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815A - 하체 단련기 - Google Patents

하체 단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815A
KR20120104815A KR1020110022448A KR20110022448A KR20120104815A KR 20120104815 A KR20120104815 A KR 20120104815A KR 1020110022448 A KR1020110022448 A KR 1020110022448A KR 20110022448 A KR20110022448 A KR 20110022448A KR 20120104815 A KR20120104815 A KR 2012010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pivot
arm member
seat plat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연 filed Critical 김주연
Priority to KR102011002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4815A/ko
Publication of KR2012010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63B21/00072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by changing the length of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단련기에 관한 것으로서,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제1아암부재; 상기 제1아암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압박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이격져서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제2아암부재; 상기 제2아암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압박부재; 상기 제1압박부재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게 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양쪽 하체의 운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하체 단련기{Apparatus for train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본 발명은 하체 단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사용자의 양 허벅지를 오무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 하체의 근력을 단련시키기 위한 하체 단련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하체의 단련을 위한 하체 단련기가 다수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 예를 살펴보면, 등록된 실용신안번호 20-0330606호는 양 허벅지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부 사이에 스프링을 내장한 제 1 및 제 2 통체를 형성한 하체 운동기구를 제안하고 있고, 등록된 실용신안번호 20-0249810호는 대략 역 V자형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의 양쪽 끝단부에 사용자의 허벅지나 무릎 내측에 안착되는 좌,우측 안착부재를 형성시킨 운동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스프링이나 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된 좌,우측 안착부재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허벅지를 오므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허벅지의 근육이 이완되었다가 수축되도록 하여 하체의 단련을 하고 있으나, 상기 스프링이나 탄성부재들은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서만 수축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미리 설정된 탄성력에 의해서만 하체의 단련을 할 수 있을 뿐이고, 기타 다른 강도의 하체 훈련은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스프링이나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너무 강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동의 흥미를 잃게 될 수도 있고, 또 너무 약하게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운동의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하체 단련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번호 10-0634817호로 등록된 하체 단련기가 제시되었는바,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11)과, 상기 좌판에 부착된 브라켓(1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아암부재(12a) 및 제2아암부재(12b)와, 상기 제1아암부재(12a) 및 제2아암부재(12b)의 단부에 부착되는 제1압박부재(13a) 및 제2압박부재(13b)와, 상기 제1아암부재(12a) 및 제2아암부재(12b) 사이에 장착되고 일측에는 조절다이얼(14a)이 부착되며 타측에는 피스톤로드가 장착된 쇽업소버(14)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하체 단련기는,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가해지는 힘을 일정하게 흡수하도록 하면서도 흡수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흡수강도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강도의 하체훈련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제1아암부재(12a)만 전진 및 후퇴 운동을 하는 피스톤로드(14b)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체 단련기를 사용할 때 상기 제 1 및 제2아암부재(12a, 12b)를 동시에 압박하더라도 중심부를 향해 서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아암부재(12a, 12b)의 수평이동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는 결국 압박의 힘이 거의 상기 제1아암부재(12a)측에서만 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제1아암부재(12a)가 밀착되는 쪽의 허벅지는 상대적으로 운동이 많이 되는 반면에 제2아암부재(12b)가 밀착되는 쪽의 허벅지는 상대적으로 운동이 덜되어 하체의 균일한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주목적은, 사용자의 양 허벅지 사이에서 밀착되는 각 압박부재를 양 허벅지에 의해서 균일하고도 동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쪽 하체의 운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하체 단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압박부재와 제2압박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에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의 압박부재도 함께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하체 단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는, 좌판;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에 일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판을 벗어나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1아암부재; 상기 제1아암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과 접촉하게 되는 제1압박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에 일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판을 벗어나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아암부재; 상기 제2아암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과 접촉하게 되는 제2압박부재; 상기 제1압박부재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압박부재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1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의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이동이 된 이후에,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게 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1회동부재의 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2회동부재의 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2회동부재의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치형결합되는 제3기어부와, 상기 제3기어부와 이격져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부와 치형결합되는 제4기어부를 가지는 연동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제1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과 