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761B1 - 래치해제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래치해제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761B1
KR100905761B1 KR1020080050126A KR20080050126A KR100905761B1 KR 100905761 B1 KR100905761 B1 KR 100905761B1 KR 1020080050126 A KR1020080050126 A KR 1020080050126A KR 20080050126 A KR20080050126 A KR 20080050126A KR 100905761 B1 KR100905761 B1 KR 10090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p
top member
base
base body
switch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130A (ko
Inventor
유지 요다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스위치수단의 오동작을 가급적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푸시버튼부(12)가 스위치 본체(11)에 대하여 누름조작된 경우에 도어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도록 ON 상태가 되는 스위치수단(10)과, 표면에 푸시버튼부(12)가 면하는 형태로 스위치 본체(11)를 거쳐 스위치수단(10)을 유지하는 베이스부재(20)와,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를 덮는 형태로 베이스부재(20)에 설치한 키톱부재(30)를 구비하고, 키톱부재(30)를 통하여 푸시버튼부(12)가 패널의 외부로부터 누름조작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베이스부재(20)를 거쳐 스위치수단(10)을 패널에 설치한 래치해제 조작장치로서, 베이스부재(20)와 키톱부재(30)와의 사이에 키톱부재(30)를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71, 72)을 개재시키고 있다.
래치해제, 가세수단, 키톱, 베이스, 스위치

Description

래치해제 조작장치{LATCH RELEAS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의 차량에는 트렁크리드 등의 도어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 릴리스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 종류의 차량에 적용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로서는, 릴리스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수단을 구비한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조작부가 도어 아웃터 패널의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도어 핸들을 베이스부재에 축 지지하는 한편, 도어 아웃터 패널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스위치수단을 설치하여 조작부가 요동조작된 경우에 도어 핸들의 가압부에 의하여 스위치수단이 ON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래치해제 조작장치가 적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래치해제 조작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의하면, 조작자가 도어 핸들의 조작부를 요동조작하여 스위치수단을 ON 상태로 하면, 릴리스 액츄에이터가 구동하여 도어 래치장치가 해제 동작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케이블이나 링크 로드를 거쳐 도어 래치장치를 해제시키도록 한 종래의 래치해제 조작장치에 비하여 그 조작 력을 대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제3534068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는 도어 핸들의 조작부와, 도어를 개방 조작할 때의 조작 하중을 받는 하중 받이부재를 방수성의 커버부재에 의하여 덮음과 동시에, 이 커버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도어 아웃터 패널과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원하는 방수기능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세차를 행한 경우에도 세정수가 도어 아웃터 패널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침입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세차장에서 고압의 세정수가 커버부재에 분사된 경우에는, 커버부재를 거쳐 도어 핸들이 요동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스위치수단이 ON 상태가 되어 트렁크 리드가 잘못하여 개방되는 사태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태는 스위치수단에 내장된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가능하게는 된다. 그러나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가 크게 설정된 스위치수단을 적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조작부를 조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수단이 ON 상태가 되지 않는다 라는 불편을 초래하는 등, 조작성이 현저하게 손상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고 스위치수단의 오동작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래치해제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스위치 본체와 푸시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푸시 버튼부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대하여 누름조작된 경우에 도어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도록 ON 상태가 되는 스위치수단과; 푸시 버튼부가 표면, 즉 차체 바깥쪽을 향하도록 상기 스위치 수단을 수용하는 수용오목부가 형성된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이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체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스위치수단의 푸시 버튼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 본체의 표면에 설치되며 키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키톱부재를 통하여 상기 푸시 버튼부가 도어 패널의 외부로부터 누름조작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스위치수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수용오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도어 패널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를 거쳐 상기 스위치수단이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에 있어서, 특히 베이스 본체의 이면과 상기 캡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키톱부재를 상기 스위치수단의 푸시 버튼부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을 