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532B1 -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 Google Patents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532B1
KR101636532B1 KR1020140177834A KR20140177834A KR101636532B1 KR 101636532 B1 KR101636532 B1 KR 101636532B1 KR 1020140177834 A KR1020140177834 A KR 1020140177834A KR 20140177834 A KR20140177834 A KR 20140177834A KR 101636532 B1 KR101636532 B1 KR 101636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ad
bicycle
pants
wearer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633A (ko
Inventor
신금식
Original Assignee
(주)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4017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06Hi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4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는, 착용자의 아랫도리에 착용되는 바지본체와, 상기 바지본체 내측면의 엉덩이부에 구비되는 제1쿠션패드와, 상기 바지본체 내측면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상기 바지본체의 내측에 착용자의 회음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쿠션패드와 이격되는 제2쿠션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을 최소화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The bicycle pants having protective element}
본 발명은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을 최소화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모터 및 엔진과 같은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 사람의 힘으로만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하는 이륜차이다. 현대에는 자전거를 단순한 이동 목적으로만 사용하지 않고, 건강을 지키기 위한 운동용이나 레저 스포츠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를 운동 및 레저 스포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자전거를 장시간 주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엉덩이 및 회음부 부위에 대하여 자전거의 안장과의 심한 마찰과 충격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상당한 통증을 유발한다. 특히, 남성인 경우에는 자전거를 탈 때 회음부(會陰部)가 압박을 받기 때문에, 장시간 자전거를 타는 경우 회음부의 혈관이 손상되어 발기부전과 같은 질병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위하여, 바지 내부의 가랑이부에 적용되는 보호 패드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의 보호 패드들은 전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자전거 운행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해당 보호 패드가 착용자에 대한 최적의 위치에서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인체 구조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안장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 보호의 기능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을 최소화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지본체의 엉덩이부에 구비된 쿠션패드가 엉덩이 골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어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는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지본체의 엉덩이부와 전면부에 구비되는 쿠션패드의 테두리 부분을 연속된 유자형 또는 브이자형을 갖도록 재봉하여 테두리 부분의 형상이 자유자재로 변형되므로 특히 엉덩이부에 구비되는 쿠션패드에 의해 착용자는 엉덩이 근육 전체를 감싸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는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는, 착용자의 아랫도리에 착용되는 바지본체와, 상기 바지본체 내측면의 엉덩이부에 구비되는 제1쿠션패드와, 상기 바지본체 내측면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상기 바지본체의 내측에 착용자의 회음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쿠션패드와 이격되는 제2쿠션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쿠션패드에는 자전거의 운전시 안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돌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쿠션패드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며, 착용자의 엉덩이가 자전거의 안장에 닿는 위치에서 자전거의 안장이 닿는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착용자의 좌우 엉덩이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전방을 향하여 만곡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후방은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상기 바지본체의 내측에 착용자의 엉덩이 골 일부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에 의해 좌우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쿠션패드에는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엉덩이의 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기능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홀은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착용자의 엉덩이 골에서부터 허리측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쿠션패드와 상기 제2쿠션패드의 테두리는 상기 바지본체에 연속된 유(U)자 또는 연속된 브이(V)자로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을 최소화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지본체의 엉덩이부에 구비된 쿠션패드가 엉덩이 골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어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지본체의 엉덩이부와 전면부에 구비되는 쿠션패드의 테두리 부분을 연속된 유자형 또는 브이자형을 갖도록 재봉하여 테두리 부분의 형상이 자유자재로 변형되므로 특히 엉덩이부에 구비되는 쿠션패드에 의해 착용자는 엉덩이 근육 전체를 감싸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내부 전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내부 엉덩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내부를 보인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제1쿠션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제1쿠션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예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를 착용하고 자전거 안장위에 