상기 제2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을 잇는 선과 직각되는 가상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결합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체의 외부로 인출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쇽업소버; 및 상기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쇽업소버의 원통체가 이동될 때,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원통체 내부로 후퇴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제1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과 상기 제2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을 잇는 선과 직각되는 가상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연동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대가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제1아암부재의 측면과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아암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아암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아암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1아암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아암부재의 측면과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아암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아암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2아암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2아암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에 의하면,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연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회동부재와 연결된 제1아암부재와 제2회동부재에 연결된 제2아암부재가 서로를 향해 동일한 수평거리를 균일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하체 운동을 균일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하체 단련의 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하체 단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작동 전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작동 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체 단련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작동 전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기의 작동 후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체 단련기는 좌판(1)과, 제1회동부재(2)와, 제1아암부재(4a)와, 제1압박부재(5a)와, 제2회동부재(3)와, 제2아암부재(4b)와, 제2압박부재(5b)와, 연동수단과,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판(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의자(미도시)의 시트위에 얹어 놓게 되는 하판(1a)과, 상기 하판(1a)의 위에 씌어져서 사용자가 앉게 되는 상판(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동부재(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의 일지점에 핀(2a)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일측면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기어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아암부재(4a)는 상기 제1회동부재(2)에 일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판(1)을 벗어나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1압박부재(5a)가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밀착되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좌판(1)을 벗어나는 지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4a는 상기 제1아암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상기 제1압박부재(5a)는 상기 제1아암부재(4a)의 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회동부재(3)는 상기 제1회동부재(2)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1)의 일지점에 핀(3a)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일측면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기어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아암부재(4b)는 상기 제2회동부재(3)에 일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판(1)을 벗어나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2압박부재(5b)가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밀착되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좌판(1)을 벗어나는 지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4b는 상기 제2아암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상기 제2압박부재(5b)는 상기 제2아암부재(4b)의 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1압박부재(5a)나 제2압박부재(5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가 이동되게 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압박부재도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압박부재(5a)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2)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3)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5b)도 이동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압박부재(5b)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3)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1회동부재(2)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5a)도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회동부재(2)의 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2b)와, 상기 제1기어부(2b)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2회동부재(3)의 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3b)와, 연동대(6)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대(6)는 상기 제1회동부재(2)와 상기 제2회동부재(3)의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6a)와, 상기 본체부(6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2b)와 치형결합되는 제3기어부(6b)와, 상기 제3기어부(6b)와 이격져서 상기 본체부(6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부(3b)와 치형결합되는 제4기어부(6c)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제1압박부재(5a)나 상기 제2압박부재(5b)의 어느 하나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압박부재(5a)와 상기 제2압박부재(5b)가 이동이 된 이후에, 상기 제1압박부재(5a)나 상기 제2압박부재(5b)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게 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5a)와 상기 제2압박부재(5b)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복귀수단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7)와 지지대(8)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쇽업소버(7)는, 상기 제1회동부재(2)의 회동중심점과 상기 제2회동부재(3)의 회동중심점을 잇는 선과 직각되는 가상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6a)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결합되는 원통체(7a)와, 상기 원통체(7a)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체(7a)의 