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735Y1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735Y1
KR200163735Y1 KR2019990013419U KR19990013419U KR200163735Y1 KR 200163735 Y1 KR200163735 Y1 KR 200163735Y1 KR 2019990013419 U KR2019990013419 U KR 2019990013419U KR 19990013419 U KR19990013419 U KR 19990013419U KR 200163735 Y1 KR200163735 Y1 KR 200163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main body
hula
hoo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식
Original Assignee
공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현식 filed Critical 공현식
Priority to KR2019990013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훌라후프의 운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링 형상의 본체를 갖는 훌라후프로서,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변을 따라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압착돌기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압착돌기와 결합되고 소정의 위치에 상기 압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압볼을 포함하는 훌라후프에 관해 개시하고있다.

Description

훌라후프{HULA-HOOP}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충분한 운동효과를 낼 수 있으면서, 운동시 흥미를 유발시켜 단조로움을 탈피할 수 있는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hula-hoop)는 플라스틱제의 둥근 테를 허리 또는 목으로 빙빙돌리는 물건으로서, 링형상의 후프(hoop)를 훌라훌라 댄스처럼 엉덩이를 내어두르는 유희 및 건강보조기기를 지칭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훌라후프는 지름이 큰 링형상을 지니고 있고, 이는 십수년간에 걸쳐 그 형상 및 구조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은 일반적인 훌라후프를 도시한 평면도로써, 상기와 같은 훌라후프(1)는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허리에 탄력을주어 반복적으로 상기 훌라후프(1)를 회전시키면 본체(2)의 원심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계속하여 허리의 탄력을 이용하여 훌라후프(1)를 계속 회전시킴에 따라 자연스런 운동이 행하여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간단한 운동보조기구는 줄넘기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운동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를 증진시켜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 실용신안 공개 1998-68543호에서는 본체(4)의 내주변에 복수개의 돌기(6)를 형성한 훌라후프(8)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상기 국내 실용신안 공개 1998-68543호에 개시된 훌라후프(8)를 개량하여 본원 고안자에 의해 출원된 훌라후프(실용신안 제 99-6962)에 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기출원된 훌라후프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재(10)의 내주면에 돌기(20)를 형성하고 있다. 돌기(20)의 형상 및 그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선행공개특허와 같이, 여러가지 형상일 수도 있고, 운동량증진과, 단조로움을 해소하는 데 있다.
도 3의 A 부분확대한 확대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돌기(20)를 장착하는 구조를 설명하면, 돌기(20)의 뿌리는 화스너(21)가 장착되어 있고, 화스너(21)는 본체(10)에 형성된 화스너공(22)에 끼워지게된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체(10)의 내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20)는 훌라후프의 운동시 지속적으로 허리에 충격을 주어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돌기(20)는 화스너(21)의 구조에 오목부(21a)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일 금형으로는 제작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돌기(2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돌기(20)의 절반에 해당하는 절반돌기(20a, 20b)를 각각 제작한 후, 상기 절반돌기(20a, 20b)를 본드 등의 소정의 결합수단으로 접착을 해야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상기 돌기(2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돌기(20)에 형성된 화스너(21)가 들어갈 수 있는 화스너공(22)을 펀칭작업을 통해 다수개 형성해야 했다. 이는 본체(10)가 블로우(blow)금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본체 제작시 천공된 부분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20)가 형성된 훌라후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술한바와 같은 제작공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그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인원 및 시간이 많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변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본체를 갖는 훌라후프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그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훌라후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돌기가 형성된 본체를 갖는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지압볼이 형성된 본체를 갖는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종래의 돌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부분를 확대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50; 본체 60; 지압볼
65; 삽입공 70; 지지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링 형상의 본체를 갖는 훌라후프로서,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변을 따라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소정의 위치에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압볼을 포함하는 훌라후프를 제공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훌라후프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로서, 평면도의 형상만 보면 본체(50)의 전체적 형상이 링모양인 것과 돌기부 즉, 지압볼(60)를 갖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를 도시한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이 종래의 훌라후프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4와 차별화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에는 본체(50)와, 상기 본체(50)와 일체로 형성된 압착돌기(70)가 형성되어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압착돌기(70)가 형성된 본체(50)는 블로우(blow)금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압착돌기는 끝 부분이 막힌 원기둥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돌기(70)는 링 형상의 본체(50)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60)는 내부에 삽입공(65)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돌기(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삽입공(65)이 형성된 지압볼(60)의 제작은 단일 금형으로 일체화의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수개의 압착돌기(7)를 갖는 본체(50)와 삽입공(65)이 형성된 지압볼(60)의 결합은 상기 지압볼(60)의 삽입공(65)을 상기 본체(50)에 형성된 압착돌기(70)에 끼우기만 하면 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체(50)의 주 재료인 플라스틱의 특성상 압착돌기의 외경과 삽입공의 내경을 비슷하게 형성하여 강제로 끼우면, 튼튼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는 종래에 개시된 돌기부를 갖는 훌라후프와 동일하게 운동량이 증대되고, 단조로움이 해소됨은 물론 돌기에 의한 지압효과를 가지게된다.
상기 지압효과에 관해서는 약 30분 정도만 상기 훌라후프로 운동하게되면 약 6만번의 충격이 허리에 전달되게된다. 따라서 간단하면서도 큰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제작은 종래의 돌기부를 갖는 훌라후프의 제작공정에 비해 동일한 운동효과를 얻으면서도 그 제작공정이 매우 간단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는 다므ㅇ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압착돌기와 일체로 형성된 링모양의 본체를 기본으로 하고 상기 압착돌기와 결합하는 삽입공을 갖는 지압볼이 형성되어, 상기 훌라후프로 운동할때, 상기 지압볼이 신체의 여러부분에 접촉하게 됨으로 단조로움이 해소되고 흥미를 유발하게되는 잇점이 있다.
둘재, 종래의 화스너가 형성된 돌기부와 본체에 상기 화스너와 결합되는 화스너공을 형성하여 훌라후프를 제작하는 방법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는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제조원가 측면에서도 잇점이 있다.
셋째, 부수적으로 종래의 지압볼의 역할을 하는 돌기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여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돌기 표면은 접합부위가 형성되어 지저분하기 때문에 캐릭터 형상의 돌기형성이 불가능하나,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은 단일 금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캐릭터의 모양을 채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훌라후프를 이용하게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범 국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링 형상의 본체를 갖는 훌라후프로서,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변을 따라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압착돌기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압착돌기와 결합되고 소정의 위치에 상기 압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압볼
    을 포함하는 훌라후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돌기는 원기둥의 형상인 훌라후프.
KR2019990013419U 1999-07-09 1999-07-09 훌라후프 KR200163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419U KR200163735Y1 (ko) 1999-07-09 1999-07-09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419U KR200163735Y1 (ko) 1999-07-09 1999-07-09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735Y1 true KR200163735Y1 (ko) 2000-02-15

