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932B1 - 착용형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착용형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932B1
KR102508932B1 KR1020210028163A KR20210028163A KR102508932B1 KR 102508932 B1 KR102508932 B1 KR 102508932B1 KR 1020210028163 A KR1020210028163 A KR 1020210028163A KR 20210028163 A KR20210028163 A KR 20210028163A KR 102508932 B1 KR102508932 B1 KR 10250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e
wearing
wearabl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481A (ko
Inventor
강판규
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to KR102021002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9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96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pulsed counterforce, e.g. vibrating resistanc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Abstract

착용형 훌라후프를 개시한다.
이러한 착용형 훌라후프는, 중공을 구비하고 신체 허리부위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 고정되기 위한 착용 튜브부와,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 측에 배치되는 유동구를 구비하고 이 유동구의 유동 접촉에 의한 작동감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동 작동부, 그리고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 측과 대응하는 연결 통로를 각각 구비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를 구비하고 이 연결구들에 의해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을 착용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용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형 훌라후프{WEARABLE HULA HOOP}
본 발명은 착용형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소나 시간 등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신체 허리 운동 및 유산소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간편 운동기구로는 훌라후프가 있다.
근래에는 컴퓨터의 활용 영역이 크게 확대되면서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의자에 앉은 상태로 장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과 빈도가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운동량이 극히 부족할 뿐만 아니라, 특히 허리디스크와 같은 신체 척추부위 질환 환자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운동 부족 및 허리 척추부위 질환 예방을 위하여 별도의 운동 시설을 방문하지 않고도 일반 가정이나 실내에서 간편하게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훌라후프가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훌라후프는 링(RING) 모양의 둘레부를 갖는 플라스틱 압출물(또는 사출물) 형태의 단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허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고, 사용 보급을 더욱 확대하기에는 구조 및 기능적으로 한계가 있다.
(특허 00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42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허리부위 측에 직접 착용 고정한 상태로 간편하게 허리 운동 및 유산소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착용형 훌라후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중공을 구비하고, 신체 허리부위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 고정되기 위한 착용 튜브부;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 측에 배치되는 유동구를 구비하고, 이 유동구의 유동 접촉에 의한 작동감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동 작동부; 및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 측과 대응하는 연결 통로를 각각 구비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를 구비하고, 이 연결구들에 의해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을 착용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용 연결부;
를 포함하는 착용형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허리부위 측에 착용 고정된 상태로 허리 운동의 유도가 가능하게 형성되며, 특히 이와 같은 착용 고정 구조는 사용 환경(공간, 면적)에 큰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바닥에 선 상태나 의자에 앉은 상태는 물론이거니와, 착용 이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훌라후프와 비교할 때 한층 더 향상된 사용 편의성과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는, 착용 튜브부(10), 유동 작동부(20), 및 착용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착용 튜브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내측에 중공(12)을 구비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튜브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착용 튜브부(10)는 튜브 형태를 갖되, 도 1에서와 같이 튜브의 내주면 및 외주면 측에 주름부(14)가 형성되고, 튜브 연장 형태의 전환 조작이 용이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플렉서블 주름관(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 튜브부(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외주면은 평관 형태이면서 내주면 측에만 주름부가 형성된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내주면 측의 주름부는 후술하는 유동 작동부(20) 측과 연계하여 작동감을 유발하기 위한 요철 역할을 한다.
착용 튜브부(10)는 요구되는 여건에 따라 튜브 둘레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투명하게 형성할 경우 튜브 외측에서 유동 작동부(20)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유동 작동부(20)는 착용 튜브부(10) 내측에서 유동 접촉에 의한 접촉음 및 진동과 같은 작동감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유동 작동부(20)는 도 1에서와 같이 유동구(22)를 구비하고, 이 유동구(22)는 착용 튜브부(10)의 튜브 내측에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유동구(22)는 착용 튜브부(10)의 중공(12) 측에서 튜브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특히 이동 중에 튜브 내주면 측의 주름부(14) 요철 측에 접촉 간섭되면서 접촉음 및 진동 발생이 가능하게 형성 및 세팅된다.
