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362B1 - 착용형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착용형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362B1
KR102662362B1 KR1020230039685A KR20230039685A KR102662362B1 KR 102662362 B1 KR102662362 B1 KR 102662362B1 KR 1020230039685 A KR1020230039685 A KR 1020230039685A KR 20230039685 A KR20230039685 A KR 20230039685A KR 102662362 B1 KR102662362 B1 KR 10266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locking
state
protrusion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63B19/02Freely-movable rolling hoops, e.g. gyrowheels or spheres or cylinders, carrying the user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착용형 훌라후프를 개시한다.
그러한 착용형 훌라후프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운동감 발생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양쪽 단부 측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착용 연결부, 그리고 상기 착용 연결부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상기 볼부재의 자유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환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형 훌라후프{WEARABLE HULA HOOP}
본 발명은 착용형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훌라후프는 장소나 시간 등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간편하게 신체 허리 운동을 행할 수 있는 간편 운동기구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대부분 신체의 허리 둘레부보다 큰 둘레부 크기를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로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튜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단순 링 형태의 일반적인 훌라후프 구조로는 만족할 만한 상품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훌라후프는 개인이 장소(공간)나 시간 등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하는 간편 운동기구 임을 감안할 때, 이와 부합하는 사용 편의성 및 부가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상품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특허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2078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허리 부위 측에 간편하게 착용한 상태로 훌라후프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착용형 훌라후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중공이 형성된 튜브부재를 구비하고, 신체의 허리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튜브부재 중공 측에 자유 이동에 의한 운동감 발생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부재;
상기 본체부의 튜브부재의 중공 측과 대응하는 연결 통로를 가지며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튜브부재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연결구를 구비한 착용 연결부; 및
상기 착용 연결부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회동 상태로 걸림 자세가 전환 유도되면서 상기 볼부재의 자유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두 개의 연결구 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용 돌기 및 전환용 돌기를 구비한 전환 걸림부;
를 포함하는 착용형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의 허리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본체부(튜브부재)의 착용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볼부재의 자유 이동에 의해 운동감의 발생이 가능한 상태로 훌라후프 운동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착용 또는 착용 해제 시 본체부 내측의 볼부재가 외부로 이탈(낙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에 따른 사용 안전성 및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는, 본체부(10), 볼부재(20), 착용 연결부(30) 및 전환 걸림부(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신체 허리 부위 측에 분리 가능하게 착용되기 위한 튜브부재를(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튜브부재(12)는 튜브 둘레부 내측에 중공(A)이 형성된 튜브 형태를 가지며, 신체의 허리 둘레부(W)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 가능한 튜브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튜브부재(1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가벼우면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부재(1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튜브 둘레부 측에 주름부(B)가 형성된 주름형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다.
튜브부재(12)는 예를 들어, 압출 성형 방식으로 상기와 같은 주름 튜브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A) 및 주름부(B)를 가지며,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튜브부재(12)는 밴딩이 용이하여 신체의 허리 둘레부(W)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할 때, 착용성 및 착용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볼부재(20)는 자유 이동에 의한 운동감 발생이 가능한 상태로 본체부(10) 내측에 배치된다.
볼부재(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튜브부재(12) 내측에 배치되어 중공(A)의 연장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된다.
즉, 볼부재(20)는 튜브부재(12)의 중공(A) 연장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자유 이동 중에 주름부(B) 측과의 접촉 간섭에 의해 운동감을 발생할 수 있다.
볼부재(20)의 재질은 금속재나 유리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석재(예: 자석)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볼부재(20)는 도 3에서와 같이 신체의 허리 둘레부(W) 측에 튜브부재(12)를 착용한 상태로 훌라후프 운동 방식으로 허리를 움직일 때, 관성에 의해 중공(A)의 연장 구간을 따라 자유 이동되면서 원심력, 진동 및 접촉음과 같은 운동감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부(10)는 신체 허리 둘레부(W)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 사용이 가능하고, 훌라후프 운동과 연계하여 운동감을 발생할 수 있는 튜브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훌라후프 운동 시 운동 리듬감 및 운동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다.
착용 연결부(30)는 신체 허리 둘레부(W) 측을 감싸는 상태로 본체부(10)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착용 연결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튜브부재(12) 측이 링 모양을 이루도록 튜브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착용 연결부(3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32, 34)를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연결구(32, 34)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조작될 수 있는 상태로 튜브부재(12)의 튜브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에 배치된다.
