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872B1 -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872B1
KR102038872B1 KR1020190094858A KR20190094858A KR102038872B1 KR 102038872 B1 KR102038872 B1 KR 102038872B1 KR 1020190094858 A KR1020190094858 A KR 1020190094858A KR 20190094858 A KR20190094858 A KR 20190094858A KR 102038872 B1 KR102038872 B1 KR 10203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ink member
spring
link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준
Original Assignee
윤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준 filed Critical 윤희준
Priority to KR102019009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허벅지 등과 같은 신체의 하체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X자형 링크부재(110)의 일단에 "〈 " 형상의 제 1 꺾쇠 링크부재(120)가 제 1 및 제 2 핀(LP11, LP12)에 의해 연결되고, X자형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 " 형상의 제 2 꺾쇠 링크부재(130)가 제 3 및 제 4 핀(LP13, 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핀(LP11)과 제 2 핀(LP12) 사이에 제 1 스프링(140)이 배치되어, 제 1 스프링(140)의 상단이 제 1 핀(LP11)에 연결되고, 제 1 스프링(140)의 하단이 제 2 핀(LP12)에 연결되며, 제 3 핀(LP13)과 제 4 핀(LP14) 사이에 제 2 스프링(150)이 배치되어, 제 2 스프링(150)의 상단이 제 3 핀(LP13)에 연결되고, 제 2 스프링(150)의 하단이 제 4 핀(LP14)에 연결되며, 제 1 꺾쇠 링크부재(120)의 제 5 핀(LP15)에 제 1 무릎받침대(160)의 중간 연결부(165)가 연결되고, 제 2 꺾쇠 링크부재(130)의 제 6 핀(LP16)에 제 2 무릎받침대(170)의 중간 연결부(17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하체운동기구{PORTABLE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본 발명은 골반, 허벅지 등과 같은 신체의 하체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X자형 링크부재의 양 단이 "〈 " 형상의 꺾쇠 링크부재와 핀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꺾쇠 링크부재에 무릎받침대가 각가 장착되며, X자형 링크부재의 양 단부에 스프링이 각각 연결되어, 무릎 받침대에 힘을 가하여 X자형 링크부재가 접히거나 펴질 때 스프링이 인장되거나 압축되는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313095호(2013년 9월 24일, 등록)에 "골반운동기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골반운동기구는 긴 띠를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한 쌍의 원호 부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원호 부재의 양 단부가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원호 부재의 중앙에 무릎받침대가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골반운동기구는 무릎을 오므릴 때 압축탄성이 작용하도록 원호 부재의 크기가 어느 정도 커야 하기 때문에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어, 휴대하기 편리하고, 골반, 괄약근 및 허벅지 등과 같은 신체의 하체부분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X자형 링크부재의 양 단이 "〈 " 형상의 꺾쇠 링크부재와 핀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꺾쇠 링크부재에 무릎받침대가 각가 장착되며, X자형 링크부재의 양 단부에 스프링이 각각 연결되어, 무릎 받침대에 힘을 가하여 X자형 링크부재가 접히거나 펴질 때, 스프링이 인장되거나 압축됨으로써, 사용자가 무릎에 힘을 가하고 푸는 것을 반복하는 것으로 골반과 관련된 근육 및 허벅지 등과 같은 하체 근육을 운동할 수 있으며, X자형 링크부재를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스프링에 의해 충분할 운동이 될 수 있어, 휴대하기 편리한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자형 링크부재를 복수개로 연결하고, 각각의 X자형 링크부재에 스프링을 걸 수 있는 휴대용 하체운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의 일례는 X자형 링크부재의 일단에 "〈 " 형상의 제 1 꺾쇠 링크부재가 제 1 및 제 2 핀에 의해 연결되고, X자형 링크부재의 타단에 "〈 " 형상의 제 2 꺾쇠 링크부재가 제 3 및 제 4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핀과 제 2 핀 사이에 제 1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 1 스프링의 상단이 제 1 핀에 연결되고, 제 1 스프링의 하단이 제 2 핀에 연결되며, 제 3 핀과 제 4 핀 사이에 제 2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 2 스프링의 상단이 제 3 핀에 연결되고, 제 2 스프링의 하단이 제 4 핀에 연결되며, 제 1 꺾쇠 링크부재의 제 5 핀에 제 1 무릎받침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고, 제 2 꺾쇠 링크부재의 제 6 핀에 제 2 무릎받침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하단이 제 5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 1 손잡이 부재와, 하단이 제 6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 2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자형 링크부재는 제 1 링크바와 제 2 링크바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 1 링크바의 중심과 제 2 링크바의 중심이 센터 