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133A -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133A
KR20130079133A KR20120117949A KR20120117949A KR20130079133A KR 20130079133 A KR20130079133 A KR 20130079133A KR 20120117949 A KR20120117949 A KR 20120117949A KR 20120117949 A KR20120117949 A KR 20120117949A KR 20130079133 A KR20130079133 A KR 20130079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unter
value
sensor
counter incremen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477B1 (ko
Inventor
오시환
김진희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2/0110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00468A1/ko
Priority to EP12861093.8A priority patent/EP2784726B1/en
Priority to ES12861093T priority patent/ES2699231T3/es
Priority to US14/370,052 priority patent/US9483231B2/en
Priority to JP2014549970A priority patent/JP5920745B2/ja
Publication of KR2013007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483Computations with numbers represented by a non-linear combination of denominational numbers, e.g. rational numbers, logarithmic number system or floating-point numb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7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38Starting, stopping or resetting the coun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40Monitoring; Error detection; Preventing or correcting improper coun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on And Record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And Tariff Metering Devic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센서로 인가되는 물리량을 누적 또는 적분하여 M-비트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로부터 디지털 값을 입력받아 연이은 두 데이터 획득 시간에서의 물리량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으면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절댓값이 2M-1보다 큰 경우 디지털 값의 증분을 센서가 측정한 물리량으로 계산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량을 누적하여 출력하는 센서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서로 인가되는 물리량을 누적 또는 적분하여 출력하는 센서는 보통 이진 카운터(binary counter)로 표현되는 디지털 값을 출력한다. 이 디지털 값은 물리량이 변하면 함께 변하다가 그 크기가 디지털 값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넘어서게 되면 롤오버(roll-over)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가 제공하는 누적형 디지털 출력으로부터 물리적인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현재 디지털 출력 값과 바로 이전 획득 주기의 디지털 출력 값의 차이인 카운터 증분과 두 값 사이의 시간 간격인 데이터 획득 주기(또는 이의 역수인 샘플링 주파수)를 이용한다. 이 때, 카운터 증분의 절대값이 이진 카운터가 가질 수 있는 최댓값의 절반보다 크면 계산되는 물리적인 값의 부호가 바뀌는 현상이 발생하여 측정값을 정확히 계산하지 못한다. 따라서 현재와 이전의 출력 값의 차이인 카운터 증분의 절대값은 항상 이진 카운터 최댓값의 절반보다 작아야 한다. 즉, 센서 자체는 더 큰 값을 측정할 수 있더라도 이진 카운터 크기(또는 이진 비트 수)의 제한으로 인하여 카운터 최댓값의 절반에 해당하는 물리량이 이 센서로 계산할 수 있는 최대 측정값이 된다. 최대 측정값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카운터의 최댓값(이진 비트 수)을 증가시키거나 샘플링 주파수를 키워야 하는데 이것은 곧 센서의 비용 및 센서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선행기술문헌]
한국특허공개 10-2009-006817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진 카운터의 최댓값을 증가시키거나 샘플링 주파수를 키우지 않고서도 센서의 최대 측정값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물리량을 누적 또는 적분하여 M-비트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로부터 상기 디지털 값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로서, 연이은 두 데이터 획득 시간에서의 상기 물리량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으면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절댓값이 2M-1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상기 센서가 측정한 물리량으로 계산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리량 차이의 절댓값은 α×S×2M-1/Δt보다 작고, 상기 S는 상기 센서의 스케일 인자이고, 상기 Δt는 상기 센서의 데이터 획득 주기이며, 상기 α는 1 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 ΔCi가 2M-1보다 크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 -2M-1보다 작으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1차 보정하며, 시간 ti-1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1이고 시간 ti=ti-1+Δt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일 때 상기 ΔCi는 ΔCi=Ci-Ci-1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Figure pat00001
