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782A - 안마봉 - Google Patents

안마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782A
KR20130062782A KR1020110129213A KR20110129213A KR20130062782A KR 20130062782 A KR20130062782 A KR 20130062782A KR 1020110129213 A KR1020110129213 A KR 1020110129213A KR 20110129213 A KR20110129213 A KR 20110129213A KR 20130062782 A KR20130062782 A KR 20130062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bamboo
shape
protrus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섭
Original Assignee
김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섭 filed Critical 김춘섭
Priority to KR102011012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782A/ko
Publication of KR2013006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6Hand percussion, i.e.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절편을 중첩시켜 접착한 후 원기둥 형상으로 가공하여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결합시켜 길이가 짧은 원기둥은 안마부를, 길이가 긴 원기둥은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안마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안마부의 일측 혹은 양측에는 구멍을 파 안마시 신체와 접촉할 때 공기가 압축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압에 의해 파동이 신체 내로 전달됨으로써 질병치료의 효과가 있으며, 대나무 절편을 이용하므로 대나무의 활용성이 높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마봉{Massage Stick}
본 발명은 안마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절편을 중첩하여 접착시킨 후 원기둥 형상으로 가공하여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결합한 안마봉에 관한 것이다.
안마는 몸을 두드리거나 주물러서 생체기능을 활성화하여 건강증진 또는 질병치료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타인에 의해 시술받거나 별도의 안마기구를 이용하여 신체의 일 부위를 타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안마기구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안마기구 중 전기를 이용한 자동안마기구는 무게가 무겁고 별도의 전원을 반드시 공급하여야 하므로 사용 영역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특히, 노약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매우 불편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사용영역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팔운동을 겸할 수 있는 수동 안마기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332348에는 안마봉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안마봉은 신체의 각 부위를 두드리는 안마부와, 상기 안마부에서 절곡되게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대략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마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대나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안마봉은 대나무의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속이 비어 있어 가볍기는 하지만, 인체를 두드림에 있어 그 힘이 약해 안마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안마봉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형 상태의 대나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대나무의 활용성이 낮고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안마부와 손잡이부의 결합방식이 원형 상태의 대나무에서 일정 부분을 절취한 후 절곡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그 결합방식이 한정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 대나무 또는 작은 대나무부터 큰 대나무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대나무의 활용성이 높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인체를 두드리는 힘이 강한 안마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마부와 손잡이부를 결합할 때에 접착제뿐만 아니라 못, 볼트와 너트, 고정핀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어 그 결합방법이 간단하고, 안마부와 손잡이부의 결합력이 우수한 안마봉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체의 경락부를 두드리기 위한 안마부와;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안마부와 'ㄱ'자 또는 'T'자 형상으로 결합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안마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형성된 일정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마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 및 삽입홈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과,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마부 및 손잡이부는 편평한 대나무 절편을 여러 개 중첩시켜 접착한 후 원기둥 형상으로 가공하여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마부의 타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일정 깊이의 요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T'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안마봉에서 안마부의 일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지압용 돌기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이 형성된 상기 안마부 단부의 외측 단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 축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신체와의 접촉면적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안마봉은 대나무를 원형 그대로 가공하여 절곡하여 만드는 대신 대나무를 절편하므로, 폐 대나무는 물론 작은 대나무부터 큰 대나무까지 모두 활용 가능하여 대나무의 활용성이 높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나무 절편을 중첩하여 접착시키므로 안마봉의 무게가 증가하여 인체에 두드리는 힘이 강해져 안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안마부와 손잡이부를 결합할 때에 접착제뿐만 아니라 못, 볼트와 너트, 고정핀 등 간단한 방법을 이용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마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마봉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마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마봉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마봉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마봉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마봉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안마봉은 납작한 대나무 절편을 중첩하여 접착시킨 후 원기둥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한 길이가 짧은 안마부(100)와, 길이가 긴 손잡이부(200)를 'ㄱ'자 형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전체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마부(100)의 일단부에는 손잡이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12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20)과 돌출부(210)는 안마봉의 속이 꽉 차 있으므로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삽입홈(120)과 돌출부(210)에는 삽입홈(120)과 돌출부(210)의 결합을 위한 구멍(121)이 형성된다. 이 구멍(121)에는 고정핀(130)이 삽입되어 삽입홈(120)과 돌출부(210)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고정핀(130)은 원기둥, 별기둥, 삼각기둥, 네모기둥 등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맞게 구멍(121)도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삽입홈(120)과 돌출부(210)의 결합시 접착제를 이용해 결합시킨 후 고정핀을 이용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안마부(100)와 손잡이부(200)의 결합 방법은 위의 방법뿐만 아니라, 못, 너트와 볼트,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안마부(100)의 타단부에는 두드림에 의해 직접적으로 신체와 접촉하는 요홈(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110)은 신체와 접촉할 때에 요홈(110) 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파동이 신체 내로 침투되고, 환자의 질병코드에 해당하는 파동의 역이 되어 질병으로 인한 일그러진 파동을 중화시키거나 다시 원래대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요홈(110)은 안마부(100)에 의해 타격을 받는 신체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요홈(110)이 형성된 안마부(100)의 타단부의 외측 단면은 신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해 손잡이부(200)의 중심축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110)은 원기둥형뿐만 아니라, 원뿔형, 사각기둥형 등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0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음각패턴이 있는 그립(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립(220)은 안마시 손에서 안마봉이 쉽게 벗어나지 않는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여러 음각패턴을 통해 타격부위에 안마시 손바닥에 지압효과를 줄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부(200)의 하단에는 손잡이부(200)를 관통하는 손잡이 구멍(2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 구멍(230)에 줄이나 끈을 이용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벽에 걸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마봉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안마봉은 안마부(100)와 손잡이부(200)를 'T'자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의 안마봉과 동일 개념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전체 구성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마부(100)의 중간에 손잡이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12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홈(120)과 돌출부(210)에는 삽입홈(120)과 돌출부(210)의 결합을 위한 구멍(121)이 형성된다. 이 구멍(121)에는 고정핀(130)이 삽입되어 삽입홈(120)과 돌출부(210)를 결합시킨다.
이 실시예의 안마봉은 안마부(100)와 손잡이부(200)를 결합할 경우 삽입홈(120)의 중심에서 안마부의 양단부까지의 길이(L1과 L2)가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그 길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길이가 긴 쪽은 등이나 허리 등을 안마하는데 수월하고, 길이가 짧은 쪽은 발바닥이나 종아리 등을 좀 더 수월하게 안마할 수 있다.
한편, 안마부(100)의 양단부에는 요홈(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110)이 형성된 안마부(100) 단부의 외측 단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안마부(100)의 일단부에는 요홈(110)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요홈(110)이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요홈(110)이 형성되지 않는 타단부의 외측 단면은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마봉의 사시도와 전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안마봉은 안마부(100)의 일단부에는 요홈(110)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지압용 돌기(140)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제2 실시예의 안마봉과 동일 개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안마봉의 경우에는 안마봉을 가지고 안마뿐만 아니라 발바닥이나 손바닥 등 지압을 할 수 있는 신체 부위에 지압의 효과를 줄 수도 있다. 여기서, 지압용 돌기(140)는 원뿔 형태뿐만 아니라 돔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마봉은 대나무 절편을 이용하므로 대나무 원래의 형상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은 대나무부터 큰 대나무, 폐 대나무 등 여러 가지 종류의 대나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나무 절편을 중첩하여 접착시킨 후 원기둥 형태로 절삭하여 만듦으로써 대나무 원래의 형상을 이용한 안마봉 보다 무게가 더 나가는 이점이 있어 안마시 두드리는 힘이 강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안마부 110 : 요홈
120 : 삽입홈 121 : 구멍
130 : 고정핀 140 : 지압용 돌기
200 : 손잡이부 210 : 돌출부
220 : 그립 230 : 손잡이 구멍

