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17B1 -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517B1
KR101894517B1 KR1020180056808A KR20180056808A KR101894517B1 KR 101894517 B1 KR101894517 B1 KR 101894517B1 KR 1020180056808 A KR1020180056808 A KR 1020180056808A KR 20180056808 A KR20180056808 A KR 20180056808A KR 101894517 B1 KR101894517 B1 KR 10189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plate
main
hole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섭
Original Assignee
홍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섭 filed Critical 홍재섭
Priority to KR102018005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전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마네킹의 몸체파트와 부속파트를 연결시키는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중앙부에 제1메인자성체가 내입된 메인체결구홀이 형성되며 몸체파트에 체결된 몸체플레이트를 기준하여, 상기 제1메인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메인체결구를 중앙부에 구비하며 부속파트에 체결된 부속플레이트가 몸체플레이트에 회전 및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탈부착될 수 있고; 몸체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보조체결구홀에 내입된 제1보조자성체와 부속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제2보조자성체가 구비된 보조체결구가 상호 인력 작용되어, 몸체플레이트에 대한 부속플레이트의 보다 안정적인 회전 및 기울어짐을 실현시킬 수 있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Joint connector of mannequins}
본 발명은 의류의 전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마네킹의 몸체파트와 부속파트를 연결시키는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중앙부에 제1메인자성체가 내입된 메인체결구홀이 형성되며 몸체파트에 체결된 몸체플레이트를 기준하여, 상기 제1메인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메인체결구를 중앙부에 구비하며 부속파트에 체결된 부속플레이트가 몸체플레이트에 회전 및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탈부착될 수 있고; 몸체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보조체결구홀에 내입된 제1보조자성체와 부속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제2보조자성체가 구비된 보조체결구가 상호 인력 작용되어, 몸체플레이트에 대한 부속플레이트의 보다 안정적인 회전 및 기울어짐을 실현시킬 수 있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마네킹은 인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의류나 패션소품 등을 장식하여 수요자로 하여 구매 의욕을 일으키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마네킹은 몸체(본 발명의 몸체파트)의 상부 양측 어깨에 한 쌍의 팔(본 발명의 부속파트)이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하측에는 한 쌍의 다리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의류나 패션소품을 교체하기 위하여 몸체에서 팔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자주 반복하게 되고, 장식된 의류나 패션소품의 보다 미려한 전시를 위하여 팔을 회전시켜 전시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일반적인 마네킹은 몸체와 팔을 상호 연결시키는 장치가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몸체와 팔의 원활한 연결 및 회전을 위하여 다양한 연결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다음은 마네킹의 관절부를 연결시키는 장치가 제시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112호는 마네킹의 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회동장치가 설치된 제1원판이 팔에 설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원판이 몸체에 설치된 후 상기 제1원판과 제2원판을 연결시켜서 팔과 몸체가 연결되도록 한 마네킹의 팔 연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1자석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팔에 고정되는 제1원판과; 상기 제1자석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케이스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상기 제1자석과 극성이 반대인 제2자석이 설치되어 구성된 제2원판과; 상기 케이스 및 제2자석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팔과 몸체를 자착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간편한 효과를 실현시켰으나, 마네킹 몸체에서 팔을 회전시켰을 경우에, 회전된 팔의 자중에 의하여 회동장치가 회전되어, 팔의 회전상태가 임의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우려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112호(2005.10.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5692호(2013.06.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7806호(2014.10.08.)
