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42Y1 - 기능성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기능성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42Y1
KR200471942Y1 KR2020120004904U KR20120004904U KR200471942Y1 KR 200471942 Y1 KR200471942 Y1 KR 200471942Y1 KR 2020120004904 U KR2020120004904 U KR 2020120004904U KR 20120004904 U KR20120004904 U KR 20120004904U KR 200471942 Y1 KR200471942 Y1 KR 200471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node
hula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245U (ko
Inventor
조동규
Original Assignee
조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규 filed Critical 조동규
Priority to KR2020120004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4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훌라후프 단위체를 결합하여 원형의 훌라후프를 형성토록 하되, 훌라후프의 사용시 사용자의 허리, 윗배, 아랫배에 자극을 주어 당해 부위의 살을 빼기 용이하도록 한 기능성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중공의 라운드진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훌라후프 마디와; 훌라후프 마디의 끼움돌기가 타 훌라후프 마디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훌라후프 마디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연장된 형성된 돌출 연장부와; 첨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첨단부에는 다수개의 지압편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훌라후프 마디로부터 돌출 연장부 방향으로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게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수의 지압돌기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훌라후프{Functionable hula hoop}
본 고안은 기능성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훌라후프 마디를 결합하여 원형의 훌라후프를 형성토록 하되, 훌라후프의 사용시 사용자의 허리, 윗배, 아랫배에 자극을 주어 당해 부위의 살을 빼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훌라후프는 허리운동을 겸한 놀이도구로 경질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진 링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링의 내주면에 허리를 맞데고 하와이의 훌라댄서처럼 허리를 흔들어 상기 링이 땅에 떨어지지 않게 돌리며 노는 것이기 때문에 훌라후프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허리를 이용하여 일정한 회전을 반복시키는 운동 유희구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훌라후프는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회전시켜 훌라후프에 탄력을 전달하므로 훌라후프가 계속하여 허리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허리를 사용하여 링형상의 훌라후프에 탄력을 전달하므로 사용자의 허리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나아가, 체지방 분해로 인한 복부비만을 해소하는 운동기구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훌라후프는 사출 성형 등의 가공으로 관상체를 제조하고, 이를 일정한 길이의 직선상 관상체로 절단한 후, 양 절단면을 접합시켜 링형 관체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훌라후프 구조물이 일체 구성되는 형태이므로 보관 및 이동시에 상당한 점유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압돌기를 구비하는 분할가능 훌라후프가 개시되었는데, 다수의 훌라후프 단위체를 서로 끼워맞춤하여 원형의 훌라후프를 완성하는 것이며, 각 훌라후프 단위체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각 훌라후프 단위체를 서로 결합하면 원형의 훌라후프 내부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훌라후프를 돌려주면 허리부위가 지압돌기와 접촉하면서 허리부위의 살을 집중적으로 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지압돌기를 구비하는 분할가능 훌라후프는 각 훌라후프 단위체를 서로 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각 훌라후프 단위체는 내부가 빈 상태로 구성하고, 일측에는 끼움돌기를 형성하게 되며, 끼움돌기가 끼워진 후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이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각 고정공 사이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탄성클립이 끼움돌기 안쪽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지압돌기를 구비하는 분할가능 훌라후프는 지압돌기가 각 훌라후프 단위체의 중앙부에만 구비되어 있어 훌라후프를 돌리더라도 항상 사용자의 일부위에만 지압돌기가 접촉될 수밖에 없어 이러한 지압돌기 접촉부위만 집중적으로 살이 빠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훌라후프가 커질 경우 각 훌라후프 단위체를 고정시켜주는 부위가 2군데가 되며, 따라서 탄성클립 역시 2개가 사용되는 것이어서 각각의 탄성클립을 각 고정공에 끼워주는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클립 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KR 10-2002-0039723호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훌라후프 단위체를 결합하여 원형의 훌라후프를 형성토록 하되, 훌라후프의 사용시 사용자의 허리, 윗배, 아랫배에 자극을 주어 당해 부위의 살을 빼기 용이하도록 한 기능성 훌라후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공의 라운드진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훌라후프 마디; 상기 훌라후프 마디의 끼움돌기가 타 훌라후프 마디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훌라후프 마디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연장된 형성된 돌출 연장부; 및 첨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첨단부에는 다수개의 지압편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훌라후프 마디로부터 상기 돌출 연장부 방향으로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게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수의 지압돌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연장부는 상기 각 훌라후프 마디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안쪽 방향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연장부 중 상부 돌출 연장부와 하부 돌출연장부는 서로 교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훌라후프 마디의 끼움돌기와 반대측 단부에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2개씩의 고정공과, 상기 2개씩의 고정공에 한꺼번에 끼움되어 그 끼움위치를 고정하도록 하나의 탄성 몸체로부터 2개의 고정돌기가 분지된 형상의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각 훌라후프 마디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 연장부가 형성되고, 훌라후프 마디로부터 돌출 연장부 방향으로 다수의 지압돌기가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이므로 훌라후프를 돌려주면 상부 돌출 연장부로부터 하부 돌출 연장부까지의 폭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각각의 지압돌기가 사용자의 허리, 윗배, 아랫배와 접촉되면서 이들 부위를 자극하여 균형있게 살을 빼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돌출 연장부는 안쪽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가 나온 사람들의 경우에도 윗배와 아랫배에 무조건 접촉될 수 있어 그 효과를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상부 돌출 연장부와 하부 돌출 연장부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고, 각 지압돌기가 훌라후프 마디로부터 돌출 연장부까지 수평상 겹치지 않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므로 각각의 지압돌기에 의한 통증이 순차적으로 발생되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각 훌라후프 마디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클립이 하나의 탄성 몸체로부터 2개의 고정돌기가 분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고정클립의 체결 작업이 한 작업으로 끝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고정클립 하나만 사용하면서도 2개의 고정부위를 고정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훌라후프 마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조립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고정클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조립부위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조립부위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는,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라운드진 관체 형상의 훌라후프 마디(10)의 일측 단부에 끼움돌기(11)가 형성되어 이러한 끼움돌기(11)가 타 훌라후프 마디(10)의 반대측 단부에 끼워져 원형의 훌라후프를 형성하게 된다.
