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45B1 - 멀티탭 - Google Patents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345B1
KR102183345B1 KR1020200060876A KR20200060876A KR102183345B1 KR 102183345 B1 KR102183345 B1 KR 102183345B1 KR 1020200060876 A KR1020200060876 A KR 1020200060876A KR 20200060876 A KR20200060876 A KR 20200060876A KR 102183345 B1 KR102183345 B1 KR 10218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unit
outlet
movable separation
plu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20006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Abstract

로킹작동부가 이동분리부를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콘센트부에 로킹시키고, 가압레버를 누름시 이동분리부를 로킹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멀티탭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멀티탭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가 구획 가능하게 구비되는 콘센트부와, 상기 콘센트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분리부와, 상기 콘센트부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누름으로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가압레버 및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이동분리부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콘센트부에 로킹시키고, 상기 가압레버를 누름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부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이동분리부를 로킹 해제시키는 로킹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탭{MULTI-TAB}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킹작동부가 이동분리부를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콘센트부에 로킹시키고, 가압레버를 누름시 이동분리부를 로킹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케이스의 일측면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복수의 콘센트홀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으로 콘센트홀의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선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탭은 전자제품, 컴퓨터, 모니터 등의 각종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홀의 단자에 연결해서 사용하는데, 멀티탭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해 사용자가 플러그를 당겨도 콘센트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홀에서 잘 분리되지 않을 경우 감전 등을 의식하여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플러그를 분리시키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477호(2006.06.14. 등록, 명칭: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로킹작동부가 이동분리부를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콘센트부에 로킹시키고, 가압레버를 누름시 이동분리부를 로킹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가 구획 가능하게 구비되는 콘센트부와, 상기 콘센트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분리부와, 상기 콘센트부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누름으로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가압레버 및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이동분리부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콘센트부에 로킹시키고, 상기 가압레버를 누름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부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이동분리부를 로킹 해제시키는 로킹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분리부와 상기 가압레버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켓부재 및 상기 소켓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분리부와 상기 가압레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작동부는 상기 이동분리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축부와, 상기 가압레버에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복원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가압축부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유무에 따라 상기 가압축부를 상기 가이드홀부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도록 안내하는 로킹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안내부는 상기 가압축부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홀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분리부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관통홀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관통홀부에 상기 플러그 단자의 삽입시 상기 개폐부재를 복원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복원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은 로킹작동부가 이동분리부를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콘센트부에 로킹시키고, 가압레버를 누름시 이동분리부를 로킹 해제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콘센트부로 삽입된 플러그를 간편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요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서 이동분리부의 탄성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서 탄성이동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서 로킹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요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서 이동분리부의 탄성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서 탄성이동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서 로킹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케이스(10), 콘센트부(20), 이동분리부(30), 가압레버(40) 및 로킹작동부(5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개구부(11a)가 구획 가능하게 형성되어 콘센트부(20)를 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커버부(11) 및 수용커버부(11)에 결합되어 콘센트부(20)를 이탈 방지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이때, 수용커버부(11)에는 콘센트부(20)에 플러그(P)가 끼워진 상태에서 플러그(P)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전원케이블(13a)이 연결된 단속스위치(13)가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도면에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부(20)는 케이스(10)에 복수개가 구획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콘센트부(20)는 이동분리부(30), 단속레버(40) 및 로킹작동부(5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콘센트부(20)는 케이스(10)의 수용커버부(12)에 노출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동분리부(30)와 가압레버(4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켓부재(21) 및 소켓부재(21)에 결합되어 이동분리부(30)와 가압레버(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22)를 포함한다.
이때, 소켓부재(21)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동시에 이동분리부(30)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홀부(21a)와 가압레버(40)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홀부(21b)를 구비한다.
또한, 소켓부재(21)는 착탈부(23)에 의해 지지부재(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탈부(23)는 결합홀부(23a)를 구비하도록 지지부재(22)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23b) 및 결합홀부(23a)에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소켓부재(21)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23a)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분리부(30)는 콘센트부(20)에 플러그가 삽입시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도록 콘센트부(20)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분리부(30)는 플러그가 소켓부재(21)의 삽입홀부(21a)로 삽입되면 플러그의 가압으로 지지부재(22)에 로킹되도록 이동되고, 지지부재(22)에 로킹된 상태에서 가압레버(40)를 누름시 지지부재(22)에서 로킹 해제되어 탄성력으로 플러그를 콘센트부(20)에서 이탈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동분리부(30)는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관통홀부(31a)를 구비하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관통홀부(31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2) 및 관통홀부(31a)에 플러그(P) 단자의 삽입시 개폐부재(32)를 복원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복원이동안내부(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원이동안내부(33)는 개폐부재(32)가 플러그 단자의 가압력으로 이동되도록 개폐부재(32)에 형성되는 경사부(33a) 및 경사부(33a)에 플러그 단자의 가압력이 제거시 개폐부재(32)가 관통홀부(31a)를 커버하도록 하우징(31)과 개폐부재(32)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33b)를 포함한다.
이로써, 개폐부재(32)는 관통홀부(31a)에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 관통홀부(31a)를 커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관통홀부(31a)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31)은 탄성이동안내부(34)에 의해 지지부재(22)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탄성이동안내부(34)는 지지부재(22)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홈부(34a)와, 지지홈부(22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우징(31)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축부(34b) 및 지지홈부(34a)에 수용되어 지지축부(34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34c)를 포함한다.
아울러, 하우징(31)은 슬라이드안내부(35)에 의해 소켓부재(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안내부(35)는 소켓부재(21)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35a) 및 슬라이드홈부(3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우징(31)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재(35b)를 포함한다.
가압레버(40)는 콘센트부(20)의 소켓부재(21)에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누름으로 콘센트부(20)에 삽입된다. 즉, 가압레버(40)는 외력에 의한 누름으로 콘센트부(20)에 삽입되면 이동분리부(30)가 개구부(11a) 측으로 탄성 이동되도록 분리안내부(50)에 의해 이동분리부(30)를 지지부재(22)로부터 로킹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가압레버(40)는 소켓부재(21)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부에 탄성스프링(41)이 구비되어 지지부재(22)에 탄성 지지된다.
한편, 로킹작동부(50)는 콘센트부(20)에 플러그의 삽입시 이동분리부(30)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콘센트부(20)에 로킹시키고, 가압레버(40)를 누름시 플러그가 콘센트부(20)에서 이탈되도록 이동분리부(30)를 로킹 해제시킨다.
이를 위해, 로킹작동부(50)는 이동분리부(30)의 하우징(31)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축부(51)와, 가압레버(40)에 연동 가압되도록 지지부재(22)에 구비되어 복원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며, 가압축부(51)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부(52a)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재(52) 및 슬라이드부재(52)의 슬라이드 이동 유무에 따라 가압축부(51)가 가이드홀부(52a)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도록 안내하는 로킹안내부(53)를 포함한다.
이때, 슬라이드부재(52)의 일측은 가압레버(40)의 누름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슬라이드부재(52)의 타측은 지지부재(22)에 탄성 지지되도록 탄성제공부재(52a)를 구비한다.
아울러, 로킹안내부(53)는 가압축부(51)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53a) 및 걸림홈부(53a)에 걸리도록 가이드홀부(52a)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53b)를 포함한다.
즉, 플러그가 소켓부재(21)의 삽입홀부(21a)로 삽입되어 이동분리부(30)가 지지부재(22) 측으로 이동되면 가압축부(51)는 슬라이드부재(5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걸림부재(53b)를 가압하다가 걸림부재(53b)가 걸림홈부(53a)에 걸리는 순간 가이드홀부(52a)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어 플러그의 분리를 방지시킨다.
반대로, 플러그가 소켓부재(21)의 삽입홀부(21a)에 삽인된 채로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으로 가압레버(40)를 누르면 슬라이드부재(52)는 걸림부재(53b)가 걸림홈부(53a)에서 이탈되도록 복원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이동분리부(30)가 플러그를 탄성 가압하도록 안내한다.
이로써, 플러그는 콘센트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레버(40)의 조작으로 콘센트부(20)로부터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1: 수용커버부
12: 베이스플레이트 20: 콘센트부
21: 소켓부재 22: 지지부재
30: 이동분리부 31: 하우징
32: 개폐부재 33: 복원이동안내부
34: 탄성이동안내부 35: 슬라이드안내부
40: 단속레버 41: 탄성스프링
50: 로킹작동부 51: 가압축부
52: 슬라이드부재 53: 로킹안내부