본 발명은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는 단순히 몸체파트에 형성된 체결구홀에 부속파트에 구비된 샤프트가 끼움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체결구홀에 대한 샤프트의 끼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몸체파트와 부속파트의 연결이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에는, 몸체파트에 대한 부속파트의 탈부착은 용이하나, 몸체파트에 대한 부속파트의 회전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마네킹의 몸체파트와 부속파트를 연결시키는 관절부 연결장치에 있어서, 마네킹의 몸체파트에 체결되고, 중앙부에 제1메인자성체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메인체결구홀이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제1보조자성체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보조체결구홀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홀을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된 몸체플레이트 및; 마네킹의 부속파트에 체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메인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메인자성체가 내입된 구형태의 메인체결구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보조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보조자성체가 내입된 구형태의 보조체결구가 일단에 구비된 가이드로드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를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구비된 부속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는 몸체파트에 체결된 몸체플레이트의 중앙에 구비된 제1메인자성체와 부속파트에 체결된 부속플레이트의 중앙에 구비된 제2메인자성체가 인력으로 상호 부착될 수 있고, 몸체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구비된 제1보조자성체와 부속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구비된 제2보조자성체가 인력으로 상호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몸체파트와 부속파트가 자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부속파트가 중앙에 구비된 제2메인자성체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몸체파트에 대한 부속파트의 회전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몸체플레이트의 테두리부와 부속플레이트의 테두리부가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에 의하여 기울어짐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몸체파트에 대한 부속파트의 기울어짐이 가능하여, 몸체파트에 대한 부속파트의 다양한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가 장착되는 마네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가 장착된 마네킹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부속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른 보조체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의 몸체플레이트에 반발 자성체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보조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보조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보조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부속플레이트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의류의 전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와 부속파트(200)를 연결시키는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와 부속파트(200)를 연결시키는 관절부 연결장치에 있어서,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에 체결되고, 중앙부(11)에 제1메인자성체(13)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메인체결구홀(14)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2)에는 제1보조자성체(15)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보조체결구홀(16)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된 몸체플레이트(10) 및; 마네킹의 부속파트(200)에 체결되고, 중앙부(21)에 상기 제1메인자성체(13)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메인자성체(23)가 내입된 구형태의 메인체결구(24)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테두리부(22)에는 상기 제1보조자성체(15)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보조자성체(25)가 내입된 구형태의 보조체결구(26)가 일단에 구비된 가이드로드(27)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24)를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구비된 부속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관절부 연결장치가 장착되는 마네킹은 몸체파트(100)와 부속파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파트(100)는 사람형태의 마네킹에 몸체에 해당되는 부분이고, 상기 부속파트(200)는 몸체와 연결되는 팔과 다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는, 사람형태 마네킹의 몸체를 형성시키는 몸체파트(100)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팔에 해당하는 부속파트(200)가 관절부 연결장치로 연결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관절부 연결장치는 거시적으로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에 체결되는 몸체플레이트(10)와 마네킹의 부속파트(200)에 체결되는 부속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플레이트(10)는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에 