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592B1 - 휴대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592B1
KR102074592B1 KR1020180130823A KR20180130823A KR102074592B1 KR 102074592 B1 KR102074592 B1 KR 102074592B1 KR 1020180130823 A KR1020180130823 A KR 1020180130823A KR 20180130823 A KR20180130823 A KR 20180130823A KR 102074592 B1 KR102074592 B1 KR 10207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ink
link member
b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준
Original Assignee
윤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준 filed Critical 윤희준
Priority to KR102018013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592B1/ko
Priority to US17/290,462 priority patent/US20220032105A1/en
Priority to CN201980070838.9A priority patent/CN112969512A/zh
Priority to PCT/KR2019/009693 priority patent/WO202009119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골반, 허벅지, 가슴 등의 신체 단련에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X자형 링크부재(110)의 일단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120)가 제1 핀(LP11) 및 제2 핀(LP1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X자형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130)가 제3 핀(LP13) 및 제4 핀(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1 핀(LP11)과 제2 핀(LP12) 사이에 제1 스프링(140)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140)의 상단이 제1 핀(LP11)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140)의 하단이 제2 핀(LP12)에 연결되며, 제3 핀(LP13)과 제4 핀(LP14) 사이에 제2 스프링(120)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150)의 상단이 제3 핀(LP13)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150)의 하단이 제4 핀(LP14)에 연결되며, 제1 꺽쇠 링크부재(120)의 제5 핀(LP16)에 제1 신체일부 지지대(160)의 중간 연결부(165)가 연결되고,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제6 핀(LP16)에 제2 신체일부 지지대(170)의 중간 연결부(175)가 연결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운동기구{Fortable exercising device for body}
본 발명은 골반, 허벅지, 가슴, 팔과 같은 신체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휴대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X자형 링크부재의 양단이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와 핀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꺽쇠 링크부재에 신체일부 지지대가 각각 장착되며, X자형 링크부재의 양 단부에 스프링이 각각 연결되어 신체일부 지지대에 힘을 가하여 X형 링크부재가 접히거나 펴질 때 스프링이 인장되는 휴대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이 개발하여 특허등록 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3095호에는 '골반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골반운동기구는 긴 띠를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한 쌍의 원호 부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원호부재의 양단부가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원호 부재의 중앙에 무릅받침대가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골반운동기구는 무릎을 오무릴 때 압축 탄성이 작용하도록 원호 부재의 크기가 어느 정도 커야하기 때문에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 상기 골반운동기구는 골반, 허벅지등의 하부신체 강화에만 이용할 수 있는 구조여서 가슴이나, 팔등의 상부신체 강화에 이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130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상부 및 하부 신체 단련에 이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자형 링크부재의 양단이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와 핀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꺽쇠 링크부재에 신체일부 지지대가 각각 장착되며, X자형 링크부재의 양 단부에 스프링이 각각 연결되어 신체일부 지지대에 힘을 가하여 X형 링크부재가 접히거나 펴질 때 스프링이 인장되도록 함으로써, 골반, 허벅지, 가슴, 팔등의 근육을 강화 할 수 있으며, X자형 링크부재의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X자형 링크부재를 복수개 연결하고 각각의 X자형 링크부재에 스프링을 체결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의 일예는,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X자형 링크부재와,
상기 X자형 링크부재의 양단에 연결되는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와,
각각의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에 고정되는 신체일부 지지대와,
상기 신체일부 지지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X자형 링크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그 X자형 링크부재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신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자형 링크부재는 복수개가 연이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에 입설되는 손잡이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의 다른 예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X자형 링크부재(110)의 일단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120)가 제1 핀(LP11) 및 제2 핀(LP1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X자형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130)가 제3 핀(LP13) 및 제4 핀(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1 핀(LP11)과 제2 핀(LP12) 사이에 제1 스프링(140)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140)의 상단이 제1 핀(LP11)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140)의 하단이 제2 핀(LP12)에 연결되며, 제3 핀(LP13)과 제4 핀(LP14) 사이에 제2 스프링(120)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150)의 상단이 제3 핀(LP13)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150)의 하단이 제4 