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850Y1 - 훌라우프 - Google Patents

훌라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850Y1
KR200187850Y1 KR2020000001628U KR20000001628U KR200187850Y1 KR 200187850 Y1 KR200187850 Y1 KR 200187850Y1 KR 2020000001628 U KR2020000001628 U KR 2020000001628U KR 20000001628 U KR20000001628 U KR 20000001628U KR 200187850 Y1 KR200187850 Y1 KR 200187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dy
present
protrusions
circumferential surface
hula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선
Original Assignee
김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선 filed Critical 김경선
Priority to KR202000000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훌라우프에 관한 것으로, 링체의 내주면에 최소 2단이상 격층의 환형돌기를 구비하여 운동시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며, 링체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부를 구비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링체의 강성을 증가시켜 쉽게 구부려뜨릴 수 없는 즉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훌라우프{HULA-HOOP}
본 고안은 훌라우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주면에 최소 2단 이상의 환형 돌기를 구비하여 운동시 피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자중에 의한 원심력을 증가시켜 운동량이 배가 되도록 하는 훌라우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우프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본체의 양 끝단부를 연결하여 링체로 구성하고, 이 링체를 허리를 이용하여 일정한 회전을 반복하며 신체를 단련한 기구로써, 허리 근력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길러준다.
그런데 종래의 훌라우프는 단순히 링체로만 구성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운동에 흥미를 잃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링체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운동시 피부를 자극하고 운동에 흥미를 유발하며,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훌라우프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이 훌라우프 역시 지압효과는 가질 수 있을지 모르나, 하나의 훌라우프에서 얻을 수 있는 운동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으며, 외형에 있어서도 종래의 훌라우프 디자인과 크게 다를 바 없으며, 별도의 보강 수단이 없어 쉽게 꺽이는 문제가 있어 장기간의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링체의 내주면에 최소 2단이상 격층의 환형돌기를 구비하여 운동시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훌라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체의 중량의 증가시켜 피부를 자극하는 압력과 운동량이 배가 되도록 하는 훌라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돌부를 구비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링체의 강성을 증가시켜 쉽게 구부려뜨릴 수 없는 즉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한 훌라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훌라우프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훌라우프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환형돌기
21 : 볼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훌라우프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은 링체(11)의 내주면에 최소 2개 이상의 환형 돌기(20)를 격층으로 구비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부(21)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훌라우프(10)는 양측 끝단부를 연결하여 링체(11)를 구성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개의 분할체를 조립하여 구성된 링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링체(11)의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환형 돌기(20)가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 구성으로, 최소 2단 이상으로 구성되며, 도 3 과 같이 3단 혹은 그 이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돌부(21)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돌부(21)의 형상은 도 2 와 같이 삼각의 산형 돌부(21a)가 연속되거나, 또는 도 3 과 같이 요철형의 돌부(21b), 도 4 와 같은 반원형의 돌부(21c)가 연속적으로 돌출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다만 하나의 돌부는 원주방향으로 외주연 전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돌부(21)는 훌라우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링체(11)의 강성을 보강하여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내주연의 환형 돌기(20)와, 외주연의 돌부(21)를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훌라우프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최소 2단이상의 격층으로 구성되는 환형 돌기(20)의 외측으로 산형 돌부(21a) 또는 요철형 돌부(21b), 반원형 돌부 중(21c)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훌라우프의 다양한 디자인 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훌라우프(10)는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허리에서 탄력을 주면서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링체(11)가 원심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운동 방법은 동일하지만, 피부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 보다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내주연이 최소 2단 이상의 환형 돌기(20)로 구성되어 피부와 접촉면적이 자연스럽게 증가되고, 접촉면적이 증가함으로써, 허리를 자극하는 압력이 증가하여 운동에 재미를 주고 효과적인 지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링체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환형 돌기를 격층으로 구비하여 운동시 피부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지압 및 피부 맛사지 효과를 증대시키고, 훌라우프 자체의 중량이 자연스럽게 증가되어 원심력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운동량이 늘어남으로써, 특히 다이어트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운동기구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링체의 강도를 보강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을 개발하여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훌라우프는 청구범위에 국한하여 다양한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양측 단부가 이어져 링체로 구성된 훌라우프에 있어서,
    상기 링체의 내주면은 최소 2개 이상 격층으로 이루어진 환형 돌기로 구성하고, 외주면은 다수개의 돌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우프.
KR2020000001628U 2000-01-21 2000-01-21 훌라우프 KR200187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28U KR200187850Y1 (ko) 2000-01-21 2000-01-21 훌라우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28U KR200187850Y1 (ko) 2000-01-21 2000-01-21 훌라우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850Y1 true KR200187850Y1 (ko) 2000-07-15

Family

ID=1963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28U KR200187850Y1 (ko) 2000-01-21 2000-01-21 훌라우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8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032B1 (ko) 훌라후프
KR200187850Y1 (ko) 훌라우프
JP4971334B2 (ja) 垂直方向にウエストの肉を押圧するフラフープ
KR200490425Y1 (ko) 무게조절 훌라후프
US20090104840A1 (en) Hula hoop
KR200184432Y1 (ko) 지압 돌기를 갖는 조립식 훌라후프
KR100274615B1 (ko)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WO2003002212A1 (en) A hula hoop
KR200173114Y1 (ko) 타원형 훌라후프
JP3081733U (ja) フラフープ
KR101296077B1 (ko) 훌라후프
KR200393198Y1 (ko) 완충튜브를 구비한 훌라후프의 결합부재
KR200249553Y1 (ko) 훌라후프
KR200214328Y1 (ko) 유희감이 양호하고 지압이 부드러운 훌라후프
TWI673089B (zh) 瑜珈滾筒裝置
KR200374294Y1 (ko) 훌라후프
KR200163735Y1 (ko) 훌라후프
KR200188584Y1 (ko) 탈착가능한 압착돌기를 가진 훌라후프
KR200240632Y1 (ko) 금속링이 구비된 훌라후프
KR200187872Y1 (ko) 훌 라 후 프
KR200257587Y1 (ko) 다이어트용 훌라후프
KR200424862Y1 (ko) 미니 훌라후프
KR19990084069A (ko) 지압용 돌기 및 돌기를 이용한 훌라후프
KR200285654Y1 (ko) 운동용 핸드후프
JP3082166U (ja) フラフ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