체결되고, 중앙부(11)에 제1메인자성체(13)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메인체결구홀(14)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2)에는 제1보조자성체(15)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보조체결구홀(16)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몸체플레이트(10)는 한 쪽면이 판상형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테두리부(12)의 외측에 해당하는 외주 일부분이 몸체파트(100)의 단부 일정 부분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몸체파트(100)의 단부 일정부분은 사람형태 몸체파트(100)의 어깨에서 팔이 제외된 부분에 해당하고, 상기 몸체플레이트(10)는 팔이 제외된 어깨 말단면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어깨 말단면에는 몸체플레이트(10)의 외주가 대응되며 끼움체결 또는 내입체결될 수 있는 몸체플레이트(10)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플레이트(10) 체결홈에 끼움체결 또는 내입체결되는 몸체플레이트(10)에는 몸체파트(100)와 몸체플레이트(10) 간의 견고한 체결성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은 몸체플레이트(10)의 후방 또는 외주에 체결된 상태로 몸체플레이트(10) 체결홈이 형성된 몸체파트(100)의 일정부분에 내입 또는 끼움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몸체플레이트(10)는 메인체결구홀(14)이 형성되는 중앙부(11)와 보조체결구홀(16)이 형성되는 테두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플레이트(10)의 중앙부(11)는 몸체플레이트(10)의 중앙부분에 해당하고, 보다 상세하면, 몸체플레이트(10)의 일측면(몸체파트(100)의 외측에 위치되고, 부속플레이트(20)가 인접되는 면) 중앙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때, 중앙부(11)에는 반구 형태의 메인체결구홀(14)이 형성되어 하기 부속플레이트(20)의 메인체결구(24) 일부분을 내입시키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은 도 4와 같이 구형태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 형태로 몸체플레이트(10)의 중앙부(11)에 파여지는 구성으로서, 구형태를 가지는 메인체결구(24)의 말단 절반이 내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은 몸체플레이트(10) 중앙부(11)에 더 돌출 형성된 단턱부(11a)에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11a)는 몸체플레이트(10)의 테두리부(12)보다 더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단턱부(11a)에 형성된 메인체결구홀(14)에 내입된 메인체결구(24)는 단턱부(11a)가 미형성된 경우보다 몸체플레이트(10)에서 더 일측방향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체결구(24)가 구비된 하기 부속플레이트(20)와 몸체플레이트(10) 간의 이격간격이 더 커져, 메인체결구(24)에 대한 부속플레이트(20)의 기울어짐 가능각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의 내부에는 자성을 가지는 제1메인자성체(13)가 내입되는 구성을 하여, 메인체결구홀(14)에 내입되는 메인체결구(24)가 메인체결구홀(14)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와 같이 메인체결구홀(14)의 내부에 제1메인자성체(13)가 내입됨은, 메인체결구홀(14)의 내주면에 제1메인자성체(13)가 결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메인체결구홀(14)이 형성된 몸체플레이트(10)의 중앙부(11) 내부에 제1메인자성체(13)가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제1메인자성체(13)가 몸체플레이트(10)의 중앙부(11) 내부에 내입된 상태이고, 상기 상태에서 제1메인자성체(13)에 의한 자력은 메인체결구홀(14)에 내입되는 메인체결구(24)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더불어 몸체플레이트(10)의 테두리부(12)는 상기 중앙부(11)의 외주부분에 해당하고, 보다 상세하면, 몸체플레이트(10)의 일측면(몸체파트(100)의 외측에 위치되고, 부속플레이트(20)가 인접되는 면)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때, 테두리부(12)에는 복수 개의 보조 체결구홀이 상기 중앙부(11)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하기 부속플레이트(20)의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26) 일부분을 내입시키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체결구홀(16)은 도 4와 같이 구형태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 형태로 몸체플레이트(10)의 테두리부(12)에 파여지는 구성으로서, 구형태를 가지는 보조체결구(26)의 말단 절단이 내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보조체결구홀(16)은 상기 메인체결구홀(1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아울러 상기 보조체결구홀(16)은 내부에 자성을 가지는 제1보조자성체(15)가 내입되는 구성을 하여,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되는 보조체결구(26)가 보조체결구홀(1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와 같이 보조체결구홀(16)의 내부에 제1보조자성체(15)가 내입됨은, 보조체결구홀(16)의 내주면에 제1보조자성체(15)가 결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보조체결구홀(16)이 형성된 몸체플레이트(10)의 테두리(1) 내부에 제1보조자성체(15)가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제1보조자성체(15)가 몸체플레이트(10)의 테두리부(12) 내부에 내입된 상태이고, 상기 상태에서 제1보조자성체(15)에 의한 자력은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되는 보조체결구(26)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메인자성체(13)의 자력은 상기 제1보조자성체(15)의 자력보다 더 강한 자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메인체결구홀(14)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된 부속플레이트(20)의 메인체결구(24)(보다 