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257A -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257A
KR20130070257A KR1020110137493A KR20110137493A KR20130070257A KR 20130070257 A KR20130070257 A KR 20130070257A KR 1020110137493 A KR1020110137493 A KR 1020110137493A KR 20110137493 A KR20110137493 A KR 20110137493A KR 20130070257 A KR20130070257 A KR 20130070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connection structure
air conditioner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준
구성회
김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257A/ko
Publication of KR2013007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관을 다수개수 형성하고, 상기 배관과 배관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타공이 형성되는 조절판을 장착하여, 상기 배관을 통과하는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과 배관의 연결부분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조절판을 장착하여 배관 내부의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CONNECTING PIPE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의 연결부분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조절판을 장착하여 배관 내부의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성되며, 냉매가 순환되는 방향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기(1)와,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2)를 구비하며, 실외기(1)와 실내기(2) 사이에는 냉매를 이송하는 연결배관(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실외기(1)의 압축기(1a)에서 압축된 고압 고온의 액상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c)로 유출되고, 실외열교환기(1c)에서 열교환된 된 냉매는 액상배관(3a)을 따라 실내기(2)의 팽창밸브(2a)로 이동된다.
더불어, 팽창밸브(2a)에 감압 팽창된 저압 액체 상태의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b)에서 열교환되어 저압의 기체 상태가 된 후, 기상배관(3b)을 따라 실외기(1)의 어큐뮬레이터(1d)로 회수되고, 다시 압축기(1a)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와 실내기(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연결배관(3)의 길이 역시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배관(3) 내부의 압력손실(PH-PH)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액상배관(3a)을 유동하는 고압 액체상태의 일부는 증발되어 이상상태로 팽창밸브(2a)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유동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압력손실의 증가에 의해 공조기의 성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44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관과 배관의 연결부분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조절판을 장착하여 배관 내부의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을 구성하는 연장부나 가스켓의 내면에 조절판의 테두리 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접촉부위의 밀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절판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곡면부를 형성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관을 다수개수 형성하고, 상기 배관과 배관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타공이 형성되는 조절판을 장착하여, 상기 배관을 통과하는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과 배관의 연결부분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조절판을 장착하여 배관 내부의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을 구성하는 연장부나 가스켓의 내면에 조절판의 테두리 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접촉부위의 밀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판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곡면부를 형성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개략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나타낸 조립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구성하는 조절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구성하는 수용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나타낸 조립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구성하는 조절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구성하는 수용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1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관(20)과, 상기 배관(20)의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고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조절판(30)과, 상기 배관(20)과 조절판(30)의 사이에 장착되어 밀봉하는 가스켓(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2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부(2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1)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배관(20)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23)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22)이 구비된 연장부(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배관(20)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끝단에 형성되는 연장부(21)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관(20)의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는 조절판(30)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20)의 공간(23)을 이동하는 공기의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조절판(3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시된 도 4(a)의 조절판(30)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타공(33)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곡면부(34)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조절판(30)은 배관(20) 또는 배관(20) 및 가스켓(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31)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타공(33)을 형성하며, 끝단에는 상기 배관(20)에 형성되는 공간(23)의 일부를 차단하면서도 공기 이동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곡면부(34)를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4(b)는 조절판(30)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타공(33)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조절판(30)은 배관(20) 또는 배관(20) 및 가스켓(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31)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타공(33)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배관(20)과 조절판(30)의 사이에 장착되는 가스켓(40)은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20)과 조절판(30)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밀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40)은 상기 배관(20)의 결합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공(4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10)는 도시된 도 5(a) 또는 5(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도 5(a)는 상기 배관(20)과 배관(20)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조절판(30)의 테두리 부(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24)가 함몰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5(b)는 상기 가스켓(40)의 내면에 상기 조절판(30)의 테두리 부(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42)가 함몰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20)과 가스켓(40)의 내면에 수용부(24, 42)를 함몰형성하여 배관(20)과 배관(20)의 연결부분의 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밀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부(2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1)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관(20)을 다수개수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20)과 배관(20)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3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타공(33)이 형성되는 조절판(3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20)과 조절판(30)의 사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가스켓(40)을 각각 장착하면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10)를 구성하는 배관(20)의 공간(23)으로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공기는 배관(20)을 구성하는 공간(2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2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배관(20)과 배관(20)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조절판(30)을 거치면서 자연적으로 공기량과 공기압력이 조절된다.
즉 상기 조절판(30)과 맞닿는 공기는 타공(33)과 곡면부(34)와 배관(20)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간(23)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는 조절판(30)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형 형상의 곡면부(34)를 통해 최소의 저항으로 다른 배관(20)의 공간(23)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20 : 배관,
21 : 연장부, 22 : 결합공,
23 : 공간, 24 : 수용부,
30 : 조절판, 31 : 테두리 부,
32 : 관통공, 33 : 타공,
40 : 가스켓.

