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587B1 - 자전거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587B1
KR102595587B1 KR1020210004998A KR20210004998A KR102595587B1 KR 102595587 B1 KR102595587 B1 KR 102595587B1 KR 1020210004998 A KR1020210004998 A KR 1020210004998A KR 20210004998 A KR20210004998 A KR 20210004998A KR 102595587 B1 KR102595587 B1 KR 10259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icycle
protector
cushion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725A (ko
Inventor
천기완
Original Assignee
천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기완 filed Critical 천기완
Priority to KR102021000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5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06Hi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을 분산하여 편하게 해주고 안장통을 줄여 더 장시간 주행을 도와주며 산악 주행중 연속되는 진동이나 전복시 갑작스런 충격등에 회음부를 보호해주는 보호 장구 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승차시 안장과 접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보호대로서,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침 지지하는 쿠션 시트부; 상기 사용자의 하부 복부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쿠션 시트부에서 정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는 복부 받침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 시트부와 상기 복부 받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사용자에 착용되도록 상기 쿠션 시트부 및 상기 복부 받침부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보호대{PROTECTOR FOR BICYCLE}
본 발명은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전거를 타는 운전자의 생식기, 회음부 및 엉덩이에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을 줄여주는 자전거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자전거에 대한 수요와 그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교통비를 절약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출퇴근용 또는 통학용으로 자전거를 많이 애용하고 있으며, 교통수단으로의 이용뿐만 아니라 산악 자전거, 하이킹 등의 다양한 레포츠로도 활용되어 자전거의 활용이 상당히 보편화 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자전거의 안장은 자전거의 페달링 동작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앞부분이 긴 삼각형 모양으로 마련된다.
자전거 운전자는 이러한 작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자전거를 주행하게 되는데, 상기 자전거 안장은 착석 감을 높이고 주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일반 적으로 스펀지와 같은 쿠션부재 또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하지만, 현재의 자전거 안장은 충분한 완충효과를 거두지 못하여 자전거 전용 유니폼 바지 등에 구성된 완충패드가 활성화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오랜 시간 자전거 안장에 착석할 경우 엉덩이에 누적되는 피로와 도로의 요철에 의해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자전거의 안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상쇄되지 못하고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오랜 시간 자전거 운행을 하게 되면 남성의 경우 전립선등에 질병을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36532호 (20160629) "보호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라이딩 시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회음부위를 보호하고 장시간 라이딩 시 편안하여 피로도를 낮추도록 하는 목적의 보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자전거용 보호대는, 자전거 승차시 안장과 접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보호대로서,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침 지지하는 쿠션 시트부; 상기 사용자의 하부 복부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쿠션 시트부에서 정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는 복부 받침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 시트부와 상기 복부 받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사용자에 착용되도록 상기 쿠션 시트부 및 상기 복부 받침부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부 받침부는, T자와 유사한 형태로서 한 쌍의 결속 부재가 양 단부에 상기 벨트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하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상기 쿠션 시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결속 부재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하는 허리 벨트; 및 상기 쿠션 시트부의 후측과 상기 허리 벨트가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상하 조절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금속 와이어로서, 측면에서 볼 경우 완곡한 L 자 형태로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쿠션 시트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사용자와 접하지 않도록 중앙부가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쿠션 시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수용하는 형태를 가지며, 탄성을 가지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된 판형 프레임; 및 쿠션 재질로서 상기 판형 프레임에 덧붙여지도록 형성되는 부착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 쿠션은, 상기 사용자의 회음부 부분과 접하지 않도록 중앙 부분에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가 정면 측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중앙 부분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한상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의 수평 방향 절곡부분을 상기 쿠션 시트부의 하측 면에 길이 조절 가능한 형태로 고정하는 조절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수평 방향 절곡부분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보호대에 의하면,
사용자의 복부와 엉덩이 부분 3점 지지가 되므로 체중이 한 지점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몸의 숙임 정도가 다를 때 모두 회음부에 프레임이 닿지 않으므로 피로도를 줄여 장시간 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전거용 보호대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자전거용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쿠션 시트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탄력에 의해 프레임부가 사용자의 회음 부분을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보호대의 실물 사진이다.
도 8은 부분 절단한 쿠션 시트부의 실물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자전거용 보호대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고, 도 3은 자전거용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쿠션 시트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탄력에 의해 프레임부가 사용자의 회음 부분을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6 및 도 7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보호대의 실물 사진이고, 도 8은 부분 절단한 쿠션 시트부의 실물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보호대(1000)는 자전거 승차시 안장(A)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보호대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보호대(1000)는 바지 위에 착용하는 형태로서, 쿠션 시트부(100), 복부 받침부(200), 프레임부(300), 벨트부(400) 및 조절 브라켓(500)을 포함한다.
