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915B1 - 손가락 재활기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재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915B1
KR101871915B1 KR1020160161562A KR20160161562A KR101871915B1 KR 101871915 B1 KR101871915 B1 KR 101871915B1 KR 1020160161562 A KR1020160161562 A KR 1020160161562A KR 20160161562 A KR20160161562 A KR 20160161562A KR 101871915 B1 KR101871915 B1 KR 10187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inger
permanent magnet
coupling en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524A (ko
Inventor
장종욱
우수헌
전성철
임희철
Original Assignee
(주)메디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쎄이 filed Critical (주)메디쎄이
Priority to KR102016016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9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삽입공(11)이 형성되는 제1몸체(12), 제1몸체(12)의 상측 부위에 마련되는 제1결합단(14), 제1결합단(14)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영구자석(15), 제1몸체(12)의 하측 부위에 마련되는 제2결합단(16), 제2결합단(16)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2영구자석(17), 제1삽입공(1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1밀착환(18)으로 이루어지는 제1손가락삽입구(10); 제1삽입공(21)이 형성되되 제1몸체(1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몸체(22), 제2몸체(22)의 상측 부위에 마련되는 제3결합단(24), 제3결합단(24)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3영구자석(25), 제2몸체(22)의 하측 부위에 마련되는 제4결합단(26), 제4결합단(26)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4영구자석(27), 제2삽입공(2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2밀착환(28)으로 이루어지는 제2손가락삽입구(20); 일단부위가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링크(32), 일단부위가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어 제1링크(3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되는 제2링크(36)로 이루어지는 제1관절링크(30); 일단부위가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3링크(42), 일단부위가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어 제3링크(4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되는 제4링크(46)로 이루어지는 제2관절링크(40);를 포함하는 손가락 재활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가락 재활기구{Device for rehabilitating finger}
본 발명은 손가락 재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조로서 손가락 관절의 재활운동을 도와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재활운동이 필요한 손가락 마다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재활기구에 관한 것이다.
중풍환자와 같이 손가락 관절에 이상이 있는 사람이나, 손가락 골절상을 입은 사람들과 같이 손가락 관절을 자기가 의도하는 대로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사람들은 손가락 관절을 반복해서 굽히고 펴는 재활운동을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지속해야 한다.
관절 손상의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은 꾸준히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재활운동의 전문가인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으며 이를 지속하기에는 그 시간이 제한적일 뿐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환자의 부담이 매우 클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환자들은 손가락 관절의 운동을 위한 재활기구를 개인적으로 구입하여 재활운동을 병행하고 있다.
종래 손가락 관절의 손상 회복을 위한 재활기구로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것이 도 5에 개시된 장갑기구이다. 이 기구는 환자의 손등에 해당하는 장갑 몸체(110)의 상면에 복수 개의 탄성밴드(141, 142, 143, 144)를 마련하여 손가락 근력의 이완 및 수축에 대응하도록 구성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환자가 손을 장갑 몸체(110) 내부에 입수한 상태에서, 탄성밴드(141, 142, 143, 144)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각 손가락 관절을 굽히고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손가락 관절의 재활을 도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구들은 기본적으로 손 전체를 두꺼운 장갑 내부에 입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여름철과 같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땀으로 인해 재활운동 자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반복 사용으로 인해 탄성밴드의 복원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탄성밴드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손가락 관절의 재활을 위해 널리 보급되고 있는 것으로 도 6과 같은 재활기구가 있다. 이 기구는 받침대(50)로서 손바닥 및 손등 부위를 지지하고, 손가락의 관절 부위는 복수 개의 연결링크(27)로서 지지하되, 연결링크(27)의 각 마디 하측에는 받침대(50)에 구비되는 콘트롤박스(미도시)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되는 가이드롤러를 마련한 특징이 있다.
