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338B1 -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338B1
KR102223338B1 KR1020190074715A KR20190074715A KR102223338B1 KR 102223338 B1 KR102223338 B1 KR 102223338B1 KR 1020190074715 A KR1020190074715 A KR 1020190074715A KR 20190074715 A KR20190074715 A KR 20190074715A KR 102223338 B1 KR102223338 B1 KR 10222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alf
elastic
user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011A (ko
Inventor
배영현
Original Assignee
배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현 filed Critical 배영현
Priority to KR102019007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3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하지 않아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APPARATUS FOR SQUAT MOTION ASSIST}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하지 않아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쿼트는 인간의 움직임에서 필수적인 요소들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바닥에 무릎을 접은채 않는 자세를 취한다던가, 계단을 오른다던가 하는 여러 가지 자세들은 스쿼트의 변형된 동작이고 볼 수 있다.
또한, 많은 운동과 관련된 서적이나 책에서도 스쿼트가 운동 중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안전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스쿼트 자세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코어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키울 수 있어 건강하며 통증 없는 삶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600(2018.10.12)호는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운동기구를 통해서 스쿼트, 백 익스텐션, 푸시업 및 싯업 등의 운동을 겸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위치 가변이 가능하게 마련된 제쿠션부,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쿠션부와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며 자체의 폴딩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허벅지와 선택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쿠션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단부 상측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쿼트 운동이나 스쿼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하는 경우 몸의 안정을 잃어버리는 경우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스쿼트 보조 기구들은 몸통과 무릎이 향하는 각도가 서로 같아, 발의 자연스러운 벌어짐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쿼트 보조 기구들은 사용자의 종아리나 발등 부분을 수동적으로 지지해줄 뿐, 능동적으로 스쿼트를 보조하는 기구들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600(2018.10.1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종아리를 제2 바디를 향한 위치에서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하도록 제2 바디는 탄성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했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 바디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의해 제1 바디에 가까워지면서, 연결바는 제1 바디의 후면측으로 돌출되므로 스쿼트의 전체 동작에 대해서 제2 바디는 사용자 종아리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바 및 조임바가 복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 가능하므로, 연결바가 제1 바디의 후면 측으로 충분히 돌출된 상태에서 조임바가 연결바를 조임으로써, 종아리 가압부의 제2 바디의 가동범위 및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의 회전홈을 따라 서로 나란한 종아리 가압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양 측의 종아리 가압부의 벌어진 각도의 맞춤화가 가능한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비율에 맞도록 종아리 전체를 가압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는, 하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 상면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종아리 가압부를 포함하고, 종아리 가압부는, 베이스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바디, 제1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바디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타단은 제1 바디에 대한 상대적 거리가 변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바디, 및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타단측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바디의 타단이 제1 바디에 가까워지는 경우 제2 바디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종아리를 제2 바디를 향한 위치에서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하도록 제2 바디는 탄성부에 의해 가압된다.
탄성부는, 제2 바디의 타단이 제1 바디에 가까워질수록 제2 바디에 더 큰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는, 제1 바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바(bar), 제1 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바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2 바, 제1 바와 제2 바를 연결하며, 제1 바 및 제2 바가 가까워지는 경우 제1 바 및 제2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는 연결바를 감싸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연결바는, 일측이 제2 바를 관통하여 제2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 바 및 제1 바디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제1 바 및 제2 바가 가까워지는 경우, 연결바는 제1 바디의 후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바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탄성부는, 제1 바디의 후면에서 복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조임바, 및 연결바가 제1 바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임바와 제1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제1 바디의 폭 너비로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종아리 가압부가 고정 가능한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회전홈을 포함하고, 제1 바디는,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인입 가능한 고정바, 고정바를 감싸며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정바는, 외력에 의해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서 인출되고, 제1 바디의 회전 후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아리 가압부는 베이스부 상에 나란하게 2개소 구비되고, 각 종아리 가압부의 회전홈은, 종아리 가압부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는, 하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 상면에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종아리 가압부,를 포함하고, 종아리 가압부는, 베이스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바디, 제1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바디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타단은 베이스부와 이루는 각도가 변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바디, 및 베이스부와 제2 바디의 하단측과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바디가 베이스부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바디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에 지지되는 제2 바디는 탄성부에 의해 가압된다.