링크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링크바의 상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의 상단과 제 1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링크바의 하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의 하단과 제 4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링크바의 상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의 하단과 제 3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링크바의 하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의 제 2 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의 다른 예는 제 1 X자형 링크부재와 제 2 X자형 링크부재가 제 1 핀 및 제 2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X자형 링크부재에 "〈 " 형상의 제 1 꺾쇠 링크부재가 제 3 및 제 4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X자형 링크부재에 "〈 " 형상의 제 2 꺾쇠 링크부재가 제 5 및 제 6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핀과 제 2 핀 사이에 제 1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 1 스프링의 상단이 제 1 핀에 연결되고, 제 1 스프링의 하단이 제 2 핀에 연결되며, 제 3 핀과 제 4 핀 사이에 제 2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 2 스프링의 상단이 제 3 핀에 연결되고, 제 2 스프링의 하단이 제 4 핀에 연결되고, 제 5 핀과 제 6 핀 사이에 제 3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 3 스프링의 상단이 제 5 핀에 연결되고, 제 3 스프링의 하단이 제 6 핀에 연결되며, 제 1 꺾쇠 링크부재의 제 7 핀에 제 1 무릎받침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고, 제 2 꺾쇠 링크부재의 제 8 핀에 제 2 무릎받침대의 중간 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하단이 제 7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 1 손잡이 부재와, 하단이 제 8 핀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 2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X자형 링크부재는 제 1 링크바와 제 2 링크바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 1 링크바의 중심과 제 2 링크바의 중심이 제 1 센터 링크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링크바의 상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 상단과 제 3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링크바의 하단이 제 2 X자형 링크부재의 제 4 링크바 하단과 제 2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링크바의 상단이 제 2 X자형 링크부재의 제 3 링크바 상단과 제 1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링크바의 하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 하단과 제 4 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X자형 링크부재는 제 3 링크바와 제 4 링크바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 3 링크바의 중심과 제 4 링크바의 중심이 제 2 센터 링크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3 링크바의 상단이 제 1 X자형 링크부재의 제 2 링크바 상단과 제 1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3 링크바의 하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의 하부 링크바 하단과 제 6 핀에 의해 연결되며, 제 4 링크바의 하단이 제 1 X자형 링크부재의 제 1 링크바 하단과 제 2 핀에 의해 연결되고, 제 4 링크바의 상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의 상부 링크바 상단과 제 5 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무릎에 힘을 가하고 푸는 것을 반복하는 것으로 골반과 관련된 근육 및 허벅지 등과 같은 하체 근육을 운동할 수 있으며, X자형 링크부재를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스프링에 의해 충분할 운동이 될 수 있어, 휴대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를 사용자의 무릎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무릎에 힘을 가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가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를 사용자의 무릎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무릎을 벌렸을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를 사용자의 무릎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무릎에 힘을 가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가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를 사용자의 무릎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무릎을 벌렸을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X자형 링크부재(110)의 일단에 "〈 " 형상의 제 1 꺾쇠 링크부재(120)가 제 1 및 제 2 핀(LP11, LP12)에 의해 연결되고, X자형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 " 형상의 제 2 꺾쇠 링크부재(130)가 제 3 및 제 4 핀(LP13, 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핀(LP11)과 제 2 핀(LP12) 사이에 제 1 스프링(140)이 배치되어, 제 1 