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367B1 -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 Google Patents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367B1
KR101308367B1 KR1020110137587A KR20110137587A KR101308367B1 KR 101308367 B1 KR101308367 B1 KR 101308367B1 KR 1020110137587 A KR1020110137587 A KR 1020110137587A KR 20110137587 A KR20110137587 A KR 20110137587A KR 101308367 B1 KR101308367 B1 KR 10130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bicycle
length
pant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324A (ko
Inventor
신금식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1013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3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41D1/08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with crotch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41D1/084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for cycl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을 최소화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는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에 있어서,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며,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부; 지지부의 제 1 면에 형성되며, 바지의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 및 지지부의 제 2 면에, 쿠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비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비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Protective element for bicycle pants}
본 발명은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을 최소화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모터 및 엔진과 같은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 사람의 힘으로만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하는 이륜차이다. 현대에는 자전거를 단순한 이동 목적으로만 사용하지 않고, 건강을 지키기 위한 운동용이나 레저 스포츠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를 운동 및 레저 스포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자전거를 장시간 주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엉덩이 및 회음부 부위에 대하여 자전거의 안장과의 심한 마찰과 충격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상당한 통증을 유발한다. 특히, 남성인 경우에는 자전거를 탈 때 회음부(會陰部)가 압박을 받기 때문에, 장시간 자전거를 타는 경우 회음부의 혈관이 손상되어 발기부전과 같은 질병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위하여, 바지 내부의 가랑이부에 적용되는 보호 패드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의 보호 패드들은 전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자전거 운행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해당 보호 패드가 착용자에 대한 최적의 위치에서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인체 구조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안장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설계에 의하여, 착용자 보호의 기능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안장에 접촉되는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형성된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둔부 통증 및 회음부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과 활동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재의 일부를 비신축성 재료로 형성하여 자전거 운전시에 해당 부재가 착용자에 대한 최적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인체 구조뿐만 아니라 안장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쿠션부의 외측부 및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를 설계하여, 자전거 운전을 하는 착용자의 안장통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좌골 측의 쿠션부보다 회음부 측의 쿠션부의 수직 단면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자전거 운전시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전달되는 마찰 및 압박 강도를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는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며,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제 1 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지의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에, 상기 쿠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비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비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쿠션부는,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쿠션부는, 상기 착용자의 좌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상기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쿠션부는, 상기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위치되는 중앙 쿠션부; 상기 착용자의 좌골 측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 쿠션부의 제 1 측부에 형성되는 후면 쿠션부; 및 상기 중앙 쿠션부의 제 1 측부의 반대편인 제 2 측부에 형성되는 전면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면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상기 중앙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는, 상기 후면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의 60% 내지 7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면 쿠션부는,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면 쿠션부의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는, 상기 후면 쿠션부의 외측단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의 60% 내지 8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 쿠션부와 상기 후면 쿠션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람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는 제 1 접힘부; 및 상기 중앙 쿠션부와 상기 전면 쿠션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람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는 제 2 접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쿠션부, 상기 중앙 쿠션부 및 상기 후면 쿠션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심 접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면 쿠션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심 접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쿠션부는,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Interconnected pores structure)를 갖는 오픈 셀 폼 패딩(Open cell foam padd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신축부는, 합성 편직 원단(Synthetic knitted fabric) 또는 클로즈드 셀 폼(Closed cell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신축부는, 