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692A -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 - Google Patents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692A
KR20130065692A KR1020137005172A KR20137005172A KR20130065692A KR 20130065692 A KR20130065692 A KR 20130065692A KR 1020137005172 A KR1020137005172 A KR 1020137005172A KR 20137005172 A KR20137005172 A KR 20137005172A KR 20130065692 A KR20130065692 A KR 20130065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articulated
mannequin
hole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반도 소토 벨라스코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무빙 디스플레이즈 에스.데 알.엘. 데 체.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무빙 디스플레이즈 에스.데 알.엘. 데 체.베.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무빙 디스플레이즈 에스.데 알.엘. 데 체.베.
Publication of KR2013006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47F8/02Wire figures; Contour figures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연결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그의 팔다리들을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는 다양한 조립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팔다리들은 강성 또는 유연성일 수 있으며 또한 속이 비거나 고형일 수 있다. 상기 조립 기구는 적어도: 자성 접속 기구, 자성 체결 및 접속 기구, 조정가능한 체결 및 접속 기구, 조정가능한 토션 및 접속 기구, 자유운동 및 접속 기구, 자동화된 운동 및 접속 기구, 복합형 디스크 기구, 이중 볼-소켓 조인트 기구 및 압축 볼-소켓 조인트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기구들은, 관절연결 마네킹 팔다리의 소재내로 삽입되고, 관절연결 마네킹에게 완벽한 범위의 운동성 및 융통성을 부여함으로써, 어떠한 인간의 자세도 취할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 기구의 장점에 따라, 관절연결 마네킹의 팔다리는: 부여된 자세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움직인 후에도, 부여된 자세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분리 시이트의 주위에 조립될 수 있고; 자동화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움직이는 물체와 상호작용할 때, 저항이 없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관절연결 마네킹이 위치한 장소에서 보다 많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ARTICULATED MANNEQUIN WITH VARIOUS ASSEMBLY MECHANISMS}
본 발명은, 그의 조립된 부재들을 유지하는 다양한 조립 기구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되는 관절연결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구들을 가지는 조립체는 적어도: 자성 접속, 자성 접속 및 체결, 조정가능한 접속 및 체결, 조정가능한 접속 및 토션, 접속 및 자유 운동, 접속 및 자동화된 운동, 복합형 디스크, 이중 볼 조인트 및 압축 조인트를 포함한다. 상기 기구들은, 관절연결 마네킹 팔다리의 소재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조립 기구들은, 관절연결 마네킹에게 완벽한 범위의 운동성 및 융통성을 부여함으로써, 어떠한 인간의 자세도 취할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장소에 설치될 수 있고, 착의 및 탈의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 기구들은 또한: 관절연결 마네킹의 팔다리가 주어된 자세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움직인 후에도, 주어진 자세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분리 시이트의 주위에 조립될 수 있고; 자동화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움직이는 물체와 상호작용할 때, 저항이 없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마네킹 관절을 구성하는 부재들은 중공형이거나 고형일 수 있으며, 강성 또는 유연성일 수 있어서, 그러한 기구들은 상술한 부재들의 어떠한 자세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설치 및 기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특징 및, 본 명세서를 통하여 논의될 기타의 특징들을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로 의상 및/또는 악세사리를 전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인간의 형상을 한 마네킹은 수년동안 매체에서 알려져 왔으며, 종종 인체의 전신 또는 인체의 부분만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허리부터 머리까지 또는 허리부터 다리까지 만으로 된 것들도 있다. 인체의 마네킹은 흔히 머리, 관절연결 팔다리 및, 부재들을 상호간에 유지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조립 기구를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착의 및 탈의를 위하여는, 팔 또는 다리를 포함하는 부재들 중 적어도 한 개를 분해해야 하고, 이는 이들 부재를 재조립할 때 작업을 복잡하게 하며, 시간의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그러한 조립 기구의 고장 및/또는 오작동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조립 체결 기구들인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는, 관절연결 부재들을 가지는 인체 마네킹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허들이 언급될 가치가 있다: 미국특허 제 105,718 호, 미국특허 제 296,321 호, 미국특허 제 6,409,516 호, 영국특허 제 2,245,575 호, 미국특허 제 5,180,086 호, 미국특허 제 6,203,396 호, 미국특허 제 89,739 호, 미국특허 제 5,630,745 호, 미국특허 제 4,619,540 호 및, 미국특허 제 6,257,467 호.
상술한 관절연결 마네킹의 단점 중의 하나는, 통상 중첩되어 있는 부재들의 소재의 사이에 체결 기구들이 확고하게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및 사용에 따라서 이들 체결 기구들이 느슨해지고,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상술한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른 단점은, 이들의 체결 기구들이 약한 체결력으로 조립된 부재들을 유지하는 기능만을 발휘하기 때문에, 자중 또는 어떤 진동에 의하여 상기 부재들이 주어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점이다.
상술한 기구를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른 단점은, 이들 부재가 움직인 후에 주어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없고, 자동화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분리 시이트의 주위에 조립될 수 없다는 것이며, 움직이는 다른 대상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저항없이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이고, 이들 조립 기구들은 다른 조립 기구와 대체되거나 교체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가 없다는 점이다.
상술한 관절연결 마네킹들의 대부분의 다른 단점은, 이들의 체결 기구가 인간의 실제적인 연결부위의 해부학적인 형상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아서, 움직이기가 어렵고, 관절부분들이 매우 거친 형상을 가지며, 마치 변형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른 단점은, 체결기구들이 있는 부분들이 통상 숫나사, 암나사 및/또는 기타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 기구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지나치게 많은 관통구 및/또는 외부의 구멍을 가지고 있게 되어, 사실적으로 보이지 않고, 미관상 좋지가 않다는 점이다.
몇몇 관절연결 마네킹에 관한 발명들에 있어서는, 마네킹의 특정 부재들의 위치만을 조정할 수 있을 뿐으로서, 예를 들면, 머리, 팔, 팔뚝, 다리 또는 종아리 정도만을 조정할 수 있어서, 자세가 매우 한정되고 사실적이지가 않기 때문에,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마네킹이 인체가 취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지 못한다는 점이다.
또한, 유연한 인체형 마네킹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마네킹은 통상 단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재들이 구부러졌을 때, 표면에 주름이 생겨서 마네킹이 비사실적으로 보이며, 반복적으로 부재를 구부림으로써 매장을 오염시키고, 유연성 마네킹이 변형되고, 불균형적이고, 해부학적으로 보기 싫은 상태로 된다.
다른 단점은, 유연성 마네킹은 통상 외형이 인체의 윤곽선 및 얼굴의 특징을 잘 나타내지 못하며 스펀지와 같은 외향을 가지며, 부자연스럽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인체 전체를 통하여, 관절을 가짐으로써 자태를 현실적으로 나타내고, 다른 부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착의 및 탈의가 가능하고, 조립 기구가 해부학 적으로 현실적인 형상을 가지고, 외형상 부재들의 소재에 확고하게 삽입되는 숫나사 또는 암나사 조립 기구와 같은 내부 부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며, 조립 기구의 압력이나 힘이 조절될 수 있으며, 조립 기구가 이동한 후에도 자동적으로 주어진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부재들은 분리 시이트의 주위에서 조립될 수 있고, 부재들이 자동화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부재들이 운동하는 대상물과 상호작용을 할 때 저항없이 운동을 할 수 있고, 부재들은 속이 비거나 고형일 수 있음과 동시에 강성이거나 유연성을 가지며, 표면에 주름이나 변형이 형성되지 않고, 부가적으로, 조립 부재는 분해가 가능하여, 다른 조립 기구와 교체 또는 대체될 수 있는 관절연결 마네킹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관절연결 마네킹은 그의 놓여진 곳에서 사용빈도가 높아지며, 필요한 바 및 장소에 따라 채택될 수 있는 관절연결 마네킹에 있어서 다양한 조립 기구의 사양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관절연결 마네킹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조립 기구와 관련된 것으로서, 일차적으로는 사용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인간적 외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에 대하여 다양한 조립 기구를 설치, 조립, 조정 및 조작하는 특징적인 상세한 내용 및 방법등은 이하의 기술 내용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겠지만, 이들은 예시적인 것일뿐, 본원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양한 부재들에 내장되는 조립 기구들은, 이들의 적용분야에 있어서 큰 유익성을 부여한다.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조정가능한 관절연결 마네킹의 단순성에 근거하여, 취급이 간편하고, 관절연결 마네킹의 탈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부가적으로, 마네킹은 매우 경량의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반하기가 쉽다. 본 발명의 실제적인 인체 마네킹에 관한 다른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기술내용을 따라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며, 본 명세서를 통하여 논의될, 관절연결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주된 장점은, 의상, 신발 및/또는 악세사리용의 관절연결 마네킹에 대한 강렬한 시각적 인상과 큰 융통성을 부여하며 효과적인 전시를 하도록 한다: 또한, 인체공학적 가구, 차량의 내장, 특정한 제품에 대한 권유, 제품 및/또는 서비스의 장점, 특징, 규격 및 필요성등이 홍보되며, 이벤트, 구매권유, 창조적 환경, 지상 및 공간상에서 보기좋은 광경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른 장점은, 착의 및 탈의를 할 때에 그의 팔 및/또는 다리를 해체하고 다시 조립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서, 종래의 마네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들 부재는 옮겨질 때마다 오염이 되기도 하고, 종종 사용불가능하게 되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의 관절이 연결된 마네킹을 구성하는 부재들은 강성 또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속이 비거나 고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량으로 될 수 있도록 강성이면서 속이 빈 것, 또는 탄성이면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재료는 플라스틱, 유리섬유, 수지, 폴리우레탄, 카드보드 또는 기타 재료의 조합이거나, 혼합되었을 때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를 형성하도록 금형 내부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화합물 및/또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재료는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량이며, 충격 및/또는 낙하에 강하기 때문에 파단이나 절단을 예방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할 뿐아니라 안전하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의 참조 화살표 기호를 설명한다:
화살표
Figure pct00001
는 연결 기구를 표시한다.
화살표
Figure pct00002
는 조립 기구의 부재 또는 부품을 표시한다.
화살표
Figure pct00003
는 부재 또는 부품의 연결부 또는 일부를 표시한다.
화살표
Figure pct00004
는 숨은, 또는 내부에 있는 부재 또는 부품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은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양한 기구 및 이들의 조립에 관한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특별한 문제없이 본원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기술에 대하여는 상세하게 기술 또는 논의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체의 해부학적 형상을 사용한 것이지만, 동물 또는 기타 대상물과 같은 것도 포함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1은, 직립자세로 고정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정면도로서, 마네킹을 구성하는 상이한 부재(1 내지 9b)와, 적절하게는 측방향에서 본 조립 기구의 회전축(19a) 또는 정면방향에서 본 것(19b)을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접속부(10-18, 81, 82 및 90)의 위치를 나타내며, 부가적으로 몸통(3)의 2개의 수평 공동부(3e) 중의 한 개 및 엉덩이부(4)의 2개의 수평 공동부(4a)중의 한개가 강조표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달리는 자세를 모방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측면도로서, 마네킹을 구성하는 상이한 부재(1 내지 9b)와, 적절하게는 측방향에서 본 조립 기구의 회전축(19a) 또는 정면방향에서 본 것(19b)을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접속부(10-18, 81, 82 및 90)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머리(2) 및 몸통(3)의 목(3c)의 측면도로서, 이들 부재는 해체된 상태로 이들의 각 공동부(2a, 2c 및 3d)가 보이도록 투명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부재가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상기 머리(2)가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 기구에 해당하는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상기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조인트(9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들(91 및 91d)의 외형을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단면(91a)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들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6은, 상기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를 대체하는 종래의 조인트(96)를 나타낸다.
도 7은, 확대된 상태의 자성 접속 기구(37)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가 분리판(37a)의 주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확대된 상태의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39)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확대된 상태의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확대된 상태의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체결 기구(53)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확대된 상태의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제1 디스크(22)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원통형 상자(22a)의 내부와, 토션 스프링(23) 및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천공나사(51a), 홈나사(51b) 및 핀(51c)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둘레 원형홈(25a) 상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소형구(25b)를 가지는 홈형성 디스크(25)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소형구(25b)를 대체하는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25c)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홈형성 디스크(22d)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2개의 반구체 접속부(1) 및 그의 상호 보완 부재(60)의 측면도로서, 이들은 조립되어 있으며 내부의 조립 기구를 표현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0은, 상기 도 19에서 도시한 2개의 반구체 접속부(1)가 해체되고, 불투명한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도 21은, 반구체 접속부(1)와 윗팔(5a)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윗팔(5a)의 사시도로서, 그의 일부인 평탄면(65 및 66) 상에 위치된 구형 돌기(26a)와, 구형 홈(27a) 및 중앙구멍(68)을 나타낸다.
도 23은, 삽입베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주변에 구멍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31)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상자를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중앙 안내 구멍을 가진 커플링 디스크(36)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확대된 상태의 결합 및 자유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1에서의 구형 홈 디스크(27)의 단면(28a)의 정면도로서, 구형 홈 디스크(27)는 대각선 플랜지(70)를 포함하며, 중공부재(72)내로 삽입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상기 단면(28a)의 정면도로서, 구형 홈 디스크(27)가 "Z"형 플랜지를 포함하며, 고형부재(73)내로 삽입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28에서 나타낸 복합형 디스크 의 단면(28b)의 정면도로서, 삽입 베이스(30)는 "Z"형 플랜지(71)를 포함하며,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와 함께 원추형 나사에 의하여 고형부재(73)내에 삽입됨을 나타낸다.
도 32는, 오목 방사홈(29)을 가지는 디스크의 사시도로서, 그의 플랜지(20b)가 "Z"자 형임을 나타낸다.
도 33은, 플랜지가 없는 구형 돌기 디스크(26d)의 사시도로서, 플랜지 금구(26e)와 동축적으로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구형 돌기 디스크(26)의 사시도로서, 그의 플랜지(20b)가 다수개의 접힘부(26b)를 가짐을 나타낸다.
도 35는, 구형 돌기 디스크(26)의 사시도로서, 그의 플랜지(20b)가 다수개의 절결부(26c)를 가짐을 나타낸다.
도 36은, 아랫팔(6a)과 손(6b)의 사시도로서, 해체되고, 이들의 각각의 공동부(84 및 85)를 나타내기 위하여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압축 조인트 기구(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은, 적어도 다음의 부재들: 머리(2), 몸통(3), 2 개의 상부 반구체 접속부(1), 2개의 윗팔(5a), 2개의 팔꿈치(5b), 2 개의 아랫팔(6a), 양 손(6b), 엉덩이부(4), 2 개의 하부 반구체 접속부(1), 2개의 넓적다리 상부(7a), 2개의 넓적다리 하부(7b), 2개의 종아리(8a) 및 2개의 발(8b)로 구성된다.
상술한 부재들은 조립 기구들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유지되며, 이 조립 기구들은: 머리(2)와 몸통(3), 몸통(3) 과 2 개의 상부 반구체 접속부(1); 상부 반구체 접속부(1)와 윗팔(5a), 윗팔(5a)과 팔꿈치(5b), 팔꿈치(5b)와 아랫팔(6a), 아랫팔(6a)과 손(6b), 몸통(3)과 엉덩이부(4), 엉덩이부(4)와 하부 반구체 접속부(1); 하부 반구체 접속부(1)와 넓적다리 상부(7a), 넓적다리 상부(7a)와 넓적다리 하부(7b), 넓적다리 하부(7b)와 종아리(8a) 및, 종아리(8a)와 발(8b)의 사이에 위치된 접속부(10, 11, 12, 13, 14, 15, 16, 17, 18, 81, 82 및 90)에 위치된다.
