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804B1 - 팔 비틀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팔 비틀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804B1
KR100687804B1 KR1020060083549A KR20060083549A KR100687804B1 KR 100687804 B1 KR100687804 B1 KR 100687804B1 KR 1020060083549 A KR1020060083549 A KR 1020060083549A KR 20060083549 A KR20060083549 A KR 20060083549A KR 100687804 B1 KR100687804 B1 KR 10068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rotary
arm
knob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길
김흥겸
Original Assignee
이종길
김흥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길, 김흥겸 filed Critical 이종길
Priority to KR102006008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을 엇갈리게 하면서 팔을 비틀어 뻗음으로써 어깨근육의 어혈을 풀어줄 수 있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 손을 잡은 상태에서 양 손의 반대 회전과 근접을 통해 양 손을 엇갈리게 할 수 있도록 각각이 좌우 신축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신축 연결수단으로 연결 구비되어 있는 양 회전 손잡이를 포함함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특징으로 한다.
팔 비틀기, 신축 연결수단, 운동기구

Description

팔 비틀기 운동기구{An arm twisting athlet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운동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운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축 연결수단
11 : 연결축
111 : 홈
12 : 단속부
13 : 스프링
14 : 거리 유지관
15 : 미끄럼 수단
2 : 회전 손잡이
21 : 관통홀
211 : 함몰홈, 212 : 안착 함몰홈
22 : 홈
23 : 중량체
24 : 지압돌기
본 발명은 팔 비틀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손을 엇갈리게 하면서 팔을 비틀어 뻗음으로써 어깨근육의 어혈을 풀어줄 수 있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장시간 동안 사용하거나 상체를 이용하는 작업을 장시간 동안 수행할 경우에는 어깨와 목덜미에 어혈이 뭉침으로서 어깨가 결리거나 뻣뻣해 지는 통증이 발생된다. 그리고 나이가 들게 되면 신경통이나 류마티스 등으로 인하여 어깨 통증을 느끼는 오십견이 발생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어깨가 결리거나 뻣뻣해질 경우에는 통증부분을 지압하는 방법을 통해 어혈을 풀어주었으나, 이러한 지압은 통증부분의 어혈을 일시적으로는 풀어줄 수는 있으나 어깨 결림이나 뻣뻣해지는 통증을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어깨 통증을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 손을 엇갈려 깍지껴 팔을 비트는 운동이 알려져 있다.
즉 상술한 운동은, 양손을 엇갈려 깍지를 낀 다음 팔을 천천히 몸안으로 돌렸다가 밖으로 뻗으면서 팔을 비트는 과정을 반복하는 운동으로, 어깨관절과 팔목, 손목관절을 이완시킴은 물론 어깨근육에 뭉친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양손을 상호 엇갈리게 깍지를 낀 후 팔을 비틀어 뻗는 순간에 팔이 자연스럽게 펴지지 않게 됨으로써, 팔의 인대나 손목, 팔목의 관절부분이 상하는 부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양손의 손가락을 깍지낀 상태에서 팔을 비틀게 됨으로써, 손가락의 마디관절에 심한 아픔을 느끼게 됨에 따라서 장시간 동안의 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양 손의 손가락을 엇갈리게 깍지낀 상태에서 팔을 비트는 순간에 양 손이 쉽게 풀리게 됨으로써 충분한 운동 효과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양 손의 반대 회전과 근접을 통해 손을 엇갈리게 하면서 팔을 비틀어 뻗는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팔을 자연스럽게 펴지게 함에 따라 팔과 손목 및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고 팔 비틀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양 손을 깍지끼지 않은 상태에서 양 손의 회전을 통해 양 손을 상호 엇갈리게 하면서 팔의 비틀기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양 손 이 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아령으로도 사용 할 수 있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손바닥의 지압 효과도 얻을 수 있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 손을 잡은 상태에서 양 손의 반대 회전과 근접을 통해 양 손을 엇갈리게 할 수 있도록 각각이 좌우 신축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신축 연결수단으로 연결 구비되어 있는 양 회전 손잡이를 포함함하고; 상기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좌우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 회전 손잡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타측 회전 손잡이에 관통되어 있고 양 회전 손잡이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타측 단속부를 포함하는 연결축과, 상기 양 회전 손잡이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 회전 손잡이를 상호 근접 신축 이동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스프링의 외측에 구비되어 양 회전 손잡이의 최소 근접거리를 단속하는 거리 유지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손을 잡은 상태에서 양 손의 반대 회전과 근접을 통해 양 손을 엇갈리게 할 수 있도록 각각이 좌우 신축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신축 연결수단으로 연결 구비되어 있는 양 회전 손잡이를 포함함하고; 상기 신축 연결수단은,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좌우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 회전 손잡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타측 회전 손잡이에 관통되어 있고 양 회전 손잡이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타측 단속부를 포함하는 연결축과, 상기 양 회전 손잡이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 회전 손잡이를 상호 근접 신축 이동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과 타측 회전 손잡이의 관통홀 사이에는, 양 회전 손잡이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미끄럼 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팔 비틀기 운동기구는,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이 좌우 신축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신축 연결수단(1)으로 연결 구비된 양 회전 손잡이(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양 회전 손잡이(2)를 양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중간을 상호 연결하는 신축 연결수단(1)의 신축으로 인하여 양 손의 반대 회전과 근접을 통해 양 손을 엇갈리게 함으로써 팔 비틀기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 