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449A -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449A
KR20130083449A KR1020137012651A KR20137012651A KR20130083449A KR 20130083449 A KR20130083449 A KR 20130083449A KR 1020137012651 A KR1020137012651 A KR 1020137012651A KR 20137012651 A KR20137012651 A KR 20137012651A KR 20130083449 A KR20130083449 A KR 2013008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tching
locking device
plug
spr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199B1 (ko
Inventor
마르틴 슈밋트
니콜 슈필커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8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부(20)와, 이에 매칭되는 하우징 하부(10)를 구비한, 다부품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을 위한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때 하우징 상부(20)와 하우징 하부(10)는 스프링 박판(30)을 통해 가역식으로 서로 기계적 연결 가능하며, 스프링 박판(30)은 하우징 상부(20) 및/또는 하우징 하부(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프링 박판(30)은 외부에 위치한 개별 작동 버튼(40)과 상호 작동 연결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로킹 장치{LOCKING DEVICE FOR A PLUG-IN 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은 하우징 상부와, 이에 매칭되는 하우징 하부를 구비한, 다부품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때 하우징 상부와 하우징 하부는 스프링 박판을 통해 가역식으로 서로 기계적 연결 가능하며, 스프링 박판은 하우징 상부 및/또는 하우징 하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유형의 로킹 장치들은 예를 들어 2개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을 서로 쉽게 빠지지 않게 래칭했다가 다시 래칭 해제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로킹 장치들은 로킹 이후에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가 예를 들어 액체 및 먼지와 같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및 로킹 해제 가능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는, 예를 들어 아직 공개되지 않은 PCT/EP2009/008779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촉 부재 및/또는 소위 접촉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EP 2 194 217 A1호에는 다부품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분리 가능한 로킹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제1 하우징부는 양측에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이러한 작동 버튼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할당된 탄성 스프링 부재에 각각 작용한다. 제2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한 래칭 후크와 상호 작용하는 스프링 박판 내 개구들을 통해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는 서로 로킹된다.
상기 유형의 로킹 장치들의 단점은 로킹 및 로킹 해제를 위해 2개의 작동 버튼들이 동시에 조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형의 로킹 시스템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큰 구조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는 비교적 크고 다루기가 힘들다.
본 발명의 과제는 콤팩트한 동시에 신뢰 가능하게 구성되는 다부품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로킹 장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외부에 위치한 개별 작동 버튼과 스프링 박판이 상호 작동 연결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나타난 로킹 장치는 다부품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하우징 상부와, 이에 매칭되는 하우징 하부로 구성된다. 하우징 상부는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개별 작동 버튼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 상부의 내부에는 스프링 박판이 쉽게 빠지지 않게 삽입 클램핑된다.
이러한 작동 버튼은 하우징 상부의 원형 리세스 내부에 위치한다. 작동 버튼의 작동시에 작동 버튼은 리세스 내로 가압된다. 이로부터 얻어지는 힘은 하우징 내부에 삽입 클램핑된 스프링 박판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작동 버튼은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 박판과 상호 작동 연결된다. 스프링 박판은 2개의 하우징부들을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한다. 스프링 박판에 가해지는 힘을 통해 하우징부들은 서로 로킹 및 로킹 해제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프링 박판을 통한 2개의 하우징부들의 기계적 연결은 가역식으로 실행된다. 이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은 추가로 후술된다.
하우징 하부의 하나 이상의 내부 벽부에는 하나 이상의 래칭 돌기가 성형되어 있다. 대개 2개의 래칭 돌기가 하우징 하부의 대향 배치된 내부 벽부들에 성형된다.
스프링 박판은 하나 이상의 래칭 개구를 포함하고, 이러한 래칭 개구는 하우징 하부의 래칭 돌기(들) 위에 맞물리므로, 하우징 상부 및 하우징 하부는 쉽게 빠지지 않게 서로 연결된다. 래칭 개구의 개수는 불가피하게 래칭 돌기의 개수에 상응한다.
스프링 박판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형 기초 구조를 갖는다. 기초 구조 평면에 수직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평행 래칭 암들이 스프링 박판의 기초 프레임에 성형되어 있다. 2개의 래칭 암들은 이미 상술한 래칭 개구를 갖는다.
