번호 등의 정보이다.
도 13에 도시한 설정 룰에 기초하여 판별 룰 작성부(52)가 생성한 거주자 A, B의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의 예를 각각 도 14의 (A), 도 14의 (B)에 도시한다. 도 15의 (A)는 거주자 A로부터의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를 도시한 도면, 도 15의 (B)는 거주자 B로부터의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거주자 A의 경우,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3가지의 시간대 T4∼T6이 있고, 시간대 T4는 9시부터 11시 45분까지, 시간대 T5는 12시부터 13시 30분까지, 시간대 T6는 14시부터 16시 20분까지이다. 거주자 B의 경우,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3가지의 시간대 T7∼T9가 있고, 시간대 T7은 8시부터 9시 30분까지, 시간대 T8은 12시부터 13시 30분까지, 시간대 T9는 15시부터 15시 30분까지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인 스케줄로부터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작성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사업소 스케줄로부터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요망 판별부(5a)의 판별 처리부(51)는 요망 입력 단말(7a)로부터 요망 V'(DS, Stime, UID)를 접수하면, UID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참조하여, 신고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한다(도 5 단계 S1-2). 이 지속 종류의 판별 처리는 요망 신고자에 대응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이용한다고 하는 점 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별 처리부(51)는 요망 V'(DS, Stime, UID)에 대하여, 요망의 변경 종류 DS와 판별 플래그 Ftmp를 관련시키고, 이들을 요망 상태 DC(DS, Ftmp)로서 유지한다. 또, 업무 개시나 점심 시간 등의 사업소 스케줄이 개인 스케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사업소 스케줄에 기초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과, 개인 스케줄에 기초하는 일시적 요망 판별 테이블을 참조하면 좋다.
제어 플랜 결정부(3)의 동작(도 5 단계 S1-3)과, 기기 제어부(2)의 동작(도 5 단계 S1-4)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거주자 A, B로부터의 요망 신고에 대하여 제어 설정값 Tset가 어떻게 변경되는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6의 예에서도, 개인 스케줄 및 일시적 요망 판별 시간대 T4∼T9는 도 12의 (A), 도 12의 (B), 도 15의 (A), 도 15의 (B)에 도시한 대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6의 A-h'1, A-h'2는 거주자 A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 A-c1은 거주자 A로부터의 「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 B-h'1, B-h'3은 거주자 B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 B-h2는 거주자 B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 B-c1은 거주자 B로부터의 「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을 표시하고 있다.
시각 t1에 있어서 거주자 B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B-h'1)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식 (2), 식 (3)에 따라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2로 내리고, 유지 시간 tα(본 실시형태에서는 30분) 후에 시각 t1 이전의 제어 설정값 Tset=Tbef1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시각 t2에 있어서 거주자 B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 (B-h2)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식 (2), 식 (3)에 따라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2로 내린다.
다음에, 시각 t3에 있어서 거주자 A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A-h'1)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3으로 내리고, 유지 시간 tα 후에 시각 t3 이전의 제어 설정값 Tset=Tbef2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시각 t4에 있어서 거주자 B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B-h'3)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3으로 내린다. 여기서, 제어 설정값 Tset=Tbef3의 상태가 유지 시간 tα만큼 유지되어야 하지만, 유지 시간 tα가 경과하기 전의 시각 t5에 있어서 거주자 A로부터의 「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A-c1)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2로 올린다.