외부로 인출되는 피스톤로드(7b)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로드(7b)는 그 선단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원통체(7a)의 내부로 후진하면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부드럽고도 신속하게 흡수하게 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통체(7a)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쇽업소버(7)는 본 발명의 출원전에 이미 공지된 것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주)한성자동화의 UPA 시리즈(UPA 2015)나 (주)세양메카트로닉스의 FK 시리즈와 같은 상용화 된 것들이 이용될 수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내부 구조나 작동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대(8)는, 상기 쇽업소버(7)의 피스톤로드(7b) 선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좌판(1)의 일지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쇽업소버(7)의 원통체(7a)가 이동될 때, 상기 피스톤로드(7b)가 상기 원통체(7a) 내부로 후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9)과 지지대(8)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대(8)는 상기 제1회동부재(2)의 회동중심점과 상기 제2회동부재(3)의 회동중심점을 잇는 선과 직각되는 가상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6a)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1)의 일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9)은 상기 지지대(8)와 상기 연동대(6)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대(6)가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제1스프링(10a)은 상기 제1아암부재(4a)의 측면과 상기 좌판(1)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아암부재(4a)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아암부재(4a)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아암부재(4a)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1아암부재(4a)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며, 제2스프링(10b)은 상기 제2아암부재(4b)의 측면과 상기 좌판(1)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아암부재(4b)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아암부재(4b)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2아암부재(4b)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2아암부재(4b)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체단련기는 작동전의 상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가 서로 벌려진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판(1) 위에 앉은 다음에 양 허벅지를 벌려 양 허벅지 사이에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가 밀착되도록 끼우고 양 허벅지를 오므리게 되면,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가 이동되는 힘에 의해서 제1회동부재(2)와 제2회동부재(3)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제1회동부재(2)와 제2회동부재(3)가 회동되게 되면, 상기 제1회동부재(2)의 제1기어부(2b)와 연동대(6)의 제3기어부(6b)가 치형결합되고, 또 제2회동부재(3)의 제2기어부(3b)와 연동대(6)의 제4기어부(6c)가 치형결합되므로 연동대(6)가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볼 때, 뒤쪽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동대(6)는 그 중앙에 쇽업소버(7)의 원통체(7a)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원통체(7a)도 상기 연동대(6)와 함께 사용자의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쇽업소버(7)의 원통체(7a)가 사용자의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원통체(7a)의 내부에서 돌출된 피스톤로드(7b)도 사용자의 뒤쪽으로 이동하여야 하나, 상기 피스톤로드(7b)는 그와 접촉해서 좌판(1)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8)에 의해 이동되지 못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로드(7b)는 지지대(8)에 막혀서 이동되지 못하고, 대신에 쇽업소버(7)의 원통체(7a)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쇽업소버(7)는 피스톤로드(7b)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 허벅지 사이에 끼워진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7)의 원통체(7a) 내부로 인입되었던 피스톤로드(7b)가 다시 원통체(7a) 외부로 인출되면서 상기 원통체(7a)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앞쪽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원통체(7a)가 앞쪽으로 이동되게 되면, 상기 원통체(7a)와 고정결합된 연동대(6)도 앞쪽으로 이동되게 되고, 연동대(6)는 제1회동부재(2) 및 제2회동부재(3)와 치형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동대(6)의 원위치 복귀와 함께 상기 제1회동부재(2) 및 제2회동부재(3)가 원위치로 회동되면서 제1아암부재(4a)와 제2아암부재(4b)도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따라서,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양 허벅지를 오무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가 가까워졌다가 다시 멀어지는 작용을 반복하면서 하체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양 허벅지 사이에 가해지는 힘은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가 연동되게 되므로 어느 하나의 허벅지에 편중되지 아니하고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양 허벅지를 밀착시키는 힘을 바꾸어서 훈련의 강도를 달리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쇽업소버(7)에 부착된 조정다이얼(7c)을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쇽업소버(7)에는 쇽업소버(7)가 흡수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정다이얼(7c)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위의 조정다이얼(7c)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강도의 하체 훈련을 할 수가 있다.
한편, 위의 작용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양 허벅지를 동시에 오무려서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에 힘을 가하여 압박부재를 이동시킨다고 하면, 즉, 제1압박부재(5a)에 힘을 가하여 제1압박부재(5a)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압박부재(5a)의 이동에 의해서 제1아암부재(4a)와 제1회동부재(2)가 회동되게 되고, 제1회동부재(2)가 회동되게 되면, 제1회동부재(2)와 치형결합되는 연동대(6)도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뒤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연동대(6)와 치형결합되는 제2회동부재(3)도 회동되도록 하고, 따라서, 제2아암부재(4b)와 제2압박부재(5b)도 동시에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에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의 압박부재도 함께 연동하여 이동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하체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어느 하나의 허벅지에만 집중적으로 힘을 가하여 하체 운동의 불균형을 야기시키게 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가 있으므로 양 허벅지의 운동을 균일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복귀수단으로서 위와 같은 쇽업소버(7)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9)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부재에 힘을 가하거나, 또는 양 허벅지에 힘을 가하여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를 동시에 이동시키게 되면, 제1회동부재(2)와 제2회동부재(3) 사이에 끼워진 연동대(6)가 이동하면서 스프링(9)을 압축하게 되고, 다시 허벅지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서 연동대(6)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따라서 제1압박부재(5a)와 제2압박부재(5b)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되면 하체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복귀수단으로서 위와 같은 하나의 스프링(9)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프링(10a, 10b)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위와 같은 경우에는 2개의 스프링 중에서 제1스프링(10a)은 제1아암부재(4a)의 외측에 설치하고, 제2스프링(10b)은 제2아암부재(4b)의 외측에 설치하게 되며, 이때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스프링(10a, 10b)은 인장스프링을 사용하는 점에서만 위에서 설명한 예와 다르고,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 : 좌판 2 : 제1회동부재