개재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상기 키톱부재를 덮음과 동시에,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도어 패널의 이면과 상기 베이스 본체의 표면과의 사이에 가압 유지되는 방수성의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래치해제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세수단은, 상기 키톱부재에 맞닿는 텐션 플레이트와, 상기 텐션 플레이트를 상기 키톱부재에 가압하는 형태로 설치한 가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키톱부재가 누름조작된 경우에 상기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텐션 플레이트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톱부재는,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수단의 푸시 버튼부보다 큰 외형을 가짐과 동시에, 그 중심부를 상기 푸시 버튼부에 대향시키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한 것이고, 상기 가세수단은, 상기 키톱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상기 키톱부재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하여 상기 키톱부재를 근접 이동시킨 후,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키톱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키톱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걸어맞춤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키톱부재의 누름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상기 키톱부재의 탈락이 규제되도록 상기 키톱부재와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수단과,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걸어맞춰진 후,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상기 키 톱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키톱부재의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캡체에 설치된 슬라이드 규제수단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와, 상기 키톱부재에 형성되는 걸어맞춤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캡체에는 상기 슬라이드 규제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와 상기 키톱부재가 걸어맞춰진 후, 상기 캡체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상기 키톱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되어, 상기 걸어맞춤 수단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키톱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수단은, 키톱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연장되는 폴 기초부와, 상기 폴 기초부의 상방 끝에서 구부러져 형성되는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걸어맞춤 폴이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걸어맞춤 폴이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삽입 구멍과, 상기 걸어맞춤 폴의 상기 폴 기초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과 연결되는 슬라이드 홈과, 상기 걸어맞춤 폴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보다 상방에 형성된 폴 걸어멈춤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재와 키톱부재의 사이에, 키톱부재를 스위치수단의 푸시 버튼부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을 개재시키고 있기 때 문에, 예를 들면 키톱부재에 고압의 세정수가 분사된 경우에 스위치수단이 ON 상태가 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위치수단에 내장된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높이는 일 없이 스위치수단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현저하게 손상되는 일도 없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래치해제 조작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트렁크룸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인 트렁크리드에 설치되어 트렁크리드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것으로, 스위치수단(10) 및 베이스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수단(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른바 택트 스위치라 불리우는 표준화된 부품으로 스위치 본체(11)와 푸시버튼부(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본체(11)가 대략 정사각형상으로 박형의 외형 형상을 가지고, 또한 스위치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박형 원주형상의 푸시버튼부(12)가 돌출한 스위치수단(10)을 적용하고 있다. 이 스위치수단(10)은 통상상태에서 OFF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스위치 본체(11)에 대하여 푸시버튼부(12)를 누름조작한 경우에 ON 상태가 된다. 푸시버튼부(12)에 대한 누름 조작력을 제거하면 내장된 도시 생략한 복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푸시버튼부(12)가 복귀 이동하여 스 위치수단(10)이 다시 OFF 상태가 된다.
베이스부재(20)는 전기절연성을 가진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하여 성형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로 구성한 베이스 본체(210) 및 캡체(2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210)는 양쪽 끝부에 나사구멍(211)을 가진 플레이트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부(212)와, 플레이트부(212)의 이면 한쪽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한 본체측 단자박스 구성부(213)를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플레이트부(212)의 표면에서 그 대략 중앙이 되는 부분에 스위치 수용 오목부(214)를 가지는 한편, 플레이트부(212)의 이면에서 스위치 수용 오목부(214)를 포함하는 위치에 가세 요소 수용부(215)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 수용 오목부(214)는, 그 종횡치수가 스위치수단(10)의 스위치 본체(11)보다 약간 크고, 또한 그 깊이가 푸시버튼부(12)를 포함한 스위치수단(10)의 전체 높이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가진 오목부이고, 푸시버튼부(12)가 표면에 면하는 형태로 스위치수단(10)을 수용 유지하고 있다.