핀(LP14)에 연결되며, 제1 꺽쇠 링크부재(120)의 제5 핀(LP16)에 제1 신체일부 지지대(160)의 중간 연결부(165)가 연결되고,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제6 핀(LP16)에 제2 신체일부 지지대(170)의 중간 연결부(17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는, 하단이 제5 핀(LP15)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1 손잡이 부재(180)와, 하단이 제6 핀(LP16)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2 손잡이 부재(1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자형 링크부재(110)는 제1 링크바(111)와 제2 링크바(11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1 링크바(111)의 중심과 제2 링크바(113)의 중심이 센터 링크핀(115)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링크바(111)의 상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120)의 상부 링크바(121)의 상단과 제1 핀(LP11)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링크바(111)의 하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하부 링크바(133)의 하단과 제4 핀(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2 링크바(113)의 상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상부 링크바(131)의 하단과 제3 핀(LP13)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링크바(113)의 하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120)의 하부 링크바(123)의 제2 핀(LP1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의 다른 예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와, 제2 X자형 링크부재(220)가 제1 핀(LP21) 및 제2 핀(LP22)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230)가 제3 핀(LP23) 및 제4 핀(LP2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X자형 링크부재(220)에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240)가 제5 핀(LP25) 및 제6 핀(LP26)에 의해 연결되며, 제1 핀(LP21)과 제2 핀(LP22) 사이에 제1 스프링(251)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251)의 상단이 제1 핀(LP21)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251)의 하단이 제2 핀(LP22)에 연결되며, 제3 핀(LP23)과 제4 핀(LP24) 사이에 제2 스프링(253)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253)의 상단이 제3 핀(LP23)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253)의 하단이 제4 핀(LP24)에 연결되고, 제5 핀(LP25)과 제6 핀(LP25) 사이에 제3 스프링(255)이 배치되어, 제3 스프링(255)의 상단이 제5 핀(LP25)에 연결되고, 제3 스프링(255)의 하단이 제6 핀(LP26)에 연결되며, 제1 꺽쇠 링크부재(230)의 제7 핀(LP27)에 제1 신체일부 지지대(260)의 중간 연결부(265)가 연결되고, 제2 꺽쇠 링크부재(240)의 제8 핀(LP28)에 제2 신체일부 지지대(270)의 중간 연결부(273)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운동기구는, 하단이 제7 핀(LP27)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1 손잡이 부재(280)와, 하단이 제8 핀(LP28)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2 손잡이 부재(2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X자형 링크부재(210)는 제1 링크바(211)와 제2 링크바(21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1 링크바(211)의 중심과 제2 링크바(213)의 중심이 제1 센터 링크핀(215)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링크바(211)의 상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230)의 상부 링크바(231)의 상단과 제3 핀(LP23)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링크바(211)의 하단이 제2 X자형 링크부재(220)의 제4 링크바(223) 하단과 제2 핀(LP22)에 의해 연결되며, 제2 링크바(213)의 상단에 제2 X자형 링크부재(220)의 제3 링크바(221) 상단과 제1 핀(LP21)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링크바(213)의 하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230)의 하부 링크바(233) 하단과 제4 핀(LP2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X자형 링크부재(220)는 제3 링크바(221)와 제4 링크바(22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3 링크바(221)의 중심과 제4 링크바(223)의 중심이 제2 센터 링크핀(225)에 의해 연결되며, 제3 링크바(221)의 상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의 제2 링크바(213) 상단과 제1 핀(LP21)에 의해 연결되고, 제3 링크바(221)의 하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240)의 하부 링크바(243)의 하단과 제6 핀(LP26)에 의해 연결되며, 제4 링크바(223)의 하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의 제1 링크바(211)의 하단과 제2 핀(LP22)에 의해 연결되고, 제4 링크바(223)의 상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240)의 상부 링크바(241) 상단과 제5 핀(LP25)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는 양 무릎이나 양 손을 이용하여 신체일부 지지대에 힘을 가하거나 푸는 것을 반복하는 것으로 골반, 가슴 등 근육 강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X자형 링크부재를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충분한 인장력 유지가 가능하고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X자형 링크부재의 설치 개수를 용이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동기구 시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가 양 무릎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가 양 무릎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가 양 무릎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가 양 무릎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X자형 링크부재(110)의 일단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120)가 제1 핀(LP11) 및 제2 핀(LP12)에 의해 연결되고, X자형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130)가 제3 핀(LP13) 및 제4 핀(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1 핀(LP11)과 제2 핀(LP12) 사이에 제1 스프링(140)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140)의 상단이 제1 핀(LP11)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140)의 하단이 제2 핀(LP12)에 연결된다.
