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051Y1 -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051Y1
KR200417051Y1 KR2020060006319U KR20060006319U KR200417051Y1 KR 200417051 Y1 KR200417051 Y1 KR 200417051Y1 KR 2020060006319 U KR2020060006319 U KR 2020060006319U KR 20060006319 U KR20060006319 U KR 20060006319U KR 200417051 Y1 KR200417051 Y1 KR 200417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type exercise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와토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와토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와토즈
Priority to KR2020060006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0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6Bars; Tubes;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력을 구비하며,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내삽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외삽되는 조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는 탄성력이 구비되는 튜브를 사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여러 가지 운동을 간편하게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어, 운동량이 부족한 현대인들이 건강한 신체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상의 싫증을 느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튜브, 파이프, 연결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Multi-Use O-Ring Type Health Device}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의 다양한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이프 12: 커버
14: 지퍼 20: 연결부재
22: 지지부 24: 삽입부
24a: 스크류부 26: 공기주입구
26a: 공기주입구막 30: 조임링
40: 탄성부재
본 고안은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력이 구비되는 튜브를 사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여러 가지 운동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 향상되면서 비만인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날씬해지고자 하는 욕구 및 미려한 바디라인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헬스클럽이나 요가클럽 같은 종합 스포츠 시설들이 번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사용료를 지불해야하므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들 또는 별도로 시간을 할애하기가 어려운 사람들은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운동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도 한두 가지 이상의 운동기구들을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각기 한두 가지의 특정한 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는 단일기 능으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부위의 신체단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운동기구들을 장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력이 구비되는 튜브를 사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여러 가지 운동을 간편하게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어 운동량이 부족한 현대인들이 건강한 신체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상의 싫증을 느끼지 않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탄성력을 구비하며,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내삽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외삽되는 조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미끄럼 방지 및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편조 형태의 커버 또는 지퍼가 구비된 합성섬유재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부에는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상기 삽입부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의 외경에 형성되는 스크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지지부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로 취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3의 구조의 실시예와 달리 커버(12)와 연결부재덮개(13)를 더 부가한 실시예이며, 이러한 커버(12) 및 연결부재덮개(13)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므로 생략가능하며, 도 2 및 도 3에서는 커버(12) 및 연결부재덮개(13)를 생략하였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는 튜브 형상의 파이프(10), 연결부재(20),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40) 및 조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이프(10)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모양이 변형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을 구비하며, 파이프(10)의 형상은 내부가 빈 원형의 튜브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이프(10)는 이러한 탄성과 복원력을 갖기 위하여 고무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이프(10)는 중공형태의 일자형으로서 양 끝단을 후술하는 연결부재에 연결함으로써 링형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에는 상기 파이프(10)가 보다 강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탄성부재(40)가 삽입되는데, 상기 탄성부재(40)는 나선형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10)가 보다 강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게 함으로써, 운동자가 잡고 휘거나 눌러도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파이프가 꺽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는 사용자가 파이프(10)를 잡고 운동을 할 때, 미 끄럼을 방지하고, 파이프(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씨실과 날실이 서로 직교되어 여러 번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편조 형상의 커버(1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조 형상의 커버 대신에 합성수지재 섬유로 제조된 커버(12)를 씌울 수가 있다. 합성수지재 섬유로 제조된 커버(12)의 경우에는 커버가 파이프(10)에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퍼(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편조 형상의 커버 위에 합성수지재 섬유로 제조된 커버를 덧 씌우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편조 형상의 커버 위에 합성수지재 섬유로 제조된 커버를 덧 씌운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확대도는 합성수지재 섬유 커버의 내부에 있는 편조 형상의 커버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스폰지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의 섬유로 연결부재(20)를 씌워준 실시예이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
연결부재(20)는 상기 파이프(10)의 양 단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그 구성은 삽입부(24) 및 상기 삽입부(24)를 지지하는 지지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부(24)는 지지부(2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10)의 양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내삽되며, 이때 상기 삽입부(24)의 외경에는 상기 삽입부(24)가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나사 형상의 스크류부(2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부(24a)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상기 삽입부(24)가 내삽될 때,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방향성을 갖는다.