가세 요소 수용부(215)는, 스위치 수용 오목부(214)보다 충분히 큰 종횡치수를 가진 직사각형상의 오목부이다. 이 가세 요소 수용부(215)에는 1쌍의 터미널편(216, 217)이 설치되어 있다. 하나하나의 터미널편(216, 217)은 베이스 본체(210)의 이면을 따라 연장한 제 1 편부(216a, 217a)와, 베이스 본체(210)로부터 격리되는 방향을 향하여 제 1 편부(216a, 217a)의 한쪽 끝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 연장된 제 2 편부(216b, 217b)와, 제 2 편부(216b, 217b)의 끝부로부터 본체 측 단자박스 구성부(213)에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 연장된 제 3 편부(216c, 217c)를 가진 도전성부재이다.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각각의 터미널편(216, 217)은, 스위치수단(10)의 단자와 제 1 편부(216a, 217a)의 사이가 땜납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베이스 본체(210)의 플레이트부(212)에는 1쌍의 커버 장착구멍(218)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 장착구멍(218)은 횡단면이 원형의 구멍이고, 플레이트부(212)를 관통하는 형태로 가세 요소 수용부(215)의 양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20)의 캡체(220)는, 커버 캡부(221)와 캡측 단자박스 구성부(222)를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베이스 본체(2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캡부(221)는 베이스 본체(210)의 가세 요소 수용부(215)를 덮는 크기로 구성한 부분이며, 그 양쪽 끝부에 형성한 나사 삽입구멍(223)을 통하여 설치나사(224)를 체결함으로써 가세 요소 수용부(215)를 덮어 고정하는 형태로 베이스 본체(210)에 설치되어 있다. 캡측 단자박스 구성부(222)는, 베이스 본체(210)의 본체측 단자박스 구성부(213)에 합치시킨 경우에 내부에 터미널편(216, 217)의 제 3 편부(216c, 217c)를 단자로 한 단자박스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이 캡측 단자박스 구성부(222)는 그 양쪽부에 설치한 탄성 걸어맞춤편(225)을 본체측 단자박스 구성부(213)의 걸어맞춤돌기(219)에 걸어 맞추게 함으로써 본체측 단자박스 구성부(213)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베이스부재(20)에서의 베이스 본체(210)의 표면 에 키톱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키톱부재(30)는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하여 성형한 것으로,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보다 충분히 큰 바닥면을 가진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키톱부재(30)에는 베이스부재(20)와의 사이에 걸어맞춤수단(40) 및 슬라이드 규제수단(50)이 구성되어 있는 한편, 그 표면을 덮는 부분에 커버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수단(40)은, 베이스부재(20)에 대하여 키톱부재(30)를 근접 이동시킨 후, 서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추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톱부재(30)의 바닥면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한 복수의 걸어맞춤 폴(pawl)(41)과, 베이스부재(20)의 베이스 본체(210)에 설치한 폴 걸어멈춤부(42)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다.