인 경우,
Figure pat00002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Figure pat00003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2차 보정하며, 상기
Figure pat00004
는 시간 ti에서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며, 상기
Figure pat00005
는 시간 ti-1에서 상기 2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가 계산할 수 있는 상기 물리량의 절댓값의 최대 크기는 (2-α)×S×2M-1/Δ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 물리량을 누적 또는 적분하여 M-비트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값을 처리하는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연이은 두 데이터 획득 시간에서의 상기 물리량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으면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절댓값이 2M-1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상기 센서가 측정한 물리량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 ΔCi가 2M-1보다 크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 -2M-1보다 작으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1차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시간 ti-1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1이고 시간 ti=ti-1+Δt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일 때 상기 ΔCi는 ΔCi=Ci-Ci-1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계산 단계는
Figure pat00006
인 경우,
Figure pat00007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Figure pat00008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2차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Figure pat00009
는 시간 ti에서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며, 상기
Figure pat00010
는 시간 ti-1에서 2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진 카운터의 최댓값을 증가시키거나 샘플링 주파수를 키우지 않고도 센서의 최대 측정값의 한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를 이용한 설계를 더욱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가 입력받는 센서 출력값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센서 출력이 양의 방향으로 롤오버할 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센서 출력이 음의 방향으로 롤오버할 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센서 출력값의 증분이 최대 측정값에 근접하여 증가 방향을 알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센서 최대 측정값 확장을 위한 보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의 도면이 참조된다. 문맥에서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구성 요소들은,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구성들의 폭넓은 다양성 내에서의 상이한 구성들로 배열되고, 치환되고, 결합되고,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분명히 고려되었고 본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임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가 입력받는 센서 출력값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200)는 센서(100)의 출력 신호를 전달받는 입력부(210)와 전달받은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센서(100)는 각도, 가속도, 각속도 등 여러 종류의 물리량을 검출하고 측정하는 기능을 갖춘 소자로서, 물리량을 누적 또는 적분하여 이진 카운터(binary counter)로 표현되는 디지털 값을 출력한다. 이 디지털 값은 물리량이 변하면 함께 변하다가 그 크기가 디지털 값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넘어서게 되면 롤오버(roll-over)하게 된다.
입력부(210)는 센서(100)로부터 디지털 값을 입력받아 신호 처리 장치(200) 내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신호 처리 장치(200)에서 디지털 값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다.
신호 처리부(220)는 센서(100)로부터의 디지털 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려는 물리량을 산출한다. 편의상 시간 ti에서 센서에 인가되는 실제 물리량을 ωi라 하고 신호 처리부가 계산하는 측정된 물리량을
Figure pat00011
라 한다. 예를 들어 센서(100)가 M-비트의 이진 카운터를 가지고 있다면 센서(100)는 최솟값 0과 최댓값 2M-1 사이의 디지털 카운터 값을 출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ti-1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1이고, ti=ti-1+Δt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이면, Δt 동안의 디지털 카운터 증분은 ΔCi=Ci-Ci-1로 계산되며, ti에서 측정된 물리량의 값(measured value)은
Figure pat00012
로 산출된다. 여기서, S는 센서(100)의 스케일 인자이고, Δt는 센서(100)의 데이터 획득 주기이다.