지지부(22)는 상기 삽입부(24)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2)의 상부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지지부(22)의 내부로 취입되도록 통공 형상의 공기주입구(26)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주입구(26)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부(22)의 내부로 취입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공기주입구막(26a)이 장착되는데, 상기 공기주입구막(26a)은 통상적으로 타이어나 공에 사용되는 막구조와 동일한 것으로서, 파이프(10) 내부로의 공기주입은 가능하나, 주입된 공기가 파이프(10) 내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는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는다.
공기주입구(26)를 통하여 파이프(10)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이유는 파이프(10) 내의 탄성부재,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만으로는 파이프(10)에 충분한 복원력과 탄성을 주기 어렵기 때문에 공기주입구(26)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넣어줌으로써, 압축공기에 의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가 "V"자 형태로 꺽여져 원상태로 복원이 안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준다.
이러한 연결부재의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연결부재덮개(13)를 도 1과 같이 씌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재덮개(13)는 탄성을 갖는 스펀지 재질의 섬유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상기 연결부재(20)의 삽입부(24)가 내삽될 때, 상기 연결부재(20)가 상기 파이프(10)의 양 단부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20)의 삽입부(24)가 내삽된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조임링(30)이 외삽된다.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조임링(30)이 외삽되면, 프레스기기(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상기 조임링(30)의 외경을 압축하여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재(20)의 삽입부(24)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의 다양한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은, 도 4 와 같이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이프를 잡은 상태에서, 도 5 와 같이 양쪽 손에 힘을 가하면서 팔을 안으로 오므렸다가 원위치로 펴는 동작을 반복하면, 그 힘에 의해 파이프가 안으로 굽어졌다가 펴지면서 운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과 같이 파이프에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벨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는 허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은 목과 허벅지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몸을 좌우로 굽혔다 폈다를 반복하게 되면 허리 근육의 발달에 도움이 된다. 기타 다양한 동작에 본 고안의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는 탄성력이 구비되는 튜브를 사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여러 가지 운동을 간편하게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는 탄성력이 구비되는 튜브를 사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여 러 가지 운동을 간편하게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어, 운동량이 부족한 현대인들이 건강한 신체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상의 싫증을 느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탄성력을 구비하며,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내삽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외삽되는 조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부에 공기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미끄럼 방지 및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편조 형태의 커버 또는 지퍼가 구비된 합성섬유재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부의 외경에 스크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KR2020060006319U 2006-03-09 2006-03-09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KR200417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19U KR200417051Y1 (ko) 2006-03-09 2006-03-09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19U KR200417051Y1 (ko) 2006-03-09 2006-03-09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029A Division KR20070092776A (ko) 2006-03-09 2006-03-09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051Y1 true KR200417051Y1 (ko) 2006-05-22

Family

ID=4176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319U KR200417051Y1 (ko) 2006-03-09 2006-03-09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0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64B1 (ko) * 2009-02-03 2011-07-08 황헌식 복근 및 하체 단련을 위한 복합운동기구
KR102021054B1 (ko) * 2019-07-10 2019-09-11 주식회사 호아스쿨 기능성 훌라후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64B1 (ko) * 2009-02-03 2011-07-08 황헌식 복근 및 하체 단련을 위한 복합운동기구
KR102021054B1 (ko) * 2019-07-10 2019-09-11 주식회사 호아스쿨 기능성 훌라후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397B2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US4852874A (en) Portable isokinetic exercising device
US7344487B2 (en) Exercise system
US6110075A (en) Finger and wrist exerciser
US20060211551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20100075819A1 (en) Training tool
US7935037B2 (en) Gripping power training bender
US20090197742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110287908A1 (e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US7361126B2 (en) Exercise device
US20160074692A1 (en) Apparatus for Multi-purpose Exercise
US20050245360A1 (en) Exercise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 swimming motion
KR200417051Y1 (ko)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US5947835A (en) Golf swing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US20060205575A1 (en) Waist and belly stretching exerciser
US20170043205A1 (en) Twistable gripable exercise device
KR20070092776A (ko) 다용도 링형 운동기구
KR101871915B1 (ko) 손가락 재활기구
TWM278414U (en) Pulling force exercising appliance
CN211097280U (zh) 一种提高臂力的拉力绳训练器
US11324985B2 (en) Resistance training belt
CN212347586U (zh) 一种屈伸髋训练器
CN110624213A (zh) 一种户外体育综合型热身健身训练一体机
KR101356419B1 (ko)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CN215495519U (zh) 一种便携式管乐手指练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