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973A -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973A
KR20130073973A KR1020137010725A KR20137010725A KR20130073973A KR 20130073973 A KR20130073973 A KR 20130073973A KR 1020137010725 A KR1020137010725 A KR 1020137010725A KR 20137010725 A KR20137010725 A KR 20137010725A KR 20130073973 A KR20130073973 A KR 2013007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outdoor
control
outdoor fa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유라
고오스케 기보
신이치 가사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7Condense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1Fan speed control of condenser f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팬의 전체 풍량을 저하시킬 때, 복수의 실외 팬에 의해 확보되는 전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한다. 실외 열교환기(23)와,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과, 팬 제어부를 구비한다. 팬 제어부는, 저풍량이 요구되는 저풍량 요구 시에 있어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이 운전되고 있는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1 실외 팬(28a)의 운전을 계속하고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팬 제어부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타이머, 팬 모터에 관한 전류값의 감시, 또는, 팬 회전수의 감시에 기초하여,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OUTDOOR UNIT FOR REFRIGERATION DEVICE}
본 발명은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외기 온도 시에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 압축기의 고저 차압의 확보를 위하여, 실외 팬의 풍량을 저하시키거나, 실외 팬을 정지시키거나 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 장치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5-7179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기 온도의 낮음에 따라 실외 팬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나,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평4-23607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외 팬을 정지 또는 간헐 운전하는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717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236072호 공보
여기서, 실외 팬이 복수 있는 경우, 전체로서의 팬의 풍량을 저하시키고자 어떤 실외 팬을 정지 또는 간헐 운전하면, 정지 명령을 받아 전력 공급이 오프되고 잠시 후 팬 회전수가 제로 근방이 된 실외 팬의 분출구로부터 외기가 역류하여 안에 들어가, 운전 중의 실외 팬이 그 공기를 흡입하여 버리는 것이 상정된다. 이로 인해, 운전 중의 실외 팬에 의해 확보되어 있던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저감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팬의 전체 풍량을 저하시킬 때, 복수의 실외 팬에 의해 확보되는 전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실외 열교환기와,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과, 팬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은,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류를 발생시킨다. 팬 제어부는, 저풍량이 요구되는 저풍량 요구 시에 있어서,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다. 제1 운전 상태란,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이 운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제2 운전 상태란, 제1 실외 팬의 운전을 계속하고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상태이다. 또한, 팬 제어부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타이머, 팬 모터에 관한 전류값의 감시, 또는, 팬 회전수의 감시에 기초하여,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팬 온/오프 제어는,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어이다.
여기서, 저풍량 요구 시에 있어서의 제2 운전 상태에 있어서는, 제2 실외 팬의 팬 회전수가 제로 근방이 되면, 제1 실외 팬이, 제2 실외 팬의 분출구로부터 역류하여 안에 들어간 공기를 흡입하고, 제1 실외 팬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있는 공기의 양이 떨어지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복수의 팬의 풍량을 저하시킬 때, 타이머, 팬 모터에 관한 전류값의 감시, 또는, 팬 회전수의 감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외 팬의 전체로서의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저하를 억제하도록,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제1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으로서, 팬 제어부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제1 제어를 행한다. 제1 제어는, 제1 실외 팬을 제1 회전수로 운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어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에 제1 제어를 행함으로써, 운전 중의 제1 실외 팬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있는 공기의 양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복수의 실외 팬의 전체 풍량을 완만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으로서, 팬 제어부는,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제1 제어를 행한 후, 제2 제어를 행한다. 제2 제어는, 제1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어이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한쪽 실외 팬의 분출구로부터 역류하여 안에 들어간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다른 쪽의 실외 팬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있는 공기의 양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복수의 실외 팬의 전체 풍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제3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으로서, 팬 제어부는, 상기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를 행한 후, 제3 제어를 행한다. 제3 제어는, 제1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여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하는 제어이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복수의 실외 팬의 전체 풍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제2 관점 또는 제4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으로서, 팬 제어부는, 실외 열교환기 내의 냉매의 응축 온도 또는 응축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제어에 있어서의 제2 실외 팬,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의 한쪽의 팬 및 제3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응축 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제2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으로서, 제1 회전수는,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의 운전 가능한 최저 회전수이다. 팬 제어부는, 제1 제어에 있어서,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제2 실외 팬의 회전수가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제2 실외 팬을 제1 회전수로 운전한다. 팬 제어부는, 제2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각각 온하고,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의 회전수가 각각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을 각각 제1 회전수로 운전한다. 팬 제어부는, 제3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제1 실외 팬의 회전수가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제1 실외 팬을 제1 회전수로 운전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외 팬이나 제2 실외 팬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 후에는 운전 가능한 최저 회전수인 제1 회전수로 운전한다. 즉,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체로서의 실외 팬의 풍량을 적절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복수의 팬의 전체 풍량을 저하시킬 때, 복수의 실외 팬에 의해 확보되는 전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급격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운전 중의 제1 실외 팬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있는 공기의 양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복수의 실외 팬의 전체 풍량을 완만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한쪽 실외 팬의 분출구로부터 역류하여 안에 들어간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다른 쪽의 실외 팬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있는 공기의 양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복수의 실외 팬의 전체 풍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복수의 실외 팬의 전체 풍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응축 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체로서의 실외 팬의 풍량을 적절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동 장치로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어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냉방 운전 시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팬 온/오프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팬 온/오프 제어의 제1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팬 온/오프 제어의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팬 온/오프 제어의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2 실외 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팬 온/오프 제어의 제3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의 팬 회전수와 시간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냉동 장치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의 개략 구성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 운전을 행함으로써, 건물 내의 거실에 있어서의 냉난방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1 대의 실외 유닛(2)과, 병렬로 접속된 복수 대(본 실시 형태에서는, 2 대)의 실내 유닛(4a, 4b)과,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a, 4b)을 접속하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 조화 장치(1)의 증기 압축식의 냉매 회로(10)는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a, 4b)과, 액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이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1-1) 실내 유닛(4a, 4b)에 대해서
이하, 실내 유닛(4a, 4b)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내 유닛(4a, 4b)은, 건물의 거실 내의 천장에 매립되거나 현수되거나 하여, 또는, 거실 내의 벽면에 걸려 설치된다. 실내 유닛(4a, 4b)은, 액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을 통하여 실외 유닛(2)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실내 유닛(4a, 4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내 유닛(4a)과 실내 유닛(4b)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실내 유닛(4a)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실내 유닛(4b)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내 유닛(4a)의 각부를 나타내는 첨자 「a」 대신 첨자 「b」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내 유닛(4a)은 주로, 냉매 회로(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내측 냉매 회로(10a)(실내 유닛(4b)에서는, 실내측 냉매 회로(10b))를 갖고 있다. 실내측 냉매 회로(10a)는 주로, 실내 팽창 밸브(41a)와, 실내 열교환기(42a)를 갖고 있다.