플러그인 커넥터의 외부에 위치한 작동 버튼이 가압되면, 이로부터 얻어지는 힘은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 박판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 박판의 래칭 암들은 래칭 암의 래칭 개구들이 하우징 하부의 래칭 돌기에 걸쳐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래칭 암의 래칭 개구들은 더 이상 래칭 돌기 위에 맞물리지 않으므로, 스프링 박판(또는 스프링 박판의 래칭 개구들)은 더 이상 래칭 돌기와 상호 작동 연결되지 않는다. 이제 하우징부들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부들이 결합되기 이전에 작동 버튼이 작동하면, 하우징 상부는 거의 힘들이지 않고 관련 하우징 하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작동 버튼이 릴리즈된 이후, 스프링 박판의 래칭 개구들은 (재차) 하우징 하부의 래칭 돌기 상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작동 버튼의 작동을 통해 2개 하우징부들 간의 로킹 연결 또는 로킹 연결 해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2개 하우징부들은 간단하게(작동 버튼의 작동 없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스프링 박판의 래칭 암들은 래칭 돌기들이 최종적으로 래칭 개구들에 맞물릴 때까지 우선 래칭 돌기 윤곽에 걸쳐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과정은 하우징 절반부들의 "플러그인"으로도 불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작동 버튼은 회전 및 가압 조합형 버튼으로서 형성된다. 임의 방향으로의 1/4 회전을 통해 작동 버튼은 차단된다. 이는 작동 버튼의 가압(즉 작동)이 더 이상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서야 작동 버튼은 재차 차단 해제된다. 이로 인해, 작동 버튼이 실수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의 차단을 위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작동 버튼은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회전된다.
그러나, 회전 운동을 구현시킬 수 있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리세스를 작동 버튼이 포함하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스프링 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프링 박판이 일체된 하우징 상부를 하우징 하부와 래칭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서로 래칭된 2개의 하우징 절반부들을 도 2의 Ⅲ-Ⅲ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아직 래칭되지 않은 2개의 하우징 절반부들을 Ⅲ-Ⅲ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작동 버튼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작동 버튼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서로 로킹된 하우징부들을 Ⅶ-Ⅶ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로 로킹된 하우징부들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스프링 박판(3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박판(30)은 박판재로부터 펀칭 가공되고, 만곡 기술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형 기초 구조(31)로 성형된다. 이러한 기초 구조(31)로부터 2개의 래칭 암들(32)이 튀어나오고, 이러한 래칭 암들은 서로 대향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래칭 암들(32)은 래칭 개구(33)를 포함한다. 래칭 개구(33) 내부에는 각각 하나의 래칭 후크(39)가 성형되어 있다. 래칭 후크들(39)은 각각 약간 내부를 향해, 즉 서로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프레임 벽부(31a)는 단부측에서 외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돌출부(34)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 벽부(31a)는 열쇠 구멍형 개구(35)를 포함한다. 대향 배치된 프레임 벽부(31c)는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는 2개의 부품들로 형성되고, 이러한 부품들의 후크형 단부들(36)은 서로 개구(37)를 형성하도록 중첩된다.
프레임 벽부(31b 및 31d)는 각각 하나의 리세스(38)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세스(38)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상부(20) 내의 스프링 박판(30)의 고정부를 나타낸다.
도 2에는 하우징 하부(10)와 래칭된 하우징 상부(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상부(20) 내에는 스프링 박판(30)이 쉽게 빠지지 않게 삽입 클램핑된다.
하우징 상부(20)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 상부(20)의 대향 배치된 2개의 내부 벽부에는 스프링 박판(30)의 리세스(38) 내에 맞물리는 돌출부(25)가 성형된다. 리세스(38)는 돌출부(25)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돌출부(25)는 리세스(38) 내에서 양측면에 다소 간극을 가지고, 이에 따라 작동 버튼을 통해 스프링 박판에 힘을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상부(20)와 래칭된 하우징 하부(10)도 실질적으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 하부(10)의 대향 배치된 2개의 내부 벽부는 각각 래칭 돌기(11)를 포함한다. 래칭 돌기(11)는 스프링 박판(30)의 래칭 개구(33)에 맞물리므로, 하우징 절반부들(10, 20)은 스프링 박판(30)을 통해 쉽게 빠지지 않게 서로 연결된다.