스프링(140)의 상단이 제 1 핀(LP11)에 연결되고, 제 1 스프링(140)의 하단이 제 2 핀(LP12)에 연결되며, 제 3 핀(LP13)과 제 4 핀(LP14) 사이에 제 2 스프링(150)이 배치되어, 제 2 스프링(150)의 상단이 제 3 핀(LP13)에 연결되고, 제 2 스프링(150)의 하단이 제 4 핀(LP14)에 연결되며, 제 1 꺾쇠 링크부재(120)의 제 5 핀(LP15)에 제 1 무릎받침대(160)의 중간 연결부(165)가 연결되고, 제 2 꺾쇠 링크부재(130)의 제 6 핀(LP16)에 제 2 무릎받침대(170)의 중간 연결부(175)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제 5 핀(LP15)에 제 1 손잡이 부재(180)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 1 손잡이 부재(180)이 상하로 세워지고, 제 6 핀(LP16)에 제 2 손잡이 부재(185)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 2 손잡이 부재(185)가 상하로 세워진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제 1 손잡이 부재(180)의 상단부와 제 2 손잡이 부재(185)의 상단부를 각각 잡고 다리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X자형 링크부재(110)는 제 1 링크바(111)와 제 2 링크바(11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 1 링크바(111)의 중심과 제 2 링크바(113)의 중심이 센터 링크핀(115)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링크바(111)의 상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120)의 상부 링크바(121)의 상단과 제 1 핀(LP11)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링크바(111)의 하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130)의 하부 링크바(133)의 하단과 제 4 핀(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링크바(113)의 상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130)의 상부 링크바(131)의 하단과 제 3 핀(LP13)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링크바(113)의 하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120)의 하부 링크바(123)의 제 2 핀(LP1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1 꺾쇠 링크부재(120)는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12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12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123)의 상단이 제 5 핀(LP1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2 꺾쇠 링크부재(130)는 제 1 꺾쇠 링크부재(120)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13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13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133)의 상단이 제 6 핀(LP16)에 의해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무릎받침대(160) 및 제 2 무릎받침대(17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165; 도 2 참조)(175 ; 도 2 참조)가 형성되며, 벨트(190)(195)가 사용자의 무릎 위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하부 연결부(161)에 벨트(190)(195)의 하단이 리벳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 버클부(162)(172)에 벨트(190)(195)의 선단이 끼워져 조여진다.
무릎을 감쌀 수 있도록 벨트(190)(195)를 제 1 무릎받침대(160) 및 제 2 무릎받침대(170)에 연결하는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가 될 수 있어,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도록,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양 다리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100)가 배치한 상태에서, 원호 형태의 제 1 무릎받침대(160)와 제 2 무릎받침대(170)를 자신의 무릎에 걸고, 양 손으로 제 1 손잡이 부재(180)와 제 2 손잡이 부재(185)를 각각 잡는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무릎에 힘을 주어, 제 1 무릎받침대(160)와 제 2 무릎받침대(170)에 화살표(191, 193)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X자형 링크부재(110)가 이점쇄선의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접히게 되면서, 제 1 및 제 2 스프링(140, 150)이 인장됨으로써, 사용자가 힘을 주어 무릎을 오므리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오므린 무릎의 힘을 서서히 줄이면, 제 1 및 제 2 스프링(140, 150)의 복원력에 의해 X자형 링크부재(110)가 이점쇄선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허벅지 하단(무릎의 상부)에 제 1 무릎받침대(160) 및 제 2 무릎받침대(170)를 대고, 벨트가 사용자의 무릎 위(허벅지의 하단)를 감쌀 수 있도록 벨트(190)(195)를 각각 조인 후,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두 다리를 벌리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X자형 링크부재(110)가 이점쇄선의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인장 되면서, 제 1 및 제 2 스프링(140, 150)이 압축됨으로써, 사용자가 힘을 주어 무릎을 벌리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벌린 무릎의 힘을 서서히 줄이면, 제 1 및 제 2 스프링(140, 150)의 복원력에 의해 X자형 링크부재(110)가 