3 : 제2회동부재 4a : 제1아암부재
4b : 제2아암부재 5a : 제1압박부재
5b : 제2압박부재 6 : 연동대
7 : 쇽업소버 8 : 지지대
9 : 스프링

Claims (5)

  1. 좌판;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에 일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판을 벗어나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1아암부재;
    상기 제1아암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과 접촉하게 되는 제1압박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에 일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판을 벗어나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아암부재;
    상기 제2아암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과 접촉하게 되는 제2압박부재;
    상기 제1압박부재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1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2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고, 또 상기 제2압박부재에 압박이 가해져서 상기 제2회동부재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제1회동부재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도 이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의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이동이 된 이후에, 상기 제1압박부재나 상기 제2압박부재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게 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압박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1회동부재의 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2회동부재의 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2회동부재의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치형결합되는 제3기어부와, 상기 제3기어부와 이격져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부와 치형결합되는 제4기어부를 가지는 연동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제1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과 상기 제2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을 잇는 선과 직각되는 가상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결합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체의 외부로 인출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쇽업소버; 및
    상기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쇽업소버의 원통체가 이동될 때,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원통체 내부로 후퇴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제1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과 상기 제2회동부재의 회동중심점을 잇는 선과 직각되는 가상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와 이격져서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연동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대가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제1아암부재의 측면과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아암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1아암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1아암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1아암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아암부재의 측면과 상기 좌판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아암부재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2아암부재가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2아암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2아암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기.
KR1020110022448A 2011-03-14 2011-03-14 하체 단련기 KR20120104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448A KR20120104815A (ko) 2011-03-14 2011-03-14 하체 단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448A KR20120104815A (ko) 2011-03-14 2011-03-14 하체 단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815A true KR20120104815A (ko) 2012-09-24

Family

ID=4711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448A KR20120104815A (ko) 2011-03-14 2011-03-14 하체 단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48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9487A (zh) * 2017-12-21 2018-05-29 重庆普享科技有限公司 一种大腿健身器
KR20180096062A (ko) 2017-02-20 2018-08-29 김주연 하체 운동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062A (ko) 2017-02-20 2018-08-29 김주연 하체 운동기구
DE112018000910B4 (de) * 2017-02-20 2021-06-10 Jue Yeon Kim Trainingsgerät für den Unterkörper
CN108079487A (zh) * 2017-12-21 2018-05-29 重庆普享科技有限公司 一种大腿健身器
CN108079487B (zh) * 2017-12-21 2020-04-14 重庆普享科技有限公司 一种大腿健身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430B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CN202666307U (zh) 多功能健身机
TWM440795U (en) Improved structure of exercise machine
CA2661469A1 (en) Leg rehabilitation apparatus
US9278253B2 (en) Abdomen exercise bench
KR20170062015A (ko) 상,하지 재활운동기구
CA2844562A1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20120104815A (ko) 하체 단련기
KR100792602B1 (ko) 하체 단련기
KR101246995B1 (ko) 하체 단련기
DE102013015288B4 (de) Trainingsgerät
KR100634817B1 (ko) 하체 단련기
KR101108673B1 (ko) 휴대용 팔씨름 단련기
KR101602603B1 (ko) 목 운동기구
EP3065835B1 (en) An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
CN203235193U (zh) 仰卧收腹机
KR101594473B1 (ko)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KR101408910B1 (ko) 다리운동기구가 구비된 의자
CN106535998A (zh) 运动器材的调节装置
CN210845161U (zh) 一种具有高度可调节功能的舞蹈柔韧性训练装置
KR20150055844A (ko) 발목풀기가 가능한 뜀뛰기운동구
CN211611460U (zh) 一种卧推架的座椅调节装置
CN206535082U (zh) 腿部运动器改良结构
US9776031B2 (en) Torsion based exerciser
CN212383157U (zh) 一种腿部屈伸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