걸어맞춤 폴(4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톱부재(30)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폴 기초부(41a)와, 폴 기초부(41a)의 돌출단부로부터 키톱부재(30)의 바깥 주위방향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걸어맞춤부(41b)를 가진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톱부재(30)의 좌우 양쪽 끝부에 각각 2개소씩 모두 4개의 걸어맞춤 폴(41)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4개의 걸어맞춤 폴(41)은 키톱부재(30)를 좌우로 2등분하는 면에 대하여 경면대칭이 되고, 또한 키톱부재(30)를 전후로 2등분하는 면에 대하여 경면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폴 걸어멈춤부(42)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0)의 베이스 본체(210)에서 스위치 수용 오목부(214)의 양쪽이 되는 부위에 형성한 가장자리 형상의 돌출부분으로, 각 걸어맞춤 폴(41)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재(20)에 서 각 폴 걸어멈춤부(42)와 스위치 수용 오목부(214)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각각 걸어맞춤 폴(41)의 폴 기초부(41a)를 삽입시킬 수 있는 폭의 슬라이드홈(43)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폴 걸어멈춤부(42)에서 베이스부재(20)의 한쪽의 끝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슬라이드홈(43)에 연속하여 또한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삽입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홈(43)의 상호간격은 키톱부재(30)의 양쪽 끝에 위치하는 걸어맞춤 폴(41)의 폴 기초부(41a)의 상호간격과 같은 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상기한 걸어맞춤수단(40)은, 도 10 내지 도 12에 차례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톱부재(30)의 각 걸어맞춤 폴(41)을 베이스 본체(210)의 삽입구멍(44)에 대향시킨 후 베이스 본체(210)에 대하여 키톱부재(30)를 근접 이동시켜 각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가 폴 걸어멈춤부(42)를 통과한 상태에서 슬라이드홈(43)을 따라 키톱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키톱부재(30)의 중심부가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에 대향한 상태에서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와 폴 걸어멈춤부(42)가 각각 맞닿아 걸어맞춰져 베이스 본체(210)에 대한 키톱부재(30)의 탈락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톱부재(30)의 바닥면과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의 사이에 약간 간극이 확보되어 있으나, 키톱부재(30)를 누름조작함으로써 스위치수단(10)을 ON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규제수단(50)은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와 폴 걸어멈춤 부(42)가 맞닿아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베이스부재(20)에 대한 키톱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재(20)의 캡체(220)에 1쌍의 슬라이드 규제부재(51)를 설치함으로써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규제부재(5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체(220)의 커버 캡부(221)로부터 베이스 본체(210)를 향하여 돌출하는 설편형상부분으로, 캡체(220)를 베이스 본체(210)에 장착한 경우에 각각의 돌출단부가 폴 걸어멈춤부(42)의 끝부에 위치함으로써 폴 걸어멈춤부(42)에 맞닿아 걸어맞춰진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가 삽입구멍(44)에 이르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 본체(210)로부터 캡체(220)를 떼어 내면, 베이스 본체(210)에 대하여 키톱부재(30)를 슬라이드시키고,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를 삽입구멍(44)에 배치함으로써 베이스 본체(210)로부터 키톱부재(30)를 떼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부재(60)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비교적 탄성이 풍부한 재질,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에 의하여 성형한 것으로, 키 커버부(61) 및 베이스 커버부(62)를 가지고 있다. 키 커버부(61)는, 키톱부재(30)의 상면 및 4개의 측면을 덮는 부분으로, 이들 키톱부재(30)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도록 장착하고 있다. 베이스 커버부(62)는 키 커버부(61)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평면형상으로 연장된 박막형상부분이며, 베이스부재(20)에서의 베이스 본체(210)의 표면에서 1쌍의 커버 장착구멍(218)을 포함하는 중앙부분을 덮기에 충분한 크기로 구성하고 있다.
