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809A -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809A
KR20130080809A KR1020130000715A KR20130000715A KR20130080809A KR 20130080809 A KR20130080809 A KR 20130080809A KR 1020130000715 A KR1020130000715 A KR 1020130000715A KR 20130000715 A KR20130000715 A KR 20130000715A KR 20130080809 A KR20130080809 A KR 2013008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protective layer
article
mold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423B1 (ko
Inventor
캐서린 에이. 오스트랜더
키티 엘. 공
찰스 케이. 뷸러
크리스 에이. 오버리트너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8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3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 B29C2045/1424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using deforming or preforming means outside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7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8Heating or cooling of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2Trim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4Labels, badges, e.g. marker slee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은 워크피스를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시스템을 가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열가소성 시스템은, 단부면을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말단면을 갖는 필름을 구비한다. 상기 워크피스는, 상기 말단면과 제1 표면 사이에 말단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말단면에 인접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편에 이격되며, 상기 단부면과 제2 표면 사이에 근위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제2 표면을 갖는다. 상기 방법은 몰드면과, 상기 몰드면으로부터 이격된 압력면 사이에 상기 워크피스를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워크피스의 배치 후에, 예비 성형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표면을 상기 압력면과 상기 몰드면 중 하나에 맞추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부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말단면을 접촉하여 덮는다. 또한, 물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 및 그 형성 방법{ARTICLE ATTACHABLE TO AN EXTERIOR SURFACE OF A VEHICLE AND METHOD OF FORMING THE ARTIC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 및 상기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종종 엠블렘 등의 독특한 배지(badging)를 구비하여 차량의 브랜드 및/또는 제조사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엠블렘은 차량 제조사와 차량 간의 확실하고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연관성을 전달하도록 설계되므로, 차량의 가시적인 외부면, 예컨대 전면 그릴, 후면 리프트게이트 및 트렁크, 및/또는 휠 커버에 종종 부착된다. 엠블렘의 임의의 결함 또는 열화는 차량에 여겨지는 품질을 떨어뜨리고 그리고/또는 차량 제조사의 평판을 더럽힐 수 있다.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은, 워크피스를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시스템을 가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열가소성 시스템은, 단부면을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말단면을 갖는 필름을 구비한다. 상기 워크피스는, 상기 말단면과 제1 표면 사이에 말단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말단면에 인접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편에 이격되며, 상기 단부면과 제2 표면 사이에 근위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제2 표면을 갖는다. 상기 방법은 몰드면과, 상기 몰드면으로부터 이격된 압력면 사이에 상기 워크피스를 배치하는 단계를 또한 구비한다. 상기 워크피스의 배치 후에, 상기 방법은 예비 성형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표면을 상기 압력면과 상기 몰드면 중 하나에 맞추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부착하여, 상기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말단면을 접촉하여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표면이 상기 몰드면과 면하고 상기 제2 표면이 상기 압력면과 면하도록 상기 몰드면과 상기 압력면 사이에 상기 워크피스를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몰드면은 그 사이에 제1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압력면은 그 사이에 제2 캐비티를 형성한다. 상기 워크피스의 배치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표면을 상기 압력면과 상기 몰드면 중 하나에 맞추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맞추는 단계는, 상기 제1 캐비티의 배기와 상기 제2 캐비티의 가압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제1 표면을 상기 몰드면과 접촉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부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말단면을 접촉하여 덮는다. 또한,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이 상기 근위 에지로부터 상기 말단 에지로 상기 예비 성형품을 접촉하여 덮도록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은, 제1 표면과, 상기 제1 표면의 반대편에 이격된 제2 표면을 갖는 예비 성형품을 구비한다. 상기 예비 성형품은, 단부면을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말단면을 갖는 필름을 구비한다. 상기 물품은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로 형성된 보호층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2 표면, 상기 단부면 및 상기 말단면을 접촉하여 덮는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이 본 발명에 지지되어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책 및 다른 실시예 중 일부가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각종 변형된 설계 및 실시예가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존재한다.