제3 핀(LP13)과 제4 핀(LP14) 사이에는 제2 스프링(150)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150)의 상단이 제3 핀(LP13)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150)의 하단이 제4 핀(LP14)에 연결된다.
한편, 제1 꺽쇠 링크부재(120)의 제5 핀(LP15)에 신체일부 지지대를 구성하는 제1 무릎받침대(160)의 중간 연결부(165)가 연결되고,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제 6핀(LP16)에 제2 무릎받침대(170)의 중간 연결부(175)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제5 핀(LP15)에 제1 손잡이 부재(180)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1 손잡이 부재(180)가 상하로 입설되어 고정되고, 제6 핀(LP16)에 제2 손잡이 부재(185)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2 손잡이 부재(185)가 상하로 입설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손잡이 부재(180) 및 제2 손잡이 부재(185)는 운동기구 이용시 운동기구의 이탈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X자형 링크부재(110)는 제1 링크바(111)와 제2 링크바(11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1 링크바(111)의 중심과 제2 링크바(113)의 중심이 센터 링크핀(115)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링크바(111)의 상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120)의 상부 링크바(121)의 상단과 제1 핀(LP11)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링크바(111)의 하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하부 링크바(133)의 하단과 제4 핀(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2 링크바(113)의 상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상부 링크바(131)의 상단과 제3 핀(LP13)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링크바(113)의 하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120)의 하부 링크바(123)의 제2 핀(LP1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꺽쇠 링크부재(120)는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12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12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123)의 상단이 제5 핀(LP1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꺽쇠 링크부재(130)는 제1 꺽쇠 링크부재(120)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13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13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133)의 상단이 제6 핀(LP16)에 의해 연결된다.
제1 꺽쇠 링크부재(120) 및 제2 꺽쇠 링크부재(130)의 상부 링크바와 하부링크바는 제5 핀(LP15) 및 제6 핀(LP16)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체일부 지지대를 구성하는 제1 무릎받침대(16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불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165)가 일체로 구성된다.
제2 무릎받침대(17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불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175)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의 동작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양 무릎 사이에 휴대를 운동기구(1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호 형태의 제1 무릎받침대(160)와 제2 무릎받침대(170)를 자신의 무릎에 걸고, 양 손으로 제1 손잡이 부재(180)와 제2 손잡이 부재(185)를 각각 잡는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무릎에 힘을 주어 제1 무릎받침대(160)와 제2 무릎받침대(170)에 화살표(191,193)를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X자형 링크부재(110)가 이점쇄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접히게 되면서 제1 및 제2 스프링(140,150)에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그 인장력에 대응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무릎에 가한 힘을 서서히 줄이면 제1 및 제2 스프링(140,150)의 복원력에 의해 X자형 링크부재(110)가 이점쇄선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무릎을 오므렸다 풀었다를 반복하여 골반과 관련된 근육 및 허벅지 등과 같은 하체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인장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X자형 링크부재를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충분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휴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어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와 제2 X자형 링크부재(220)가 제1 핀(LP21) 및 제2 핀(LP22)에 의해 연결되고,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230)가 제3 핀(LP23) 및 제4 핀(LP24)에 의해 연결되고, 제2 X자형 링크부재(220)에 '<'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240)가 제5 핀(LP25) 및 제6 핀(LP26)에 의해 연결되며, 제1 핀(LP21)과 제2 핀(LP22) 사이에 제1 스프링(251)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251)의 상단이 제1 핀(LP21)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251)의 하단이 제2 핀(LP22)에 연결된다.