도 3은 센서 출력이 양의 방향으로 롤오버할 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센서 출력이 음의 방향으로 롤오버할 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i-1에서의 센서(100)의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 Ci-1이 최댓값 2M-1 이하인 상태에서 양의 물리량이 인가되면 디지털 카운터는 증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최댓값을 넘어서게 되면 디지털 카운터 출력은 다시 최솟값 0부터 증가한다. 이 때, 시간 ti에서의 디지털 카운터 출력값 Ci가 다시 최솟값 0부터 증가하여 어떤 값을 가지게 되면 이러한 현상을 양의 롤오버(positive roll-over)라고 한다. 이 때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ΔCi=Ci-Ci-1로 계산하면 실제 물리량과는 다른 값을 가진다. 양의 롤오버가 일어났을 때 카운터 값으로부터 정확한 물리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ΔCi=Ci-Ci-1+2M 와 같이 보정하여 계산해야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i-1에서의 센서(100)의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 Ci-1이 최솟값 0 이상인 상태에서 음의 물리량이 인가되면 디지털 카운터는 감소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최솟값을 넘어서게 되면 디지털 카운터 출력은 다시 최댓값 2M-1로 커졌다가 이 값에서부터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시간 ti에서의 디지털 카운터 출력값 Ci가 최댓값 2M-1로 커졌다가 감소하여 어떤 값을 가지게 되면 이러한 현상을 음의 롤오버(negative roll-over)라고 한다. 이 때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ΔCi=Ci-Ci-1로 계산하면 실제 물리량과는 다른 값을 가진다. 음의 롤오버가 일어났을 때 카운터 값으로부터 정확한 물리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ΔCi=Ci-Ci-1-2M와 같이 보정하여 계산해야 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인가되는 물리량의 크기가 점점 커져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 2M의 절반이 되면 양의 물리량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증가한 것인지 음의 물리량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감소한 것인지 구분할 수 없게 된다. 실제로는 양의 물리량이 인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다고 잘못 판단하면 신호 처리부(220)는 인가된 물리량과는 부호가 반대인 측정값을 계산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을 에일리어싱(Aliasing)이라고 한다. 에일리어싱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운터 증분 ΔCi가 항상 ΔCmax=2M-1보다 작아야 하며 다시 말해, 센서에 인가되는 외부 물리량이 ωmax=S×2M-1/Δt 보다 작아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센서의 최대측정영역을 고려한 롤오버 보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면 에일리어싱 현상 없이 정상적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1)
Figure pat00013
일 때,
Figure pat00014
으로,
(2)
Figure pat00015
일 때,
Figure pat00016
으로,
(3) (1) 또는 (2)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때,
Figure pat00017
로 보정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신호 처리부(220)는 인가된 물리량을
Figure pat00018
와 같이 계산해 낼 수 있다. 상기 (1)∼(3)의 과정을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1차 보정이라 할 때 이 보정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는 물리량의 절대값은 ωmax보다 작으며 이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19
한편, 센서(100)가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의 변화(연이은 두 데이터 획득 시간에서의 물리량의 차이)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으면 센서(100)의 최대 측정값을 [수학식 1]보다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 즉, 다음 [수학식 2]가 항상 충족되는 α(0<α<1)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Figure pat00020
이것은 센서에 인가되는 물리량의 변화가 센서(100)의 최대 측정 값의 α배 보다 항상 작다는 가정이며, 다시 말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1차 보정만을 이용하여 측정 물리량
Figure pat00021
을 계산하는 경우에는 인가되는 물리량의 변화에 아무런 제약이 없어 -ωmax에서 ωmax까지 최대 2ωmax=2S×2M-1/Δt까지 변할 수 있으나 [수학식 2]를 충족하는 물리량은 변화의 크기에 제한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시간 ti에서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
Figure pat00022
의 부호가 시간 ti-1에서 이미 2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
Figure pat00023
의 부호와 달라지는 순간에, 다음과 같이 시간 ti에서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
Figure pat00024
에 2차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센서(100)의 최대 측정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Figure pat00025
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해서, 신호 처리부(220)는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1)
Figure pat00026
일 때,
Figure pat00027
으로,
(2)
Figure pat00028
일 때,
Figure pat00029
으로,
(3) (1) 또는 (2)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Figure pat00030
으로 보정한다.
이를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2차 보정이라 한다.
Figure pat00031
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인가되는 물리량의 크기가 점점 작아져 시간 ti에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크기가 0을 지나 그 부호가 바뀌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인가되는 물리량의 크기가 점점 커져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크기가 ΔCmax=2M-1를 넘어서 에일리어싱 현상이 발생할 때이다. 크기가 작아져 부호가 바뀌는 경우에는 부호가 바뀌는 상황을 그대로 허용하여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이용하여 물리량을 산출해야 한다. 그러나 크기가 점점 커져서 에일리어싱 현상이 발생하는 순간에는 실제로 물리량의 부호가 바뀌면 안 되므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1차 보정값
Figure pat00032
의 크기가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2차 보정 (1), (2)의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바뀐 부호를 환원시키는 2차 보정을 한다.