도 1은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된 물품의 개략적인 입면도,
도 2는 도 1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도 1의 물품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열가소성 시스템으로부터 형성된 워크피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2개의 가열 스테이션들 사이에 배치된 도 3의 열가소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열성형을 위해 구성된 장치의 압력면과 몰드면 사이에 배치된 도 4의 워크피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몰드면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파단 평면도로서, 상기 몰드면이 복수의 함몰부를 그 내에 형성하는 도면,
도 8은 도 6 및 도 7의 몰드면에 맞춘 도 4의 워크피스로부터 형성된 예비 성형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9는 사출 성형을 위해 구성된 장치 내에 배치된 도 8의 예비 성형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기 전에 도 8의 예비 성형품으로부터 형성된 도 1의 물품에 대한 개략적인 입면도,
도 10a는 10A-10A선을 따라 취한 도 10의 물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며, 차량(14)의 외부면(12)에 부착가능한 물품(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물품(10)은 자동차의 외부면(12)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엠블렘 또는 배지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지만, 물품(10)은 자동차의 외부면(12)에 부착하는데 사용가능한 바디측 몰딩 또는 로커(rocker)일 수 있다. 그러나, 물품(10)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건설, 철도, 항공 및 선박 등의 비자동차 적용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물품(10)(도 1)을 형성하는 방법(16)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16)은 워크피스(22)(도 4)를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시스템(20)(도 3)을 가열하는 단계(도 2의 블록(18)에 나타나 있고 도 5에 도시됨)를 구비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워크피스(22)"는 후속적인 공정을 받는 부품 또는 부재, 즉 재공품(work-in-process)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시스템(20)은 단부면(26)을 갖는 기판(24)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4)은 코팅가능한 표면(28), 상기 코팅가능한 표면(28)의 반대편에 이격된 노출면(30), 및 코팅가능한 표면(28)과 노출면(30)에 접하는 단부면(26)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판(24)은 캐리어 또는 백킹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24)은 부타디엔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비닐 코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그 혼합물, 코폴리머 및/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열가소성 시스템(20)은 기판(24) 상에 배치되며, 단부면(26)에 접하는 말단면(34)을 갖는 필름(32)을 더 구비한다. 이로써, 열가소성 시스템(20)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열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적층형 열가소성 시트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필름(32)은 기판(24)에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32)은 기판(24)에 화학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필름(32)은, 예컨대 접착층(36)에 의해 기판(2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필름(32)은 기판(24), 예컨대 코팅가능한 표면(28) 상에 배치된 접착층(36)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36)은 필름(32)을 기판(24)에 부착 또는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36)은 필름(32)을 기판(24)에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접착층(36)은 접착제,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타이층, 필름(32)과 기판(24)을 양립시키기 위해 구성된 조성물, 및/또는 전기도금 또는 e-코트 코팅 조성물일 수 있다.
도 3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필름(32)은 베이스코트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접착층(36) 상에 배치된 제1 경화 필름(3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접착층(36)을 구비하지 않은 실시예의 경우, 제1 경화 필름(38)은 기판(24)의 코팅가능한 표면(2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화 필름(38)은 금색 또는 빨간색 등의 소정의 색상으로 염색될 수 있는, 예컨대 색상 페인트 조성물, 즉 베이스코트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32)은 클리어코트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제1 경화 필름(38) 상에 배치된 제2 경화 필름(4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경화 필름(40)은 물품(10)(도 1)에 광택, 윤기 및/또는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32)은 하나 이상의 페인트 또는 코팅 조성물 층일 수 있고, 페인트된 필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2)은 약 0.03 mm 내지 약 0.12 mm, 예컨대 약 0.06 mm 내지 약 0.1 mm의 두께(42)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름(32)은 0.07 mm 내지 약 0.09 mm의 두께(42)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필름(32)은 접착층(36) 상에 배치된 성형가능한 금속층(44)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층(36)을 구비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성형가능한 금속층(44)은 기판(24)의 코팅가능한 