상기 머리(2)는, 그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 공동부(2a)를 포함하며, 수직 공동부(2a)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한 개의 구멍(2b)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공동부(2a)는 몸통(3)의 목(3c) 근처에 위치되며, 상기 목(3c)은 몸통(3)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적어도 그의 상부는 원통형이며, 그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수직 공동부(3d)를 포함한다.
머리(2)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2)와 목(3c)의 공동부(2a 및 3d)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인 결합 기구에 의하여 몸통(3)과 조립되어 고정되며, 상기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는 적어도: 2개의 볼 조인트(91), 나사(92), 금구(93) 및 로드(94)를 포함하며, 각 볼 조인트(91)는, 도 3,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구형 돌기(91b), 구형 공동부(91c) 및, 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나가는 중앙구멍(91e)을 포함한다.
상기 볼 조인트(91)의 변형예로서, 상기 볼 조인트(91)가 움직임에 있어서 큰 자유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구형 돌기(91b)와 그의 구형 공동부(91c)가 떨어져 있도록 이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부(9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조립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낸 구성품의 순서와 같다: 하부가 동심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금구(93)가 목(3c)의 수직 공동부(3d)의 아래쪽에 삽입되고, 나사(92)가 중앙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금구(93)에 고착되며, 나사(92)와 금구(93)가 목(3c)의 재료 내에 삽입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1 볼 조인트(91)는 목(3c)의 공동부(3d)내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나사(92)는 제1 볼 조인트(91)의 중앙구멍(91e)에 남아 있게 되며, 제2 볼 조인트(91)는 제1 볼 조인트(91)과 결합되어, 제1 볼 조인트(91)의 구형돌기(91b)를 구형 공동부(91c)가 감싸게 되며, 일단 조립된 후에는 머리(2)가 자중에 의하여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유지하며, 로드(94)의 한쪽 끝단은 머리(2)의 공동부(2a)의 구멍(2d)내로 삽입된다.
상술한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머리(2)가 주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있으면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머리(2)가 어떠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작업에 의하여 몸통(3)에 장착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변형예로서, 머리(2)가 좀더 많은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볼 보인트(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는,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유사하게, 적어도 한 개의 베이스(96a) 및 스템(96b)를 가지는 통상의 볼 조인트(96)로 대체될 수 있으며, 베이스(96a)는 목(3c)의 수직 공동부(3d)의 하부에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하여 고정되고, 머리(2)가 몸통(3)의 다른 대체품과 조립되도록, 스템(96b)은 머리(2)의 공동부(2a)내의 구멍(2b)에 삽입된다.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 및 통상의 조인트(96)의 변형예는 로드(94)의 상부 끝단에 위치된 튜브(9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튜브(95)는 머리(2)와 몸통(3)을 조립하도록 사용된다.
머리(2)의 변형예는 또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부(2a)의 상부에 있는 구멍(2b)의 위쪽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원통형 구멍(2c)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구멍(2c)는 로드(94)의 상부 끝단에 대한 막음부로서 기능하고, 종래의 볼 조인트(96) 또는 튜브(95)의 스템(96b)는 특정한 깊이까지 머리(2) 내로 도입된다.
머리(2)의 원통형 구멍(2c)의 변형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한 개의 조임부(2d)를 가짐으로써 머리(2)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임부(2d)는 종래의 볼 조인트(96) 또는 튜브(95)의 스템(96b) 또는 로드(94)의 둘레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몸통(3)은 또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상부의 측부에 위치하며 끝단부가 평탄면(3f)을 가지는 2개의 수평 공동부(3e)를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엉덩이부(4)도, 그의 하부의 측부상에 위치되는 2개의 수평 공동부(4a)를 포함하고, 그의 끝단부에는 평탄면(4b)가 형성된다.
상기 몸통(3)은,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부재로 분할될 수 있는데: 몸통 상부(3a) 및 몸통 하부(3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의 접속부(10a)에 위치하는 결합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고정되며, 이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에 있어서 몸통(3)이 한 쪽으로 회동할 필요가 있을 때를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반구체 접속부(1)는, 적어도 반구형부(62) 및, 바람직하게는 반원통형 또는 반원추형부(63)에 의하여 형성되며, 양자는 변위부(64)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도 19 및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부분의 평탄면(65 및 66)들이 상호간에 적어도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반구형부 또는 반원추형부(63)의 평탄면(65)은, 몸통(3) 및 엉덩이부(4)의 수평 공동부(3e 및 4a)의 평탄면(3f, 4b)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반구체 접속부(1)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20은 도 19에서 나타낸 상기 2개의 반구체 접속부(1)의 사시도로서, 본 도면에서는 2개의 접속부가 분해되고 불투명한 상태로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각 부분(62, 63 및 64)들 및 상기한 평탄면(65 및 66)의 상이한 각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 및 22에 도시한 윗팔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 부재들인 윗팔(5a), 팔꿈치(5b), 아랫팔(6a), 넓적다리 상부(7a), 넓적다리 하부(7b) 및 종아리(8a)들은 상술한 반구체 접속부(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짐을 알 수 있지만, 이들 반원통형 또는 반원추형(63)들은 적어도 각각 윗팔(67), 팔꿈치, 아랫팔, 넓적다리 상부, 넓적다리 하부 및 종아리의 해부학적인 형상과 유사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21은, 반구체 접속부(1)와 조립되어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방식을 예시할 목적으로 반구체 접속부(1)와 윗팔(5a)이 조립되고 불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며, 일단 조립된 후에는, 이들 부재는 반구체 접속부(1)와 함께 부분적으로 구의 형상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반구형부(62)를 가지는 부재들은, 한 위치로부터 움직일 때에 적어도 구형상의 일부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을 걸치게 되는 의상 및/또는 악세사리(도시 않됨)에 대하여 유리한 위치를 유지하여,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10, 12, 15, 17, 81 및 82)에 위치된 부재들의 평탄면(65)은: 몸통(3)의 수평 공동부(3e)의 평탄면(3f)과 상부 반구체 접속부(1)의 사이, 윗팔(5a)과 팔꿈치(5b)의 사이; 윗팔(6a)과 손(6b)의 사이; 엉덩이부(4)의 수평 공동부(4a)의 평탄면(4b)과 하부 반구체 접속부(1)의 사이, 넓적다리 상부(7a)와 넓적다리 하부(7b)의 사이, 및 종아리(8a)와 발(8b)의 사이에 위치하며, 원형 평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10a, 11, 13, 14, 16 및 18)에 위치된 부재들의 평탄면(66)은: 몸통 상부(3a)와 몸통 하부(3b)의 사이, 상부 반구체 접속부(1)와 윗팔(5a)의 사이; 팔꿈치(5b)와 아랫팔(6a)의 사이, 몸통(3)과 엉덩이부(4)의 사이, 하부 반구체 접속부(1)와 넓적다리 상부(7a)의 사이, 넓적다리 하부(7b)와 종아리(8a)의 사이에 위치하며, 부분적 원형 평탄면이다..
원형 평탄면(65)과 부분적 원형 평탄면(66)의 양자를 평탄하게 한 이유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양한 부재들에 있어서, 상호간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평탄면(65 및 66)들이, 삽입되는 조립 기구의 평탄면(20a 및 30a)들과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은, 이하에서 기술된 조립 기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 자성 접속 기구(37), 자성 결합 및 체결기구(39),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체결기구(53),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 결합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도시 않됨), 방사상 부하와 함께 동작하는 결합 및 자유이동 기구(도시 않됨), 방사상 및 축방향 부하와 함께 동작하는 결합 및 자유이동 기구(도시 않됨) 및 자동운동 기구(55) 및 복합형 디스크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유지되며, 상기 조립 기구는 본 발명의 마네킹의 관절연결 부재의 사이에 삽입되고,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느슨해지지 않으며 부재들이 열화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순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 수반되는 도면들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에 서 설명하는 숫나사, 암나사, 워셔, 로드, 축 및 나사구멍에 있어서는 나사산을 표현하지 않았다.
도 7은,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의 확대도로서 이 기구는 적어도: 그의 둘레가 한쪽으로 특정한 각도만큼 돌출된 플랜지(20b)에 의하여 둘러싸인 2개의 편평형 디스크(20) 및, 그 편평형 디스크(20)의 플랜지(20b)가 돌출된 쪽의 표면(20a)상에 동심적으로 상호간에 고정된 2개의 자석(38)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는 자석(38)들의 자성 인력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유지되며, 편평형 디스크(20)들은 상호간에 평행하면서 동심적이어서, 이들의 플랜지(20b)들은 서로 반대방향에 놓이게 된다.
상기 편평형 디스크(20)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부재들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그의 플랜지(20b)는 상기 부재들의 소재 내에 매립되며, 이들의 표면(20a)은 노출되어 있어서, 도 19의 반구체 접속부(1)내에 삽입된 체결 디스크(26 및 27)와 유사하게, 그것이 들어있는 부재의 평탄면(65 또는 66)과 정렬된다.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판(37a)의 둘레에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판(37a)은 예를 들면 유리판, 나무판, 금속판 또는 기타 2개의 편평형 디스크(20)의 사이에 올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평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편형 디스크(20)의 평탄면(20a)은 박형인 상기 분리판(37a)의 표면 상에 적절하게 지지되며, 자석(38)들은 강한 힘으로 자성 접속 기구(37)에 결합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가 상호간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20b)가 돌출되는 쪽과 반대측의 편평형 디스크(20)의 평탄면(20a) 상에 미끄럼 방지 필름(도시않됨)이 형성될 수 있어서, 상기 분리판(37a) 상에서의 미끄럼이나 긁힘도 방지될 수 있다.
자성 접속 기구(37)에 대한 많은 적용 기법 중의 하나는, 분리판(37a)을 사이에 두고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몸체 조립체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으로서, 자성 접속 기구(37)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 내의 거의 어느 곳이든 삽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엉덩이부(4)가 분리판(37a)의 한 쪽에 위치하고 몸통(3)은 다른 쪽에 위치할 수 있고, 적어도 한 개의 자성 접속 기구(37)에 의하여 양 부재가 상호간에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본원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몸체는 분리판(37a)을 통과하거나 혹은 물에 떠 있는 상태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자성 접속 기구(37)에 대한 다른 적용 기법은, 그 자체가 분리판(37a)을 사이에 두고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어서, 제조시부터 하나의 부재를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성 접속 기구(37)가 각 분할된 부재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만약 아랫팔(6a)이 제조시부터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자성 접속 기구(37)가 삽입된다고 할때, 아랫팔(6a)의 분할된 한 부분이 분리판(37a)의 한쪽에 위치하고, 아랫팔의 다른 부분은 반대쪽에 위치되어서,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에 의하여 앞팔(6a)이 상호간에 붙어 있게 되면, 마치 앞팔(6a)이 분리판(37a)을 통과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거나, 혹은 물에 떠있는 상태로 보일 수 있다.
편평형 디스크(20)의 변형예는 기하학적으로 원형인 중앙구멍(20c)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앙구멍(20c)이 예를 들면 로드 또는 축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물체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확대된 상태의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39)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기구는 적어도: 구형돌기를 가지는 디스크(26)와, 구형홈을 가지는 디스크(27)와, 고정나사(41) 및 2개의 자석(38)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구형돌기를 가지는 디스크(26)는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의 편평형 디스크(20)와 유사한 것으로서, 차이점은, 플랜지(20b)가 돌출하는 것과 반대측의 표면(20a) 상에 구형돌기(26a)가 둘레방향으로 배열된다는 것이며, 또한 구형홈을 가지는 디스크(27)는 상기 편평형 디스크(20)와 유사하지만, 그의 플랜지(20b)가 돌출하는 것과 반대측의 표면(20a)상에 상기 구형돌기(26a)와 정렬되는 다수개의 구형 홈(27a)이 둘레방향으로 배열된다는 것이다. 각 자석(38)은 플랜지(20b)가 돌출하는 상기 디스크(26 및 27)의 표면(20a)상에 동심적으로 위치하고, 고정나사(41)가 상기 디스크(26 및 27)의 적어도 중심을 통과하여, 이들 디스크(26 및 27)를 상호간에 연결하고, 이들이 동심적으로 정렬되게끔 유지하며, 따라서 상기 디스크(26 및 27)들이 가까워질 때, 이들 사이에 인력을 발휘하여 구형돌기(26a)가 구형홈(27a)내로 도입됨으로써 이들을 상호간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디스크(26 및 27)들이 그의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할 때, 구형돌기(26a) 및 구형홈(27a)이 형성된 각도만큼 등각도로 운동하게 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39)를 포함하는 부재가 주어진 위치에서 체결되고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된다. 상기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39)의 고정나사(41)는 나사가 형성된 것과 무관하게 기능할 수 있는데, 그의 주된 기능은 나사결합이 없어도 구형돌기 및 구형홈을 가지는 디스크(26 및 27)들을 유지하고 동심적으로 정렬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자성 결합 기구(37)와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39)의 변형예로서, 한개의 자석(38)만을 가지고, 상기 디스크(20, 26 및 27)는 자석(38)을 포함하지 않고 금속으로 만들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들 부재의 조립체의 부품의 수를 적게 하는 것이다.
도 10은, 확대된 상태의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사시도로서, 이는 2부분: "A 부분" 및 "B 부분"으로 분할되며, "A 부분"은 적어도: 적어도 상기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39)에 있어서와 유사하며 나사(41)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형돌기 디스크(26)로 만들어지며, 상기 고정나사(41)의 머리는 상기 구형돌기 디스크(26)의 플랜지(20b)가 돌출된 측의 평탄면(20a)에 확고하게 부착되며: "B 부분"은 적어도: 상기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39)에서와 동일한 구형홈 디스크(27)와, 인장 스프링(42), 사각 암나사(43) 및 사각형 하우징(44)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하우징(44)은 플랜지(20b)가 돌출된 측의 구형홈 디스크(27)의 평탄면(20a)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고정나사(41)의 목적은, 구형돌기 디스크(26)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양자의 구성부분은 이들이 위치되는 부재의 회동에 따라 하나의 부분처럼 함께 거동하게 된다.
상기 나사 하우징(44)은 구형공동부를 가지는 디스크(27)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인장 스프링(42)과 사각 암나사(43)와 함께 양 부재는 한딜 부재인 것처럼 거동하게 되고, 이들이 회전할 때 그 부재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조립방법은 도 10의 구성부품의 순서에서 나타낸 바와 같아서, "A 부분"의 고정나사(41)가 구형홈 디스크(27)의 중앙구멍(20c)을 통과하고 인장 스프링(42) 및 사각 암나사(43)를 지나서 사각형 하우징(44)의 폐쇄면 상에 위치하는 구멍(44a)을 관통하고, 고정나사(41)는 사각 암나사(43)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를 조립 및 조정하기 위하여는, 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개의 부재를 수동으로 회전해야 하며, 그에 의하여 고정나사(41)가 사각 암나사(43)내에 들어가게 되고, 사각 암나사(43)는 필요에 따라서 인장 스프링(42)을 압축 또는 인장하게 됨으로써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를 조립하고 그의 강도를 조정하게 된다.
