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059A - 튜브 헤드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헤드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059A
KR20130082059A KR1020120127488A KR20120127488A KR20130082059A KR 20130082059 A KR20130082059 A KR 20130082059A KR 1020120127488 A KR1020120127488 A KR 1020120127488A KR 20120127488 A KR20120127488 A KR 20120127488A KR 20130082059 A KR20130082059 A KR 20130082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block
circular tube
tube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150B1 (ko
Inventor
천효민
Original Assignee
천효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효민 filed Critical 천효민
Publication of KR2013008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96Producing closure members for containers, e.g. closure caps or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보관하며 보관된 원형튜브 몸체(TU)를 배출하는 원형튜브보관부(210)와, 90°씩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인텍스부(240)와, 공급된 원형튜브 몸체(TU)를 상기 인텍스부(240)부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와 수평이동부(260) 및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를 포함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에 있어서,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를 통해 상기 원형튜브보관부(10)에서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직접 상기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튜브이송부(220)를 포함한다. 튜브이송부(220)는 구동모터로써 서보 모터 또는 인덱스 모터를 적용하여 이송블록(231)의 이동을 정밀 제어한다.

Description

튜브 헤드 성형장치{Apparatus for molding of tube head}
본 발명은 튜브 헤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 몸체의 삽입으로부터 이에 헤드(head)를 인서트 성형하고, 성형된 헤드에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헤드 꼭지를 절단하고, 성형완료된 튜브를 배출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 또는 치약 용기와 같은 PE 소재의 용기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튜브 몸체와, 그 일단에 장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갖는 헤드로 구성되는데, 튜브 헤드 성형장치는 튜브 몸체의 삽입으로부터 이에 헤드(head)를 인서트 성형하고, 성형된 헤드에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헤드 꼭지를 절단하고, 성형완료된 튜브를 배출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종래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22264호("튜브 헤드 성형 장치")에 개시되는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는, 원형튜브 몸체를 보관하며 보관된 원형튜브 몸체(TU)를 배출하는 원형튜브보관부(10)와, 상기 원형튜브보관부(10)에서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를 적재하여 이를 이송하는 튜브적재공급부(100)와 , 프레임부(20)와 , 상기 프레임부(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프레임부(20) 내측에 설치된 콘트롤러(CO)에 의해 90°씩 회전하도록 설치된 인텍스부(30)와 , 상기 튜브적재공급부(100)에서 원형튜브 몸체를 진공흡입하여 제1인텍스튜브공급부(5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프레임부(20)에 설치된 견인이동부(40)와, 견인이동부(40)에 의해 이송된 원형튜브 몸체를 수평이동부(50b)로 이송시키는 제1인텍스튜브공급부(50)와, 제1인텍스튜브공급부(50)에 의해 이송된 원형튜브 몸체를 인텍스부(3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수평이동부(50b) 및 제2 인텍스튜브공급부(50a)와, 상기 인텍스부(30)에 원형튜브 몸체(TU)가 끼워진 상태로 90° 회전하며 전진하면서 원형튜브 몸체(TU)의 헤드를 성형하도록 설치된 사출성형부(60)와 , 상기 사출성형부(60)에서 헤드가 사출성형되어 사출성형부(60)가 후진하면서 90°회전되어 원형튜브 헤드의 일부분을 절단하도록 프레임부(20)에 설치된 헤드노즐절단부(70)와, 상기 헤드노즐절단부(70)에서 상기 원형튜브(TU)의 헤드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90°회전하면서 원형튜브를 인텍스부(30)에서 이탈시켜 이송하도록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제품제거부(80),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O)로 구성된다. 그리고, 원형튜브 몸체를 적재하여 원형튜브 몸체(TU)를 이송하는 튜브적재공급부(100)는 튜브이송부(100a)와 견인이동부(40)를 구비한다.