실내 팽창 밸브(41a)는 실내측 냉매 회로(10a) 내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 조절이나 감압 등을 행하기 위하여, 실내 열교환기(42a)의 액측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이다.
실내 열교환기(42a)는 전열관과 다수의 핀에 의해 구성된 크로스 핀식의 핀 앤드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실내 열교환기(42a)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여 거실 내의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42a)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여 거실 내의 공기를 가열한다.
또한, 실내 유닛(4a)은 실내 팬(43a)을 갖고 있다. 실내 팬(43a)은 실내 유닛(4a) 내에 거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42a)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에, 공급 공기로서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 팬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실내 팬(43a)은 실내 팬 모터(43ma)에 의하여 구동되며, 실내 열교환기(42a)에 공급하는 공기의 풍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팬이다.
또한, 실내 유닛(4a)에는,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열교환기(42a)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 Te)를 검출하는 실내 열교환 온도 센서(44a)와, 실내 유닛(4a) 내에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즉,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센서(45a)가 설치되어 있다.
(1-2) 실외 유닛(2)의 구성
이하, 실외 유닛(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외 유닛(2)은 건물의 실외에 설치되어 있으며, 액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을 통하여 실내 유닛(4a, 4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2)은 냉매 회로(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외측 냉매 회로(10c)를 갖고 있다. 실외측 냉매 회로(10c)는 주로, 압축기(21)와, 사방 전환 밸브(22)와, 실외 열교환기(23)와, 실외 팽창 밸브(24)와, 어큐뮬레이터(25)와, 액측 폐쇄 밸브(26)와, 가스측 폐쇄 밸브(27)를 갖고 있다.
압축기(21)는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21)는 운전 용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스크롤 압축기이며, 압축기용 모터(21m)에 의하여 구동된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기구로서의 밸브이며, 제1 상태(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실선을 참조)와, 제2 상태(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파선을 참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이 접속됨과 아울러 압축기(21)의 흡입측과 실내 열교환기(42a, 42b)의 가스측이 접속되어 있다. 즉, 사방 전환 밸브(22)가 제1 상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회로(10)가 냉방 운전의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상태에서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내 열교환기(42a, 42b)의 가스측(구체적으로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이 접속됨과 아울러 압축기(21)의 흡입측(구체적으로는, 어큐뮬레이터(25))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이 접속되어 있다. 즉, 사방 전환 밸브(22)가 제2 상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회로(10)가 난방 운전의 상태로 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23)는 전열관과 다수의 핀에 의해 구성되는 크로스 핀식의 핀 앤드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실외 열교환기(23)는 그 가스측이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고, 그 액측이 액측 냉매 연락 배관(6)에 접속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23)는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실외 팽창 밸브(24)는 팽창 기구이며, 실외측 냉매 회로(10c) 내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이나 유량의 조절을 행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23)의 액측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이다.
어큐뮬레이터(25)는 압축기(21)와 사방 전환 밸브(22)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실내 유닛(4a, 4b)의 운전 부하에 따라 냉매 회로(10) 내에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저류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이다.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외부의 기기 및 배관(구체적으로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과의 접속구에 설치된 밸브이다. 액측 폐쇄 밸브(26)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2)은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을 갖고 있다.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은 실외 유닛(2) 내에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실외로 배출한다. 즉,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은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은 실외 열교환기(23)에 공급하는 외기의 양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팬이며, 각각,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 의하여 구동되는 프로펠러 팬이다.
또한, 실외 유닛(2)에는, 각종 센서(29 내지 35)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외 유닛(2)에는, 압축기(21)에 흡입되는 냉매의 흡입 압력 P1을 검출하는 흡입 압력 센서(29)와, 압축기(21)에 흡입되는 냉매의 흡입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온도 센서(30)와,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 압력 P2를 검출하는 토출 압력 센서(31)와, 냉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를 검출하는 토출 온도 센서(32)와, 실외 열교환기(23)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응축 온도 Tc)를 검출하는 실외 열교환 온도 센서(33)와, 실외 열교환기(23)의 액측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액측 온도 센서(34)와, 실외 유닛(2)이 설치되는 외부의 공기인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센서(35)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내측 냉매 회로(10a, 10b)와 실외측 냉매 회로(10c)가 액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가 구성되어 있다.