앉은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내부에 구비된 제1쿠션패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내부에 구비된 제2쿠션패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내부를 보인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제1쿠션패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제1쿠션패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예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를 착용하고 자전거 안장 위에 앉은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는 바지본체(10), 제1쿠션패드(100) 및 제2쿠션패드(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지본체(10)는 자전거를 운전하는 착용자의 아랫도리에 착용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바지본체(10)는 착용시 몸에 밀착감을 주는 재질(예:스판 등)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용자의 몸에서 배출되는 땀과 열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바지본체(10)의 일부 또는 전부에 촘촘하게 구비된 기능성 메쉬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쿠션패드(100)와 제2쿠션패드(200)는 상기 바지본체(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후술할 제1쿠션패드(100)와 제2쿠션패드(200)는, 예컨대,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Interconnected pores structure)를 갖는 오픈 셀 폼 패딩(Open cell foam padd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쿠션패드(100)는 바지본체(10)의 엉덩이부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1쿠션패드(100)는 착용자의 엉덩이를 보호하는 것이므로 착용자의 엉덩이를 감싸는 크기를 가지며, 바지본체(10)의 내측면에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지본체(10)에 별도로 주머니와 같은 공간을 마련하고, 주머니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쿠션패드(100)와 바지본체(10)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쿠션패드(100)에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와 다기능홀(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부(110)는 자전거의 운전시 안장으로부터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돌출부(110)는 제1쿠션패드(1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110)는 착용자가 안장에 앉는 부위에 형성되되, 제1쿠션패드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며, 자전거 안장의 전면부 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가 자전거의 안장에 앉아 운전하더라도 안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안장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10)는 착용자의 엉덩이가 자전거의 안장에 닿는 위치에서 자전거의 안장이 닿는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돌출부(110)는 제1쿠션패드(10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1), 연결부(112), 오목부(113)를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부(111)는 착용자의 좌우 엉덩이를 각각 지지하며, 이러한 지지부(111)는 연결부(112)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12)는 전방을 향하여 만곡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12)의 후방에는 오목부(11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오목부(113)는 바지본체(10)의 착용시 바지본체(10)의 내측에 착용자의 엉덩이 골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며, 이러한 오목부(113)에는 다기능홀(120)이 형성되는데, 다기능홀(120)은 엉덩이 골에서부터 허리측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10)는 제1쿠션패드(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데, 여기서 양측면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맞닿는 면과 자전거의 안장과 맞닿는 면을 뜻하며, 자전거의 안장과 맞닿는 면은 바지본체(10)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오목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수용부(300)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며, 상기 돌출부(110)는 오목부(111)에 의해 좌우로 대칭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10)는 본 발명의 착용시 후술할 다기능홀(120)과 더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쿠션패드(100)의 형상이 엉덩이 골을 중심으로 좌우로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기능홀(120)은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쿠션패드(100)에 복수개 구비되는 타공으로서, 이러한 다기능홀(120)은 본 발명의 착용시 착용자의 엉덩이 골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타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복수의 다기능홀(120)은 2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다기능홀(120)은 착용자가 자전거를 운전하는 동안 발생되는 땀과 열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착용자의 회음부 부분이 원활하게 통풍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홀(120)은 제1쿠션패드(100)가 착용자의 엉덩이 골을 중심으로 좌우로 잘 변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착용시 제1쿠션패드(100)가 착용자의 엉덩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쿠션패드(200)는 바지본체(10)의 내측 전면부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2쿠션패드(200)는 착용자의 전면부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제2쿠션패드(200)는 상술한 제1쿠션패드(100)와 마찬가지로 바지본체(10)의 내측에서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지본체(10)에 별도의 주머니와 같은 공간을 마련하고, 주머니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2쿠션패드(200)와 바지본체(10)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쿠션패드(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본체(10)의 내측면에서 상술한 제1쿠션패드(10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상기와 같이 제1쿠션패드(100)와 제2쿠션패드(200)가 이격됨으로 인하여 바지본체(10)의 내측에는 수용부(30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수용부(300)는 본 발명의 착용시 회음부가 제1쿠션패드(100)와 제2쿠션패드(20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기능성 메쉬타입으로 제작되는 바지본체(10)를 통해 자전거 운전 중 발생되는 땀에 의한 습기와 열을 원활히 배출하도록 한다.