한편, 튜브이송부(100a)는 원형튜브보관부(10)에서 배출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적재하여 견인이동부(40)에 원형튜브 몸체(TU)를 일정하게 공급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튜브이송부(100a)는 원형튜브보관부(10)에서 배출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적재하여 이를 이송시키는 다수 개의 이송블록(110a)과, 상기 이송블록(110a)과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이송블록(110a)을 구동시키는 구동체인(120a)과, 상기 구동체인(120a)과 축 결합되는 구동풀리(130a)와, 상기 구동풀리(130a)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130a)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동풀리(130a)를 통해 상기 구동체인(120a) 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40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견인이동부(40)는 상기 프레임부(2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견인프레임(41)과, 상기 견인프레임(41)에 설치된 가이드바(42)와, 상기 견인프레임(41)의 일단에 설치된 실린더(43)와, 상기 실린더(43)의 로드(44)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43)의 안내를 받아 이송되면서 상기 원형튜브 몸체(TU)를 진공흡입하여 이송시키는 진공흡착부(45)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견인이동부(40)는 튜브이송부(100a)에 의해 이송된 4개의 원형튜브 몸체(TU)를 들어올린 후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인텍스튜브공급부(50)의 고정형의 V형블록(54)에 원형튜브 몸체(TU)를 놓게 되고, 그 후 원형튜브 몸체(TU)는 수평이동부(50b), 제2인텍스튜브공급부(50a)를 거쳐 인텍스부(300)로 이송하여 인텍스(33)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에 의하면, 원형튜브보관부(10)에서 배출되는 원형튜브 몸체(TU)는 튜브이송부(100a), 견인이동부(40)에 의해 인텍스튜브공급부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송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견인이동부(40)의 실린더 이동에 의한 진공흡착부(45)의 하강, 진공흡착부(45)의 원형튜브 몸체(TU) 진공 흡착, 실린더 이동에 의한 진공흡착부(45)의 상승, 견인이동부(40)의 제1인텍스튜브공급부(50)로까지의 슬라이딩 이동, 진공흡착부(45)의 하강에 따른 원형튜브 몸체(TU)의 V형블록(54)으로의 안착 등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현대 제조분야에서 생산성 향상의 문제는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그리고, 종래의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이는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원형튜브 몸체가 적재되는 V형블록(54)과 원형튜브 몸체가 끼워지는 수평이동부(50b)의 홀더 간의 거리가 상당한데, 원형튜브 몸체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수평이동부(50b)의 홀더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원형튜브보관부에서 배출되는 원형튜브 몸체를 인텍스튜브공급부로의 이송하는 과정 및 시간을 줄이도록 하고, 또한 구성을 간단하게 하도록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원형튜브 몸체를 수평이동부의 홀더에 안정적으로 삽입하도록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보관하며 보관된 원형튜브 몸체(TU)를 배출하는 원형튜브보관부(210)와, 90°씩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인텍스부(240)와, 공급된 원형튜브 몸체(TU)를 상기 인텍스부(24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와 수평이동부(260) 및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를 포함하며, 또한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를 통해 상기 원형튜브보관부(210)에서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직접 상기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튜브이송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이송부(220)는, 상기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적재하여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푸싱부재(255)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시키도록 복수 개 형성되며, 적재시 상기 원형튜브(TU)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홈(231a)과 상기 원형튜브(TU)가 상기 안착홈(231a)에 적재시 상기 원형튜브 몸체(TU)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핀(231b)을 구비하는 이송블록(231)을 포함하는 이송블록유닛(230);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을 구동시키는 구동체인(222); 상기 구동체인(222)과 축 결합되는 구동풀리(223); 및, 상기 구동풀리(223)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223)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이와 연결된 구동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225)는 서보 모터 또는 인덱스 모터가 적용된다.