본원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는, 그의 형상 및 구성의 덕분에, 도 19의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마네킹의 외부에서 도구(도시않됨)를 사용하여 상기 기구를 조립하거나 조정을 하기가 어려운 곳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도 1 및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10, 12, 14, 17, 81 및 82)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엉덩이부(4)의 하부에 위치한 접속부(15) 및, 몸통 상부(3)의 측면에 위치된 접속부(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 하우징(44)이 가지는 기능 중 하나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이 제조될 때, 인장 스프링(24) 및 사각 암나사(43)이 "B 부분"에 삽입되고 사각형 하우징(44)은 이들 구성부분(42, 43)을 유지하는 것과, 상기 부재의 재료와 섞이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사각형 하우징(44)의 또 다른 기능은, 사각 암나사(43)가 고정나사(41)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나사(41)가 사각형 하우징(44)이 내부에서 사각 암나사(43)로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사각 암나사(43)가 인장 스프링(42)을 압축하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체결력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 하우징(44)의 구멍(44a)은 선택적인 것으로서, 이것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고정나사(41)의 길이를 더 짧게 하여, 최대로 늘어났을 때 상기 사각형 하우징(44)의 내부면에 닿게 되는 길이로 한다.
상기 사각 암나사(43) 및/또는 사각형 하우징(44)의 변형예로서는, 그의 형상을 사각형 및 원형과는 다르게 한 것으로서, 암나사가 그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의 내부에서 왔다갔다할 수 있으면 족하기 때문에, 다양한 암나사와 하우징의 조합이 선택가능하다.
도 11은, 확대된 상태의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이 기구는: "B 부분" 및 "C 부분"으로 분할되며, "B 부분"은 상기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B 부분"과 동일하며 그의 작용도 동일하다. "C 부분"은, 적어도: 이동가능한 나사(46)와 통상의 워셔(47)와, 튜브(48)와, 구형돌기 디스크(26) 및 나사 하우징(49)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조립방식은, 도 11의 구성품의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동가능한 나사(46)가 통상의 워셔(47)과, 튜브(48)의 내부를 통하여 구형돌기 디스크(26)의 중앙구멍(20c)로 들어가며, 상기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고정나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B 부분"의 중앙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튜브(48)의 끝단은 구형돌기 디스크(26)의 플랜지(20b)가 돌출된 측에 있는 평탄면(20a)상에 놓이게 되며, 상기 튜브(48)의 다른 쪽 끝단은, 이동가능한 나사(46)의 헤드상에 놓인 통상의 워셔(47)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튜브(48)는 통상의 워셔(47) 및/또는 구형돌기 디스크(26)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나사 하우징(49)은 상술한 통상의 워셔(47)에 직접 부착되어, 도 19의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나사 하우징(49)의 공동부(49b)내에서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머리를 잡아두게 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를 조립 및 조정하기 위하여, 먼저 이동가능한 나사(46) 머리를 가지는 부재 상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데, 도 19 및 2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구멍은 이동가능한 나사(46)를 용이하게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 나사 하우징(49)에 또 다른 구멍을 만들고, 도 11 및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머리를 용이하게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나사 하우징(49)은 그의 표면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안내구멍(49a)을 가질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도구(도시않됨)를 삽입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머리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를 회전시켜서, 사각 암나사(43)에 의하여 인장 스프링(42)을 압축 또는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를 조립하고 그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한다.
본원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는, 그의 형상 및 구성의 덕분에, 도 19의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마네킹의 외부에서 도구(도시않됨)를 사용하여 상기 기구를 조립하거나 조정을 하기가 어려운 곳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도 1 및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10a, 11, 13, 16 및 18)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튜브(48)의 주 기능은, 이동가능한 나사(46)를 가능한한 주어진 부재의 외부표면에 가깝게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는 상기 부재의 외부로부터 도구(도시않됨)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위치되고 취급될 수 있으며, 또한 튜브(48)는 그것이 속하는 부재의 천공 가이드(61)와 함께 이동가능한 나사(46)와 정렬될 수 있다.
상술한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통상의 워셔(47)의 기능은, 이동가능한 나사(46)가 튜브(48)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덮개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하우징(49)와 함께 이동가능한 나사(46)를 완전히 둘러싸서 부재가 제조될 때에, 부재의 소재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머리가 덮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사각 암나사(43)의 변형예로서는, 도 2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나일론 삽입 암나사(57)로 대체될 수 있으며, 나일론 삽입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나사산(도시않됨)의 주위에 일정한 압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가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나일론 삽입 암나사(57)로부터 느슨해지지 않게 되며, 상기 나일론 삽입 암나사(57)는 또한 안전나사로도 알려진 것으로서, 도 28에서 도시한 것과는 상이한 외형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변형예는, 튜브(48) 및 통상의 워셔(47)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서, 나사 하우징(49)는 구형돌기 디스크(26)의 평탄면(20a)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나사 하우징(49)의 공동부(49b)내에 이동가능한 나사 기구가 수납됨으로써,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는 조립부품이 적어지게 된다.
도 1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체결기구(53)의 사시도로서, 이 기구는: "B 부분" 및 "D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여기에서 "B 부분"은 상기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와 동일한 방식이며, "D 부분"은 적어도: 2개의 구형돌기(26)의 중앙구멍(20c)을 관통하여 지나가는 나사 로드(54)로 구성되며, 그에 의하여 상기 나사 로드(54)가 "B 부분"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 후에, 상기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고정나사(41)와 유사하게 만들어진 상기 "B 부분"의 중앙을 관통하게 된다.
상술한 나사 로드(54)의 나사(도시 않됨)는, 오른쪽 나사산 또는 왼쪽 나사산 중의 어느 하나의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이며, 상기 나사 로드(54)의 변형예로서, 상술한 2개의 나사산을 동시에 포함하는, 즉, 한쪽 끝단에는 오른쪽 나사산을, 다른쪽 끝단에는 왼쪽 나나산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B 부분"의 2개가 동일한 쪽으로 회전할 때 필요에 따라서 체결력을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차단기구(53)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에 있어서, 상기 기구(53)는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엉덩이부(4)의 하부에 위치한 접속부(15)에 설치될 수 있고, 같은 방식으로 몸통(3) 상부의 측면상의 2개의 접속부(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들 접속부(10) 및 (15)들은 관절연결 마네킹의 외부에서 도구(도시않됨)을 사용하여 상기 기구(5)에 접근하여 조립하거나 및 상기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체결기구(53)에 포함된 부재의 체결력을 조정하는 곳이 어려운 곳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에서 조립 및 조정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B 부분"을 포함하는 부재를 수작업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립 및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 및 체결기구(39,40,45 및 53)의 주된 기능은,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들이 주어진 자리에 체결됨으로써, 어떠한 인체의 자세라도 취할 수 있고 동시에 그 자세를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 및 체결기구(39,40,45 및 53)의 장점 중의 한 개는, 어떠한 도구도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는 점으로써, 상기 부재들은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다른 체결위치로 바뀔 수 있고, 이들 부재들은 적절하게는 상기 인장 스프링(42) 또는 자석(38)에 의하여 발휘되는 힘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잠겨진 상태로 있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및 체결기구(40,45 및 53)의 장점 중의 한 개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을 지정된 장소 특히: 볼, 라켓, 백, 자켓 등과 같은 물건들을 잡고 있을 때, 이들 부재가 이들에게 부여된 위치 또는 그들의 자중에 의하여 또는 어떠한 진동에 의하여 오랜 시간동안 이동하지 않고서도 그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해준다.
결합 및 체결기구(39,40,45 및 53)내의 구형돌기(26) 및 구형홈(27)을 가지는 디스크는 반전될 수 있는데, 즉, 구형돌기(26)를 가진 디스크는 각 구형홈(27)을 가진 디스크의 자리에 있을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크(26 및 27)의 순서는 상술한 결합 및 체결기구(39,40,45 및 53)의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바꿀수 있기 때문이다.
결합 및 체결기구(39,40,45 및 53)의 변형예로서, 구형돌기 디스크(26) 및 구형홈 디스크(27)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홈 디스크(29)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는 체결 디스크(26, 27, 29)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방사홈 디스크(29)는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와 유사한 것이지만, 구형돌기 디스크(26) 및 구형홈 디스크(27)의 체결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디스크의 중앙구멍(20c)의 둘레 및 그의 표면(20a)에 등각도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오목 방사홈(29a) 및 볼록 방사홈(29b)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32의 방사홈 디스크(29)내의 오목 방사홈(29a) 및 볼록 방사홈(29b)의 형상, 길이 및 폭은 본 발명에서 제한된 것으로 고려되지 않으며, 예시만을 위한 것이다.
구형돌기(26a), 구형홈(27a) 및 오목 방사홈(29a) 및 볼록 방사홈(29b)들은 상술한 결합 및 체결기구(39,40,45 및 53)를 체결하는 요소들이다.
상기 체결요소(26a, 27a, 29a 및 29b)들의 변형예는, 기타의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체결요소(도시 않됨)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어서, 새로운 체결요소들은 각 디스크들이 상호간의 위에서 동심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각 디스크들이 보다 많은 선택이 가능한 체결 디스크를 가지는 체결기구내의 상이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확대된 상태의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사시도로서, 이 기구는 적어도: 나사 하우징(49), 이동가능한 나사(46),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 토션 스프링(23), 디스크 주변구멍(21) 및 통상의 너트(52)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주변구멍(21)은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에서와 유사한 것이지만, 적어도 한 개의 디스크 주변구멍(21a)을 그의 중앙구멍(20c)근처에 가지며, 그를 통하여 상기 토션 스프링(23)이 관통하고, 또한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는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와 유사한 것으로서, 차이점은, 중앙구멍(20d)은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션 스프링(23)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는 플랜지(20b)가 돌출되는 측에 중앙구멍(20d)이 동심적으로 위치한 원통형 상자(22a)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상자(22a)은 그의 내부에 상기 토션 스프링(23)을 수용하고 그의 표면에 중앙구멍(22b)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상기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의 변형예는, 그의 표면에 위치한 중앙구멍(22b)을 가지는 원통형 상자(22a)이, 상기 중앙구멍(22b)의 둘레에 주변구멍(22c)을 가져서, 상기 토션 스프링(23)의 한끝단이 상기 주변구멍(22c)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 주변구멍(21) 및 상자(22)은, 상기 토션 스프링(23)이 상이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그의 중앙구멍(20c 또는 22b)의 주변에 한 개 이상의 주변구멍(21a 및 22c)을 가질 수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나사 하우징(49)은,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나사 하우징(49)과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진 것이지만, 차이점은, 통상의 워셔(47)에 부착되는 대신에, 이 경우에는 상기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의 원통형 상자(22a)의 표면에 부착된다는 점이다.
상기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조립 방식은, 도 13의 구성품들의 순서와 같으며, 이를 상술한다: 이동가능한 나사(46)는 디스크 상자(22)의 중앙구멍(22b)을 관통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는 상기 원통형 상자(22a)의 표면상에 놓이게 되며, 그 후에 나사 하우징(49)는 상기 원통형 상자(22a)의 평탄면상에 놓여지고 고정되며, 그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나사(46)는 도 19의 나사 하우징(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나사 하우징(49)의 공동부(49b)내에 갇혀 있게 되고, 상기 원통형 상자(22a)의 공동부 내로 토션 스프링(23)을 삽입하여 그의 한 끝단은 상기 원통형 상자(22a)의 구멍(22c)에 인접하게 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23)의 다른 끝단은 디스크 주변 구멍(21)에 인접한 주변구멍(21a)내에 삽입된다. 또한 이동가능한 나사(46)는 토션 스프링(23)의 중앙과 디스크 주변구멍(21)을 통과하고, 플랜지(20b)가 돌출한 측의 디스크 주변구멍에 인접한 면(20a) 상에 동심적으로 위치한다. 그러한 통상의 너트(52)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주변구멍(21)에 인접한 평탄면(20a)에 인접하여 통상의 너트(52)가 이동가능한 나사(46)과 함께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를 조립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 중의 하나에서와 같은 조립기술이 사용된다.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장점 중의 하나는, 그를 포함하는 부재상에 손에 의한 힘이 가해졌을 때, 또는 그러한 부재가 이동하는 물체(도시않됨)와 접촉할 때, 그 힘이 회전을 멈추게 작용하는 경우, 이들 부재들은 토션 스프링(23)의 토션 힘에 의하여 주어진 원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조정가능한 연결 및 토션 기구(50)의 많은 적용분야 중의 하나는, 그를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의 각 부재내에서 일종의 쇽업소버 또는 서스펜션 기구(도시안됨)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정가능한 연결 및 토션 기구(50)의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는, 주변 구멍(21)을 가지는 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고, 이는 반대 경우에도 해당하는 것으로서, 따라서 통상의 암나사(52)는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의 원통형 상자(22a)의 평탄면상에 위치되며; 또한, 그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머리 및 그의 나사 덮개(49)는 플랜지가 돌출된 측(20b)의 주변구멍(21)을 가지는 디스크의 평탄면(20a)상에 동심적으로 위치하게 되며; 여기에서 나사 덮개(49)는 주변구멍을 가지는 디스크(21)에 결합됨으로써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머리는 상기 나사 덮개(49)의 공동부(49b)내에 갇히게 되며,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는 구성품의 상이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통상의 암나사(52)는, 도 2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나일론 인서트를 가지는 암나사(57)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어서, 나일론 인서트는 이동가능한 나사(46)의 나사산(도시않됨)의 둘레에 일정한 압력을 발휘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는 부재들의 이동에 따른 나일론 인서트를 가지는 암나사(57)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의 원통형 상자는 상자를 가지는 상기 디스크(22)의 동일한 부품의 일부가 될 수 없으며, 상기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가 다른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그의 중앙구멍(20d)의 주변의 평탄면(20a)상에 동심적으로 부착되는 부가적인 구성품일 수 있다.
상술한 결합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도시않됨)는, 도 13에서 도시된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와 유사하게 조립될 수 있지만, 차이점은,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와 주변구멍을 가지는 디스크(21)의 양자가 2개의 편평형 디스크(20)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는 것이며, 이 디스크(20)는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 중의 하나와 유사하며, 상술한 토션 스프링(23)이 없어서, 상기 편평형 디스크(20)가 이동가능한 나사(46)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의 주된 기능은, 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들이 가능한한 적은 부품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방사방향의 부하(도시않됨)로 작동하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는, 도 13에서 도시한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와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이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으로 대체된다는 것이며, 또한 주변구멍을 가지는 디스크(21)가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에서와 유사한 편평형 디스크(20)로 대체된다; 부가적으로,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의 원통형 상자 및 중앙구멍(20d)은, 상기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가져서, 상기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이 상기 원통형 상자(22a)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술한 방사방향의 부하 작동하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의 주된 기능은, 그를 가지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들이 방사상 부하와 함께 자유롭게 또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방사방향의 부하(도시않됨)로 작동하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는, 도 13에 도시한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와 유사한 것이지만, 차이점은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 및 주변구멍을 가지는 디스크(21)의 양자가 도 16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홈형성 디스크(25)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홈형성 디스크는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와 유사하지만, 이들은 다수개의 소형구(25b)들이 놓여있는 그의 평탄면(20a) 상에 위치한 주변 원형홈(25a)을 포함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 토션 스프링(23)은 필요하지 않다.