표면(2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성형가능한 금속층(44)은 접착층(36) 상에 스퍼터링되거나 또는 달리 형성될 수 있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의 혼합물 및 크롬과 철을 포함하는 니켈계 합금, 예컨대 알루미늄과 인코넬(등록상표)의 혼합물 등의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32)은 클리어코트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성형가능한 금속층(44) 상에 배치된 제2 경화 필름(4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32)은 투명 필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열가소성 시스템(20)은 워크피스(22)(도 4)를 형성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시스템(20)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상에 반입되어 하나 이상의 가열 스테이션(도 5에서 참조부호 46 및 48로 도시됨) 내에서 평행이동될 수 있다. 가열 스테이션(46, 48) 각각은 열가소성 시스템(20)의 온도를, 예컨대 약 135℃ 내지 약 205℃로 올릴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나 이상의 가열 스테이션(46, 48)은 쿼츠(quartz), 칼로드(calrod), 세라믹 및/또는 할로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가열(18)(도 2) 시에, 열가소성 시스템(20)은 워크피스(22)(도 4) 및 그 결과적인 물품(10)(도 1 및 도 10)을 형성하기 위해 준비로 성형가능한 연화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워크피스(22)는 제1 표면(50)과 말단면(34) 사이에 말단 에지(52)를 형성하도록 말단면(34)에 접한 제1 표면(50)을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선영성(distinctness of image)"은 연마된 고광택 표면의 가시적인 외관에 대한 묘사를 지칭한다. 즉, 선영성은 물체에 의해 반사된 화상의 선예도(sharpness)를 지칭한다. 보다 상세하게, 선영성은 전달 또는 반사 동안에 분산에 의해 규칙적인 방향으로부터 광 전파의 편차에 대한 수량화를 지칭한다. 선영성은 시험 방법 ASTM D5767-95 (2004)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방법(16)(도 2)의 경우, 제1 표면(50)은 시험 방법 ASTM D5767-95 (2004)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약 80 이상의 선영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광택"은 광을 정반사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표면, 예컨대 제1 표면(50)도 4)의 성능에 대한 수량화를 지칭한다. 즉, 광택은 다른 방향보다는 정반사 방향에 근접한 방향으로 보다 많은 광을 반사시키는 표면의 성능에 관련한다. 이로써, 광택은 물체의 가시적인 인식에 대한 측정이며, 일반적으로 광택 단위로 표현된다. 방법(16)(도 2)의 경우, 제1 표면(50)은 시험 방법 ASTM E40-11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약 70 글로스 이상의 광택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제1 표면(50)은 "A" 등급의 표면 마무리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A" 등급은 차량(14)(도 1)의 외부면(12)(도 1)에 형성 또는 부착되는 부품에 적절한 표면 마무리를 지칭한다. 즉, 차량(14)의 내부면(도시하지 않음)에 형성 또는 부착하기에 적절한 부품과 비교하여, "A" 등급의 표면 마무리를 갖는 부품은 비교적 높은 선영성 및 광택을 갖는 표면을 갖는다. "A" 등급 표면은 차량(14)의 외부에 위치설정된 차량(14)의 관찰자를 마주본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워크피스(22)는 제1 표면(50)의 반대편에 이격된 제2 표면(54)을 갖는다. 즉, 제2 표면(54)은 제1 표면(50)으로부터 워크피스(22)의 반대측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2 표면(54)은 차량(14)(도 1)의 외부면(12)(도 1)에 마주보고/보거나 결과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다. 따라서, 제1 표면(50)은 필름(32), 예컨대 제2 경화 필름(40)(도 3)에 상응할 수 있고, 제2 표면(54)은 차량(14)의 설치 시에 차량(14)의 외부면(12)에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0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면(54)은, 제2 표면(54)과 단부면(26) 사이에 근위 에지(56)를 형성하도록 단부면(26)에 접한다. 따라서, 근위 에지(56)는 말단 에지(5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16)(도 2)은 몰드면(60)과, 상기 몰드면(60)으로부터 이격된 압력면(62)(도 6) 사이에 워크피스(22)(도 6)를 배치하는 단계(58)(도 2)를 더 구비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16)은 제1 표면(50)(도 6 및 도 8)이 몰드면(60)에 면하고 제2 표면(54)(도 6 및 도 8)이 압력면(62)에 면하도록 몰드면(60)과 압력면(62) 사이에 워크피스(22)를 배치하는 단계(5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표면(50)은 몰드면(60) 쪽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배향될 수 있고, 제2 표면(54)은 압력면(62) 쪽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배향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지만, 워크피스(22)는 제2 표면(54)이 몰드면(60)에 면하고 제1 표면(50)이 압력면(62)에 면하도록 몰드면(60)과 압력면(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몰드면(60) 및 압력면(62)은 열가소성 시스템(20)(도 3)을 열성형하도록 구성된 장치(64)의 각각의 부품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열성형"은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열가소성 시스템(20)을 가열하고, 몰드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서 열가소성 물질을 성형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장치(64)는 서로 분리가능하고 밀봉가능한 2개의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64)는 진공 박스 부품(66) 및 압력 박스 성분(6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진공 박스 부품(66)은 몰드면(60)을 구비하고 압력 박스 부품(68)은 압력면(62)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16)(도 2)의 경우, 