(2) 제어 유닛(9)의 구성
도 2는 제어 유닛(9)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9)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91)와, 기억부(92)를 갖는다.
제어부(91)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외 제어부(93)와 실내 제어부(94)를 갖는다.
실외 제어부(93)는 실내 제어부(94)와 제어 신호의 교환을 행함으로써, 실외 유닛(2)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의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외 제어부(93)는 압축기(21)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용 모터(21m)의 회전수, 실외 팽창 밸브(24)의 개방도,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의 회전수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실외 제어부(93)는 각종 센서(29 내지 35)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실외 제어부(93)는 팬 제어부(9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의 회전수의 제어는, 이 팬 제어부(95)가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구체적으로는,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함으로써,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있다.
또한, 팬 제어부(95)는 타이머(96)를 갖고 있다. 타이머(96)는 각종 시간을 계측한다.
실내 제어부(94)는 실내 유닛(4a, 4b)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이나 실외 제어부(93)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교환을 행함으로써, 실내 유닛(4a, 4b)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제어부(94)는 실내 팬(43a, 43b)을 구동하기 위한 실내 팬 모터(43ma, 43mb)의 회전수, 실내 팽창 밸브(41a, 41b)의 개방도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실내 제어부(94)는 각종 센서(44a, 44b, 내지 45a, 45b)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92)는 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억부(92)에는, 후술하는 팬 온/오프 제어 등에 사용되는 임계값 등이 기억되어 있다.
(3)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
이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동작은, 제어부(91)가 행한다.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으로서는, 주로, 거실의 공조 부하(즉, 실내 유닛(4a, 4b)의 부하, 예를 들어 설정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에 기초하는 것 등)에 따라, 실외 유닛(2) 및 실내 유닛(4a, 4b)을 동작시키는,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이 있다. 이하, 간단하게 공기 조화 장치(1)의 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3-1) 난방 운전
우선, 도 1을 사용하여, 난방 운전 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난방 운전 시는, 사방 전환 밸브(22)가 제2 상태를 채용한다. 즉, 압축기(21)의 토출측이 실내 열교환기(42a, 42b)의 가스측에 접속되고,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이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내 팬(43a, 43b), 압축기(21),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이 기동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사방 전환 밸브(22),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을 경유하여, 실내 유닛(4a, 4b)에 보내어진다. 실내 유닛(4a, 4b)에 보내어진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2a, 42b)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고 응축되어 고압의 액냉매가 된다. 그리고, 고압의 액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41a, 41b)를 통과할 때 실내 팽창 밸브(41a, 41b)의 개방도에 따라 감압된다. 실내 팽창 밸브(41a, 41b)를 통과한 냉매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6)을 경유하여 실외 유닛(2)에 보내어진다. 실외 유닛(2)에 보내어진 냉매는, 액측 폐쇄 밸브(26)를 경유하여 실외 팽창 밸브(24)에서 더 감압된 후 실외 열교환기(23)에 유입된다. 실외 열교환기(23)에 유입된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한다. 이때,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증발되어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저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25)에 유입된다. 어큐뮬레이터(25)에 유입된 저압의 가스 냉매는, 다시, 압축기(21)에 흡입된다.
(3-2) 냉방 운전
도 3은 냉방 운전 시의 흐름도이다.
다음은, 냉방 운전 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1이나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저외기 온도 시에 냉방 운전을 행하면, 실외 열교환기(23)의 응축 능력이 높아져, 압축기(21)의 토출측의 압력과 압축기(21)의 흡입측의 압력의 차(고저 차압)를 소정값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압축기(21)의 고저 차압의 유지가 곤란해지면, 압축기(21)의 신뢰성의 확보의 문제가 우려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냉매의 토출 압력 P2로부터 냉매의 흡입 압력 P1을 감산한 압력 P(즉,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P≤B)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스텝 S103). 구체적으로는, 우선, 실내 유닛(4a, 4b)의 부하에 따라 실외 유닛(2) 및 실내 유닛(4a, 4b)의 제어(통상 제어)를 행한다(스텝 S101). 이어서,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42a, 42b)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즉, 증발 온도 Te)가 안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목표 증발 온도 Te1로부터 증발 온도 Te를 감산한 값 ΔTe의 절대값이 임계값 A 이하(|ΔTe|≤A)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여기서, 증발 온도 Te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 온도 센서(44a, 44b)에 의해 검출된다. 여기서, 안정이란, 수치의 변화에 흔들림이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값 ΔTe의 절대값이 임계값 A 이하(|ΔTe|≤A로 배출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03에 있어서,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P≤B)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값 ΔTe의 절대값이 임계값 A 이하(|ΔTe|≤A)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02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S103에 있어서,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P≤B로 배출 판정했을 경우에, 후술하는 풍량 저하 제어(스텝 S104)를 행하고 있다. 또한,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가 아니라고(P>B)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01로 복귀되어 실내 유닛(4a, 4b)의 부하에 따라 실외 유닛(2) 및 실내 유닛(4a, 4b)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하,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을, 도 1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냉방 운전 시는, 사방 전환 밸브(22)가 제1 상태를 채용한다. 즉, 압축기(21)의 토출측이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에 접속되고,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이 실내 열교환기(42a, 42b)의 가스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내 팬(43a, 43b), 압축기(21),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을 기동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고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하여 실외 열교환기(23)에 보내어져,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에 의하여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한다. 이때,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함으로써 응축되어 고압의 액냉매가 된다. 고압의 액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24)(여기에서는, 실외 팽창 밸브(24)는 완전 개방 상태에 있음)를 통과한 후, 액측 폐쇄 밸브(26) 및 액측 냉매 연락 배관(6)을 경유하여, 실내 유닛(4a, 4b)에 보내어진다. 실내 유닛(4a, 4b)에 보내어진 고압의 액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41a, 41b)를 통과할 때 감압되어, 실내 열교환기(42a, 42b)에 보내어진다. 실내 열교환기(42a, 42b)에 보내어진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함으로써, 증발되어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저압의 가스 냉매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7)을 경유하여 실외 유닛(2)에 보내어지고,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25)에 유입된다. 어큐뮬레이터(25)에 유입된 저압의 가스 냉매는, 다시, 압축기(21)에 흡입된다.