제3 핀(LP23)과 제4 핀(LP24) 사이에는 제2 스프링(253)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253)의 상단이 제3 핀(LP23)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253)의 하단이 제4 핀(LP24)에 연결된다.
제5 핀(LP25)과 제6 핀(LP26) 사이에 제3 스프링(255)이 배치되어, 제3 스프링(255)의 상단이 제5 핀(LP25)에 연결되고, 제3 스프링(255)의 하단이 제6 핀(LP26)에 연결된다.
한편, 제1 꺽쇠 링크부재(230)의 제7 핀(LP27)에 신체일부 지지대를 구성하는 제1 무릎받침대(260)의 중간 연결부(265)가 연결되고, 제2 꺽쇠 링크부재(240)의 제 8핀(LP28)에 제2 무릎받침대(270)의 중간 연결부(273)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제7 핀(LP27)에 제1 손잡이 부재(280)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1 손잡이 부재(280)가 상하로 입설되어 고정되고, 제8 핀(LP28)에 제2 손잡이 부재(285)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2 손잡이 부재(285)가 상하로 입설되어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X자형 링크부재(210)는 제1 링크바(211)와 제2 링크바(21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1 링크바(211)의 중심과 제2 링크바(213)의 중심이 제1 센터 링크핀(215)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링크바(211)의 상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230)의 상부 링크바(231)의 상단과 제3 핀(LP23)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링크바(211)의 하단이 제2 X자형 링크부재(220)의 제4 링크바(223) 하단과 제2핀(LP22)에 의해 연결되며, 제2 링크바(213)의 상단이 제2 X자형 링크부재(220)의 제3 링크바(221)의 상단과 제1 핀(LP21)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링크바(213)의 하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230)의 하부 링크바(233) 하단과 제4 핀(LP2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X자형 링크부재(220)는 제3 링크바(221)와 제4 링크바(22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3 링크바(221)의 중심과 제4 링크바(223)의 중심이 제2 센터 링크핀(225)에 의해 연결되며, 제3 링크바(211)의 상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의 제2 링크바(213)의 상단과 제1 핀(LP21)에 의해 연결되고, 제3 링크바(221)의 하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240)의 하부 링크바(243) 하단과 제6 핀(LP26)에 의해 연결되며, 제4 링크바(223)의 하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의 제1 링크바(211) 하단과 제2 핀(LP22)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4 링크바(223)의 상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240)의 상부 링크바(241) 상단과 제5 핀(LP2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꺽쇠 링크부재(230)는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23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23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233)의 상단이 제7 핀(LP2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꺽쇠 링크부재(240)는 제1 꺽쇠 링크부재(230)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24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24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243)의 상단이 제8 핀(LP28)에 의해 연결된다.
제1 꺽쇠 링크부재(230) 및 제2 꺽쇠 링크부재(240)의 상부 링크바와 하부링크바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체일부 지지대를 구성하는 제1 무릎받침대(26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불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265)가 일체로 구성된다.