이점쇄선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릎을 밖으로 벌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무릎을 오므리고 벌리는 힘을 주었다 풀었다를 반복하여 골반과 관련된 근육 및 허벅지 등과 같은 하체 근육을 운동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인장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X자형 링크부재를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충분한 운동이 될 수 있어, 휴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2개의 X자형 링크부재가 연결된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와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제 1 X자형 링크부재(210)와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가 제 1 핀(LP21) 및 제 2 핀(LP22)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X자형 링크부재(210)에 "〈 " 형상의 제 1 꺾쇠 링크부재(230)가 제 3 및 제 4 핀(LP23, LP24)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에 "〈 " 형상의 제 2 꺾쇠 링크부재(240)가 제 5 및 제 6 핀(LP25, LP26)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핀(LP21)과 제 2 핀(LP22) 사이에 제 1 스프링(251)이 배치되어, 제 1 스프링(251)의 상단이 제 1 핀(LP21)에 연결되고, 제 1 스프링(251)의 하단이 제 2 핀(LP22)에 연결되며, 제 3 핀(LP23)과 제 4 핀(LP24) 사이에 제 2 스프링(253)이 배치되어, 제 2 스프링(253)의 상단이 제 3 핀(LP23)에 연결되고, 제 2 스프링(253)의 하단이 제 4 핀(LP24)에 연결되고, 제 5 핀(LP25)과 제 6 핀(LP26) 사이에 제 3 스프링(255)이 배치되어, 제 3 스프링(255)의 상단이 제 5 핀(LP25)에 연결되고, 제 3 스프링(255)의 하단이 제 6 핀(LP26)에 연결되며, 제 1 꺾쇠 링크부재(230)의 제 7 핀(LP27)에 제 1 무릎받침대(260)의 중간 연결부(265)가 연결되고, 제 2 꺾쇠 링크부재(240)의 제 8 핀(LP28)에 제 2 무릎받침대(270)의 중간 연결부(275)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제 7 핀(LP27)에 제 1 손잡이 부재(280)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 1 손잡이 부재(280)이 상하로 세워지고, 제 8 핀(LP28)에 제 2 손잡이 부재(285)의 하단이 장착되어, 제 2 손잡이 부재(285)이 상하로 세워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X자형 링크부재(210)는 제 1 링크바(211)와 제 2 링크바(21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 1 링크바(211)의 중심과 제 2 링크바(213)의 중심이 제 1 센터 링크핀(215)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링크바(211)의 상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230)의 상부 링크바(231) 상단과 제 3 핀(LP23)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링크바(211)의 하단이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의 제 4 링크바(223) 하단과 제 2 핀(LP22)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링크바(213)의 상단이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의 제 3 링크바(221) 상단과 제 1 핀(LP21)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링크바(213)의 하단이 제 1 꺾쇠 링크부재(230)의 하부 링크바(233) 하단과 제 4 핀(LP2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는 제 3 링크바(221)와 제 4 링크바(223)가 X자 형태로 겹쳐지고, 제 3 링크바(221)의 중심과 제 4 링크바(223)의 중심이 제 2 센터 링크핀(225)에 의해 연결되며, 제 3 링크바(221)의 상단이 제 1 X자형 링크부재(210)의 제 2 링크바(213) 상단과 제 1 핀(LP21)에 의해 연결되고, 제 3 링크바(221)의 하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240)의 하부 링크바(243) 하단과 제 6 핀(LP26)에 의해 연결되며, 제 4 링크바(223)의 하단이 제 1 X자형 링크부재(210)의 제 1 링크바(211) 하단과 제 2 핀(LP22)에 의해 연결되고, 제 4 링크바(223)의 상단이 제 2 꺾쇠 링크부재(240)의 상부 링크바(241) 상단과 제 5 핀(LP2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1 꺾쇠 링크부재(230)는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링크바(23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23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233)의 상단이 제 7 핀(LP2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2 꺾쇠 링크부재(240)는 제 1 꺾쇠 링크부재(230)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경사지게 배치된 상부 링크바(241)의 하단과 상부 링크바(34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링크바(243)의 상단이 제 8 핀(LP28)에 의해 연결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무릎받침대(260) 및 제 2 무릎받침대(27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록면 중앙에 중간 연결부(265 ; 도 8 참조)(275 ; 도 8 참조)가 형성되며, 벨트(290)(295)가 사용자의 무릎 위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하부 연결부(261)(271)에 벨트(290)(295)의 하단이 리벳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 버클부(262)(272)에 벨트(290)(295)의 선단이 끼워져 조여진다.
