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370A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370A
KR20150139370A KR1020140067897A KR20140067897A KR20150139370A KR 20150139370 A KR20150139370 A KR 20150139370A KR 1020140067897 A KR1020140067897 A KR 1020140067897A KR 20140067897 A KR20140067897 A KR 20140067897A KR 20150139370 A KR20150139370 A KR 20150139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frame
bicycle
fixed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김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근 filed Critical 김태근
Priority to KR102014006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370A/ko
Publication of KR2015013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분리된 제1 안장과 제2 안장,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 사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의 상면에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안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을 마련하여 안장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신체 부위 중 샅 또는 회음부에 가해지는 압박감 또는 불쾌감을 받지 않으면서 자전거를 탑승할 수 있고, 좌우로 분리된 안장의 통기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신체 부위 중 엉덩이에 발생되는 땀 및 이로 인한 냄새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샅 또는 회음부 부위를 청결하면서도 압박감이 없어 전립선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을 좌우로 분리되게 고정함과 함께 통풍이 이루어짐은 물론 전립선을 보호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안장 또는 유사한 안장의 구조는 두 다리를 움직여서 자전거 페달을 움직이기에 편리하도록 앞부분을 좁게 하고, 뒷부분은 엉덩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다.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자전거 안장은 보통의 의자보다 면적이 작고,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신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다.
즉 좌골 및 대퇴부 뼈 부분을 받치는 부분과 양쪽 다리 사이의 회음부를 받치는 부분이 신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만들어져 하중이 중앙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안장을 보안하여 안장을 2개로 분할하여 회음부에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자전거 안장은 주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쿠션재질로 구성되며, 안장과 프레임 사이에는 주행 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용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자전거용 안장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구조는 스폰지 등의 탄력성 소재로 된 안착부가 각각 별도로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 안착부의 하부에 안착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일정형태로 절곡된 받침부가 설치되며, 이 받침부는 상단과 하단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중심부로 이루어져 상단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이 기울어진 경사면에 상기 안착부의 지지부가 경사지게 고정되며, 하단에는 자전거의 안장고정부에 끼울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는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전륜과 후륜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상기 전륜의 조향을 위한 핸들이 장착되는 자전거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서브 프레임의 상부 끝단에 결합하는 "Y"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일측 끝단에 볼 조인트로 설치되는 제1 안장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타측 끝단에 볼 조인트로 설치되는 제2 안장 프레임, 상기 제1 안장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안장, 상기 제1 안장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 설치되며 상기 제2 안장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안장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안장 프레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안장 프레임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제1 판스프링, 상기 제2 안장 프레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안장 프레임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제2 판스프링 및 상기 제1 안장 프레임과 상기 제2 안장 프레임의 후방 젖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끝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0034호(2005년 3월 18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30915호(2011년 3월 24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구조는 2개의 안장이 각각 독립되어 중심부에 바람이 통할 수 있는 통풍을 통할 수 있으나, 이는 자전거의 탑승 시 가장 땀이 많이 발생되는 엉덩이 부분에서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자전거의 탑승 시 엉덩이 부위에 땀이 차게 되며, 특히 날씨가 더운 여름에 발생되는 땀으로 인해 자전거 탑승을 기피하거나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는 탑승자의 허벅지 부위가 안장에 눌려지지 않아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주어 오랫동안 주행 가능할 수 있으나, 안장의 바닥면이 일정 크기로 일체로 이루어져 안장과 신체의 접촉 부위에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자전거의 탑승 시 신체 부위에 땀이 차게 되며, 특히 날씨가 더운 여름에 발생되는 땀으로 인해 자전거 탑승을 기피하거나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분리된 안장을 통해 신체 부위 중 샅, 회음부 및 엉덩이 부위에 직접 통풍이 이루어지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프레임으로 안장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짐은 물론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장의 무게를 줄여 자전거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회음부 또는 전립선을 보호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좌측 및 우측으로 분리된 제1 안장과 제2 안장,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 사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의 상면에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안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한다.
