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54Y1 - 운동용 핸드후프 - Google Patents

운동용 핸드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54Y1
KR200285654Y1 KR2020020011570U KR20020011570U KR200285654Y1 KR 200285654 Y1 KR200285654 Y1 KR 200285654Y1 KR 2020020011570 U KR2020020011570 U KR 2020020011570U KR 20020011570 U KR20020011570 U KR 20020011570U KR 200285654 Y1 KR200285654 Y1 KR 200285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hoop
exercise
hands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서
Original Assignee
김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서 filed Critical 김지서
Priority to KR2020020011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54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몸체로 조립되며 양손으로 상기 몸체를 잡고 회전시켜 운동하는 핸드후프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손잡이부와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볼이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됨으로서 핸드후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볼을 삽입하여 허리가 아닌 양손으로 상기 핸드후프의 몸체를 잡고 볼의 원심력을 감지하며 회전시킴으로서 양손과 어깨를 운동할 수 있으며, 양손과 접촉되는 몸체의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구비함으로서 운동시에 손의 지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운동용 핸드후프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운동용 핸드후프{EXERCISE HAND HOOP}
본 고안은 핸드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후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로 볼을 삽입하여 허리가 아닌 양손으로 상기 핸드후프의 몸체를 잡고 볼의 원심력을 감지하며 회전시킴으로서 양손과 어깨를 운동할 수 있는 운동용 핸드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알려진 것이 훌라후프이며 이러한 훌라후프는 수지재의 관체가 원형으로 연결된 것으로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반복함으로서 신체의 유연성과 균형력 그리고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훌라후프의 경우 허리가 좋지 않거나 특히 허리를 이용해야 하는 훌라후프 운동에 숙달되지 못한 사람의 경우에는 훌라후프가 자주 미끄러져 내리게 됨으로서 지속적인 운동을 하지 못함으로서 운동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드후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볼이 삽입하여 허리가 아닌 양손으로 상기 핸드후프의 몸체를 잡고 볼의 원심력을 감지하며 회전시킴으로서 양손과 어깨를 운동할 수 있는 운동용 핸드후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손과 접촉되는 몸체의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구비함으로서 운동시에 손의 지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운동용 핸드후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몸체로 조립되며 양손으로 상기 몸체를 잡고 회전시켜 운동하는 핸드후프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손잡이부와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볼이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용 핸드후프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운동용 핸드후프에서 분할된 몸체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운동용 핸드후프에서 분할된 몸체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2: 지압돌기
14: 볼 18: 체결돌기
20: 탄성체 22: 공간부
100: 핸드후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용 핸드후프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운동용 핸드후프에서 분할된 몸체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운동용 핸드후프에서 분할된 몸체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의 핸드후프라 함은 허리에 착용하여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양손으로 상기 핸드후프의 몸체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서 양손과 어깨를 운동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주요구성인 몸체(10)는 크게 손잡이부(11)와 삽입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1)는 원통의 형상으로 내부에는 공간부(22)를 가지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22)로 본 고안의 주요 요소인 볼(14)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의 일측에는 삽입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3)와 손잡이부(11)의 사이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는 원통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3)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13)로 도 2에 도시한 반원형으로 중앙에 체결돌기(18)가 형성된 탄성체(20)가 안으로 굽혀지면서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10)를 각각 조립할 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몸체(10)의 삽입부(13)를 다른 몸체(10)의 손잡이부(11)의 내부에 삽입하여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부(13)의 끝단부에 설치된 타성체(20)에 의해 체결돌기(18)가 밀리면서 상기 손잡이부(11)의 내부로 계속 전진하게 되며 이후에 상기 손잡이부(11)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24)으로 체결돌기(18)가 체결됨으로서 전술한 각각의 몸체(10)는 간편히 조립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각의 몸체(10)를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공간부(22)로 볼(14)을 삽입한 후, 도 1에 도시한 형상으로 핸드후프(100)를 완성한다. 이후에 상기의 과정으로 완성된 핸드후프(100)는 허리가 아닌 양손으로 몸체(10)를 잡고 볼(14)의 원심력을 감지하며 회전시킴으로서 양손과 어깨의 근력과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후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볼을 삽입하여 허리가 아닌 양손으로 몸체를 잡고 볼의 원심력을 감지하며 회전시킴으로서 양손과 어깨를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양손과 접촉되는 몸체의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구비함으로서 운동을 할 시에 손의 지압효과와 마사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몸체(10)로 조립되며 양손으로 상기 몸체(10)를 잡고 회전시켜 운동하는 핸드후프(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공간부(22)를 구비한 손잡이부(11)와 삽입부(13)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22)로 볼(14)이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부(11)의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압돌기(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핸드후프.
KR2020020011570U 2002-04-17 2002-04-17 운동용 핸드후프 KR200285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570U KR200285654Y1 (ko) 2002-04-17 2002-04-17 운동용 핸드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570U KR200285654Y1 (ko) 2002-04-17 2002-04-17 운동용 핸드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54Y1 true KR200285654Y1 (ko) 2002-08-13

Family

ID=7308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570U KR200285654Y1 (ko) 2002-04-17 2002-04-17 운동용 핸드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9999A (en) Combination toy hoop
US5637066A (en) Exercise device
US6135972A (en) Flexible massager bar
US20060089578A1 (en) Universally rotatable twin-ball massage device
US10821328B2 (en) Exercise ball
KR200317964Y1 (ko)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US4577858A (en) Fingertip exerciser
KR200285654Y1 (ko) 운동용 핸드후프
US8025549B2 (en) Hula-hoop for pressing flesh of waist in vertical direction
KR200490425Y1 (ko) 무게조절 훌라후프
KR200204289Y1 (ko) 지압용 훌라후프
KR200188618Y1 (ko) 훌라후프
KR100974959B1 (ko) 개량형 줄넘기
KR100857375B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KR200385816Y1 (ko) 손목운동구
KR200173114Y1 (ko) 타원형 훌라후프
KR19990033378U (ko) 지압구가 결합된 훌라후프
WO2006129979A1 (en) Diet apparatus for belly
KR200187822Y1 (ko) 훌라후프
KR200187850Y1 (ko) 훌라우프
KR0120370Y1 (ko) 악력기
KR200393198Y1 (ko) 완충튜브를 구비한 훌라후프의 결합부재
KR200221119Y1 (ko) 손목운동기
JP3089623U (ja) 多機能の健康輪
KR200431733Y1 (ko) 분필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