도 6은 이러한 경우의 한 예를 도시한다. Ci-1은 0이고 Ci는 빗금 친 영역 안에 존재할 때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1차 보정값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의 범위 안에 존재하게 된다. 만약 시간 ti-1에서의 2차 보정값
Figure pat00035
이 양수였다면 시간 ti에서의 2차 보정값
Figure pat00036
는 그대로
Figure pat00037
가 되지만
Figure pat00038
이 음수였다면 시간 ti에서의 2차 보정값
Figure pat00039
는 음수인
Figure pat00040
으로 환원된다. 센서에 인가되는 물리량이 [수학식 2]의 조건을 충족하면 시간 ti-1에서의 물리량이 음수인 경우(
Figure pat00041
이 음수) 시간 ti에서의 물리량이 갑자기 양수로 변해 빗금친 영역 안으로 들어올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간 ti에서의 물리량이 비록 [수학식 1]을 넘어서는 양이라 할지라도 양의 물리량이 인가된 것인지, 음의 물리량이 인가된 것인지 구분이 가능하므로 에일리어싱 현상 없이 인가된 물리량을 정확히 계산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연이은 두 데이터 획득 시간에서의 물리량의 차이에 제한 조건이 있는 경우 최대 측정값을 확장시켜 줄 수 있다. 증가되는 최대 측정값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42
예를 들어 α가 0.8인 경우에는 최대 측정 범위가 1.2 배 향상될 수 있다. α는 분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다양한 환경에서 측정 대상의 물리량이 가질 수 있는 값을 예측하고 그 변화율을 산출하여 [수학식 2]가 충족되는 α를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가 센서(100)로부터 출력 디지털 값을 입력받아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보정을 함으로써 신호처리부(220)가 계산할 수 있는 최대 측정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측정 범위를 넘는 물리량에 대하여도 정확하게 해당 물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센서 200: 신호 처리 장치
210: 입력부 220: 신호 처리부

Claims (10)

  1. 물리량을 누적 또는 적분하여 M-비트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로부터 상기 디지털 값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로서,
    연이은 두 데이터 획득 시간에서의 상기 물리량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으면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절댓값이 2M-1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상기 센서가 측정한 물리량으로 계산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물리량 차이의 절댓값은 α×S×2M-1/Δt보다 작고, 상기 S는 상기 센서의 스케일 인자이고, 상기 Δt는 상기 센서의 데이터 획득 주기이며, 상기 α는 1 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 ΔCi가 2M-1보다 크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 -2M-1보다 작으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1차 보정하며, 시간 ti-1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1이고 시간 ti=ti-1+Δt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일 때 상기 ΔCi는 ΔCi=Ci-Ci-1로 계산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Figure pat00043
    인 경우,
    Figure pat00044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Figure pat00045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2차 보정하며, 상기
    Figure pat00046
    는 시간 ti에서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며, 상기
    Figure pat00047
    는 시간 ti-1에서 상기 2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인 신호 처리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가 계산할 수 있는 상기 물리량의 절댓값의 최대 크기는 (2-α)×S×2M-1/Δt인 신호 처리 장치.
  6. 물리량을 누적 또는 적분하여 M-비트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값을 처리하는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연이은 두 데이터 획득 시간에서의 상기 물리량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으면 디지털 카운터 증분의 절댓값이 2M-1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상기 센서가 측정한 물리량으로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물리량 차이의 절댓값은 α×S×2M-1/Δt보다 작고, 상기 S는 상기 센서의 스케일 인자이고, 상기 Δt는 상기 센서의 데이터 획득 주기이며, 상기 α는 1 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신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 ΔCi가 2M-1보다 크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 -2M-1보다 작으면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1차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시간 ti-1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1이고 시간 ti=ti-1+Δt에서 디지털 카운터 출력 값이 Ci일 때 상기 ΔCi는 ΔCi=Ci-Ci-1로 계산되는 신호 처리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계산 단계는
    Figure pat00048
    인 경우,
    Figure pat00049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빼고,
    Figure pat00050
    이면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에 2M을 더하여 상기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을 2차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Figure pat00051
    는 시간 ti에서 1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이며 상기 는 시간 ti-1에서 2차 보정된 디지털 카운터 증분인 신호 처리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계산 단계에서 계산할 수 있는 상기 물리량의 절대값의 최대 크기는 (2-α)×S×2M-1/Δt인 신호 처리 방법.