상세하면, 제2메인자성체(23))와 제1메인자성체(13) 간의 강한 인력에 의하여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한 부속플레이트(20)의 체결력을 확보시키고,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된 부속플레이트(20)의 보조체결구(26)(보다 상세하면, 제2보조자성체(25)) 간의 다소 약한 인력에 의하여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한 부속플레이트(20)의 보조적인 체결력 및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한 부속플레이트(20)의 기울러짐 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속플레이트(20)는 마네킹의 부속파트(200)에 체결되고, 중앙부(21)에 상기 제1메인자성체(13)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메인자성체(23)가 내입된 구형태의 메인체결구(24)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테두리부(22)에는 상기 제1보조자성체(15)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보조자성체(25)가 내입된 구형태의 보조체결구(26)가 일단에 구비된 가이드로드(27)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24)를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부속플레이트(20)는 한 쪽면이 판상형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테두리부(22)의 외측에 해당하는 외주 일부분이 상기 부속파트(200)의 단부 일정 부분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부속파트(200)의 단부 일정부분은 사람형태의 마네킹에서 팔에 해당하고, 상기 부속플레이트(20)는 팔의 어깨쪽 말단면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팔의 어깨쪽 말단면에는 부속플레이트(20)의 외주가 대응되며 끼움체결 또는 내입체결될 수 있는 부속플레이트(20)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속플레이트(20) 체결홈에 끼움체결 또는 내입체결되는 부속플레이트(20)에는 부속파트(200)와 부속플레이트(20) 간의 견고한 체결성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은 부속플레이트(20)의 후방 또는 외주에 체결된 상태로 부속플레이트(20) 체결홈이 형성된 부속파트(200)의 일정부분에 내입 또는 끼움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부속플레이트(20)는 메인체결구(24)가 구비되는 중앙부(21)와 보조체결구(26)가 일단에 구비된 가이로드가 구비되는 테두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부속플레이트(20)의 중앙부(11)는 부속플레이트(20)의 중앙부분에 해당하고, 보다 상세하면, 부속플레이트(20)의 타측면(상기 몸체플레이트(10)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면) 중앙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때, 중앙부(21)에는 구형태의 메인체결구(24)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메인체결구(24)는 상기 몸체플레이트(10)의 메인체결구홀(14)에 타측 절반 정도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체결구(24)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고, 도 5와 같이 부속플레이트(20)의 중앙부(11)에 돌출되어 몸체플레이트(10)의 메인체결구홀(14)에 일부분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메인체결구(24)의 외경은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메인체결구홀(14) 내에서 메인체결구(24)가 흔들림 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체결구(24)와 부속플레이트(20) 중앙부(21)의 사이에는 메인체결구(24)와 부속플레이트(20) 중앙부(21)를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시키는 일정 길이의 연결대(21a)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부속플레이트(20)가 메인체결구홀(14)에 내입된 메인체결구(24)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한 부속플레이트(20)의 기울어짐 가능각이 더욱 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파트(100)에 대한 부속파트(200)의 기울어짐 가능각을 더욱 커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몸체파트(100)에 대한 부속파트(200)의 기울어짐 가능각이 커질 수 있음은, 마네킹의 몸체에 대한 팔의 벌어짐 및 오므려짐 가능각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체결구(24)에 내입된 제2메인자성체(23)는 상기 몸체플레이트(10)의 메인체결구홀(14)에 내입된 제1메인자성체(13)와 인력이 작용됨으로써 메인체결구(24)가 메인체결구홀(14)에 붙어있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메인자성체(13)와 제2메인자성체(23) 간의 인력은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에 체결된 몸체플레이트(10)에서 부속플레이트(20)가 회전 및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제1메인자성체(13)와 제2메인자성체(23) 간의 인력은 관리자에 의한 힘으로는 제1메인자성체(13)와 제2메인자성체(23)를 떼어낼 수 있되, 부속파트(200)는 자중에 의하여 몸체파트(100)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세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부속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22)는 상기 중앙부(21)의 외주부분에 해당하고, 보다 상세하면, 부속플레이트(20)의 일측면(부속파트(200)의 외측에 위치되고, 몸체플레이트(10)가 인접되는 면)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때, 테두리부(12)에는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26)가 일단에 구비된 가이드로드(27) 복수 개가 상기 중앙부(21)의 메인체결구(24)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 각각에 구비된 보조체결구(26)는 몸체플레이트(10)의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에 각각 내입될 수 