다시말하면, 상기 수용부(300)는 착용자의 회음부가 제1쿠션패드(100)와 제2쿠션패드(200)의 사이에 수용되도록 유도하여 회음부의 통풍을 확보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용부(300)는 상술한 제1쿠션패드(100)의 다기능홀(120)과 함께 회음부와 엉덩이 골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한편, 상술한 제1쿠션패드(100)와 제2쿠션패드(200)의 테두리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본체(10)의 내측면에 재봉시 연속된 유(U)자 형 또는 연속된 브이(V)자 형으로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유자형 또는 브이자 형으로 재봉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쿠션패드(100)와 제2쿠션패드(200)의 테두리 부분의 형상이 자연스럽게 가변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다기능홀(120)과 함께 제1쿠션패드(100)의 형상이 엉덩이 근육의 형상에 따라 가변되도록 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다기능홀(120)은 제1쿠션패드(100)의 엉덩이 골 부분이 휘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제1쿠션패드(100)의 테두리 부분이 연속된 유자형 또는 브이자 형으로 재봉되어 제1쿠션패드(100)가 착용자의 양쪽 엉덩이 근육을 감싸듯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바지본체
100-제1쿠션패드 110-돌출부
111-지지부 112-연결부
113-오목부 120-다기능홀
200-제2쿠션패드
300-수용부

Claims (8)

  1. 착용자의 아랫도리에 착용되는 바지본체와,
    상기 바지본체 내측면의 엉덩이부에 구비되는 제1쿠션패드와,
    상기 바지본체 내측면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상기 바지본체의 내측에 착용자의 회음부가 수용되며 상기 바지본체를 노출시키는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쿠션패드와 이격되는 제2쿠션패드가 포함되며,
    상기 제1쿠션패드에는 자전거의 운전시 안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돌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쿠션패드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며, 착용자의 엉덩이가 자전거의 안장에 닿는 위치에서 자전거의 안장이 닿는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지며,
    상기 돌출부는,
    착용자의 좌우 엉덩이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전방을 향하여 만곡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후방은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상기 바지본체의 내측에 착용자의 엉덩이 골 일부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에 의해 좌우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1쿠션패드에는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엉덩이의 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기능홀이 더 포함되며,
    상기 다기능홀은 상기 바지본체의 착용시 착용자의 엉덩이 골에서부터 허리측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패드와 상기 제2쿠션패드의 테두리는 상기 바지본체에 연속된 유(U)자 또는 연속된 브이(V)자로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KR1020140177834A 2014-12-10 2014-12-10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KR101636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34A KR101636532B1 (ko) 2014-12-10 2014-12-10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34A KR101636532B1 (ko) 2014-12-10 2014-12-10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33A KR20160070633A (ko) 2016-06-20
KR101636532B1 true KR101636532B1 (ko) 2016-07-05

Family

ID=5635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834A KR101636532B1 (ko) 2014-12-10 2014-12-10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794A (ko) 2019-07-18 2021-01-27 천기완 자전거용 보호대
KR20220102725A (ko) 2021-01-14 2022-07-21 천기완 자전거용 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0565B (en) * 2019-10-16 2022-12-21 Iconik Apparel Ltd Gar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46Y1 (ko) 2006-05-25 2006-08-29 김광기 운동용 부재
JP2008240232A (ja) 2007-03-23 2008-10-09 Assos Of Switzerland Sa サイクリングパンツ用の保護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101035540B1 (ko) 2010-09-17 2011-05-23 이현무 자전거 탑승용 엉덩이 완충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798U (ko) * 2008-10-31 2010-05-11 곽정환 실리콘 패드가 구비된 자전거 바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46Y1 (ko) 2006-05-25 2006-08-29 김광기 운동용 부재
JP2008240232A (ja) 2007-03-23 2008-10-09 Assos Of Switzerland Sa サイクリングパンツ用の保護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101035540B1 (ko) 2010-09-17 2011-05-23 이현무 자전거 탑승용 엉덩이 완충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794A (ko) 2019-07-18 2021-01-27 천기완 자전거용 보호대
KR20220102725A (ko) 2021-01-14 2022-07-21 천기완 자전거용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33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4329B1 (en) A sports garment for cycling
US20070108808A1 (en) Bicycle saddle
US11612192B2 (en) Garment for cyclists
US20160219950A1 (en) Crotch liner for cycling tights and shorts
EP2851041B1 (en) Toe separator pad
JP2009108468A6 (ja) 保護パッド付きサイクリスト用パンツ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EP2494878A1 (en) A sports garment with a seat pad, in particular for cycling
KR101636532B1 (ko)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KR102109534B1 (ko) 자전거 안장
US20150074885A1 (en) Sports garments
JP2012153173A (ja) 自転車の子乗せ装置用シートカバー
KR100850758B1 (ko) 무릎보호대 및 그 제조방법
GB2466505A (en) An exercise pant having cushioning member
KR102602402B1 (ko) 자전거용 바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4798U (ko) 실리콘 패드가 구비된 자전거 바지
EP1813514B1 (en) Bicycle saddle
KR101308367B1 (ko)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JP2006232001A (ja) サドルカバー
JPH0519283Y2 (ko)
JP3221491U (ja) ズボン
KR200428946Y1 (ko) 쿠션 팬티
US10967928B1 (en) Seating apparatus
KR101589833B1 (ko) 요통 완화 의류
US20150351460A1 (en) Undergarment for s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