이 베이스 커버부(62)에는 베이스 본체(210)의 평탄한 표면에 대향하는 부분에 가압변형부(63)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커버 장착구멍(218)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장착 돌기체(6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가압 변형부(63)는, 베이스 커버부(6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한 폭이 좁은(細幅) 두께부분으로, 키 커버부(61)의 바깥 둘레 영역에 무단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 돌기체(64)는, 횡단면이 원형인 축부(64a)와, 축부(64a)의 선단으로부터 지름 바깥 방향을 향하여 팽출된 후, 선단을 향하여 점차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빠짐방지부(64b)를 가지고 구성한 것이다. 장착 돌기체(64)의 축부(64a)는, 그 외경이 베이스 본체(210)에 형성한 커버장착구멍(218)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부(64b)는, 선단의 외경이 커버장착구멍(218)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는 한편, 기단의 외경이 커버장착구멍(218)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장착 돌기체(64)는 키톱부재(30)의 걸어맞춤 폴(41)을 각각 폴 걸어멈춤부(42)에 맞닿아 걸어맞추게 한 후에 있어서, 각각의 빠짐방지부(64b)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커버장착구멍(218)에 삽입하여 빠짐방지부(64b)의 기단부를 베이스 본체(210)의 이면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외경으로 복귀한 빠짐방지부(64b)의 기단부가 베이스 본체(210)의 이면에 맞닿아 걸어맞춰짐으로써 커버부재(60)가 베이스부재(20)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빠짐방지부(64b)를 휘면서 커버장착구멍(218)로부터 뽑으면 각각의 장착 돌기체(64)를 베이스 본체(210)로부터 떼어 내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베이스부재(20)에서의 베이스 본체(210)의 가세 요소 수용부(215)와 캡체(220)의 커버 캡부(221)의 사이에 구성되는 공간 내에 가세수단(70)을 구비하고 있다. 가세수단(70)은, 키톱부재(30)를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텐션 플레이트(71)와 1쌍의 코일 스프링(7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텐션 플레이트(71)는,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하여 성형한 것으로, 플레이트형상을 이루는 기초부(71a)의 한쪽 면에 1쌍의 스프링 수용부(71b)를 가지는 한편, 기초부(71a)의 다른쪽 면에 4개의 다리부(71c)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수용부(71b)는 각각 원통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 서로의 축심이 기초부(71a)의 한쪽 면에 직교하는 형태로 서로 병설되어 있다. 다리부(71c)는 기초부(71a)로부터 세워 설치한 원주형상부분으로, 하나하나의 선단면이 키톱부재(30)에 설치한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에 동시에 맞닿을 수 있는 형태로 기초부(71a)의 4개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71c)의 횡단면형상은 키톱부재(30)에 설치한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에 대략 합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71c)의 길이는 각각의 선단면을 베이스 본체(210)의 이면측으로부터 폴 걸어멈춤부(42)에 맞닿게 한 경우에 기초부(71a)와 터미널편(216, 217)의 제 1 편부(216a, 217a)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하는 한편, 베이스 본체(210)에 장착한 캡체(220)와 스프링 수용부(71b)의 사이에 키톱부재(30)가 누름조작된 경우의 스트로크량을 충분히 넘을 만큼의 간극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 수용부(71b) 및 다리부(71c)는, 텐션 플레이트(71)를 좌우로 2등분하는 면에 대하여 각각이 경면대칭이 되고, 또한 텐션 플레이트(71)를 전후로 2등분하는 면에 대하여 각각이 경면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1쌍의 코일 스프링(72)은, 텐션 플레이트(71)의 스프링 수용부(71b)에 수용할 수 있는 외경을 가지고, 베이스 본체(210)에 캡체(220)를 장착한 경우에 캡체(220)와의 사이에 압축한 상태에서 개재하여 텐션 플레이트(71)의 다리부(71c)를 각각 키톱부재(30)의 걸어맞춤 폴(41)에 항시 가압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이들 1쌍의 코일 스프링(72)은 푸시버튼부(12)를 누름조작하는 경우의 조작력에 비하여 텐션 플레이트(71)를 캡체(220)에 근접 이동시키는 경우의 조작력이 커지도록 스위치수단(10)에 내장된 도시 생략한 복귀 스프링보다 스프링 정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래치해제 조작장치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60)에 의하여 덮힌 키톱부재(30)가 개구(101)로부터 외부에 면하는 한편, 베이스부재(20)에서의 베이스 본체(210)의 표면과 도어 패널(100)의 내표면(102)과의 사이에 커버부재(60)의 가압 변형부(63)를 끼워 유지시키는 형태로 베이스부재(20)를 도어 패널(100)의 내표면(102)에 설치하고, 베이스 본체(210)의 나사구멍(211)을 거쳐 도어 패널(100)에 나사(도시 생략)를 체결함으로써 트렁크리드에 설치되게 된다.
이 설치상태에서는 키톱부재(30) 및 베이스부재(20)의 표면 전체가 커버부 재(60)에 의하여 덮여져 있기 때문에, 또한 베이스부재(20)에서의 베이스 본체(210)의 표면과 도어 패널(100)의 내표면(102)과의 사이에 가압 유지되어 눌러 찌그러진 가압 변형부(63)가 시일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도어 패널(100)의 개구(101)를 통하여 트렁크룸의 내부로 빗물이나 세정수의 물이 침입하는 사태를 초래할 염려가 없다.