있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로드(27)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의 구성으로서, 말단에는 구형태의 보조체결구(26)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체결구(26)는 상기 보조체결구홀(16)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체결구(26)에 내입된 제2보조자성체(25)는 상기 제1보조자성체(15)와 인력이 작용되어,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된 보조체결구(26)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부속플레이트(20)는 몸체플레이트(10)에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부속플레이트(20)에 구비된 메인체결구(24)의 제2메인자성체(23)와 몸체플레이트(10)에 형성된 메인체결구홀(14)의 제1메인자성체(13)는 몸체플레이트(10)에 부속플레이트(2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력을 제공하고, 마네킹의 옷을 갈아입힐 때와 같이 몸체파트(100)에서 부속파트(200)를 분리시켜야 할 경우에는 관리자의 힘으로 제2메인자성체(23)와 제1메인자성체(13)의 인력을 해제시켜 몸체파트(100)에서 부속파트(200)를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부속플레이트(20)는 몸체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부속플레이트(20)의 메인체결구(24)는 몸체플레이트(10)의 메인체결구홀(14)에 일부분이 내입된 상태로 회전되어 부속플레이트(20)가 몸체플레이트(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더불어 부속플레이트(20)가 몸체플레이트(10)에서 회전될 때 상기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26) 각각은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 각각을 이동하며 일부분이 내입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부속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22)가 몸체플레이트(10)의 테두리부(12)에 지지되며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된 부속플레이트(20)가 몸체플레이트(10)에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며 멈춰있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조자성체(15)와 제2보조자성체(25) 간의 인력은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된 보조체결구(26)의 내입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부속파트(200)인 팔이 들어올려진 것 같이 몸체파트(100)인 몸체에서 회전되었을 때 부속파트(200)의 자중에 의하여 부속플레이트(20)가 몸체플레이트(10)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메인자성체(13)와 제2메인자성체(23) 간의 인력은 상기 제1보조자성체(15)와 제2보조자성체(25) 간의 인력보다 더 큰 인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한 부속플레이트(20)의 체결력이 몸체플레이트(10)에서 회전된 부속플레이트(20)의 지지력보다 더 우세하게 작용됨으로써 부속플레이트(20)가 몸체플레이트(10)에는 강하게 체결되되 회전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속플레이트(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의 사이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과 인접된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을 서로 연결시키는 가이드홀(17)이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태로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7)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과 연통되는 일측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과 연통되는 타측보다 중간부분이 더 얕은 깊이를 가지는 라운드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홀(17)은 부속플레이트(20)에 형성되되,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의 사이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된 보조체결구홀(16)을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7)은 서로 인접된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과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을 서로 연결시키되,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으로 동심원의 일부인 호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되어 있던 보조체결구(26)가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서 회전하며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로 이동되어 내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홀(17)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 체결구홀와 연통되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보조체결구홀(16)의 길이방향 중간부분보다 더 얕은 깊이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보조 체결구홀에 내입되어 있던 보조체결구(26)가 가이드홀(17)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된 후 가이드홀(17)의 중간부분으로 이동되고, 중간부분으로 이동된 보조체결구(26)는 가이드홀(17)의 타측으로 들어가며 내입되어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로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7)은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이 일측과 타측보다 더 얕은 깊이를 가지는 라운드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된 보조체결구(26)가 부속파트(200)의 자중으로 인하여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으로 단순 회전되어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되, 보조체결구(26)의 