(3-3) 풍량 저하 제어에 대해서
여기서, 풍량 저하 제어란,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전체 팬 풍량(분출 풍량)을 저하시키는 제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저 차압 P을 확보할 수 없으면 압축기(21)의 신뢰성의 문제가 우려되기 때문에,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인 경우에는, 실외 열교환기(23)의 응축 능력을 억제하기 위하여 풍량 저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즉, 저풍량이 요구되는 저풍량 요구 시에 있어서, 풍량 저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하, 제어부(91)(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에 의한 풍량 저하 제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풍량 저하 제어에 있어서는, 우선,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이 운전되고 있는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1 실외 팬(28a)의 운전을 계속하고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실외 팬(28a, 28b)의 운전이란, 실외 팬(28a, 28b)에의 전력 공급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회전수로 실외 팬(28a, 28b)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하면, 전력 공급이 오프되고 잠시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팬 회전수가 제로 근방이 된 제2 실외 팬의 분출구로부터, 운전 중의 제1 실외 팬이 흡입하여 버리는 것이 상정된다. 이로 인해, 운전 중의 제1 실외 팬에 의해 확보되어 있던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떨어지는(즉, 운전 중의 제1 실외 팬이 통상의 흡입구로부터 흡입하는 공기의 양이 저하됨) 것이 상정된다. 즉,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으로 의해 확보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체 양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풍량 저하 제어에 있어서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풍량 저하 제어에 이어지는 팬 풍량을 저하시키는 제어로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하고 있다(스텝 S105). 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풍량 저하 제어에 있어서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타이머(96)에 기초하여,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제2 운전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실외 팬(28a, 28b)에 의해 확보되는 전체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급격하게 저하된다고 생각되는 시간을 미리 제1 임계값으로서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타이머(96)가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이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하고 나서의 소정 시간을 계측하여, 당해 소정 시간이 제1 임계값을 경과하기 전에, 팬 제어부(95)가 팬 온/오프 제어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제1 임계값은, 기억부(92)에 기억되어 있다.
이하, 제어부(91)(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에 의한 팬 온/오프 제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4) 팬 온/오프 제어에 대해서
도 4는 팬 온/오프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21에서는, 제1 제어를 행한다. 제1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122에서는, 목표 증발 온도 Te1로부터 증발 온도 Te를 감산한 값 ΔTe의 절대값이 임계값 A 이하(|ΔTe|≤A)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ΔTe|≤A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3으로 이행하고, 한편, |ΔTe|≤A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2를 반복한다.
스텝 S123에서는, P≤B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P≤B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스텝 S101로 복귀되어, 실내 유닛(4a, 4b)의 부하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한편, P≤B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4로 이행하여 제2 제어를 행한다. 제2 제어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스텝 S125에서는, |ΔTe|≤A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ΔTe|≤A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6으로 이행하고, 한편, |ΔTe|≤A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5를 반복한다.
스텝 S126에서는, P≤B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P≤B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4로 복귀되어, 제2 제어를 행한다. P≤B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27로 이행하여 제3 제어를 행한다. 제3 제어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팬 온/오프 제어에서는, 우선, 제1 제어를 행하고,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 제2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제2 제어를 행해도,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로 되지 않는 경우(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 제3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하, 각종 제어(제1 제어 내지 제3 제어)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제어 내지 제3 제어에 있어서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가 된 후에는 제1 회전수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을 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3-4-1) 제1 제어
도 5는 팬 온/오프 제어의 제1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제1 제어에 대해서,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131에서는, 제1 실외 팬(28a)의 전력 공급을 온으로 한 상태를 계속한다. 이때, 제1 실외 팬(28a)을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의 운전 가능한 최저 회전수인 제1 회전수(예를 들어, 350rpm)로 운전한다.
스텝 S132에서는, 제2 실외 팬(28b)의 전력 공급이 오프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인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하는(t1>ta) 조건 및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의 응축 압력 Pc에 등가의 운전 상태량인 압축기(21)의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a(P2>Pa)를 초과하는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양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3로 이행하고, 한편, 양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4로 이행한다. 또한, 제1 시간 t1은, 타이머(96)가 계측한다.
스텝 S133에서는,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하는지(t1>ta)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한다(t1>ta)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5로 이행하고, 한편,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하지(t1>ta)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6로 이행한다.
스텝 S134에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또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스텝 S132로 복귀된다.