하우징 상부(20)의 하우징 벽부는 보어를 포함하고, 이러한 보어를 통해 볼트(22)가 하우징 내부로 돌출된다. 볼트 축부는 하우징 상부(20)의 내부 벽부에 성형된 포크형 구조부(2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개구(37)를 서로 형성하는 스프링 박판(30)의 후크형 단부들(36)은 하우징 내부의 볼트 축부를 둘러싼다. 스프링 박판(30)의 프레임 벽부(31c)는 포크형 구조부(24)와 하우징 내부 벽부 사이에 위치한다.
돌출부(25)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부(20)의 내부 벽부와, 래칭 돌기(11)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부(10)의 내부 벽부는 하우징 절반부들(10, 20)이 서로 플러그인 될 때 서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하우징 절반부들의 분리
도 3에는 도 2의 래칭된 하우징 절반부들(10, 20)을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내부 방향으로 작동 버튼(40)이 가압될 때, 스프링 박판(30)의 래칭 암(32)은 하우징 상부(20) 및 하우징 하부(10)의 내부 벽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38)는 이를 위해 필요한 간극을 제공한다. 래칭 개구(33)의 래칭 후크(39)는 하우징 하부(10)의 래칭 돌기(11) 상에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래칭 암들(32)은 서로를 향해 만곡되므로, 스프링 박판(30)의 래칭 암(32)의 래칭 개구(33)는 래칭 돌기(11)와의 래칭 연결부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안내된다. 이제, 하우징 절반부들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 절반부들의 로킹
도 4에는 마찬가지로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하우징 절반부들(10, 20)은 아직 래칭되지 않은 상태이다. 스프링 박판(30)의 래칭 암(32)은 내부를 향해 만곡된 영역(32b)을 통해 로킹 과정에서 하부 하우징 절반부(10)의 래칭 돌기(11) 위에 끼워진다. 이 경우, 래칭 암들(32)은 약간 내부를 향해 서로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하우징 절반부들(10, 20)이 더욱 모여질 때 래칭 암들(32)은 래칭 암들(32)의 개구들(33)이 래칭 돌기(11) 위에 맞물리자마자 외부를 향해 재차 스냅 방식으로 잠긴다. 이로 인해, 2개 하우징 절반부들(10, 20)의 쉽게 빠지지 않는 연결이 달성된다.
소위 케이블 출구가 제공되는 하우징 상부(20)의 커버가 본원에 공지된 도면들에서는 재현을 이유로 도시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는 작동 버튼(4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작동 버튼의 전면이 도시되어 있다. 작동 버튼(40)은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 가압면(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측에서 가압면(41) 내에는 클로버 잎 형태의 리세스(47)가 제공되어 있다. 리세스(47) 내에는 작동 버튼(40)의 반경 방향 회전 운동을 위한 매칭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가압면(41)의 후방측에는 우선 가장자리 그루브(44)를 포함한 칼라(43)가 성형되어 있다. 칼라(43)는 실린더형 성형부(42)를 둘러싸는 2개의 상승된 차단 구조(45)를 포함하고, 이러한 실린더형 성형부는 수직으로 칼라(43)에서 리드되어 나와, (조립 상태에서) 하우징 상부(20)의 내부로 돌출된다. 차단 구조(45)는 대략 절두형 삼각 기둥의 형태를 갖는다.
단부측에서 실린더형 성형부(42)는 차단 후크(46)를 포함한다. 더 하부에는 양측에 소위 가로대(47)가 성형부(42)에 제공된다.
도 7에는 서로 로킹된 하우징부들을 도 3의 Ⅶ-Ⅶ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작동 버튼(40)의 실린더형 성형부(42)는 로킹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다.
이 경우, 성형부(42)의 차단 후크(46)는 하우징 상부(20) 내에 래칭된 스프링 박판(30)의 프레임 벽부(31a)의 열쇠형 개구(35)도 관통한다. 성형부(42)의 가로대(47)는 프레임 벽부(31a)의 다른 측면에 남아 있다. 스프링 박판(30)은 이러한 영역에서 차단 후크(46)와 가로대(47) 사이에 배치된다.
작동 버튼(40)의 가압시에, 가로대(47)를 통해 스프링 박판(30)에 힘이 가해진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스프링 박판(30)의 래칭 암(32)의 래칭 개구(33)는 하우징 하부(10)의 래칭 돌기(11) 위로 빠져나오도록 슬라이딩된다.