자연스러운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부속플레이트(20)에 복수 개의 가이드홀(17)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부속플레이트(20)에는 중앙부(21)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홀(28)이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로드홀(28)에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가 각각 관통 가능하도록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홀(28)은 부속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22)에 환형을 이루며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가 부속플레이트(2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가이로드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크기의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가이드로드(27)의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부속플레이트(20)를 관통하며 부속플레이트(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홀(28) 각각에는 가이드로드(27)가 내입되는 구성을 하고, 가이드로드(27)의 타측 말단(보조체결구(26)가 구비된 일단의 반대쪽)에는 가이드로드홀(28)에서 가이드로드(27)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헤드(27a)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홀(28)은 상기 몸체플레이트(10)에 형성된 보조체결구홀(16)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몸체플레이트(10)와 부속플레이트(20)가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로드홀(28)에 관통 내입된 가이드로드(27)가 몸체플레이트(10)와 부속플레이트(20)에 수직하게 길이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로드홀(28)은 도 6과 같이 부속플레이트(20)의 일면 및 타면 일부분이 부속플레이트(20)의 두께방향 중간부분보다 더 큰 내경 및 경사를 가지는 확장부(28a)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몸체플레이트(10)에서 부속플레이트(20)가 기울어진 상태를 이룰 경우에 가이드로드(27)가 가이드로드홀(28)에서 일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부속플레이트(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을 서로 연결시키는 가이드홀(17)에는 상기 가이드로드(27)의 일단에 구비된 제2보조자성체(25)와 척력이 작용되는 반발 자성체(18)가 더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반발 자성체(18)는 상기 제2보조자성체(25)와 척력이 작용되는 자성을 가지도록 가이드홀(17)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 중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서 인접된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로 이동되는 보조체결구(26)가 가이드홀(17)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위치되었을 때 보조체결구(26)에 내입된 제2보조자성체(25)에 척력을 작용시켜 보조체결구(26)를 몸체플레이트(10) 쪽으로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가이드홀(17) 내주면과 보조체결구(26) 간의 마찰력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한 부속플레이트(20)의 회전시에 보조체결구(26)가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서 가이드홀(17)의 일정지점(가이드홀(17)의 중간부분)을 통과하면 보다 자연스럽게 다른 하나의 보조체력구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관리자가 부속파트(200)인 팔을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부속파트(200)에 체결된 부속플레이트(20)는 중앙부(21)에 구비된 메인체결구(24)(몸체플레이트(10)의 메인체결구홀(14)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된 상태임.)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부속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22)에 환형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구비된 가이드로드(27)의 일단에 장착된 보조체결구(26)는 몸체플레이트(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 중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서 가이드홀(17)을 이동경로로 하여 인접된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반발 자성체(18)는 가이드홀(17)의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몸체플레이트(10)의 일정부분에 내입되어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서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로 이동되는 보조체결구(26)가 가이드홀(17)의 중간부분까지 이동되면, 보조체결구(26)에 내입된 제2보조자성체(25)에 척력을 작용시켜 보조체결구(26)가 보다 용이하게 다른 보조체결구홀(16)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7)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이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보다 더 얕은 깊이를 가지도록 라운드된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홀(17)의 일측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서 보조체결구(26)가 가이드홀(17)의 중간부분으로 이동될 때에는 제1보조자성체(15)와 제2보조자성체(25)에 의한 인력이 작용되는 상태이므로 부속플레이트(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관리자의 힘이 필요하지만(이때,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 내입된 보조체결구(26)는 부속파트(200)의 자중에 의해서도 회전되지 않는 상태임.), 관리자의 힘에 의하여 보조체결구(26)가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에서 