클로즈드 셀(Closed cell) 방식으로 조성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폼(Ethylene vinyl acetate foam) 또는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는,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Interconnected pores structure)를 갖는 오픈 셀 폼 패딩(Open cell foam padd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거 안장에 접촉되는 인체 구조를 고려한 설계에 의하여 형성된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용자가 자전거 운전시 느낄 수 있는 안장통(둔부 통증 및 회음부 통증)을 최소화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과 활동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재의 일부를 비신축성 재료로 형성하여 자전거 운전시에 해당 부재가 착용자에 대한 최적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체 구조뿐만 아니라 안장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쿠션부의 외측부 및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를 설계하여, 자전거 운전을 하는 착용자의 안장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용자의 좌골 측의 쿠션부보다 회음부 측의 쿠션부의 수직 단면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자전거 운전시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전달되는 마찰 및 압박 강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지지부의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가 자전거 안장에 적용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지지부의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지지부의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가 자전거 안장에 적용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10)는 지지부(11), 쿠션부, 둘레부(15) 및 비신축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쿠션부는 후면 쿠션부(12), 중앙 쿠션부(13) 및 전면 쿠션부(14)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1)는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1)는 바지에 재봉되거나, 바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바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부(11)는 도 3의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사방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지지부(11)는 사방 신축성을 갖기 위하여,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Interconnected pores structure)를 갖는 오픈 셀 폼 패딩(Open cell foam padd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가 사방 신축성을 가지므로 자전거 운행 시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자전거의 안장에서 내려 활동 시에도 착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 및 활동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지지부(11)와 바지는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 쿠션부(12)는 지지부(11)의 제 1 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 1 면은 지지부(11)에서 착용자에게 직접 닿는 부분의 면일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가 바지를 입었을 때, 후면 쿠션부(12)는 착용자의 좌골 측에 위치된다. 또한, 후면 쿠션부(12)는 후술하는 중앙 쿠션부(13)의 제 1 측부에 형성된다. 또한, 후면 쿠션부(12)는 중심 접힘부(15c)에 의하여 제 1 후면 쿠션부(12a) 및 제 2 후면 쿠션부(12b)로 구분될 수 있다.
중앙 쿠션부(13)는 지지부(11)의 제 1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착용자가 바지를 입었을 때, 중앙 쿠션부(13)는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위치된다. 또한, 중앙 쿠션부(13)는 중심 접힘부(15c)에 의하여 제 1 중앙 쿠션부(13a) 및 제 2 중앙 쿠션부(13b)로 구분될 수 있다.
전면 쿠션부(14)는 지지부(11)의 제 1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 쿠션부(14)는 중앙 쿠션부(13)의 제 2 측부에 형성된다. 이 때, 제 2 측부는 중앙 쿠션부(13)에 있어서, 제 1 측부의 반대편이다. 또한, 전면 쿠션부(14)는 중심 접힘부(15c)에 의하여 제 1 전면 쿠션부(14a) 및 제 2 전면 쿠션부(14b)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10)에 있어서, 쿠션부는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면 쿠션부(12)에 있어서,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b)는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a) 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제 1 후면 쿠션부(12a) 및 제 2 후면 쿠션부(12b)의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a)는 제 1 후면 쿠션부(12a) 및 제 2 후면 쿠션부(12b)의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b)보다 작게 형성된다. 특히, 착용자에게 자전거 운행시의 최대의 편안함을 주기 위하여, 후면 쿠션부(12)의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는, 후면 쿠션부(12)의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의 60% 내지 8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의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인체 구조뿐만 아니라 자전거 안장(1)의 구조를 고려한 구성에 해당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전거 안장(1)은 일반적으로, 중앙부가 외측부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자전거 운행 시에, 보호 부재(10)는 양 외측부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약간 접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10)는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중심부 및 외측부의 높이가 같게 형성된 일반적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에 비하여 각도 c를 작게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자전거 운행 시에 바지용 보호 패드가 착용자의 좌골 및 회음부에 보다 밀착되어, 착용자의 착용감이 크게 증대된다. 따라서, 장시간 자전거 운행에 따라 좌골 및 회음부 측에 가해지는 마찰 및 압박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후면 쿠션부(12)의 수직 단면의 길이(d)는 중앙 쿠션부(13)의 수직 단면의 길이(e)보다 길게 형성된다. 특히, 착용자의 좌골 측의 안장통 및 회음부에 대한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앙 쿠션부(13)의 수직 단면의 길이(e)는 후면 쿠션부(12)의 수직 단면의 길이(d)의 60% 내지 7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가 자전거 안장에 앉았을 때,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좌골을 보다 두꺼운 후면 쿠션부(12)가 편안하게 지지한다. 더불어,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위치되는 중앙 쿠션부(13)가 후면 쿠션부(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한 압박을 최소화하여, 회음부 압박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쿠션부(12)의 수직 단면의 길이는 중앙 쿠션부(13)의 수직 단면의 길이(e)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쿠션부(12), 중앙 쿠션부(13) 및 전면 쿠션부(14)는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Interconnected pores structure)를 갖는 오픈 셀 폼 패딩(Open cell foam padd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15)는 쿠션부 즉, 후면 쿠션부(12), 중앙 쿠션부(13) 및 전면 쿠션부(14)의 외측 둘레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둘레부(15)는 후면 쿠션부(12), 중앙 쿠션부(13) 및 전면 쿠션부(14)를 지지부(11)에 열융착 결합하면서 생길 수 있다.