또, 1쌍의 코일 스프링(72)의 가압력에 의하여 텐션 플레이트(71)를 거쳐 키톱부재(30)가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유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위치수단(10)이 OFF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설치상태에서 도어 패널(100)의 외부로부터 키톱부재(30)를 누르면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톱부재(30)의 바닥면을 거쳐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가 누름조작되어, 스위치수단(10)이 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스위치수단(10)이 릴리스 액츄에이터의 기동 스위치가 되도록 단자 박스를 거쳐 터미널편(216, 217)에 원하는 케이블을 접속하면 스위치수단(10)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릴리스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트렁크리드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는 키톱부재(30)와 베이스부재(20)의 캡체(220)의 사이에 가세수단(70)을 개재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키톱부재(30)를 눌러 스위치수단(10)의 푸시버튼부(12)를 누름조작하기 위해서는 1쌍의 코일 스프링(72)의 스프링력에 저항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세차장에서 고압의 세정수가 커버부재(60)를 거쳐 키톱부재(30)에 분사된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스위치 수단(10)의 푸시버튼부(12)가 누름조작되어 오동작할 염려가 없고, 트렁크리드가 잘못하고 개방되는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위치수단(10)에 내장된 복귀 스프링(도시 생략)의 스프링 정수를 높이는 일 없이 스위치수단(10)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키톱부재(30)를 누르기만 하면 스위치수단(10)을 확실하게 ON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키톱부재(30)를 누름조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수단(10)이 ON 상태가 되지 않는다는 불편을 초래할 염려가 없고, 조작성이 현저하게 손상되는 일도 없다.
또한 베이스부재(20)의 캡체(220)에 1쌍의 슬라이드 규제부재(51)를 설치함으로써 걸어맞춤 폴(41)의 걸어맞춤부(41b)와 폴 걸어멈춤부(42)가 맞닿아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베이스부재(20)에 대한 키톱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고 있음과 동시에, 베이스부재(20)에 대한 텐션 플레이트(71)의 슬라이드 이동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텐션 플레이트(71)의 다리부(71c)와 키톱부재(30)의 걸어맞춤 폴(41)과의 맞닿음상태가 해제될 염려가 없어, 상기한 작용효과를 계속적으로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수단(10)이 ON 상태가 된 후에 있어서 키톱부재(30)의 누름력을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72)의 가압력에 의하여 텐션 플레이트(71)를 거쳐 키톱부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스위치수단(10)의 도시 생략한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푸시버튼부(12)가 복귀 이동하여, 스위치수단(10)이 OFF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트렁크룸을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리드에 설치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그 밖의 도어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는 것에도 물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본체(11)가 대략 정사각형상으로 박형의 외형 형상을 이루고, 또한 스위치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박형 원주형상의 푸시버튼부(12)가 돌출한 스위치수단(10)을 적용하고 있으나, 스위치수단의 형상이나 구성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래치해제 조작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에서 키톱부재를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a에서의 화살표 III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측면 일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 베이스부재의 캡체를 생략한 상태의 분해 저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베이스부재의 베이스 본체에 키톱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베이스부재의 베이스 본체에 가세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 베이스부재의 베이스 본체에 키톱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 베이스부재의 베이스 본체에 키톱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 베이스부재의 베이스 본체에 키톱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의 베이스부재의 베이스 본체에 가세수단 및 캡체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4a는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 스위치수단이 OFF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
도 14b는 도 1에 나타낸 래치해제 조작장치에서 스위치수단이 ON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수단 11 : 스위치 본체
12 : 푸시 버튼부 20 : 베이스부재
30 : 키톱부재 40 : 걸어맞춤수단
41 : 걸어맞춤 폴 42 : 폴 걸어멈춤부
43 : 슬라이드홈 44 : 삽입구멍
50 : 슬라이드규제수단 51 : 슬라이드규제부재
60 : 커버부재 61 : 키 커버부