상기 안장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안장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의 양측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며, 양측으로 분리된 안장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안장의 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 타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선단 연결부 및 후단 고정부를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선단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끼워져 고정됨과 함께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안장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 고정부는 상기 안장의 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선단 연결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 고정부는 상기 연장 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안장은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기구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기구들 사이에 상기 안장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에 의하면, 안장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신체 부위 중 샅 또는 회음부에 가해지는 압박감 또는 불쾌감을 받지 않으면서 자전거를 탑승할 수 있고, 좌우로 분리된 안장의 통기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신체 부위 중 엉덩이에 발생되는 땀 및 이로 인한 냄새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샅 또는 회음부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면서도 압박감이 없어 전립선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저면을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평면을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안장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프레임을 보인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일면을 보인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타면을 보인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안장을 보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프레임을 보인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좌측 및 우측으로 분리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 상기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 사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13) 및 상기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상면에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구(14)가 형성된 안장(10), 상기 안장(10)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안장(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은 탑승자의 신체 중 엉덩이 부분과 접촉되는 안장(10)과 안장(10)을 지지함과 함께 자전거 본체(미도시)에 결합 고정되는 시트 포스트(미도시)에 장착되는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안장(10)은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간부(13) 및 다수의 통기구(14)를 형성하여 탑승자가 안장(10)에 앉은 상태에서 신체 부위 중 샅 또는 회음부 및 엉덩이에 지속적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10)은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으로 이루어지며,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공간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13)는 탑승자의 신체 부위 중에서 샅 또는 회음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자전거를 착석한 상태에서 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탑승자가 남성인 경우 공간부(13)가 개방되어 있어 돌출된 신체 부위가 압박되거나 눌리지 않도록 한다.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통기구(14)가 형성되며, 통기구(14)는 신체 부위 중 엉덩이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통기구(14) 사이에는 제1 안장(11) 및 제2 안장(12)이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지지부(15)가 형성된다. 즉, 안장(10)은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지지부(15)는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탑승자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강성)을 갖기 위함이다.
이러한 통기구(14)는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기구(14)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고, 통기구(14) 사이에는 적정한 강도를 갖도록 지지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은 일측에 연결부(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6)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을 일체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16)는 필요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은 각각 독립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독립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은 프레임(20)에 의해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안장(10)에는 프레임(20)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제1 연결부재(17)가 장착되며, 프레임(20)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제2 연결부재(18)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선단은 탑승자가 안장(10)에 앉은 상태에서 자전거(미도시)의 진행방향을 가리키고, 후단은 탑승자가 안장(10)에 앉은 상태에서 자전거 진행방향의 후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연결부재(17)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부재(17)는 제1 안장(11) 및 제2 안장(12)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 프레임(17a), 수평 프레임(17a)의 하측(도 1의 도면상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프레임(1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7)는 안장(10)의 선단 저면에 고정되어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수평 연결부재(17a)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저면에 융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연결부재(18)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후단 저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연결부재(17)와 같이 융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은 전체적인 형상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20)은 안장(10)의 제1 연결부재(17)에 고정되는 선단 연결부(21)와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후단 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20)의 후단 고정부(22)는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데, 후단 고정부(22)는 일정 길이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22a)과 일정 길이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프레임(2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22a)은 제2 연결부재(18)에 끼워져 고정되며, 제2 프레임(22b)은 제1 프레임(22a)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후단 고정부(22)의 제1 프레임(22a)과 제2 프레임(22b)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안장(10)에 탑승자가 앉았을 때 하중을 지지함은 물론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선단 연결부(21)는 제2 프레임(22b)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져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21a)과 연장 프레임(21a)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함께 공간부(13) 만큼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연장 프레임(21a)이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임(20)은 전체적인 "T"자 형상을 가지면서 후단 고정부(22)와 선단 연결부(21)의 돌출부(21b)가 연장 프레임(21a)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렇게 연장 프레임(21a)이 낮고 돌출부(21b) 및 후단 고정부(22)가 높게 형성됨으로써, 탑승자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20)은 탑승자의 하중에 의한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일점쇄선은 후단 고정부(22)의 제1 프레임(22a)과 제2 프레임(22b)의 경사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좌우로 분리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을 적정 크기로 형성한다.