제 1 접힘부(15a)는 후면 쿠션부(12)와 중앙 쿠션부(13)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접힘부(15a)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게 형성된다.
제 2 접힘부(15b)는 중앙 쿠션부(13)와 전면 쿠션부(14)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접힘부(15b)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게 형성된다.
중심 접힘부(15c)는 후면 쿠션부(12), 중앙 쿠션부(13) 및 전면 쿠션부(1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심 접힘부(15c)는 제 1 접힘부(15a) 및 제 2 접힘부(15b)에 대하여 수직하게, 제 1 접힘부(15a) 및 제 2 접힘부(15b)를 가로 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접힘부(15c)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심 접힘부(15c)는 남자의 회음부의 전립선에 대한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1 접힘부(15a), 제 2 접힘부(15b) 및 중심 접힘부(15c)를 통하여, 자전거 운행 시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안장에서 내려 활동할 때에도 착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 및 활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
비신축부(16)는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지지부(11)의 제 2 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 2 면은 지지부(11)의 제 1 면의 반대면이다. 그리고, 비신축부(16)는 쿠션부 즉, 후면 쿠션부(12), 중앙 쿠션부(13) 및 전면 쿠션부(1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비신축부(16)는 지지부(11)의 제 2 면에 접착 또는 봉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신축부(16)는 합성 편직 원단(Synthetic knitted fabric) 또는 클로즈드 셀 폼(Closed cell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신축부(16)는 클로즈드 셀(Closed cell) 방식으로 조성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폼(Ethylene vinyl acetate foam) 또는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비신축부(16)는 신축성을 갖는 스판덱스(Spandex) 또는 엘라스테인(Elastane) 이외의 비신축성 물질로 형성된다. 비신축부(16)는 착용자가 자전거 안장에 앉아 페달링을 할 경우, 쿠션부 즉, 후면 쿠션부(12), 중앙 쿠션부(13) 및 전면 쿠션부(14)의 위치 이동 및 신축성을 억제한다. 즉, 비신축부(16)는 자전거 운행 시, 쿠션부가 착용자에 대한 최적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의 지지부의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20)는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10)와 중앙 쿠션부(23) 및 전면 쿠션부(24)의 구성 개수, 중심 접힘부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20)에 있어서, 쿠션부의 상대적 높이 설계, 비신축부(26)의 구성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1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차이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20)는 사방 신축성을 갖는 지지부(21), 쿠션부, 둘레부(25) 및 비신축부(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쿠션부는 후면 쿠션부(22), 중앙 쿠션부(23) 및 전면 쿠션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20)는 여자용 보호 부재로써, 중심 접힘부가 후면 쿠션부(22)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후면 쿠션부(22)는 제 1 후면 쿠션부(21a) 및 제 2 후면 쿠션부(2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앙 쿠션부(23) 및 전면 쿠션부(24)는 한 개의 쿠션부로 구성된다. 또한, 착용자의 착용감 및 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후면 쿠션부(22)와 중앙 쿠션부(23)의 사이에는 제 1 접힘부(25a)가 형성되고, 중앙 쿠션부(23)와 전면 쿠션부(24)의 사이에는 제 2 접힘부(25b)가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11; 지지부
12; 후면 쿠션부
13; 중앙 쿠션부
14; 전면 쿠션부
15; 둘레부
16; 비신축부

Claims (15)

  1.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바지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며,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제 1 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지의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에, 상기 쿠션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비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비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착용자의 좌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상기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착용자의 회음부 측에 위치되는 중앙 쿠션부;
    상기 착용자의 좌골 측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 쿠션부의 제 1 측부에 형성되는 후면 쿠션부; 및
    상기 중앙 쿠션부의 제 1 측부의 반대편인 제 2 측부에 형성되는 전면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면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상기 중앙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는, 상기 후면 쿠션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의 60% 내지 7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면 쿠션부는,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면 쿠션부의 중심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는, 상기 후면 쿠션부의 외측부의 수직 단면의 길이의 60% 내지 8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 쿠션부와 상기 후면 쿠션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람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는 제 1 접힘부; 및