이럴 경우, 환자는 스스로 관절을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더라도, 콘트롤박스의 작동에 따라 연결링크(27)의 각 마디가 굽혀지고 펴지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손가락 관절의 재활운동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기구는 상당한 고가라서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클 뿐 아니라,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개별 가이드롤러와 콘트롤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가 조금이라도 잘못되면 작동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0818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392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8023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사용하더라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활운동이 필요한 손가락 마다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재활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부위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1)이 형성되는 제1몸체(12), ┓구조를 이루며 제1몸체(12)의 상측 부위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결합단(14), 제1결합단(14)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영구자석(15), ┛구조를 이루며 제1몸체(12)의 하측 부위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결합단(16), 제2결합단(16)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2영구자석(17), 제1삽입공(1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1밀착환(18)으로 이루어지는 제1손가락삽입구(10); 중앙부위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21)이 형성되되 제1몸체(1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몸체(22), ┏ 구조를 이루며 제2몸체(22)의 상측 부위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되 제1결합단(12)의 단부와 대향하는 제3결합단(24), 제3결합단(24)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3영구자석(25), ┗ 구조를 이루며 제2몸체(22)의 하측 부위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되 제3결합단(16)의 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4결합단(26), 제4결합단(26)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4영구자석(27), 제2삽입공(2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2밀착환(28)으로 이루어지는 제2손가락삽입구(20); 일단부위는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링크(32), 일단부위는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1링크(3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되는 제2링크(36)로 이루어지는 제1관절링크(30); 일단부위는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3링크(42), 일단부위는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3링크(4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되는 제4링크(46)로 이루어지는 제2관절링크(4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영구자석(15) 및 제3영구자석(25) 각각은 반대 극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영구자석(17) 및 제4영구자석(27) 각각은 동일 극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을 2개로 분리하되, 이들 각각에 동일 극성 및 반대 극성의 영구자석을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하여 손가락 근력 운동을 보좌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반복적인 재활운동을 지속적으로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자석의 자성 정도를 달리 적용하여 손가락의 손상 정도에 맞추어 재활 단계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재활이 필요한 손가락마다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재활기구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3 및 도 4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재활기구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 손가락 재활기구의 일 구성도.
도 6은 종래 손가락 재활기구의 다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재활기구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1, 2손가락삽입구(10, 20) 및 제1, 2관절링크(30, 40)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손가락삽입구(10)는 관절의 재활이 필요한 특정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치되는 부분으로, 제1몸체(12), 제1, 2결합단(14, 16), 제1, 2영구자석(15, 17), 제1밀착환(18)으로 이루어진다.
제1몸체(12)는 제1손가락삽입구(1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그 중앙부위에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1)이 형성된다. 제1삽입공(11)의 직경은 일률적으로 정하기보다, 사람의 평균적인 손가락 굵기 및 후술할 제1밀착환(18)의 두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일이다.
제1결합단(14)은 제1몸체(12)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12)의 상측 부위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제1결합단(12)은 도면과 같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단(16)은 제1몸체(12)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12)의 하측 부위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제2결합단(16)은 도면과 같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몸체(12) 및 제1, 2결합단(14, 16)은 합성수지 또는 경량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영구자석(15)은 제1결합단(14)의 단부에 마련되며, 제2영구자석(17)은 제2결합단(16)의 단부에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1, 2영구자석(15, 17) 각각이 제1, 2결합단(14, 16)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도면부호 미도시)에 장착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밀착환(18)은 사용자의 손가락 외면을 제1몸체(12)와 밀착시키는 수단으로, 제1삽입공(1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된다. 제1밀착환(18)은 제1삽입공(11)에 삽입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몸체(12)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발포체와 같은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나 원단, 또는 발포체가 내장된 원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손가락삽입구(20)는 전술한 제1손가락삽입구(10)과 함께 관절의 재활이 필요한 특정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치되는 부분으로, 제2몸체(22), 제3, 4결합단(24, 26), 제3, 4영구자석(25, 27), 제2밀착환(28)으로 이루어진다.
제2몸체(22)는 제2손가락삽입구(2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제1몸체(1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그 중앙부위에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21)이 형성된다. 제1삽입공(11)과 마찬가지로 제2삽입공(21) 역시 그 직경은 일률적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사람의 평균적인 손가락 굵기 및 후술할 제2밀착환(18)의 두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삽입공(21)은 제1삽입공(11)과 달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손가락의 앞부분이 삽입되어 안치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제3결합단(24)은 제2몸체(22)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몸체(12)의 상측 부위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제2결합단(22)은 도면과 같이 ┏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부는 제1결합단(12)의 단부와 대향한다. 제4결합단(26)은 제2몸체(22)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몸체(22)의 하측 부위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제4결합단(26)은 도면과 같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부는 제2결합단(16)의 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된다.
제1손가락삽입구(10)와 마찬가지로, 제1손가락삽입구(20)에 있어 제2몸체(22) 및 제3, 4결합단(24, 26)은 합성수지 또는 경량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영구자석(25)은 제3결합단(24)의 단부에 마련되며, 제4영구자석(27)은 제4결합단(26)의 단부에 마련된다. 제1, 2영구자석(15, 17) 각각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3, 4영구자석(25, 27) 각각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3, 4결합단(24, 26) 각각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는 탈부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2, 3, 4영구자석(15, 17, 25, 27) 각각을 구성함에 있어, 제1영구자석(15) 및 제3영구자석(25) 각각은 반대 극성으로 이루어지며, 제2영구자석(17) 및 제4영구자석(27) 각각은 동일 극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는 손가락 관절의 재활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으로써 이는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결합단에 마련되는 영구자석의 자성 정도(자기력)를 재활운동의 정도에 맞추어 달리 적용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즉, 손가락의 골절 부위 손상이 중증이면 상대적으로 작은 자기력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어느 정도 재활운동이 이루어진 상태이면 상대적으로 큰 자기력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손가락의 근력 정도에 맞추어 보다 체계적인 재활운동이 가능해진다.