Claims (4)

  1. 인체의 경락부를 두드리기 위한 안마부와;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안마부와 'ㄱ'자 또는 'T'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안마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형성된 일정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마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 및 삽입홈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과,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마부 및 손잡이부는 편평한 대나무 절편을 여러 개 중첩시켜 접착한 후 원기둥 형상으로 가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마부의 타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일정깊이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안마봉에서 안마부의 일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지압용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봉.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홈이 형성된 상기 안마부 단부의 외측 단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신체와의 접촉면적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봉.
KR1020110129213A 2011-12-05 2011-12-05 안마봉 KR20130062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13A KR20130062782A (ko) 2011-12-05 2011-12-05 안마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13A KR20130062782A (ko) 2011-12-05 2011-12-05 안마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782A true KR20130062782A (ko) 2013-06-13

Family

ID=4886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213A KR20130062782A (ko) 2011-12-05 2011-12-05 안마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7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7680A (zh) * 2013-07-28 2015-02-11 辜朝刚 一种经络拍
KR101693737B1 (ko) * 2015-12-21 2017-01-23 배삼훈 소뿔형 공기압 파동 마사지 안마봉
CN109662882A (zh) * 2019-01-23 2019-04-23 湖南中医药大学 一种中医康复用经络敲打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7680A (zh) * 2013-07-28 2015-02-11 辜朝刚 一种经络拍
KR101693737B1 (ko) * 2015-12-21 2017-01-23 배삼훈 소뿔형 공기압 파동 마사지 안마봉
CN109662882A (zh) * 2019-01-23 2019-04-23 湖南中医药大学 一种中医康复用经络敲打装置
CN109662882B (zh) * 2019-01-23 2021-05-14 湖南中医药大学 一种中医康复用经络敲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6550A1 (en) Rolling Ball Massager
KR20130062782A (ko) 안마봉
CN203886126U (zh) 预防下肢静脉血栓的足踝伸屈运动器
KR200489881Y1 (ko) 전신 마사지도구
KR200418237Y1 (ko) 전신 마사지 및 지압구
CN205379452U (zh) 按摩器的改良结构
CN207306872U (zh) 摆动端按摩器
CN201668696U (zh) 带有人体穴位图的健身脚盆
WO2018166283A1 (zh) 摆动端按摩器
TWI601495B (zh) Used to walk the walking stick grip structure
JP3153288U (ja) 腹部押圧治療具
CN201469640U (zh) 推腹按摩器
CN2449705Y (zh) 穴位按摩棒
CN204016844U (zh) 一种足部按摩仪
KR200360470Y1 (ko) 줄넘기의 손잡이
KR200279986Y1 (ko) 지압 겸용 맛사지봉
RU24837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момассажа аван 21-6
CN205924445U (zh) 一种健身器材
CN209286087U (zh) 一种偏心推拿按摩头部件
KR200212259Y1 (ko) 휴대가 용이한 지압구
RU52329U1 (ru) Массажер
KR101853251B1 (ko) 조합형 괄사판
KR200318373Y1 (ko) 지압봉
JP3106959U (ja) 健康下駄
ITRM20010225A1 (it) Zoccoli autostimolanti per effettuare una terapia zonale con punti distimolazione variab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