상술한 축방향의 부하와 작동하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의 주된 기능은, 그를 가지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들이 축방향 부하와 함께 자유롭게 또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방사방향 및 축방향의 부하(도시않됨)로 작동하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는, 상술한 축방향의 부하로 작동하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와 유사한 것이지만, 차이점은 홈형성 디스크(25) 중의 하나가, 도 18에 도시한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상자를 가지는 홈형성 디스크(22d)는 상술한 홈형성 디스크(25)와 유사한 것이지만, 차이점은, 상술한 방사방향의 부하와 함께 움직이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의 원통형 상자(22a)와 동일한 방식으로, 그의 평탄면(20a)에 동심적으로 원통형 상자(22a)이 위치되는 것이며, 상술한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은 상기 원통형 상자(22a)내에 동심적으로 위치하고, 양 디스크의 주변 원형홈(25a)의 내부에 다수의 소형구(25b)들이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방사방향 및 축방향의 부하와 작동하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의 주된 기능은, 그를 가지는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들이 축방향 및 방사방향의 부하와 함께 자유롭게 또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소형구(25b)들은, 도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25c)으로 대체될 수 있어서, 이 소형구들은 이들 사이에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유지될 수 있고 하나의 부품으로 이들을 조작할 수 있다.
결합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의 많은 적용분야 중의 하나는, 이들을 포함하는 부재들이 상기 기구의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는 것으로서, 상기 부재들은 움직이는 대상물(도시않됨)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이들 부재들은 어떠한 저항도 없이 상기 대상물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대상물은 예를 들면 자동도어 또는 자전거의 페달등이다.
상술한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와,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들은 이동가능한 나사(46)를 가진다는 사실 때문에 상술한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연결부(10a, 11, 13, 16 및 18)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며,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들의 덮개 외부로부터 이동가능한 나사(46)를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와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들이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른 연결부(10, 12, 14, 15, 17, 81 및 82)에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나사(46)를 천공나사(51a) 또는 홈나사(51b)로 대체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 천공나사(51a)의 구멍(51a')은 그의 원통형 표면을 가로지르게 되며, 또는 상기 홈나사(51b)의 홈(51b')은 그의 원통형 표면의 둘레에 동심적으로 위치하게 되며, 또한 이 경우에, 천공나사(51a) 또는 홈나사(51b)는 나사산이 없을 수가 있는데,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너트(52)가 핀(51c)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천공나사(51a) 또는 홈나사(51b)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를 조립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핀(51c)을 천공나사(51a)의 구멍(51a')속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홈나사(51b)의 홈(51b')의 둘레에 상기 핀(51c)을 삽입하여 유지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접속부(10, 12, 14, 15, 17, 81 및 82)들이 상술한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와 동일한, 외부도구(도시않됨)에 의한 접근이 어려운 접속부에 상술한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이동가능한 나사(46)가 고정나사(41)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나사(41)의 머리가 각 디스크의 면에 확고하게 접합되는 것이며, 이 경우 나사 하우징(49)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고정나사(41)를 가지는 연결 및 단순형 자유 운동 기구를 조립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와 동일한 조립기술을 사용한다.
도 19는 2개의 반구체 접속부(1) 및 상호보완적인 부재(60)의 측면도로서, 부분적으로만 조립된 것으로 표현되며, 이들의 내부에 들어있는 조립 기구를 나타내기 위하여 투명하게 나타내었고, 상기 상호보완적인 부재(60)는 예를 들어 갈고리, 전화 베이스, 텔리비젼 베이스, 컵 홀더등과 같이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른 부재 또는 악세사리(도시않됨)등이 될수 있다.
상술한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의 조립 기구는: 도 19 및 20에 도시된 반구체 접속부(1)의 경우와 같은 유사한 부재; 도 21에서 나타낸 반구체 접속부(1) 및 윗팔(5a)의 경우에서와 같은 상이한 부재; 도 19의 반구체 접속부(1) 및 상호보완적인 부재(50)와 같은 것들, 및 이들 사이에 상호보완적인 부재(60)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는 상술한 기구들이 어떻게 상기 기구들에 삽입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예로서: 수직 위치에는, 제1 반구체 접속부(1)를 상호보완적인 부재(60)에 조립한,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를, 수평위치에는, 상기 반구체 접속부를 제2 반구체 접속부(1)와 조립한,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를 보여주며; 수직위치에서, 제2 반구체 접속부(1)의 다른 끝단에 위치한,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A 부분"을 연결한다.
도 20은 도 19에서 나타낸 상술한 2개의 반구체 접속부(1)의 사시도로서, 외관상 보이는 외형을 나타내며, 이들이 부재의 소재 사이,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C 부분" 및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0)의 "A 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상술한 부재의 원형 평탄면(65) 및 부분 원형 평탄면(66)의 변형예로서는, 완전히 평탄한 면(65 및 66) 보다는, 상술한 조립기구의 외부로부터 본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그의 평탄면(65 및 66)의 각각에 중앙구멍(68)을 보여주는 도 22에서 도시한 윗팔(5a)과 같은 부재내에 삽입될 때에, 이들은 그의 부분 원형 평탄면(66) 상에 다수개의 구형돌기(26a)를 포함하며, 그의 원형 평탄면(65) 상에는 상기 중앙구멍(68)의 주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구형홈(27a)을 포함하게 되며, 상기 조립 기구의 구성품 중의 몇몇은, 상기 부재들의 소재내에 일체로 되어, 이들 조립 기구의 단순화를 달성하게 된다.
편평형 디스크(20), 주변 구멍을 가지는 디스크(21),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 홈형성 디스크(25), 상자를 가지는 홈형성 디스크(22d), 구형돌기(26)를 가지는 디스크, 구형홈(27)을 가지는 디스크, 방사형 홈을 가지는 디스크(29)들과 같은 디스크들은 "단순형 디스크"라고 불리는 군의 일부로 된다.
상술한 복합형 디스크 기구들은, 적어도: 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삽입 베이스(30)와, 도 24 내지 2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커플링 디스크(31, 33, 34 및 36)들과, 도 2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다수개의 나사(56)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형 디스크들은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들을 대체할 수 있어서, 적어도 동일한 결과, 장점, 적용 분야 및 특징을 가지며, 부가적으로 이들은 복합형이기 때문에, 상기 복합형 디스크 기구를 유지, 교환 및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복합형 디스크의 커플링 디스크(31')들은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 및 이들의 변형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이들이 플랜지(20b)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이며, 또한 이들은 상호간에 등간격을 가지는 다중 원추형 구멍(32)을 가진다는 점이며, 도 24 내지 28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을 통하는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56)가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은, 원추형이라는 사실 외에도, 상기 원추형 나사(56)가 수납되는 원추형 공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56)는 이들의 각 커플링 디스크(31')들 위로 돌출하지 않으며,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56)와 복합형 디스크의 동일한 기구의 2개의 커플링 디스크(31') 사이에 충돌이 회피된다.
도 24 및 25는 각각 주변구멍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31) 및 상자를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33)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상술한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의 주변구멍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21) 및 상자를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22)과의 차이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6은,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와 관련하여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와의 차이를 보여준다.
도 27은, 상술한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와 유사한 중앙 안내 구멍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36)를 보여주는데, 차이점은, 중앙구멍(36a)의 기하학적인 형상이, 원형과는 상이하다는 것으로서, 즉, 이 구멍은 적어도 영어 대문자"D"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35)의 축(35a)에 대한 도입 안내를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모터(35)의 축(35a)은 적어도 중안 안내 구멍을 가지는 디스크(36)의 중앙안내 구멍(36a)의 기하학적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며; 그에 의하여, 모터(35)의 상기 축(35a)은 그의 원통형 표면을 따라서 위치하는 하나의 평탄면(35b)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축(35a) 또한 영어 대문자 "D"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모터(35)의 축(35a), 나사 로드(54), 고정나사(41), 천공나사(51a) 및 홈나사(51b)들은, 이들의 원통형 표면의 일부가 완전한 원통형이 아닌 변형예를 가져서, 중앙구멍이 원형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지 않는 디스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복합형 디스크 기구의 삽입 베이스(30)는 적어도: 그의 측면으로 특정한 각도로 돌출된 주변 플랜지(30b)를 포함하는 평탄면(30a)과, 부가적으로, 상기 평탄면(30a)은 플랜지(30b)가 돌출하는 측면쪽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원추형 또는 원통형 공동부(30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 또는 원통형 공동부(30d)는 그의 평탄면상에 상술한 커플링 디스크(31')의 중앙구멍(20c, 20d 또는 36a)과 같거나 더 큰 직경의 중앙구멍(30c)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디스크(31')의 원추형 구멍(32)과 정렬되며, 도 28 및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를 수납하도록 의도된 나사구멍(30e)을 포함하며, 상기 평탄면(30a)은 노출되고 그것이 위치하는 부재의 평탄면(65 또는 66)과 정렬되며, 부가적으로 상기 플랜지(30b)는, 도 19에서 나타낸 체결 디스크(26 및 27)와 유사하게 상기 부재의 소재내에 매립된다.
상술한 삽입 베이스(30)의 목적은, 원추형 또는 원통형 공동부(30d)를 포함하여, 상술한 커플링 디스크(31')를 그의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플링 디스크(31')의 외부 평탄면(20a)은 상기 삽입 베이스(30)의 평탄면(30a)과 정렬되고, 그에 의하여 커플링 디스크(31')의 상기 외부 평탄면(20a)이 노출되며, 그것이 위치하는 부재의 평탄면(65 또는 66)과 정렬하게 된다.
상술한 삽입 베이스(30)의 중앙구멍(30c)은 그를 통하여 다양한 대상물 및/또는 장치들: 모터(35), 피스톤, 센서 팬 및/또는 기타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 유압식 및/또는 공압식 장치(도시않됨)를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33)의 상자(22a)들이 도 2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상술한 삽입 베이스(30)및 단순형 디스크의 플랜지(20b, 30b)는, 본 발명의 조립기구에 대하여,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의 소재 사이에 확고하게 삽입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들 기구가 주어진 위치에서 움직이거나, 느슨해지거나 및/또는 시간의 경과 및/또는 이들이 위치하는 소재의 통상적인 사용에 의하여 바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삽입 베이스(30)는 그의 내부에 다수개의 소형구(25b) 또는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5c)을 가지는 주변 원형홈(25c)으로 구성되며, 도 16에 도시한 상술한 홈형성 디스크(25)와 유사한 것으로서, 복합형 디스크 기구가 축방향 부하와 함께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변 원형홈(25c)은 그의 평탄면(30a)상에 위치하고, 이 경우에, 평탄면(30a)의 영역은 더 크며, 따라서 상기 주변 원형 홈(25a)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삽입 베이스(30)의 변형예로서는, 상술한 평탄면(30a) 상에 중앙구멍(30c) 및 나사구멍(30e)을 가지는 것에 부가하여, 상술한 다수개의 소형구(25b) 또는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25c)을 포함하는 주변 원형 홈(25a)을 또한 포함하여, 복합형 디스크 기구가 축방향 부하와 함께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삽입 베이스는 상술한 홈이 형성된 삽입 베이스보다 덜 복잡해진다.
상술한 커플링 디스크(31, 33, 34 또는 36)들은, 상술한 삽입 베이스와 함께 조립될 수 있는 커플링 디스크(31')의 몇몇 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번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커플링 디스크(도시않됨)에 의하여 담을 수 있는 요소들의 몇몇 예가 있으며, 상기 요소들은: 구체돌기(26a), 구형홈(27a), 주변 원형홈(25a) 및/또는 상술한 수개의 오목 방사홈(29a) 및 볼록 방사홈(29b)들이 있다.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 및 커플링 디스크(31')의 변형예로서는, 중앙구멍(20c, 20d 또는 36a)과 동심적이고 이를 통과하는 적어도 한 개의 부분 원호형 홈(35c)을 포함하는 것이며, 이는 도 26 및 27에서 도시한 중앙 안내구멍(36)을 가지는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서, 상기 부분 원호형 홈(35c)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한 도 28에 나타내 바와 같이 상술한 모터(35)의 케이블(35b)과, 피스톤, 센서 팬 및/또는 기타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 유압식 및/또는 공압식 장치(도시않됨)의 케이블 및/또는 호스(35e)들이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및/또는 호스(35d 및 35e)들은 필요에 따라서 전원, 콤프레서 및/또는 펌프에 접속된다.
상술한 부분 원호형 홈(35c)들은 적어도 95도의 개구도를 가지며, 그에 의하여, 상술한 이동가능한 나사(46)를 가지는 삽입된 기구를 가지는 기구들은 상술한 와이어 및/또는 호스(35d 및 35e)가 이들의 회전 운동에 있어서 어떠한 간섭을 받지 않고 180도 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나사 로드(54), 고정식 나사(41), 천공나사(51a) 또는 홈나사(51b)를 가지는 기구의 변형예로서, 나사 로드(54), 고정식 나사(41), 천공 나사(51a) 또는 홈나사(51b)는 적어도 중공로드 또는 중공나사(도시않됨)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형 요소는 원통형이며 또한 상기 중공로드 또는 중공나사의 원통형 면과 동심적이어서, 상기 기구가 삽입된 부재는, 이들의 회전운동과 간섭되지 않고서, 상기 중공로드 또는 중공나사를 통하여 상술한 케이블 및/또는 호스(35d 및 35e)와 같은 얇은 대상물의 통과를 허용한다.
상술한 부분 원호 홈(35c), 중공로드 및 중공나사의 덕분에,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모든 부재들은 적어도: 모터(35), 피스톤 센서, 팬 및/또는 기타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 공압식 및/또는 유압식 장치(도시않됨)를 가질 수 있다.
도 28에 있어서는 상술한 결합 및 자동운동 기구(55)의 확대된 상태를 나타내며, 여기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조립방식 및, 복합형 디스크 기구들이 그들 주위의 요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 및 자동운동 기구(55)는 2개의 부분: "E 부분" 및 "F 부분"으로 분할되며, 여기에서 "E 부분"은 적어도: 삽입 베이스(30)와,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와,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다수개의 나사(45) 및 모터(35)를 가지며; "F 부분"은 적어도: 삽입 베이스(30)와, 중앙 안내 구멍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36),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다수개의 나사(56) 및 나일론 인서트를 가지는 암나사(57)를 포함하며, 이러한 커플링 디스크(34 및 36)는 상술한 부분원호형 홈(35c)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결합 및 자동운동 기구(55)의 "E 및 F 부분"의 조립방식은, 도 28의 구성품의 순서에 따른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E 부분"에 있어서 모터(35)는 편평형 디스크(34)의 내부 평탄면(20a)에 직접 부착되고, 그의 축(35a)은 상기 편평형 디스크(34)의 중앙구멍(20c)을 통과하고 그의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모터(35)의 와이어(35d)는 모터(35)와 함께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를 후에 조립하기 위하여 각 삽입 베이스(30)의 중앙구멍(30c)를 통하여 삽입되고, 삽입 베이스(30)의 나사구멍(30e)내로 나사결합될 때까지 상기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34)의 원추형 구멍(32)을 통과하는 상술한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56)의 수단에 의하여 편평형 디스크(34)를 모터(35) 및 각 삽입 베이스(30)와 조립하게 되고, 이런 방식으로, 모터(35)는 그가 위치하는 부재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F 부분"에 있어서는, 중앙 안내 구멍(36)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는 상술한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56)의 수단에 의하여 각 삽입 베이스(30)에 확고하게 조립되고, 상기 원추형 나사(56)는 삽입 베이스(30)의 나사구멍(30e)에 나사결합하게 될 때까지 중앙 안내 구멍(36)을 가지는 상기 커플링 디스크의 원추형 구멍(32)을 통과하게 된다.