두 개의 연결구(32, 34)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레부 내측에는 튜브부재(12)의 중공(A) 측과 대응하는 연결 통로(C)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 통로(C) 측에는 튜브부재(12)의 튜브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이 연결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D)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D)은 튜브부재(12)의 주름부(B) 형태와 대응하도록 주름진 형태로 연결 통로(C)의 내주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구(32, 34)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 통로(C) 측이 튜브부재(12)의 중공(A) 측과 서로 연통된 상태로 튜브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구(32, 34)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연결구(32, 34)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조작될 때, 끼움돌기(E1) 측이 끼움홈(E2) 측에 끼워져서 서로 걸려지는 끼움 결합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구(32, 34)의 재질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 연결부(3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32, 34)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조작하는 방식으로 본체부(10)의 튜브부재(12) 측을 신체 허리 둘레부(W)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 또는 착용 해제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부(10)는 착용 연결부(30)에 의해 신체 허리 부위 측에 착용 가능한 착용형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바닥에 선 상태는 물론이거니와, 의자 등에 앉은 상태에서도 훌라후프 운동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전환 걸림부(40)는 본체부(10)의 튜브부재(12) 내측에 자유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부재(20)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환 걸림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전환 걸림부(40)는 착용 연결부(30)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회동 동작되는 상태로 걸림 자세의 전환 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걸림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전환 걸림부(40)는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걸림용 돌기(42) 및 이 걸림용 돌기(42)의 걸림 자세를 전환 유도하기 위한 전환용 돌기(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걸림용 돌기(42)는 튜브부재(12)의 중공(A)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착용 연결부(30)의 두 개의 연결구(32, 34) 측에 자세 전환이 가능한 상태로 각각 설치된다.
즉, 걸림용 돌기(42)는 두 개의 연결구(32, 34) 내측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G)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로 타측 단부(자유단) 측이 연결 통로(C)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거나 비돌출 상태로 걸림 자세가 전환되도록 세팅된다.
그리고, 두 개의 연결구(32, 34) 측에는 걸림용 돌기(42) 측과 대응하는 보조홈(H)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홈(H)은 걸림용 돌기(42) 측이 비돌출된 상태로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홈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전환용 돌기(44)는 두 개의 연결구(32, 34) 간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접촉 간섭으로 걸림용 돌기(42)의 회동을 유도하여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는 돌기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전환용 돌기(44)는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32, 34)측에 각각 형성되되, 이 연결구(32, 34)들이 서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 조작될 때, 반대 측의 연결구(32, 또는 34)의 걸림용 돌기(42) 측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상태로 회동 유도가 가능한 돌기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걸림부(40)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32, 34)가 연결 해제된 상태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걸림용 돌기(42)와 전환용 돌기(44) 간의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면, 걸림용 돌기(42)는 자중에 의해 자유단 측이 아래쪽으로 회동되면서 연결 통로(C)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 동작 상태를 이루도록 전환 유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환 걸림부(40)는 두 개의 연결구(32, 34)가 서로 연결 해제된 상태에서는 연결 통로(C)를 통해서 튜브부재(12) 내측의 볼부재(20)가 튜브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걸림부(40)는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32, 34)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걸림용 돌기(42)와 전환용 돌기(44) 간의 접촉 간섭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면, 걸림용 돌기(42)는 접촉 간섭에 의해 자유단 측이 위쪽으로 회동되면서 연결 통로(C) 측에서 비돌출된 걸림 해제 상태를 이루도록 전환 유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환 걸림부(40)는 두 개의 연결구(32, 34)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튜브부재(12) 내측의 볼부재(20)가 중공(A) 및 연결 통로(C)를 통해서 운동감 발생과 부합하는 상태로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환 작동될 수 있다.
전환 걸림부(40)는 도 5에서와 같이 걸림용 돌기(42)의 걸림 동작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탄성 유도구(4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유도구(46)는 연결구(32, 34) 측에서 걸림용 돌기(42) 측과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되, 도 5에서와 같이 지지 돌기부(G) 측을 중심으로 걸림용 돌기(42) 측을 탄력적으로 밀어서 걸림 동작 상태로 자세 전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세팅될 수 있다.