Claims (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가 구획 가능하게 구비되는 콘센트부;
    상기 콘센트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분리부;
    상기 콘센트부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누름으로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가압레버; 및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이동분리부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콘센트부에 로킹시키고, 상기 가압레버를 누름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부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이동분리부를 로킹 해제시키는 로킹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분리부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관통홀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관통홀부에 상기 플러그 단자의 삽입시 상기 개폐부재를 복원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복원이동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이동안내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플러그 단자의 가압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개폐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부 및 경사부에 플러그 단자의 가압력이 제거시 개폐부재가 관통홀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개폐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분리부와 상기 가압레버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켓부재; 및
    상기 소켓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분리부와 상기 가압레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작동부는,
    상기 이동분리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축부;
    상기 가압레버에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복원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가압축부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유무에 따라 상기 가압축부를 상기 가이드홀부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도록 안내하는 로킹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안내부는,
    상기 가압축부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홀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5. 삭제
KR1020200060876A 2020-05-21 2020-05-21 멀티탭 KR10218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76A KR102183345B1 (ko) 2020-05-21 2020-05-21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76A KR102183345B1 (ko) 2020-05-21 2020-05-21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345B1 true KR102183345B1 (ko) 2020-11-26

Family

ID=7367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876A KR102183345B1 (ko) 2020-05-21 2020-05-21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3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726A (ko) * 2004-05-06 2005-11-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콘센트
KR20130000116U (ko) * 2011-06-27 2013-01-04 안송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726A (ko) * 2004-05-06 2005-11-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콘센트
KR20130000116U (ko) * 2011-06-27 2013-01-04 안송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4969B1 (en) Sliding and locking safety cover for electrical outlets
KR101503507B1 (ko) 차량용 커넥터
RU2474020C2 (ru) Блокировочный сил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JP2501005Y2 (ja) コネクタ
EP2385588B1 (en) Safe electrical outlet
JP3151395U (ja) ポジティブロックコネクタ
JP6031550B2 (ja) スイッチデバイスのトグル組合せ構成
US20180309227A1 (en) Assembly of a plug connector part comprising a holder frame for receiving modular contact inserts
US8859917B2 (en) Electrical switch latch assembly
KR101909830B1 (ko)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KR20010084128A (ko) 콘센트
JP2020087906A (ja) コネクタ装置
KR102183345B1 (ko) 멀티탭
KR100939189B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KR100905761B1 (ko) 래치해제 조작장치
TWI437775B (zh) 插座以及具備該插座的充電裝置
JP2015130284A (ja) プラグ変換アダプタ
EP2403071A1 (en) An actuator, an electrical plug and socket assembly
JP2003317865A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KR20180000220U (ko) 수용 케이스
KR20220158005A (ko) 벽에서 케이블의 접합부를 밀봉하기 위한 조립체
KR101567654B1 (ko) 전기 플러그
JP4965857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CN213755377U (zh) 功能模块盒
JPH03559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