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25Y1 - 무게조절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무게조절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25Y1
KR200490425Y1 KR2020180001272U KR20180001272U KR200490425Y1 KR 200490425 Y1 KR200490425 Y1 KR 200490425Y1 KR 2020180001272 U KR2020180001272 U KR 2020180001272U KR 20180001272 U KR20180001272 U KR 20180001272U KR 200490425 Y1 KR200490425 Y1 KR 200490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modules
module
main bod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62U (ko
Inventor
이종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1647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9042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고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고진
Priority to KR2020180001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2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63B19/02Freely-movable rolling hoops, e.g. gyrowheels or spheres or cylinders, carrying the user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게조절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무게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모듈에 대한 배열순서를 사용자의 취향 또는 개성 등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하고, 또한 무게중심의 변경에 의한 편심으로 인해 훌라후프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력과 원심력이 증강되고, 이에 따라 훌라후프의 초기 회전이 쉬워져 유희감이 증폭되고, 회전력 증강에 의한 지압효과가 상승시켜 결국, 운동 및 건강증진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복수의 분할모듈(10)을 연결하여 훌라후프(1)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모듈(10)은 상호 무게를 달리하도록 제1 및 제2모듈(110)(120)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배열순서에 따라 회전력과 원심력 증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게조절 훌라후프{Hula-Hoop}
본 고안은, 무게조절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무게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모듈에 대한 배열순서를 사용자의 취향 또는 개성 등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하고, 또한 무게중심의 변경에 의한 편심으로 인해 훌라후프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력과 원심력이 증강되고, 이에 따라 훌라후프의 초기 회전이 쉬워져 유희감이 증폭되고, 회전력 증강에 의한 지압효과가 상승시켜 결국, 운동 및 건강증진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무게조절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허리운동을 겸한 놀이도구로 경질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진 링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링의 내주면에 허리를 맞데고 하와이의 훌라 댄서처럼 허리를 흔들어 상기 링이 땅에 떨어지지 않게 돌리며 노는 것이기 때문에 훌라후프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허리를 이용하여 일정한 회전을 반복시키는 운동 유희구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훌라후프는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회전시켜 훌라후프에 탄력을 전달하므로 훌라후프가 계속하여 허리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허리를 사용하여 링형상의 훌라후프에 탄력을 전달하므로 사용자의 허리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나아가, 체지방 분해로 인한 복부비만을 해소하는 운동기구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훌라후프는 사출 성형 등의 가공으로 관상체를 제조하고, 이를 일정한 길이의 직선상 관상체로 절단한 후, 양 절단면을 접합시켜 링형 관체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훌라후프 구조물이 일체 구성되는 형태이므로 보관 및 이동시에 상당한 점유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압돌기를 구비하는 분할가능 훌라후프가 개시되었는데, 다수의 훌라후프 단위체를 서로 끼워 맞춤하여 원형의 훌라후프를 완성하는 것이며, 각 훌라후프 단위체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지압 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각 훌라후프 단위체를 서로 결합하면 원형의 훌라후프 내부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훌라후프를 돌려주면 허리부위가 지압돌기와 접촉하면서 허리부위의 살을 집중적으로 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지압돌기를 구비하는 분할가능 훌라후프는 각 훌라후프 단위체를 서로 끼워 맞춤할 수 있도록 각 훌라후프 단위체는 내부가 빈 상태로 구성하고, 일측에는 끼움돌기를 형성하게 되며, 끼움 돌기가 끼워진 후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이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각 고정공 사이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탄성클립이 끼움돌기 안쪽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지압돌기를 구비하는 분할가능 훌라후프는 지압돌기가 각 훌라후프 단위체의 중앙부에만 구비되어 있어 훌라후프를 돌리더라도 항상 사용자의 일부위에만 지압돌기가 접촉될 수밖에 없어 이러한 지압돌기 접촉부위만 집중적으로 살이 빠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훌라후프가 커질 경우 각 훌라후프 단위체를 고정시켜주는 부위가 2군데가 되며, 따라서 탄성클립 역시 2개가 사용되는 것이어서 각각의 탄성클립을 각 고정공에 끼워주는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클립 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훌라후프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무게로 형성되어, 초보자의 경우 훌라후프를 돌리기가 어렵고, 숙련자라 하더라도 훌라후프의 회전 흐름이 끊기면 훌라후프의 회전력 감속으로 이어져 훌라후프를 통한 운동 및 유희감이 쉽게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5714호(1995.03.20.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65122호(2013.02.0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71942호(2014.03.27.