상술한 연결 및 자동화된 운동 기구(55)의 "E 부분"과 "F 부분"을 조립하기 전에, 상술한 조립기구를 통하여 한 부재로부터 다른 부재로 케이블 및/또는 호스(35d 및/또는 35e)을 지나가게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들은 먼저 상술한 중공로드 또는 중공나사를 통과하거나 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각 커플링 디스크(31')의 부분 원호형 홈(35c)을 통하여 지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연결 및 자동화된 운동 기구(55)의 "E 부분"과 "F 부분"을 조립하기 위하여는, 먼저 상기 축(35a)의 상술한 평탄면(35b)을 상술한 중앙 안내 구멍(36)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의 중앙 구멍(36a)의 영어 대문자 "D" 의 평탄면과 맞춤으로써, 모터(35)의 축(35a)을 상기 "F 부분"내에 삽입할 것이 필요하고, 축(35a)이 그의 원통형 단면의 일부에 나사를 가지는 점을 고려하여 마지막으로 축(35a)는 상술한 나일론 인서트를 가지는 암나사(57)에 나사결합시킨다.
모터(35)의 축(35a)과 커플링 디스크의 중앙구멍(36a)이 중앙안내 구멍(36)과 원형이 아닌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목적은, 상기 축(35a)이 상기 디스크의 중앙구멍(36a)내에서 회전하는 것, 즉, 상기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나일론 인서트를 가지는 암나사(57)는, 상술한 결합 및 자동운동 기구(55)의 "E 및 F 부분"이 모터(35)의 축(35a)의 회전시에 느슨해지거나 또는 빡빡해지지 않도록 보장하는데, 상기 너트(57)의 나일론은 모터(35)의 축(35a)의 주위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나일론 인서트를 가지는 암나사(57)가 돌아가고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관절연결 마네킹의 조립 기구가 예를 들어 상술한 연결 및 자동화된 운동 기구(55)에서와 같이 고정된 나사를 가지지 않은 경우, 상기 조립 기구는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45)의 한 개와 같은 접속부(10a, 11, 13, 16 및 18)내에 설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의 덮개 외부로부터 상기 너트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모터(35)의 축(35a)의 변형예로서는, 그의 원통형 표면상에 나사를 가지는 대신에, 도 15에서 나타낸 천공나사(51a) 및 홈나사(51b)와 유사하게 구멍이나 홈이 형성된 축으로서, 그의 원통형 표면을 가로질러서 위치된 구멍이나, 그의 원통형 표면상에 나사를 가지는 그의 원통형 표면의 둘레에 원형의 홈(도시않됨)을 가지는 것이며, 상술한 나일론 인서트를 가지는 암나사(57)는,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천공나사(51a) 및 홈 나사(51b)내에 삽입된것과 같은 방식의 핀(51c)으로 대체되어, 상이하고 보다 안전한 방식으로 결합 및 자동운동 기구(55)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상술한 외부의 도구(도시않됨)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접속부(10, 12, 14, 15, 17, 81 및 82)에 설치 및 조립한다.
원추형 구멍(32)과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56)의 머리의 기하학적 형상의 변형예는, 다양하게 상이한 나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추형과는 다른 형상을 포함한다.
상술한 연결 및 자동화된 운동 기구(55)의 "F 부분"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안내구멍(36)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의 삽입 베이스(30) 및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나사(56)가 중앙 안내구멍(도시않됨)을 가지는 디스크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는 "F 부분"이 더 적은 부품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중앙안내 구멍을 가지는 디스크는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와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도 27 및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안내 구멍(36a)이, 중앙안내 구멍(36)을 가지는 커플링에 유사하다는 것과, 부가적으로, 중앙 안내구멍을 가지는 상기 디스크는 중앙안내 구멍(36)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에서와 같은 부분원호 홈(35b)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부분원호 홈(35b)이 "단순형 디스크"로 불리는 군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술한 연결 및 자동화된 운동 기구(55)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의 2개의 삽입 베이스(30)가 2개의 홈이 형성된 삽입 베이스, 2개의 평탄하고 홈이 형성된 삽입 베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대체되며, 따라서 상기 결합 및 자동운동 기구(55)는 가능한한 마찰이 없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홈이 형성된 삽입 베이스, 평탄하고 홈이 형성된 삽입 베이스의 양자는 그의 주변 원형홈(25a)내에 다수개의 소형구(25b) 또는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25c)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형 디스크 및 커플링 디스크(31')의 양자는, 이들이 위치하는 부재내에 남아 있는 측의 평탄면(20a)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장치: 도 28에 도시된 모터(35)와 유사한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 유압식 및/또는 공압식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 및 자동운동 기구(55)의 많은 적용분야 중의 하나는, 그를 포함하는 부재가 자동화된 운동을 할수 있어서, 관절연결 마네킹이, 예를 들면 인사를 하거나, 머리(2)를 돌리거나, 공을 차거나 하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복합형 디스크가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의 예로서는, 도 13에서 나타낸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5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주변구멍을 가지는 디스크(21)가 도 23 및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변구멍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31),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다수개의 나사(56) 및 삽입 베이스(30)에 의하여 대체되는 것이며, 부가적으로,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는 도 23 및 2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자를 가지는 커플링(33), 원추형 머리를 가지는 다수개의 나사(56) 및 삽입 베이스(30)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고, 이는 도 2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 및 자동화된 운동 기구(55)의 복합형 디스크가 조립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서, 토션 복합형 디스크(도시않됨)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구를 형성하고, 만약 토션 스프링(23)이 도 14에서 나타탠 바와 같은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에 의하여 대체되면, 이는 방사상 부하(도시않됨)와 함께 작동하는 연결 및 자유 운동 복합형 디스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관절연결 마네킹의 조립 기구의 삽입 베이스, 커플링 디스크, 단순형 디스크 및 기타 구성품의 형상 및 외형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도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서는 안된다.
상술한 조립 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조립 기구를 얻기 위하여, 조립 기구의 다양한 부품 및 변형예가 다른 조립 기구와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만약 도 7에 도시된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의 2개의 편평형 디스크(20)들이 도 16 및 17에 도시된 상술한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25c)을 가진 2개의 홈형성 디스크(25)에 의하여 대체된다면, 효과적으로 축방향 부하(도시않됨)를 지지하는 자성 접속 기구에 해당하는 조립 기구를 얻게 된다.
도 29 및 30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상술한 구형홈 디스크(27)의 단면(28a)을 정면에서 나타낸 것이며, 또한 도 31은, 예를 들면, 도 28에서 나타낸 상술한 복합형 디스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며: 여기에서는 단순형 디스크들이 가질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방식의 플랜지(70 및 71)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플랜지는 대각선(70)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Z"자(71)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들이 가질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방식으로서, 그러한 부재들이 중공(72) 또는 고형(73)일 수 있다.
도 29, 30 및 31 은 또한 상술한 중공부재(72) 및 고형부재(73)의 소재로 된 마네킹의 예를 나타내며,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 및 복합형 디스크를 덮고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중공부재(72) 및 고형부재(73)는 고형 또는 탄성형일 수 있으며, 그러한 부재들이 자중하에서 구부러지지 않고 무게는 가볍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재료는 플라스틱, 유리섬유, 수지, 폴리우레탄, 카드보드 또는 기타 다른 재료, 화합물 및/또는 물질의 조합일 수 있어서, 이들은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를 형성하는 수지의 내부형상(도시 않됨)을 유지할 수 있다.
중공부재(72)는 도 29에서 나타낸 것과 유사한 소재의 분포를 가지는데, 즉 상술한 조립 기구에 대한 소재의 층을 형성하고 상기 부재를 형성하는 금형(도시않됨)의 내부벽을 형성하게 되며, 도 30 및 31에서 나타낸 바와 유사한 소재분포를 가지는 고형부재(73)와는 달리, 고형부재에서는, 이 소재가 상기 몰드내부에 있는 모든 것을 채우게 되며, 마네킹의 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 및 삽입 베이스로 나타낸 플랜지(20b, 30b)는 도 29에서 도시한 대각선 플랜지(70)이다.
상술한 대각선 플랜지(70)의 다른 실시예는, 도 30 내지 33에 나타낸 "Z"자 형(71)의 플랜지 방식을 포함하며, 이는 대각선 대신에 영문자 "Z"자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기 대각선 플랜지(70)와는 상이한데, 그의 목적은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 및 삽입 베이스들이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72 및 73)의 소재 사이에 보다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플랜지의 형상이 "Z"자 (71)인 것은, 그의 형상이 상기 부재(72 및 73)의 사이에 보다 잘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이 있으며, 그에 의하여 단순형 디스크 및/또는 삽입 베이스가 장시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상기 부재들의 무게 및 이동에 따라서 상기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플랜지(20b, 30b)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0b, 30b)들은 도 34 및 35의 구형돌기(26)를 가지는 디스크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접힘부(26b) 및/또는 절결부(26c)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의 목적은 상술한 단순형 디스크 및 삽입 베이스들이 삽입되는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부재들이 회전할 때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접힘부(26b) 및/또는 절결부(26c)들은 또한 상기 부재(72 또는 73)의 소재로 둘러싸인다.
상술한 플랜지(20b, 30b)의 접힘부(26b) 및 절결부(26c)의 형상 및 외형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들은 예시일 뿐이며, 상술한 디스크 및 삽입 베이스가 삽입되는 부재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이들 형상 및 외형이 가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디스크는 도 33에 나타낸 구형 돌기(26d)를 가지는 디스크와 유사하게 그의 플랜지(20b)가 없을 수도 있는데,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72 또는 73)의 소재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이들은 상술한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에 유사한 플랜지(26e)를 가지는 금구에 확고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플랜지(26e)를 가지는 상기 금구는 플랜지가 없는 디스크(26d)의 평탄면(20a)상에 동심적으로 위치한다; 부가적으로 플랜지(26e)를 가지는 상기 금구의 플랜지(26f)는 대각선형(70) 또는 "Z"자 형(71)일 수 있으며, 이들은 상술한 접힘부(26b) 및/또는 절결부(26c)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순형 디스크들에 있어서 상기 부재(72 및 73)의 소재들 사이에 삽입되는 선택적인 방식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이들이 그들을 둘러싸는 플랜지(20b)를 가지고 있기 않기 때문에, 이들의 직경은 더 작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가장 작은 부재, 예를 들면 손(6b)의 손목, 또는 발(8b)의 관절이나 팔꿈치(5b)내에도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대각선 플랜지(70) 및 "Z"자형 플랜지(71)과 같은 부착수단의 형상 및 외형과, 상술한 플랜지(26e)를 가지는 금구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72 및 73)의 소재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단순형 디스크와 삽입 베이스가 이들 부재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는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면, 이들의 형상 및 외형은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손(6b) 및 발(8b)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의 원형의 평탄면(65)은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추형 공동부(84)를 가지는 부분적 구형 돌출부(83)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부분적 구형 돌출부(83)는 상술한 아랫팔(6a) 및 종아리(8a)의 다른 실시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이들은 그의 평탄면(65)상에 동심적으로 위치된 원형 구멍(85a)을 포함하며, 이는 앞팔(6a)에 손(6b)을 끼우고 발(8b)에 종아리(8a)를 끼우기 위한 것이며, 이들이 위치되는 어느 곳이건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된다.
상술한 아랫팔(6a) 및 종아리(8a)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이들의 평탄면(65)은 부분 구형 공동부(85)를 더 포함하며; 상술한 원형구멍(85a)는 상기 상기 부분 구형 공동부(85)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형구멍(85a)의 직경은 더 작은데, 이는 상기 아랫팔(6a) 및 종아리(8a)에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를 제공하고, 아랫팔(6a)에 손(6b)을 마련하고, 종아리(8a)에 발(8a)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디에 위치하건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다.
도 36은 아랫팔(6a)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술한 손(6b)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부재(6a 및 6b)들은 해체된 상태로 도시되며, 상술한 공동부(84 및 85)를 선명하게 보이고 내부에 위치한 압축 조인트 기구(80)의 수단에 의하여 이들 부재가 조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투명한 상태로 나타내었다.
도 36에 나타낸 상기 압축 조인트 기구(80)는 적어도: 수직 원추형 공동부(84)와 함께 부분 구형 돌출부(83)을 가지는 부재(6b 또는 8b), 그의 원형 평탄면(85a)상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원형구멍(85a)을 가지는 부재(6a 또는 8a) 또는 원형구멍(85a)을 가지는 부분 구형 공동부(85)을 가지는 부재(6a 또는 8a), 그의 중심에 나사구멍을 가지는 워셔(86), 고리볼트(87) 및 압축 스프링(88)을 가지며, 상기 압축 스프링(88)은 그의 끝단에 고리형상을 가진다.
상술한 삽입 베이스 및 플랜지를 가지는 금구(26e) 및 단순형 디스크의 플랜지(20b, 26f 및 30b)의 다른 실시예는, 그의 표면에 위치하는 구멍(89)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구멍(89)을 통하여 상기 언급된 압축 스프링(88)의 2개의 고리중 한개를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압축 조인트 기구(80)을 조립하는 방식은, 도 36의 부품의 순서에 따르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나사가 형성된 워셔(86)는 상술한 원추형 공동부(84)의 아래쪽에 동심적으로 위치되며, 그에 따라 손(6b) 및/또는 발(8b)의 소재 사이에 삽입되는데, 상기 나사가 형성된 워셔(86)의 외부직경은 원추형 공동부(84)의 평탄면(84a)의 직경보다 크며, 상술한 고리볼트(87)가 상기 원추형 공동부(84) 내로 도입되고 상기 나사가 형성된 워셔(86)에 나사결합하게 되며, 그 후 상술한 압축 스프링(88)이 상술한 부분 구형 공동부(85)의 원형 구멍(85a)을 관통하고, 2개의 고리중의 하나가 상술한 플랜지(20b, 26f 및 30b)의 구멍(89)내로 삽입되고, 다른 고리가 상술한 고리볼트(87)에 걸어질 때까지 도구(도시않됨)에 의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을 늘이게 되고, 그에 의하여 손(6b) 및/또는 발(8b)이 아랫팔(6a) 및/또는 종아리(8a)에 각각 확고하게 조립되고, 상기 손(6b) 및/또는 발(8b)은 어떤 방향으로든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술한 압축스프링(88)의 압축력에 의한 것이다.
상술한 플랜지(20b, 26f 및 30b)의 구멍(89)의 위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손(6b) 및/또는 발(8b)이 중공부재(72)이며, 상기 구멍(89)은 상기 부재(6a 및 8a)의 표면상에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 스프링(88)이 상기 플랜지(20b, 26f 및 30b)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걸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압축 조인트 기구(80)를 조립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압축 스프링(88)의 고리 중의 하나가 링(도시않됨)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고리볼트(87)는 개방된 고리볼트(도시않됨)에 의하여 대체되는 것 및/또는 상술한 플랜지(20b, 26f 및 30b)의 구멍(89)이 필요에 따라 아랫팔(6a) 및/또는 종아리(8a)내에 삽입된 고리(도시않됨)에 의하여 대체되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 조인트 기구(80)는 상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사가 형성된 워셔(86)는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통상의 워셔(47) 및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통상의 너트(52)에 의하여 대체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상의 너트(52)는 상기 통상의 워셔(47)에 부착되며, 이들 양자는 필요에 따라서 손(6b) 및/또는 발(8b)의 내부에 확고하게 삽입되어 고리볼트(87)가 나사결합되는 다른 선택적인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부분 구형 공동부(85) 및 그의 원형 구멍(85a), 부분 구형돌출부(83) 및 그의 원추형 공동부(84)의 양자의 형상 및 외형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면 안되며, 예를 들어, 상기 원추형 공동부(84)의 기하학적 형상은, 원추형의 대신에 원통형, 계란형, 사각형등이 될 수 있다.