유동구(22)는 이동 접촉에 의한 접촉음 및 진동 발생과 부합하는 재질 및 형태를 갖는 부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고, 이와 부합하는 부재로 금속볼(BALL)을 사용할 수 있다.
유동구(22)는 금속볼 이외에도 예를 들어, 목재,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볼 부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동구(22)는 착용 튜브부(10)의 중공(12) 측에서 자유 이동될 때, 이동 상태(예: 속도)에 따라 접촉음의 크기나 진동의 세기 등이 변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 작동부(20)는 유동구(22)의 이동 접촉에 의한 접촉음 및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청각 및 촉각적으로 작동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 작동부(2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작동 흥미를 유발하여 허리 움직임이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착용 연결부(30)는 착용 튜브부(10)의 착용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튜브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착용 연결부(30)는 착용 튜브부(10)의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을 끼움 결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착용 연결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는 착용 튜브부(10)의 중공(12) 측과 서로 연통되기 위한 연결 통로(H1, H2)를 구비하고, 착용 튜브부(10)의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의 연결 통로(H1, H2)는 착용 튜브부(10)의 중공(12) 측과 서로 연통되되, 튜브 단부 측이 끼워진 연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통로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결 통로(H1, H2)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착용 튜브부(10)의 튜브 외주면(주름) 형태와 대응하는 내주면 형태(주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끼움 결합 방식으로 연결 고정되기 위한 체결홈(L1)과 체결돌기(L2)가 서로 대응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홈(L1)의 내주면과 체결돌기(L2)의 외주면 측에는 끼움 결합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하기 위한 걸림돌기(L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의 재질은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 연결부(3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간의 끼움 결합 방식으로 착용 튜브부(10)의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 연결부(30)의 제1 연결구(32)와 제2 연결구(34)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조작 방식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착용 튜브부(10) 측이 허리 운동 유도와 부합하도록 사용자의 신체 허리부위(W) 측을 감싸는 착용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는, 유동 작동부(20) 측과 대응하는 이탈 방지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탈 방지부(40)는 착용 연결부(30)의 연결 해제시 유동 작동부(20)의 유동구(22)가 착용 튜브부(10)의 튜브 외측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4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연결구(32) 측에 배치되는 제1 걸림구(42)와, 제2 연결구(34) 측에 배치되는 제2 걸림구(44), 그리고 제1 걸림구(42)와 제2 걸림구(44) 측을 걸림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4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는 도 5에서와 같이 막대 형태를 가지며,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측에서 유동구(22)의 이탈 방지를 위한 걸림 작용과 부합하도록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각각 세팅된다.
즉, 제1 걸림구(42)는 제1 연결구(32) 측에 일단이 연결핀(P1)으로 연결되고, 제2 걸림구(44)는 제2 연결구(34) 측에 일단이 연결핀(P2)으로 연결되어 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각각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세팅될 수 있다.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측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홈(U1, U2)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U1, U2)을 통해서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의 걸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세팅된다.
그리고,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의 걸림 동작과 부합하도록 착용 튜브부(10)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은 가이드홈(U1, U2)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둘레부 일부가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는 가이드홈(U1, U2) 측에 끼워진 상태로 길이 방향 일단이 연결핀(P1, P2)으로 고정되고, 타단(자유단)은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여 자유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측에 세팅된다.
이때,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의 타단(자유단) 측은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의 연결 통로(H1, H2)의 통로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 및 세팅된다.
조작구(46)는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 방식으로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 측을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조작구(46)는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만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 측을 동시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 및 세팅된다.
즉, 조작구(46)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가이드면(G1) 및 제2 가이드면(G2)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면(G1, G2)들은 조작구(46)의 전,후진 조작시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의 하부 일측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상태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측에 세팅된다.