제2 무릎받침대(27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불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273)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의 동작은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양 무릎 사이에 휴대를 운동기구(2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호 형태의 제1 무릎받침대(260)와 제2 무릎받침대(270)를 자신의 무릎에 걸고, 양 손으로 제1 손잡이 부재(280)와 제2 손잡이 부재(285)를 각각 잡는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무릎에 힘을 주어 제1 무릎받침대(260)와 제2 무릎받침대(270)에 화살표(291,293)를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와 제2 X자형 링크부재(220)가 이점쇄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접히게 되면서 제1 내지 제2 스프링(251,253, 255)에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그 인장력에 대응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무릎에 가한 힘을 서서히 줄이면 제1 내지 제3 스프링(251,253, 255)의 복원력에 의해 제1 X자형 링크부재(210)와 제2 X자형 링크부재(220)가 이점쇄선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무릎을 오므렸다 풀었다를 반복하여 골반과 관련된 근육 및 허벅지 등과 같은 하체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인장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제1 X자형 링크부재(210) 및 제2 X자형 링크부재(220)를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충분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휴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어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제1 X자형 링크부재(310)와 제2 X자형 링크부재(320)가 제1 핀(LP31) 및 제2 핀(LP32)에 의해 연결되고, 제1 X자형 링크부재(310)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330)가 제3 핀(LP33) 및 제4 핀(LP34)에 의해 연결되고, 제2 X자형 링크부재(320)에 '<'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340)가 제5 핀(LP35) 및 제6 핀(LP36)에 의해 연결되며, 제1 핀(LP31)과 제2 핀(LP32) 사이에 제1 스프링(351)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351)의 상단이 제1 핀(LP31)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351)의 하단이 제2 핀(LP32)에 연결된다.
제3 핀(LP33)과 제4 핀(LP34) 사이에는 제2 스프링(353)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353)의 상단이 제3 핀(LP33)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353)의 하단이 제4 핀(LP34)에 연결된다.
제5 핀(LP35)과 제6 핀(LP36) 사이에 제3 스프링(355)이 배치되어, 제3 스프링(355)의 상단이 제5 핀(LP35)에 연결되고, 제3 스프링(355)의 하단이 제6 핀(LP36)에 연결된다.
상기 제1 꺽쇠 링크부재(330)는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33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33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333)의 상단이 제7 핀(LP3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꺽쇠 링크부재(340)는 제1 꺽쇠 링크부재(330)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34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34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343)의 상단이 제8 핀(LP38)에 의해 연결된다.
또, 신체일부 지지대를 구성하는 제1 무릎받침대(360)의 중간 연결부(365)에 제1 손잡이 부재(380)가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입설되도록 장착되고, 제1 손잡이 부재(380)는 한쌍의 하부 고정구(381) 및 상부 고정구(382)를 개재하여 제1 꺽쇠 링크부재(330)와 연결된다. 하부 고정구(381)의 일단은 중간 연결부(365)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1 손잡이 부재(38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꺽쇠 링크부재(330)의 하부 링크바(333)의 중간에 제9 핀(LP39)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고정구(382)의 일단은 중간 연결부(365)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1 손잡이 부재(3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 꺽쇠 링크부재(330)의 상부 링크바(331)의 중간에 제10 핀(LP40)에 의해 연결된다.