도 3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손(6b)의 소재와 같은 유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관절연결 마네킹의 손(6b)에는, 이들이 중공부재(72) 또는 고형부재(73)로 만들어졌는가와는 독립적으로, 이들의 내부에 유연성 와이어(74)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원추형 공동부(84) 및 나사가 형성된 워셔(86)의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각 손가락이 수작업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손가락의 내부에 수납되어 주어진 위치에 유지되며, 따라서 관절연결 마네킹은 그의 손(6b)에 물건을 쥘 수 있고, 이들 손(6b)은 이들이 위치하는 관절연결 마네킹에 의하여 취해진 자세를 고수할 수 있게 된다.
손(6b)이 유연성이고 중공부재(72)인 경우에, 유연성 와이어(75)가 상기 손(6b)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유연성이고 중공부재(72)인 손(6b)의 내부(도시않됨)는, 예를 들어 솜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유연성 소재로 채워재서, 상기 유연성 와이어(74)가 상기 유연성인 중공부재(72)의 내부에서 느슨한 상태로 있게 되지 않으며, 관절연결 마네킹의 어떠한 부재도 중공부재(72)로 될 수 있어서, 적어도 유연성의 재료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관절연결 마네킹의 일 실시예는: 엉덩이부(4), 2개의 하부 반구체 접속부(1), 2개의 넓적다리 상부(7a), 2개의 넓적다리 하부(7b), 2개의 종아리(8a) 및 2개의 발(8b)로 구성되는 하부(9b)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서: 관절연결 마네킹은 상부(9a)만을 가지게 되며, 상부는: 머리(2), 몸통(3), 2개의 상부 반구체 접속부(1), 2개의 윗팔(5a), 2개의 팔꿈치(5b), 2개의 아랫팔(6a) 및 2개의 손(6b)으로 구성되며, 상부(9a)의 부재들은 상술한 조립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며, 따라서 셔츠, 자켓, 모자 및/또는 타이등을 착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9a) 및 하부(9b)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관절연결 마네킹의 각 팔(5)은 적어도: 상술한 반구체 접속부(1), 윗팔(5a), 팔꿈치(5b), 아랫팔(6a) 및 손(6b)로 구성되며; 상기 팔(5)은 다음과 같은 변형예를 가진다: 윗팔(5a), 팔꿈치(5b), 아랫팔(6a) 및 손(6b)이 단일 부재를 구성하고, 윗팔(5a) 및 팔꿈치(5b)가 단일 부재를 구성하고 및/또는 아랫팔(6a)과 손(6b)이 단일 부재를 구성하는 등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부재들은 상술한 조립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관절연결 마네킹은 상이한 방식의 관절연결된 팔(5)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관절연결 마네킹은 상술한 상부(9a)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관절연결 마네킹은 상술한 하부(9b)만을 가지게 되며, 상술한 조립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바지, 양말, 치마등을 착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각 다리(7)는: 반구체 접속부(1), 넓적다리 상부(7a), 넓적다리 하부(7b), 종아리(8a) 및 발(8b)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다리(7)는 다음의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넓적다리 상부(7a), 넓적다리 하부(7b), 종아리(8a) 및 발(8b)이 단일 부재를 구성하거나, 넓적다리 상부(7a), 넓적다리 하부(7b) 및 종아리(8a)가 단일 부재를 구성하거나, 종아리(8a) 및 발(8b)만이 단일 부재를 형성하거나 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재들은 상술한 조립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관절연결 마네킹이 상이한 방식의 관절연결 다리(5)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관절연결 마네킹은 넓적다리 하부(7b), 종아리(8a) 및 발(8b)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어서, 관절연결 마네킹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그의 넓적다리 상부(7a)의 원형 평탄면(65)만으로 평탄면상에 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9b)가 단일 부재를 구성하여, 상술한 조립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부(9a)에 부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어서, 상기 관절연결 마네킹의 하부(9b) 및 그의 상부(9a)가 관절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은 상술한 부재 중의 적어도 2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어서, 상술한 조립 기구의 수단에 의하여 상호간에 조립되어 유지되며, 관절연결 마네킹은 필요에 따라서 몇몇 부재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단일 부재를 구성하는 상술한 부재의 특징은, 이들의 형상이, 적어도 인체의 해당 부위의 해부학적 형상을 닮았다는 것으로서, 단일 부재를 구성하는 그러한 부재들은 중간관절을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관절연결 마네킹의 부재의 수, 위치 및 외양과, 조립 기구의 접속부등은 가변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것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의 해부학적 형상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해부학적 형상은 동물의 신체, 혹은 대상물의 기형 등과 같은 다른 대상물(도시않됨)일 수도 있으며, 상기 몸체들은 적어도 한 개의 유연성 덮개(도시않됨)로 덮이게 되어, 각 부재의 모서리를 유연하게 하거나 감추고, 상술한 접속부를 감추게 됨으로서, 상기의 몸체는 더욱 실제적인 외형을 가질 수 있다.
1 : 반구체 접속부
2 : 머리
2a : 머리(2)의 수직 공동부
2b : 머리(2)의 수직공동부 구멍
2c : 머리(2)의 수직공동부(2a)의 원통형 구멍
2d : 원통형 구멍(2c)의 조임부
3 : 몸통
3a : 몸통 상부
3b : 몸통 하부
3c : 몸통(3)의 목
3d : 목(3c)의 수직 공동부
3e : 몸통(3)의 수평 공동부
3f : 몸통(3)의 수평 공동부(3e)의 평탄면
4 : 엉덩이부
4a : 엉덩이부(4)의 수평 공동부
4b : 엉덩이부(4)의 수평 공동부(4a)의 평탄면
5 : 팔
5a : 윗팔
5b : 팔꿈치
6a : 아랫팔
6b: 손
7 : 다리
7a : 넓적다리 상부
7b : 넓적다리 하부
8a : 종아리
8b : 발
9a : 관절연결 마네킹의 상부
9b : 관절연결 마네킹의 하부
10 : 몸통(3)과 상부 반구체 접속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0a : 몸통 상부(3a)와 몸통 하부(3b) 사이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접속부
11 : 반구체 접속부(1)와 윗팔(5a)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2 : 윗팔(5a)과 팔꿈치(5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3 : 팔꿈치(5b)와 아랫팔(6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4 : 몸통(3)과 엉덩이부(4)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5 : 엉덩이부(4)와 하부 반구체 접속부(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6 : 하부 반구체 접속부(1)와 넓적다리 상부(7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7 : 넓적다리 상부(7a)와 넓적다리 하부(7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8 : 넓적다리 하부(7b)와 종아리(8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
19a : 측방향에서 본 조립 기구의 회전축의 표시
19b : 정면방향에서 본 조립 기구의 회전축의 표시
20 : 편평형 디스크
20a : 편평형 디스크의 평탄면
20b : 디스크 플랜지
20c : 디스크의 중앙구멍
20d :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의 중앙구멍
21 : 디스크 주변구멍
22 :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
22a : 상자를 가지는 디스크(22)의 원통형 상자
22b : 원통형 상자(22a)의 중앙구멍
22c : 원통형 상자(22a)의 주변구멍
22d : 상자를 가지는 홈형성 디스크
23 : 토션 스프링
24 : 래디얼 부하 베어링
25 : 홈형성 디스크
25a : 둘레 원형홈
25b : 소형구
25c :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
26 : 구형돌기를 가지는 디스크
26a : 구형돌기
26b : 플랜지 접힘부(20b, 26f 및 30b)
26c : 플랜지 절결부(20b, 26f 및 30b)
26d : 플랜지가 없는 구형돌기 디스크
26e : 플랜지를 가지는 금구
26f : 플랜지를 가지는 금구(26e)의 플랜지
27 : 구형홈 디스크
27a : 구형홈
28a : 구형홈 디스크(27)의 단면
28b : 복합형 디스크의 단면
29 : 방사홈 디스크
29a : 오목 방사홈
29b : 볼록 방사홈
30 : 삽입 베이스
30a : 삽입 베이스(30)의 평탄면
30b : 삽입 베이스(30)의 모서리
30c : 삽입 베이스(30)의 중앙구멍
30d : 삽입 베이스(30)의 원추형 또는 원통형 공동부
30e : 삽입 베이스(30)의 나사구멍
31': 커플링 디스크(31,33,34 및 36)과 같은, 복합형 디스크의 커플링 디스크
31 : 주변구멍을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
32 : 커플링 디스크(31')의 원추형 구멍
33 : 상자를 가지는 커플링 디스크
34 : 편평형 커플링 디스크
35 : 모터
35a : 모터(35)의 축
35b : 축(35a)의 평탄면
35c : 커플링 디스크(31') 및 단순형 디스크의 부분원호형 홈
35d : 모터(35)의 케이블
35e : 피스톤, 센서, 팬 또는 기타 전기식, 전자식, 기계식, 공압식 및/또는 유압식 기계의 케이블 또는 호스
36 : 중앙 안내 구멍을 가진 커플링 디스크
36a : 중앙 안내 구멍을 가진 커플링 디스크(36)의 중앙구멍
37 : 자성 접속 기구
37a : 분리판
38 : 자석
39 : 자성 결합 및 체결 기구
40 : 고정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
41 : 기구의 고정나사
42 : 인장 스프링
43 : 사각 암나사
44 : 사각 암나사(43) 및 인장 스프링(42) 수납용 사각형 하우징
44a : 사각형 하우징의 구멍
45 :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
46 : 이동가능한 나사
47 : 종래의 워셔
48 : 이동가능한 나사를 가지는 결합 및 조정가능한 체결기구의 튜브
49 : 나사 하우징
49a : 나사 하우징의 안내 구멍
49b : 나사 하우징의 공동부
50 : 조정가능한 결합 및 토션 기구
51a : 천공나사
51a' : 천공나사 (51a)의 구멍
51b : 홈나사
51b' : 홈나사(51b)의 홈
51c : 핀
52 : 통상의 암나사
53 :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체결 기구
54 : 나사 로드
55 : 결합 및 자동화된 운동 기구
56 : 원추형 나사
57 : 안전나사로 불리우는 나일론 삽입 암나사
60 : 상호 보완 부재
61 : 부재의 천공 가이드
62 : 반구형부
63 : 반원통형 또는 반원추형부
64 :변위부
65 : 부재의 원형 평탄면
66 : 부재의 부분 원형 평탄면
67 : 윗팔의 해부학적 형상과 유사한 부분
68 : 부재의 중앙구멍
70 : 대각선 플랜지
71 : "Z"형 플랜지
72 : 중공부재
73 : 고형부재
74 : 유연성 와이어
80 : 압축 조인트 기구
81 : 아랫팔(6a)과 손(6b) 사이의 접속부
82 : 종아리(8a)와 발(8b) 사이의 접속부
83 : 손(6b)과 발(8b)의 부분적 돌출부
84 : 손(6b)과 발(8b)의 공동부
84a : 공동부(84)의 평탄면
85 : 아랫팔(6a)과 종아리(8a)의 부분 구형 공동부
85a : 아랫팔(6a)과 종아리(8a)의 원형구멍
86 : 나사형성 워셔
87 : 고리볼트
88 : 압축 스프링
89 : 플랜지(20b, 25f 및 30b)의 구멍
90 : 몸통(3)과 머리(2) 사이의 접속부
91' : 이중 볼 조인트 기구
91 : 볼 조인트
91a : 볼 조인트의 단면
91b : 볼 조인트(91)의 구형돌기
91c : 볼 조인트(91)의 구형공동부
91d : 볼 조인트(91)의 원통형부
91e : 볼 조인트(91)의 중앙구멍
92 :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나사
93 :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금구
94 :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로드
95 :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의 튜브
96 : 통상의 볼 조인트
96a : 통상의 볼 조인트(96)의 베이스
96b : 통상의 볼 조인트의 스템

Claims (74)

  1. i) 그의 하부에 위치된 수직 공동부(2a)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공동부(2a)는 그의 상부에 위치된 구멍(2b)을 가지는 머리(2)와;
    ii) 머리(2)의 수직 공동부(2a)내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목(3c)과, 상기 목(3c)은 적어도 그의 상부가 원통형이며 내부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수직 공동부(3d)를 포함하며, 상기 목(3c)의 공동부(3d)의 아래에 동심적으로 삽입되는 금구(93)와, 상기 금구(93)의 중앙구멍에 고정되는 나사(92) 및, 그의 상부의 측부상에 위치되며 끝단에는 평탄면(3f)을 가지는 2개의 수평 공동부(3e)를 포함하는 몸통(3)과;
    iii) 머리(2)와 목(3c)의 공동부(2a) 및 (3d) 내에 위치되며, 머리(2)와 몸통(3)을 연결하는 적어도 한 개의 이중 볼조인트 기구(91')로서, 상기 기구(91')의 각 볼조인트(91)는 적어도: 구형돌기(91b)와, 구형 공동부(91c) 및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앙구멍(91e)를 포함하며, 제1 볼조인트(91)는 목(3c)의 공동부(3d)내에 삽입된 나사(92)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92)는 제1 볼조인트(91)의 중앙구멍(91e)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제2 볼조인트(92)는 상기 제1 볼조인트(91)의 구형돌기(91b)를 구형 공동부(91c)로 감싸도록 하여 제1 볼 조이트(91)와 결합하고, 로드(94)의 한쪽 끝단은 제2 볼조인트(91)의 중앙구멍(91b)에 삽입되고, 상기 로드(94)의 다른쪽 끝단은 머리(2)의 공동부(2a)의 구멍(2b)에 삽입되는 이중 조인트 기구(91')와;
    iv) 몸통(3)의 어느 하나의 수평 공동부(3e)에 삽입되며, 적어도 반구형부(62)와, 바람직하게는 반원통형부 또는 반원추형부(63)로 형성되며, 이들 부분은 변위부(64)에 의하여 결합되어, 양 부분(62) 및 (63)의 평탄면(65) 및 (66)은 상호간에 적어도 수직으로 배치되며, 반원통형부 또는 반원추형부(63)의 평탄면(65)은 몸통(3)의 수평 공동부(3e)의 평탄면(3f)과 접촉하는 적어도 한 개의 반구체 접속부(1)와;
    v) 상기 반구체 접속부(1)로 몸통(3)에 접속되는 제1 자성 접속 기구(37)로서, 상기 자성 접속 기구(37)는 적어도 2개의 상호간에 평행한 편평형 디스크(20)를 포함하고, 하나의 편평형 디스크는 몸통(3)의 수평 공동부(3e)의 평탄면(3f)내에 삽입되고, 다른 디스크는 상기 반구체 접속부(1)의 반원통형 또는 반원추형부(63)의 평탄면(65)에 삽입되며, 상기 편평형 디스크(2)는 연결되는 부재의 소재내에 매립되어 평탄면(20a)만 노출되며 부재의 평탄면(65) 또는 (66)과 정렬되는 체결수단과, 그의 표면(20a) 상에서 편평형 디스크(20)중의 하나에 동심적으로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38)을 포함하는 제1 자성 접속기구(37)와;
    vi) 그의 끝단 중의 하나에 반구형부(62)와, 팔의 해부학적 형상과 유사한 부분을 포함하며, 양 부분은 변위부(64)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반구체 접속부(1)의 반구형부(62)의 평탄면(66)과 접촉하는 적어도 한 개의 팔(5)과;
    vii) 상기 반구체 접속부(1)와 연결되는 팔(5)에 접속되며, 편평형 디스크(20) 중의 하나가 상기 반구체 접속부(1)의 반구형부(62)의 평탄면(66)내에 삽입되고, 다른 편평형 디스크(20)가 팔(5)의 반구형부(62)의 평탄면(66)상에 삽입되는 제2 자성 접속 기구(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적어도: 편평형 디스크(20)의 한쪽 측면을 향하여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인 관절연결 마네킹.