상기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푸싱부재(255) 하부에는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이 설치되며, 상기 원형튜브 몸체(TU)가 이송블록(231)에 적재시, 상기 이송블록 푸싱유닛(290)과 푸싱부재(255)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은 이송블록(231)을 상기 푸싱부재(255)는 원형튜브 몸체(TU)를 각각 상기 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은, 상기 이송블록(231)과, 상기 이송블록(231)의 저면에 고정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236)와, 상기 구동체인(222) 상단에 저면이 고정 설치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33)과 상기 가이드레일(233)을 따라 움직이며 상면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236)가 고정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재(234)를 구비하는 고정 플레이트(232)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236)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232)에 연결되는 스프링(23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은,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프레임부에 고정설치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싱유닛 가이드레일(293)과 상기 푸싱유닛 가이드레일(293)을 따라 움직이는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를 구비하는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와, 상기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의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와, 상기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와 결합하여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을 이동시키는 푸싱유닛 실린더(297)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푸싱유닛 실린더(297)의 동작에 의해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는 이동하여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을 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이동 플레이트(236)의 측부에는 스토퍼부재(23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고정 플레이트(232)의 가이드레일(233) 측부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재(237)와 간섭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236)이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블록(235)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원형튜브보관부에서 배출되는 원형튜브 몸체를 인텍스튜브공급부로 공급하는 견인이동부의 구성을 없애고, 튜브이송부에 채용되는 모터를 서보모터 또는 인덱스모터로 적용하여 이송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원형튜브보관부에서 배출되는 원형튜브 몸체를 바로 인텍스튜브공급로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원형튜브 몸체의 이송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또한 장치 전체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하도록 할 수 있어, 결국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월등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블록유닛과 이송블록 푸싱유닛을 설치하여 이송블록을 수평이동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짧은 원형튜브 몸체를 수평이동부의 홀더에 안정적으로 끼울 수 있게 되어, 결국 제품 제조의 신뢰성을 높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일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튜브이송부의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이동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개략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이송부의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요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이송블록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이송블록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이송블록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이송블록 푸싱유닛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이송블록 푸싱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15는 이송블록 푸싱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보관하며 보관된 원형튜브 몸체(TU)를 배출하는 원형튜브보관부(210)와, 상기 원형튜브보관부(210)에서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로 이송하는 튜브이송부(220)와, 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205)와, 상기 프레임부(205)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90°씩 회전하도록 설치된 인텍스부(240)와, 튜브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된 원형튜브 몸체를 수평이동부(260)로 이동시키는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와,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에 의해 이동된 원형튜브 몸체를 수평 이송시키는 수평이동부(260)와, 수평이동부(260)에 의해 이송된 원형튜브 몸체를 인텍스부(240)의 인텍스(242)에 가압하여 끼우도록 하는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와, 상기 인텍스부(240)에 원형튜브 몸체(TU)가 끼워진 상태로 90° 회전시 전진하면서 원형튜브 몸체(TU)의 헤드를 성형하도록 설치된 사출성형부(280)와, 상기 사출성형부(280)에서 헤드가 사출성형되어 사출성형부(280)가 후진하면서 인텍스부(280)가 90°회전되어 원형튜브 헤드의 일부분을 절단하도록 프레임부(205)에 설치된 헤드노즐절단부(310)와, 상기 헤드노즐절단부(310)에서 원형튜브 헤드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90°회전하면서 원형튜브를 인텍스부(240)에서 이탈시켜 이송하도록 프레임부(205)에 설치된 제품제거부(320),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프레임부 일측에 설치되는 콘트롤러(CO)를 포함한다.