탄성 유도구(46)는 스프링류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탄력적인 전환 유도 작용이 가능하게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환 걸림부(40)는 튜브부재(12)를 착용 또는 착용 해제하거나, 착용 해제 상태로 보관(휴대)할 때, 별도의 추가 조작 없이 튜브부재(12)로부터 볼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훌라후프의 사용 안전성 및 편의성이 한층 더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훌라후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은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볼부재(20)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전환 걸림부(40a)를 갖되, 이 전환 걸림부(40a)는 착용 연결부(30)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슬라이딩 동작되는 상태로 걸림 자세의 전환 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환 걸림부(40a)는 슬라이딩 동작되는 상태로 걸림 자세가 전환되기 위한 걸림용 돌기(42a) 및 이 걸림용 돌기(42a)의 걸림 자세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전환용 돌기(44a)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걸림용 돌기(42a)는 가이드홈(I)을 구비하고, 착용 연결부(30)의 두 개의 연결구(32, 34) 내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동작으로 걸림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용 돌기(42a)는 도 8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32, 34) 내측에 형성된 보조홈(H1) 측에 끼워진 상태로 걸림 자세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세팅될 수 있다.
보조홈(H1)은 걸림용 돌기(42a) 측이 후술하는 전환용 돌기(44a)의 접촉 간섭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돌기 단부(자유단) 측이 연결 통로(C)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비돌출 상태로 전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홈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I)은 도 8에서와 같이 걸림용 돌기(42a)의 둘레부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타입의 홈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용 돌기(42a)는 두 개의 연결구(32, 34) 내측에 각각 설치되되, 가이드홈(I)과 전환용 돌기(44a) 간의 접촉 간섭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유도되는 상태로 걸림 자세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팅된다.
전환용 돌기(44a)는 두 개의 연결구(32, 34) 측에 각각 형성되되, 이 연결구(32, 34)들 간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접촉 간섭으로 걸림용 돌기(42a)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환용 돌기(44a)는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경사진 형태의 유도면(J)을 가지며, 두 개의 연결구(32, 34)의 연결 단부 측에서 반대 측 연결구(32, 또는 34)의 걸림용 돌기(42a) 측을 향하여 접촉 간섭이 가능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전환용 돌기(44a)는 예를 들어, 연결구(32, 34)들의 연결 조작 시 도 9에서와 같이 반대 측 연결구(32, 또는 34)의 걸림용 돌기(42a)의 가이드홈(l) 측에 각각 끼워지면서 유도면(J)에 의해 점차 위로 들어 올리는 상태로 접촉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용 돌기(44a)는 예를 들어, 연결구(32, 34)들의 연결 해제 조작 시 도 8에서와 같이 반대 측 연결구(32, 또는 34)의 걸림용 돌기(42a)의 가이드홈(l) 측에서 분리되는 상태로 접촉 간섭이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용 돌기(42a) 및 전환용 돌기(44a) 간의 접촉 간섭 작용에 의하면, 연결구(32, 34)들 간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걸림용 돌기(42a) 측이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상태로 걸림 자세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환 걸림부(40a)는 연결구(32, 34)들 간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 조작 시, 볼부재(20)의 자유 이동 또는 이동 제한과 부합하는 상태로 전환되는 걸림 구조를 갖되,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환 유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전환 걸림 구조는 예를 들어 회동 방식의 전환 걸림 구조와 비교할 때, 연결구(32, 34) 내측에서 걸림용 돌기(42a)의 걸림 자세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따른 점유 공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환 걸림부(40a)는 걸림용 돌기(42a)의 슬라이딩에 위한 걸림 전환 동작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탄성 유도구(46a)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유도구(46a)는 연결구(32, 34) 측에서 걸림용 돌기(42a) 측과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되, 도 8에서와 같이 걸림용 돌기(42a) 측을 아래쪽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어서 걸림 동작된 상태로 자세 전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세팅될 수 있다.
