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927Y1 - 연극용 인형 - Google Patents

연극용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927Y1
KR200419927Y1 KR2020060009679U KR20060009679U KR200419927Y1 KR 200419927 Y1 KR200419927 Y1 KR 200419927Y1 KR 2020060009679 U KR2020060009679 U KR 2020060009679U KR 20060009679 U KR20060009679 U KR 20060009679U KR 200419927 Y1 KR200419927 Y1 KR 200419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finger
head
joi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이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환 filed Critical 이명환
Priority to KR2020060009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4Dolls into which the fingers of the hand can be inserted, e.g. hand-pupp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63J19/006Puppets or marionettes therefo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손으로 인형을 조작할 수 있어 양손으로 2개의 인형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연극용 인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몸통과 엉덩이 및 다리는 고정되고, 머리는 힌지결합되며, 팔은 관절부를 통해 몸통에 연결되는 인형부;와, 한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상기 인형부의 머리와 관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양측에 작동부재가 연결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인형부를 고정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는 엄지와, 검지와, 중지를 통해 인형의 관절부와 머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와 손가락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형, 연극, 작동부재, 손가락

Description

연극용 인형{A Doll For A Puppet Show}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극용 인형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극용 인형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인형부의 팔이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 제 1작동도,
도 4는 인형부의 머리가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 제 2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형부 110: 몸통
111: 핀스프링 120: 머리
130: 팔 140: 엉덩이
141: 수평절개부 150: 다리
160: 관절부 161: 수평이동조인트
162: 수직이동조인트 170: 작동바
180: 와이어 200: 조작부
210: 손잡이 211: 손가락걸림부
220: 작동부재 221: 손가락삽입부
300: 연결대
본 고안은 한손으로 인형을 조작할 수 있어 양손으로 2개의 인형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연극용 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통과 엉덩이 및 다리는 고정되고, 머리는 힌지 결합되며, 팔은 관절부를 통해 몸통에 연결되는 인형부;와, 한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상기 인형부의 머리와 관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양측에 작동부재가 연결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인형부를 고정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는 엄지와, 검지와, 중지를 통해 인형의 관절부와 머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와 손가락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은 사람이나 동물과 비슷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특히 유아 또는 여성들에게 흥미를 갖게 하는데, 근래에 이르러 인형의 구조 및 기능이 날로 다양화되면서 인형을 갖는 대상 층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연극용 인형은 일반 인형과 달리 머리, 팔, 다리 등을 움직일 수 있는 관절부가 존재하고, 상기 관절부는 실을 연결한 인형 조정장치를 통해 조정을 하게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극용 인형은 주로 양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작이 매우 어려워 숙달된 전문가가 아니면 제어를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연극을 할 때에는 많은 사람이 복잡하게 분주하게 움직여야만 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도 크게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인형을 조정하는 사람은 2개 이상의 인형을 조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손으로 인형을 조작할 수 있어 양손으로 2개의 인형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연극용 인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한손으로 인형을 조작할 수 있어 양손으로 2개의 인형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연극용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몸통과 엉덩이 및 다리는 고정되고, 머리는 힌지 결합되며, 팔은 관절부를 통해 몸통에 연결되는 인형부;와, 한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상기 인형부의 머리와 관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양측에 작동부재가 연결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인형부를 고정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는 엄지와, 검지와, 중지를 통해 인형의 관절부와 머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와 손가락걸림부가 구비되는 구조의 연극용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몸통과 엉덩이 및 다리는 고정되고, 머리는 힌 지결합되며, 팔은 관절부를 통해 몸통에 연결되는 인형부;와, 한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상기 인형부의 머리와 관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양측에 작동부재가 연결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인형부를 고정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는 엄지와, 검지와, 중지를 통해 인형의 관절부와 머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와 손가락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조작부는 상기 인형부의 관절부와 머리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케이블 및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작동부재는 관절부를 통해 손잡이의 양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손가락삽입부는 상기 각 작동부재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손잡이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작동부재는 인형부의 양측 팔과 작동바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손가락걸림부는 인형부의 머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 관절부는 4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양측에 수평이동조인트와 수직이동조인트가 동시 구비된 4축이동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인형부의 머리는 핀스프링이 삽입되어 탄성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작동부재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연극용 인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극용 인형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극용 인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손으로 인형을 조작할 수 있어 양손으로 2개의 인형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연극용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극용 인형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관절부(160)를 통해 머리(120)와 팔(130)이 움직이는 인형부(100)와, 상기 인형부(100)의 관절부(160)를 조정하여 머리와 팔을 제어하는 조작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형부(100)는 몸통(110)과 엉덩이(140) 및 다리(150)는 고정되고, 머리(120)는 힌지 결합되며, 팔(130)은 관절부(160)를 통해 몸통(11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인형부(100)는 연결대(300)를 통해 조작부(200)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인형부(100)의 관절부(160)는 4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양측에 수평이동조인트(161)와 수직이동조인트(162)가 동시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인형부(100)는 머리(120)에 핀스프링(111)이 삽입되어 있어 탄성 복귀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조작부(200)는 손바닥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1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210)의 양측으로는 작동부재(220)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그 전체적인 형상은 "T"자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작동부재(220)는 인형부(100)의 관절부(160)와 동일한 관절부(160)를 통해 손잡이(2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조작부(200)는 엄지와, 검지와, 중지를 통해 인형부(100)의 관절부(160)와 머리(12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221)와 손가락걸림부(21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손가락삽입부(221)는 상기 각 작동부재(2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엄지와 검지가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작동부재(220)는 작동바(170)를 통해 인형부(100) 의 관절부(160)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손가락걸림부(211)는 상기 손잡이(2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인형부(100)의 머리(120)와 와이어(180)를 통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 때 손가락걸림부(211)는 와이어(180)가 연결되므로, 인형부(100)의 머리(120)를 아래로 당기기만 할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인형부(100)의 머리에는 탄성 복귀될 수 있도록 핀스프링(111)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220)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동부재(220)는 2개의 관체로 구성되되, 손가락삽입부(221)가 고정된 관체가 관절부(160)가 고정된 관체에 삽입하는 구조로, 고정핀을 통해 그 수평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손가락삽입부(221)는 밴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밴드는 벨크로테입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맞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인형부(100)의 엉덩이(140)에는 수평절개부(141)가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걸림부(211)에 연결된 와이어(180)가 엉덩이(140)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3은 인형부의 팔이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 제 1작동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220)에 고정된 손가락삽입부(221)에 엄 지 또는 검지를 삽입하여 인형부(100)의 팔(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인형부(100)의 팔(130)이 작동부재(220)와 작동바(17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가능하다.
따라서 작동바(170)를 통해 작동부재(220)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인형부(100)의 팔(130)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작동은 이하와 같다.
도 3의 첫번째 도면과 같이, 먼저 작동부재(220)를 전방으로 밀면, 인형부(100)의 관절부(160)에 형성된 수평이동조인트(161)가 움직여 인형부(100)의 팔이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아울러 도 3의 두번째 도면과 같이, 작동부재(220)를 아래도 당기면, 인형부(100)의 관절부(160)에 형성된 조직이동조인트(162)가 움직여 인형부(100)의 팔(130)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인형부(100)의 팔(130)을 4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도 4는 인형부의 머리가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 제 2작동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형부(100)의 머리(120)와 손잡이(210)에 고정된 손가락걸림부(211)는 각각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인형부(100)의 머리에는 핀스프링(111)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손가락걸림부(211)에 중지를 걸쳐지게 하여 인형부(100)의 머리(120) 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인형부(100)의 머리(120)와 손가락걸림부(211)가 와이어(18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가능하다.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손가락걸림부(211)를 아래로 당기면 머리(120)는 와이어(180)의 당김에 따라 아래로 숙여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인형부(100)의 머리(120)에 삽입된 핀스프링(111)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후 손가락걸림부(211)에 걸쳐진 중지의 힘을 빼면 인형부(100)의 머리(120)에 삽입된 핀스프링(111)의 압축이 풀리면서 인형부(100)의 머리는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극용 인형에 따르면, 관절부(160)가 수평이동조인트(161) 및 조직이동조인트(162)로 이루어진 구조 이외에, 음료수 빨대의 주름과 같은 연질의 플라스틱 구조 또는 고무재질로 하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극용 인형에 각 관절부(160)에 핀스프링(111)을 삽입하여, 조작자의 작동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극용 인형에 따르면,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도 쉽게 인형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한손으로 인형을 조작할 수 있어 양손으로 2개의 인형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협소한 장소에서도 인형의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몸통과 엉덩이 및 다리는 고정되고, 머리는 힌지결합되며, 팔은 관절부를 통해 몸통에 연결되는 인형부;와,
    한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상기 인형부의 머리와 관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양측에 작동부재가 연결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인형부를 고정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는 엄지와, 검지와, 중지를 통해 인형의 관절부와 머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와 손가락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관절부를 통해 손잡이의 양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부는 상기 각 작동부재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손잡이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인형부의 양측 팔과 작동바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손가락걸림부는 인형부의 머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4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양측에 수평이동조인트와 수직이동조인트가 동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부의 머리는 핀스프링이 삽입되어 탄성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용 인형.
KR2020060009679U 2006-04-11 2006-04-11 연극용 인형 KR200419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679U KR200419927Y1 (ko) 2006-04-11 2006-04-11 연극용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679U KR200419927Y1 (ko) 2006-04-11 2006-04-11 연극용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927Y1 true KR200419927Y1 (ko) 2006-06-26

