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751A -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751A
KR20130072751A KR1020110140303A KR20110140303A KR20130072751A KR 20130072751 A KR20130072751 A KR 20130072751A KR 1020110140303 A KR1020110140303 A KR 1020110140303A KR 20110140303 A KR20110140303 A KR 20110140303A KR 20130072751 A KR20130072751 A KR 20130072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ight distribution
lighting unit
law
distribution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678B1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3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djustment of real or effective orientation of directivity characteristic of an antenna or an antenna system to give a desired condition of signal derived from that antenna or antenna system, e.g. to give a maximum or minimum signal
    • G01S3/40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djustment of real or effective orientation of directivity characteristic of an antenna or an antenna system to give a desired condition of signal derived from that antenna or antenna system, e.g. to give a maximum or minimum signal adjusting orientation of a single directivity characteristic to produce maximum or minimum signal, e.g. rotatable loop antenna or equivalent goniomete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01J2001/083Testing response of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을 포함하는 배광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의 각각에 조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조도센서에서 읽은 조도값을 통해, 법규에서 정하는 각각의 포인트 위치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A Light Distribution Inspection Device And A Light Distribution Inspection Process}
본 발명은 배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 유닛의 광원이 조사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그 용도에 따라 광도나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자동차용 램프는 야간에 운전시야를 넓혀 안전운행을 유도해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쪽 차선을 주행하는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가리지 않게 하고, 또한 차선쪽을 잘 볼 수 있도록, 광 중심선을 중심으로 다른 광도값을 갖는 영역이 생기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램프는 주, 야간에 상대방 운전자에게 신호를 주거나 차량운전자의 시인성을 보장하는 수단으로써, 각각의 기능에는 그 기능을 만족해야 하는 법규상의 밝기 규제가 있다.
램프에서 요구하는 법규 포인트는 하나의 펑션에서 20개 이상이며, 프론트 램프를 예를 들면 로우빔, 하이빔, 전방 방향지시등, 차폭등, 안개등, 주간등 등이 있고, 리어 램프를 예를 들면 리어 방향지시등, 백업등 리어포그등 등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배광 검사 장치에서의 스크린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종래의 배광 검사 장치는 램프 또는 조명기구 등의 조명 유닛을 차량에 장착된 상태와 가장 유사하게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절해주는 고니오미터와 단일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다.
즉, X, Y, Z축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고니오미터의 상부에 램프 또는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램프 또는 조명기구 등의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조도센서(20)를 포함하는 스크린(10)에 조사함으로써, 빔(30)의 분포특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램프에서 요구하는 법규 포인트는 하나의 펑션에서 20개 이상이고, 그 펑션에 있는 수많은 포인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니오미터를 X, Y, Z축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포인트 위치를 상기 조도센서와 일치시켜서, 그때마다 조도값을 체크하여 빔의 분포특성을 검사하여야 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포인트를 확인하기 위해 단일의 조도센서(20)를 포함하는 스크린(10)에 빔(30)을 조사하여, 그 포인트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검사한 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포인트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고니오미터를 X, Y, Z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그 상부에 있는 램프 또는 조명기구의 위치를 변동시키면서, 포인트 위치를 상기 조도센서와 일치시켜, 그 때의 조도값을 체크하여 빔의 분포특성을 검사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광 검사 장치는 상술한 다양한 펑션과 포인트로 인해, 하나의 램프의 배광특성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수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배광 검사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많은 램프의 배광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크린을 포함하는 배광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법규는 유럽 자동차 램프 법규, 국내법규 또는 북미지역 자동차 램프 법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광 검사 장치는,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조명 유닛 설치대; 및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와 상기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 중, 상기 개구부 영역을 통과한 빔만 상기 스크린에 조사되고, 나머지 빔은 상기 빔차단부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 영역을 통과한 빔은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조명 유닛 설치대와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1조사단계;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와 상기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2조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1조사단계는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통해, 의도된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만을 통과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1조사단계이후, 상기 의도된 컷-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에이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광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은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2조사단계는 법규에서 정하는 각각의 포인트 위치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인 배광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광 검사 장치에 따르면,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의 각각에 조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조도센서에서 읽은 조도값을 통해, 법규에서 정하는 각각의 포인트 위치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측정이 필요한 램프 등의 조명 유닛을 점등하면, 각각의 조도센서에서의 조도값을 동시에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한개의 펑션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여, 배광 검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배광 검사 장치에서의 