연결수단(1)은,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좌우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 회전 손잡이(2)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타측 회전 손잡이(2)에 관통되어 있고 양 회전 손잡이(2)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타측 단속부(12)를 포함하는 연결축(11)과,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 회전 손잡이(2)를 상호 근접 신축 이동되게 하는 스프링(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타측 회전 손잡이(2)의 중앙에는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축(11)이 좌우로 유동되게 관통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양 회전 손잡이(2)의 회전과 좌우 유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1)은 여러 형태의 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타측에 홈부(111)가 형성된 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속부(12)는 핀이나 너트 또는 멈춤링의 단속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상기 홈부(111)에 끼워지는 멈춤링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연결축(11)의 타측에는 멈춤링으로 구성된 단속부(12)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양 회전 손잡이(2)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멈춤링은 관통홀(21)의 외측에 밀착됨으로써 양 회전 손잡이(2)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축(11)은 일측 회전 손잡이(2)의 성형시 삽입시켜 일체로 돌출되게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타측 회전 손잡이(2)의 관통홀(21)의 외측에는 연결축(11)과 단속부(15)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몰홈(2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13)은 양 회전 손잡이(2)의 사이인 연결축(11)의 외측에 관통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스프링(13)의 양단은 양 회전 손잡이(2)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내측에는 스프링(13)의 양단이 전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안착 함몰홈(21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의 외측에는 양 회전 손잡이(2)의 최소 근접거리를 단속하는 거리 유지관(14)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거리 유지관(14)은 스프링(1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안착 함몰홈(212)에 삽입됨으로서 양 회전 손잡이(2)의 수축 거리를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11)과 타측 회전 손잡이(2)의 관통홀 사이에는, 양 회전 손잡이(2)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미끄럼 수단(1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수단(15)은 여러 형태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레이디얼 베어링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외측에는 중량체(23)가 더 구비됨으로써 아령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외측에 둘레에 홈(22)을 형성하고 이 홈(22)에 중량체(23)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양 회전 손잡이의 중량을 늘려 아령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압돌기(24)가 더 구비됨으로써, 팔 비틀기 운동을 진행함에 있어서 손바닥의 지압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통한 운동방법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운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 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운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시작할 경우와 운동 상태를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시작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양 회전 손잡이(2)를 양 손으로 수취한다. 즉 양 회전 손잡이(2)를 양 손으로 감싸며 수취함으로써 양 손을 일정간격으로 유지한다.
다음, 도 1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양 손으로 양 회전 손잡이(2)를 수취한 상태에서 팔을 천천히 몸안으로 돌렸다가 밖으로 뻗으면서 팔을 비틀어 한 쪽팔이 다른 한 쪽팔의 상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팔 비틀기 운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한 쪽팔이 다른 팔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팔을 천천히 몸안으로 돌렸다가 밖으로 뻗으면서 팔을 비틀어 팔의 위치를 상호 바꾸는 과정을 통해 팔 비틀기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팔을 반복적으로 비틀어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일정한 거리에서 양 손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양 손을 근접되게 하는 과정을 통해 팔을 비틀어 줌으로써, 팔을 비틀어 뻗는 순간에 팔을 자연스럽게 뻗을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손을 깍지끼지 않고 자연스럽게 양 회전 손잡이(2)를 잡은 상태에서 양 손을 반대되게 회전시키면서 팔을 비틀게 됨으로써, 팔을 자연스럽게 비튼 후 뻗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팔을 비트는 순간에 양 회전 손잡이(2)가 순간적으로 수축 근접됨에 따라서, 특히 팔의 인대나 손목 또는 팔목에 충격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양 회전 손잡이를 양 손으로 수취한 상태에서 양 손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손가락의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양 손을 자연스럽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팔 비틀기 운동을 장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팔 비틀기 운동을 진행할 경우에는, 팔은 물론 손목 관절, 팔목관절 및 손가락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장시간 동안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깨 근육에 뭉친 어혈을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풀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 회전 손잡이(2)를 양 손으로 수취한 상태에서 팔 비틀기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양 손이 풀리는 현상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팔을 자연스럽게 펴지게 함에 따라 팔과 손목 및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고 팔 비틀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팔의 인대나 팔목, 손목, 손가락 관절이 상하는 부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을 