무릎을 감쌀 수 있도록 벨트(290)(295)를 제 1 무릎받침대(260) 및 제 2 무릎받침대(270)에 연결하는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가 될 수 있어,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도록,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의 작동을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양 다리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200)가 배치한 상태에서, 원호 형태의 제 1 무릎받침대(260)와 제 2 무릎받침대(270)를 자신의 무릎에 걸고, 양 손으로 제 1 손잡이 부재(280)와 제 2 손잡이 부재(285)를 각각 잡는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무릎에 힘을 주어, 제 1 무릎받침대(260)와 제 2 무릎받침대(270)에 화살표(291, 293)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제 1 X자형 링크부재(120)와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가 이점쇄선의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접히게 되면서, 제 1 내지 제 3 스프링(251, 253, 255)이 인장됨으로써, 사용자가 힘을 주어 무릎을 오므리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오므린 무릎의 힘을 서서히 줄이면, 제 1 내지 제 3 스프링(251, 253, 255)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X자형 링크부재(210)와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가 이점쇄선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허벅지 하단(무릎의 상부)에 제 1 무릎받침대(260) 및 제 2 무릎받침대(270)를 대고, 벨트가 사용자의 무릎 위(허벅지의 하단)를 감쌀 수 있도록 벨트(290, 295)를 조인 후,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두 다리를 벌리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및 제 2 X자형 링크부재(210, 220)가 이점쇄선의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인장될 때, 제 1 내지 제 3 스프링(251, 253, 255)이 압축되면서, 사용자가 힘을 주어 무릎을 벌리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벌린 무릎의 힘을 서서히 줄이면, 제 1 내지 제 2 스프링(251, 253, 255)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X자형 링크부재(210, 220)가 이점쇄선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릎을 밖으로 벌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무릎을 오므리고 벌리는 힘을 주었다 풀었다를 반복하여 골반과 관련된 근육 및 허벅지 등과 같은 하체 근육을 운동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인장 스프링에 의해 제 1 X자형 링크부재(210)와 제 2 X자형 링크부재(220)를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충분할 운동이 될 수 있어, 휴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X자 링크부재가 1개인 것과 2개가 연결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X자 링크부재가 3개 내지 4개가 연결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X자형 링크부재 120 : 제 1 꺾쇠 링크부재
130 : 제 2 꺾쇠 링크부재 140 : 제 1 스프링
150 : 제 2 스프링 160 : 제 1 무릎받침대
170 : 제 2 무릎받침대 180 : 제 1 손잡이 부재
185 : 제 2 손잡이 부재

Claims (2)

  1. X자형 링크부재(110)의 일단에 "〈 " 형상의 제 1 꺾쇠 링크부재(120)가 제 1 및 제 2 핀(LP11, LP12)에 의해 연결되고, X자형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 " 형상의 제 2 꺾쇠 링크부재(130)가 제 3 및 제 4 핀(LP13, LP14)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핀(LP11)과 제 2 핀(LP12) 사이에 제 1 스프링(140)이 배치되어, 제 1 스프링(140)의 상단이 제 1 핀(LP11)에 연결되고, 제 1 스프링(140)의 하단이 제 2 핀(LP12)에 연결되며, 제 3 핀(LP13)과 제 4 핀(LP14) 사이에 제 2 스프링(150)이 배치되어, 제 2 스프링(150)의 상단이 제 3 핀(LP13)에 연결되고, 제 2 스프링(150)의 하단이 제 4 핀(LP14)에 연결되며, 제 1 꺾쇠 링크부재(120)의 제 5 핀(LP15)에 제 1 무릎받침대(160)의 중간 연결부(165)가 연결되고, 제 2 꺾쇠 링크부재(130)의 제 6 핀(LP16)에 제 2 무릎받침대(170)의 중간 연결부(17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단이 제 5 핀(LP15)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 1 손잡이 부재(180)와, 하단이 제 6 핀(LP16)에 장착되어, 상하로 세워지는 제 2 손잡이 부재(1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KR1020190094858A 