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741B1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741B1
KR101080741B1 KR1020110073594A KR20110073594A KR101080741B1 KR 101080741 B1 KR101080741 B1 KR 101080741B1 KR 1020110073594 A KR1020110073594 A KR 1020110073594A KR 20110073594 A KR20110073594 A KR 20110073594A KR 101080741 B1 KR101080741 B1 KR 10108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elt
bicycle
suppor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494A (ko
Inventor
박성운
Original Assignee
박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운 filed Critical 박성운
Priority to KR102011007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7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의 전진 방향과 직각이고 지면과 대향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위치한 수평 파이프와 상기 수평 파이프의 중앙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결합된 안장지지바를 포함하는 'T'자형 안장지지대,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수평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된 안장프레임, 상기 안장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벨트 지지부재, 및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벨트 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엉덩이받침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자전거 전진 방향으로의 길이인 폭이 사용자가 앉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만을 지지하고 넓적다리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사용자의 회음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없어 회음부를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넓적다리와 접촉되지 않고 엉덩이부만을 받쳐주기 때문에 페달링이 원활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시 자전거 사용자의 회음부를 압박하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의 넓적다리와 접촉되지 않아서 상기 사용자의 페달링을 방해하지 않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자원고갈과 지구 온난화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용이 더욱 증가될 것이다. 자전거를 타는 것은 건강에 이로우나 종래의 자전거 안장은(이하 안장으로 칭함) 양쪽다리가 페달을 돌리는 동작(이하 페달링으로 칭함)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 부분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넓게 만들어져 있었다.
이러한 안장의 구조는 사용자의 회음부를 압박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는 발기부전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서 회음부와 접촉되는 안장의 일부 부분을 공간으로 하거나 오목하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회음부와 접촉되는 부분 외에도 엉덩이부를 받쳐주는 면적도 축소가 되어 사용자 엉덩이 부가 단위 면적당 받는 하중이 커지거나 특정부위에서 집중 하중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개선 방법으로 회음부 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없는 사각형태의 안장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안장의 앞쪽 직선 부분이 사용자의 탑승자세에 따라서 사용자의 넓적 다리 하부와 접촉이 되어 페달링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시 사용자의 회음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없어 회음부를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넓적다리와도 접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의 페달링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엉덩이부를 받쳐주는 면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보다 증가시킴으로써 승차감이 편안한 안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의 전진 방향과 직각이고 지면과 대향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위치한 수평 파이프와 상기 수평 파이프의 중앙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결합된 안장지지바를 포함하는 'T'자형 안장지지대,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수평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된 안장프레임, 상기 안장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벨트 지지부재, 및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벨트 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엉덩이받침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자전거 전진 방향으로의 길이인 폭이 사용자가 앉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만을 지지하고 넓적다리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파이프는 양단에 각각 클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안장프레임은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수평 파이프의 양단에 삽입되어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타측 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ㄴ'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는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 지지부재에는 각각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는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 벨트 고정쇠가 상기 고리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벨트 지지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 고정쇠는 평판으로 구성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고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사용자의 회음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없어 회음부를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넓적다리와 접촉되지 않고 엉덩이부만을 받쳐주기 때문에 페달링이 원활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엉덩이받침 벨트의 하부 영역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 안장에 앉으면 상기 벨트가 사용자 엉덩이부와 함께 상기 공간내에서 아래로 처져서 사용자 엉덩이부만을 자연스럽게 감싸주기 때문에 승차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이 적용된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
도2와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한 자전거 안장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도,
도4는 도2에 도시한 벨트 고정쇠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과 본 발명에 따른 안장에 각각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과 본 발명에 따른 안장에 각각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7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과 본 발명에 따른 안장이 각각 사용자의 엉덩이부를 받치고 있는 치수와 면적을 나타낸 비교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이 적용된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와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한 자전거 안장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도이며, 도4는 도2에 도시한 벨트 고정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자전거라 함은 차체, 핸들, 크랭크축, 페달, 안장 및 상기 안장을 차체에 결합시키는 안장지지바를 구비한 통상의 운송용 자전거 및 헬스용 실내 자전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질은 일반적인 벨트와 같이 직물이나 가죽이나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며 중앙부의 폭이 양끝단의 폭 보다 큰 형상으로서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엉덩이받침 벨트(30)와, 'ㄷ'자형 고리(20c)가 수평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벨트 지지부재(20b)와 일단에 상기 벨트 지지부재(20b)가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ㄴ'자형 고정부재(20a)로 구성되는 안장프레임(20)과, 파이프로 구성되며 'T'자형으로 상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파이프의 좌측과 우측 끝단 각각에 클램프(10a)를 구비하고 중앙에는 안장지지바(10b)가 지면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T'자형 안장지지대(10)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으로 일단은 갈고리 모양으로 벤딩되어 있으며 다른 일단의 평면 부에 'ㅁ'자형 구멍 두 개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뚫려 있는 벨트 고정쇠(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품들은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안장을 구성하는데, 먼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지지부재(20b)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ㄴ'자형 고정부재(20a)를 상기 'T'자형 안장지지대(10)의 왼쪽과 오른쪽 파이프에 각각 삽입하고 클램프(10a)로 각각 고정하며, 상기 벨트 지지부재(20b)가 자전거 전진 방향을 전방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안장지지바(10b)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안장지지바(10b)를 안장지지바 튜브(5)에 삽입하고 안장지지바 고정클램프(6)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30)의 좌측과 우측 끝단을 상기 벨트 고정쇠(40)의 'ㅁ'자형 구멍에 각각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기 벨트 고정쇠(40)의 벤딩부를 상기 안장지지바(10b)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ㄷ'자형 고리(20c)에 각각 끼워서 넣는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30)는 자전거 전진 방향과 직각으로 고정되어 자전거 안장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이 사용되는 모습을 종래기술에 따른 자전거 안장과 비교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도5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과 본 발명에 따른 안장에 각각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이고, 도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과 본 발명에 따른 안장에 각각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7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과 본 발명에 따른 안장이 각각 사용자의 엉덩이부를 받치고 있는 치수와 면적을 나타낸 비교표이다.
이때, 도6과 도7에 표시된 치수는 종래 안장의 경우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평균적이라고 판단되는 안장의 치수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시제품 제작 치수이다. 그러므로, 선택하는 제품에 따라서 다소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작용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엉덩이부 하부의 소정 영역은 공간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 안장에 앉으면 엉덩이받침 벨트(30)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처져서 사용자 엉덩이부만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안장은 양끝단 일부를 제외한 엉덩이받침 벨트(30)의 전체가 사용자 엉덩이 부를 지지한다.
도6에 표시한 부위의 실측 치수들로써 사용자 엉덩이 부를 지지하는 면적을 계산하면 도7에 나타낸 표와 같다. 종래기술에 따른 안장 형상은 3차원이나 사용자 엉덩이 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평면에 가까우므로 계산의 용이성을 위하여 이차원으로 투영하여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회음부와 넓적다리쪽 엉덩이 부분에는 안장부가 전혀 없어 사용자 회음부에 전혀 압력을 가하지 않으며 또한 사용자의 넓적다리와도 접촉이 없기 때문에 페달링이 원활하다.
또한, 도7에 나타낸 표와 같이 종래 안장보다 엉덩이 부를 지지하는 면적이 35% 더 넓어서 사용자 엉덩이 부가 받는 단위 면적당 하중이 작아서 승차감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 벨트 고정쇠(40)에 삽입되는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30)가 고정되는 장력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30)는 유연한 재질이므로 상기 'ㄷ'자형 고리(20c)에 고정되어도 자전거 전진과 후진방향으로 약간의 유연성이 있어, 사용자의 탑승 자세는 물론 페달링시에도 순간순간 안장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조정돼 더욱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1: 차체 2: 핸들
3: 크랭크축 4: 페달
5: 안장지지바 튜브 6: 안장지지바 고정클램프
10: 'T'자형 안장지지대 10a: 클램프
10b: 안장지지바 20: 안장프레임
20a: 'ㄴ'자형 고정부재 20b: 벨트 지지부재
20c: 'ㄷ'자형 고리 30: 엉덩이받침 벨트
40: 벨트 고정쇠