62 : 베이스 커버부 63 : 가압 변형부
64 : 장착 돌기체 70 : 가세수단
71 : 텐션 플레이트 72 : 코일 스프링
210 : 베이스 본체 211 : 나사 구멍
212 : 플레이트부 213 : 본체측 단자박스 구성부
214 : 스위치 수용 오목부 215 : 가세요소 수용부
216, 217 : 터미널편 218 : 커버 장착구멍
219 : 걸어맞춤 돌기 220 : 캡체
221 : 커버 캡부 222 : 캡측 단자박스 구성부
223 : 나사 삽입구멍 224 : 설치나사
225 : 탄성 걸어맞춤편

Claims (7)

  1. 스위치 본체(11)와 푸시 버튼부(12)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푸시 버튼부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대하여 누름조작된 경우에 도어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도록 ON 상태가 되는 스위치수단(10)과,
    푸시 버튼부가 표면, 즉 차체 바깥쪽을 향하도록 상기 스위치 수단을 수용하는 수용오목부(214)가 형성된 베이스 본체(210),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이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체(220)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20)와,
    상기 스위치수단의 푸시 버튼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 본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키톱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키톱부재를 통하여 상기 푸시 버튼부가 도어 패널(100)의 외부로부터 누름조작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스위치수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수용오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도어 패널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를 거쳐 상기 스위치수단이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의 이면과 상기 캡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키톱부재를 상기 스위치수단의 푸시 버튼부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70)을 개재시키고,
    상기 가세수단은, 상기 키톱부재에 맞닿는 텐션 플레이트(71)와, 상기 텐션 플레이트를 상기 키톱부재에 가압하는 형태로 설치한 가압 스프링(72)을 구비하고, 상기 키톱부재가 누름조작된 경우에 상기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텐션 플레이트를 연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부재를 덮음과 동시에,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도어 패널의 이면과 상기 베이스 본체의 표면과의 사이에 가압 유지되는 방수성의 커버부재(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부재는,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수단의 푸시 버튼부보다 큰 외형을 가짐과 동시에, 그 중심부를 상기 푸시 버튼부에 대향시키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한 것이고,
    상기 가세수단은, 상기 키톱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부재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하여 상기 키톱부재를 근접 이동시킨 후,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키톱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키톱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걸어맞춤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키톱부재의 누름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상기 키톱부재의 탈락이 규제되도록 상기 키톱부재와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수단(40)과,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걸어맞춰진 후,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상기 키톱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키톱부재의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캡체에 설치된 슬라이드 규제수단(5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해제 조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와, 상기 키톱부재에 형성되는 걸어맞춤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캡체에는 상기 슬라이드 규제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와 상기 키톱부재가 걸어맞춰진 후, 상기 캡체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한 상기 키톱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되어, 상기 걸어맞춤 수단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치해제 조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수단은, 키톱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연장되는 폴 기초부(41a)와, 상기 폴 기초부의 상방 끝에서 구부러져 형 성되는 걸어맞춤부(41 b)를 포함하는 걸어맞춤 폴(41)이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걸어맞춤 폴(41)이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삽입 구멍(44)과, 상기 걸어맞춤 폴(41)의 상기 폴 기초부(41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44)과 연결되는 슬라이드 홈(43)과, 상기 걸어맞춤 폴(41)의 상기 걸어맞춤부(41b)와 걸어맞춤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43)보다 상방에 형성된 폴 걸어멈춤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치해제 조작장치.
