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23Y1 -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23Y1
KR200418023Y1 KR2020060006788U KR20060006788U KR200418023Y1 KR 200418023 Y1 KR200418023 Y1 KR 200418023Y1 KR 2020060006788 U KR2020060006788 U KR 2020060006788U KR 20060006788 U KR20060006788 U KR 20060006788U KR 200418023 Y1 KR200418023 Y1 KR 200418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bbell
elastic band
weight
exerci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묵
Original Assignee
김동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묵 filed Critical 김동묵
Priority to KR2020060006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특히 아령의 무게추를 회전가능하게 제작하고, 상기 아령의 양축에 탄성밴드를 연결한 손잡이를 설치하여 아령운동과 더불어 다리운동등을 더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회동용 홈을 형성한 바 형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회동용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되며 중량을 제공하는 원형 형태의 무게추와; 상기 지지축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는 삼각형 형태의 아령 연결고리와; 상기 아령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탄성밴드 연결고리와; 상기 탄성밴드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탄성밴드 및; 상기 탄성밴드에 연결되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반원형태이며,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무게추를 신체일부로 굴리도록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아령, 겸용, 운동기구

Description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A Exercising Instrument Combining a Dumbbell Exericse}
도 1은 본 고안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무게추
20: 지지축
30: 아령 연결편
40: 아령 연결고리
50: 탄성밴드
60: 탄성밴드 연결고리
70: 손잡이
본 고안은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령의 무게추를 회전가능하게 제작하고, 상기 아령의 양축에 탄성밴드를 연결한 손잡이를 설치하여 아령운동과 더불어 다리운동등을 더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기본적으로 어깨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서 가운데 손잡이 겸용 중심축이 존재하고, 중심축의 양 사이드에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추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무게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자신에 적합한 무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양한 동작에 의해서 운동을 하면 팔이나 어깨의 근력과 지구력등을 키울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령은 단순히 팔을 들고 내리는 운동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실증을 쉽게 느낄 수 있어 장시간 아령으로 운동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현재까지의 아령은 단순히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팔이나 어깨를 흔드는 동작밖에 없으므로 쉽게 실증을 느낄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아령을 구입후에 잘 이용하지 않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아령을 이용한 어깨 운동과 더불어 아령을 이용하여 다리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측에 회동용 홈을 형성한 바 형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회동용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되며 중량을 제공하는 원형 형태의 무게추와;
상기 지지축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는 삼각형 형태의 아령 연결고리와;
상기 아령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탄성밴드 연결고리와;
상기 탄성밴드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탄성밴드 및;
상기 탄성밴드에 연결되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반원형태이며,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무게추를 신체일부로 굴리도록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무게추(10)와, 지지축(20)과, 아령 연결편(30)과, 아령 연결고리(40)와, 탄성밴드(50)와, 탄성밴드 연결고리(60)와, 손잡이(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추(1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원형 형태로서 지지축(20)의 양 사이드에 결합되어 적절한 중량을 제공하며, 그 형태는 종래 사용되는 아령의 무게추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종래의 무게추는 지지축에 고정되는 형태이나, 본 고안의 무게추(10)는 지지축(20)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지지축(20)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이를 위해 지지축(20)은 양 끝단에 회동용 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용 홈(21)에 무게축(10)가 결합되어 지지축(20)의 회동용 홈(21)의 제한된 공간에서 무게추(10)가 자유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령 연결편(30)은 지지축(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령 연결고리(40)를 더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아령 연결고리(40)를 고정한 상태로 무게추(10)가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령 연결고리(40)는 아령 연결편(30)에 결합되는 삼각형 형태로서 다 른 구조물을 결합하기 쉽게 하기위한 연결수단으로 활용된다.
상기 아령 연결고리(40)에는 갈고리 형태를 갖는 탄성밴드 연결고리(6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탄성밴드 연결고리(60)의 일측에는 일정한 길이의 줄로 이루어지는 탄성밴드(50)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밴드(50) 끝단에는 대략 반달 형태의 손잡이(7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가장 큰 특징은 아령을 이용하여 어깨 또는 팔 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탄성밴드를 이용한 각종 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아령의 무게추(10)를 회전가능하게 제작하고, 아울러 아령의 무게추(10) 양 끝단을 통해 탄성밴드(50)를 연결토록 하여 아령을 지지점으로 활용한 각종 운동이 가능토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무게추(10)의 자유로운 유동을 위해 지지축(20)에 유동용 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용 홈(21)에 무게추(10)를 결합시켜 유동용 홈(21)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하나, 필요에 따라서 무게추(10)의 내주연에 베어링과 같은 구조를 더 부가하여 훨씬 더 쉽게 회동이 가능토록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탄성밴드(50)를 아령에 적용하여 각종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중에서 특히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대표적으로 예시하였다.
먼저, 아령의 무게추(10)가 회전되도록 지지축(20)에 유동용 홈(21)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홈(21)에 무게추(10)가 결합하되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운동이 가능 토록 하여 일반 아령운동을 할시에는 무게추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토록 한다.
이후 탄성밴드(50)를 이용하여 다른운동을 하고 싶을때에는 아령의 연결고리(40)에 탄성밴드 연결고리(60)를 결합시킨다.
이후, 아령의 탄성밴드(50)의 손잡이(7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앉아서 아령의 지지축(20)을 발로 밀치는 동작을 실시한다.
그러면 탄성밴드 연결고리(60)와 아령의 연결고리(40)에 결합관계에 있는 아령의 지지축(20)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무게추(10)만이 자유회동되면서 회전되어 아령이 일정거리를 움직이고 다리를 오므리면 탄성밴드(50)의 신축작용으로 원래 놓여 있는 방향으로 힘이 작동되면서 오므라들어 아령이 최초 자리로 굴러서 되돌아 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앉아서 다리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령을 제거한 상태에서 탄성밴드로만 운동할 시에는 탄성밴드 연결고리끼리 각각 결합시키면 줄넘기 운동기구와 같이 한세트의 탄성밴드 운동기구가 성립되어 양 손잡이를 가슴부위에 대고 양측 끝단으로 잡아당겼다 놓았다를 반복하는 가슴운동과 같은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즉, 탄성밴드로 할 수 있는 모든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아령을 이용하여 팔과 어깨 운동을 실시하면서 동시에 탄성밴드와 아령을 결합한 다리운동이 가능하고, 또한 아령을 분리한 상태에서 탄성밴 드만을 이용한 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과 아령을 이용한 운동을 겸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일개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다수개의 운동기구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운동기구 구입비용을 아낄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1)