스텝 S135 및 스텝 S136에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는, 또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 S137에서는,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1 제어를 종료하고, 한편,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7의 판정을 반복한다.
스텝 S138에서는, 제2 실외 팬(28b)의 전력 공급이 온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인 제2 시간 t2가 임계값 td를 초과하는지(t2>td)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9로 이행한다. 한편, 초과하지 있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6로 복귀된다. 또한, 제2 시간 t2는, 타이머(96)가 계측한다.
스텝 S139에서는,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b(Pb>Pa)를 초과하는지(P2>Pb)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스텝 S101로 복귀되어, 통상 제어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고압 압력(즉, 토출 압력 P2)이 목표 압력 Pb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전체 팬 회전수를 끌어올리기 위하여, 통상 제어로 복귀되는 처리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32로부터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40에서는,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1 제어를 종료하고, 한편,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0의 판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제1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팬 회전수의 변동의 일례를, 도 9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rpm)와, 시간(min)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선으로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1 실외 팬(28a)의 팬 회전수를 나타내고,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를 나타낸다.
우선, 제1 제어로 이행하기 전에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은 제2 운전 상태에 있어서, 제2 실외 팬(28b)은 전력 공급이 오프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2 실외 팬(28b)은 제1 제어로 이행했을 시에는, 팬 회전수가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a를 초과하는 경우(도 9에 나타내는 A)에,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이 온되어,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는 상승한다. 그리고,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에 달하면,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는 제1 회전수로 유지된다. 그리고,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a 이하로 되면(도 9에 나타내는 B),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이 오프되므로, 팬 회전수는 저하된다.
또한,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a를 초과하지 않아도,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하는 경우(도 9에 나타내는 C)에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이 온된다. 따라서,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는 상승한다.
또한,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에 달함으로써 제1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이 온된 후, 제2 시간 t2가 임계값 td를 초과하고 또한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b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에 달함으로써 제1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제1 제어를 행하는 동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외 팬(28a)은 제1 회전수로 운전한 상태에 있으므로, 팬 회전수는 일정하다.
이상과 같이,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에는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외 팬(28a)을 제1 회전수로 운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1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제1 제어에서는, 제2 실외 팬(28b)의 전력 공급이 오프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인 제1 시간 t1이나, 토출 압력 P2(응축 압력 Pc)에 기초하여,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있다.
(3-4-2) 제2 제어
(3-4-2-1) 제2 제어의 제1 실외 팬(28a)의 제어에 대해서
도 6은 팬 온/오프 제어의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사용하여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141에서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또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 S142에서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이 오프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인 제3 시간 t3이 임계값 tc를 초과하는(t3>tc) 조건 및 응축 압력 Pc가 임계값 Pa를 초과하는(Pc>Pa)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양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3으로 이행하고, 한편, 양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1로 복귀된다.
스텝 S143에서는, 제3 시간 t3이 임계값 tc를 초과하는지(t3>tc)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4로 이행한다.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5로 이행한다.
스텝 S144에서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다.
스텝 S145에서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는, 또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 S146에서는, 제1 실외 팬(28a)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7로 이행한다. 한편,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6의 판정을 반복한다.
스텝 S147에서는, 제2 제어를 종료하는 제2 제어 종료 플래그를 온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제어가 종료한다.
스텝 S148에서는, 제1 실외단(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인 제4 시간 t4가 임계값 td를 초과하는지(t4>td)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9로 이행하고,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1로 이행한다.
스텝 S149에서는,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b를 초과하는지(P2>Pb)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50로 이행한다.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41로부터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50에서는, 제1 실외 팬(28a)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2 제어를 종료하고, 한편,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50의 판정을 반복한다.
스텝 S151에서는, 제1 제어로 이행하는 제1 제어 이행 플래그를 온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제어로 이행한다. 여기에서는, 고압 압력(즉, 토출 압력 P2)이 목표 압력 Pb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전체 팬 회전수를 끌어올리기 위하여, 제1 제어로 복귀되는 처리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은 제1 제어에 있어서의 제2 실외 팬(28b)과 마찬가지로, 토출 압력 P2(응축 압력 Pc)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이 온/오프된다. 따라서,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의 팬 회전수의 천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3-4-2-2) 제2 제어의 제2 실외 팬(28b)의 제어에 대해서
도 7은 팬 온/오프 제어의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2 실외 팬(28b)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7을 사용하여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2 실외 팬(28b)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161에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또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 S162에서는,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3로 이행하고,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1로 복귀된다.
스텝 S163에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 S164에서는, 제2 시간 t2가 임계값 tb를 초과하는지(t2>tb)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5로 이행한다.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3로 복귀된다.
스텝 S165에서는, 플래그가 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6로 이행하고, 한편, 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1로 복귀된다.
스텝 S166에서는, 제2 제어 종료 플래그가 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7로 이행하고, 한편, 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8로 이행한다.
스텝 S167에서는,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2 제어를 종료한다. 한편,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7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68에서는,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1 제어로 이행한다. 한편,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68의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서,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2 실외 팬(28b)의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팬 회전수의 변동의 일례를, 도 9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어에서는, 우선,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이 오프되므로, 팬 회전수는 강하한다. 그리고, 제1 시간 t1이 임계값 ta를 초과하는 경우(도 9에 나타내는 D)에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이 온되어, 팬 회전수는 상승한다. 그리고, 제2 시간 t2가 임계값 tb를 초과하는 경우(도 9에 나타내는 E)에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이 오프되어 팬 회전수는 하강한다. 그 이후의 팬 회전수도, 제2 제어 플래그 또는 제1 제어 이행 플래그가 온될 때까지, 마찬가지로 천이하여 간다.