제2 바디의 내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종아리를 제2 바디를 향한 위치에서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하도록 제2 바디는 탄성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했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는 제2 바디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의해 제1 바디에 가까워지면서, 연결바는 제1 바디의 후면측으로 돌출되므로 스쿼트의 전체 동작에 대해서 제2 바디는 사용자 종아리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는 연결바 및 조임바가 복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 가능하므로, 연결바가 제1 바디의 후면 측으로 충분히 돌출된 상태에서 조임바가 연결바를 조임으로써, 종아리 가압부의 제2 바디의 가동범위 및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는 베이스부의 회전홈을 따라 서로 나란한 종아리 가압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양 측의 종아리 가압부의 벌어진 각도의 맞춤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는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비율에 맞도록 종아리 전체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종아리 가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종아리 가압부에서 제2 바디가 걸림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가 스쿼트 운동을 보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종아리 가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종아리 가압부에서 제2 바디가 걸림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가 스쿼트 운동을 보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는 베이스부(100) 및 종아리 가압부(200)를 포함하고, 종아리 가압부(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및 탄성부(2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00)는 어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올라가는 발판이 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종아리 가압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일측 및/또는 양측에는 손잡이(110)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10)는 베이스부(100)에 조립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0)를 잡고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를 이용함으로써 스쿼트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0)의 일측에는 운동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탄성 밴드를 걸 수 있는 밴드걸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종아리 가압부(200)는 베이스부(100) 상면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가압부(200)는 베이스부(100) 상에 나란하게 2개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종아리 가압부(200)가 고정 가능한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회전홈(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란하게 구비된 2개의 종아리 가압부(200)는 서로 반대방향(A, B)을 향해 회전하여 베이스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회전홈(130)은 베이스부(100) 상에 제1 바디(210)의 폭 너비로 이격되고, 각각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홈(130)은 종아리 가압부(200)가 고정 가능한 복수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홈(130)은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종아리 가압부(200)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2개의 종아리 가압부(200)는 앞으로 나란한 방향이 아닌 서로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는 베이스부(100)의 회전홈(130)을 따라 서로 나란한 종아리 가압부(200)가 서로 다른 방향(A, B)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양 측의 종아리 가압부(200)의 벌어진 각도의 맞춤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양 측의 종아리 가압부(200)를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다양한 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아리 가압부(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및 탄성부(230)를 포함한다.
제1 바디(210)는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바디(210)는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베이스부(1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는 제1면(211), 제1면(211)과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2면(212), 양 측에 배치되는 제2면(212) 사이를 덮는 제3면(213), 및 제1면(211), 제2면(212) 및 제3면(213)이 이루는 공간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4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면(211) 및 제2면(212)은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210)는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면(211)은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제2면(212)에서 돌출된 날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210)와 베이스부(100)의 회전홈(130)에 형성된 복수의 홀은 다음과 같이 결합한다.