Family

ID=4448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679U KR200419927Y1 (ko) 2006-04-11 2006-04-11 연극용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59B1 (ko) 2006-11-15 2007-10-04 이명환 연극용 인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59B1 (ko) 2006-11-15 2007-10-04 이명환 연극용 인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3340B2 (en) Animation puppet
US5286228A (en) Toy mechanical hand
US7976398B2 (en) Golf swing formation aid
US20190262730A1 (en) Toy figurine having alternative movement configurations
KR200419927Y1 (ko) 연극용 인형
US4643694A (en) Hand controlled puppet
US4863164A (en) String pickup game
US5478269A (en) Toy figure having grasping claw
KR200419928Y1 (ko) 연극용 인형
CN104001328A (zh) 玩具装置
US2586432A (en) Boxing toy
EP3380206B1 (en) A mechanical toy
EP1010449B1 (en) Puppets and character representations
KR100760659B1 (ko) 연극용 인형
US6409572B1 (en) Big mouth doll
KR200176490Y1 (ko) 인형 및 그 조종 장치
GB2193651A (en) Live action toy footballer
JP3087470U (ja) 人形玩具
CN107362504B (zh) 一种训练儿童手指灵活性的装置
KR200281745Y1 (ko) 탄력 밴드를 이용한 인형
KR200391283Y1 (ko) 자석을 이용한 가변 인형
CN107362554B (zh) 一种训练儿童表演能力的装置
CN211963055U (zh) 一种人型立方体串智力玩具
RU2102099C1 (ru) Кукла для театра универсальная
KR200289749Y1 (ko) 인형극용 인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