    상기 중앙 쿠션부와 상기 전면 쿠션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람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는 제 2 접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면 쿠션부, 상기 중앙 쿠션부 및 상기 후면 쿠션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심 접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면 쿠션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심 접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Interconnected pores structure)를 갖는 오픈 셀 폼 패딩(Open cell foam padd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신축부는,
    합성 편직 원단(Synthetic knitted fabric) 또는 클로즈드 셀 폼(Closed cell foam)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신축부는,
    클로즈드 셀(Closed cell) 방식으로 조성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폼(Ethylene vinyl acetate foam) 또는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Interconnected pores structure)를 갖는 오픈 셀 폼 패딩(Open cell foam padd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KR1020110137587A 2011-12-19 2011-12-19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KR101308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587A KR101308367B1 (ko) 2011-12-19 2011-12-19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587A KR101308367B1 (ko) 2011-12-19 2011-12-19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324A KR20130070324A (ko) 2013-06-27
KR101308367B1 true KR101308367B1 (ko) 2013-09-16

Family

ID=4886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587A KR101308367B1 (ko) 2011-12-19 2011-12-19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118B1 (ko) * 2019-07-18 2021-03-10 천기완 자전거용 보호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540B1 (ko) * 2010-09-17 2011-05-23 이현무 자전거 탑승용 엉덩이 완충패드
KR20110061560A (ko) * 2008-09-04 2011-06-09 엑스-테크날러지 스위스 게엠베하 사이클 팬츠용 보호 부재
KR20110005733U (ko) * 2009-12-03 2011-06-10 상 호 김 둔부 보호를 위한 레저 스포츠용 쿠션 바지
US8042197B2 (en) 2007-10-30 2011-10-25 Assos Of Switzerland S.A. Cyclist trousers with protection p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2197B2 (en) 2007-10-30 2011-10-25 Assos Of Switzerland S.A. Cyclist trousers with protection pad
KR20110061560A (ko) * 2008-09-04 2011-06-09 엑스-테크날러지 스위스 게엠베하 사이클 팬츠용 보호 부재
KR20110005733U (ko) * 2009-12-03 2011-06-10 상 호 김 둔부 보호를 위한 레저 스포츠용 쿠션 바지
KR101035540B1 (ko) * 2010-09-17 2011-05-23 이현무 자전거 탑승용 엉덩이 완충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324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505B2 (en) Saddle having a cushion sandwiched between a pad and a base
US5271101A (en) Cycling shorts with anatomical seat pad
US8042197B2 (en) Cyclist trousers with protection pad
US8813267B2 (en) Sports garment for cycling
US9125441B2 (en) Sports garment with a seat pad, in particular for cycling
JP2009108468A5 (ko)
JP2009108468A6 (ja) 保護パッド付きサイクリスト用パンツ
US20160219950A1 (en) Crotch liner for cycling tights and shorts
US20150074885A1 (en) Sports garments
US9021618B2 (en) Air-cushioned shorts for cycling
EP2810574B1 (en) A cycling suit with a seat pad
KR101308367B1 (ko) 자전거 바지용 보호 부재
EP2740374A1 (en) Seat pad for cycling trousers
KR101636532B1 (ko)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US9877524B1 (en) Air-cushioned shorts for cycling
KR102602402B1 (ko) 자전거용 바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4798U (ko) 실리콘 패드가 구비된 자전거 바지
CN210809363U (zh) 一种超级空气减震骑行短裤
KR101035540B1 (ko) 자전거 탑승용 엉덩이 완충패드
KR102226118B1 (ko) 자전거용 보호대
JP3233586U (ja) サイクルパンツに装着可能な自転車走行時の会陰部痛み緩和用の装着具
KR200291574Y1 (ko) 자전거의 안장에 있어서, 등받이를 갖는 안장
KR100467870B1 (ko) 자전거의 안장에 있어서, 등받이를 갖는 안장
KR101587765B1 (ko) 완충 패드가 구비된 기능성 사이클 팬츠
KR20150139370A (ko) 자전거 안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