다음에, 시각 t6에 있어서 거주자 A로부터의 「덥다」고 하는 일시적 요망(A-h'2)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3으로 내린다. 여기서, 제어 설정값 Tset=Tbef3의 상태가 유지 시간 tα만큼 유지되어야 하지만, 유지 시간 tα이 경과하기 전의 시각 t7에 있어서 거주자 B로부터의 「춥다」고 하는 지속적 요망(B-c1)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 Tset를 Tbef2로 올린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이 경합하는 경우,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최신의 요망을 우선하는 후우선의 방침을 채용하고 있지만, 예컨대 에너지 절약을 우선하는 방침으로서 에너지 절약측으로 설정값을 완화하는 방향의 요망을 우선하도록 하더라도 상관없다.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 중 어느 쪽 요망을 채용할 것인지의 방침이나,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할 요망의 변경 종류의 결정 방법, 지속 종류의 결정 방법은 적절하게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하고, 지속 종류의 판별 결과에 기초한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6)에 적용함으로써, 거주자의 요망 신고 부하를 경감하면서,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로,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주기적으로 따르는 제어에도 본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거주자가 있는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a)가 복수의 공기 조화 기기(6)를 제어하고 있는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1, 1a)는 CPU, 기억 장치 및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들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CPU는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은 신고자로부터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공기 조화 제어에 반영하는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1, 1a : 요망 판별형 공기 조화 제어 장치 2 : 기기 제어부
3 : 제어 플랜 결정부 4 : 제어 플랜 기억부
5, 5a : 요망 판별부 6 : 공기 조화 기기
7, 7a : 요망 입력 단말 50 : 요망 입력부
51 : 판별 처리부 52 : 판별 룰 작성부
53 : 판별 룰 기억부

Claims (12)

  1. 신고자로부터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요망 판별 수단은,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로부터 미리 작성된 판별 룰을 기억하는 판별 룰 기억 수단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발생한 시각과 상기 판별 룰에 기초하여,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수단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을 판별하기 전에,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와 정해진 설정 룰로부터, 상기 판별 룰을 작성하는 판별 룰 작성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요망 판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에 관련되는 스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가 소속된 사업소의 사업소 스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가 소속된 사업소의 사업소 스케줄과 상기 신고자의 개인 스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망 판별 수단은, 일정한 기간 동안에 발생한 복수의 요망에 기초해서, 대표적인 요망만을 채용하여 주기적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요망 판별 장치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공기 조화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관하여 미리 기억하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에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이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고, 일정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며,
    상기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상기 제어 설정값을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부가되어 있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공기 조화 기기 중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를 특정하여 제어 플랜을 결정하고,
    상기 기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이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은, 상기 일시적 요망과 상기 지속적 요망이 경합했을 때에, 미리 정해진 방침에 따라서 상기 일시적 요망과 상기 지속적 요망 중 어느 한쪽을 채용하고, 채용된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10. 신고자로부터의 공기 조화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요망 판별 단계는,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로부터 미리 작성된 판별 룰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발생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을 판별하기 전에,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와 정해진 설정 룰로부터, 상기 판별 룰을 작성하는 판별 룰 작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자의 대사량을 변화시키는 행동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고자에 관련되는 스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기재된 요망 판별 방법의 각 단계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공기 조화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관하여 미리 기억하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요망 판별 단계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기 조화 기기에 적용할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단계와,
    이 제어 플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고, 일정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며,
    상기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서 상기 제어 설정값을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어 방법.
KR20130000591A 2012-01-16 2013-01-03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KR101492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5917A JP6042068B2 (ja) 2012-01-16 2012-01-16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JP-P-2012-005917 2012-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42A true KR20130084242A (ko) 2013-07-24
KR101492316B1 KR101492316B1 (ko) 2015-02-11

Family

ID=4875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0591A KR101492316B1 (ko) 2012-01-16 2013-01-03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84875A1 (ko)
JP (1) JP6042068B2 (ko)
KR (1) KR101492316B1 (ko)
CN (1) CN1032067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8285A (zh) * 2015-10-13 2016-0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3d投影的智能空调的控制方法及系统
KR20170138942A (ko) * 2016-06-08 2017-12-18 아즈빌주식회사 요망 판정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정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6299A1 (de) * 2013-08-16 2015-02-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Kalibrierung einer Regelungseinrichtung
CN104515256B (zh) * 2013-09-30 2017-1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CN104566781B (zh) * 2013-10-22 2018-12-07 太阳专利托管公司 信息终端装置的控制方法以及信息终端装置