Claims (6)

  1. 자전거의 전진 방향과 직각이고 지면과 대향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위치한 수평 파이프와, 상기 수평 파이프의 중앙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결합된 안장지지바를 포함하는 'T'자형 안장지지대;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수평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된 안장프레임;
    상기 안장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며, 각각 고리가 형성된 벨트 지지부재; 및
    양측 단부에 구비된 벨트 고정쇠가 각각 상기 벨트 지지부재의 고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엉덩이받침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벨트 고정쇠는 평판으로 구성되어 일측 단부는 상기 고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자전거 전진 방향으로의 길이인 폭이 사용자가 앉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만을 지지하고 넓적다리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파이프는 양단에 각각 클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안장프레임은,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수평 파이프의 양단에 삽입되어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타측 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ㄴ'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는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 벨트는 벨트 고정쇠와의 결합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1020110073594A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KR10108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94A KR101080741B1 (ko)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94A KR101080741B1 (ko)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196A Division KR101080740B1 (ko) 2009-09-13 2009-09-13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494A KR20110091494A (ko) 2011-08-11
KR101080741B1 true KR101080741B1 (ko) 2011-11-07

Family

ID=4492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594A KR101080741B1 (ko)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7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494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992B2 (en) Ergonomic saddle structure
KR102197425B1 (ko) 자전거 안장
US20100069801A1 (en) Rowing massage machine
US7255360B2 (en) Rider support assembly for multi-wheeled vehicle
US20070235479A1 (en) Child carrier
KR101080740B1 (ko) 자전거 안장
KR102109534B1 (ko) 자전거 안장
US9688329B2 (en) Ergonomic seat for a cycle
US6705674B1 (en) Seat for two- or three-wheeled vehicle
KR101080741B1 (ko) 자전거 안장
KR100861230B1 (ko) 자전거 안장
KR102332986B1 (ko)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KR200417492Y1 (ko) 자전거 안장
US20060049611A1 (en) Bicycle Mounting Apparatus
KR200408628Y1 (ko) 자전거 안장
US8342608B1 (en) Therapeutic back support
KR200299057Y1 (ko) 자전거 안장
KR101027253B1 (ko) 자전거 안장축 스프링 장치
KR101407695B1 (ko) 음경 압박 방지용 자전거 안장
KR102595587B1 (ko) 자전거용 보호대
KR20190130861A (ko) 자전거 안장
CN218390349U (zh) 助力椅
TWM457487U (zh) 座椅結構改良
KR101161288B1 (ko) 의자용 등받이
EP2668871B1 (en) Chair backre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