인출되어 가이드홀(17)의 중간부분까지 이동되면, 가이드홀(17) 중간부분에 내입된 반발 자성체(18)는 보조체결구(26)의 제2보조자성체(25)에 척력을 작용시켜 가이드홀(17) 중간부분에 위치된 보조체결구(26)가 보다 작은 관리자의 힘에 의한 회전력으로 가이드홀(17) 중간부분에서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보조체결구(26)와 반대쪽에 배치되는 보조플레이트(30)에 의하여 각각이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30)는 중앙부(31)에 구비된 지지대(34)에 의하여 상기 부속플레이트(2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테두리부(32)에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가 각각 관통 가능하도록 내입시키는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 지지홀(33)이 상기 중앙부(31)를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플레이트(30)는 부속플레이트(20)에 형성된 가이드로드홀(28)을 관통하며 부속플레이트(20)에 일정부분(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이 지지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를 길이방향 타측을 지지시키는 구성으로서, 가이드로드(27)의 길이방향 타측(보조체결구(26)의 반대쪽) 일부분을 지지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는 도 6과 같이 부속플레이트(20)의 가이드로드홀(28)을 관통하되, 가이드로드(27)의 길이방향 일정 지점(길이방향의 중간부분)만이 부속플레이트(20)에 지지된 상태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상기 보조플레이트(30)는 부속플레이트(20)의 타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로드(27)의 길이방향 타측 일정부분을 지지시키는 구성을 하여, 가이드로드(27)가 길이방향으로 두 지점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하여 부속플레이트(20)가 회전될 때 각각의 가이드로드(27)가 회전 반대방향으로의 기울어짐 없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실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플레이트(30)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보조플레이트(30)의 중앙부(31)는 지지대(34)에 의하여 상기 부속플레이트(20)의 중앙부(21)에 이격된 상태로 체결되어 가이드로드(27)의 길이방향 타측 일정지점을 지지시키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플레이트(30)의 중앙부(31)의 외측에 해당하는 테두리부(32)에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를 각각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 지지홀(33)이 상기 중앙부(31)를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가이드로드(27)의 길이방향 타측 일부분이 보조플레이트(30)의 일측에서 타측 및 타측에서 일측으로 자유롭게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 지지홀(33) 각각은 상기 부속플레이트(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홀(28)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이드로드(27)가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서로 이격된 부속플레이트(20)와 보조플레이트(30)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부속플레이트(20)와 보조플레이트(3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로드 지지홀(33)은 상기 가이드로드(27)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하여 부속플레이트(20)가 기울어진 상태를 가질 경우에 부속플레이트(20)에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로드가 보조플레이트(30)에서도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보조플레이트(30)를 부속플레이트(20)에 체결시키는 지지대(34)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보조플레이트(30)를 부속플레이트(20)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키며 위치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34)의 타측 일정부분에는 상기 보조플레이트(30)가 일측에서 타측 및 타측에서 일측으로 자유롭게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플레이트 이동구간(35)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몸체플레이트(10)에 대하여 부속플레이트(20)가 회전 및 기울어짐될 때 변화하는 가이드로드(27)의 기울어짐에 의한 보조플레이트(30)와 가이드로드(27) 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플레이트 이동구간(35)은 지지대(34)의 타측 말단에 더 구비되는 제1걸림턱(36a)과 지지대(34)의 타측 말단에서 일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더 구비되는 제2걸림턱(36b)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플레이트 11 : 중앙부
11a : 단턱부 12 : 테두리부
13 : 제1메인자성체 14 : 메인체결구홀
15 : 제1보조자성체 16 : 보조체결구홀
17 : 가이드홀 18 : 반발 자성체
20 : 부속플레이트 21 : 중앙부
21a : 연결대 22 : 테두리부
23 : 제2메인자성체 24 : 메인체결구
25 : 제2보조자성체 26 : 보조체결구
27 : 가이드로드 27a : 걸림헤드
28 : 가이드로드홀 28a : 확장부
30 : 보조플레이트 31 : 중앙부
32 : 테두리부 33 : 가이드로드 지지홀
34 : 지지대 35 : 보조플레이트 이동구간
36a : 제1걸림턱 36b : 제2걸림턱
100 : 몸체파트 200 : 부속파트

Claims (5)

  1.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와 부속파트(200)를 연결시키는 관절부 연결장치에 있어서,
    마네킹의 몸체파트(100)에 체결되고, 중앙부(11)에 제1메인자성체(13)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메인체결구홀(14)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2)에는 제1보조자성체(15)가 내입된 반구 형태의 보조체결구홀(16)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된 몸체플레이트(10) 및;
