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072B1 - 전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072B1
KR100856072B1 KR1020080016385A KR20080016385A KR100856072B1 KR 100856072 B1 KR100856072 B1 KR 100856072B1 KR 1020080016385 A KR1020080016385 A KR 1020080016385A KR 20080016385 A KR20080016385 A KR 20080016385A KR 100856072 B1 KR100856072 B1 KR 10085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elastic
foot
band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희
Original Assignee
조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희 filed Critical 조영희
Priority to KR102008001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팔, 다리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체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와 발 끼움부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 및 신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는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가 삽입 구비되고; 상기 신축부는 수평바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발 끼움부는 신축밴드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와 발 끼움부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 및 신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양측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목이나 머리를 감싸는 상체 고정띠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신 운동기구, 롤러, 수평바, 상체 고정띠

Description

전신 운동기구{Device for exercising whole body}
본 발명은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 팔, 다리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체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 운동기구는, 헬스장 등에서 사용되는 고가의 헬스기구나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저가의 휴대용 운동기구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에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가의 운동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가정용 운동기구는,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와, 발 끼움부의 중간에서 인출되는 신축부와, 신축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양손으로 수취하여 신축부를 신축시키면서 운동을 수행하는 수평바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동기구는, 눕거나 앉은 자세 또는 서있는 자세에서 수평바를 잡은 상태에서 팔과 허리를 강화시키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다리를 피거나 접는 과정을 통해 다리를 강화시키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동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허리, 팔, 다리 운동만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허리, 팔, 다리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체 근육의 강화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엎드린 자세에서 상체의 이동을 통해 가슴, 어께, 등의 상체 운동은 물론 복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눕거나 앉은 자세 또는 서있는 자세에서 목을 유연하게 하는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허리 또는 등을 지압하면서 허리를 굽히거나 세우는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와 발 끼움부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 및 신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는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가 삽입 구비되고; 상기 신축부는 수평바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발 끼움부는 신축밴드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와 발 끼움부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 및 신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양측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목이나 머리를 감싸는 상체 고정띠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바에는,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가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신축부는 수평바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와 신축밴드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는 상기 길이 조정끈의 고리에 연결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발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신축부는 수평바의 양측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양 신축밴드와, 상기 발 끼움부는 양측에서 인출된 각 신축밴드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양 발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신축부는 수평바의 양측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와 신축밴드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는 상기 양측에 각기 구비된 길이 조정끈의 고리에 연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각각이 고정되는 양 발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허리, 팔, 다리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체 근육의 강화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전신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엎드린 자세에서 상체의 이동을 통해 가슴, 어께, 등, 다리의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체와 하체의 근육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눕거나 앉은 자세 또는 서있는 자세에서 목을 유연하게 하는 운동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목이 굳어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허리 또는 등을 지압하면서 허리를 굽히거나 세우는 운동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허리 또는 등의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신축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누구나 호환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1)와 발 끼움부(1)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2) 및 신축부(2)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3)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3)에는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4)가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4)는 수평바(3)에 회전되게 관통 고정되는 베어링(41)과 베어링(41)의 둘레를 감싸는 중량체의 원형체(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원형체(42)은 중량체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팔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1)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신축밴드(21)는, 수평바(3)의 중간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을 통해 수평바(3)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한 쌍의 발걸이(11)는,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을 통해 