제1 바디(210)는,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인입 가능한 고정바(251), 고정바(251)를 감싸며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2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바(251)는 외력에 의해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서 인출되고, 제1 바디(210)의 회전 후 코일 스프링(252)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바(251)가 제1 바디(210)의 제1면(211)에 형성된 관통홀 위쪽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고정바(251)를 감싸고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252)과, 코일 스프링(252)의 일면을 지지하는 스토퍼(253)가 고정바(25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바(251)를 고정바(251)가 삽입되어 있던 회전홈(130)의 홀로부터 삽출함으로써, 베이스부(100)에 고정된 제1 바디(210)를 해제하고, 상술한 회전홈(130)을 따라 회전시킨 뒤 고정바(251)에 놓음으로써 종아리 가압부(2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바디(21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타단은 제1 바디(210)에 대한 상대적 거리가 변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의 제1면(211)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2 바디(220)의 옆면을 이루는 제1면(222), 양 측에 배치되는 제1면(222)의 상부를 덮는 제2면(223) 및 상술한 제1 바디(210)의 제4면(214)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1면(222) 및 제2면(223)이 이루는 공간의 일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3면(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의 제2면(212)의 하부와 제2 바디(220)의 제1면(222)의 하부인 동시에, 두 면이 접촉되는 곳에 힌지결합(228)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230)는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의 타단측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부(230)는 제2 바디(220)의 타단이 제1 바디(210)에 가까워지는 경우 제2 바디(220)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230)는 제1 바디(21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바(231)(bar), 제1 바(2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바디(22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2 바(232), 제1 바(231)와 제2 바(232)를 연결하며, 제1 바(231) 및 제2 바(232)가 가까워지는 경우 제1 바(231) 및 제2 바(2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바(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230)는 연결바(233)를 감싸는 탄성체(234)를 더 포함하고, 연결바(233)는, 일측이 제2 바(232)를 관통하여 제2 바디(2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 바(231) 및 제1 바디(2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제1 바(231) 및 제2 바(232)가 가까워지는 경우, 연결바(233)는 제1 바디(210)의 후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를 향해 가까워지는 경우에, 연결바(233)가 제1 바디(210)는 관통함으로써, 사용자의 종아리가 제2 바디(220)를 가압하는 압력은 연결바(233)에 의하여서는 제1 바디(210)에 전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2 바디(220)만 회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종아리 가압부(200)는 사용자는 종아리에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안정적인 압력이 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는 제2 바디(220)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의해 제1 바디(210)에 가까워지면서, 연결바(233)는 제1 바디(210)의 후면측으로 돌출되므로 스쿼트의 전체 동작에 대해서 제2 바디(220)는 사용자 종아리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바(233)에는 복수의 관통홀(23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230)는 제1 바디(210)의 후면에서 복수의 관통홀(233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조임바(236), 및 연결바(233)가 제1 바디(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임바(236)와 제1 바디(210) 사이에 배치되는 링부재(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는 연결바(233) 및 조임바(236)가 복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 가능하므로, 연결바(233)가 제1 바디(210)의 후면 측으로 충분히 돌출된 상태에서 조임바(236)가 연결바(233)를 조임으로써, 종아리 가압부(200)의 제2 바디(220)의 가동범위 및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종아리가 안착되는 제2 바디(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를 들어, 제3면(224))에는, 사용자의 종아리에 의해 제2 바디(220)에 가해지는 외력의 정도를 측정 가능한 압력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 시 제2 바디(2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를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스쿼트 운동이 올바른 자세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싱된 압력은 스마트 재활 운동 장비 등의 디스플레이 내지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센싱된 압력에 따라 산출된 운동 자세 적정여부 및 이에 따른 자세교정 가이드 등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내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종아리 가압부(200)의 작동 메커니즘 설명한다.
도 4의 (a)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종아리 가압부(200)에 기본적인 스쿼트의 앉은 자세를 취한 모습이고, 도 4의 (b)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는 중간을 나타낸 모습이며, 도 4의 (c)는 사용자가 완전히 일어난 자세에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종아리 가압부(200)는 기본적으로 도 4의 (a)와 같은 구조를 취한다. 이는 제2 바디(220)가 중력에 의해 제1 바디(210)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최대인 상태이며, 탄성부(230)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는 종아리 가압부(200)가 사용자의 종아리와 접촉하지만,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가 가까워지지 않았으므로 탄성부(230)에 의하여 제2 바디(220)가 사용자의 종아리쪽을 가압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종아리 가압부(200)의 제2 바디(220)에 종아리가 대응되도록 앉아서 스쿼트의 일어나는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쿼트의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다. 이때 사용자의 종아리는 제2 바디(220)를 밀게 되고,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에 가까워지면서 탄성부(230)가 압축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230)의 탄성력이 증가하며 탄성부(230)가 제2 바디(220)를 밀어내는 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바디(220)가 사용자의 종아리를 미는 힘이 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에 가까워질수록, 즉 사용자가 스쿼트의 앉은 자세에서 일어난 자세에 가까워질수록 탄성부(230)의 탄성력이 더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바디(220)가 사용자의 종아리를 미는 힘 역시 동시에 증가하게 된다.