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호 무게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모듈에 대한 배열순서를 사용자의 취향 또는 개성 등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하고, 또한 무게중심의 변경에 의한 편심으로 인해 훌라후프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력과 원심력이 증강되고, 이에 따라 훌라후프의 초기 회전이 쉬워져 유희감이 증폭되고, 회전력 증강에 의한 지압효과가 상승시켜 결국, 운동 및 건강증진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무게조절 훌라후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의 분할모듈을 연결하여 훌라후프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모듈은 상호 무게를 달리하도록 제1 및 제2모듈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모듈의 배열순서에 따라 회전력과 원심력 증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2모듈은 제1모듈에 비해 고중량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2모듈에는 상기 중량체가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모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지압효과를 발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압돌기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연결편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 구성되어 이웃하는 분할모듈의 연결편이 삽입되어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모듈의 연결편 일측에는 일정길이 돌출되고 탄성에 의해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모듈의 삽입공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편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버튼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모듈의 상호 연결을 지지하는 버튼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모듈의 본체에는, 상기 본체가 직접 신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쿠션기능으로 운동 중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호 무게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모듈에 대한 배열순서를 사용자의 취향 또는 개성 등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하고, 또한 무게중심의 변경에 의한 편심으로 인해 훌라후프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력과 원심력이 증강되고, 이에 따라 훌라후프의 초기 회전이 쉬워져 유희감이 증폭되고, 회전력 증강에 의한 지압효과가 상승시켜 결국, 운동 및 건강증진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모듈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및 제2모듈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무게조절 훌라후프(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이루어진 분할모듈(10)을 연결함으로써, 환형의 훌라후프(1)가 완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분할모듈(10)은 4 ~ 8개소로 구성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면 환형의 훌라후프(1)가 구성된다.
상기 분할모듈(10)은 무게를 달리하는 제1모듈(110)과 제2모듈(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모듈(110)은 본체(112) 및 상기 본체(112)의 외주연을 감싸는 커버(1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내부면 즉,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는 일정길이 돌출되어, 훌라후프(1)가 회전될 때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시켜 지압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지압돌기(115)를 포함한다.
상기 지압돌기(115)는 상기 본체(11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일체형 또는 별도로 제조한 후 상기 본체(112)에 고정하는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압돌기(115)는 훌라후프의 회전에 의해 신체를 자극시켜 지압효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일단에는 일정길이 돌출되어 이웃하는 분할모듈(10)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연결편(116)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116)에는 눌림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이웃하는 분할모듈(10)에 확고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버튼(117)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117)은 눌림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눌림력이 작용되면 눌림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버튼(117)은 이웃하는 분할모듈(10)과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타단 즉, 연결편(116)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116)이 삽입되는 삽입공(1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118)에는 상기 연결편(116)의 버튼(117)이 삽입되어 연결이 확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버튼삽입홈(119)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114)는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하여 훌라후프(1)의 회전할 때 상기 본체(112)가 신체와 직접 마찰됨에 따라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버(114)는 신체와 직접 접촉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114)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114)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체와의 마찰로 인해 상해를 입히지 않을 정도의 쿠션을 가지는 두께 및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2모듈(120)은 본체(122) 및 상기 본체(122)의 외주연을 감싸는 커버(1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22)의 내부면 즉,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는 일정길이 돌출되어, 훌라후프(1)가 회전될 때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시켜 지압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지압돌기(125)를 포함한다.