CN105091202B (zh) * 2014-05-16 2018-04-17 株式会社理光 控制多个空调设备的方法和系统
CN105276752B (zh) * 2014-06-26 2018-10-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音频信号的空调器运行参数调节方法和系统
JP6339916B2 (ja) * 2014-09-30 2018-06-06 アズビル株式会社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CN104896689A (zh) * 2015-05-29 2015-09-09 广州市中南机电工程有限公司 酒店智能中央空调系统
JP6785043B2 (ja) * 2015-12-25 2020-11-18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建物環境制御システム、建物環境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92369B2 (ja) * 2016-02-04 2019-10-16 アズビル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10760804B2 (en) 2017-11-21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Humidifi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WO2019204792A1 (en) 2018-04-20 2019-10-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ordinated control of standalone and building indoor air quality devices and systems
US11486593B2 (en) 2018-04-20 2022-11-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with variable mitigation thresholds
US11226128B2 (en) 2018-04-20 2022-01-1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door air quality and occup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11609004B2 (en) 2018-04-20 2023-03-2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with variable mitigation thresholds
CN108775687B (zh) * 2018-06-22 2021-02-23 重庆大学 一种基于心理干预的室内热环境调控系统
JP7290479B2 (ja) * 2019-06-06 2023-06-13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空調機用制御システム及び空調機用制御プログラム
JP7209603B2 (ja) * 2019-08-28 2023-01-20 東京瓦斯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600A (ja) * 1993-05-18 1994-11-25 Takenaka Komuten Co Ltd 空気調和システム
JPH07145980A (ja) * 1993-11-22 1995-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US7089087B2 (en) * 2002-05-17 2006-08-08 Carrier Corporation Limited access comfort control
JP4487550B2 (ja) * 2002-12-10 2010-06-2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環境設備制御システム
JP2004251573A (ja) * 2003-02-21 2004-09-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100595214B1 (ko) * 2004-05-2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 시스템의 공기 청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96403B2 (ja) * 2004-06-04 2010-01-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環境提供制御システム及び環境提供制御方法
CN1727792A (zh) * 2004-07-26 2006-02-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系统的舒适指数控制方法
JP4604630B2 (ja) 2004-09-27 2011-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温熱環境制御システムおよび温熱環境制御方法
JP4697854B2 (ja) * 2005-02-02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環境設備制御システム
KR100672586B1 (ko) * 2005-02-1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의 공기 청정 제어방법
JP4521637B2 (ja) * 2005-06-30 2010-08-11 清水建設株式会社 パーソナル空調システム
JP4611920B2 (ja) * 2006-03-24 2011-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調制御装置
JP2009204187A (ja) * 2008-02-26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WO2009119150A1 (ja) * 2008-03-27 2009-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空調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10046805A1 (en) * 2009-08-18 2011-0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ext-aware smart home energy manager
CN102042653B (zh) * 2009-10-15 2013-0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空调控制方法
WO2011062080A1 (ja) * 2009-11-17 2011-05-26 株式会社環境マネジメント研究所 省エネルギ管理装置
JP2011146137A (ja) 2010-01-12 2011-07-28 Toyota Home Kk 空調照明システム
JP5543792B2 (ja) * 2010-01-26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FR2960045B1 (fr) * 2010-05-12 2012-07-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ntrole personnalise du confort thermique d'un occupant d'un batiment
US20120158203A1 (en) * 2010-12-17 2012-06-21 Crestron Electronics, Inc. Personal Energy Managem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8285A (zh) * 2015-10-13 2016-0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3d投影的智能空调的控制方法及系统
KR20170138942A (ko) * 2016-06-08 2017-12-18 아즈빌주식회사 요망 판정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정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316B1 (ko) 2015-02-11
US20130184875A1 (en) 2013-07-18
JP2013145088A (ja) 2013-07-25
CN103206768A (zh) 2013-07-17
JP6042068B2 (ja)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4242A (ko)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JP6339916B2 (ja)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KR101490596B1 (ko)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US8849771B2 (en) Rules engine with database triggering
CN100567837C (zh) 环境控制系统
JP6528767B2 (ja) 環境制御システム
US20140316582A1 (en) Automat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having Occupant Relative Feedback
JP4623747B2 (ja) 環境設備制御システム
JP6800804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04480A (ja)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2013247719A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5503424B2 (ja) 設定値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4899977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
US20230272934A1 (en) Heating control system
JP6592369B2 (ja)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6298346B2 (ja) 需要調整計画立案システムおよび需要調整計画立案方法
JP4816536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
GB2579336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GB2610112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ulti-occupancy buildings
GB2612738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ulti-occupancy buildings
GB2612740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ulti-occupancy buildings
GB2611704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ulti-occupancy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