2019-08-05 2019-08-05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KR10203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58A KR102038872B1 (ko) 2019-08-05 2019-08-05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58A KR102038872B1 (ko) 2019-08-05 2019-08-05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198A Division KR102033373B1 (ko) 2018-07-03 2018-07-03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872B1 true KR102038872B1 (ko) 2019-10-31

Family

ID=6842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858A KR102038872B1 (ko) 2019-08-05 2019-08-05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835A (ko) 2022-10-18 2024-04-25 이재현 좌식 하체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858Y1 (ko) * 1986-09-05 1990-05-03 최정삼 완력기
KR200359316Y1 (ko) * 2004-04-16 2004-08-21 박영기 다리오므림 운동장치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
KR20060085409A (ko) * 2005-01-24 2006-07-27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1246995B1 (ko) * 2011-01-13 2013-03-25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1313095B1 (ko) * 2011-07-25 2013-10-04 윤희준 골반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858Y1 (ko) * 1986-09-05 1990-05-03 최정삼 완력기
KR200359316Y1 (ko) * 2004-04-16 2004-08-21 박영기 다리오므림 운동장치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
KR20060085409A (ko) * 2005-01-24 2006-07-27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1246995B1 (ko) * 2011-01-13 2013-03-25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1313095B1 (ko) * 2011-07-25 2013-10-04 윤희준 골반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835A (ko) 2022-10-18 2024-04-25 이재현 좌식 하체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86182A (ja) 運動装置
US4125258A (en) Limb exercising apparatus
US5224914A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1623671A (en) Exercising apparatus
US20050059536A1 (en)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20180133535A1 (en) Resistance Training Cushion
US6626808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00018599A (ko) 관절 보조기용 재활 운동기
KR102038872B1 (ko)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ITMI970140A1 (it) Apparecchiatura per l'allenamento muscolare particolarmente per l'allenamento dei muscoli rotatori della spalla
KR102033373B1 (ko)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US5846170A (en) Exercising apparatus for exercising abdominal muscles and for performing stretching exercises
KR200455208Y1 (ko) 무릎 지지장치
KR101144976B1 (ko) 복합 헬스 운동기구
KR20170001181U (ko)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2074592B1 (ko) 휴대용 운동기구
ITMO20060211A1 (it) Attrezzo ginnico, particolarmente per l'allenamento dei muscoli addominali e dei muscoli glutei
KR20130031814A (ko) 절첩형 싯업 보드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102223338B1 (ko)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KR100856072B1 (ko) 전신 운동기구
RU2371224C2 (ru) Тренажер для ягодичной мышцы
EP1919570A1 (en) Gymnastic apparatus, particularly for exercising extensor muscles of inferior limbs thighs muscles and gluteus muscles
KR101632273B1 (ko) 하체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