상기 지압돌기(125)는 상기 본체(12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일체형 또는 별도로 제조한 후 상기 본체(122)에 고정하는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압돌기(125)는 훌라후프의 회전에 의해 신체를 자극시켜 지압효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22)의 일단에는 일정길이 돌출되어 이웃하는 분할모듈(10)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연결편(126)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126)에는 눌림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이웃하는 분할모듈(10)에 확고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버튼(127)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127)은 눌림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눌림력이 작용되면 눌림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버튼(127)은 이웃하는 분할모듈(10)과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20)의 타단 즉, 연결편(126)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126)이 삽입되는 삽입공(12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128)에는 상기 연결편(126)의 버튼(127)이 삽입되어 연결이 확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버튼삽입홈(129)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124)는 상기 본체(12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하여 훌라후프(1)의 회전할 때 상기 본체(122)가 신체와 직접 마찰 됨에 따라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버(124)는 신체와 직접 접촉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124)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124)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체와의 마찰로 인해 상해를 입히지 않을 정도의 쿠션을 가지는 두께 및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22)에는 제1모듈(110) 보다 고중량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중량체(1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22)에는 상기 중량체(130)가 상기 본체(122)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홈(123)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중량체(130)는 상기 본체(122)를 사출방식으로 형성할 때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고정홈(123)을 형성하디 않고 중량체(130)가 본체(122)에 일체화로 확고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량체(13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고중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량체(130)는 상기 제2모듈(120)을 고 중량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훌라후프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낱개로 구성되는 분할모듈(10)에서, 상호 중량을 달리하는 제1 및 제2모듈(110)(120)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조립한다.
예컨대, 상기 분할모듈(10)이 6개소 이루어져 이들을 조합하면 환형의 훌라후프(1)가 완성된다고 가정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일례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분할모듈(10)은 3개소의 제1모듈(110)과, 3개소의 제2모듈(120)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는 설명의 편의상으로 균등 분할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개소를 달리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모듈(110)들 사이에 제2모듈(120)이 위치되는 형태로 상호 교번되게 구성한다.
이를 통해, 무게를 달리하는 상기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순차적인 배열에 의해 훌라후프(1)를 회전시키면 무게 변화에 따른 원심력 작용으로 회전력이 증강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훌라후프(1)의 회전을 쉽게 이룰 수 있고, 일시적으로 회전패턴이 흩트려져도 계속적인 회전을 유지할 수 있으며, 원심력에 의한 회전력 증강으로 신체부위를 강하게 지압하는 지압효과를 상승시킨다.
또는, 상기 훌라후프(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심력을 증강시키도록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배열순서를 바꿀 수 있다.
예컨대, 제1모듈(110)의 5개소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제2모듈(120) 1개소를 연결시켜 고중량의 제2모듈(120)의 편심으로 원심력 발생을 증강시킨다.
또는, 제1모듈(110)의 4개소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제2모듈(120) 2개소를 연결시켜 고중량의 제2모듈(120)의 편심으로 원심력 발생증강 및 고중량에 의한 가속도를 증강시키도록 한다.
또는, 사용자가 노약자인 경우, 전체 6개소 중 어느 하나만을 제2모듈(120)로 구성하고 나머지를 제1모듈(110)로 하거나, 또는 전문가의 경우 5개소를 제2모듈(120)로 구성하고 나머지를 제1모듈(110)로 구성하는 것과 같이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취향, 개성, 몸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적 운동량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환형의 훌라후프의 어느 일측에 편심이 이루어지도록 무게를 달리함에 따라 회전력이 증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호 무게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모듈에 대한 배열순서에 따른 편심에 의해 훌라후프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력과 원심력이 증강되고, 이에 따라 훌루후프의 초기 회전이 쉬워져 유희감이 증폭되고, 회전력 증강에 의한 지압효과가 상승시켜 결국, 운동 및 건강증진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무게조절 훌라후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훌라후프 10: 분할모듈
110: 제1모듈 112: 본체
114: 커버 115: 지압돌기
116: 연결편 117: 버튼
118: 삽입홈 119: 버튼삽입홈
120: 제2모듈 122: 본체
123: 고정홈 124: 커버
125: 지압돌기 126: 연결편
127: 버튼 128: 삽입홈
129: 버튼삽입홈 130: 중량체

Claims (6)

  1. 복수의 분할모듈(10)을 연결하여 훌라후프(1)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모듈(10)은 상호 무게를 달리하도록 제1 및 제2모듈(110)(120)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배열순서에 따라 회전력과 원심력 증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체(112)(122)와, 본체(112)(122)의 외주연을 감싸는 커버(114) (124), 상기 본체(112)(122)의 내측면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지압효과를 발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압돌기(115)(125)와, 상기 본체(112)(122)의 일단에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연결편(116)(126)과, 상기 본체(112)(122)의 타단에 구성되어 이웃하는 분할모듈의 연결편(116)(126)이 삽입되어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18)(128) 및 상기 연결편(126)에는 눌림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이웃하는 분할모듈(10)에 확고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버튼(117)(127) 및 버튼삽입홈(119)(129)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모듈(110)(120);
    상기 제2모듈(120)은 제1모듈(110)에 비해 고중량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중량체(130)가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형;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조절 훌라후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연결편(116)(126) 일측에는 일정길이 돌출되고 탄성에 의해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버튼(117)(12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삽입공(118)(128)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편(116)(126)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버튼(117)(127)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상호 연결을 지지하는 버튼삽입홈(119)(1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조절 훌라후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모듈(110)(120)의 본체(112)(122)에는
    상기 본체(112)(122)가 직접 신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쿠션기능으로 운동 중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14)(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조절 훌라후프.