또, 신체일부 지지대를 구성하는 제2 무릎받침대(370)의 중간 연결부(373)에 제2 손잡이 부재(385)가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입설되도록 장착되고, 제2 손잡이 부재(385)는 한쌍의 하부 고정구(383) 및 상부 고정구(384)를 개재하여 제2 꺽쇠 링크부재(340)와 연결된다. 하부 고정구(383)의 일단은 중간 연결부(373)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2 손잡이 부재(385)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꺽쇠 링크부재(340)의 하부 링크바(343)의 중간에 제11 핀(LP41)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고정구(384)의 일단은 중간 연결부(373)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2 손잡이 부재(385)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꺽쇠 링크부재(340)의 상부 링크바(341)의 중간에 제12 핀(LP4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고정구를 개재하여 꺽쇠 링크부재를 손잡이 부재와 연결함으로써 스프링의 신축시 꺽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와 하부 링크바 사이에 각도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무릎받침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신체일부 지지대의 중간 연결부(365,373)와, 하부 고정구(381,383)의 측부에는 나사 홀을 형성하고 그 나사 홀에 나사를 체결하여 손잡이 부재(380,38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스토퍼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X자형 링크부재(310)는 제1 링크바(311)와 제2 링크바(31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1 링크바(311)의 중심과 제2 링크바(313)의 중심이 제1 센터 링크핀(315)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링크바(311)의 상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330)의 상부 링크바(331)의 상단과 제3 핀(LP33)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링크바(311)의 하단이 제2 X자형 링크부재(320)의 제4 링크바(323) 하단과 제2핀(LP32)에 의해 연결되며, 제2 링크바(313)의 상단이 제2 X자형 링크부재(320)의 제3 링크바(321)의 상단과 제1 핀(LP31)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링크바(313)의 하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330)의 하부 링크바(333) 하단과 제4 핀(LP3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X자형 링크부재(320)는 제3 링크바(321)와 제4 링크바(32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3 링크바(321)의 중심과 제4 링크바(323)의 중심이 제2 센터 링크핀(325)에 의해 연결되며, 제3 링크바(311)의 상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310)의 제2 링크바(313)의 상단과 제1 핀(LP31)에 의해 연결되고, 제3 링크바(321)의 하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340)의 하부 링크바(343) 하단과 제6 핀(LP36)에 의해 연결되며, 제4 링크바(323)의 하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310)의 제1 링크바(311) 하단과 제2 핀(LP32)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4 링크바(323)의 상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340)의 상부 링크바(341) 상단과 제5 핀(LP3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신체일부 지지대를 구성하는 제1 무릎받침대(36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불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365)가 일체로 구성된다.
제2 무릎받침대(37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불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373)가 일체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제1 센터 링크핀(315)과 제2 센터 링크핀(325) 사이에 스프링 지지바(390)가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바(390)의 양단부에는 그 스프링 지지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장공(390a,390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센터 링크핀(315)과 제2 센터 링크핀(325)은 각각 장공(390a,390b)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지지바(390)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스프링 지지바(390)에는 상기 제1 센터 링크핀(315)과 제2 센터 링크핀(325)에 양단부가 스토퍼 가능하도록 제4 스프링(357)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지지바(390)와 제4 스프링(357)이 구성된 제3 실시예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의 동작과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운동을 반복할 때 제4 스프링(357)의 압축 탄성력만큼의 힘을 더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X자형 링크부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 연결하는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제2 실시예, 제3 실시에 따른 휴대용 운동기구를 한 예로 도 11과 같이 변형하여 가슴 운동 등을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무릎받침대(260)와 제2 무릎받침대(270)의 몸체에 손을 끼워 걸 수 있는 손잡이 홈(281,284)을 추가로 구성하고, 제1 스프링(251)을 제거한 후 제2 스프링(253)의 상단을 제5 핀(LP25)에 고정하고, 제3 스프링(255)의 상단을 제3 핀(LP23)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2 꺽쇠 링크부재(230)과 제2 꺽쇠 링크부재(240)에 제2 스프링(253)과 제3 스프링(255)을 X자형으로 걸어 고정하면 그 스프링의 균형된 인장력을 이용하여 가슴 운동 등을 할 수 휴대용 운동기구로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운동기구는 상기 예시된 실시예, 도면 및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X자형 링크부재
120, 230,330: 제1 꺽쇠 링크부재
130,240,340: 제2 꺽쇠 링크부재
160,260,360: 제1 무릎받침대
260, 270,370: 제2 무릎받침대
180,280,380: 제1 손잡이 부재
185,285,385: 제2 손잡이 부재
210,310: 제1 X자형 링크부재
220,320: 제2 X자형 링크부재
281,284: 손잡이 홈
390: 스프링 지지바