쿠션 시트부(10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침 지지한다. 쿠션 시트부(100)는 안장(A)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이 사용자의 엉덩이에 바로 전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구성을 위해 쿠션 시트부(100)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 부분과, 쿠션감을 형성하기 위한 쿠션 부분의 결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 즉, 사용자의 엉덩이(H)와 접하는 면-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젤리와 같은 형태의 쿠션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쿠션 시트부(100)로서, 판형 프레임(120)에 부착 쿠션(110)이 부착되는 형태를 가진다.
판형 프레임(120)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수용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판형 프레임(120)은 전면 부분이 개방된 형태인 접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판형 프레임(120)은 탄성을 가지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프레스 가공 또는 절곡 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판형 프레임(120)은 부착 쿠션(110)에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의 함몰된 부분(V2)을 형성하도록 파여진 형태의 함몰부(V2')를 포함한다.
도 8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판형 프레임(120)은 사용자의 엉덩이와 마주하는 부분에 관통공 형태의 함몰부(V2')를 포함한다. 또한 판형 프레임(120)은 후측 테두리 부분에 접시 형태를 가지도록 펼쳐진 탄성 부재(121)를 구비한다.
경량화를 위해 판형 프레임(12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탄성 부재(121)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판형 프레임(120)에 리벳 접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1)가 엉덩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므로 라이딩 자세 변화에 따라 밀착성 있게 착용될 수 있다.
부착 쿠션(110)은 판형 프레임(120) 상에 얹힘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 8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형 프레임(120)을 둘러싸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부착 쿠션(110)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부분(V2)을 좌우 대칭 형태로 구비한다. 부착 쿠션(110)의 중앙 부분에 함몰된 함몰부를 중앙 함몰부(V1)이라고 부르기고 한다.
부착 쿠션(110)은 중앙 함몰부(V1)가 사용자와 접하지 않도록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즉, 사용자의 회음부, 낭심 부분이 압박되지 않도록 깊게 움푹 파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함몰부(V1)가 완전히 파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함몰부(V1)는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개방된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 이때, 부착 쿠션(110)은 중앙 함몰부(V1)의 돌출에 맞추어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11)에 의해 허벅지 안쪽의 살이 안장(A)에 집히는 것이 방지된다.
복부 받침부(200)는 사용자의 복수 하측 부분(즉, 하복부)을 지지하도록 쿠션 시트부(100)에서 정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부 받침부(200)는 T자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복부 받침부(200)는 한 쌍의 결속 부재(B2)가 양 단부에 구비된다. 결속 부재(B2)는 벨트를 결속하는 클립으로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 부재(B2)는 벨트부(400)에 구비되는 결속 부재(B1)와 결합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결속 부재(B2)는 피메일 타입이고, 결속 부재(B1)는 메일 타입이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형태일 뿐으로서, 도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자에 따라 결속 부재(B2, B1)는 공지된 결속 부재중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 할 수 있다.
복부 받침부(200)는 사용자의 복부와 접하는 부분에 쿠션 패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부 받침부(200)는 프레임부(300)를 통해 쿠션 시트부(100)와 연결된다.
프레임부(3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쿠션 시트부(100)와 복부 받침부(200)를 연결한다.
프레임부(3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완곡한 L자 형태로 절곡된 것이다. 프레임부(300)는 견고하되 탄성을 가지는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부(30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를 복부 받침부(200)에 고정하는 연결부재(310) 및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 부재(33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10)는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의 절곡된 부분의 수직 부분을 수용하는 형태로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복부 받침부(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의 수직 분분이 복부 받침대(200)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몰딩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격 부재(330)는 L자형 절곡 부분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격 부재(330)는 알루미늄 판재를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에 맞추어 절곡하여 부착한 것이다. 이격 부재(330)는 중앙 부분이 사용자 측으로 완곡하게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사용자가 자세를 앞으로 숙이는 격한 페달링의 경우 이격 부재(330)가 안장(A)의 코 부분에 걸리는 방식으로 지지되므로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도 5에는 라이딩 자세에 따라 쿠션 시트부(100)가 안장(A)과 접할 수도 있고, 이격 부재(330)가 안장(A)의 코 부분에 접하는 것이 설명되어 있다.
사용자가 자세를 앞으로 숙일 경우 복부 받침부(200)가 자세 변화에 맞추어 앞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 또한 앞으로 기울어진다. 이격 부재(330)는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의 L자 절곡 지점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회음부(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신체 부위 참조)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은 쿠션 시트부(100)의 양측 엉덩이 부분 및 복부 받침부(200)의 3지점으로 인가되며, 인가된 체중은 이격 부재(330)가 받아 안장(A)에 전가되므로 회음부에는 어떠한 압력도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불편함 없이 장시간 라이딩이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부(300)의 수평 방향 절곡 부분(즉,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의 수평 방향 절곡 부분)은 쿠션 시트부(100)의 하측 면에 길이 조절 가능한 형태로 고정된다.
조절 브라켓(500)에 의해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가 고정된다.