이상과 같이, 팬 온/오프 제어에서는, 제1 제어를 행한 후,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2 제어를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제어에서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이 오프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인 제3 시간 t3이나, 토출 압력 P2(응축 압력 Pc)에 기초하여, 온/오프하고 있다. 또한, 제2 제어에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후에는 임계값 ta를 초과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처리 구성으로 하고,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 후에는 임계값 tb를 초과할 때까지 운전시키는 처리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제2 실외 팬(28b)은 소정의 주기(정지 시간은, ta, 운전 시간은, tb)로 온/오프된다.
(3-4-3) 제3 제어
도 8은 팬 온/오프 제어의 제3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8을 사용하여 제3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71에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다. 또한, 제3 제어에 있어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후에는 전력 공급을 온하지 않는다. 즉, 이 스텝에 있어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후에는 제2 실외 팬(28b)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 즉, 완전히 정지한 상태가 된다.
스텝 S172에서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다.
스텝 S173에서는,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a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4로 이행한다.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2로 복귀되어,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상태를 계속한다.
스텝 S174에서는,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다.
스텝 S175에서는, 제4 시간 t4가, 임계값 td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6로 이행하고,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4로 이행하여, 제1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 상태를 계속한다.
스텝 S176에서는,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b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7로 이행하고, 한편,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2로 복귀된다.
스텝 S177에서는, 제1 실외 팬(28a)의 팬 회전수가 제1 회전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3 제어를 종료한다. 한편,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7의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서, 제3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팬 회전수의 변동의 일례를,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우선, 제3 제어에 있어서는,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는 최종적으로 제로가 된다. 한편, 제1 실외 팬(28a)에 대해서는, 제1 제어와 마찬가지로, 토출 압력 P2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의 온/오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b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3 제어를 종료한다. 따라서, 이에 기초하여 팬 회전수는 변동한다.
이상과 같이,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는, 제2 제어를 행한 후,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여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하는 제3 제어를 행하고 있다.
(4) 특징
(4-1)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인, 실외 팬(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저풍량이 요구되는 저풍량 요구 시에 있어서, 제어부(91)(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우선,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이 운전되고 있는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1 실외 팬(28a)의 운전을 계속하고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하면, 전력 공급이 오프된 제2 실외 팬의 팬 회전수가 제로 근방이 되면, 운전 중의 제1 실외 팬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급격하게 저감되어 버려,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에 의해 확보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체 양이 급격하게 저감되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제어부(91)(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타이머(96)(타이머(96)에 의한 소정 시간의 계측)에 기초하여,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팬 온/오프 제어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소정 시간이 제1 임계값을 경과하기 전에, 팬 온/오프 제어를 개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실외 팬(28a, 28b)에 의해 확보되는, 전체로서의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함으로써, 복수의 실외 팬(28a, 28b)의 전체 풍량(분출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2)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제어부(91)(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풍량 저하 제어에 있어서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외 팬(28a)을 운전 가능한 최저 회전수인 제1 회전수로 운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1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회전수로 운전을 계속하고 있는 제1 실외 팬(28a)에 의해 확보되는,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즉, 복수의 실외 팬(28a, 28b)이 의해 확보되는 전체로서의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복수의 실외 팬(28a, 28b)의 전체 풍량(분출량)을 완만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4-3)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제어부(91)(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은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제1 제어를 행한 후,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2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한쪽 실외 팬의 분출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다른 쪽의 실외 팬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즉, 복수의 실외 팬(28a, 28b)이 의해 확보되는 전체로서의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제1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보다도 복수의 실외 팬(28a, 28b)의 전체 풍량(분출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4-4)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제어부(91)(구체적으로는, 팬 제어부(95))는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제2 제어를 행한 후,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여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하는 제3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보다도 복수의 실외 팬(28a, 28b)의 전체 풍량(분출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4-5)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팬 제어부(95)는 제1 제어에 있어서, 압축기(21)의 토출 압력 P2(응축 압력 Pc에 등가의 운전 상태량)에 기초하여,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한다. 또한, 팬 제어부(95)는 제2 제어에 있어서, 압축기(21)의 토출 압력 P2(응축 압력 Pc에 등가의 운전 상태량)에 기초하여,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한다. 또한, 팬 제어부(95)는 제3 제어에 있어서, 압축기(21)의 토출 압력 P2(응축 압력 Pc에 등가의 운전 상태량)에 기초하여,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한다.
이것에 의해, 냉방 운전 시의 실외 열교환기(23)의 응축 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4-6)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제1 제어, 제2 제어 및 제3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한 후, 이들 실외 팬(28a, 28b)의 팬 회전수가, 운전 가능한 최저 회전수인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제1 회전수로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을 운전하고 있다.
이는, 팬 풍량을 저하시키기 위하여는, 최저 회전수 미만의 팬 회전수로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을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최저 회전수 미만의 팬 회전수로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을 운전하면 베어링이나 팬 모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팬 온/오프 제어에서는,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이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제1 회전수로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을 운전하므로,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체로서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풍량을 적절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5)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5-1) 변형예 1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팬 제어부(95)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을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타이머(96)에 기초하여,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팬 제어부(95)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팬 모터)에 관한 전류값의 감시에 기초하여,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해(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기억부(9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팬 제어부(95)이 기억부(92)에 기억되는 제1 실외 팬 모터(28ma) 및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감시함으로써,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운전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실외 팬(28a, 28b)에 의해 확보되는 전체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급격하게 저하된다고 생각되는, 제1 실외 팬 모터(28ma)에 공급되는 전류값과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 공급되는 전류값의 차를, 미리, 제2 임계값으로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제2 임계값은, 기억부(92)에 기억된다.