Claims (10)

  1.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X자형 링크부재와,
    상기 X자형 링크부재의 양단에 연결되는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와,
    각각의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에 고정되는 신체일부 지지대와,
    상기 신체일부 지지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X자형 링크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그 X자형 링크부재에 고정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X자형 링크부재는 복수개가 연이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형상의 꺽쇠 링크부재에 손잡이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4. X자형 링크부재의 일단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가 제1 핀 및 제2 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X자형 링크부재의 타단에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가 제3 핀 및 제4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1 핀과 제2 핀 사이에 제1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의 상단이 제1 핀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의 하단이 제2 핀에 연결되며, 제3 핀과 제4 핀 사이에 제2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의 상단이 제3 핀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의 하단이 제4 핀에 연결되며, 제1 꺽쇠 링크부재의 제5 핀에 제1 신체일부 지지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고, 제2 꺽쇠 링크부재의 제6 핀에 제2 신체일부 지지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는 휴대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X자형 링크부재는 제1 링크바와 제2 링크바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상기 제1 링크바의 중심과 제2 링크바의 중심이 센터 링크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바의 상단이 상기 제1 꺽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의 상단과 제1 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바의 하단이 상기 제2 꺽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의 하단과 제4 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바의 상단이 상기 제2 꺽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의 하단과 제3 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바의 하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의 제2 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제5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1 손잡이 부재와, 하단이 상기 제6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2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6. 삭제
  7. 제1 X자형 링크부재와, 제2 X자형 링크부재가 제1 핀 및 제2 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X자형 링크부재에 '<' 형상의 제1 꺽쇠 링크부재가 제3 핀 및 제4 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X자형 링크부재에 '<'형상의 제2 꺽쇠 링크부재가 제5 핀 및 제6 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핀과 제2 핀 사이에 제1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1 스프링의 상단이 제1 핀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의 하단이 제2 핀에 연결되며, 제3 핀과 제4 핀 사이에 제2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2 스프링의 상단이 제3 핀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의 하단이 제4 핀에 연결되고, 제5 핀과 제6 핀 사이에 제3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3 스프링의 상단이 제5 핀에 연결되고, 제3 스프링의 하단이 제6 핀에 연결되며, 제1 꺽쇠 링크부재의 제7 핀에 제1 신체일부 지지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고, 제2 꺽쇠 링크부재의 제8 핀에 제2 신체일부 지지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제7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1 손잡이 부재와, 하단이 상기 제8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2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X자형 링크부재는 제1 링크바와 제2 링크바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상기 제1 링크바의 중심과 제2 링크바의 중심이 제1 센터 링크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링크바의 상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의 상단과 제3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링크바의 하단이 제2 X자형 링크부재의 제4 링크바 하단과 제2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2 링크바의 상단에 제2 X자형 링크부재의 제3 링크바 상단과 제1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링크바의 하단이 제1 꺽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 하단과 제4 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X자형 링크부재는 제3 링크바와 제4 링크바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3 링크바의 중심과 제4 링크바의 중심이 제2 센터 링크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3 링크바의 상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의 제2 링크바 상단과 제1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3 링크바의 하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의 하단과 제6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4 링크바의 하단이 제1 X자형 링크부재의 제1 링크바의 하단과 제2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4 링크바의 상단이 제2 꺽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 상단과 제5 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터 링크핀과 제2 센터 링크핀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스프링 지지바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바에 상기 제1 센터 링크핀과 제2 센터 링크핀에 의해 스토퍼되는 제4 스프링이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KR1020180130823A 2018-10-30 2018-10-30 휴대용 운동기구 KR10207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23A KR102074592B1 (ko) 2018-10-30 2018-10-30 휴대용 운동기구