도 7 내조 도 9를 참조하면, 튜브이송부(220)는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를 통해 이송되는 원형튜브 몸체(TU)가 적재되는 이송블록(231)을 포함하는 이송블록유닛(230)과, 상기 이송블록유닛(230)과 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을 구동시키며 무한궤도를 갖는 구동체인(222)과, 상기 구동체인(222)와 축 결합되는 구동풀리(223)와, 상기 구동풀리(223)와 연결되어 구동풀리(223)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이와 연결된 구동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5)를 포함하여, 원형튜브보관부(210)에서 배출되어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를 통해 이송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대응되는 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종래기술과 대비되는 본원발명의 일 특징은, 튜브이송부(220)가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를 통해 원형튜브보관부(210)에서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직접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점이다. 이를 위해 튜브이송부(220)의 이송블록유닛(230)은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이송블록유닛(230) 및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에 적재되는 원형튜브 몸체(TU)는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푸싱부재(255)와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기존 튜브 헤드 성형장치에 의하면,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원형튜브보관부(10)에서 배출되는 원형튜브 몸체(TU)는 일단 튜브이송부(100a)의 이송블록(110a)에 적재되고, 이송블록(110a)에 적재된 원형튜브 몸체는 견인이동부(40)에 의해 제1인텍스튜브공급부(50)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송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견인이동부(40)의 실린더 이동에 의한 진공흡착부(45)의 하강, 진공흡착부(45)의 원형튜브 몸체(TU) 진공 흡착, 실린더 이동에 의한 진공흡착부(45)의 상승, 견인이동부(40)의 제1인텍스튜브공급부(50)로까지의 슬라이딩 이동, 진공흡착부(45)의 하강에 따른 원형튜브 몸체(TU)의 V형블록(54)으로의 안착 등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견인이동부(40)의 구성을 삭제함으로써, 원형튜브 몸체를 이송시 중간과정 없이 바로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원형튜브 몸체의 이송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또한 장치 전체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하도록 할 수 있어, 결국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월등한 효과가 있다. 기존 장치에 의한 경우 원형튜브 몸체(TU)를 제1인텍스튜브공급부로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대략 5초 정도 소요되고 이를 전체 생산속도로 환산하면 분당 36개를 생산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원형튜브 몸체를 인텍스튜브공급부로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대략 2초 정도 소요되어 전체 생산속도가 분당 54개 정도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를 위해서는 구동체인(222)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이송블록(231)의 위치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모터(225)는 서보 모터 또는 인덱스 모터가 적용된다. 즉, 기존 장치에 의한 경우 원형튜브 몸체(TU)가 견인이동부(40)에 의해 고정된 V형블록(54)으로 적재되면 자동으로 위치가 맞춰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상기 견인이동부 및 V형블록이 생략되므로, 정확한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는 이송블록(231)의 위치이동을 정밀하게 해야하고, 이는 결국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5)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한다. 기존 장치에 채용되는 구동모터(140a, 도3 참조)는 단순한 감속기 모터가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경우 구동모터(225)를 서보 모터 또는 인덱스 모터를 적용함으로써 이송블록(231)의 위치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서보 모터는 센서, 엔코더 등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정밀 제어하여 구동하는 방식이고, 인덱스 모터는 센서를 통해 캠의 각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서보 모터 및 인덱스 모터의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송블록유닛(230)은 이송블록(231)과, 이동 플레이트(236)과, 고정 플레이트(232) 및 스프링(238)을 포함한다.
이송블록(231)은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을 가지며, 원형튜브 몸체(TU) 적재시 원형튜브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홈(231a)과, 원형튜브 몸체(TU)가 안착홈(231a)에 적재시 원형튜브 몸체(TU)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핀(231b)을 구비한다.
이동 플레이트(236)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이송블록(231)의 저면에 고정결합된다. 한편, 이동 플레이트(236)의 측부의 일측단부와 중반부에는 스토퍼부재(237)가 돌출 형성되고, 측부의 타측단부에는 스프링(238)의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걸이홈(236a)이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232)는 구동체인(222, 도7 및 도8 참조) 상단에 그 저면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상단에 길이 방향(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33)과, 상기 가이드레일(233)을 따라 움직이며 상면에 이동 플레이트(236)가 고정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재(234)를 구비한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232)의 가이드레일(233) 측부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동 플레이트(236)의 스토퍼부재(237)와 접촉, 간섭하여 이동 플레이트(236)이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블록(235)이 설치되며, 스토퍼블록(235)의 측부에는 상기 스프링(238)의 타단이 연결되는 스프링걸이홈(235a)이 형성된다.
스프링(238)은 일단이 이동 플레이트(236)의 스프링걸이홈(236a)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 플레이트(232)의 스프링걸이홈(232a)에 연결된다.
