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95B1 - 하체 단련기 - Google Patents

하체 단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995B1
KR101246995B1 KR1020110003521A KR20110003521A KR101246995B1 KR 101246995 B1 KR101246995 B1 KR 101246995B1 KR 1020110003521 A KR1020110003521 A KR 1020110003521A KR 20110003521 A KR20110003521 A KR 20110003521A KR 101246995 B1 KR101246995 B1 KR 101246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pivot
elastic band
pressing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170A (ko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이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석 filed Critical 이동석
Priority to KR102011000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9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를 단련할 수 있는 하체 단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판;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는 제1압박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는 제2압박부재; 상기 제1압박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압박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1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도 회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의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양 허벅지 사이에서 밀착되는 각 압박부재를 양 허벅지에 의해서 균일하고도 동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쪽 하체의 운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체 단련기{APPARATUS FOR TRAINN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본 발명은 하체 단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사용자의 양 허벅지를 오무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 하체의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하체단련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하체의 단련을 위한 하체 단련기가 다수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 예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20-0330606호는 양 허벅지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부 사이에 스프링을 내장한 제 1 및 제 2 통체를 형성한 하체 운동기구를 제안하고 있고, 실용신안등록 20-0249810호는 대략 역 V자형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의 양쪽 끝단부에 사용자의 허벅지나 무릎 내측에 안착되는 좌,우측 안착부재를 형성시킨 운동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스프링이나 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된 좌,우측 안착부재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허벅지를 오므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허벅지의 근육이 이완되었다가 수축되도록 하여 하체의 단련을 하고 있으나, 상기 스프링이나 탄성부재들은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서만 수축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미리 설정된 탄성력에 의해서만 하체의 단련을 할 수 있을 뿐이고, 기타 다른 강도의 하체 훈련은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스프링이나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너무 강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동의 흥미를 잃게 될 수도 있고, 또 너무 약하게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운동의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종래의 하체 단련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 10-0634817호의 하체 단련기를 제시하였는 바,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1)과, 상기 좌판에 부착된 브라켓(1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아암부재(3) 및 제2아암부재(4)와, 상기 제1아암부재(3) 및 제2아암부재(4)의 단부에 부착되는 제1압박부재(5) 및 제2압박부재(6)와, 상기 제1아암부재(3) 및 제2아암부재(4) 사이에 장착되고, 일측에는 조절다이얼(8)이 부착되며 타측에는 피스톤로드가 장착된 쇽업소버(7)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하체 단련기는,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가해지는 힘을 일정하게 흡수하도록 하면서도 흡수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흡수강도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강도의 하체훈련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제1아암부재(3)만 전진 및 후퇴 운동을 하는 피스톤로드(9)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체 단련기를 사용할 때 상기 제 1 및 제2아암부재(3, 4)를 동시에 압박하더라도 중심부를 향해 서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아암부재(3, 4)의 수평이동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는 결국 압박의 힘이 거의 상기 제1아암부재(3)측에서만 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제1아암부재(3)가 밀착되는 쪽의 허벅지는 상대적으로 운동이 많이 되는 반면에 제2아암부재(4)가 밀착되는 쪽의 허벅지는 상대적으로 운동이 덜되어 하체의 균일한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주목적은, 사용자의 양 허벅지 사이에서 밀착되는 각 압박부재를 양 허벅지에 의해서 균일하고도 동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쪽 하체의 운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하체 단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압박부재와 제2압박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에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의 압박부재도 함께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하체 단련기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는, 좌판;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는 제1압박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는 제2압박부재; 상기 제1압박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압박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1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도 회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의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귀수단은, 일단이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동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회동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제1탄성밴드; 및 일단이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동부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동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2회동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제2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에 의하면,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수단에 의하여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가 서로를 향해 동일한 수평거리로 균일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하체 운동을 균일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하체 단련의 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하체 단련기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연동수단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의 탄성조절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의 홀더가 당겨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의 홀더가 밀려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의 조절구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의 회동부재 일단부가 라운드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의 회동부재 단부에 설치된 롤러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의 회동부재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링을 보인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체 단련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체 단련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 제1회동부재(20), 제1압박부재(30), 제2회동부재(40), 제2압박부재(50), 연동수단(60) 및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의자(미도시)의 시트위에 얹어 놓게 되는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위에 씌워져서 사용자가 앉게 되는 상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동부재(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의 일지점에 핀(H1)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된다. 미설명부호 15는 제1회동부재(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이다.