훌라후프 마디(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삼각형상의 돌출 연장부(20)가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첨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첨단부에는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압편(14)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압돌기(13)가 훌라후프 마디(10)로부터 돌출 연장부(20) 방향으로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게 경사지게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훌라후프 마디(10)의 상하부에 돌출 연장부(20)를 형성하는 이유는 지압돌기(13)를 상부와 하부까지 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훌라후프의 부피, 무게 및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돌출 연장부(20)는, 사용자의 체형과 상관없이 사용자의 윗배와 아랫배에 무조건 접촉될 수 있도록 각 훌라후프 마디(1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안쪽 방향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 지압돌기(13)가 훌라후프 마디(10)로부터 각 돌출 연장부(20) 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되도록 돌출 연장부(20) 중 상부 돌출 연장부(21)와 하부 돌출연장부(22)는 서로 교호로 형성된다.
아울러, 훌라후프 마디(10)의 끼움돌기(11)가 타 훌라후프 마디(10)의 반대측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은 훌라후프 마디(10)의 끼움돌기(11)와 반대측 단부에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2개씩의 고정공(12)(15)과, 2개씩의 고정공(12)(15)에 한꺼번에 끼움되어 그 끼움위치를 고정하도록 하나의 탄성 몸체(31)로부터 2개의 고정돌기(32)가 분지된 형상의 고정클립(30)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때, 탄성 몸체(31)의 절곡부위는 실질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부위가 되므로 도면과 같이 중간이 비어 있는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절곡이 용이하면서도 더욱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각 훌라후프 마디(10)의 끼워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다른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각 훌라후프 마디(10)를 준비하여 각 훌라후프 마디(10)의 끼움돌기(11)를 다른 훌라후프 마디(10)의 반대측 단부에 끼워주는 동작을 반복하여 원형의 훌라후프를 완성하게 된다.
각 훌라후프 마디(10)의 끼움돌기(11) 안쪽에는 하나의 탄성 몸체(31)로부터 2개의 고정돌기(32)가 분지된 형상의 고정클립(30)이 끼워져 있으므로 각 훌라후프 마디(10)의 끼움돌기(11)를 다른 훌라후프 마디(10)의 반대측 단부에 끼워주기만 하면 끼움돌기(11)에 형성된 2개의 고정공(12)이 타 훌라후프 마디(10)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2개의 고정공(15)과 일치되는 시점에서 고정클립(30)의 각 고정돌기(32)가 탄력적으로 각 고정공(12)(15)에 체결되어 각 훌라후프 마디(10)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훌라후프를 사용하게 되며, 훌라후프를 돌려주면 훌라후프 마디(10)로부터 돌출 연장부(20) 방향으로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다수의 지압돌기(13)가 사용자의 윗배, 허리, 아랫배에 순차 접촉되어 사용자의 살을 빼주게 된다.