제2밀착환(28)은 사용자의 손가락 외면을 제2몸체(22)와 밀착시키는 수단으로, 제2삽입공(2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된다. 제1밀착환(18)과 동일하게, 제2밀착환(28) 역시 발포체와 같은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나 원단, 또는 발포체가 내장된 원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밀착환(28)의 두께는 제1밀착환(18)의 두께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2관절링크(30, 40) 각각은 제1, 2손가락삽입구(10, 2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 운동을 가이드한다.
제1관절링크(30)는 제1, 2링크(32, 36)로 이루어진다. 제1링크(32)는 그 일단부위가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제2링크(36)는 그 일단부위가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1링크(3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된다.
제2관절링크(40)는 제3, 4링크(42, 46)로 이루어진다. 제3링크(42)는 그 일단부위가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제4링크(46)는 그 일단부위가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3링크(4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된다.
제1, 2몸체(12, 22) 각각의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이 제1, 2관절링크(30, 40)에 의해 결합되며, 제1, 2관절링크(30, 40) 각각의 중앙 연결부위가 조인트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 관절을 움직이면 조인트 부위를 기점으로 제1, 2몸체(12, 22)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운동하게 된다. 제1, 2관절링크(30, 40) 각각은 합성수지 또는 경량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설명부분과 첨부된 도 3 및 도 4 각각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손가락 재활운동이 필요한 특정 손가락에 제1, 2관통공(11, 21)을 통해 제1, 2몸체(12, 22)를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도 3은 제1, 2몸체(12, 22)가 손가락 중에서 집게손가락에 삽입된 경우를 보여준다.
제1, 2몸체(12, 22)가 집게손가락에 삽입되면, 집게손가락은 제1, 2몸체(12, 22)에 마련되는 제1, 2밀착환(18, 28)에 의해 제1, 2몸체(12, 22)와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제1, 3결합단(14, 24) 각각에 마련되는 제1, 3영구자석(15, 25) 각각은 반대 극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 3결합단(14, 24)은 인력 F에 의해 결합되며,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은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집게손가락의 근력을 이용하여 집게손가락을 굽힌다. 작용하는 집게손가락의 근력이 제1, 3영구자석(15, 25)의 인력 F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3결합단(14, 24)이 분리되지 않으며, 작용하는 집게손가락의 근력이 제1, 3영구자석(15, 25)의 인력 F 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1, 3결합단(14, 24)이 서서히 분리되며, 제1, 2몸체(12, 22)는 제1, 2관절링크(30, 40)의 조인트 부위를 기점으로 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도 4는 사용자의 노력에 의해 집게손가락의 관절이 마디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꺽인 상태로서, 제1, 3결합단(14, 24)은 완전히 분리되고, 제2, 4결합단(16, 26)은 결합된다. 이때, 제1, 3결합단(14, 24)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서 인력 F는 거의 작용하지 않으나, 제2, 4결합단(16, 26) 각각에 마련되는 제2, 4영구자석(17, 27) 각각은 동일 극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척력 -F가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2, 4결합단(16, 26)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서로 밀어내게 되고, 사용자가 집게손가락을 억지로 펴지 않더라도 집게손가락은 제1, 2몸체(12, 22)를 따라 서서히 펴지게 된다. 한편, 집게손가락이 서서히 펴지면, 일정거리 떨어져 분리되어 있던 제1, 3결합단(14, 24) 단부가 점차 근접하게 되고, 제1, 3결합단(14, 24)에 마련된 제1, 3영구자석(15, 17)의 인력 F가 작용하여 제1, 3결합단(14, 24) 상호 간을 당기면서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은 도 3과 같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후 사용자는 이러한 간단한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것에 의해 집게손가락에 대한 재활운동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제1손가락삽입구 20 : 제2손가락삽입구
30 : 제1관절링크 40 : 제2관절링크

Claims (2)

  1. 중앙부위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1)이 형성되는 제1몸체(12), ┓구조를 이루며 제1몸체(12)의 상측 부위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결합단(14), 제1결합단(14)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영구자석(15), ┛구조를 이루며 제1몸체(12)의 하측 부위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결합단(16), 제2결합단(16)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2영구자석(17), 제1삽입공(1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1밀착환(18)으로 이루어지는 제1손가락삽입구(10);
    중앙부위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21)이 형성되되 제1몸체(1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몸체(22), ┏ 구조를 이루며 제2몸체(22)의 상측 부위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되 제1결합단(12)의 단부와 대향하는 제3결합단(24), 제3결합단(24)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3영구자석(25), ┗ 구조를 이루며 제2몸체(22)의 하측 부위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되 제3결합단(16)의 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4결합단(26), 제4결합단(26)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4영구자석(27), 제2삽입공(21)의 내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2밀착환(28)으로 이루어지는 제2손가락삽입구(20);
    일단부위는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링크(32), 일단부위는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일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1링크(3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되는 제2링크(36)로 이루어지는 제1관절링크(30);
    일단부위는 제1몸체(1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3링크(42), 일단부위는 제2몸체(22)의 중앙부위 타측 외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3링크(42)의 타단부위와 조인트되는 제4링크(46)로 이루어지는 제2관절링크(40);를
    포함하는 손가락 재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15) 및 제3영구자석(25) 각각은 반대 극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영구자석(17) 및 제4영구자석(27) 각각은 동일 극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재활기구.