Family

ID=1958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419U KR200163735Y1 (ko) 1999-07-09 1999-07-09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7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2378S1 (en) Golf club head
USD499160S1 (en) Golf club head
JP3071359U (ja) フラフープ
US6814645B2 (en) Hula hoop
US4674987A (en) Toy for amusement and/or exercise
KR200163735Y1 (ko) 훌라후프
US6379288B1 (en) Variably-weighted exercise hoop
US20150044937A1 (en) Inertial Dynamic Toy
USD429300S (en) Iron golf club head
KR200249553Y1 (ko) 훌라후프
KR200188584Y1 (ko) 탈착가능한 압착돌기를 가진 훌라후프
US20090104840A1 (en) Hula hoop
KR200217153Y1 (ko) 지압구가 결합된 훌라후프
KR200204289Y1 (ko) 지압용 훌라후프
EP1098681A1 (en) Hula-hoop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KR200187850Y1 (ko) 훌라우프
KR200199653Y1 (ko) 훌라후프
EP0140248A1 (en) Button for garment
USD513046S1 (en) Pattern of dimples on a golf ball
KR200173114Y1 (ko) 타원형 훌라후프
KR200207105Y1 (ko) 후프 결합장치
KR200398357Y1 (ko) 매직볼 훌라후프
USD450364S1 (en) Golf club selection device
USD430253S (en) Golf club cad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