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106A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106A
KR20220096106A KR1020200188255A KR20200188255A KR20220096106A KR 20220096106 A KR20220096106 A KR 20220096106A KR 1020200188255 A KR1020200188255 A KR 1020200188255A KR 20200188255 A KR20200188255 A KR 20200188255A KR 20220096106 A KR20220096106 A KR 2022009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tube
hula
hold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18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106A/ko
Publication of KR2022009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63B19/04Hoop exercising apparatus movably supported on a framework or spheres or cylinders carrying the user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훌라후프를 개시한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 측과 대응하는 링 모양의 튜브부를 갖는 훌라후프 본체와,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튜브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작동감을 유발하기 위한 유동구를 구비한 유동부, 그리고 상기 훌라후프 본체를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 측에 착용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용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훌라후프{HULA HOOP}
본 발명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남녀노소가 장소나 시간 등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신체 허리 운동을 행할 수 있는 간편 운동기구 중에 하나이다.
훌라후프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링 모양의 둘레부를 갖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신체 허리 둘레 부위 측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관성(慣性)에 의한 훌라후프의 회전 유도가 가능하도록 신체 허리 부위를 움직이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함으로서,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 유산소 운동 효과는 물론이거니와, 허리 부위의 근력 강화 및 다이어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근래에는 훌라후프 본연의 기능과 연계하여 운동 효과 및 상품성 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부가적인 기능 구현이 가능한 구조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훌라후프에 의한 지속적인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에게 훌라후프 사용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특징적인 기능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00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42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편의성 및 휴대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방식 측면에서 호기심을 유발하여 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훌라후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 측과 대응하는 링 모양의 튜브부를 갖는 훌라후프 본체;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튜브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작동감을 유발하기 위한 유동구를 구비한 유동부; 및
상기 훌라후프 본체를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 측에 착용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용 고정부;
를 포함하는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허리 둘레 부위 측에 훌라후프 본체의 착용 고정이 가능하고, 이 상태로 허리 운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훌라후프 사용 방식과 비교할 때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운동)이 가능하고, 특히 시각 및 사용 방식 측면에서 사용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훌라후프의 사용(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훌라후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훌라후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훌라후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훌라후프는, 훌라후프 본체(10, 이하 “본체”라고 함.), 유동부(20) 및 착용 고정부(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허리 둘레 부위(W)를 둘러싸는 링 모양의 둘레부 형태를 갖는 튜브부(12)로 이루어진다.
튜브부(12)의 내측은 도 2에서와 같이 중공(H) 형태로 이루어지며, 링 모양의 둘레부 크기는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W)를 둘러싸는 상태로 배치 가능하되, 허리 둘레 부위(W) 보다 큰 둘레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튜브부(12)는 링 모양의 둘레부 형태를 이루되, 둘레부 구간이 복수 개로 나뉘어진 분할형의 튜브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부(12)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 튜브(14)들로 구성되며, 이 연결 튜브(14)들이 링 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부(12)의 재질은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중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금속이나 목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 튜브(14)들은 이음구(16)에 의한 끼움 결합이나 나사부 결합 방식에 의해 링 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음구(16)들은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연결 튜브(14)들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측 이음구(16) 측에는 연결 홈부(G1)가 형성되고, 타측 이음구(16) 측에는 연결 돌기부(G2)가 형성된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에서와 같이 연결 튜브(14)들이 링 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도록 배열될 때, 이 연결 튜브(14)들 사이사이를 이음구(16)들의 끼움 결합으로 각각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연결 튜브(14)들 간의 인접 지점에서 서로 마주하는 일측 이음구(16)의 연결 돌기부(G2) 측이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타측 이음구(16)의 연결 홈부(G1) 측에 끼워지도록 조작하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연결 튜브(14)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이음구(16)는 상기와 같은 홈부와 돌기부의 끼움 결합 구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튜브부(12)는 사용 환경이나 요구되는 여건 등에 따라 상기와 같은 분할형의 튜브 구조 이외에도 링 모양의 둘레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일체형의 튜브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유동부(20)는 본체(10)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유동되면서 사용자에게 청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한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동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유동구(22)를 구비하고, 이 유동구(22)는 본체(10)의 튜브부(12) 내측에 형성된 중공(H) 측에 배치된다.