워크피스(22)는 제1 표면(50)이 진공 박스 부품(66) 쪽으로 면하고, 제2 표면(54)이 압력 박스 부품(68) 쪽으로 면하도록 배향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제1 표면(50)이 몰드면(60)으로부터 이격된 방법(16)(도 2)의 실시예의 경우, 제1 표면(50)과 몰드면(60)은 그 사이에 제1 캐비티(7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워크피스(22)는 압력 박스 부품(68)으로부터 진공 박스 부품(66)을 봉쇄하도록 장치(64) 내에 배치되어, 제1 표면(50)과 몰드면(60) 사이에 제1 캐비티(70)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표면(54)과 압력면(62)은 그 사이에 제1 캐비티(7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워크피스(22)는 압력 박스 부품(68)으로부터 진공 박스 부품(66)을 봉쇄하도록 장치(64) 내에 배치되어, 제2 표면(54)과 몰드면(62) 사이에 제2 캐비티(7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캐비티(70)와 제2 캐비티(72)는 유체 연통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별개로 밀봉될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진공 박스 부품(66)과 압력 박스 부품(68)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 박스 부품(66)은 고정되어 초기에 압력 박스 부품(6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서, 워크피스(22)가 장치(64) 내에 반입되고 진공 박스 부품(66)과 압력 박스 부품(6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몰드면(60)과 압력면(62) 사이에서 워크피스(22)를 배치 단계(58)(도 2) 후에, 압력 박스 부품(68)은 진공 박스 부품(66)과 압력 박스 부품(68) 사이에 폐쇄된 기밀식 밀봉이 형성될 때까지 진공 박스 부품(66) 쪽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박스 부품(66)과 제1 캐비티(70)는, 제1 캐비티(70) 내의 진공을 끌어내리도록 구성된 진공원(74), 예컨대 펌프에 유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진공"은 대기압 아래의 임의의 압력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압력 박스 부품(68)과 제2 캐비티(72)는 제2 캐비티(72)를 압축 가스(78)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압력원(76), 예컨대 펌프에 유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압축 가스(78)"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갖는 가스를 지칭한다. 압축 가스(78)의 비제한적인 적절한 예에는, 질소 및/또는 공기가 있다. 더욱이, 장치(64)는 유체, 예컨대 압축 가스(78) 또는 공기를 진공원(74)과 압력원(76)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이송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도관(80) 또는 밸브(82)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몰드면(60)은 물품(10)(도 1 및 도 10)의 소정의 형상에 따른 사전결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더욱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물품(10)은 제1 표면(50)을 몰드면(60) 또는 압력면(62)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면(60)은 그 내에 복수의 함몰부(8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함몰부(84)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물품(10) 상에 소정의 촉감을 형성할 수 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스트리핑, 크로스 해칭, 체커보드, 베벨, 다이아몬드형 등과 같이 몰드면(60) 상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방법(16)을 다시 참조하면, 배치 단계(58) 후에,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16)은 몰드면(60)(도 6) 또는 압력면(62)(도 6)을 냉각하는 단계(8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법(16)은 배치 단계(58) 후에, 몰드면(60)을 약 38℃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86)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냉각 단계(86)는 몰드면(6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몰드면(60) 또는 압력면(62)은 임의의 방식으로 냉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64)는 몰드면(60)에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냉각수 라인(8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라인(88)을 통해 물과 같은 냉각수 또는 냉매가 흘러 몰드면(6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단계(86)는 형성된 물품(10)(도 1)의 우수한 선영성 및 광택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16)(도 2)은, 배치 단계(58)(도 2) 후에, 예비 성형품(92)(도 8)을 형성하도록 제1 표면(50)을 압력면(62)(도 6)과 몰드면(60)(도 6) 중 하나에 맞추는 단계(90)(도 2)를 더 구비한다. 즉, 제1 표면(50)은 몰드면(60) 또는 압력면(62)에 대해 몰딩 또는 압착될 수 있다. 몰드면(60)을 냉각 단계(86)(도 2)를 구비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16)은 냉각 단계(86) 후에 맞추는 단계(90)를 구비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맞추는 단계(90)는 제1 캐비티(70)(도 6)의 배기와 제2 캐비티(72)(도 6)의 가압을 동시에 수행하여 제1 표면(50)을 몰드면(60)과 접촉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캐비티(70)가 배기되는 한편, 제2 캐비티(72)는 제1 표면(50)이 몰드면(60)과 접촉하여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배기는 제1 캐비티(70) 내에서 제1 표면(50)을 약 33 KPa 내지 약 75 KPa의 진공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기는 약 5초 내지 약 60초의 기간 동안에 제1 표면(50)을 진공에 노출시킬 수 있다. 진공원(74)은 제1 표면(50)이 몰드면(60) 쪽으로 끌어 당겨지거나 흡입되도록 제1 캐비티(70) 내에서 진공을 끌어내림으로써, 제1 표면(50)이 몰드면(60)과 접촉하고 몰드면(60)의 형상과 맞춰질 수 있다.