탄성 유도구(46a)는 스프링류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도 10에서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탄력적인 전환 유도 작용이 가능하게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체의 허리 둘레부(W) 측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부재(20)에 의해 운동감 발생이 가능한 착용 상태로 간편하게 훌라후프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착용형 훌라후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10: 본체부 20: 볼부재
30: 착용 연결부 40: 전환 걸림부
W: 신체 허리 둘레부

Claims (6)

  1. 삭제
  2. 중공이 형성된 튜브부재를 구비하고, 신체의 허리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용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튜브부재 중공 측에 자유 이동에 의한 운동감 발생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부재;
    상기 본체부의 튜브부재의 중공 측과 대응하는 연결 통로를 가지며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튜브부재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연결구를 구비한 착용 연결부; 및
    상기 착용 연결부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슬라이딩 상태로 걸림 자세가 전환 유도되면서 상기 볼부재의 자유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두 개의 연결구 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용 돌기 및 전환용 돌기를 구비한 전환 걸림부;
    를 포함하는 착용형 훌라후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튜브부재는,
    튜브 둘레부 측에 주름부가 형성된 주름형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훌라후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 걸림부는, 탄성 유도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유도구는,
    스프링류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용 돌기의 슬라이딩 동작을 탄력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착용 연결부의 두 개의 연결구 측에 각각 형성되는 착용형 훌라후프.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 걸림부의 걸림용 돌기는,
    상기 착용 연결부의 두 개의 연결구 측에 형성되되, 슬라이딩 동작으로 상기 연결 통로 측에 돌출 또는 비돌출 상태로 걸림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환 걸림부의 전환용 돌기는,
    상기 착용 연결부의 두 개의 연결구의 연결 조작과 연계하여 접촉 간섭으로 상기 걸림용 돌기의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두 개의 연결구 측에 각각 형성되는 착용형 훌라후프.

KR1020230039685A 2023-01-27 2023-03-27 착용형 훌라후프 KR102662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678 2023-01-27
KR20230010678 2023-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362B1 true KR102662362B1 (ko) 2024-04-30

Family

ID=9088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685A KR102662362B1 (ko) 2023-01-27 2023-03-27 착용형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3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681Y1 (ko) * 2001-08-03 2002-01-26 김정오 볼 구름형 훌라후프
KR20080101404A (ko) * 2007-05-17 2008-11-21 오상진 다기능 훌라후프
KR20110093356A (ko) * 2010-02-12 2011-08-18 안중길 둘레 조절과 관성볼의 무게 조절이 가능한 허리 운동구
KR101207879B1 (ko) 2010-11-03 2012-12-07 서예린 자바라 훌라후프
KR20220124481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착용형 훌라후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681Y1 (ko) * 2001-08-03 2002-01-26 김정오 볼 구름형 훌라후프
KR20080101404A (ko) * 2007-05-17 2008-11-21 오상진 다기능 훌라후프
KR20110093356A (ko) * 2010-02-12 2011-08-18 안중길 둘레 조절과 관성볼의 무게 조절이 가능한 허리 운동구
KR101207879B1 (ko) 2010-11-03 2012-12-07 서예린 자바라 훌라후프
KR20220124481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착용형 훌라후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518B2 (en) Hol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bile phones
US8214972B2 (en) Control handle of a retractable handle assembly for travel bag
US2705967A (en) Self opening umbrella
JP5800210B1 (ja) 折り畳み式ステッキ
JP2007209418A (ja) 分離可能な又は折りたたみ可能な杖および管継手
KR102662362B1 (ko) 착용형 훌라후프
CN105433540B (zh)
US10413771B1 (en) Exercise systems and methods
JP2005506141A5 (ko)
JP2008126041A (ja) 人形、おもちゃのロボットなどの構成部材
KR102508932B1 (ko) 착용형 훌라후프
US20150057136A1 (en) Interchangeable rotating free-motion fitness handle system
JP7060516B2 (ja)
EP3847922B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KR101871915B1 (ko) 손가락 재활기구
KR102291003B1 (ko) 접이식 목발
JP4638299B2 (ja)
JP2019017761A (ja)
CN215025827U (zh) 一种羽毛球拍装置
CN107264760B (zh) 一种操舵手柄
KR20050005798A (ko) 골프 가방용의 신축성 있는 어깨끈
KR200213136Y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102532890B1 (ko) 모듈형 장갑 로봇
KR102622625B1 (ko) 보행 보조장치
CN109793638A (zh) 一种收纳式按摩装置及具有该按摩装置的按摩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