이를 위하여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측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조작구(46) 측과 대응하는 조작홈(T)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홈(T)은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 측과 접촉 간섭이 가능한 상태로 조작구(46)의 전,후진 조작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상태로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의 둘레부 측에 형성된다.
조작구(46)는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 측에서 전,후진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전진 이동 조작된 상태(걸림 해제 상태)로 고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제2 연결구(34) 및 조작구(46) 측에 서로 대응하는 돌기 및 홈 형태의 고정부(S)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S)는 조작구(46)가 전진 이동되어 걸림 해제 동작된 상태일 때 돌기 및 홈이 서로 끼워지면서 조작구(46)의 전진 이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 및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부(40)는 조작구(46)의 전진 또는 후진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의 동작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조작홈(T)을 따라 조작구(46)를 전진 이동 조작하면, 제1 가이드면(G1) 및 제2 가이드면(G2)의 접촉에 의해 연결핀(P1, P2)의 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의 하단(자유단) 측이 위로 들어 올려지는 상태로 회동된다.
그러면, 걸림구(42, 44)들의 하단(자유단) 측이 연결구(32, 34)들의 연결 통로(H1, H2) 내주면 외측으로 각각 벗어나서 걸림 해제 동작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유동구(22)는 연결구(32, 34)들의 연결 통로(H1, H2)를 통과하는 상태로 튜브부(10)의 중공(12) 연장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진 조작된 조작구(46)를 도 6에서와 같이 후진 이동 조작하면, 제1 걸림구(42) 및 제2 걸림구(44)는 제1 가이드면(G1) 및 제2 가이드면(G2)과의 접촉력이 해제된다.
접촉력이 해제된 걸림구(42, 44)들은 도 6에서와 같이 연결핀(P1, P2)의 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하단(자유단) 측이 자중에 의해 다시 아래쪽으로 회동되면서 연결 통로(H1, H2)의 내주면 안쪽으로 자유단 측이 약간 돌출된 걸림 상태로 전환 동작된다.
그러면, 유동구(22)는 걸림구(42, 44)들의 하단(자유단) 측에 접촉 간섭되면서 제1 연결구(32) 및 제2 연결구(34)의 연결 통로(H1. H2)를 통한 자유 이동이 제한된다.
즉, 걸림구(42, 44)들이 걸림 동작된 상태일 때, 유동구(22)는 튜브부(10)의 중공(12) 연장 방향 내에서는 자유 이동이 가능하지만, 제1 연결구(32)와 제2 연결구(34)의 구간 측에서는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이탈 방지부(40)는 조작구(46)의 선택적인 전,후진 조작에 의해, 유동구(22)의 자유 이동과 부합하는 걸림 해제 상태, 또는 이동 제한과 부합하는 걸림 상태가 되도록 걸림구(42, 44)들의 작동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조작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탈 방지부(40)는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튜브부(10)의 양쪽 단부 측이 서로 분리된 상태일 때, 제1 연결구(32) 또는 제2 연결구(34) 측을 통해서 유동구(22)가 튜브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간단한 걸림 조작으로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이탈 방지 작용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허리부위(W) 측을 감싸는 상태로 튜브부(10)를 착용 또는 분리하거나, 분리 상태로 튜브부(10)를 보관 또는 이동할 때 유동구(22)의 이탈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허리부위(W) 측을 감싸는 상태로 튜브부(10)의 착용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착용 상태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허리 중심을 옮기는 동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허리 운동 및 유산소 운동이 가능한 착용형 훌라후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리부위(W) 측에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 움직임과 연계하여 유동 작동부(20)에 의해 접촉음 및 진동과 같은 작동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으므로, 운동 중에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여 운동 효과가 배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신체 허리부위(W) 측에 직접 착용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에 의하면, 운동 공간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바닥에 선 상태나 의자 등에 앉은 상태는 물론이거니와, 이동 보행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 훌라후프와 비교할 때 한층 더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10: 착용 튜브부 20: 유동 작동부
30: 착용 연결부 40: 이탈 방지부
W: 신체 허리부위

Claims (5)