고정 플레이트(232)의 이동가이드 부재(234)는 가이드레일(233)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가이드 부재(234)는 이동 플레이트(236)와 결합하고 또한 이동 플레이트(236)는 이송블록(231)과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의 힘(이송블록 푸싱유닛(290))에 의해 이송블록(231)은 도 12와 같이 'A' 방향(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는 장치의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실린더를 구비하는 몸체(251)와,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252)과, 몸체(251)의 일단에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는 연장판(253)과, 연장판의 단부에 설치되어 몸체의 이동과 동시에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에 적재된 원형튜브 몸체(TU)를 수평이동부(260)의 홀더(261)로 가압하여 끼우도록 하는 푸싱부재(255)를 구비한다. 한편, 푸싱부재(255) 하부에는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이 설치된다.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은,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와,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 및 푸싱유닛 실린더(297)를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는 장치의 프레임부에 고정설치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싱유닛 가이드레일(293)과, 푸싱유닛 가이드레일(293)을 따라 이동하는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를 구비한다.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는 그 저면이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의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의 상면에 고정결합된다.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는 전술한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푸싱유닛 실린더(297)는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와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와 연결부재(298)에 의해 결합하여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를 이동시키게 된다.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의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는 푸싱유닛 가이드레일(293)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되는데,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는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푸싱유닛 실린더(297)의 동작에 의해 이와 결합된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는 이동하여 도 1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을 밀게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록(231)은 수평이동부(260) 방향('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원형튜브 몸체(TU)의 이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원형튜브보관부(210)에서 배출되어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를 통해 원형튜브 몸체(TU)가 이송되고, 구동모터(225)의 구동에 의해 구동체인(222)이 무한궤도 순환하면서 이송블록유닛(230)은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체인(222)에는 이송블록유닛(230)이 12개 설치된다.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에 4개의 원형튜브 몸체(TU)가 적재되면 센서감지에 의해 구동모터(225)의 구동은 잠시 멈추는데, 이때 서보 모터 또는 인덱스 모터가 적용된 구동모터(225)는 회전수를 정밀 조절하므로 이송블록유닛(230)은 수평이동부(260)의 대응되는 각각의 홀더(261) 및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70)의 대응되는 각각의 푸싱부재(255)에 마주보도록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는데, 도 16a는 그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 후,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70)의 몸체(251)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봉(252)을 따라 이동하는데, 몸체와 연동하는 푸싱부재(255)는 전진하여 원형튜브 몸체(TU)를 밀면서 수평이동부(260)의 홀더(261)에 끼우게 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의 푸싱유닛 실린더(297)의 동작에 의해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는 전진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을 밀게되고, 원형튜브 몸체(TU)가 적재된 이송블록(231)은 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원형튜브 몸체(TU)의 길이가 이송블록(231)의 길이보다 작고, 원형튜브 몸체(TU)의 좌측끝단은 이송블록(231)의 좌측끝단보다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가 이송블록(231)과 접촉하는 시점이 푸싱부재(255)가 원형튜브 몸체(TU)와 접촉하는 시점보다 앞서게 된다. 이동 플레이트(236)의 스토퍼부재(237)가 고정 플레이트(232)의 스토퍼블록(235)에 걸리면서 이송블록(231)의 이동은 멈추게 되나, 푸싱부재(255)에 의해 원형튜브 몸체(TU)는 계속 전진하여 수평이동부(260)의 홀더(261)에 끼워지게 된다.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가 후퇴하면, 이송블록(231)과 이동 플레이트(236)는 스프링(23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홀더(261)에 원형튜브 몸체(TU)가 끼워진 수평이동부(260)는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가 전진 및 후퇴하는 사이 구동모터(225)는 다시 구동하여 원형튜브 몸체(TU)를 적재하는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종래기술과 대비되는 본원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이송블록유닛(230)과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을 설치하여 이송블록(231)을 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는 점이다. 원형튜브 몸체(TU)는 그 쓰임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가 존재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의 경우 길이가 긴 원형튜브 몸체(TU)의 경우에는 작업에 문제가 없으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원형튜브 몸체(TU)의 경우에는 작업에 문제가 있었다. 즉, 이송블록(231)의 우측끝단과 홀더(261)의 좌측끝단간의 거리(D, 도16a 참조)가 상당하기 때문에, 짧은 원형튜브 몸체(TU)의 경우 홀더(261)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블록(231)을 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짧은 원형튜브 몸체를 홀더(261)에 안정적으로 끼울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이동부(260)는 원형튜브 몸체(TU)가 끼워지는 홀더(261)를 갖는 몸체부(262)와, 상기 몸체부(262)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62)를 수평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263)를 구비하여,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에 의해 홀더(261)에 끼워진 원형튜브 몸체(TU)를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상기 인텍스부(240)로 이송시키는 푸시홀더(271)가 구비된 푸시몸체(272)와, 푸시몸체(27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시몸체이송실린더(273)를 구비하여, 수평이동부(260)가 이동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오게 되면, 전진하여 푸시홀더(271)가 홀더(261)에 끼워진 원형튜브 몸체(TU)를 가압하여 상기 인텍스부(240)의 인텍스(242)에 끼우게 된다.