도 8에는 서로 로킹된 하우징부들(10, 20)의 측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8의 Ⅸ-Ⅸ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상부(20)의 원형 리세스(21)를 따라 성형되어 있는 2개의 스토퍼(26)를 볼 수 있다. 또한, 리세스(21)를 통해서는 디스크(23)를 볼 수 있고, 이러한 디스크는 스토퍼(26)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상부(20)의 더 내부에 위치한다. 스토퍼(26) 및 디스크(23)의 기능은 하기에 더 설명된다. 조립 상태에서 작동 버튼(40)의 차단 구조(45)는 하우징 상부(20)의 원형 리세스(21)의 스토퍼(26)와 공통의 평면에 위치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버튼(40)은 실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될 수 있다.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 버튼(40)의 차단 구조들(45)은 하우징 하부(10)의 베이스면(12)에 평행하게 배향된 평면에 공통적으로 위치한다.
작동 버튼(4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약 90°만큼 반경 방향 회전할 때 작동 버튼(40)의 차단 구조들(45)은 하우징 상부(20)의 리세스(21)의 스토퍼(26)에 대해 안내된다. 이 경우, 차단 구조들(45)의 평면은 베이스면(12)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룬다. 디스크들은 작동 버튼(40)의 가압(작동)을 방지하는데, 이는 작동 버튼(40)의 차단 구조들(45)이 디스크(23) 상에 놓이기 때문이다.
반대되는 회전 방향으로 작동 버튼(40)이 반경 방향 회전 운동함으로써 작동 버튼(40)의 차단은 재차 해제된다.
이 경우, 작동 버튼의 차단 기능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내용은 EP 2 194 217 A1호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 하부(10)는 하우징 하부(10)가 예를 들어 기기 벽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어(13)를 포함한다.
1 :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10 : 하우징 하부
11 : 래칭 돌기
12 : 베이스면
13 : 보어
20 : 하우징 상부
21 : 원형 리세스
22 : 볼트
23 : 디스크
24 : 포크형 구조부
25 : 돌출부
26 : 스토퍼
30 : 스프링 박판
31 : 프레임형 기초 구조
31a-d : 프레임 벽부
32 : 래칭 암
32b : 래칭 암의 만곡 영역
33 : 래칭 개구
34 : 돌출부
35 : 열쇠 구멍형 개구
36 : 후크형 단부
37 : 개구
38 : 리세스
39 : 래칭 후크
40 : 작동 버튼
41 : 가압면
42 : 실린더형 성형부
43 : 칼라
44 : 그루브
45 : 차단 구조
46 : 차단 후크
47 : 가로대

Claims (8)

  1. 하우징 상부(20)와, 하우징 상부에 매칭되는 하우징 하부(10)를 구비한, 다부품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을 위한 로킹 장치이며,
    - 하우징 상부(20)와 하우징 하부(10)는 스프링 박판(30)을 통해 가역식으로 서로 기계적 연결 가능하고,
    - 스프링 박판(30)은 하우징 상부(20) 및/또는 하우징 하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에 있어서,
    스프링 박판(30)은 외부에 위치한 개별 작동 버튼(40)과 상호 작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 스프링 박판(30)은 하우징 상부(20)의 내부에 쉽게 빠지지 않게 삽입 클램핑될 수 있으며,
    - 스프링 박판(30)은 하나 이상의 래칭 개구(33)를 포함하고,
    - 래칭 개구(33)는 하나 이상의 래칭 돌기(11)와 래칭 가능하며, 래칭 돌기(11)는 하우징 하부(10)의 내부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작동 버튼(40)을 통해 스프링 박판(30)에 힘이 전달 가능하므로,
    - 하우징 하부(10)의 하나 이상의 래칭 돌기(11)는 스프링 박판(30)의 하나 이상의 래칭 개구(33)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안내 가능하므로,
    - 하우징 상부(20)와 하우징 하부(10)는 서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에 위치한 작동 버튼(40)은 하우징 상부(20)의 원형 리세스(21)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하부(10)는 대향 배치된 서로 평행한 2개의 래칭 돌기들(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박판(30)은 사각형의 프레임형 기초 구조(31)를 가지며, 각각 하나 이상의 래칭 개구(33)를 포함하는 대향 배치된 2개의 평행 래칭 암(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버튼(40)은 회전 및 가압 조합형 버튼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박판(30)은 작동 버튼(40)의 작동시에 2개 하우징 절반부들(10, 20) 간의 로킹 연결 또는 로킹 연결 해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KR1020137012651A 2010-10-19 2011-06-20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KR101520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8266A DE102010038266B4 (de) 2010-10-19 2010-10-19 Mehrteiliges Steckverbindergehäuse
DE102010038266.3 2010-10-19
PCT/DE2011/075138 WO2012052008A2 (de) 2010-10-19 2011-06-20 Verriegelung für ein steckverbinder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449A true KR20130083449A (ko) 2013-07-22