스크린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에서의 스크린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의 빔차단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c는 빔차단부를 사용한 경우의 빔의 조사특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d는 복수의 컷-오프를 포함하는 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에서의 스크린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의 스크린(100)은 복수개의 조도센서(110)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110)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법규란 유럽 자동차 램프 법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EC Reg. No.98, EC Reg. No.112 또는 EC Reg. No.123일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조도센서는 EC Reg. No.98, EC Reg. No.112 또는 EC Reg. No.123에서 정하는 포인트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법규는 북미지역 자동차 램프 법규 또는 국내법규인 자동차 안전기준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법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의 각각에 상기 조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조도센서에서 읽은 조도값을 통해, 법규에서 정하는 각각의 포인트 위치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조도센서 간에 통신케이블을 연결한 후, 이를 조도계 본체와 연결하고, 상기 조도계 본체를 PC와 연결하여, 각각의 조도센서에서 읽은 조도값을 PC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배광 검사 장치는 램프 또는 조명기구를 차량에 장착된 상태와 가장 유사하게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절해주는 고니오미터와 단일의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법규에서 정하는 복수의 포인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니오미터를 X, Y, Z축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포인트 위치를 상기 조도센서와 일치시켜서, 그때마다 조도값을 체크하여 빔의 분포특성을 검사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조도센서(110)를 설치하기 때문에, 조명 유닛을 이동하는 것이 없이, 한번의 빔(120)의 조사에 의해, 각각의 조도센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에서의 조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는 측정이 필요한 램프 등의 조명 유닛을 점등하면, 각각의 조도센서에서의 조도값을 동시에 읽을 수 있기 때문에, 펑션 한개를 시험하는데, 셋팅시간을 포함하더라도 약 3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따라서, 기존 30분 이상의 시간의 소요되는 종래기술과 비교시, 단시간에 한개의 펑션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여, 배광 검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시간이 짧기 때문에 램프 조립라인에 설치하여, 최종 점등 검사시에 바로 배광 합격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추가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전수 검사를 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의 빔차단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c는 빔차단부를 사용한 경우의 빔의 조사특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d는 복수의 컷-오프를 포함하는 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장치는 램프 등의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조명 유닛 설치대(310) 및 스크린(100)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에 램프 등의 조명 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 유닛은 다수의 법규 포인트에서의 조도값을 읽기 위한 이동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는 단순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인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X, Y, Z축에 따라 이동가능한 고니오미터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100)은 복수개의 조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미도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법규란 유럽 또는 북미지역 자동차 램프 법규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는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310)와 스크린(3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빔차단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빔차단부(200)의 일정영역에는 빔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검사 장치는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310)와 스크린(300)의 사이에 개구부(210)를 포함하는 빔차단부(200)를 위치시킴으로써, 스크린에 조사되는 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즉, 조명 유닛(300)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전부 스크린에 조사하는 것이 아닌, 개구부 영역을 통과한 빔만 스크린에 조사하고, 나머지 빔은 상기 빔차단부에 의해 차단되어 스크린에 조사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 영역을 통과한 빔은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일 수 있으며, 따라서, 컷-오프(cut-off)를 형성하는 부분의 빔만 통과시킴으로써, 컷-오프(cut-off)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켜 에이밍(aiming)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에이밍(aiming)이란, 차량의 상태에 맞게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램프의 빔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통 에이밍 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조정하고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컷-오프(cut-off)를 형성하는 부분의 빔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210)는 가로(x) × 세로(y)의 넓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조명 유닛의 종류, 조명 유닛 설치대와 광차단부와의 거리, 광차단부와 스크린과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개구부의 크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통해,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만을 통과시키는 것은 아래와 같은 의미도 있다.
즉,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에 빔을 조사시, 복수의 컷-오프 영역이 있는 경우, 의도된 컷-오프 영역은 B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착오에 의해 A 영역을 의도된 컷-오프 영역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B 영역을 기준으로 컷-오프 라인을 선정하여, 상기 컷-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에이밍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나, A 영역을 기준으로 선정된 잘못된 컷-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에이밍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의도된 컷-오프(cut-off)를 형성하는 부분의 빔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 3c에서와 같이, 빔차단부를 통해,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만을 통과시켜 의도된 컷-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정확한 에이밍을 실시한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차단부를 제거하고, 전체 빔을 스크린에 조사하여, 법규에서 정하는 각각의 포인트 위치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광검사장치를 통한 검사방법은, 먼저,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조명 유닛 설치대와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한다.