더욱이,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가압은 약 345 KPa 내지 약 1,035 KPa의 압력에서 약 21℃ 이하의 온도를 갖는 압축 가스(도 6에서 참조부호 "78"로 나타냄)를 제2 표면(54)에 인가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가압은 약 515 KPa 내지 약 865 KPa의 압력에서 약 0℃ 내지 약 16℃의 온도를 갖는 압축 가스(78)를 인가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압은 약 5 초 내지 약 40 초의 기간 압축 가스(78)를 제2 표면(54)에 인가할 수 있다. 가압 동안에 압축 가스(78)의 전술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압축 가스(78)는 칠러(94)를 통과할 수 있다.
도 6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압력원(76)은 제2 표면(54)이 몰드면(60) 쪽으로 밀리거나 또는 압착되도록 제2 캐비티(72) 내의 제2 표면(54)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제1 표면(50)이 몰드면(60)과 접촉하여 몰드면(60)의 형상과 맞출 수 있다. 즉, 제1 캐비티(70)의 배기와 제2 캐비티(72)의 가압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는 제1 표면(50)이 몰드면(60)의 형상과 맞추어 예비 성형품(92)(도 8)을 형성하도록 워크피스(22)를 성형할 수 있다. 달리 언급하면, 압력원(76)으로부터의 압축 가스(78)의 압력은 워크피스(22)의 제2 표면(54)에 대해 압착하여 제1 표면(50)을 몰드면(60) 상에 배치하는 한편, 진공원(74)에 의해 유도된 진공은 제1 표면(50)을 몰드면(60) 상에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배치 단계(58)(도 2) 후에, 상기 방법(16)(도 2)은 약 1 초 내지 약 15 초, 예컨대 약 5 초 내지 약 10 초의 기간 동안에 약 0℃ 내지 약 21℃의 온도를 갖는 압축 가스(78)로 제2 캐비티(72)를 세척하는 단계(96)(도 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압축 가스(78)는 칠러(94)를 통과하여 약 515 KPa 내지 약 865 KPa의 압력에서 압력 박스 부품(68)의 제2 캐비티(72)를 세척할 수 있다. 유리하게, 제2 캐비티(72)의 세척 단계(96)는 워크피스(22), 예컨대 제1 표면(50)을 약 95℃ 이하의 온도로 냉각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제1 표면(50)의 온도는 제1 표면(50)을 몰드면(60) 또는 압력면(62)에 맞추는 단계(90)(도 2)의 30 초, 예컨대 15 초 이내에 약 88℃ 이하로 낮춰진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맞추는 단계(90) 후에, 상기 방법(16)은 장치(64)(도 8)로부터 예비 성형품(92)(도 8)을 제거하는 단계(9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방법(16)은 진공 박스 부품(66)(도 8)과 압력 박스 부품(68)(도 8)을 분리할 수 있어서, 예비 성형품(92)(도 8)이 몰드면(60)(도 8)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더욱이, 예비 성형품(92)의 소정의 형상에 따라서, 예비 성형품(92)은 더욱 냉각되거나/되고 그 사이즈가 다듬어질 수 있다.
도 2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상기 방법(16)은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도 9)를 예비 성형품(92)(도 9) 상에 배치하는 단계(100)를 더 구비하여, 그 상에 보호층(104)(도 10a)을 형성하여 물품(10)(도 1 및 도 10)을 형성한다. 특히, 보호층(104)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말단면(34)과 접촉하여 덮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사출 성형"은, 예컨대 몰드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서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를 가열, 혼합 및/또는 공급함으로써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도 9) 또는 수지를 성형 또는 몰딩하고, 그 후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를 냉각하여 캐비티의 형상에 따라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를 경화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적절한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나일론,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테렌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 폴리머;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에폭시 및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폴리머;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부타디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및 에틸렌 프로펠렌 디엔 고무 등의 탄성중합체; 및 그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9 및 도 10a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부착 단계(100)(도 2)는 예비 성형품(92)(도 9) 상에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도 9)를 사출 성형하여, 보호층(104)(도 10a)이 근위 에지(56)(도 10a)로부터 말단 에지(52)(도 10a)로 에비 성형품(94)과 접촉하여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104)은 말단면(34)(도 10a)과 접촉하여 덮는다. 