안장(10)은 탑승자의 신체 중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므로, 엉덩이를 받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구(14)를 형성한다. 이러한 통기구(14)의 형상은 다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또 안장(10)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한다. 즉,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 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으면서 신체 부위 중 돌출된 부위에 압박이나 눌림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간부(13)를 형성한다.
이는 탑승자가 안장(10)에 앉았을 때 샅 또는 회음부 등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이들 샅 또는 회음부 등에 땀이 차지 않도록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공간부(13)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 사이에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안장(10)에 의해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착석에 따른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감 또는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게 한다.
또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통기구(14)를 형성하며, 이들 통기구(14) 또한 안장(10)에 착석된 엉덩이 부위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들 통기구(14) 또한 신체의 엉덩이 부분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자전거 탑승에 따른 땀의 유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안장(10)에는 탑승자의 신체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지지부(15)를 형성하며, 적정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한다.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후단에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6)를 형성하며, 안장(10)의 저면에는 프레임(20)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제1 연결부재(17)와 제2 연결부재(18)를 형성한다.
제1 연결부재(17)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 프레임(17a)을 형성하며, 수평 프레임(17a)에는 프레임(20)의 선단 연결부(21)가 고정되도록 경사 프레임(17b)을 일체로 형성한다.
또 제2 연결부재(18)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저면에 각각 프레임(20)의 후단 고정부(22)가 고정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한다.
프레임(20)은 제1 연결부재(17)에 끼워져 고정되는 선단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재(18)에 끼워져 고정되는 후단 고정부(22)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러한 프레임(20)은 전체적인 형상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단 고정부(22)의 제1 프레임(22a)은 제2 연결부재(18)에 끼워져 고정되며, 제1 프레임(22a)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제2 프레임(22b)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들 후단 고정부(22)는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제1 연결부재(17)에 고정되는 선단 연결부(21)를 일체로 형성하며, 선단 연결부(2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장 프레임(21a)과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돌출부(21b)를 일체로 형성한다.
한편 프레임(20)은 선단 연결부(21)를 제1 연결부재(17)에 고정하며, 후단 고정부(22)를 제2 연결부재(18)에 고정한다. 즉, 프레임(20)은 일측에 형성되는 선단 연결부(21)를 제1 연결부재(17)에 고정함과 함께 타측에 형성되는 후단 고정부(22)는 제2 연결부재(18)에 각각 고정한다.
프레임(20)의 선단 연결부(21)는 제1 연결부재(17)에 고정되는데, 제1 연결부재(17)는 금속 재질인 선단 연결부(21)를 인서트 시킨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며, 제2 연결부재(18)는 안장(10)의 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7)는 프레임(20)의 선단 연결부(21)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저면에 제1 연결부재(17)를 융착 또는 접착한다.
또 프레임(20)의 후단 고정부(22)는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부재(18)에 끼워 고정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미도시)의 시트 포스트(seat post, 미도시)에 장착되며, 시트 포스트는 시트 튜브(미도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시트 포스트는 그 상단에 프레임(20)의 연장 프레임(21a) 외측을 감싸도록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20)의 연장 프레임(21a)을 돌기의 내측에 안착시킨 다음 별도로 마련된 브래킷(미도시)을 연장 프레임(21a)의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시트 포스트와 브래킷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안장(10)은 시트 포스트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이에 탑승자는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도록 안장(10)에 착석하게 된다. 이때 탑승자의 신체 중 샅 또는 회음부 부분은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3)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 부분 중 돌출된 부분은 공간부(13)에 위치하게 되어 신체의 하중에 의한 압박(감)이나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되며, 개방된 공간부(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신체와 접촉되어 샅 또는 회음부 등으로 유입된다.