신축밴드(2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리가 가능한 연결수단(C)은 여러 형태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도면에서는 링(R)과 링(R)에 관통되어 걸리는 개폐후크(H)로 구성된 형태를 도시 하였으며, 이하 연결수단(C)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또는 서있는 자세에서 수평바(3)를 잡은 상태에서 수평바(3)를 이동시켜 팔이나 허리 또는 다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으로 수평바(3)의 양측을 잡은 상태에서, 롤러(4)들을 지면에 밀착 시킨후 전신을 움직여 수평바(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체 운동은 물론 복근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롤러(4)가 구비된 수평바(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발걸이(11)와 수평바(3)를 상호 연결시키는 신축밴드(21)를 신장, 신축시킴에 따라서 다리의 허벅지 근육 및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발 끼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발 끼움 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 양측에 연결수단(C)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각 발걸이(11)는 상기 연결수단(C)과 발걸이(11)의 사이에 구비되는 신축밴드(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 발걸이(11)를 발에 끼운후 각 발을 벌리는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다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구성하는 발 끼움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11)를 포함하는 판(1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밴드(21)는, 수평바(3)의 중간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을 통해 수평바(3)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걸이(11)를 포함하는 판(12)은,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을 통해 신축밴드(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있는 자세에서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 좀 더 안정적인 자세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신축부(2)와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2)와 신축밴드(22)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231)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23)으로 구성되고, 발 끼움부(1)는 상기 길이 조정끈(23)의 고리(231)에 연결수단(111)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111)은 손의 조작을 통해 후크가 개방되는 개폐후크(112)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길이 조정끈(23)에 다단으로 구비된 고리(231)들에 선택적으로 개폐후크(112)을 고정함으로써, 발 끼움부(1)와 수평바(3)의 거리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신축부(2)와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구성하는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양측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양 신축밴드(21)로 구성되고, 발 끼움부(1)는 양측에서 인출된 각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양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밴드(21)는 연결수단(C)을 통해 수평바(3)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걸이(11)는,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을 통해 신축밴드(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또는 서 있는 자세에서 수평바(3)를 잡은 상태에서 수평바(3)를 이동시켜 팔이나 허리 또는 다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으로 수평바(3)의 양측을 잡은 상태에서, 롤러(4)들을 지면에 밀착 시킨후 전신을 움직여 수평바(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체 운동과 복근 운동은 물론 다리의 허벅지 근육 및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눕거나 앉은 자세 또는 서 있는 자세에서 양 다리를 벌리는 운동과 양 다리를 좌우로 흔드는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하체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 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신축부(2)와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5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양측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4)와 신축밴드(24)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251)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상기 양측에 각기 구비된 길이 조정끈(25)의 고리(251)에 연결수단(113)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각각이 고정되는 양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113)은 손의 조작을 통해 후크가 개방되는 개폐후크(114)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길이 조정끈(25)에 다단으로 구비된 고리(251)들에 선택적으로 연결수단(113)을 고정함으로써, 발 끼움부(1)와 수평바(3)의 거리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1)와 발 끼움부(1)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2) 및 신축부(2)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3)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3)의 양측에는 연결수단(C)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목이나 머리 를 감싸는 상체 고정띠(5)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1)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신축밴드(21)는, 수평바(3)의 중간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을 통해 수평바(3)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한 쌍의 발걸이(11)는,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을 통해 신축밴드(2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를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먼저 수평바(3)를 상체의 전방에 위치되게 한 후 상체 고정띠(5)를 목이나 머리에 걸고 하부의 양 발걸이(11)에 양 발을 끼운다.
그런 다음, 수평바(3)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과정을 통해 하부에 신축밴드(21)를 신장, 신축시키면 목과 허리를 굽히면서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하체의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음은 물론, 허리와 목을 유연하게 하면서 팔을 포함하는 상체의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허리를 피는 동작을 통해 복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허리를 피는 동작을 통해 스트레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상체 고정띠(5)를 제외한 타 구성은 상기 제7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체 고정띠(5)의 중간에는 신축밴드(5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체의 목근육등을 지압하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수평바(3)에는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4)가 삽입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4)는 수평바(3)에 회전되게 관통되는 베어링(41)과 베어링(41)의 둘레를 감싸는 중량체의 원형체(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원형체(42)은 중량체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팔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바(3)를 상체의 전방에 위치되게 한 후 상체 고정띠(5)를 목이나 머리에 걸고 하부의 양 발걸이(11)에 양 발을 끼운다.