  3.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머리(2)의 수직 공동부(2a)는 그의 상부에 구멍(2b)을 가지며 동심적으로 위치되는 원통형 구멍(2c)을 더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4. 제 3 항에 있어서, 헤드(2)의 원통형 구멍(2c)은 적어도 한개의 조임부(2d)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5.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가 적어도 한 개의 베이스(96a)와 스템(96b)을 가지는 통상의 볼 조인트(96)으로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6.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중 볼 조인트 기구(91') 또는 통상의 볼 조인트(96)는 로드(94)의 상부끝단 또는 스템(96b)에 튜브(95)를 더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7.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통(3)은 적어도: 몸통 상부(3a) 및 몸통 하부(3b)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의 접속부(10a)에 자성 접속 기구(37)를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8.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팔(5)은 적어도: 윗팔(5a), 팔꿈치(5b), 아랫팔(6a), 손(6b) 및 이들 사이에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의 접속부(12,13,81)에 자성 접속 기구(37)를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9. 제 8 항에 있어서, 윗팔(5a), 팔꿈치(5b) 및 아랫팔(6a)은 상기 반구체 접속부(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반원통형부 또는 반원추형부(63)는 윗팔(67), 팔꿈치 및 아랫팔의 해부학적 형상과 유사한 부분을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10.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9b)는 단일 부재로 구성되며, 엉덩이부(4)로부터 발(8b)로 연장되고, 적어도 한 개의 자성 접속 기구(37)에 의하여 몸통(3)의 하부에 부착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하부(9b)는 적어도:
    i) 하부의 측면상에 위치되는 2개의 수평 공동부(4a)를 포함하며, 끝단은 평탄면(4b)인 엉덩이부(4)와;
    ii) 청구항 1의 반구체 접속부(1)와 유사하며, 각각 엉덩이부(4)의 수평 공동부(4a) 내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2개의 반구체 접속부(1)와;
    iii) 청구항 1의 팔(5)과 유사한 형상이며, 팔의 해부학적 형상을 닯은 부분은 한 쪽 다리의 해부학적 형상과 유사하며, 반구형부(62)의 평탄면(66)은 반구체 접속부(1)의 반구형부(62)의 평탄면(66)과 접촉하는 점이 상이한 2개의 다리(7) 및,
    iv) 청구항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적어도 한 개의 자성 접속 기구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자성 접속 기구(37)는 엉덩이부(4)의 수평 공동부(4a)와 하부 구체 접속부(1) 사이의 접속부와, 상기 하부 구체 접속부(1)와 다리(7) 사이의 접속부에 있는 관절연결 마네킹.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다리(7)는 적어도: 넓적다리 상부(7a)와, 넓적 다리 하부(7b)와, 종아리(8a)와, 발(8b) 및 이들 사이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의 접속부(17,18,82)에 자성 접속 기구(37)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14. 제 13 항에 있어서, 넓적다리 상부(7a), 넓적 다리 하부(7b) 및 종아리(8a)는 하부 반구체 접속부(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지만, 반원통형부 또는 반원추형부(63)는 각각 넓적다리의 상부, 넓적다리의 하부 및 종아리의 해부학적 형상에 각각 유사한 것이 차이인 관절연결 마네킹.
  15.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부(10, 12, 15, 17, 81 및 82)에 위치된 부재들의 평탄면(65)은: 몸통(3)의 수평 공동부(3e)의 평탄면(3f)과 상부 반구체 접속부(1)의 사이, 윗팔(5a)과 팔꿈치(5b)의 사이; 윗팔(6a)과 손(6b)의 사이; 엉덩이부(4)의 수평 공동부(4a)의 평탄면(4b)과 하부 반구체 접속부(1)의 사이, 넓적다리 상부(7a)와 넓적다리 하부(7b)의 사이, 및 종아리(8a)와 발(8b)의 사이에 위치하며, 원형 평탄면인 관절연결 마네킹.
  16.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형 디스크(20)는 원형인 중앙구멍(20c)을 더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17.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편평형 디스크(20)와, 상기 편평형 디스크(20) 중의 한 개의 중앙구멍(20c)을 관통하는 이동식 나사(46) 및, 다른 편평형 디스크(20)의 플랜지(20b)가 돌출되는 평탄면(20a)상에 동심적으로 고정된 통상의 암나사(52)를 포함함으로써 양 편평형 디스크(20)를 결합하는 조정가능한 결합 및 체결기구를 포함하며, 이동가능한 나사(46)의 자유로운 끝단은 제2 편평형 디스크(20)의 중앙구멍을 관통하여 통상의 암나사(62)에 나사결합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18.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의 구성은 청구항 17에 기술된 기구와 유사하지만,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의 통과가 가능한 지름의 중앙구멍(20d)을 디스크(20) 중의 하나가 가지며,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중앙구멍(20d)의 주위에 위치되는 원통형 상자(22a)을 포함하며, 그의 측부로 플랜지(20b)가 돌출되고, 상기 원통형 상자(22a)은 표면을 포함하며, 편평형 디스크(20)의 중앙구멍(22c)은 중앙구멍(22b)과 동일한 직경이며, 상기 원통형 상자(22a)은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을 수납하는 결합 및 체결기구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19.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8에 기술된 구성과 유사하지만, 원통형 상자(22a)은 토션 스프링(23)을 수납하고, 그에 의하여 원통형 상자(22a)은 그의 표면상에 토션 스프링(23)의 한 끝단이 통과하는 적어도 한개의 주변구멍(22c)을 가지며; 다른 디스크(21)는 토션 스프링(23)의 다른 끝단이 통하는 적어도 한 개의 주변구멍(2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개의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차단기구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20.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7에 기술된 구성과 유사하지만, 2개의 디스크(25)가 그의 표면(20a)상에 둘레 원형홈(25a)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소형구(25b) 또는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25c)이 위치되는 것이 다른 결합 및 자유 운동 기구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21.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20에 기술된 구성과 유사하지만, 디스크(22d) 중의 한개는 청구항 18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래디얼 스러스트 베어링(24)을 수납하는 원통형 상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다른 결합 및 자유운동 기구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22. 제 17항 내지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의 암나사(52)는 각 디스크(20, 21, 22, 22d 또는 25)의 중앙구멍(20c 또는 22b)내에 위치하는 나사에 의하여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23. 제 17 항 내지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의 암나사(52)는 나일론 삽입 암나사 또는 안전 나사(57)에 의하여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24. 제 17 항 내지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나사(46)는 천공나사(51a) 또는 홈나사(51b)으로 대체되며, 상기 천공나사(51a)의 구멍(51a')은 그의 원통형 표면을 가로지르며, 상기 홈나사(51b)의 홈(51b')은 그의 원통형 표면에 대하여 동심적으로 되어 있으며, 통상의 너트(52)는 상기 구멍(51a')을 통하여 도입되고 상기 홈(51b')의 주위에 위치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25. 제 17 항 내지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나사(46)는 플랜지(20b)가 돌출되는 측상에서 각 디스크(20, 21, 22, 22d 또는 25)에 동심적으로 부착되고, 고정나사(41)인 관절연결 마네킹.
  26.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 2 및 16에 기술된 자성 접속기구(37)와 유사하지만, 각 디스크(26 및 27 또는 29 및 29)는 체결요소를 포함하는 자성 결합 및 차단기구(39)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기구(39)는 나사가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은 고정나사(41)를 더 포함하며, 이 나사(41)는 디스크(26,27 또는 29 및 29)의 중앙구멍(20c)을 통과하고 이들 디스크(26, 27 또는 29)중의 하나에 고정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
  27. 제 26 항에 있어서, 체결요소는 적어도: 편평형 디스크(20)의 플랜지(20b)가 돌출하는 측의 반대측 표면(20a)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구형돌기(26a) 또는 구형 홈(27a) 및, 그의 표면(20a)상에 그의 중앙구멍(20c)의 둘레에 등각도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오목 방사홈(29a) 및 볼록 방사홈(29b)을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28.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26 및 27에 기술된 자성 결합 및 차단기구(39)와 유사하지만, 자석(38)들은 인장 스프링(42) 및 사각 암나사(43)로 대체되고, 이들 양자는 사각 하우징(44)내에 위치되며, 사각 하우징(44)은 고정나사(41)를 포함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디스크(26,27 또는 29)의 표면(20a)에 직접 부착되며, 상기 고정나사(41)는 양 디스크(26 및 27 또는 29 및 29)의 중앙구멍(20c)과, 인장 스프링(42) 및 사각 암나사(43)를 관통하는 것이 다른 적어도 한 개의 조정가능한 고정 나사식 결합 및 차단기구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29. 제 28 항에 있어서, 사각 하우징(44)은 그의 표면상에 위치되며, 고정 나사(41)를 관통하는 중앙구멍(44a)을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사각 암나사(43) 및/또는 사각 하우징(44)의 기하학적인 형상은 사각 및 원형과 다른 형상인 관절연결 마네킹.
  31.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각 암나사(43)는 나일론 삽입 암나사 또는 안전나사(57)로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32.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28 내지 31에 기술된 조정가능한 고정나사식 결합 및 차단기구(40)와 유사하지만, 상호간에 동심적으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그의 구성부분도 상호간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된 구성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차단 기구(53)를 포함하며, 고정나사(41)는 적어도 디스크(26 및 27 및/또는 29 및 29)의 중앙구멍, 스프링(42) 및 사각 암나사(43)을 통과하는 나사 로드(54)에 의하여 대체되고, 상기 나사 로드(54)는 상기 조정가능한 결합 및 이중 차단 기구(53)의 중앙에 위치한 디스크(26, 27 또는 29) 중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33.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로드(54), 고정나사(41), 천공나사(51a) 및/또는 홈나사(51b)들은 중공 로드 또는 중공나사에 의하여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34.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28 내지 31에 기술된 고정나사식 결합 및 차단기구(40)와 유사하지만, 고정나사(41)가 이동가능한 나사(46)에 의하여 대체되는 것이 다른 적어도 한 개의 조정가능한 이동나사식 결합 및 차단기구(45)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35. 제 34 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이동나사식 결합 및 차단기구(45)는, 사각 하우징(44)를 가지지 않는 디스크의 플랜지가 돌출된 측상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튜브(48)와, 상기 튜브(48)의 대향 끝단에 위치한 통상의 워셔(47)를 포함하며, 이동가능한 나사(46)는 통상의 워셔(47)의 중앙구멍, 디스크(26 및 27 또는 29 및 29)의 튜브(48), 스프링(42) 및 사각 암나사를 관통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36.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7 내지 21, 34 및 35에 기술된 기구의 이동가능한 나사(46)는, 통상의 워셔(47) 또는 이들의 각 디스크(20, 21, 22, 22d, 25, 26, 27 또는 29)에 플랜지(20b)가 동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이동가능한 나사(46)는 상기 나사 하우징(49)의 공동부(49b)내에 위치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37. 제 36 항에 있어서, 나사 하우징(49)은 그의 폐쇄된 측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안내 구멍(49a)을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38.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 및 2에 기술된 편평형 디스크(2)의 중앙구멍(20c)의 기하학적 형상은 원형이 아닌 관절연결 마네킹.
  39.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플랜지(20b)들은 한측을 향하여 특정한 각도로 둘레부에서 돌출한 적어도 한 개의 플랜지(26f)와 상기 디스크들의 중앙구멍(20c, 20d 및 36a)의 직경보다 같거나 더 큰 중앙구멍을 포함하는 금구(26e)인 접속수단에 의하여 대체되며, 상기 금구(26e)는 부재들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크의 다른 측부의 평탄면(20a)상에 동심적으로 위치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40.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술한 조립기구의 디스크는 적어도:
    i) 편평형 디스크에 유사하며, 플랜지(20b)를 가지지 않고, 그의 표면(20a)상에 중앙구멍(20c, 20d 및 36a)의 둘레에 위치되는 등간격의 다수개의 원추형 구멍(32)을 포함하는 커플링 디스크(31')와;
    ii) 적어도: 결합될 부재들의 소재 내에 매립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평탄면(30a)과, 상기 평탄면(30a)은 노출되고 그것이 포함되는 부재내의 평탄면(65 또는 66)과 정렬되는 평탄면으로 구성되는 삽입 베이스(30)와, 상기 삽입 베이스(30)의 평탄면(30a)은, 커플링 디스크(31')의 중앙구멍(20c, 20d 또는 36a)과 같거나 더 큰 직경의 적어도 한 개의 중앙구멍(30c) 및, 커플링 디스크(31')의 원추형 구멍(32)과 정렬되는 다수개의 나사구멍(30e)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디스크(31')은 삽입 베이스(30)의 평탄면(30a)상에 동심적으로 위치되고, 이들의 원추형 구멍(32)은 삽입 베이스(30)의 나사 구멍(30e)과 정렬되는 삽입 베이스(30)와,
    iii) 삽입 베이스(30)의 나사구멍(30e)과 나사결합하도록 커플링 디스크(31')에 원추형 구멍(32)을 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구멍(32)의 원추형 구멍내에 수납되는 원추형 나사(56)
    로 형성되는 복합형 디스크로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41. 제 40 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은 삽입베이스(30)의 한쪽에 특정한 각도를 가지는 둘레방향의 적어도 한개의 플랜지(30b)들인 관절연결 마네킹.
  42.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수단의 플랜지(20b, 26f 및 30b)는 적어도 대각선(70) 또는 "Z"자 형상(71)을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43.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수단의 플랜지 (20b, 26f 및 30b)는 그의 표면상에 적어도 한 개의 접힘부(26b) 및/또는 절결부(26c)를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44. 제 40 항 내지 4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베이스(30)는 그의 표면(30a)상에서, 플랜지(30b)가 돌출하는 측을 향하여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원추형 또는 원통형 공동부(30d)를 더 포함하며, 중앙구멍(30c) 및 나사구멍(30e)들은 원추형 또는 원통형 공동부(30d)의 평탄면상에 위치하고, 커플링 디스크(31')들이 상기 원추형 또는 원통형 공동부(30d)내에 수납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45. 제 40 항 내지 제 4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베이스(30)는 그의 표면(30a)상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주변 원형 홈(25a)를 포함하고, 그 위에는 다수개의 소형구(25b) 또는 축방향 스러스트 베어링(25c)이 위치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46. 제 40 항 내지 제 4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디스크(31')의 원추형 구멍(32) 및 원추형 나사(56)의 머리들은 원추형 이외의 기하학적 형상인 관절연결 마네킹.
  47.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형 디스크 및/또는 커플링 디스크(31')는 그의 표면(20a)상에 적어도 한개의 부분원호의 홈(35c)을 가지고, 그의 중앙구멍(20c, 20d 또는 36a)을 통과하고 동심적인 관절연결 마네킹.
  48.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형 디스크 및/또는 커플링 디스크(31')는, 그의 평탄면(20a)에 결합된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 유압식 및/또는 공압식의 장치를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49. 제 48 항에 있어서, 그 장치는 적어도 모터(35) 피스톤 및/또는 센서인 관절연결 마네킹.
  50.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기구의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축부(35a), 나사로드(54), 고정나사(41) 천공나사(51a) 및/또는 홈나사(51b)는 완전한 원통형은 아닌 관절연결 마네킹.