이에 샅 또는 회음부는 안장(10)에 착석된 상태에서 공간부(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샅 또는 회음부에서 땀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안장(11)과 제2 안장(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기구(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구(14)를 통해 제1 및 제2 안장(11, 1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안장(11, 12)의 상면과 접촉되는 엉덩이에 공기가 유입되어 엉덩이에서 땀 등의 발생을 줄이게 되고, 통기구(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도 엉덩이 부분에 땀뿐만 아니라 열이 발생되지 않아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10)은 공간부(13) 및 통기구(14)가 형성되어 있어 보다 편안한 자세로 착석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탑승 도중에 땀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공간부에 의해 신체의 돌출 부위가 압박되지 않아 전립선 부위를 보호할 수 있으며, 안장(11, 12)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경량화로 제작되는 자전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프레임의 선단 연결부(21) 및 후단 고정부(22)의 높이가 달라 신체 및 자전거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안장 11: 제1 안장
12: 제2 안장 13: 공간부
14: 통기구 15: 지지부
16: 연결부 17: 제1 연결부재
17a: 수평 프레임 17b: 경사 프레임
18: 제2 연결부재 20: 프레임
21: 선단 연결부 21a: 연장 프레임
21b: 돌출부 22: 후단 고정부
22a: 제1 프레임 22b: 제2 프레임

Claims (5)

  1. 좌측 및 우측으로 분리된 제1 안장과 제2 안장,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 사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의 상면에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안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안장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의 양측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며, 양측으로 분리된 안장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안장의 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 타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선단 연결부 및 후단 고정부를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선단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끼워져 고정됨과 함께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안장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 고정부는 상기 안장의 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선단 연결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 고정부는 상기 연장 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장과 제2 안장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안장은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기구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기구들 사이에 상기 안장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1020140067897A 2014-06-03 2014-06-03 자전거 안장 KR20150139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97A KR20150139370A (ko) 2014-06-03 2014-06-03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97A KR20150139370A (ko) 2014-06-03 2014-06-03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370A true KR20150139370A (ko) 2015-12-11

Family

ID=5502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97A KR20150139370A (ko) 2014-06-03 2014-06-03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93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2771A1 (it) * 2022-02-15 2023-08-15 Dieter Asam Seduta per biciclet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2771A1 (it) * 2022-02-15 2023-08-15 Dieter Asam Seduta per biciclet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5637B (zh) 具有排氣孔之腳踏車坐墊
US6039395A (en) Bicycle saddle
US6629728B2 (en)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US7699392B2 (en) Bicycle saddle
JP6102901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504323A (ja) エアークッションサドル
US20120242121A1 (en) Pivoting Nose-Less Bicycle Seat
JP2018525279A (ja) 自転車シート、及び自転車サドルを製造する方法
JP2011110366A (ja) ダクト入りシートクッション
US6176546B1 (en) Bicycle saddle
JP2016094072A (ja) 車両用シート
US8944501B2 (en) Flying wing-shaped seat structure
JP5707143B2 (ja) 乳幼児支持パッド構造
KR20110030915A (ko)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JP2008001181A (ja) 車両用シート
JP2017035904A (ja) 車両用シート
US5918931A (en) Bicycle saddle
KR20150139370A (ko) 자전거 안장
KR100935441B1 (ko) 자전거 안장
KR102141304B1 (ko) 시트폭 조절형 자전거 안장
CN103373413B (zh) 自行车的座椅结构
KR102595587B1 (ko) 자전거용 보호대
JP6002052B2 (ja) ベビーカー用シート
KR102310308B1 (ko) 안장 조립체
WO2024010086A1 (ja) パッド材、着座シート及び乗り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