  1. 중공을 구비하고, 신체 허리부위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 고정되기 위한 착용 튜브부;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 측에 배치되는 유동구를 구비하고, 이 유동구의 유동 접촉에 의한 작동감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동 작동부;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 측과 대응하는 연결 통로를 각각 구비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를 구비하고, 이 연결구들에 의해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을 착용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용 연결부; 및
    상기 착용 연결부의 제1 연결구 측에 걸림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걸림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측에 걸림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걸림구, 및 상기 제1 걸림구와 상기 제2 걸림구 측을 걸림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를 구비한 이탈 방지부;
    를 포함하는 착용형 훌라후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 튜브부는,
    상기 중공의 내주면 측에 주름부가 형성된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훌라후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 작동부의 유동구는,
    볼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 연장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이 가능하게 세팅되는 착용형 훌라후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 연결부의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는,
    상기 착용 튜브부의 중공과 대응하는 연결 통로를 각각 구비하고,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 및 세팅되는 착용형 훌라후프.
  5. 삭제
KR1020210028163A 2021-03-03 2021-03-03 착용형 훌라후프 KR10250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63A KR102508932B1 (ko) 2021-03-03 2021-03-03 착용형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63A KR102508932B1 (ko) 2021-03-03 2021-03-03 착용형 훌라후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81A KR20220124481A (ko) 2022-09-14
KR102508932B1 true KR102508932B1 (ko) 2023-03-10

Family

ID=8327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163A KR102508932B1 (ko) 2021-03-03 2021-03-03 착용형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9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512Y1 (ko) 2008-06-17 2008-11-13 임우빈 허리 밀착형 훌라후프
KR200458053Y1 (ko) * 2011-08-01 2012-01-18 임우빈 허리 밀착형 훌라후프
KR101207879B1 (ko) * 2010-11-03 2012-12-07 서예린 자바라 훌라후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404A (ko) * 2007-05-17 2008-11-21 오상진 다기능 훌라후프
KR200490425Y1 (ko) 2018-03-23 2019-11-08 주식회사 이고진 무게조절 훌라후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512Y1 (ko) 2008-06-17 2008-11-13 임우빈 허리 밀착형 훌라후프
KR101207879B1 (ko) * 2010-11-03 2012-12-07 서예린 자바라 훌라후프
KR200458053Y1 (ko) * 2011-08-01 2012-01-18 임우빈 허리 밀착형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81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397B2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JP5331987B2 (ja) 人形の関節構造及び人形構成機構
JP5476441B1 (ja)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CN203154797U (zh) 玩偶组件和玩具冲浪板
US20160151235A1 (en) Massage device
JP2019533514A (ja) ウェアラブル着座姿勢補助装置
KR102508932B1 (ko) 착용형 훌라후프
JP7275260B2 (ja) トラス構造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椅子
KR101871915B1 (ko) 손가락 재활기구
JP2020185022A (ja)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KR102662362B1 (ko) 착용형 훌라후프
KR101132806B1 (ko) 구체 관절 인형
KR200390007Y1 (ko) 걷기 놀이 기구
JP4456139B2 (ja) 人形体
JP6381621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JP3959979B2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KR200419927Y1 (ko) 연극용 인형
KR20050005798A (ko) 골프 가방용의 신축성 있는 어깨끈
KR102532890B1 (ko) 모듈형 장갑 로봇
KR20220096106A (ko) 훌라후프
JP2006095132A (ja) エアロクッション
JP5954614B2 (ja) 腕部構造及び該腕部構造を備えた人形
KR102588951B1 (ko) 착좌각이 변경 가능한 착용식 의자
KR200260585Y1 (ko) 팔다리 운동기구
KR200419928Y1 (ko) 연극용 인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