그리고, 팬 제어부(95)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제1 실외 팬 모터(28ma)에 공급되는 전류값과 제2 실외 팬 모터(28mb)에 공급되는 전류값의 차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기 전에,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개시한다).
또한, 팬 제어부(95)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제1 실외 팬 및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의 감시에 기초하여,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해(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운전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실외 팬(28a, 28b)에 의해 확보되는 전체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급격하게 저하된다고 생각되는, 제1 실외 팬(28a)의 팬 회전수와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의 차를, 미리, 제3 임계값으로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제3 임계값은, 기억부(92)에 기억된다. 그리고, 팬 제어부(95)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제1 실외 팬(28a)의 팬 회전수와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의 차가, 제3 임계값을 초과하기 전에, 팬 온/오프 제어 행한다(개시한다).
이상과 같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5-2) 변형예 1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외 팬(28a)과 제2 실외 팬(28b)의 동작은 상이하지만, 동시에 동작해도 된다. 도 9에 도시하는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팬 회전수의 위상은, 동 위상이 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5-3) 변형예 1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에 있어서, 적절히, 제1 실외 팬(28a)이나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응축 압력 Pc에 등가의 운전 상태량인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a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 온도 센서(33)에 의하여 검출되는 실외 열교환기(23) 내의 냉매의 응축 온도 Tc가 임계값 Ta(예를 들어, 30 ℃)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의 냉매의 응축 압력 Pc를 직접 검출하는 응축 압력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당해 응축 압력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응축 압력 Pc에 기초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의 냉매의 응축 온도 Tc(실외 열교환 온도 센서(33)에 의하여 검출됨)를 환산하여 응축 압 Pc를 산출하고, 당해 산출한 응축 압력 Pc에 기초하여, 행해도 된다.
(5-4) 변형예 1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제어, 제3 제어에 있어서, 토출 압력 P2가 임계값 Pb를 초과하는 경우나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인 경우에는, 각각, 제1 제어, 제2 제어로 복귀되고 있다. 이는, 팬 회전수를 완만하게 상승시켜 가는 것을 의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서는, 통상 제어로 복귀되는 경우가 있어도 된다.
(5-5) 변형예 1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인, 실외 팬(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저풍량이 요구되는 저풍량 요구 시로서, 저외기 온도 시에 있어서의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제어는, 고저 차압 P가 임계값 B 이하인 상황 하에 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서모 오프 후의 기동 시나, 통상 제어 시에 실내 유닛의 운전 대수가 감소하여 압축기의 회전수가 감소할 때도 적용할 수 있다.
(5-6) 변형예 1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외 팬(28a)과 제2 실외 팬(28b)은 동 기종의 것을 상정하여 기재했지만, 다른 기종의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실외 팬(28a)과, 제2 실외 팬(28b)이 운전 가능한 최저 회전수인 제1 회전수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5-7) 변형예 1G
상기 실시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장치로서 공기 조화 장치에 한정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트 펌프식의 급탕 장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실외 팬을 구비하는 다양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적용 가능하다.
1: 공기 조화 장치(냉동 장치)
2: 실외 유닛
23: 실외 열교환기
28a: 제1 실외 팬
28b: 제2 실외 팬
28ma: 제1 실외 팬 모터
28mb: 제2 실외 팬 모터
95: 팬 제어부
96: 타이머

Claims (6)

  1. 실외 열교환기(23)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과,
    저풍량이 요구되는 저풍량 요구 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외 팬(28a) 및 상기 제2 실외 팬(28b)이 운전되고 있는 제1 운전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실외 팬(28a)의 운전을 계속하고 상기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하는, 팬 제어부(95),
    를 구비하고,
    상기 팬 제어부(95)는 상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타이머(96), 팬 모터(28ma, 28mb)에 관한 전류값의 감시, 또는, 팬 회전수의 감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외 팬(28a) 및 상기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팬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냉동 장치(1)의 실외 유닛(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제어부(95)는 상기 제2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상기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외 팬(28a)을 제1 회전수로 운전하고 또한 상기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1 제어를 행하는,
    냉동 장치(1)의 실외 유닛(2).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 제어부(95)는 상기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를 행한 후, 상기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상기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2 제어를 행하는,
    냉동 장치(1)의 실외 유닛(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 제어부(95)는 상기 팬 온/오프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를 행한 후, 상기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고 또한 상기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여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하는 제3 제어를 행하는,
    냉동 장치(1)의 실외 유닛(2).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 제어부(95)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3) 내의 냉매의 응축 온도 또는 응축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실외 팬(28b), 상기 제2 제어에 있어서의 제1 실외 팬(28a) 및 제2 실외 팬(28b)의 한쪽의 팬 및 상기 제3 제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는,
    냉동 장치(1)의 실외 유닛(2).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수는, 상기 제1 실외 팬(28a) 및 상기 제2 실외 팬(28b)의 운전 가능한 최저 회전수이고,
    상기 팬 제어부(95)는,
    상기 제1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상기 제2 실외 팬(28b)의 회전수가 상기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상기 제2 실외 팬(28b)을 상기 제1 회전수로 운전하며,
    상기 제2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외 팬(28a) 및 상기 제2 실외 팬(28b)에의 전력 공급을 각각 온하고, 상기 제1 실외 팬(28a) 및 상기 제2 실외 팬(28b)의 회전수가 각각 상기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상기 제1 실외 팬(28a) 및 상기 제2 실외 팬(28b)을 각각 상기 제1 회전수로 운전하며,
    상기 제3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외 팬(28a)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고, 상기 제1 실외 팬(28a)의 회전수가 상기 제1 회전수에 달한 후에는 상기 제1 실외 팬(28a)을 상기 제1 회전수로 운전하는,
    냉동 장치(1)의 실외 유닛(2).