인텍스부(240)는 프레임부(205)의 하부에 설치된 인텍스구동수단(미도시)과 인텍스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면서, 원형튜브 몸체(TU)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움직이는 인텍스(2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텍스(242)는 사출성형부(280)에서 원형튜브 몸체(TU)의 전단부가 사출성형된 다음 90° 회전하여 인텍스(242)의 회전중심에서 헤드노즐절단부(310)로 에어가 선택적으로 토출되어 원형튜브의 전단부가 헤드노즐절단부 (310)로 밀착되게 된다 .
사출성형부(280)는 프레임부(205)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송실린더(282)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면서 원료를 믹싱하여 사출성형 시키도록 형성된 인젝션수단(283)과, 상기 인젠션수단(283)의 선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인텍스부(240)의 인텍스(242)에 끼워진 원형튜브 몸체(TU)에 인서트 사출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몰드금형(285)과, 상기 몰드금형(285)을 프레임부(205)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설치부재(284)로 구성된다. 그리고 인젝션수단(283)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수용하는 호퍼(283a)와, 상기 호퍼(283a)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지를 혼합하는 믹싱부(283b)와, 상기 믹싱부(283b)의 뒤쪽에 설치된 사출부(283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사출 성형시 이송실린더(282)가 전진하면서 토출봉(287)이 몰드금형(285) 내부로 삽입되고, 이 토출봉(287)을 통해 나오는 믹싱된 원료는 몰드금형(285) 내부에서 대면하는 원형튜브 몸체(TU)의 선단에 주입되고 가열된 몰드금형(285) 내부에서 성형되어, 결국 원형튜브 몸체의 단부에 헤드가 성형되게 된다.
헤드노즐절단부(310)는 프레임(205)에 설치되는 베이스(311)와, 상기 베이스(311)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모터와 같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과, 상기 구동수단이 회전하면서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헤드가 성형된 원형튜브의 전단부에 안착되는 부시(313)와, 상기 부시(313)의 회전과 함께 원형튜브의 전단부를 절단하는 칼날(314)로 구성된다.
제품제거부(320)는 상기 프레임부(205)에 설치되는 지지부(321)와, 상기 지지부(321)에 의해 고정되는 실린더(322)와, 원형튜브를 인텍스부(240)에서 전달받을 수 있는 튜브홀더(323)로 구성되어, 상기 튜브홀더(323)가 실린더(322)를 통해 이동되면서, 상기 원형튜브가 튜브홀더(323)에서 제거되어 자유낙하시키는 클램프(324)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 튜브 헤드 성형장치를 통해 대량의 원형튜브가 자동으로 사출 성형 및 가공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205. 프레임부 210. 원형튜브보관부
211.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 220. 튜브이송부
222. 구동체인 223. 구동풀리
225. 구동모터 240. 인텍스부
230. 이송블록유닛 231. 이송블록
232. 고정 플레이트 236. 이동 플레이트
240. 인텍스부 250. 제1인텍스튜브공급부
260. 수평이동부 270. 제2인텍스튜브공급부
280. 사출성형부 290. 이송블록 푸싱유닛
292.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 296.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

Claims (5)

  1. 원형튜브 몸체(TU)를 보관하며 보관된 원형튜브 몸체(TU)를 배출하는 원형튜브보관부(210)와,
    90°씩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인텍스부(240)와,
    공급된 원형튜브 몸체(TU)를 상기 인텍스부(24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와 수평이동부(260) 및 제2인텍스튜브공급부(270)를 포함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에 있어서,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를 통해 상기 원형튜브보관부(210)에서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직접 상기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튜브이송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이송부(220)는,
    상기 인클라인 컨베이어벨트(211)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원형튜브 몸체(TU)를 적재하여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푸싱부재(255)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시키도록 복수 개 형성되며, 적재시 상기 원형튜브(TU)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홈(231a)과 상기 원형튜브(TU)가 상기 안착홈(231a)에 적재시 상기 원형튜브 몸체(TU)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핀(231b)을 구비하는 이송블록(231)을 포함하는 이송블록유닛(230);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을 구동시키는 구동체인(222);
    상기 구동체인(222)과 축 결합되는 구동풀리(223); 및,
    상기 구동풀리(223)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223)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이와 연결된 구동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225)는 서보 모터 또는 인덱스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텍스튜브공급부(250)의 푸싱부재(255) 하부에는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이 설치되며,