KR101520199B1 KR101520199B1 (ko) 2015-05-13

Family

ID=4589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651A KR101520199B1 (ko) 2010-10-19 2011-06-20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601871B2 (ko)
EP (1) EP2659559B1 (ko)
JP (1) JP5791727B2 (ko)
KR (1) KR101520199B1 (ko)
CN (1) CN103370110B (ko)
BR (1) BR112013009611A2 (ko)
CA (1) CA2815092C (ko)
DE (1) DE102010038266B4 (ko)
DK (1) DK2659559T3 (ko)
ES (1) ES2528960T3 (ko)
PL (1) PL2659559T3 (ko)
RU (1) RU2551842C2 (ko)
WO (1) WO20120520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7687S1 (en) * 2017-01-11 2019-01-08 Elbee Pty Ltd. Lock
DE102017118212A1 (de) 2017-08-10 2019-02-1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Adaptergehäuse
CN108631230B (zh) * 2018-04-28 2023-05-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便于分类集线的电缆桥架
USD936468S1 (en) * 2019-12-19 2021-11-23 Troax AB Faste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571A (en) * 1956-02-21 lockwood
US2735572A (en) * 1956-02-21 Filler cap assembly
US1015907A (en) * 1911-06-02 1912-01-30 James Patrick Ryder Meter-box cover.
DE429252C (de) 1924-12-24 1926-05-20 Antonio Daurella Tragblattfed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2108145A (en) * 1933-10-21 1938-02-15 Houdaille Hershey Corp Wheel assembly
FR765795A (fr) 1933-12-19 1934-06-15 Dispositif pour le montage encastré d'appareils électriques d'installation
US3425587A (en) * 1967-03-30 1969-02-04 John Moses Bishop Elongate hinged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3791045A (en) * 1973-02-20 1974-02-12 Schick Inc Hair dryer with one finger head release
US4007516A (en) * 1975-05-19 1977-02-15 Richco Plastic Company Quarter turn locking fastener device
US4195867A (en) * 1977-06-27 1980-04-01 Baillie William R Door latch
DK156739C (da) * 1983-11-28 1990-03-05 Johannes Saemundur Palsson Sikkerhedslukke
US4765505A (en) * 1986-07-22 1988-08-23 Stant Inc. Delayed actuation fuel cap
US4964659A (en) * 1988-01-11 1990-10-23 Baldwin William C Diaphragm latch mechanism
JPH0817102B2 (ja) 1988-07-15 1996-02-21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DE4209252C1 (ko) * 1992-03-21 1993-03-04 Kabelwerke Reinshagen Gmbh, 5600 Wuppertal, De
US5413392A (en) * 1993-04-06 1995-05-09 Southco, Inc. Pawl assembly
FR2748513B1 (fr) * 1996-05-10 1998-06-26 Valeo Securite Habitacle Verrou a debrayage axial pour un mecanisme de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US6565388B1 (en) * 1996-06-05 2003-05-2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hielded cable connector
US5882053A (en) * 1996-06-14 1999-03-16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door/tailgate assembly with centering feature
US5860302A (en) * 1997-03-31 1999-01-19 Diversified Control, Inc. Latch-lock structure
US5893772A (en) * 1997-08-27 1999-04-13 Pacific Electricord Company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116660A (en) * 1997-09-29 2000-09-12 Southco, Inc. Apparatus for sealing latching devices
US6113160A (en) * 1998-03-09 2000-09-05 Southco, Inc. Latch
AU3066999A (en) * 1998-03-09 1999-09-27 Southco, Inc. Latch
US6067827A (en) * 1998-05-04 2000-05-30 Mcgard, Inc. Lock construction
US6325427B1 (en) * 1998-09-30 2001-12-04 Avaya Technology Corp. Locking mechanism
NL1014036C2 (nl) * 2000-01-07 2001-07-11 Fci S Hertogenbosch B V Connector voor een kabel en een kit voor het in elkaar zetten daarvan.