도 4의 (c)는 사용자가 완전히 일어선 모습을 나타낸 모습이다. 이때, 사용자의 종아리는 제2 바디(220)를 밀고 있으며, 제1 바디(210)는 베이스부(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 사이에 있는 탄성부(230)는 매우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탄성부(230)는 제2 바디(220)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힘은 제2 바디(220)가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하는 힘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스쿼트 자세에서 완전히 일어난 상태일 때 사용자의 종아리는 종아리 가압부(200)에 의해 가장 큰 압력을 받게 된다. 즉, 도 4의 (a) 상태에서 (b) 및 (c) 상태로 변화하며 사용자의 종아리에 가압되는 제2 바디(220)의 압력은 점점 커지게 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는 사용자가 종아리를 제2 바디(220)를 향한 위치에서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하도록 제2 바디(220)는 탄성부(2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했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220)가 종아리를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순히 종아리에 근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굽혀진 무릎을 펴기 위해서는 허벅지에도 원래의 스쿼트 할 때 필요한 힘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를 사용하면,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하지 않아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로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의 탄성부(230)는 제2 바디(220)의 타단이 제1 바디(210)에 가까워질수록 제2 바디(220)에 더 큰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앉아있는 불안정한 자세가 아니라, 비교적 안정적인 자세인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에서 사용자의 종아리에 힘을 가하므로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1000)를 사용하며 중심을 잃는 등의 사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종아리 가압부(200)는 걸림고리(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고리(242)는 제2 바디(220)를 제1 바디(210) 가까이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걸림고리(242)는 제1 바디(210)의 제2 면(212)의 상부측에 제2 면(212)과 힌지결합(241)될 수 있다. 걸림고리(242)는 종아리 가압부(200)를 사용시에는 제1 바디(210)의 제2면(212)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232)는 제2 바디(220)의 제1면(22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고리(242)에는 제2 바(232)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고리 홈(24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걸림고리 홈(243)에 제2 바(232)가 걸림되어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와 간격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종아리 가압부(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걸림고리(242)를 이용하여 제2 바디(220)를 제1 바디(210)에 가깝게 배치시킴으로써,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 사이에 있는 공간에 물건이 끼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된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2000)는 제1 바디(1210), 제2 바디(1220) 및 탄성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210)는 베이스부(110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베이스부(1100)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210)는 베이스부(1100)에 고정되는 제1면(1211)과, 제1면(1211)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제2면(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면(1212)의 길이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품을 사이즈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단가를 낮출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바디(1210)의 제1면(1211)이 베이스부(1100)와 결합되는 방식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1220)는 제1 바디(1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바디(121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타단은 베이스부(1100)와 이루는 각도가 변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1220)의 내측면에 고정돌기(12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0)와 대향되는 제2 바디(1220)의 면의 양측에는 후술할 연장 플레이트(1300)가 끼움될 수 있는 끼움홈부(12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홈부(1250)의 내측면에는 요철 형태의 고정돌기(126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1300)는 상술한 고정돌기(1260)에 의해 제2 바디(122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플레이트(1300)의 측면에는 상술한 고정돌기(1260)에 끼움될 수 있는 끼움돌기(1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장 플레이트(1300)를 끼움홈부(1250)에 끼워넣어 가압하면 끼움돌기(1330)가 고정돌기(1260)와 맞물리게 되며, 연장 플레이트(1300)가 제2 바디(12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바디(1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2000)는 제2 바디(1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13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비율에 맞도록 종아리 전체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1230)는 베이스부(1100)와 제2 바디(1220)의 하단측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220)가 베이스부(1100)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바디(1220)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1230)의 탄성체(1234)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바디(1220)측에 종아리가 오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스쿼트를 하게 되면, 제2 바디(1220)가 베이스부(1100)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인장된 인장 스프링은 제2 바디(1220)를 베이스부(1100)에 가깝게 오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거운 중량을 들고 스쿼트 운동을 하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2000 :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100, 1100 : 베이스부