그런 다음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으로 수평바(3)의 양측을 잡은 상태에서, 롤 러(4)들을 지면에 밀착 시킨후 전신을 움직여 수평바(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체 운동과 복근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롤러(4)가 포함된 수평바(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걸이(11)와 수평바(3)를 상호 연결시키는 신축밴드(21)를 신장,신축 시킴에 따라서 다리의 허벅지 근육 및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킴은 물론, 목 또는 머리를 눌러주어 목의 유연성을 높이는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통해 허리를 눌러주는 운동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체 고정띠를 양 팔과 목에 건 상태에서 수평바(3)의 롤러(4)를 허리의 후방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발걸이(11)에 발을 끼운 상태에서 수평바(3)를 승강시키는 과정을 통해 신축밴드(21)를 신장,신축시킴에 따라서 허리를 눌러주면서 허리를 피거나 굽히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허리의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허리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발 끼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9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발 끼움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 양측에 연결수단(C)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각 발걸이(11)는 상기 연결수단(C)과 발걸이(11)의 사이에 구비되는 신축밴드(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 발걸이(11)를 발에 끼운후 각 발을 벌리는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다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신축부(2)와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9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2)와 신축밴드(22)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231)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23)으로 구성되고, 발 끼움부(1)는 상기 길이 조정끈(23)의 고리(231)에 연결수단(111)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111)은 손의 조작을 통해 후크가 개방되는 개폐후크(112)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길이 조정끈(23)에 다단으로 구비된 고리(231)들에 선택적으로 연결수단(111)을 고정함으로써, 발 끼움부(1)와 수평바(3)의 거리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신축부(2)와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9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를 구성하는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양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인출되어 있는 신축밴드(21)로 구성된다.
그리고 발 끼움부(1)는 양측으로 인출된 각 신축밴드(21)의 하부에 연결수단(C)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또는 서있는 자세에서 상체 고정띠(5)를 목이나 머리에 건 상태에서 수평바(3)를 상체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수평바(3)를 양팔로 잡은 상태에서, 수평바(3)를 이동시켜 팔이나 허리 또는 다리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으로 수평바(3)의 양측을 잡은 상태에서, 롤러(4)들을 지면에 밀착 시킨후 전신을 움직여 수평바(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체 운동과 복근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눕거나 앉은 자세 또는 서 있는 자세에서 양 다리를 벌리는 운동과 양 다리를 좌우로 흔드는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하체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는, 신축부(2)와 발 끼움부(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1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양측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4)와 신축밴드(24)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251)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상기 양측에 각기 구비된 길이 조정끈(25)의 고리(251)에 연결수단(113)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각각이 고정되는 양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113)은 손의 조작을 통해 후크가 개방되는 개폐후크(114)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길이 조정끈(25)에 다단으로 구비된 고리(251)들에 선택적으로 연결수단(113)을 고정함으로써, 발 끼움부(1)와 수평바(3)의 거리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발 끼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발 끼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의 전신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 끼움부
11 : 발걸이
111 : 연결수단, 112 : 개폐후크, 113 : 연결수단, 114 : 개폐후크
12 : 판
121 : 발걸이, 122 : 신축밴드
2 : 신축부
21 : 신축밴드
22 : 신축밴드
23 : 길이 조정끈
231 : 고리
24 : 신축밴드
25 : 길이 조정끈
251 : 고리
3 : 수평바
4 : 롤러
41 : 베어링, 42 : 링
5 : 상체 고정띠
51 : 신축밴드
C : 연결수단

Claims (14)

  1.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1)와 발 끼움부(1)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2) 및 신축부(2)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3)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3)에는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4)가 삽입 구비되고;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1)로 구성되며;
    상기 발 끼움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2. 양 발을 끼우는 발 끼움부(1)와 발 끼움부(1)로부터 인출되는 신축부(2) 및 신축부(2)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3)로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3)의 양측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목이나 머리를 감싸는 상체 고정띠(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고정띠(5)는,