KR1020120117949A 2011-12-30 2012-10-23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8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1047 WO2013100468A1 (ko) 2011-12-30 2012-12-18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EP12861093.8A EP2784726B1 (en) 2011-12-30 2012-12-18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ES12861093T ES2699231T3 (es) 2011-12-30 2012-12-18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procesamiento de señales
US14/370,052 US9483231B2 (en) 2011-12-30 2012-12-18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2014549970A JP5920745B2 (ja) 2011-12-30 2012-12-18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95 2011-12-30
KR20110147695 2011-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33A true KR20130079133A (ko) 2013-07-10
KR101388477B1 KR101388477B1 (ko) 2014-04-23

Family

ID=4899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949A KR101388477B1 (ko) 2011-12-30 2012-10-23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3231B2 (ko)
EP (1) EP2784726B1 (ko)
JP (1) JP5920745B2 (ko)
KR (1) KR101388477B1 (ko)
ES (1) ES2699231T3 (ko)
WO (1) WO201310046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7791B2 (ko) * 1972-02-19 1977-07-22
JPH0246085B2 (ja) * 1982-11-30 1990-10-12 Japan Engine Valve Mfg Hoikei
JPS6227864A (ja) * 1985-07-29 1987-02-05 Pioneer Electronic Corp 累算回路
FR2636740B1 (fr) * 1988-09-16 1990-12-28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Detecteur d'enveloppe logarithmique de signal analogique
US5353027A (en) * 1991-11-01 1994-10-04 U.S. Philips Corporation Multistep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error correction
JPH05242316A (ja) * 1992-03-02 1993-09-21 Fujitsu Ltd 計数回路
US5332996A (en) * 1993-06-30 1994-07-26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all code testing
JP4922023B2 (ja) * 2007-03-09 2012-04-25 株式会社東芝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装置、無線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4814209B2 (ja) * 2007-12-21 2011-11-16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Adコンバータ
JP5239387B2 (ja) * 2008-02-21 2013-07-1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データ変換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09246590A (ja) * 2008-03-31 2009-10-22 Olympus Corp A/d変換回路
US8482218B2 (en) * 2010-01-31 2013-07-09 Microsemi Corporation Dimming input suitable for multiple dimming signal ty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7186A (ja) 2015-03-05
US9483231B2 (en) 2016-11-01
JP5920745B2 (ja) 2016-05-18
US20150012577A1 (en) 2015-01-08
ES2699231T3 (es) 2019-02-08
EP2784726A4 (en) 2015-05-27
KR101388477B1 (ko) 2014-04-23
EP2784726B1 (en) 2018-08-29
WO2013100468A1 (ko) 2013-07-04
EP2784726A1 (en)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6387B (zh) 定位方法、定位装置和电子设备
EP2720046B1 (en) Drop determining apparatus and drop determining method
KR101263481B1 (ko) 센서의 온도보상 방법 및 온도보상기능을 갖는 센서
US9268973B2 (en) Sensor output correction circuit, sensor output correction device, and sensor output correction method
KR20160019951A (ko) 차량의 휠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US20070202997A1 (en) Step number measuring apparatus
KR101240798B1 (ko) 리얼타임클럭 주파수 오프셋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16017796A (ja) 車輌位置計測装置及び方法
KR102006029B1 (ko) 방위각 계산장치 및 그 방법
KR101388477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EP3370074B1 (en) Method for detecting background noise of sensor, and device thereof
US20110202304A1 (en) Motion state detection method and motion state detector
US8930080B2 (en) Driver state estimation device
JP201612598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EP2894534B1 (en) Slew rate detection circuit
EP3514498B1 (en) Physical quantity measurement device
US20150211856A1 (en) Apparatus for driving gyro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013228A5 (ko)
US10345329B2 (en) Inertial force sensor
JP2011164073A (ja) 慣性力センサ装置
EP3250888B1 (en) Multiple sensor integration
JP6733415B2 (ja) 周波数カウンタおよびフィールド機器
JP2010008166A (ja) 赤外線センサを用いた計測装置並びに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WO2023058261A1 (ja) 位置補正装置
WO2017002060A3 (en)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