KR1020160161562A 2016-11-30 2016-11-30 손가락 재활기구 KR101871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62A KR101871915B1 (ko) 2016-11-30 2016-11-30 손가락 재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62A KR101871915B1 (ko) 2016-11-30 2016-11-30 손가락 재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24A KR20180062524A (ko) 2018-06-11
KR101871915B1 true KR101871915B1 (ko) 2018-08-03

Family

ID=6260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562A KR101871915B1 (ko) 2016-11-30 2016-11-30 손가락 재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80B1 (ko) 2022-09-02 2023-04-10 송희 손 발가락 재활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284B1 (ko) * 2019-10-24 2021-03-2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재활 훈련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499B1 (ko) 2015-01-05 2016-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가락 재활 훈련 장치
WO2017145136A1 (en) 2016-02-26 2017-08-31 Scuola Superiore Di Studi Universitari E Di Perfezionamento Sant'anna Exoskeleton device for the ha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745U (ko) * 1996-05-17 1997-12-10 김영묵 건강자석호도
KR19990000496A (ko) * 1997-06-05 1999-01-15 배순훈 화면 줌 기능을 갖는 다화면 텔레비전.
KR20030008189A (ko) 2002-12-26 2003-01-24 김찬영 자동 손가락 운동기
KR20040039241A (ko) 2004-04-14 2004-05-10 한도엠에스(주) 악력장갑
KR100558023B1 (ko) 2004-04-30 2006-03-07 김찬영 손가락 관절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499B1 (ko) 2015-01-05 2016-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가락 재활 훈련 장치
WO2017145136A1 (en) 2016-02-26 2017-08-31 Scuola Superiore Di Studi Universitari E Di Perfezionamento Sant'anna Exoskeleton device for the h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80B1 (ko) 2022-09-02 2023-04-10 송희 손 발가락 재활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24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74482A (zh) 穿戴式康复手套及方法
JP5211058B2 (ja) 強化グローブ
US7931572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JP6312908B1 (ja) 手指訓練用器具
JP6890339B2 (ja) エクササイズループ
KR101864506B1 (ko) 착용형 손 로봇
KR101871915B1 (ko) 손가락 재활기구
CN207605121U (zh) 穿戴式康复手套
ES2558024A1 (es) Dispositivo robótico modular y auto-adaptativo para la rehabilitación de la mano y procedimiento de uso
US8597212B2 (en) Wrist assisting apparatus
US20160074692A1 (en) Apparatus for Multi-purpose Exercise
JP3146959U (ja) 指筋力の伸縮バランス矯正による指機能・感覚改善装具
US6193637B1 (en) Upper body exercise device
KR101569000B1 (ko) 젓가락을 구비한 손가락 재활 훈련 로봇과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US8740764B1 (en) Exercise apparatus employing magnets for therapeutic and exercise benefit
US6007460A (en) Hand exercising device
KR102508932B1 (ko) 착용형 훌라후프
JP2011036494A (ja) 機能回復補助具
KR102183481B1 (ko) 핸드 운동기구
KR200438280Y1 (ko) 팔운동기구
KR100687804B1 (ko) 팔 비틀기 운동기구
KR102074592B1 (ko) 휴대용 운동기구
KR200417051Y1 (ko)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Abrar et al. Soft wearable glove for tele-rehabilitation therapy of clenched hand/fingers patients
KR102236244B1 (ko) 구르는 실린더와 자석을 이용한 혈액선순환 유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