유동구(22)는 볼(BALL) 형태를 가지며 튜브부(12)의 중공(H) 측에 한 개 이상이 배치되고, 중공(H) 연장 방향을 따라 구름 또는 미끄럼 이동 방식으로 자유 이동이 가능하게 세팅된다.
즉, 유동구(22)는 본체(10) 측의 움직임에 의한 관성(慣性) 발생시 튜브부(12)의 둘레부 연장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중공(H) 측에 세팅된다.
유동구(22)의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목재, 유리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튜브부(12)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유동이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는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면 좋다.
그리고, 유동구(22)는 튜브부(12) 내측에서 유동될 때, 접촉 간섭에 의한 접촉음이나 진동을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 및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튜브부(12)의 중공(H) 내부면 측에 접촉 돌기(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돌기(A)들은 중공(H)의 연장 방향 전체 구간 내에서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튜브부(12) 측이 움직일 때 이와 연계하여 유동구(22)가 접촉 돌기(A) 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유동되면서 접촉음 또는 진동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청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한 작동감이 사용자에게 더욱 원활하게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착용 고정부(30)는 사용자의 신체 허리 둘레 부위(W) 측에 본체(10)의 착용 고정이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착용 고정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대(32)와, 이 지지대(32)와 본체(10) 측을 서로 연결하는 홀더(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32)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면(B)을 구비하고, 이 지지면(B)은 사용자의 신체 허리 둘레 부위(W) 일부를 안정적으로 감싸는 상태로 접촉 지지가 가능한 곡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32)는 본체(10)의 둘레부 내측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홀더(34)에 의해 본체(10)의 튜브부(12) 둘레부 측에 양단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대(32)는 신체 허리 둘레 부위(W) 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 우레탄 계열의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홀더(34)는 지지대(32)의 양쪽 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어 본체(10)의 튜브부(12) 둘레부 내측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지지대(32)의 연결 고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홀더(34)는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홀(C)을 구비하고, 이 지지홀(C) 측이 본체(10)의 튜브부(12) 측에 끼워져서 이 튜브부(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34)는 지지대(32) 측과 연결되되, 예를 들어, 끼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홀더(34) 상부 측에 연결 돌기(D1)가 형성되고, 이 연결 돌기(D1)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지지대(32) 양쪽 단부 측에 연결 홀(D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대(32)의 양쪽 단부는 연결 돌기(D1)와 연결 홀(D2)의 끼움 결합 방식으로 홀더(34)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홀더(34)들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이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W) 측에 착용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본체(10) 측에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착용 고정부(30)는 도 5에서와 같이 홀더(34) 측과 대응하는 고정구(3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구(36)는 홀더(34)가 본체(10)의 튜브부(12) 둘레부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홀더(34)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구(36)는 레버 조작 방식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 및 세팅될 수 있다.
고정구(36)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홀더(34) 측에 일단이 핀(E) 결합으로 연결되고, 이 핀(E)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레버 형태로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연결 세팅될 수 있다.
이때, 고정구(36)의 일단(자유단)은 홀더(34) 둘레부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타단 측에는 가압 돌기(F)가 형성되어 회동 조작시 가압 돌기(F) 측이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되는 상태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형성 및 세팅될 수 있다.