JP3683465B2 (ja) * 2000-03-01 2005-08-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US6364687B1 (en) * 2000-07-18 2002-04-02 L&K Precision Industry Co., Ltd. Cable connector
DE10141449A1 (de) * 2001-08-23 2003-03-13 Krone Gmbh Universal-Adapter
JP3882119B2 (ja) 2002-12-18 2007-02-1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ラッチ手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TWM261875U (en) * 2004-04-21 2005-04-11 Exito Electronics Co Ltd Locking device for sockets
TW200619480A (en) * 2004-10-23 2006-06-16 Southco Slam latch with pop-up knob
JP4535892B2 (ja) * 2005-01-25 2010-09-0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US7160137B1 (en) * 2005-07-01 2007-01-09 Ming-Hsiang Yeh Protection structure of IEEE1394 connector
DE102006010316A1 (de) * 2006-03-07 2007-09-13 Karl Storz Gmbh & Co. Kg Kupplungsmechanismus
US7568950B2 (en) * 2006-05-17 2009-08-04 Bel Fuse Ltd. High speed modular jack including multiple contact block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200994016Y (zh) * 2006-11-08 2007-12-19 郑启文 锁扣式插座
CN201038412Y (zh) * 2007-07-09 2008-03-19 维熹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防脱机构的母插
DE102008028367B3 (de) * 2008-06-13 2010-01-28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verbindergehäuse
DE102008039787A1 (de) * 2008-08-26 2010-03-0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DE102008060561B4 (de) 2008-12-04 2014-06-1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mehrteilige Gehäuse
ES2467675T3 (es) 2009-12-09 2014-06-1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Conector enchufable de sistema con módulo adaptador
WO2011142740A1 (en) * 2010-05-10 2011-11-17 Vm Products, Inc. Single-latch lock and rodent trap with single-latch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2008A3 (de) 2013-09-26
US20130203279A1 (en) 2013-08-08
CN103370110A (zh) 2013-10-23
US9601871B2 (en) 2017-03-21
WO2012052008A2 (de) 2012-04-26
BR112013009611A2 (pt) 2016-07-12
KR101520199B1 (ko) 2015-05-13
CN103370110B (zh) 2015-08-26
EP2659559A2 (de) 2013-11-06
CA2815092A1 (en) 2012-04-26
DE102010038266B4 (de) 2013-05-23
DK2659559T3 (en) 2015-02-09
DE102010038266A1 (de) 2012-04-19
JP5791727B2 (ja) 2015-10-07
PL2659559T3 (pl) 2015-03-31
RU2551842C2 (ru) 2015-05-27
ES2528960T3 (es) 2015-02-13
JP2013541818A (ja) 2013-11-14
RU2013122762A (ru) 2014-11-27
CA2815092C (en) 2015-08-25
EP2659559B1 (de)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1227B2 (ja) Usbポート用のブロックアウトデバイス
JP5013806B2 (ja) 電気接続箱
KR20130083449A (ko)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로킹 장치
JP2010532552A (ja) プラグロック組立体及びシステム
US20070186598A1 (en) Lid lock device
KR20130054268A (ko) 공기 안내 시스템
JP6439547B2 (ja) 環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電子キー
KR200478968Y1 (ko)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JP5403806B2 (ja) 電線カバーの装着構造
KR102104116B1 (ko) 다중 결합 록킹 장치
CN107624012B (zh) 开盖机构
US10135188B2 (en) Enclosur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same
JP5075537B2 (ja) カバーの取付構造、コネクタ、及びカバー
CN114556710A (zh) 具有锁定装置的电气设备
CN112998517B (zh) 烹饪器具
JP2006020728A5 (ko)
KR102183345B1 (ko) 멀티탭
JP4840985B2 (ja) コンセントカバー
JP2012018771A (ja) 電子機器
JP2012018772A (ja) 電子機器
JP5414145B2 (ja) 蓋付き装置
KR200483596Y1 (ko) 래치 볼트 보호 장치
JP5635168B2 (ja) 蓋付き装置
CN117468806A (zh) 控盒装置和烹饪器具
JPH1090770A (ja) 蓋体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