    상기 원형튜브 몸체(TU)가 이송블록(231)에 적재시, 상기 이송블록 푸싱유닛(290)과 푸싱부재(255)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은 이송블록(231)을 상기 푸싱부재(255)는 원형튜브 몸체(TU)를 각각 상기 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은,
    상기 이송블록(231)과,
    상기 이송블록(231)의 저면에 고정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236)와,
    상기 구동체인(222) 상단에 저면이 고정 설치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33)과, 상기 가이드레일(233)을 따라 움직이며 상면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236)가 고정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재(234)를 구비하는 고정 플레이트(232)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236)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232)에 연결되는 스프링(238)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블록 푸싱유닛(290)은,
    튜브 헤드 성형장치의 프레임부에 고정설치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싱유닛 가이드레일(293)과, 상기 푸싱유닛 가이드레일(293)을 따라 움직이는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를 구비하는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와,
    상기 푸싱유닛 고정플레이트(292)의 푸싱유닛 이동가이드부재(294)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와,
    상기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와 결합하여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을 이동시키는 푸싱유닛 실린더(297)를 포함하며,
    상기 푸싱유닛 실린더(297)의 동작에 의해 푸싱유닛 이동플레이트(296)는 이동하여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이송블록(231)을 수평이동부(260) 방향으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이동 플레이트(236)의 측부에는 스토퍼부재(23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유닛(230)의 고정 플레이트(232)의 가이드레일(233) 측부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재(237)와 간섭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236)이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블록(23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

KR1020120127488A 2012-01-10 2012-11-12 튜브 헤드 성형장치 KR101305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3194 2012-01-10
KR1020120003194 2012-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059A true KR20130082059A (ko) 2013-07-18
KR101305150B1 KR101305150B1 (ko) 2013-09-12

Family

ID=4899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488A KR101305150B1 (ko) 2012-01-10 2012-11-12 튜브 헤드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8059A (zh) * 2021-02-23 2021-05-28 东莞市燊华塑胶五金有限公司 一种注塑五金件自动化上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83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KR101822481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로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847B1 (ko) * 2000-08-14 2002-07-02 천효원 튜브헤드성형기
KR101020705B1 (ko) * 2009-05-12 2011-03-09 권혁성 튜브 헤드 성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8059A (zh) * 2021-02-23 2021-05-28 东莞市燊华塑胶五金有限公司 一种注塑五金件自动化上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150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20304A (zh) 一种注塑车间自动摆盘设备
KR101305150B1 (ko) 튜브 헤드 성형장치
CN107476139B (zh) 一种植物纤维环保餐具生产线及制备方法
US5157894A (en) Orientation and loading device for vials in general and syringe vials in particular
CN110271134A (zh) 一种灯杯自动注塑机
KR101020705B1 (ko) 튜브 헤드 성형 장치
JP2005138438A (ja) 成形機その他加工機における成形品取出し装置
JP6411796B2 (ja) 振分装置
CN106217753A (zh) 植入注塑自动化设备
CN110340024B (zh) 一种眉笔检测装置及采用该装置检测眉笔断芯的方法
KR101566908B1 (ko) 자동 칫솔대 정렬 공급 장치
KR100342847B1 (ko) 튜브헤드성형기
KR101738812B1 (ko) 피검사부품 피딩장치
CN210973833U (zh) 一种液体肥料灌装机瓶体定位装置
CN210967790U (zh) 电动工具的摆杆轴承自动装配设备
KR20150068722A (ko) 튜브 헤드 성형장치
CN208100906U (zh) 一种多色注塑机的芯模及工件传输机构
JP2018177236A (ja) 充填方法及び充填装置
KR100264239B1 (ko) 리드프레임 몰딩 시스템 및 몰딩 방법
CN218429861U (zh) 自动化球料整列设备
US3444604A (en) Apparatus for trimming and removing neck flash from blown articles
CN110732858A (zh) 一种带轮压装设备
CN220519359U (zh) 一种自动上料装置
KR101478653B1 (ko) 카지노 칩 제조장치
CN207657061U (zh) 一种注塑机的注塑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