Claims (4)

  1.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부(2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1)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관(20)을 다수개수 형성하고,
    상기 배관(20)과 배관(20)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3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타공(33)이 형성되는 조절판(30)을 장착하여,
    상기 배관(20)을 통과하는 공기량과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0)의 양측에는 상기 배관(20)의 결합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팅 결합공(41)이 형성되는 가스켓(4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관(20)을 구성하는 연장부(21)의 내면이나 가스켓(40)의 내면에는 상기 조절판(30)의 테두리 부(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24, 42)가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0)은 상기 배관(20)에 형성되는 공간(23)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구간 형성되고 끝단에는 공기 이동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곡면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KR1020110137493A 2011-12-19 2011-12-19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KR20130070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493A KR20130070257A (ko) 2011-12-19 2011-12-19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493A KR20130070257A (ko) 2011-12-19 2011-12-19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257A true KR20130070257A (ko) 2013-06-27

Family

ID=4886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493A KR20130070257A (ko) 2011-12-19 2011-12-19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2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141A (zh) * 2018-08-07 2018-11-30 苏州泰隆制冷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便于组装的管组
CN111412613A (zh) * 2020-03-31 2020-07-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涡环生成方法、空调器、存储介质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141A (zh) * 2018-08-07 2018-11-30 苏州泰隆制冷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便于组装的管组
CN111412613A (zh) * 2020-03-31 2020-07-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涡环生成方法、空调器、存储介质及装置
CN111412613B (zh) * 2020-03-31 2021-12-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涡环生成方法、空调器、存储介质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897B2 (en) Reversing valve and cooling system having same
CN105627461B (zh) 空调机的室外机
JP2019120450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2013083316A (ja) 配管接続構造
US20190310033A1 (en) Inlet flow regulating structure and plate heat exchanger
KR102527913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CN104949224A (zh) 压缩机的垫圈固定夹具和压缩机固定方法
KR20130048816A (ko) 배관진동 저감용 댐퍼
KR20130070257A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CN103574774B (zh) 空调机
KR102620362B1 (ko) 공기조화기
JP5275947B2 (ja) 四方切換弁
JP6832266B2 (ja) スライド式切換弁およ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CN216692169U (zh) 一种截止阀
JP2010116939A (ja) 配管組付け方法及び配管組付け構造
US10041712B2 (en) Refrigerant distribut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equipped with the refrigerant distributor
CN214537491U (zh) 换热器
CN216078706U (zh) 一种可快速连接并消除误差的水路管件及具有其的热泵机组
CN216953499U (zh) 一种可拆卸的换热结构
KR101212892B1 (ko) 조립식 열교환기 모듈
CN211820842U (zh) 换向阀
US20240085056A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220582808U (zh) 一种维护方便的膨胀阀
JP2002107005A (ja) 空気調和機
JP2019002618A (ja) 差圧式膨張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