상기 제1압박부재(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 제2회동부재(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20)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10)의 일지점에 핀(H2)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된다. 미설명부호 16은 제2회동부재(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이다.
상기 제2압박부재(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동부재(4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 연동수단(60)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압박부재(30) 및 상기 제2압박부재(50)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압박되는 경우 제1회동부재(20)와 제2회동부재(40)가 동시에 회동되도록 제1회동부재(20)와 제2회동부재(40)를 연동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박부재(30)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20)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40)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50)도 이동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압박부재(50)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40)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1회동부재(20)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30)도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회동부재(20)에 고정결합되는 제1기어(61)와, 상기 제1기어와 치형결합되고 상기 제2회동부재(40)에 고정결합되는 제2기어(6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7은 제1회동부재(20)에 제1기어(61)를 고정결합하는 고정핀이고, 미설명부호 18은 제2회동부재(40)에 제2기어(63)를 고정결합하는 고정핀이다.
또한, 상기 연동수단(60)은 전술한 바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대(65)와 제2회동대(67)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동대(65)는 상기 제1회동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대(67)는 상기 제1회동대(65)와 치형결합되는 치형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재(4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제1기어(61) 및 제2기어(63)와 다른 구조로 구성되면서도 제1기어(61) 및 제2기어(63)와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복귀수단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압박부재(30)나 상기 제2압박부재(50)의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압박부재(30)와 상기 제2압박부재(5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압박부재(30)나 상기 제2압박부재(5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30)와 상기 제2압박부재(5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복귀수단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밴드(70)와 제2탄성밴드(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밴드(70)는 일단이 상기 좌판(10)의 일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회동부재(20)에 고정결합되며, 중간부분에 상기 제1회동부재(10)의 단부가 접촉되고, 통상적인 고무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밴드(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20)의 일단부와 지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므로, 이러한 신장과 수축의 반복 과정에서 상기 제1회동부재(20)의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과의 마찰로 인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20)의 일단부를 라운드지게 형성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20)의 일단부에 중앙의 직경이 외측의 직경보다 작은 롤러(L1)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탄성밴드(70)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20)에 설치되는 가이드링(R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회동부재(20)기 회동되는 경우 이탈이 방지되면서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밴드(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이격되어 상기 제1회동부재(20)를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밴드(80)는 상기 제1회동부재(20)에 적용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동부재(40)의 일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롤러(L2)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회동부재(40)의 측면에 가이드링(R2)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체단련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상기 제2탄성밴드(80)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수단(90)은 다양한 종류의 탄성조절수단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91)와, 상기 홀더(91)를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91)는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상기 제2탄성밴드(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상기 제2탄성밴드(8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상기 제2탄성밴드(80)의 신축길이를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홀더(9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부재(20)의 단부에서 D1의 길이만큼 이격지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상기 제2탄성밴드(80)의 신축되는 길이를 보다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부재(20)의 단부에서 D2의 길이만큼 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상기 제2탄성밴드(80)가 신축되는 길이를 보다 감소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제1탄성밴드(70)와 제2탄성밴드(80)의 신축길이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이동수단은 상기 홀더(91)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홀더 이동수단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93)와, 상기 이동대(93)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대(93)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구(97)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대(93)는, 그 일단부가 상기 홀더(9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판(13)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95)의 위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이동대(93)가 