가지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 비틀기 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양 손이 풀려지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아령도 겸할 수 있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손바닥의 지압도 가능한 팔 비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양 손을 잡은 상태에서 양 손의 반대 회전과 근접을 통해 양 손을 엇갈리게 할 수 있도록 각각이 좌우 신축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신축 연결수단(1)으로 연결 구비되어 있는 양 회전 손잡이(2)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연결수단(1)은,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좌우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 회전 손잡이(2)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타측 회전 손잡이(2)에 관통되어 있고 양 회전 손잡이(2)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타측 단속부(12)를 포함하는 연결축(11)과,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 회전 손잡이(2)를 상호 근접 신축 이동되게 하는 스프링(13)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연결수단(1)은, 상기 스프링(13)의 외측에 구비되어 양 회전 손잡이(2)의 최소 근접거리를 단속하는 거리 유지관(14)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회전 손잡이(2)는,
    조립을 통해 구비되는 중량체(23)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압돌기(2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
  4. 양 손을 잡은 상태에서 양 손의 반대 회전과 근접을 통해 양 손을 엇갈리게 할 수 있도록 각각이 좌우 신축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신축 연결수단(1)으로 연결 구비되어 있는 양 회전 손잡이(2)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연결수단(1)은,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좌우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 회전 손잡이(2)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타측 회전 손잡이(2)에 관통되어 있고 양 회전 손잡이(2)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타측 단속부(12)를 포함하는 연결축(11)과,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 회전 손잡이(2)를 상호 근접 신축 이동되게 하는 스프링(13)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11)과 타측 회전 손잡이(2)의 관통홀 사이에는, 양 회전 손잡이(2)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미끄럼 수단(1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 회전 손잡이(2)는,
    조립을 통해 구비되는 중량체(23)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 회전 손잡이(2)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압돌기(2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팔 비틀기 운동기구.
KR1020060083549A 2006-08-31 2006-08-31 팔 비틀기 운동기구 KR10068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49A KR100687804B1 (ko) 2006-08-31 2006-08-31 팔 비틀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49A KR100687804B1 (ko) 2006-08-31 2006-08-31 팔 비틀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804B1 true KR100687804B1 (ko) 2007-03-02

Family

ID=3810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549A KR100687804B1 (ko) 2006-08-31 2006-08-31 팔 비틀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3678A1 (en) * 2012-09-17 2014-03-20 Powell Ogden Exercise pen
KR101655115B1 (ko) 2015-11-25 2016-09-07 (주) 리바인코리아 복합 실내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134A (ko) * 1990-01-08 1991-08-31 정석화 악력기
KR970051010A (ko) * 1995-12-16 1997-07-29 배순훈 브이시알 시스템의 채널선국 감도 조절 처리방법
KR970051010U (ko) * 1996-12-31 1997-09-08 이준엽 비틀기 운동구
KR19980058639U (ko) * 1997-02-25 1998-10-26 최정삼 다목적 운동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134A (ko) * 1990-01-08 1991-08-31 정석화 악력기
KR970051010A (ko) * 1995-12-16 1997-07-29 배순훈 브이시알 시스템의 채널선국 감도 조절 처리방법
KR970051010U (ko) * 1996-12-31 1997-09-08 이준엽 비틀기 운동구
KR19980058639U (ko) * 1997-02-25 1998-10-26 최정삼 다목적 운동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10014134
20199700510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3678A1 (en) * 2012-09-17 2014-03-20 Powell Ogden Exercise pen
KR101655115B1 (ko) 2015-11-25 2016-09-07 (주) 리바인코리아 복합 실내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6809B (zh) 多功能便携式上肢康复装置及利用该装置进行康复训练的方法
US10123929B2 (en) Wrist and forearm exoskeleton
KR20190059568A (ko) 상지 재활을 위해 엔드 이펙터 타입의 재활로봇과 연결가능한 재활 로봇
CN205386227U (zh) 多功能便携式上肢康复装置
CN205516253U (zh) 一种新型手指训练康复板
KR101501527B1 (ko) 상지 재활 훈련 장치
KR100687804B1 (ko) 팔 비틀기 운동기구
CN106063758A (zh) 一种可调主被动手部康复训练器
KR101343537B1 (ko) 다기능 상지 운동기
KR101849478B1 (ko) 손 및 손목 재활 로봇
KR101301651B1 (ko) 자동 손 재활 운동 장치
CN204468605U (zh) 一种肘关节屈伸训练器
KR101904990B1 (ko) 재활로봇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재활로봇
KR20120075871A (ko) 족 관절 재활장치
KR102384245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CN213555229U (zh) 手部康复训练器
US4982950A (en) Rotatable exercise device
WO2017171534A1 (ru) Портатив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пальцев рук
JP2015112224A (ja) 関節リハビリテーション器具
KR200481233Y1 (ko) 마비된 중풍 손가락의 관절과 근육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CN204411219U (zh) 可调式手功能训练器
CN203790254U (zh) 一种足部康复器
KR200444827Y1 (ko) 지압 겸용 관절운동기구
JPH09239066A (ja) 健康器具
CN208243992U (zh) 一种医疗康复锻炼用臂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