    마네킹의 부속파트(200)에 체결되고, 중앙부(21)에 상기 제1메인자성체(13)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메인자성체(23)가 내입된 구형태의 메인체결구(24)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테두리부(22)에는 상기 제1보조자성체(15)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보조자성체(25)가 내입된 구형태의 보조체결구(26)가 일단에 구비된 가이드로드(27) 복수 개가 상기 메인체결구(24)를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구비된 부속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조체결구홀(16)의 사이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과 인접된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을 서로 연결시키는 가이드홀(17)이 상기 메인체결구홀(14)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태로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7)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과 연통되는 일측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보조체결구홀(16)과 연통되는 타측보다 중간부분이 더 얕은 깊이를 가지는 라운드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플레이트(20)에는,
    중앙부(21)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홀(28)이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로드홀(28)에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가 각각 관통 가능하도록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7)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제2보조자성체(25)와 척력이 작용되는 반발 자성체(18)가 더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보조체결구(26)와 반대쪽에 배치되는 보조플레이트(30)에 의하여 각각이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30)는,
    중앙부(31)에 구비된 지지대(34)에 의하여 상기 부속플레이트(2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테두리부(32)에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27)가 각각 관통 가능하도록 내입시키는 복수 개의 가이드로드 지지홀(33)이 상기 중앙부(31)를 중심하여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KR1020180056808A 2018-05-17 2018-05-17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KR10189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08A KR101894517B1 (ko) 2018-05-17 2018-05-17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08A KR101894517B1 (ko) 2018-05-17 2018-05-17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517B1 true KR101894517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808A KR101894517B1 (ko) 2018-05-17 2018-05-17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662A (ko) * 2000-08-22 2002-02-28 권성진 마네킹 바디의 관절용 링크
KR200398112Y1 (ko) 2005-07-19 2005-10-12 최용희 마네킹의 팔 연결장치
KR20130065692A (ko) 2010-07-30 2013-06-19 이노베이티브 무빙 디스플레이즈 에스.데 알.엘. 데 체.베.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
KR20140117806A (ko) 2013-03-27 2014-10-08 유제우 자석식 구체관절 인형이나 마네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662A (ko) * 2000-08-22 2002-02-28 권성진 마네킹 바디의 관절용 링크
KR200398112Y1 (ko) 2005-07-19 2005-10-12 최용희 마네킹의 팔 연결장치
KR20130065692A (ko) 2010-07-30 2013-06-19 이노베이티브 무빙 디스플레이즈 에스.데 알.엘. 데 체.베. 다양한 조립기구를 구비한 관절연결 마네킹
KR20140117806A (ko) 2013-03-27 2014-10-08 유제우 자석식 구체관절 인형이나 마네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584B2 (en) Wall mounting monitor bracket
US3977645A (en) Universally movable mirror with a universal mounting clamp
JP2018504797A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TW200410176A (en) Display apparatus
US20080083862A1 (en) Hanger assembly
TW200722819A (en) Display with multiple adjustable positions and angles
JPH0727937Y2 (ja) マッサージ器
US7637466B2 (en) Urological instrument mounting device
KR101894517B1 (ko) 마네킹의 관절부 연결장치
JP2015506551A (ja) 照明装置
US20120141965A1 (en) Surgical training device
JP2014083465A (ja) 玩具体における連結機構、玩具体および人形体
US2291877A (en) Display apparatus
TWI569935B (zh) Cantilever structure
KR20170073221A (ko) 테이블용 회동 연결 고정구 및 상기 테이블용 회동 연결 고정구를 포함하는 테이블 회동 구조
JP3070840U (ja) 卓上据置型手持ち電気制御装置
CN112806794B (zh) 一种展示装置及服饰展示装置
KR100486890B1 (ko) 형상 변형 장신구
US20020190167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del aerospace craft
CN213777093U (zh) 一种人工智能在线教育终端
CN219845937U (zh) 一种项链展示镜
CN216993125U (zh) 一种椅脚插接连接装置
CN220325722U (zh) 一种多向旋转摄像头
JP5477986B1 (ja) 玩具体における連結機構、玩具体および人形体
JP6384743B1 (ja) スチール製黒板及びボード用のコンパ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