이로써, 보호층(104)은, 예컨대 먼지, 화학 물질, 유체 등의 오염물과 말단면(34) 사이에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보호층(104)은 오염물이 필름(32)(도 10a)의 말단면(34)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보호층(104)은 필름(32)의 말단면(34)을 잠재적인 열화 및/또는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단계(100)(도 2)는 장치(106), 예컨대 사출 성형기 내에 예비 성형품(92)을 배치하여 그 사이에 공극(108)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방법(16)(도 2)은 소정의 형상 또는 구성을 갖는 몰드(10)의 캐비티, 즉 공극(108) 내에 예비 성형품(92)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부착 단계(100)는 하나 이상의 히터(11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를 공극(108) 내에 주입 또는 공급하여,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를 제2 표면(54)(도 10a)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는 노즐(118)을 통해 호퍼(116)로부터 공급(108) 내로 왕복 스크류(114)를 거쳐 공급될 수 있고, 공극(108) 내에 배치된 예비 성형품(92)의 제2 표면(54)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단계(100)는, 사출 단계 후에,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를 냉각하여 보호층(104)(도 10a)이 단부면(26)(도 10a)과 말단면(34)(도 10a)과 접촉하여 덮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9 및 도 10a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도 9)를 냉각하는 단계는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를 성형하여, 보호층(104(도 10a)이 제2 표면(54)(도 10a), 단부면(26)(도 10a) 및 말단면(34)(도 10a)만을 접촉하여 덮고, 제1 표면(50)(도 10a)을 덮지 않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0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04)은 제2 표면(54)과 접촉하여 덮고, 근위 에지(56) 주위를 감싸고, 단부면(26)과 말단면(54)을 접촉하여 덮고, 말단 에지(52)에 인접할 수 있다. 달리 언급하면, 상기 방법(16)(도 2)은 제2 표면(54)을 보호층(104)으로 덮도록 접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보호층(104)은 말단 에지(52)와 인접한다. 더욱이, 도시하지 않더라도, 보호층(104)은 차량(14)(도 1)의 외부면(12)(도 1)에 물품(10)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페그 또는 노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부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14)의 조립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호층(104)은 말단면(34)으로부터 단부면(26)으로 연장될 수 있고, 말단 에지(52)에서 약 1 mm 내지 약 3 mm의 높이(120)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0a를 다시 참조하면, 물품(10)은 제1 표면(50)과, 상기 제1 표면(50)의 반대편에 이격된 제2 표면(54)을 갖는 예비 성형품(92)을 구비한다. 예비 성형품(92)은 단부면(26)을 갖는 기판(24)과, 상기 기판(24) 상에 배치되며 단부면(26)에 접촉하는 말단면(34)을 갖는 필름(32)을 구비한다. 물품(10)은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102)(도 9)로부터 형성된 보호층(104)을 더 구비하며, 보호층(104)은 제2 표면(54), 단부면(26) 및 말단면(34)과 접촉하여 덮는다. 즉, 보호층(104)은 제1 표면(50)을 덮지 않을 수 있다.
도 10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10)은 약 5 mm 내지 약 15 mm, 예컨대 약 7 mm 내지 약 13 mm의 두께(122)를 가질 수 있다. 소망한다면, 물품(10)은, 물품(10) 상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며 차량(14)(도 1)의 외부면(12)(도 1)에 물품(10)이 부착되기 전에 물품(10)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방법(16)(도 2)은 레터링, 숫자 및 비교적 샤프한 코너 또는 교차점 등의 복잡한 설계를 갖는 물품(10)을 요구하는 적용에 유용하다.
도 10a를 다시 참조하면, 복수의 함몰부(84)(도 7)를 형성하는 몰드면(60)(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16)(도 2)에 의해 형성된 결과적인 물품(10)은 복수의 함몰부(94) 중 하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출부(124)를 구비한다. 즉, 형성된 물품(10)은 텍스처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텍스처드 외관은 상기 방법(16)이 제2 표면(54)보다는 제1 표면(50)을 몰드면(60) 또는 압력면(62)에 맞추는 단계(90)(도 2)를 구비하기 때문에 성취가능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기 방법(16)(도 2)에 의해 형성된 물품(10)(도 1 및 도 10)은 상술한 선영성 및 광택을 갖는다. 즉, 워크피스(22)(도 4)의 제1 표면(50)(도 4)의 초기 선영성 및 초기 광택은 상기 방법(16) 동안에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아서, 형성된 물품(10)은 초기의 선영성 및 초기의 광택을 갖는다. 특히, 몰드면(60)(도 6)과 압력면(62)(도 6), 예컨대 몰드면(60) 중 하나에 제1 표면(50)을 맞추는 단계(90)(도 2)는 물품(10)의 형성 동안에 워크피스(22) 및 예비 성형품(92)(도 9)의 선영성 및 광택을 보존할 수 있다. 달리 언급하면, 물품(10)은 워크피스(22) 및 예비 성형품(92)의 선영성 및 광택을 유지한다. 이로써, 물품(10)은 "A" 등급의 표면 마무리를 갖고, 차량(14)(도 1)의 외부면(12)(도 1)에 부착하기에 적절하다.