110 : 손잡이
120 : 밴드걸이
130 : 회전홈
200, 1200 : 종아리 가압부
210, 1210 : 제1 바디
220, 1220 : 제2 바디
228 : 회동힌지
230 : 탄성부
231 : 제1 바
232 : 제2 바
233, 1233 : 연결바
234, 1234 : 탄성체
235 : 링부재
236 : 조임바
242 : 걸림고리
251 : 고정바
252 : 코일 스프링
253 : 스토퍼
1250 : 끼움홈부
1260 : 고정돌기
1300 : 연장 플레이트
1310 : 접촉면
1330 : 끼움돌기

Claims (5)

  1. 하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종아리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제1 바디에 대한 상대적 거리가 변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이 상기 제1 바디에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제2 바디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종아리를 상기 제2 바디를 향한 위치에서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폭 너비로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종아리 가압부가 고정 가능한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인입 가능한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를 감싸며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바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서 인출되고, 제1 바디의 회전 후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종아리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나란하게 2개소 구비되고,
    상기 회전홈은, 상기 종아리 가압부 2개소가 상호 반대방향을 향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이 상기 제1 바디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2 바디에 더 큰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바(bar);
    상기 제1 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바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2 바;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2 바가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2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바를 감싸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일측이 상기 제2 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1 바디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2 바가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측으로 돌출되는,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5. 삭제
KR1020190074715A 2019-06-24 2019-06-24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KR10222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15A KR102223338B1 (ko) 2019-06-24 2019-06-24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15A KR102223338B1 (ko) 2019-06-24 2019-06-24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11A KR20210000011A (ko) 2021-01-04
KR102223338B1 true KR102223338B1 (ko) 2021-03-04

Family

ID=7412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715A KR102223338B1 (ko) 2019-06-24 2019-06-24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3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872A (ko) * 2011-03-07 2012-09-17 박정민 다기능 힙 업 운동기구
KR200487600Y1 (ko) 2018-06-07 2018-10-12 주식회사 이화에스엠피 다목적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11A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803E1 (en) Portable multipurpose whole body exercise device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69327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Kinesiologically Correct exercise and rehabilitation
US9205295B2 (en) Exercise device
US6036626A (en) Adjusta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9950211B2 (en) Weight stack pushup exercise device
US20100216615A1 (en) Ab web systems
WO201720592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US20060205575A1 (en) Waist and belly stretching exerciser
KR102223338B1 (ko)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US20090253561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040043877A1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
US7862490B2 (en) Exercise machine force application apparatus
US6746382B2 (en) Quadricep isolation exercise apparatus
ITMO20060211A1 (it) Attrezzo ginnico, particolarmente per l'allenamento dei muscoli addominali e dei muscoli glutei
KR102038872B1 (ko)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KR100856072B1 (ko) 전신 운동기구
KR102033373B1 (ko) 휴대용 하체운동기구
US10384092B1 (en) Isometric exercise device
CN215741621U (zh) 可移动多功能健腹运动装置
CN213964274U (zh) 一种按摩器
US20230226405A1 (en) Leg and hip exercise device
JP3157812U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80082446A (ko)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