  51.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모터(35)가 커플링 디스크(34)의 평탄면(20a)상에 동심적으로 놓여지고, 그 모터(35)의 축(35a)은 그의 원통형부의 일부에 나사가 포함되는 복합형 디스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 및 자동운동기구(55)를 포함하며, 상기 축(35a)은 청구항 38에 기술된 중앙구멍을 가지는 안내 디스크인 상기 기구의 커플링 디스크(34)의 중앙구멍(20a)을 관통하고, 상기 축(35a)은, 제2 디스크의 삽입 베이스(30)의 플랜지(20b 또는 30b)가 돌출된 측상에 위치하고 또한 나일론 삽입 암나사(57)에 나사결합되는 제2 디스크의 안내 또는 커플링 디스크(36)의 중앙구멍을 통과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52. 제 51 항에 있어서, 모터(35)의 축(35a)는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된 축으로 대체되며, 나일론 삽입 암나사(57)는 핀(51c)으로 대체되며, 그의 구성은 청구항 24의 천공나사(51a), 홈나사(51b) 및 핀(51c)와 유사한 관절연결 마네킹.
  53. 상기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 2 및 16의 자성 접속 기구(37)의 편평형 디스크(20) 중의 적어도 한개는 플랜지(20b)가 돌출된 측과 반대측의 평탄면(20a)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막을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54. 상기 항에 있어서, 자성 접속 기구(37)는 2개의 평행한 편평형 디스크(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개의 분리판(37a)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37a)은 유리 또는 기타 박형의 편평한 물체인 관절연결 마네킹.
  55. 상기 항에 있어서, 구성품 또는 조립 기구의 변형품들이 기타 구성품 또는 조립 기구의 변형품들과 결합하여, 다양한 기구들이 상술한 조립 기구를 구성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56. 상기 항에 있어서, 평탄면(65,66) 부재들은 조립기구들이 팔다리내에 매립되었을 때 외부로부터 보이는 형상을 더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57. 상기 항에 있어서, 부재(6b,8b)의 원형 평탄면(65)은, 적어도 공동부(84) 및 돌출부(83)로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58.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재(6b,8b)의 원형 평탄면(65)은, 동심적인 원형구멍(85a)을 더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59. 제 58 항에 있어서, 부재(6b,8b)의 원형 평탄면(65)은, 상기 원형 평탄면(65)상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부분 구형 공동부(8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분 구형 공동부(85)의 하부에 원형구멍(85a)이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60.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형 디스크의 플랜지(20b, 26f 및 30b), 금구(26e) 및 삽입베이스는 적어도 한 개의 구멍(89)을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편평형 디스크의 플랜지(20b, 26f 및 30b), 금구(26e) 및 삽입 베이스의 구멍(89)을 대체하는 구멍을 그의 표면상에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62.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원추형 공동부(84)를 가지는 부분적 돌출부(83)를 가지는 부재와, 상기 부재(6b 또는 8b)의 소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원추형 공동부(84)의 아래에 동심적으로 위치되는 중앙구멍에 나사맞춤되는 워셔(86)와, 워셔(86)에 나사결합 되도록 원추형 공동부(84)를 통하여 도입되는 고리볼트(87)와, 그의 끝단에 고리를 가지며 그 고리가 부재(6a 또는 8a)의 평탄면(65)의 중앙구멍(85a)으로 관통하여 편평형 디스크의 플랜지(20b, 26f, 30b)의 구멍(89)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88)을 포함하며, 스프링(88)과 고리볼트(87)는 연결되고, 부재(6b 또는 8b)의 부분적 돌출부(83)는 제2 부재(6a 또는 8a)의 평탄면(65)의 원형 구멍(85a)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63. 제 62 항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88)의 적어도 한 끝단은 고리의 형상을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64. 제 62 또는 63 항에 있어서, 나사형성 워셔(86)는, 그의 표면상에 동심적으로 위치된 적어도 한 개의 통상의 너트(52)를 포함하는 통상의 워셔(47)로 대체되는 관절연결 마네킹.
  6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절연결 마네킹은 그의 외부표면상에 위치되는 부재천공 가이드(61)를 더 포함하는 관절연결 마네킹.
  6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재들은 중공부재(72) 또는 고형부재(73)이며, 강성 또는 유연성인 관절연결 마네킹.
  67.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형 또는 중공부재(72), 유연성 또는 고형부재(73)인 손(6b)는 그들의 손가락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의 유연성 와이어(74)를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6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부재(72)들은 적어도 유연성 재료로 채워진 관절연결 마네킹.
  69.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술한 부재 중 적어도 2개로 구성되며, 이들 부재의 사이의 접속부에 체결기구를 더한 관절연결 마네킹.
  70.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부재의 조립 기구가 동일한 부재를 조립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부재는 상호보완적인 부재(60)들로 구성되며, 상기 상호보완적인 부재(60)들은 적어도 갈고리, 텔리비젼 베이스 또는 컵 홀더와 같은 악세사리들인 관절연결 마네킹.
  71.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들의 접속부 및 이들 조립 기구의 크기 및 위치는 선행항에 따라서 상이한 것인 관절연결 마네킹.
  72.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재의 위치 및 외형은 상기 항중의 위치 및 외형과 상이한 것인 관절연결 마네킹.
  73.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 부재들은 인체의 해부학적 형상을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
  74. 제 73 항에 있어서, 인체의 해부학적 형상을 가지는 관절연결 마네킹은 적어도 한개의 유연성 덮개에 의하여 덮이는 관절연결 마네킹.
KR1020137005172A 2010-07-30 2010-07-30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 KR20130065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MX2010/000072 WO2012015290A2 (es) 2010-07-30 2010-07-30 Maniquí articulado con diversos mecanismos de ensamblaj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692A true KR20130065692A (ko) 2013-06-19

Family

ID=4553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172A KR20130065692A (ko) 2010-07-30 2010-07-30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86922A1 (ko)
EP (1) EP2599408A4 (ko)
JP (1) JP2013539993A (ko)
KR (1) KR20130065692A (ko)
CN (1) CN103269621A (ko)
BR (1) BR112013002170A2 (ko)
WO (1) WO201201529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34A (ko) * 2014-04-28 2015-11-0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r 조인트 이용한 구체관절인형
KR101894517B1 (ko) 2018-05-17 2018-09-04 홍재섭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9986A (en) * 2011-04-14 2012-10-17 John Salerno Apparatus having a mannequin for being struck by a person training for fighting
WO2013147626A1 (en) 2012-03-27 2013-10-03 Mazan Slawomir Mannequin
US9398820B2 (en) 2012-06-13 2016-07-26 Noa Brands America, Inc. Manikin stretch joint
WO2014073782A1 (ko) * 2012-11-12 2014-05-15 Yu Je Woo 인공관절
KR101510460B1 (ko) * 2013-03-18 2015-04-10 김지성 인체 뼈대 모형 키트
FR3014661B1 (fr) * 2013-12-16 2016-02-05 Moulages Et Arts Plastiques Ind Mapi Tete de mannequin de vitrine facilitant sa personnalisation
WO2015146301A1 (ja) * 2014-03-24 2015-10-01 スピーシーズ株式会社 フィギュア、台座、およびフィギュアシステム
JP5969535B2 (ja) * 2014-05-07 2016-08-17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
GB2531393B (en) * 2014-07-23 2017-10-04 Hangerlogic Far East Ltd Magnetically coupling manikin joints
EP3223662B1 (en) * 2014-11-28 2020-10-28 255 Handling Engineering & Controls S.r.l. System for capturing images of a garment worn on a dummy
ITUB20154962A1 (it) * 2015-11-06 2017-05-06 Bonaveri S R L Manichino articolato.
US9901192B2 (en) 2015-12-28 2018-02-27 James Tiggett, JR. Robotic mannequin system
USD854618S1 (en) * 2016-02-09 2019-07-23 Almax S.P.A. Mannequin
CN105741664A (zh) * 2016-05-15 2016-07-06 李�杰 带有气囊关节的医用人体模型
US11566659B2 (en) * 2016-08-26 2023-01-31 Sandon Qld Pty Ltd Manikin with articulated joint
ES2692336B1 (es) * 2017-03-30 2019-09-23 Garcia Luis Munoz Maniquí animado
CN107088305B (zh) * 2017-05-27 2019-12-31 贵州励天科技发展有限公司 组装式机器人快接方法
US10847059B2 (en) * 2017-12-08 2020-11-24 Laerdal Medical As Docking arrangement for manikin
EP3853577A4 (en) * 2018-09-21 2022-05-25 Humanetics Innovative Solutions, Inc. ANTHROPOMORPHIC TEST DEVICE ABDOMINAL FLESH COUPLING DESIGN
KR102154855B1 (ko) * 2018-11-07 2020-09-11 정현주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CN112169349A (zh) * 2020-10-20 2021-01-05 郭洁 人偶球形关节及人偶骨架
DE102020129783B3 (de) 2020-11-11 2021-12-30 Andreas Beilmann Demontagewerkzeug
CN115399534A (zh) * 2021-05-28 2022-11-29 美国适着三维科技有限公司 人体模型
JP7198871B2 (ja) * 2021-05-28 2023-01-04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部品、及び関節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18A (en) 1870-07-26 Improvement in reed musical instruments
US604243A (en) * 1898-05-17 graves
US296321A (en) 1884-04-08 James w
US89739A (en) 1869-05-04 Improvement in seed-sower
US1500921A (en) * 1919-06-21 1924-07-08 Bramson Mogens Louis Flexible pipe line
DE928751C (de) * 1952-06-12 1955-06-10 Gustav Hackemer Vorrichtung zum Veraendern der Koerpergroesse sowie zum allseitigen Beugen des Oberkoerpers von Schaustellfiguren
US3246422A (en) * 1964-01-14 1966-04-19 Eleanor M Teagarden Dolls having magnetically connected components
US3277601A (en) * 1964-01-23 1966-10-11 John W Ryan Doll having an angularly adjustable limb
US3375604A (en) * 1965-05-05 1968-04-02 Alonso Jose Figure toy with magnetically retained parts
US3464150A (en) * 1967-07-06 1969-09-02 Nasco Doll Inc Rotatably supported doll's head
US3628282A (en) * 1969-09-25 1971-12-21 Mattel Inc Articulated fashion doll
DE2201257A1 (de) * 1971-07-13 1973-02-22 Vivoli M Arte Vetrina Gelenkverbindung, insbesondere fuer die herstellung von gliederpuppen
US4619540A (en) 1984-07-20 1986-10-28 S.D.S. Industries, Inc. Spring pivot joint for mannequin
US4968282A (en) * 1989-05-08 1990-11-06 George Robson Poseable doll
JPH0513258Y2 (ko) * 1990-06-25 1993-04-07
US5630745A (en) 1993-08-24 1997-05-20 Yeh; Hsu-Chong Figure having numerous seamless repositionable parts
US6086447A (en) * 1995-08-17 2000-07-11 Mattel, Inc. Doll having head attachment post integral with body
US6478653B1 (en) * 1997-07-25 2002-11-12 Michael Langton Poseable figure and spine system for use therein
US6110002A (en) * 1997-07-25 2000-08-29 Langton; Michael Poseable figure and spine system for therein
WO1999008764A1 (en) * 1997-08-14 1999-02-25 The Lifelike Company Support system and flexible integument for dolls
CN2354450Y (zh) 1998-12-15 1999-12-22 大连侨峰木业有限公司 人体模型
US6409516B1 (en) 2000-01-07 2002-06-25 Gerald D. Thill Posable skeleton
US6705794B2 (en) * 2000-01-26 2004-03-16 Fusion Specialties, Inc. Display form having magnetically attachable parts
US7144179B2 (en) * 2000-01-26 2006-12-05 Fusion Specialties, Inc. Display form having magnetically attachable parts
US6203396B1 (en) 2000-02-15 2001-03-20 Bernstein Display Magnetically coupled mannequin joint
KR100418136B1 (ko) * 2000-08-22 2004-02-11 권성진 마네킹 바디의 관절용 링크
US6607684B1 (en) * 2000-09-19 2003-08-19 C. J. Associates, Ltd. Method of making a jointed linkage support system
CN100348284C (zh) * 2002-08-21 2007-11-14 马特尔公司 用于玩具人的接头和带有这种接头的玩具人
JP3092379U (ja) * 2002-08-28 2003-03-07 株式会社トーマネ マネキンの連結具
ES2245575B1 (es) 2003-11-20 2007-07-01 Vicente Jimenez Sanchez Maniqui articulado.
CN2684666Y (zh) * 2004-03-31 2005-03-16 陈建国 拟人活体模特
JP2008023076A (ja) * 2006-07-21 2008-02-07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マグネット着脱分岐アーム機構を有するオフセット多関節構造体
JP2008023170A (ja) * 2006-07-24 2008-02-07 San Create:Kk ディスプレイ用トルソの手首構造
US20080296321A1 (en) * 2007-05-31 2008-12-04 The Children's Place Services Company, Llc Mannequins and articulating components thereof
CN201091411Y (zh) * 2007-08-10 2008-07-30 厦门南洋模特儿衣架有限公司 一种动感仿真的人体衣架模特
CN201094463Y (zh) * 2007-09-30 2008-08-06 厦门南洋模特儿衣架有限公司 一种用于人体衣架模特肢体连接磁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34A (ko) * 2014-04-28 2015-11-0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r 조인트 이용한 구체관절인형
KR101894517B1 (ko) 2018-05-17 2018-09-04 홍재섭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9993A (ja) 2013-10-31
BR112013002170A2 (pt) 2019-09-24
WO2012015290A2 (es) 2012-02-02
EP2599408A4 (en) 2014-01-08
WO2012015290A3 (es) 2012-12-27
US20130186922A1 (en) 2013-07-25
EP2599408A2 (en) 2013-06-05
CN103269621A (zh)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5692A (ko)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
US11717762B2 (en) Animation puppet
KR101469539B1 (ko) 관절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련구, 링형 관절구조물, 조립완구, 인공관절
KR101685997B1 (ko) 로봇 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US6120547A (en) Enhanced prosthetic foot structure with ankle reinforcement
KR100786976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CN103987428B (zh) 个人锻炼设备
JP2013540531A (ja) 玩具組立セット
US20130109005A1 (en) Human model
KR20130010256A (ko) 가동성 인형용 골격구조체
KR101871915B1 (ko) 손가락 재활기구
JP5781713B1 (ja) 関節構造
CN105945929A (zh) 一种可重组模块化机器人联接结构
KR200246120Y1 (ko) 관절이 움직이는 마네킹
KR20210115393A (ko) 자력을 이용한 마찰 및 중력학습교구
US10188956B2 (en) Assembly-type evolutionary game system
KR102604752B1 (ko) 공연 로봇 및 공연 로봇을 포함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Yap et al. Soft printable pneumatics for wrist rehabilitation
CN219235303U (zh) 一种线驱柔性尾部结构
GB19052116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ay Figures or Garment Forms.
CN215084830U (zh) 一种下肢组件以及多关节仿真人体娃娃
CN213965145U (zh) 防拔插连接的骨架结构及应用其的娃娃关节结构
KR101567554B1 (ko) 관절 기능을 갖춘 수련장치 및 수련장치를 구비한 조립식 수련장비 시스템
JP2010188210A (ja) 人形玩具の可動連結部材及び人形玩具
CN111744213A (zh) 防拔插连接的骨架结构及应用其的娃娃关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