또한, 전술한 방법(16)(도 2)은, 예컨대 선상 부식(filiform corrosion),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 및/또는 바이메탈 전하 디시페이션(bimetallic charge dissipation)으로부터 최소화된 부식 및/또는 열화를 갖는 물품(10)(도 1 및 도 10)을 형성한다. 특히, 말단면(34)(도 10a)과 접촉하여 덮는 보호층(104)(도 10a)은 필름(32)(도 10a) 및/또는 기판(24)(도 10a)과 물품(10)의 부착 및/또는 열화의 원인이 되는 먼지, 화학 물질 및 유체 등의 오염물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한다. 즉, 보호층(104)은 오염물로부터 필름(32)을 절연하여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16)은 "A" 등급의 표면, 우수한 내구성 및 선택적인 텍스처의 우수한 선명도를 갖는 물품(1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방법(16)은 소정의 제조 사이클 시간 내에 물품(10)을 경제적으로 생산하고, 차량(14)의 외부면(12)에 부착하기에 적절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물품(10)을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방법(16)은 물품(10)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형성을 허용하고, 물품(10)은 차량(14)의 인지되는 증가된 품질에 기여한다.
본 개시내용을 수행하는 최선책이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개시내용을 실시하는 각종 변형 설계 및 실시예를 당업자가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워크피스를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시스템을 가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열가소성 시스템은,
    단부면을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말단면을 갖는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워크피스는,
    상기 말단면과 제1 표면 사이에 말단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말단면에 인접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편에 이격되며, 상기 단부면과 제2 표면 사이에 근위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제2 표면을 갖는, 상기 열가소성 시스템을 가열하는 단계;
    몰드면과, 상기 몰드면으로부터 이격된 압력면 사이에 상기 워크피스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워크피스의 배치 후에, 예비 성형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표면을 상기 압력면과 상기 몰드면 중 하나에 맞추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부착하여, 상기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말단면을 접촉하여 덮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을 상기 보호층으로 접촉하여 덮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말단 에지에 접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이 상기 근위 에지로부터 상기 말단 에지로 상기 예비 성형품을 접촉하여 덮도록 상기 예비 성형품 상에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예비 성형품과 장치 사이의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 내에 상기 예비 성형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가 상기 제2 표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공극 내에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주입하는 단계; 및
    주입 후에, 상기 보호층이 상기 단부면과 상기 말단면을 접촉하여 덮도록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냉각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이 상기 제2 표면, 상기 단부면 및 상기 말단면만을 접촉하여 덮고 상기 제1 표면을 덮지 않도록 상기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를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몰드면은 그 사이에 제1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압력면은 그 사이에 제2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표면을 상기 압력면과 상기 몰드면 중 하나에 맞추는 단계는, 상기 제1 캐비티의 배기와 상기 제2 캐비티의 가압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제1 표면을 상기 몰드면과 접촉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은, 약 345 KPa 내지 약 1,035 KPa의 압력에서 약 21℃ 이하의 온도를 갖는 압축 가스를 상기 제2 표면에 인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는, 상기 제1 캐비티 내에서 상기 제1 표면을 약 33 KPa 내지 약 75 KPa의 진공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피스의 배치 후에, 약 1초 내지 약 15초의 기간 동안에 약 0℃ 내지 약 21℃의 온도를 갖는 압축 가스로 상기 제2 캐비티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방법.
  10.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에 있어서,
    제1 표면과, 상기 제1 표면의 반대편에 이격된 제2 표면을 갖는 예비 성형품으로서,
    상기 예비 성형품은,
    단부면을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부면에 인접한 말단면을 갖는 필름을 구비하는, 상기 예비 성형품; 및
    사출 성형가능한 폴리머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2 표면, 상기 단부면 및 상기 말단면을 접촉하여 덮는
    물품.