이때, 한 쌍의 금속 와이어(320)의 수평 방향 절곡 부분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H)을 포함하고, 조절 브라켓(500)의 조절에 의해 프레임부(300)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복부 받침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브라켓(500)은 도시된 형태로 실시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와이어(320)의 길이 조절한 형태라면 어느 형태로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벨트부(400)는 본 발명의 자전거용 보호대(1000)가 사용자에 착용되도록 쿠션 시트부(100) 및 복부 받침부(200)를 연결한다.
벨트부(400)는 허리 벨트(410) 및 상하 조절 벨트(420)를 포함한다. 허리 벨트(410)는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결속 부재(B2)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한다. 허리 벨트(410)의 양 단부에는 결속 부재(B2)에 대응되는 타입의 결속 부재(B1)이 구비된다.
상하 조절 벨트(420)는 쿠션 시트부(100)의 후측과 허리 벨트(410)가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부분을 연결한다. 상하 조절 벨트(420)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쿠션 시트부(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허리 벨트(410) 및 상하 조절 벨트(420)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세 변화에 사용자의 체형과 몸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탄성이 있는 고무벨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자전거용 보호대
100 : 쿠션 시트부
200 : 복부 받침부
300 : 프레임부
400 : 벨트부
500 : 조절 브라켓

Claims (8)

  1. 자전거 승차시 안장과 접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보호대로서,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침 지지하는 쿠션 시트부;
    상기 사용자의 하부 복부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쿠션 시트부에서 정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는 복부 받침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 시트부와 상기 복부 받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사용자에 착용되도록 상기 쿠션 시트부 및 상기 복부 받침부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부 받침부는,
    T자 형태로서 한 쌍의 결속 부재가 양 단부에 상기 벨트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하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상기 쿠션 시트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호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결속 부재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하는 허리 벨트; 및
    상기 쿠션 시트부의 후측과 상기 허리 벨트가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상하 조절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호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금속 와이어로서, 측면에서 볼 경우 완곡한 L 자 형태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호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시트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사용자와 접하지 않도록 중앙부가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호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시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수용하는 형태를 가지며, 탄성을 가지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된 판형 프레임; 및
    쿠션 재질로서 상기 판형 프레임에 덧붙여지도록 형성되는 부착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호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착 쿠션은,
    상기 사용자의 회음부 부분과 접하지 않도록 중앙 부분에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가 정면 측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중앙 부분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한상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호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수평 방향 절곡부분을 상기 쿠션 시트부의 하측 면에 길이 조절 가능한 형태로 고정하는 조절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수평 방향 절곡부분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호대.
KR1020210004998A 2021-01-14 2021-01-14 자전거용 보호대 KR10259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98A KR102595587B1 (ko) 2021-01-14 2021-01-14 자전거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98A KR102595587B1 (ko) 2021-01-14 2021-01-14 자전거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725A KR20220102725A (ko) 2022-07-21
KR102595587B1 true KR102595587B1 (ko) 2023-11-01

Family

ID=82610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998A KR102595587B1 (ko) 2021-01-14 2021-01-14 자전거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5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51744A1 (en) * 2016-09-28 2019-05-23 Kyle Liou Yang A multi-directional flexible dynamically adjustable protection apparatus
JP2019218669A (ja) * 2018-06-15 2019-12-26 岬環境プラン株式会社 自転車用尻痛防止装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532B1 (ko) 2014-12-10 2016-07-05 (주)신티에스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51744A1 (en) * 2016-09-28 2019-05-23 Kyle Liou Yang A multi-directional flexible dynamically adjustable protection apparatus
JP2019218669A (ja) * 2018-06-15 2019-12-26 岬環境プラン株式会社 自転車用尻痛防止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725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608A (en) Saddle assembly
US5765912A (en) Bicycle saddle having resilient forward nose
US6652025B2 (en) Bicycle seat
US20070102970A1 (en) Anatomically correct bicycle saddle
US6149230A (en) Bicycle saddle
US4850643A (en) Bicycle seat
US20070108808A1 (en) Bicycle saddle
KR20000016411A (ko) 자전거 안장
US6176546B1 (en) Bicycle saddle
KR102595587B1 (ko) 자전거용 보호대
KR100456832B1 (ko) 자전거 안장
KR20090103857A (ko) 자전거 안장
US6755464B2 (en) Bicycle seat
KR101636532B1 (ko)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KR200408628Y1 (ko) 자전거 안장
ES2863273T3 (es) Sillín para bicicleta
US20040113470A1 (en) Prostate protecting bicycle seat
KR20150139370A (ko) 자전거 안장
KR102226118B1 (ko) 자전거용 보호대
KR102283421B1 (ko) 골반교정 및 예방을 겸비한 기능성 자전거 안장
EP1896318B1 (en) Structure of saddle in particular for cycles, motorcycles and pedal machines
KR200398863Y1 (ko) 자전거
DK2464557T3 (en) bicycle saddle
KR20220001164U (ko) 오토바이 헬멧 받침대
KR101080741B1 (ko) 자전거 안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