US17/290,462 US20220032105A1 (en) 2018-10-30 2019-08-02 Portable exercising device for body
CN201980070838.9A CN112969512A (zh) 2018-10-30 2019-08-02 便携式运动器具
PCT/KR2019/009693 WO2020091195A1 (ko) 2018-10-30 2019-08-02 휴대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23A KR102074592B1 (ko) 2018-10-30 2018-10-30 휴대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592B1 true KR102074592B1 (ko) 2020-02-06

Family

ID=6956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823A KR102074592B1 (ko) 2018-10-30 2018-10-30 휴대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32105A1 (ko)
KR (1) KR102074592B1 (ko)
CN (1) CN112969512A (ko)
WO (1) WO2020091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5301B (zh) * 2022-01-13 2023-07-28 王晓娇 美腿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858Y1 (ko) * 1986-09-05 1990-05-03 최정삼 완력기
KR200359316Y1 (ko) * 2004-04-16 2004-08-21 박영기 다리오므림 운동장치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
KR20060085409A (ko) * 2005-01-24 2006-07-27 이동석 하체 단련기
JP2007107678A (ja) * 2005-10-17 2007-04-26 Oga Co Ltd リンクバネ装置
KR101246995B1 (ko) * 2011-01-13 2013-03-25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1313095B1 (ko) 2011-07-25 2013-10-04 윤희준 골반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00018A (fr) * 1966-06-03 1967-11-03 Yatrides G Constructeur des muscles de l'homme, qui permet la compression, l'extension, la traction, la pression et la tension
US4210323A (en) * 1978-05-18 1980-07-01 Feather Jack V Body engaging exercising device
US4759540A (en) * 1986-10-14 1988-07-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ct structure for a treadmill
US5674164A (en) * 1996-04-08 1997-10-07 Kravitz; Leonard R. Exercise device
JP5657837B1 (ja) * 2013-04-10 2015-01-21 株式会社ギケン 姿勢矯正器
TWI562804B (en) * 2015-06-05 2016-12-21 Dyaco Int Inc Exerciser
US9839826B2 (en) * 2016-02-02 2017-12-12 Michael Alfonso Tedeschi Collapsible target for improving an athlete's throwing accuracy
KR102033373B1 (ko) * 2018-07-03 2019-10-17 윤희준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858Y1 (ko) * 1986-09-05 1990-05-03 최정삼 완력기
KR200359316Y1 (ko) * 2004-04-16 2004-08-21 박영기 다리오므림 운동장치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
KR20060085409A (ko) * 2005-01-24 2006-07-27 이동석 하체 단련기
JP2007107678A (ja) * 2005-10-17 2007-04-26 Oga Co Ltd リンクバネ装置
KR101246995B1 (ko) * 2011-01-13 2013-03-25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1313095B1 (ko) 2011-07-25 2013-10-04 윤희준 골반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2105A1 (en) 2022-02-03
CN112969512A (zh) 2021-06-15
WO2020091195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870B2 (en) Portable exercise system
US1019861A (en) Exercising apparatus.
US20080051271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6602171B1 (en) Abdominal exerciser
US4861022A (en) Portable forearm exerciser
US9211430B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9643047B1 (en) Sit-up bench apparatus
US11395936B1 (en) Exercise machine carriage handle system
US3129940A (en)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r having handles at each end with handgrips shaped to the fingers
US9717942B2 (en) Exercise device utilizing body weight for resistance
KR102074592B1 (ko) 휴대용 운동기구
JP2019098189A (ja) 骨盤強化用運動器具
US6962555B2 (en) Muscle strengthening body frames
US6368257B1 (en) Exercise assembly
KR20170001181U (ko)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KR102038872B1 (ko)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US6746382B2 (en) Quadricep isolation exercise apparatus
KR102033373B1 (ko)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US6620082B1 (en) Exercise device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JP2005296237A (ja) 健康器具
US20190282853A1 (en) Abdominal Exerciser Utilizing Musculature of Lower Body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
JP2019198536A (ja) 運動補助装置
RU56824U1 (ru) Тренаж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