즉, 각각의 훌라후프 마디(10)에서 각 지압돌기(13)는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게 훌라후프 마디(10)로부터 돌출 연장부(2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훌라후프를 돌려주면 상부 돌출 연장부(21)에서부터 하부 돌출 연장부(22)까지의 폭에 해당하는 부위에서는 모두 지압돌기(13)와 접촉될 수밖에 없으며, 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적용하면 사용자의 윗배, 허리, 아랫배에 빠짐없이 지압돌기(13)가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훌라후프 마디(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 연장부(20)는 안쪽 방향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뱃살이 많더라도 이와는 상관없이 사용자의 윗배와 아랫배에 무조건 지압돌기(13)가 접촉할 수 있어 살빼주는 효과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돌출 연장부(21)와 하부 돌출 연장부(22)는 서로 교호로 형성되어 있고, 각 지압돌기(13)는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게 훌라후프 마디(10)로부터 돌출 연장부(2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훌라후프를 돌려주면 각각의 지압돌기(13)는 한꺼번에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각 지압돌기(13)의 배치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어 한꺼번에 접촉하는 것에 비해 통증이 완화되는 이점도 있게 되며, 상부 돌출 연장부(21)와 하부 돌출 연장부(22)가 서로 교호로 형성됨에 따라 훌라후프의 상하면은 전체에서 파형을 이룰 수 있어 훌라후프를 돌려주면 마치 파도가 치는 것과 같은 현상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훌라후프를 돌려주기만 하여도 생동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및 제3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운동 효과 및 구매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각 지압돌기(13)의 끝부분에는 세라믹 등으로 된 다수의 지압편(14)이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각 지압편(14)이 사용자의 허리, 윗배, 아랫배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각 지압편(14)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사용자의 신체 내부로 침투하여 세포를 활성화해줌으로써 신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한편, 각 훌라후프 마디(10)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클립(30)이 하나의 탄성 몸체(31)로부터 2개의 고정돌기(32)가 분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고정클립(30)의 체결 작업이 한 작업으로 끝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고정클립(30) 하나만 사용하면서도 2개의 고정부위를 고정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10 : 훌라후프 마디 11 : 끼움돌기
12,15 : 고정공 13 : 지압돌기
14 : 지압편 20 : 돌출 연장부
21 : 상부 돌출 연장부 22 : 하부 돌출 연장부
30 : 고정클립 31 : 탄성 몸체
32 : 고정돌기

Claims (4)

  1. 중공의 라운드진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훌라후프 마디;
    상기 훌라후프 마디의 끼움돌기가 타 훌라후프 마디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훌라후프 마디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연장된 형성된 돌출 연장부,
    상기 돌출 연장부는 상기 각 훌라후프 마디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안쪽 방향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첨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첨단부에는 다수개의 지압편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훌라후프 마디로부터 상기 돌출 연장부 방향으로 수평상 서로 겹치지 않게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수의 지압돌기를 포함하여서 된 기능성 훌라후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연장부 중 상부 돌출 연장부와 하부 돌출연장부는 서로 교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훌라후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훌라후프 마디의 끼움돌기와 반대측 단부에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2개씩의 고정공과, 상기 2개씩의 고정공에 한꺼번에 끼움되어 그 끼움위치를 고정하도록 하나의 탄성 몸체로부터 2개의 고정돌기가 분지된 형상의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훌라후프.
KR2020120004904U 2012-06-11 2012-06-11 기능성 훌라후프 KR200471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04U KR200471942Y1 (ko) 2012-06-11 2012-06-11 기능성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04U KR200471942Y1 (ko) 2012-06-11 2012-06-11 기능성 훌라후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45U KR20130007245U (ko) 2013-12-19
KR200471942Y1 true KR200471942Y1 (ko) 2014-03-27

Family

ID=5148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904U KR200471942Y1 (ko) 2012-06-11 2012-06-11 기능성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62U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이고진 무게조절 훌라후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480Y1 (ko) 2000-03-09 2000-09-01 정성식 훌라후프
KR100690203B1 (ko) 2006-11-23 2007-03-13 주식회사 베스타 중량부재가 구비된 훌라후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480Y1 (ko) 2000-03-09 2000-09-01 정성식 훌라후프
KR100690203B1 (ko) 2006-11-23 2007-03-13 주식회사 베스타 중량부재가 구비된 훌라후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62U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이고진 무게조절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45U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6550A1 (en) Rolling Ball Massager
KR200471942Y1 (ko) 기능성 훌라후프
KR20210071299A (ko) 조립식 통합형 폼롤러
KR200490425Y1 (ko) 무게조절 훌라후프
JP5708915B2 (ja) マッサージ具
KR20130062782A (ko) 안마봉
KR100787933B1 (ko) 훌라후프
CN201481241U (zh) 多功能理疗组合盆
KR200184432Y1 (ko) 지압 돌기를 갖는 조립식 훌라후프
KR200233163Y1 (ko)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200184381Y1 (ko) 훌라후프용 지압돌기
RU2515365C2 (ru) Кистевой эспандер-массажер аван n20-11
JP2002191716A (ja) 運動用具
JP3081733U (ja) フラフープ
KR200439711Y1 (ko) 지압용 훌라후프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Sadikova ADAPTED SWIMMING AND AQUATIC THERAPY AS A PART OF THE THERAPEUTIC PROGRAM FOR CHILDREN WITH POOR POSTURE
JP3089623U (ja) 多機能の健康輪
KR200188610Y1 (ko) 훌라후프 고정용 지압돌기의 끼움부재
KR200206977Y1 (ko) 휴대 및 건강증진용 후프
KR20010046585A (ko) 훌라후프용 지압돌기
KR200187850Y1 (ko) 훌라우프
KR200232385Y1 (ko) 훌라후프
KR200362622Y1 (ko) 훌라후프
KR200470264Y1 (ko) 물놀이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