즉, 고정구(36)는 도 6에서와 같이 핀(E)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될 때, 가압 돌기(F) 측이 본체(10)의 튜브부(12) 일측을 누름 또는 누름 해제하는 상태로 동작되면서 홀더(34)의 움직임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구(36)는 상기와 같은 레버 조작 방식 및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탄력적인 접촉 간섭력이나 나사부 체결력에 의해 홀더(34)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조작 방식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착용 고정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대(32) 측이 홀더(34)에 의해 본체(10)의 튜브부(12) 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세팅되어, 본체(10) 측과 연계하여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W) 측을 둘러싸는 상태로 본체(10)의 착용이 가능한 조작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 고정부(30)를 조작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0) 측을 신체 허리 둘레 부위(W) 측에 간편하게 착용 고정시킨 상태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는 훌라후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본체(10)의 착용 방식 및 구조에 의하면, 일반 훌라후프와 비교할 때 둘레부 크기를 대폭 줄인 상태로 사용(허리 운동)이 가능하여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훌라후프를 이용하여 허리 운동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일반 훌라후프와 차별화된 사용 방식(착용) 및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동 중에 유동부(20) 작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훌라후프를 이용한 허리 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형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휴대성과 사용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고, 특히 기존 훌라후프들과는 차별화된 사용 방식 및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한층 더 향상된 상품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훌라후프 본체 20: 유동부
30: 착용 고정부 W: 신체 허리 둘레 부위

Claims (6)

  1.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 측과 대응하는 링 모양의 튜브부를 갖는 훌라후프 본체;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튜브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작동감을 유발하기 위한 유동구를 구비한 유동부; 및
    상기 훌라후프 본체를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 측에 착용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용 고정부;
    를 포함하는 훌라후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튜브부는,
    복수 개의 연결 튜브들이 링 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는 훌라후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튜브들은,
    튜브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이음구가 형성되는 훌라후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의 유동구는,
    볼(BALL) 형태를 가지며,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튜브부 내측에 한 개 이상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훌라후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 고정부는,
    신체의 허리 둘레 부위 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 양쪽 단부 측을 상기 훌라후프 본체의 튜브부 측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훌라후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착용 고정부는,
    고정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는,
    가압 돌기를 가지며 상기 홀더 측에 일단이 핀 결합으로 연결되고, 이 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되면서 상기 튜브부 일측을 상기 가압 돌기로 누르는 상태로 상기 홀더의 유동 억제가 가능하게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훌라후프.
KR1020200188255A 2020-12-30 2020-12-30 훌라후프 KR20220096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255A KR20220096106A (ko) 2020-12-30 2020-12-30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255A KR20220096106A (ko) 2020-12-30 2020-12-30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106A true KR20220096106A (ko) 2022-07-07

Family

ID=8239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255A KR20220096106A (ko) 2020-12-30 2020-12-30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1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25Y1 (ko) 2018-03-23 2019-11-08 주식회사 이고진 무게조절 훌라후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25Y1 (ko) 2018-03-23 2019-11-08 주식회사 이고진 무게조절 훌라후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9479U (ja) 腹筋運動器
JP2001079111A (ja) 遊戯用具
US20140162852A1 (en) Mini wave exercise machine
WO2014069514A1 (ja) 顔面筋鍛錬具
KR20220096106A (ko) 훌라후프
US20060032027A1 (en) Constriction assembly
KR102508932B1 (ko) 착용형 훌라후프
US10330135B2 (en) Adjustment device for exercise apparatuses
CN207285455U (zh) 一种拐杖
JP6712258B2 (ja) パーツ連結構造及び人形
KR100857375B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KR200437842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WO2019208533A1 (ja) 美容器
US20120232444A1 (en) Abdominal massage device
CN218923150U (zh) 颈部按摩装置
JP3194259U (ja) 指圧具
US20230364464A1 (en) Chest expander
KR200220162Y1 (ko) 조립식 훌라후프
KR200259119Y1 (ko) 관자놀이 지압구
TW201540283A (zh) 按摩裝置
JP6531143B2 (ja) 顔面筋鍛錬具
KR100459649B1 (ko) 손잡이 굵기 조절 가능한 필기구
JP3111686U (ja) 振動マッサージ器
US2182264A (en) Rupture appliance
KR200402852Y1 (ko) 악력 단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