KR2020180001272U 2018-03-23 2018-03-23 무게조절 훌라후프 KR200490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72U KR200490425Y1 (ko) 2018-03-23 2018-03-23 무게조절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72U KR200490425Y1 (ko) 2018-03-23 2018-03-23 무게조절 훌라후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62U KR20190002462U (ko) 2019-10-02
KR200490425Y1 true KR200490425Y1 (ko) 2019-11-08

Family

ID=6816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72U KR200490425Y1 (ko) 2018-03-23 2018-03-23 무게조절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106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훌라후프
KR20220124481A (ko)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착용형 훌라후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820Y1 (ko) * 2006-04-12 2006-06-26 정성식 훌라후프
KR100857375B1 (ko) * 2007-06-19 2008-09-05 주식회사 베스타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714U (ko) 1993-08-16 1995-03-20 홍권표 돌기가 형성된 훌라후프
KR20050092839A (ko) * 2004-03-17 2005-09-23 노동익 훌라후프
KR200465122Y1 (ko) 2011-02-07 2013-02-05 대구광역시 달서구 훌라후프
KR200472111Y1 (ko) * 2012-05-10 2014-04-07 조지훈 무게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훌라후프 및 그 조립체
KR200471942Y1 (ko) 2012-06-11 2014-03-27 조동규 기능성 훌라후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820Y1 (ko) * 2006-04-12 2006-06-26 정성식 훌라후프
KR100857375B1 (ko) * 2007-06-19 2008-09-05 주식회사 베스타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106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훌라후프
KR20220124481A (ko)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착용형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62U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425Y1 (ko) 무게조절 훌라후프
US7036156B2 (en) Head protection system
US4802463A (en) Foot massager
US5997449A (en) Structure of a hula-hoop
US5342272A (en) Load distribution device for weight lifting
US9345920B2 (en) Fitness hoop having variable impact force
US20210016197A1 (en) Kit of parts for versatile functional toys
JP2000202061A (ja) フラフ―プ
KR101636532B1 (ko)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WO2007040337A1 (en) Hula-hoop for pressing flesh of waist in vertical direction
JP6693014B2 (ja) 転動マッサージ具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KR200471942Y1 (ko) 기능성 훌라후프
KR200214328Y1 (ko) 유희감이 양호하고 지압이 부드러운 훌라후프
KR100274615B1 (ko)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200187850Y1 (ko) 훌라우프
KR200354466Y1 (ko) 훌라후프
JP3081733U (ja) フラフープ
US11253422B1 (en) Adjustable peanut massage tool
TWI673089B (zh) 瑜珈滾筒裝置
CN208160743U (zh) 一种按摩脚垫
KR200285654Y1 (ko) 운동용 핸드후프
KR200271302Y1 (ko) 연속된 다수의 고리를 내장한 호스와 구슬을 이용한운동기구
JP3089623U (ja) 多機能の健康輪
KR200179339Y1 (ko) 훌라후프에 구비된 밀착형 지압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60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224

Effective date: 202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