KR1020137010725A 2010-09-30 2011-09-22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KR20130073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1725A JP5077414B2 (ja) 2010-09-30 2010-09-30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JP-P-2010-221725 2010-09-30
PCT/JP2011/071607 WO2012043376A1 (ja) 2010-09-30 2011-09-22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973A true KR20130073973A (ko) 2013-07-03

Family

ID=4589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725A KR20130073973A (ko) 2010-09-30 2011-09-22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80690A1 (ko)
EP (1) EP2623891B1 (ko)
JP (1) JP5077414B2 (ko)
KR (1) KR20130073973A (ko)
CN (1) CN103124884B (ko)
AU (1) AU2011309325B2 (ko)
WO (1) WO2012043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4627B (zh) * 2013-05-14 2017-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外风扇电机的控制方法
CN105091254B (zh) * 2014-04-18 2020-01-31 大金工业株式会社 控制装置
JP5831661B1 (ja) * 2014-09-30 2015-1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
DE102015215253A1 (de) * 2015-08-11 2017-02-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ühlvorrichtung für Energiespeicher
JP6785945B2 (ja) * 2017-03-13 2020-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420504B1 (ko) 2017-07-12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826609B (zh) * 2018-09-05 2020-07-0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风机检测方法及空调器
EP3926256A1 (en) * 2018-09-10 2021-12-22 Carrier Corporation Ejector heat pump operation
CN111023501B (zh) * 2019-12-19 2022-05-06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空调控制系统和计算机设备
CN112577167B (zh) * 2020-12-09 2022-02-08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运行时双风扇电机转速的控制方法
WO2023243089A1 (ja) * 2022-06-17 2023-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15342571B (zh) * 2022-06-30 2023-08-04 河北工程大学 一种温度可调的冰温贮藏保温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0538A (en) * 1967-06-23 1968-07-02 Trane Co Refrigeration system
JPS6078823A (ja) * 1983-10-07 1985-05-0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H04236072A (ja) 1991-01-16 1992-08-25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H04363554A (ja) * 1991-06-10 1992-12-16 Hitachi Ltd 空冷式冷凍装置用送風機の制御方法
JPH0571791A (ja) 1991-09-10 1993-03-23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6323608A (ja) * 1993-05-18 1994-11-25 Hitachi Ltd 空気調和装置
JPH076651U (ja) * 1993-07-06 1995-01-31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3314474B2 (ja) * 1993-08-30 2002-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H102625A (ja) * 1996-06-14 1998-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装置
EP1287297A4 (en) * 2000-06-09 200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SYSTEM OF THE EXTERNAL AIR INTAKE AND RELATED METHOD
CN2454986Y (zh) * 2000-11-06 2001-10-17 建准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温控变速的风扇电机
JP3601596B2 (ja) * 2001-03-19 2004-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装置
CN2565238Y (zh) * 2002-06-10 2003-08-06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的散热系统
JP2006046838A (ja) * 2004-08-06 2006-02-16 Advanced Kucho Kaihatsu Center Kk インバータ式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38632A (ja) * 2006-02-20 2006-06-01 Sanyo Electric Co Ltd 冷凍機
JP2009085481A (ja) * 2007-09-28 2009-04-23 Daikin Ind Ltd 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77414B2 (ja) 2012-11-21
US20130180690A1 (en) 2013-07-18
EP2623891A1 (en) 2013-08-07
EP2623891B1 (en) 2018-05-30
CN103124884B (zh) 2015-05-13
AU2011309325A1 (en) 2013-04-18
WO2012043376A1 (ja) 2012-04-05
AU2011309325B2 (en) 2014-08-28
EP2623891A4 (en) 2016-09-07
JP2012077962A (ja) 2012-04-19
CN103124884A (zh)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973A (ko)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JP4497234B2 (ja) 空気調和装置
CN110291339B (zh) 空气调节装置
US20110088414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refrigerant quantity determination method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0127568A (ja) 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CN112840164B (zh) 空调装置和管理装置
JP5292940B2 (ja) 空気調和機
WO2020121411A1 (ja) 空気調和装置
JP2007218532A (ja) 空気調和装置
JP6749471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362596B1 (ko) 난방 전용 공기 조화 장치
JP5772811B2 (ja) 冷凍装置
JP2014142168A (ja) 冷凍装置
JP6296449B2 (ja) 冷媒回収方法、冷凍空調装置、及び冷媒回収システム
JP2010007996A (ja) 空気調和装置の試運転方法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11242097A (ja) 冷凍装置
JP5884381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2147819A (ja) 冷凍装置
US20220178569A1 (en) Apparatus evaluation system and apparatus evaluation method
JP2017120141A (ja) 空気調和機および除霜補助装置
WO2023105605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7280165A (zh) 空调装置
KR2010007940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0096397A (ja) 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