이때,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통해, 의도된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전부 스크린에 조사하는 것이 아닌, 상기 개구부 영역을 통과한 빔만 스크린에 조사하고, 나머지 빔은 상기 빔차단부에 의해 차단되어 스크린에 조사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의도된 컷-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에이밍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의도된 컷-오프 라인은 개구부를 통하여 보다 선명해진 컷-오프 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더 선명해진 컷-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에이밍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와 상기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제거하고,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은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법규에서 정하는 각각의 포인트 위치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크린 110 : 조도센서
200 : 빔차단부 210 : 개구부
300 : 조명 유닛 310 : 조명 유닛 설치대

Claims (8)

  1. 스크린을 포함하는 배광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법규는 유럽 자동차 램프 법규, 국내법규 또는 북미지역 자동차 램프 법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검사 장치는,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조명 유닛 설치대; 및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와 상기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 중, 상기 개구부 영역을 통과한 빔만 상기 스크린에 조사되고, 나머지 빔은 상기 빔차단부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영역을 통과한 빔은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장치.
  6.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조명 유닛 설치대와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1조사단계;
    상기 조명 유닛 설치대와 상기 스크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2조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1조사단계는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빔차단부를 통해, 의도된 컷-오프(cut-off)를 포함하는 빔만을 통과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검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1조사단계이후, 상기 의도된 컷-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에이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광 검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는 법규에서 정하는 포인트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명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빔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는 제2조사단계는 법규에서 정하는 각각의 포인트 위치에서의 빔의 분포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인 배광 검사 방법.
KR1020110140303A 2011-12-22 2011-12-22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KR101308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303A KR101308678B1 (ko) 2011-12-22 2011-12-22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303A KR101308678B1 (ko) 2011-12-22 2011-12-22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51A true KR20130072751A (ko) 2013-07-02
KR101308678B1 KR101308678B1 (ko) 2013-09-13

Family

ID=4898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303A KR101308678B1 (ko) 2011-12-22 2011-12-22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327B1 (en) 2015-09-22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LED lighting device
KR20210066547A (ko) *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차량용 led램프 측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66A (ko) 2018-12-26 2020-07-06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 검사장치 및 램프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69B2 (ja) * 1991-06-05 1995-03-29 中央電子計測株式会社 車輌用ライトの照度測定方法
JP2006090938A (ja) * 2004-09-27 2006-04-06 Sanei Kogyo Kk ヘッドライトテス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327B1 (en) 2015-09-22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LED lighting device
KR20210066547A (ko) *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차량용 led램프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78B1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9860B2 (ja) 車両用灯体検査方法
US20140152845A1 (en) camera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camera
KR101308678B1 (ko)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KR20170020605A (ko) 멀티 광학 비전 장치
US81842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fect detection using transmissive bright field illumination and transmissive dark field illumination
CN105486686A (zh) 涂漆表面光洁度的基于led的检查
KR20160004099A (ko) 결함 검사 장치
KR20150001547A (ko)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CN104807400A (zh) 用于校准光学测量仪器的装置
KR101210575B1 (ko) 헤드램프 조정 장치 및 방법
CN207366176U (zh) 一种汽车前照灯配光检测装置
JP2011185708A (ja) 車両用前照灯検査装置
CN115867781B (zh) 测量光源的远场发光强度和颜色特性的装置和方法
US20020167657A1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lighting quality of vehicle headlights
JP6564217B2 (ja) 車両用前照灯検査装置
JP2005300477A (ja) ヘッドライトテスター
KR101439987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조사각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44997A (zh) 机动车前照灯标准装置
KR101481020B1 (ko) 전조등 컷오프 라인을 가지는 차량을 위한 전조등 검사장치용 필름과 이를 구비한 전조등 검사장치
JP2015161586A (ja) 車両用前照灯の明るさ評価方法
CN214251481U (zh) 一种整车车灯测量系统
CN111751085A (zh) 一种车灯更换提醒方法及其装置
CN221100045U (zh) 一种整车灯光测量系统
CN215414319U (zh) 一种前照灯检测仪校准器测量系统
CN216978826U (zh) 一种回复反射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