상판(1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95)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홀더(91)는 상기 제1탄성밴드(70)와 제2탄성밴드(8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절구(9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3)의 위로 돌출된 이동대(93)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93)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이동대(93)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조절구가 구현될 수 있고, 구체적인 일 예로서는 도 9에 도시된 조절구(97)가 이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조절구(97)는 조절구(97)의 하측에 돌출형성된 돌기(97b)가 상판(13)에 형성한 걸림홈(96)에 끼워져 있으므로 조절구(97)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구(97)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9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구(97)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구멍(96a)에 끼워진 나사(98)를 풀게 되면, 조절구(97)가 상판(13)의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조절구(97)를 상판(13)에 형성한 가이드 레일(95)을 따라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되며, 조절구(97)가 이동되게 되면, 이동대(93)도 이동되게 되고, 따라서 홀더(91)도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부재(20)와 제2회동부재(40)가 서로 벌려진 작동전의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 허벅지를 벌리면서 좌판(10)에 착좌한 상태에서 제1압박부재(30)와 제2압박부재(50)를 허벅지들의 사이에 끼운 후 벌린 허벅지를 오므리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박부재(30)와 제2압박부재(50)가 이동되는 힘에 의해 제1회동부재(20)와 제2회동부재(40)도 회동하게 되고, 제1회동부재(20)와 제2회동부재(40)가 회동하게 되면, 연동수단(60)인 제1기어(61) 및 제2기어(63)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1탄성밴드(70)와 제2탄성밴드(8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인장시키면서, 동시에 오므려진다.
한편,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오므렸던 허벅지를 벌려서 제1압박부재(30)와 제2압박부재(5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되었던 제1탄성밴드(70)와 제2탄성밴드(80)가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 가게 되고, 이때, 제1기어(61) 및 제2기어(63)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제1회동부재(20)와 제2회동부재(40)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 허벅지를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제1압박부재(30)와 제2압박부재(50)를 가압하고, 가압을 해제함으로서 하체를 단련하는 운동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1회동부재(20)와 제2회동부재(40)는 서로 교합된 제1기어(61) 및 제2기어(63)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으면서 동일한 각도로 동시에 오므려지고, 동시에 벌려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양 허벅지의 근육을 균일하게 단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양허벅지를 밀착시키는 힘을 바꾸어서 훈련의 강도를 달리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조절수단(90)을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는 조절구(97)를 파지하여 왕복시키는 것으로 이동대(93)를 밀거나 당겨서 홀더(91)의 위치를 설정한 후에 조절구(97)를 가압하여 돌기(97b)가 걸림홈(96)에 삽입되게 하고, 나사(98)를 조여서 걸림부재(97)가 상판(13)에 고정되게 한다. 물론, 사용자는 홀더(91)의 위치를 재설정하기 위해서 나사(98)를 풀고, 조절구(97)를 상승시켜서 돌기(97b)가 걸림홈(96)에서 이탈시킨 후, 조절구(97)를 이동시켜서 홀더(91)의 위치를 재설정하여 다시 나사(98)를 조이면 된다.
한편, 위의 작용 설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허벅지를 동시에 오므려서 제1압박부재(30)와 제2압박부재(50)를 가압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압박부재(30)와 제2압박부재(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에 힘을 가하여 압박부재를 이동시킨다고, 하면, 즉, 제1압박부재(30)의 이동에 의해 제1회동부재(20)가 회동되고, 제1회동부재(20)가 회동되면, 제1회동부재(20)와 결합된 제1기어(61)가 회전되면서 치형결합된 제2기어(63)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제2회동부재(40)와 제2압박부재(50)도 동시에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압박부재(30)와 제2압박부재(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에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다른 압박부재도 함께 연동하여 이동되므로, 하체운동을 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어느 하나의 허벅지에만 집중적으로 힘을 가하여 하체운동의 불균형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해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 허벅지의 운동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좌판 20 : 제1회동부재
30 : 제1압박부재 40 : 제2회동부재
50 : 제2압박부재 60 : 연동수단
70 : 제1탄성밴드 80 : 제2탄성밴드
90 : 탄성조절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좌판;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는 제1압박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좌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는 제2압박부재;
    상기 제1압박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압박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1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도 회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의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귀수단은,
    일단이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동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회동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제1탄성밴드; 및
    일단이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동부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동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2회동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제2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의 신축길이를 제한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동수단은,
    상기 홀더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기 이동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구로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기.