KR1020080050126A 2006-01-13 2008-05-29 래치해제 조작장치 KR100905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6015A JP4707565B2 (ja) 2006-01-13 2006-01-13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JP-P-2006-00006015 2006-01-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00162A Division KR20070076384A (ko) 2006-01-13 2006-10-16 래치해제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130A KR20080056130A (ko) 2008-06-20
KR100905761B1 true KR100905761B1 (ko) 2009-07-02

Family

ID=382587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00162A KR20070076384A (ko) 2006-01-13 2006-10-16 래치해제 조작장치
KR1020080050126A KR100905761B1 (ko) 2006-01-13 2008-05-29 래치해제 조작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00162A KR20070076384A (ko) 2006-01-13 2006-10-16 래치해제 조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18072B2 (ko)
JP (1) JP4707565B2 (ko)
KR (2) KR20070076384A (ko)
CN (1) CN100999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9795B (en) * 2006-09-27 2010-09-01 Compal Electronics Inc Magnetic controlled fastener device
US8201856B2 (en) * 2008-08-26 2012-06-19 The Boeing Company Flush-mounted latching assembly
KR100999966B1 (ko) * 2008-11-13 2010-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CN104141425B (zh) * 2013-05-07 2016-08-31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解锁装置
CN104835664B (zh) * 2014-06-26 2017-07-1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操作开关及汽车
JP6985878B2 (ja) * 2017-10-10 2021-12-22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054A (en) * 1974-11-22 1977-12-13 Canon Kabushiki Kaisha Key switch
JP2004324098A (ja) * 2003-04-22 2004-11-18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328U (ko) * 1988-11-21 1990-05-30
US5396038A (en) * 1992-06-15 1995-03-07 Smk Co., Ltd. Thin keyboard switch
JP3014086B2 (ja) * 1996-05-03 2000-02-28 株式会社マインドアップ 舌クリーナ
JP2001061849A (ja) * 1999-08-31 2001-03-13 Kunihisa Aizawa 舌垢の擦り取り具
JP3534068B2 (ja) 2000-12-19 2004-06-0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のロック解除操作装置
JP4370724B2 (ja) * 2001-02-08 2009-11-2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用ボタン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自動販売機
JP3079573U (ja) * 2001-02-14 2001-08-24 株式会社ヒロ・アドウイング 舌苔除去機能付歯ブラシ
US7057124B2 (en) * 2003-04-22 2006-06-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Push switch apparatus
DE10331947A1 (de) *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054A (en) * 1974-11-22 1977-12-13 Canon Kabushiki Kaisha Key switch
JP2004324098A (ja) * 2003-04-22 2004-11-18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2-0006198호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63864A1 (en) 2007-07-19
KR20070076384A (ko) 2007-07-24
KR20080056130A (ko) 2008-06-20
JP2007188770A (ja) 2007-07-26
CN100999965B (zh) 2011-08-17
US7518072B2 (en) 2009-04-14
CN100999965A (zh) 2007-07-18
JP4707565B2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761B1 (ko) 래치해제 조작장치
JP2606915Y2 (ja) スイッチ装置
CN106997815B (zh) 按钮开关
US7777141B2 (en) Latch-release actuating apparatus
US4044215A (en) Electric switch construction having an external locking mechanism
KR101704836B1 (ko) 푸시 스위치
KR101511322B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H0785743A (ja) プランジャスイッチ
US4698471A (en) Trigger operated portable electric tool switch
TWI443699B (zh) 開關
JP4607697B2 (ja) 防水型押釦スイッチ装置
US5711414A (en) Push switch
EP0138136B1 (en) Slide switch sideways operation adapter
JPWO2019008911A1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開閉検知装置
JP4620611B2 (ja) 電子キー装置
KR100290210B1 (ko) 모듈러잭
JPH05159662A (ja) 押しボタン構造
US4870229A (en) Push-button switch with unlocking prevention assembly
KR101994176B1 (ko) 차량용 포브키
KR102183345B1 (ko) 멀티탭
JP3461765B2 (ja) 押釦スイッチ
JP3980915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5339880A (ja) スイッチケースのコネクタ端子構造
JP5479128B2 (ja) 防水スイッチ
KR200422724Y1 (ko) 푸시 버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