KR1020130000715A 2012-01-05 2013-01-03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 및 그 형성 방법 KR101404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43,763 2012-01-05
US13/343,763 US20130177729A1 (en) 2012-01-05 2012-01-05 Article attachable to an exterior surface of a vehicle and method of forming the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809A true KR20130080809A (ko) 2013-07-15
KR101404423B1 KR101404423B1 (ko) 2014-06-10

Family

ID=4865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715A KR101404423B1 (ko) 2012-01-05 2013-01-03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77729A1 (ko)
KR (1) KR101404423B1 (ko)
CN (1) CN103192487A (ko)
AU (1) AU2012258330B2 (ko)
BR (1) BR102012029670A2 (ko)
DE (1) DE102013200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8733B1 (en) * 2013-08-20 2017-01-1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forming articles from a polymeric sheet
DE102013017437A1 (de) * 2013-10-19 2014-10-02 Linden Gmbh Ein Emblem oder eine Verzierung aufweisendes Bauteil insbesondere Radom
US9623624B2 (en) * 2014-11-10 2017-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rapped part assembly with edge/corner defining inserts
US10406735B2 (en) * 2016-02-24 2019-09-10 Dura Operating, Llc Injection molded part with insert film
US9834155B2 (en) * 2016-03-09 2017-12-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adar transparent vehicle emblem with multi-color, multi-dimensional A-surface
CN110271135A (zh) * 2018-03-14 2019-09-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玻璃组件制作方法、玻璃组件及显示屏
KR101877856B1 (ko) * 2018-04-03 2018-08-07 디엘피주식회사 자동차 엠블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8224A (en) * 1979-02-12 1983-01-11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Decorative molding with metallic appearance
US4722818A (en) * 1984-03-20 1988-02-02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elongated composite article
US5342666A (en) * 1986-10-28 1994-08-30 Rexham Industries Corp. Injection molded plastic article with integral weatherable pigmented film surface
US6835267B1 (en) * 1987-03-27 2004-12-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Dry paint transfer process and product
DE10322994A1 (de) * 2003-05-21 2004-12-09 Arvinmeritor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bauteils, insbesondere eines Fahrzeugteils, sowie Karosserieanbauteil
JP2901051B2 (ja) * 1995-03-15 1999-06-02 河西工業株式会社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
JP3296964B2 (ja) * 1996-03-04 2002-07-0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車両外装用樹脂製エンブレム
EP0845344A1 (en) * 1996-11-28 1998-06-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preparing decorative elements
US5968657A (en) * 1997-08-18 1999-10-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int film assembly with mask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87233B1 (en) * 1998-12-15 2001-02-13 Guardian Automotive Trim, Inc. Automotive trim with clear top coa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19438B1 (en) * 1998-12-15 2001-11-20 Guardian Automotive Trim, Inc. Extruded automotive trim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741754Y (zh) * 2004-06-10 2005-11-23 新冀机械有限公司 厚膜高压成型设备
US7655163B2 (en) * 2007-05-09 2010-02-02 Sanwa Screen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film insert molded article
DE102007049195A1 (de) * 2007-10-13 2009-04-16 Paulmann & Cron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mblems
EP2253467A4 (en) * 2008-03-12 2013-01-16 Dai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ON FOIL FOR THREE-DIMENSIONAL WORKPIECE
CN102227646A (zh) * 2008-12-01 2011-10-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装饰被膜及其形成方法
JP2010137492A (ja) * 2008-12-15 2010-06-24 Marusan Kinzoku:Kk 光輝性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423B1 (ko) 2014-06-10
AU2012258330B2 (en) 2014-08-14
US20130177729A1 (en) 2013-07-11
BR102012029670A2 (pt) 2014-09-16
CN103192487A (zh) 2013-07-10
AU2012258330A1 (en) 2013-07-18
DE102013200011A1 (de)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423B1 (ko) 차량의 외부면에 부착가능한 물품 및 그 형성 방법
JP5928713B2 (ja) インモールド加飾方法及び装置
EP25650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horizontal molding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WO2018099056A1 (zh) 钢化玻璃与塑胶件的复合结构及其制造方法
CN106043156A (zh) 保护盖和制造保护盖的方法
JP5790513B2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EP3375605B1 (en) Method for molding a part, and corresponding part
US9505154B2 (en) Molding tool for back-molding a plastic film with a plastic melt
US8715551B2 (en) Plastic product with three dimensional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122535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け方法
EP2542449B1 (en) Interior automotive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3129484B (zh) 形成可附连到车辆外表面的物品的方法
JP2010162777A (ja) 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501034B1 (ko) 일체형 방수부재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그 방수부재 어셈블리
KR101673938B1 (ko) 열과 공기압을 이용한 3차원 형상 전사필름 패턴층 전사 방법
US20130029083A1 (en) Thin plastic casing with decorative ou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490128B (zh) 轉印加飾品之製造方法、轉印加飾裝置及轉印加飾品
TW201800228A (zh) 三維玻璃結構、加飾成型品及其製造方法
US7708932B2 (en) Chilled air pressure box for thermoforming a plastic sheet and a method of thermoforming the same
JP2007160841A (ja) 表面にシボ模様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KR20070073334A (ko) 알루미늄 시트를 이용한 멀티 패턴 부품 제조용 알루미늄인서트 성형 사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만든 자동차용재떨이
KR20180138305A (ko) 일체형 엠블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70033B1 (ko)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 성형 금형
JPH0768590A (ja) 表皮付き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N112519077A (zh) 一种用于模制包括基层和泡沫层的产品的方法及车辆内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