    수평바(3)의 양측에 연결수단(C)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3)에는,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4)가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고정띠(5)의 중간에는 신축밴드(5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1)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21)는 연결수단(C)을 통해 수평바(3)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발걸이(11)는 연결수단(C)을 통해 신축밴드(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각 발걸이(11)는,
    상기 연결수단(C)과 발걸이(11)의 사이에 구비되는 신축밴드(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1)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발걸이(11)를 포함하는 판(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21)는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바(3)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판(12)은 연결수단을 통해 신축밴드(2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중간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2)와 신축밴드(22)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231)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상기 길이 조정끈(23)의 고리(231)에 연결수단(111)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양측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양 신축밴드(21)와,
    상기 발 끼움부(1)는 양측에서 인출된 각 신축밴드(21)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양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21)는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바(3)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발걸이(11)는 연결수단을 통해 신축밴드(2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2)는 수평바(3)의 양측에서 인출되게 구비된 신축밴드(24)와 신축밴드(24)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단의 고리(251)가 구비된 길이 조정끈(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 끼움부(1)는 상기 양측에 각기 구비된 길이 조정끈(25)의 고리(251)에 연결수단(113)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각각이 고정되는 양 발걸이(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KR1020080016385A 2008-02-22 2008-02-22 전신 운동기구 KR10085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85A KR100856072B1 (ko) 2008-02-22 2008-02-22 전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85A KR100856072B1 (ko) 2008-02-22 2008-02-22 전신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072B1 true KR100856072B1 (ko) 2008-09-02

Family

ID=4002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385A KR100856072B1 (ko) 2008-02-22 2008-02-22 전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9105A (zh) * 2016-08-29 2017-05-17 陶司佳 一种腹肌轮辅助器
KR102159758B1 (ko) 2020-04-07 2020-09-24 이선형 휴대용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437A (en) * 1994-11-09 1997-12-09 Olschansky; Brad Gluteal and thigh muscle exercise system
KR200330512Y1 (ko) 2003-07-08 2003-10-17 동 현 이 탄력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18023Y1 (ko) 2006-03-14 2006-06-07 김동묵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437A (en) * 1994-11-09 1997-12-09 Olschansky; Brad Gluteal and thigh muscle exercise system
KR200330512Y1 (ko) 2003-07-08 2003-10-17 동 현 이 탄력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18023Y1 (ko) 2006-03-14 2006-06-07 김동묵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9105A (zh) * 2016-08-29 2017-05-17 陶司佳 一种腹肌轮辅助器
CN106669105B (zh) * 2016-08-29 2019-05-14 陶司佳 一种腹肌轮辅助器
KR102159758B1 (ko) 2020-04-07 2020-09-24 이선형 휴대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3280B2 (en) Roller barre
US9114277B2 (en) Exercise brace
US10512811B2 (en) Fitness training equipment and method of use
US20120329620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20329618A1 (en) Method of exercise
EP0413870A2 (en) Exercising apparatus
US7931575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US10272289B2 (en)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US5863280A (en) Multi-purpose exerciser
WO2022089439A1 (zh) 一种多功能划船锻炼器材
US20100022362A1 (en) Assisted-exercise apparatus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AU201727291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CA265899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KR20130032040A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0856072B1 (ko) 전신 운동기구
KR100894914B1 (ko) 신축 운동기구
CN202538256U (zh) 脚架伸缩调整角度的拉腹器
CN108939426B (zh) 一种俯背运动器
KR100856073B1 (ko) 신축 운동기구
KR102223338B1 (ko)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KR20180041636A (ko) 운동용 및 사무용 회전의자
RU2162358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и суставов тела
KR200351859Y1 (ko) 전신 운동용 트위스트 머신
WO2013003280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