KR1020110003521A 2011-01-13 2011-01-13 하체 단련기 KR101246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521A KR101246995B1 (ko) 2011-01-13 2011-01-13 하체 단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521A KR101246995B1 (ko) 2011-01-13 2011-01-13 하체 단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70A KR20120082170A (ko) 2012-07-23
KR101246995B1 true KR101246995B1 (ko) 2013-03-25

Family

ID=4671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521A KR101246995B1 (ko) 2011-01-13 2011-01-13 하체 단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9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062A (ko) 2017-02-20 2018-08-29 김주연 하체 운동기구
KR102033373B1 (ko) * 2018-07-03 2019-10-17 윤희준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KR102038872B1 (ko) * 2019-08-05 2019-10-31 윤희준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KR102074592B1 (ko) * 2018-10-30 2020-02-06 윤희준 휴대용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225A1 (ko) * 2013-12-26 2015-07-02 이영호 다리 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83A (ko) * 2003-07-03 2005-01-12 이형철 스트레칭 기구
KR100634817B1 (ko) 2005-06-09 2006-10-16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0792602B1 (ko) 2005-01-24 2008-01-09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20100003618A (ko) * 2008-07-01 2010-01-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83A (ko) * 2003-07-03 2005-01-12 이형철 스트레칭 기구
KR100792602B1 (ko) 2005-01-24 2008-01-09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0634817B1 (ko) 2005-06-09 2006-10-16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20100003618A (ko) * 2008-07-01 2010-01-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 운동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062A (ko) 2017-02-20 2018-08-29 김주연 하체 운동기구
DE112018000910B4 (de) * 2017-02-20 2021-06-10 Jue Yeon Kim Trainingsgerät für den Unterkörper
KR102033373B1 (ko) * 2018-07-03 2019-10-17 윤희준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KR102074592B1 (ko) * 2018-10-30 2020-02-06 윤희준 휴대용 운동기구
KR102038872B1 (ko) * 2019-08-05 2019-10-31 윤희준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70A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995B1 (ko) 하체 단련기
US5643182A (en) Roller massager
US7621857B2 (en) Shoulder stabilizing and strengthening apparatus
DE4100715C2 (ko)
KR20220113770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하지 구조와 이를 사용하는 외골격 로봇
US8579773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a pull cord central pulley attached to a carriage and a pulley locking mechanism
JP3231296U (ja) 関節調整機構を備えたハンド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558399B1 (ko)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CN210991572U (zh) 手部复健训练器的腕关节作动结构
KR200481799Y1 (ko) 턱걸이 운동기구
US5599256A (en) Hand exerciser
DE202016001648U1 (de) Therapie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faszialen Verklebungen bei einer Person
DE102014113458B3 (de) Trainingsgerät
KR101594473B1 (ko)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US20050239619A1 (en) Musc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202013004377U1 (de) Trainingsgerät mit einem Gestell und wenigstens einer daran angeordneten fortlaufend rotatorisch bewegbaren Kurbel
WO2020064711A1 (de) Kombinationstrainingseinrichtung
DE283544C (ko)
KR200480802Y1 (ko) 자전거 운동 기구
CA2287680A1 (en) Basketball shot making training device
KR20120104815A (ko) 하체 단련기
EP2298420A1 (de) Bewegungsgerät, insbesondere für ältere Personen
CN106823283B (zh) 一种颈肌训练头部固定装置及颈肌训练器
CN210991573U (zh) 手部复健训练器的拉力调整结构
ATE385431T1 (de) Verbesserte übungsmaschine und mit solch einer maschine durchführbares verfahren zum training der muskulatur einer extremit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