  1. 양측에 회동용 홈을 형성한 바 형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회동용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되며 중량을 제공하는 원형 형태의 무게추와;
    상기 지지축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는 삼각형 형태의 아령 연결고리와;
    상기 아령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탄성밴드 연결고리와;
    상기 탄성밴드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탄성밴드 및;
    상기 탄성밴드에 연결되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반원형태이며,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무게추를 신체일부로 굴리도록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KR2020060006788U 2006-03-14 2006-03-14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KR200418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88U KR200418023Y1 (ko) 2006-03-14 2006-03-14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88U KR200418023Y1 (ko) 2006-03-14 2006-03-14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480 Division 2006-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23Y1 true KR200418023Y1 (ko) 2006-06-07

Family

ID=4176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788U KR200418023Y1 (ko) 2006-03-14 2006-03-14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72B1 (ko) 2008-02-22 2008-09-02 조영희 전신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72B1 (ko) 2008-02-22 2008-09-02 조영희 전신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5818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8702570B1 (en) Portable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7922634B1 (en) Pull exerciser
US20140179498A1 (en) Abdominal track exercise device
US9039574B2 (en) Exercise ring
US20140194265A1 (en) Dual-Mode Pushup Exercise Device
WO2005081774A3 (en) Exercise bar
US20120264577A1 (en) Exercise Apparatus, Methods of 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RU104472U1 (ru) Тренирово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брюа" для развития гибкости суставов и выполнения пластичных этюдов и публичных выступлений в жанрах "каучук" и "клишник"
KR200418023Y1 (ko) 아령운동 겸용 운동기구
JP4147541B2 (ja) 運動補助具
US10780317B1 (en) Exercise apparatus
US20080096741A1 (en) Ab spinner abdominal exerciser
KR101239994B1 (ko) 운동기구
US20160346594A1 (en) Forearm workout device
KR100983293B1 (ko) 상체운동기구
CN204671805U (zh) 健身器
KR200171571Y1 (ko) 트위스트 기능을 갖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
KR20150040456A (ko) 전완근 운동기기
EP1882497A1 (en) Exercise bench
KR200468619Y1 (ko) 트위스팅 운동기구
TWM473227U (zh) 健身器
KR200456834Y1 (ko) 회전식 아령
KR200434026Y1 (ko) 핸드롤러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190037090A (ko) 종합 헬스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